KR100448213B1 -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연결 서비스방법 - Google Patents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연결 서비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213B1
KR100448213B1 KR10-2001-0075777A KR20010075777A KR100448213B1 KR 100448213 B1 KR100448213 B1 KR 100448213B1 KR 20010075777 A KR20010075777 A KR 20010075777A KR 100448213 B1 KR100448213 B1 KR 100448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unique
information
subscriber
extension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5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5884A (ko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5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213B1/ko
Publication of KR20030045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2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04M3/546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58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2PB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를 이용하여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를 전환하여 연결하고 위치를 확인하도록 한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은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이동정보 입력 요구를 수신하여 해당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가 이동한 위치의 이동내선에서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이동정보를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를 호출하는 착신호를 수신하여 동일 내선 가입자가 단수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 입력된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를 해당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가 이동한 위치의 이동내선으로 전환하여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위치 확인 요구를 수신하여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 입력된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Method for Call Connection Service For Extension Subscriber Private Exchange}
본 발명은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를 이용하여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를 전환하여 연결하고 위치를 확인하도록 한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설교환기는 동일 건물 내 또는 동일 회사 등에서 다수의 국선과 다수의 내선 가입자에 따른 통신 단말기를 스위칭 하는 소형 교환기인데, 예를 들면, 키폰시스템, 구내전화교환기(PBX : Private Branch Exchange), 사설자동구내교환기(PABX : Private Branch Automatic Exchange)등이 있다.
그리고, 상기 사설교환기는 구내 교환 설비와 소속 전환 취급 구간의 전화 회선(통상적으로 '국선' 이라 칭함)에 의해 국선의 연결 및 내선 상호간을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된다.
한편, 상기 사설교환기는 착신호 전환(Call Forwarding) 기능이 있어, 상기사설교환기의 내선 가입자가 자신의 내선이 아니라 상기 사설교환기에 가입된 다른 내선에서 자신의 내선에 착신되는 통화를 수신 할 수 있거나, 혹은 외출 시 자신이 있는 위치의 전화번호를 상기 착신호 전환 기능에 설정해 두면 자신에게 착신되는 통화를 수신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종래에는 착신호 전환 기능이 지원되는 내선 단말기와 일반 내선 단말기가 섞여 있으며, 두 가지 모두 사설교환기의 제어부에 의해 컨트롤을 받게 되는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를 'A'라 하고,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를 'B'라고 하면,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가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 'B'의 위치로 이동을 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경우에 따라 착신호 전환을 위한 동작을 다르게 해야만 한다.
먼저,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가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 'B'의 내선번호를 알고 있는 경우에,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는 이동하고자하는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 'B'가 있는 위치의 내선번호를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의 내선 단말기에 미리 입력시켜 놓아야 한다.
이때,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가 사용하는 내선 단말기가 착신호 전환 기능을 지원해 주는 경우에,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는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 'B'의 내선번호를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의 내선 단말기에 미리 입력시켜 놓아,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의 내선 단말기로 걸려오는 모든 착신호가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B'의 내선 단말기로 전달 되게 한다.
반면에,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가 사용하는 내선 단말기가 착신호 전환 기능을 지원해 주지 않는 경우에, 사설교환기의 제어부에서 착신호 전환 기능을 담당해야 하므로,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는 사설교환기에 착신호 전환 기능을 등록시켜 놓고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 'B'의 내선번호을 미리 입력시켜 놓아,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의 내선 단말기로 걸려오는 모든 착신호가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 'B'의 내선 단말기로 전달 되게 한다.
한편,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가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 'B'의 내선번호를 모르고 있는 경우에,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는 보이스 메일 서비스(VMS : Voice Mail Service) 기능을 사용하여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를 호출하는 상대방인 외부 호출자로 하여금 음성 메시지를 남겨 놓게 하는 방법 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에 착신호 전환에 있어서, 외부 호출자에 의해 걸려오는 모든 호출의 착신호를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가 이동하고자하는 위치에 있는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의 내선으로 일방적으로 전환 시켜놓은 경우에,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가 이동 중에는 외부 호출자와 통화 할 수 없으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의 내선을 혼자서 사용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착신호 전환자와 함께 동일 내선을 사용하는 다른 내선 가입자가 호출을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이스 메일 서비스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외부 호출자가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와 급히 연결될 필요가 있음에도 연결되지 못하고,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가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지 않는 한 호출 사실을 알지 못하며, 동일 내선을 사용하는 다른 내선 가입자가 호출을 받더라도 착신호 전환자에게 전달하여주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외부 방문자가 착신호 전환자를 방문하거나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의 위치를 파악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가 이동 중에는 그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가 위치를 이동하는 경우에,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를 이용함으로써, 내선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쉽게 알 수 있고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를 선택적으로 전환 연결하여 동일 내선 가입자가 복수인 경우에도 여러 명의 내선 가입자가 동일 내선을 공유 할 수 있으며, 이동중인 내선 가입자의 현재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연결 서비스를 위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있어, 메모리부 내의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을 간략히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도 3에 있어, 이동정보 입력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도 3에 있어, 착신호 전환 연결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도 3에 있어, 위치 확인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도 3에 있어, 이동정보 삭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사설교환기 200 : 내선 단말기
300 : 공중 교환 전화망 110 : 제어부
