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6260B1 - 지뢰 제거 장비 - Google Patents

지뢰 제거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6260B1
KR100446260B1 KR10-2003-0045944A KR20030045944A KR100446260B1 KR 100446260 B1 KR100446260 B1 KR 100446260B1 KR 20030045944 A KR20030045944 A KR 20030045944A KR 100446260 B1 KR100446260 B1 KR 100446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shovel
mine
rotating shaft
stri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5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1197A (ko
Inventor
임환
Original Assignee
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환 filed Critical 임환
Priority to KR10-2003-0045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260B1/ko
Publication of KR20030081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1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2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12Means for clearing land minefield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on of landmines
    • F41H11/16Self-propelled mine-clearing vehicles; Mine-clearing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 F41H11/20Self-propelled mine-clearing vehicles; Mine-clearing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with ground-penetrating elements, e.g. with means for removing buried landmines from the soil
    • F41H11/22Self-propelled mine-clearing vehicles; Mine-clearing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with ground-penetrating elements, e.g. with means for removing buried landmines from the soil the elements being excavation bu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12Means for clearing land minefield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on of landmines
    • F41H11/16Self-propelled mine-clearing vehicles; Mine-clearing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 F41H11/20Self-propelled mine-clearing vehicles; Mine-clearing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with ground-penetrating elements, e.g. with means for removing buried landmines from the soil
    • F41H11/24Self-propelled mine-clearing vehicles; Mine-clearing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with ground-penetrating elements, e.g. with means for removing buried landmines from the soil the elements being ploug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12Means for clearing land minefield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on of landmines
    • F41H11/16Self-propelled mine-clearing vehicles; Mine-clearing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12Means for clearing land minefield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on of landmines
    • F41H11/16Self-propelled mine-clearing vehicles; Mine-clearing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 F41H11/18Self-propelled mine-clearing vehicles; Mine-clearing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with ground-impacting means for activating mines by the use of mechanical impulses, e.g. flails or stamp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12Means for clearing land minefield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on of landmines
    • F41H11/16Self-propelled mine-clearing vehicles; Mine-clearing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 F41H11/28Self-propelled mine-clearing vehicles; Mine-clearing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using brushing or sweeping means or dozers to push mines lying on a surface aside; using means for removing mines intact from a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뢰제거장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방에 일정두께의 지면을 파헤쳐 그 흙속에 있는 지뢰를 선별하여 수거하거나, 또는 후미지뢰제거장치의 와이어 또는 체인의 원심력에 의해 지뢰를 폭파시켜 한번의 작업에 이중으로 지뢰를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지뢰제거작업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동시에 만족하시키면서 신속한 지뢰 제거작업을 제공하는 지뢰제거장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은, 불도저형 기동차량과, 후측에 세로방향의 지지벽을 갖고, 선단에 다수의 쟁기가 횡으로 돌출 배열된 지뢰 선별삽과, 상기 선별삽의 양측을 상기 기동차량에 상하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아암과, 상기 기동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며 그 로드 선단은 선별삽의 후단에 연결되어 유압에 의해 상기 선별삽을 승하강 시키는 실린더로 구성되고, 이러한 장치가 구비된 기동차량의 후미부에 상기 양측의 지지아암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과, 원심력에 펼쳐지도록 상기 회전축상에 다수개 연결설치된 타격부재와,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타격부재가 펼쳐저 땅을 타격하도록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타격부재가 미치지 못하는 거리의 회전축과 몸체사이에 지뢰의 폭발시 불도저 족으로의 파편의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판으로 구성된 후미지뢰제거장치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뢰 제거 장비{Minesweeping equipment}
본 발명은 지뢰제거장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방에 일정두께의 지면을 파헤쳐 그 흙속에 있는 지뢰를 선별하여 수거하거나, 또는 후미지뢰제거장치의 와이어 또는 체인의 원심력에 의해 지뢰를 폭파시켜 한번의 작업에 이중으로 지뢰를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지뢰제거작업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동시에 만족하시키면서 신속한 지뢰 제거작업을 제공하는 지뢰제거장비에 관한 것이다.
지뢰는 전시 또는 우리나라와 같이 남북이 대치하고 있는 특수한 상황과 같이 주요 군사시설이나 진지 또는 적의 침입으로부터 취약하거나 그 침입이 예상되는 지역 등에 방어 목적으로 매설해 놓는 일종의 살상 무기이다.
그러나 실제 지뢰로 인한 피해는 군인들보다는 민간인들에게 많은 피해를 주고 있다. 즉, 지뢰를 매설한 후 오랜시간이 지나면 사실상 관리의 소홀로 인하여 방치될 수밖에 없으므로 차후 민간인들이 그 지뢰로부터 피해를 입게 되는 것이다. 또한 홍수와 같은 자연 재해에 의해 강이나 하천으로 유실되면 그 하류의 주민이나 관광객들이 지뢰에 의해 피해를 입게 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오래된 지뢰는 풍화작용에 의해 조금의 충격에 의해서도 폭발하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며, 이를 제거할 때에도 매우 위험하다.
따라서 설치된 지뢰를 안전하고 신뢰성있게 제거하는 것이 필요한데, 종래에는 이러한 지뢰를 제거하기 위해 훈련된 작업자가 탐침봉을 이용하여 직접 지면을찔러 지뢰를 찾도록 하거나, 불도저와 같은 장비로 지면을 갈아 엎거나, 금속탐지기를 이용하여 탐지하는 방법들이 있었다.
탐침봉을 이용한 방법은 작업자가 지뢰폭발의 위험에 직접 노출되기 때문에 안전에 문제가 있다. 즉 땅속에 오랫동안 묻혀있는 지뢰는 부식에 의해 작은 충격에도 폭발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어 작업시 사고를 당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인하여 매우 신중하게 작업을 진행함에 따른 작업시간이 매우 오래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불도저와 같은 장비로 지면을 갈아 엎는 방법은 그 충격에 의해 폭발하나 또는 지면의 상부로 들어나게 되어 이를 쉽게 제거할 수는 있지만, 폭발시 대전차 지뢰의 경우에는 고가의 장비나 작업자에게 큰 피해를 입히게 되며, 폭발하지 않고 지면에 들어나지도 않는 지뢰는 장비의 차륜에 의해 폭발하여 장비를 손상시키거나 후속 작업을 하는 작업자나 후속 장비들 및 그 장비를 운전하는 인명을 손상시키는 등 더욱더 큰 위험을 가중시키는 안전상의 문제가 있다.
또 체인이나 와이어를 축상에 메달아 회전시켜 원심력에 의해 체인이나 와이어가 땅을 후려치게 함으로써 그 충격에 의해 지중에 묻힌 지뢰가 폭발되도록 하는 장치도 있는데, 이 장치는 비교적 작은 충격에 의해 폭발하는 대인지뢰의 제거에는 효과가 있으나, 큰 하중 또는 충격에 의해 폭발을 일으키는 대인지뢰의 경우에는 그 폭발력에 의해 장비 자체가 크게 파손될 우려가 있고, 또 체인이나 와이어의 충격에 폭발하지 않고 있다가 지뢰제거 기동차량이 지나갈 때 폭발하거나 후속 기동차량에 의해 폭발하여 각종 장비나 주변 작업자에게 큰 피해를 입힐 우려가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과, 또 기존의 장비들이 대부분 하나의 방법만 채택하고 있어 지뢰작업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방에 일정두께의 지면을 파헤쳐 묻혀있는 대전차지뢰를 폭발됨 없이 선