120 : 메모리부 130 : 스위치부
140 : 내선 정합부 150 : 국선 정합부
160 : 보이스 메일 서비스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은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이동정보 입력 요구를 수신하여 해당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가 이동한 위치의 이동내선에서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이동정보를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를 호출하는 착신호를 수신하여 동일 내선 가입자가 단수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 입력된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를 해당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가 이동한 위치의 이동내선으로 전환하여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위치 확인 요구를 수신하여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 입력된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은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이동정보 삭제 요구를 수신하여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서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이동정보를 삭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는,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고유한 정보로서, 고유개인코드와, 고유패스워드와, 고유성명과, 고유내선번호와, 고유위치를 구비하는 고유정보와;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가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의 위치로 이동한 경우의 이동개인코드와, 이동패스워드와, 이동성명과, 이동내선번호와, 이동위치를 구비하는 이동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연결 서비스를 위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연결 서비스를 위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사설교환기(100)는 제어부(110), 메모리부(120), 스위치부(130), 내선 정합부(140), 국선 정합부(150), 보이스 메일 서비스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사설교환기(100)는 내선을 통해 다수의 내선 단말기(200)와 연결되어 있고, 국선을 통해 공중 교환 전화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s)(300)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프로세스가 탑재되어 있어 교환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통화 스위칭을 제어하고, 가입자에게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DataBase)를 관리하고, 상기 사설교환기(100)의 동작수행을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외부와 연결되어 필요시 외부에서 제어를 할 수 있게 해주며, 내부에서 처리하지 못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외부에서 처리하기도 한다.
상기 메모리부(120)는, 제어부(110)의 동작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부(13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각종 톤 및 음성 데이터, 내선들간의 연결, 국선의 연결 등을 스위칭 한다.
상기 내선 정합부(140)는, 가입자 회선 정합부라고도 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내선(가입자 회선)을 통하여 내선 단말기(200)에 통화 전류를 공급하는 동시에 내선 단말기(200)와 상기 스위치부(130)간의 신호를 인터페이스 한다. 여기서, 내선 단말기(200)는, 다수이며 일반적으로 전화기등이 이에 해당되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국선 정합부(15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공중 교환 전화망(300)을 접속하여 국선과 상기 스위치부(130)간의 신호를 인터페이스 한다. 여기서, 상기 공중 교환 전화망(300)은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상적인 가입 전화 서비스를 위한 전화망인데, 근래 발달하여 온 공중 가입형의 데이터 통신망(PSDN 등) 또는 이용자 직영의 사설 통신망 등과 비교하여 기존의 전화망을 이와 같이 호칭한다.
상기 보이스 메일 서비스부(160)는, 상기 스위치부(130)에 접속되어 음성 메시지의 저장 및 저장된 음성 메시지의 송출 동작을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수행하며, 내선 가입자마다 별도의 저장 영역을 할당하고, 각 내선 가입자마다 고유의 패스워드를 통해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송출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메모리부 내의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에 있어, 메모리부 내의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는 내선 가입자에 대한 개인정보인데,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는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고유한 정보인 고유정보와,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가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의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정보인 이동정보로 나누어 구성된다.
상기 고유정보는 외부로부터 사설교환기(100)의 제어부(110)를 통하여 입력되어 메모리부(120)에 미리 저장되고, 상기 이동정보는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가 이동한 위치에 있는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의 내선 단말기(200)로부터 내선 정합부(140)를 통해 상기 제어부(110)로 입력 또는 삭제 요구되고, 상기 이동정보 입력 또는 삭제요구를 수신한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상기 메모리부(120)에 입력 또는 삭제된다. 또한, 상기 착신호 전환자에 대한 이동정보는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가 이동한 위치에 있는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에 대한 고유정보와 일치한다.
상기 고유정보는 고유개인코드, 고유패스워드, 고유성명, 고유내선번호, 고유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데, 고유개인코드는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의 개인코드이고, 고유패스워드는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의 패스워드이고, 고유성명은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의 성명이고, 고유내선번호는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의 내선번호이고, 고유위치는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의 위치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정보는 이동개인코드, 이동패스워드, 이동성명, 이동내선번호, 이동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동개인코드는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가 이동한 위치에 있는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의 개인코드이고, 이동패스워드는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가 이동한 위치에 있는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의 패스워드이고, 이동성명은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가 이동한 위치에 있는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의 성명이고, 이동내선번호는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가 이동한 위치에 있는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의 내선번호이고, 이동위치는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가 이동한 위치에 있는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의 위치이다.
도 2의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를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로서 호출자가 통화하고자 하는 자를 'A'라고 하고,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가 이동한 위치에 있는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로서 착신호를 전환받아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와 호출자간에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거나 통화를 거절하는 자를 'B'라고 한다.
그리고, 상기 사설교환기(100)의 메모리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서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에 대한 고유정보 중 고유개인코드는 '1111', 고유패스워드는 '1000', 고유성명은 'A', 고유내선번호는 '123 - 1112', 고유위치는 '1층 회의실'이고,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 'B'에 대한 고유정보 중 고유개인코드는 '2111', 고유패스워드는 '2000', 고유성명은 'B', 고유내선번호는 '123 - 2112', 고유위치는 '2층 회의실'이다.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가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 'B'의 위치로 이동하면,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에 대한 이동정보는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 'B'에 대한 고유정보와 일치하므로,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에 대한 이동정보 중 이동개인코드는 '2111', 이동패스워드는 '2000', 이동성명은 'B', 이동내선번호는 '123 - 2112', 이동위치는 '2층 회의실'이 된다.
그리고, 상기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 'B'는 다른 위치로 이동하지 않고, 고유위치 '2층 회의실'에 있다면,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대한 DB에서해당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 'B'에 대한 이동정보는 비어 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을 간략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고유내선번호에 대응하는 내선을 고유내선이라 하고, 이동내선번호에 대응하는 내선을 이동내선이라고 하면,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는 고유위치 '1층 회의실'에서 이동위치 '2층 회의실'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 우선,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는 고유위치 '1층 회의실'에 부재중에 고유내선번호 '123-1112'에 대응하는 고유내선으로 호출되는 착신호의 처리를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는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 'B'의 고유위치 '2층 회의실'로 이동한 후,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 'B'의 고유위치 '2층 회의실', 즉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가 이동한 위치의 이동내선에서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이동정보를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는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 입력하기 위해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 'B'의 내선 단말기(200)에 '#90'을 입력하여 이동정보 입력 요구를 하고, 사설교환기(100)의 제어부(110)는 내선 정합부(140)를 통하여 해당 이동정보 입력 요구를 수신하여 해당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가 이동한 위치의 이동내선에서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 'B'에 대한 고유정보를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서 찾아, 해당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에 대한 이동정보에 입력하는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서 이동정보 입력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301).
이에 따라, 사설교환기(100)의 제어부(110)는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를 호출하는 착신호를 내선으로부터 내선 정합부(140)를 통해 수신하거나 국선으로부터 국선 정합부(150)를 통해 수신하여 동일 내선 가입자가 단수인 경우와 동일 내선 가입자가 복수인 경우에 따라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 입력된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가 이동한 위치의 이동내선으로 착신호 전환하여 연결하는 내선 가입자에 착신호 전환 연결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302).
즉,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에 대한 착신호 전환에 있어서, 동일 내선 가입자가 단수인 경우에, 즉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가 고유내선번호 '123-1112'에 대응하는 고유내선을 혼자 사용하는 경우에는 착신호가 그대로 고유내선번호 '123-1112'에 대응하는 고유내선으로 걸려오게 하거나, 특수기능을 설정하여 보이스 메일 서비스 기능이 작동하거나, 아니면 착신호 전환 연결 기능이 작동하도록 한다.
반면에, 동일 내선 가입자가 복수인 경우에, 즉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가 고유내선번호 '123-1112'에 대응하는 고유내선을 여러 명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만을 위해 일방적으로 특수기능을 설정하면, 동일 내선의 다른 내선 가입자는 착신호를 받을 수 없으므로, 특수기능을 일방적으로 설정하지 않고 착신호가 그대로 고유내선번호 '123-1112'에 대응하는 고유내선으로 걸려 오게끔 한 후에, 착신호를 받은 내선 가입자가 실제로 외부 호출자가 통화하고자 하는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가 아닌 경우에는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의 고유개인코드 '1111'을 이용하여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에게 착신호를 전환하여 연결한다.
한편,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에 대한 위치 확인 요구를 하는 내선 가입자(이하, 'C'라고 함)가 해당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의 현재 위치를 알기 위해 자신의 내선 단말기(200)에 '#92'를 입력하고, 사설교환기(100)의 제어부(110)는 내선 정합부(140)를 통해 해당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에 대한 위치 확인 요구를 수신하여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 입력된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의 위치를 확인하는 내선 가입자에 대한 위치 확인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303).
즉, 외부에서 손님이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를 찾아온 경우나 또는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의 위치를 파악해야 하는 경우에,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이외의 다른 내선 가입자는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에 대한 고유개인코드 '1111'를 자신의 내선 단말기(200)에 입력함으로써, 해당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의 현재 위치를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가 이동위치 '2층 회의실'에서 용무를 다 마치고, 다시 고유위치 '1층 회의실'로 이동하고자 할 때,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서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에 대한 이동정보를 삭제 해야하는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가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서 이동정보를 삭제하기 위해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 'B'의 내선 단말기(200)에 '#91'을 입력하여 이동정보 삭제 요구를 하고, 사설교환기(100)의 제어부(110)는 내선 정합부(140)를 통하여 해당 이동정보 삭제 요구를 수신하여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서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이동정보를 삭제하는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서 이동정보 삭제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304). 여기서, 해당 이동정보를 삭제하지 않으면,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에 대한 착신호가 계속 이동위치 '2층 회의실'로 걸려오기 때문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서 이동정보 입력 과정을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있어, 이동정보 입력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다.
먼저,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는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서 이동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 'B'의 내선 단말기(200)에 '#90'을 입력하여 이동정보 입력 요구를 하고, 사설교환기(100)의 제어부(110)는 내선 정합부(140)를 통하여 해당 이동정보 입력 요구를 수신한다(단계 S401).
이에,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내선 정합부(140)를 통하여 상기 내선 단말기(200)로 메모리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 접근 성공 메시지를 송출한다(단계 S402).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내선 정합부(140)를 통하여 상기 내선 단말기(200)로 해당 이동정보 입력 요구를 하는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에 대한 고유개인코드 및 고유패스워드 입력 요구 메시지를 송출한다(단계 S403).
이에 따라,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는 상기 입력 요구된 고유개인코드 '1111' 및 고유패스워드 '1000'을 상기 내선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하고, 상기제어부(110)는 상기 내선 정합부(140)를 통하여 상기 입력한 고유개인코드 '1111' 및 고유패스워드 '1000'을 수신한다(단계 S404).
그런 후에,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수신된 고유개인코드 '1111' 및 고유패스워드 '1000'과 일치하는 고유개인코드 및 고유패스워드가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의 고유정보에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405).
이때, 상기 수신된 고유개인코드 '1111'와 고유패스워드 '1000'과 일치하는 고유개인코드 및 고유패스워드가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의 고유정보에 없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내선 정합부(140)를 통해 상기 내선 단말기(200)로 오류 메시지를 송출하고(단계 S406), 다시 고유개인코드 및 고유패스워드 입력 요구 메시지를 송출한다.
반면에, 상기 수신된 고유개인코드 '1111' 및 고유패스워드 '1000'과 일치하는 고유개인코드 및 고유패스워드가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의 고유정보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내선 정합부(140)를 통해 상기 내선 단말기(200)로 이동개인코드 입력 요구 메시지를 송출한다(단계 S407).
여기서, 이동개인코드는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가 이동한 위치에 있는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 'B'에 대한 고유개인코드 '2111'을 말한다.
이에, 상기 이동개인코드 입력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는 이동개인코드 '2111'을 상기 내선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하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내선 정합부(140)를 통해 상기 입력한 이동개인코드 '2111'을 수신한다(단계 S408).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수신된 이동개인코드 '2111'과 일치하는 고유개인코드가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의 고유정보에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409).
여기서, 상기 입력된 이동개인코드 '2111'은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 'B'에 대한 고유개인코드 '2111'과 일치한다.
이때, 상기 고유정보에서 상기 수신된 이동개인코드 '2111'과 일치하는 고유개인코드 '2111'이 없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내선 정합부(140)를 통해 상기 내선 단말기(200)로 오류 메시지를 송출하고(단계 S410), 다시 이동개인코드 입력 요구 메시지를 송출한다.
반면에, 상기 고유정보에서 상기 수신된 이동개인코드 '2111'과 일치하는 고유개인코드 '2111'이 있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이동개인코드 '2111'과 일치하는 고유개인코드 '2111'을 구비하는 고유정보에서 고유개인코드 '2111', 고유패스워드 '2000', 고유성명 'B', 고유내선번호 '123-2111', 고유위치 '2층 회의실'을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서 해당 이동정보 입력 요구를 한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에 대한 이동정보에 입력한다(단계 S411).
따라서,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에 대한 이동정보에는 이동개인코드 '2111', 이동패스워드 '2000', 이동성명'B', 이동내선번호'123-2112', 이동위치 '2층 회의실'이 입력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내선 정합부(140)를 통해 상기 내선 단말기(200)로 이동정보 입력 성공 메시지를 송출한다(단계 S412).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전환 연결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3에 있어, 착신호 전환 연결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다.
먼저, 사설교환기(100)의 제어부(110)는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를 호출하는 착신호를 내선으로부터 내선 정합부(140)를 통해 수신하거나 국선으로부터 국선 정합부(150)를 통해 수신한다(단계 S501).
여기서, 내선으로부터 호출된 착신호는 내부에서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를 호출하는 경우이고, 국선으로부터 호출된 착신호는 외부에서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를 호출하는 경우이다.
이에,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수신한 착신호가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에 대한 고유내선번호 '123-1112'에 의한 호출인지 아니면 고유개인코드 '1111'에 의한 호출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502).
이때, 상기 착신호가 고유개인코드 '1111'에 의한 호출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호출된 고유개인코드 '1111'과 일치하는 고유개인코드 '1111'을 메모리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의 고유정보에서 검색한다(단계 S503).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호출된 고유개인코드 '1111'과 일치하는 고유개인코드 '1111'에 대응하는 해당 고유정보에서 해당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에 대한 고유내선번호 '123-2111'을 판독한다(단계 S504).
그런 후에, 상기 제어부(110)는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의 고유정보에서해당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에 대한 고유내선번호 '123-1112'와 일치하는 고유내선번호 '123-1112'의 검출 수에 따라 해당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가 상기 고유내선번호 '123-1112'에 대응하는 내선을 단독으로 사용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505). 즉, 해당 고유내선번호 '123-1112'의 검출수가 단수인 경우에는 내선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이고, 해당 고유내선번호 '123-1112'의 검출수가 복수인 경우에는 내선을 단독으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이다.
이때,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가 해당 고유내선번호 '123-1112'에 대응하는 내선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는 해당 고유내선번호 '123-1112'에 대응하는 고유내선에 착신호 전환 연결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506).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전환 연결 기능은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가 고유내선의 내선 단말기(200)에 착신호를 전환하여 연결할 것이다는 것만 설정하고, 실제 이동위치인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 'B'의 위치에서 착신호 전환받을 이동내선번호를 포함한 이동정보를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 입력한다. 반면에, 종래의 착신호 전환 기능은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가 이동하기 전에 미리 착신호 전환받을 이동내선번호를 고유내선의 내선 단말기에 입력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해당 고유내선에 착신호 전환 연결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는 해당 착신호를 스위치부(130)을 통해 해당 고유내선번호 '123-1112'에 대응하는 고유내선으로 연결한다(단계 S507).
반면에, 해당 고유내선에 착신호 전환 연결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는 메모리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서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에 대한 이동정보가 입력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508).
상기 내선 단독 사용여부 판단결과(단계 S505),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가 해당 고유내선번호 '123-1112'에 대응하는 내선을 단독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는 해당 착신호를 스위치부(130)를 통해 해당 고유내선번호 '123-1112'에 대응하는 고유내선으로 연결한다(단계 S507).
여기서, 동일 내선을 여러 명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고유내선번호 '123-1112'에 대응하는 고유내선으로의 착신호를 고유위치 '1층 회의실'을 떠나 부재중인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를 위해 일방적으로 전환하여 놓으면, 동일 내선의 다른 내선 가입자가 통화 할 수 없으므로, 착신호 전환 연결 기능을 설정하지 않고, 일단은 해당 고유내선의 고유내선번호 '123-1112'에 대응하는 고유내선으로 착신호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해당 고유내선에서 호출자와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간의 통화가 거절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509).
여기서, 통화 거절이란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가 고유위치 '1층 회의실'에서 이미 떠나 호출자와 통화할 수 없어 동일 고유내선을 사용하는 다른 내선 가입자에 의해 통화가 거절된 경우를 말한다.
이때, 해당 고유내선에서 통화가 거절되지 않은 경우에, 호출자와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간의 통화가 이루어진다(단계 S510).
반면에, 해당 고유내선에서 통화 거절된 경우에,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와 함께 동일한 고유내선을 사용하는 다른 내선 가입자가 고유내선의 내선 단말기(200)에 해당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에 대한 고유개인코드 '1111'을 입력하고, 상기 제어부(110)는 내선 정합부(140)를 통해 해당 고유개인코드 '1111'을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511).
이에 따라, 해당 고유개인코드 '1111'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는 메모리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서 상기 수신한 고유개인코드 '1111'에 대응하는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에 대한 이동정보가 입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S508), 해당 고유개인코드 '1111'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해당 호출자에 의해 착신호 호출이 종료된다.
이때, 상기 이동정보 입력여부 판단 결과(단계 S508), 해당 이동정보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는 해당 고유내선에 보이스 메일 서비스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512).
여기서, 해당 이동정보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란, 호출된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가 고유위치 '1층 회의실'을 떠나, 아직 이동위치 '2층 회의실'에 도착하지 않았거나, 이동위치 '2층 회의실'에 도착하였더라도 아직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 이동정보를 입력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해당 고유내선에 보이스 메일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는 보이스 메일 서비스부(160)에서 보이스 메일 서비스 기능을 작동한다(단계 S513).
여기서, 보이스 메일 서비스 기능은 내선 가입자가 착신호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일 때, 호출자인 발신자가 음성 메시지를 남기면 내선 가입자에게 음성사서함에 음성메시지가 있음을 통보함으로써, 녹음된 상대방의 음성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즉, 호출자인 발신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메시지를 디지털 데이터화하여 그 데이터를 음성의 사서함에 기록하여 필요할 때 그 메시지를 아날로그 음성으로 역변환 시켜 내선 단말기(220)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에, 해당 고유내선에 보이스 메일 서비스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는 해당 착신호를 스위치부(130)를 통해 해당 고유내선번호 '123-1112'에 대응하는 고유내선으로 연결한다(단계 S507).
한편, 상기 이동정보 입력여부 판단 결과(단계 S508), 해당 이동정보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는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의 이동정보에서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에 대한 이동내선번호 '123-2112'를 검색한다(단계 S514).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해당 착신호를 스위치부(130)를 통해 해당 이동내선번호 '123-2112'에 대응하는 이동내선으로 연결을 시도한다(단계 S515).
이에, 상기 제어부(110)는 해당 이동내선번호 '123-2112'에 대응하는 이동내선으로 착신호 연결이 성공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516).
이때, 해당 이동내선으로 해당 착신호 연결이 성공하지 못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는 해당 이동내선이 통화중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517).
이에 따라, 해당 이동내선이 통화중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는 고유내선에 보이스 메일 서비스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512).
반면에, 해당 이동내선이 통화중이 아닌 경우에, 해당 호출자에 의해 착신호 호출이 종료된다.
한편, 해당 이동내선으로 해당 착신호 연결이 성공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는 해당 이동내선에서 호출자와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간의 통화가 거절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518).
여기서, 통화 거절이란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가 이동위치 '2층 회의실'에서 이미 업무를 마치고 떠나 호출자와 통화할 수 없어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 'B'에 의해 통화가 거절된 경우를 말한다.
이때, 해당 이동내선에서 통화가 거절되지 않은 경우에, 호출자와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간의 통화가 이루어진다(단계 S510).
반면에, 해당 이동내선에서 통화가 거절된 경우에, 해당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 'B'는 이동내선의 내선 단말기(200)에 '#0#'을 입력하여 착신호 전환 연결 기능 해제 요구를 하고, 상기 제어부(110)는 내선 정합부(140)를 통해 해당 착신호 전환 연결 기능 해제 요구를 수신한다.(단계 S519).
이에, 상기 제어부(110)는 메모리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서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에 대한 이동정보를 삭제한다(단계 S520). 따라서, 해당 이동정보에 있는 이동코드 '2111', 이동패스워드 '2000', 이동성명 'B', 이동낸선번호 '123-2112', 이동위치 '2층 회의실'이 삭제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고유내선에 보이스 메일 서비스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512).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내선 가입자에 대한 위치 확인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3에 있어, 위치 확인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다.
먼저,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에 대한 위치 확인 요구를 하는 내선 가입자(이하, 'C'라고 함)가 해당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의 현재 위치를 알기 위해 자신의 내선 단말기(200)에 '#92'를 입력하고, 사설교환기(100)의 제어부(110)는 내선 정합부(140)를 통해 해당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에 대한 위치 확인 요구를 수신한다(단계 S601).
이에,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내선 정합부(140)를 통하여 해당 위치 확인 요구를 하는 내선 가입자 'C'의 내선 단말기(200)로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에 대한 고유개인코드 입력 요구 메시지를 송출한다(단계 S602).
이에 따라, 위치 확인 요구를 하는 내선 가입자 'C'는 해당 고유개인코드 '1111'을 상기 내선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하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내선 정합부(140)를 통하여 상기 입력한 고유개인코드 '1111'을 수신한다(단계 S603).
그런 후에,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수신된 고유개인코드 '1111'과 일치하는 고유개인코드가 메모리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의 고유정보에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604).
이때, 상기 수신된 고유개인코드 '1111'과 일치하는 고유개인코드가 해당 고유정보에 없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내선 정합부(140)를 통해 해당 내선 단말기(200)로 오류 메시지를 송출하고(단계 S605), 다시 고유개인코드 입력 요구 메시지를 송출한다.
반면에, 상기 수신된 고유개인코드 '1111'과 일치하는 고유개인코드가 해당 고유정보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는 해당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서 상기 입력된 고유개인코드 '1111'에 대응하는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에 대한 이동정보가 입력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606).
이때, 상기 이동정보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이동정보를 검색하여 이동위치 '2층 회의실'를 확인한다(단계 S607).
여기서, 상기 이동위치 '2층 회의실'은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의 이동위치임과 동시에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 'B'의 고유위치이다.
반면에, 상기 이동정보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고유정보를 검색하여 고유위치 '1층 회의실'을 확인한다(단계 S608).
여기서, 상기 고유위치 '1층 회의실'은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의 고유위치이다.
이에,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내선 정합부(140)를 통해 위치 확인 요구를 하는 내선 가입자 'C'의 내선 단말기(200)로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의 현재 위치를 송출한다(단계 S609).
여기서, 위치 확인 요구를 하는 내선 가입자 'C'의 내선 단말기(200)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의 현재 위치가 디스플레이 됨과 동시에 음성 메시지가 송출되고, 반면에, 위치 확인 요구를 하는 내선 가입자 'C'의 내선 단말기(200)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의 현재 위치가 음성 메시지로 송출될 뿐이다.
이에,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의 위치를 알기 위해 위치 확인 요구를 하는 내선 가입자 'C'는 상기 내선 단말기(20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된 또는 음성 메시지로 송출된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의 위치를 확인한다.
한편,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가 이동위치 '2층 회의실'에서 용무를 다 마치고, 다시 고유위치 '1층 회의실'로 이동하고자 할 때,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서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에 대한 이동정보를 삭제 해야하는데, 이는 해당 이동정보를 삭제하지 않으면,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에 대한 착신호가 계속 이동위치 '2층 회의실'로 걸려오기 때문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서 이동정보 삭제 과정을 설명한다.
도 7은 도 3에 있어, 이동정보 삭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다.
먼저,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가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서 이동정보를 삭제하기 위해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 'B'의 내선 단말기(200)에 '#91'을 입력하여 이동정보 삭제 요구를 하고, 사설교환기(100)의 제어부(110)는 내선 정합부(140)를 통하여 해당 이동정보 삭제 요구를 수신한다(단계 S701).
이에,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내선 정합부(140)를 통하여 상기 내선 단말기(200)로 메모리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 접근 성공 메시지를 송출한다(단계 S702).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내선 정합부(140)를 통하여 상기 내선 단말기(200)로 해당 이동정보 삭제 요구를 하는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에 대한 고유개인코드 및 고유패스워드 입력 요구 메시지를 송출한다(단계 S703).
이에 따라,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는 상기 입력 요구된 고유개인코드 '1111' 및 고유패스워드 '1000'을 상기 내선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하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내선 정합부(140)를 통하여 상기 입력한 상기 고유개인코드 '1111' 및 고유패스워드 '1000'을 수신한다(단계 S704).
그런 후에,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수신된 고유개인코드 '1111' 및 고유패스워드 '1000'와 일치하는 고유개인코드 및 고유패스워드가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의 고유정보에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705).
이때, 상기 수신된 고유개인코드 '1111' 및 고유패스워드 '1000'과 일치하는 고유개인코드 및 고유패스워드가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의 고유정보에 없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내선 정합부(140)를 통해 상기 내선 단말기(200)로 오류 메시지를 송출하고(단계 S706), 다시 고유개인코드 및 고유패스워드 입력 요구 메시지를 송출한다.
반면에, 상기 수신된 고유개인코드 '1111' 및 고유패스워드 '1000'과 일치하는 고유개인코드 및 고유패스워드가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의 고유정보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내선 정합부(140)를 통해 상기 내선 단말기(200)로 이동개인코드 입력 요구 메시지를 송출한다(단계 S707).
여기서, 이동개인코드는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가 이동한 위치에 있는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 'B'에 대한 고유개인코드 '2111'을 말한다.
이에, 상기 이동개인코드 입력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는 이동개인코드 '2111'을 해당 내선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하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내선 정합부(140)를 통해 상기 입력한 이동개인코드 '2111'을 수신한다(단계 S708).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수신된 고유개인코드 '1111' 및 고유패스워드 '1000'과 일치하는 고유개인코드 및 고유패스워드가 있는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에 대한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이동정보에서 상기 수신된 이동개인코드 '2111'과 일치하는 이동개인코드가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709).
여기서, 상기 입력된 이동개인코드 '2111'은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 'B'의 고유개인코드 '2111'과 일치한다.
이때, 상기 이동정보에서 상기 수신된 이동개인코드 '2111'과 일치하는 이동개인코드가 없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내선 정합부(140)를 통해 해당 내선 단말기(200)로 오류 메시지를 송출(단계 S710)하고, 다시 이동개인코드 입력 요구 메시지를 송출한다.
반면에, 상기 이동정보에서 상기 수신된 이동개인코드 '2111'과 일치하는 이동개인코드가 있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이동개인코드 '2111'과 일치하는 이동개인코드 '2111'을 구비하는 이동정보에서 이동개인코드 '2111', 이동패스워드 '2000', 이동성명 'B', 이동내선번호 '123-2111', 이동위치 '2층 회의실'을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서 해당 이동정보 삭제 요구를 한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에 대한 이동정보에서 삭제한다(단계 S711).
따라서,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에 대한 이동정보에는 정보가 없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내선 정합부(140)를 통해 해당 내선 단말기(200)로 이동정보 삭제 성공 메시지를 송출한다(단계 S712).
이후,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 'A'에 대한 착신호는 이동위치 '2층 회의실'의 이동전화번호 '123-2112'로 걸려오지 않고 고유위치로 전환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가 위치를 이동하는 경우에,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를 이용함으로써, 내선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쉽게 알 수 있고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를 선택적으로 전환 연결하여 동일 내선 가입자가 복수인 경우에도 여러 명의 내선 가입자가 동일 내선을 공유 할 수 있으며, 이동중인 내선 가입자의 현재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다.

Claims (12)

  1.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이동정보 입력 요구를 수신하여 해당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가 이동한 위치의 이동내선에서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이동정보를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를 호출하는 착신호를 수신하여 동일 내선 가입자가 단수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 입력된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를 해당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가 이동한 위치의 이동내선으로 전환하여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위치 확인 요구를 수신하여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 입력된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이동정보 삭제 요구를 수신하여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서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이동정보를 삭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는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고유한 정보로서, 고유개인코드와, 고유패스워드와, 고유성명과, 고유내선번호와, 고유위치를 구비하는 고유정보와;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가 착신호 전환 받는 다른 내선 가입자의 위치로 이동한 경우의 이동개인코드와, 이동패스워드와, 이동성명과, 이동내선번호와, 이동위치를 구비하는 이동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정보 입력 과정은,
    내선 단말기로부터 이동정보 입력 요구를 수신한 후, 해당 내선 단말기로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 접근 성공 메시지와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대한 고유개인코드 및 고유패스워드 입력 요구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내선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고유개인코드 및 고유패스워드를 수신하여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의 고유정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내선 단말기로 이동개인코드 입력 요구 메시지를 송출한 후, 상기 내선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이동개인코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이동개인코드와 일치하는 고유개인코드가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의 고유정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일치하는 고유개인코드를 구비하는 고유정보를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이동정보에 입력한 후, 상기 내선 단말기로 이동정보 입력 성공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호 전환 연결 과정은,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를 호출하는 착신호를 수신한 후, 해당 착신호가 고유내선번호에 의한 호출인지 아니면 고유개인코드에 의한 호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호가 고유내선번호에 의한 호출인 경우에,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가 상기 고유내선번호에 대응하는 내선을 단독으로 사용하는지를 판단하는단계와;
    상기 고유내선번호에 대응하는 고유내선에 착신호 전환 연결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서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이동정보가 입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의 이동정보에서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이동내선번호를 검색하여 해당 착신호를 해당 이동내선번호에 대응하는 이동내선으로 연결을 시도한 후에 해당 연결이 성공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내선에서 호출자와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간의 통화가 거절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내선에서 통화가 거절되지 않은 경우에, 호출자와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간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호 전환 연결 과정은,
    상기 착신호가 고유개인코드에 의한 호출인 경우에, 해당 호출된 고유개인코드와 일치하는 고유정보를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서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호출된 고유개인코드와 일치하는 고유정보에서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고유내선번호를 판독한 후에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가 상기 고유내선번호에 대응하는 내선을 단독으로 사용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호 전환 연결 과정은,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가 상기 고유내선번호에 대응하는 내선을 단독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착신호를 상기 고유내선번호에 대응하는 고유내선으로 연결한 후, 해당 고유내선에서 호출자와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간의 통화가 거절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고유내선에서 통화 거절된 경우에, 상기 고유개인코드를 수신한 후에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서 상기 수신된 고유개인코드에 대응하는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이동정보가 입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호 전환 연결 과정은,
    상기 이동내선에서 통화가 거절된 경우에, 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착신호 전환 연결 기능 해제 요구를 수신하여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서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이동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확인 과정은,
    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위치 확인 요구를 수신한 후, 해당 내선 단말기로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고유개인코드 입력 요구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내선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고유개인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의 고유정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서 상기 수신된 고유개인코드에 대응하는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이동정보가 입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정보를 검색하여 이동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내선 단말기로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의 현재 위치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확인 과정은,
    상기 이동정보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고유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의 고유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정보 삭제 과정은,
    내선 단말기로부터 이동정보 삭제 요구를 수신한 후, 해당 내선 단말기로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 접근 성공 메시지와 상기 착신호 전환 내선 가입자에 대한 고유개인코드 및 고유패스워드 입력 요구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내선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고유개인코드 및 고유패스워드를 수신하여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의 고유정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내선 단말기로 이동개인코드 입력 요구 메시지를 송출한 후, 상기 내선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이동개인코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이동개인코드와 일치하는 이동개인코드가 상기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이동정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일치하는 이동개인코드를 구비하는 이동정보를 상기 내선 가입자 정보에 관한 DB에서 삭제한 후, 상기 내선 단말기로 이동정보 삭제 성공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
KR10-2001-0075777A 2001-12-03 2001-12-03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연결 서비스방법 KR100448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777A KR100448213B1 (ko) 2001-12-03 2001-12-03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연결 서비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777A KR100448213B1 (ko) 2001-12-03 2001-12-03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연결 서비스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884A KR20030045884A (ko) 2003-06-12
KR100448213B1 true KR100448213B1 (ko) 2004-09-10

Family

ID=29572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777A KR100448213B1 (ko) 2001-12-03 2001-12-03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연결 서비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21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9994A (ja) * 1991-01-08 1992-09-04 Fujitsu Ltd 発信者識別呼出し方式
JPH0583401A (ja) * 1991-09-19 1993-04-02 Toshiba Corp 交換システム
KR19990026364A (ko) * 1997-09-24 1999-04-15 홍종만 사설 교환기에서 다중 착신호 전환 방법
KR19990041505A (ko) * 1997-11-21 1999-06-15 구자홍 간이교환 시스템에서의 착신호 전환 방법
KR20010073597A (ko) * 2000-01-19 2001-08-01 윤종용 사설 교환기에서 내선 전환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9994A (ja) * 1991-01-08 1992-09-04 Fujitsu Ltd 発信者識別呼出し方式
JPH0583401A (ja) * 1991-09-19 1993-04-02 Toshiba Corp 交換システム
KR19990026364A (ko) * 1997-09-24 1999-04-15 홍종만 사설 교환기에서 다중 착신호 전환 방법
KR19990041505A (ko) * 1997-11-21 1999-06-15 구자홍 간이교환 시스템에서의 착신호 전환 방법
KR20010073597A (ko) * 2000-01-19 2001-08-01 윤종용 사설 교환기에서 내선 전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884A (ko) 200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574C (zh) 一种团体通信系统
US5953400A (en) Communication system for a closed-user group
US5953657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all setup in telecommunications networks using signaling aided redialing
US5325424A (en) Method of automatically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wo devices
JP3031430B2 (ja) 無線電話サービスにおける加入者への呼のルーティング方法
AU658400B2 (en) Auxiliary communication service routing
EP0255325A2 (en) Call transfer between a message service system and a telephone switching system
JP2000505271A (ja) 電話接続の交換のための方法及び電話網
WO2008062803A1 (fr) Procédé et système de commande de connexion de téléphone
KR20050050043A (ko) 상호 운용 시스템 및 서비스 상호 운용성 제공 방법
JPH07307799A (ja) 通信装置の登録方法、登録機能付きサービス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該通信システム内に設ける交換機およびサービス制御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100448213B1 (ko)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연결 서비스방법
JPH1127391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発呼者が呼取り扱いを制御出来るように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0371486B1 (ko)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H1079793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管理装置およびグループ呼び出し方法
KR100459939B1 (ko) 회의통화 기능을 위한 셀룰러 통신 시스템
JPH08511926A (ja) 移動体従属スイッチ
JP2685525B2 (ja) 移動無線電話方式
JP4404882B2 (ja) 構内電子交換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S62179258A (ja) パ−ソナル交換方式
JP3437621B2 (ja) 構内交換通信システム
JP3047903B1 (ja) ネットワ―ク
KR100555408B1 (ko) 발신 번호 전환 기능을 가진 교환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JP2755774B2 (ja) 個人電話制御方法
JPH084285B2 (ja) 構内交換機のコ−ルフオワ−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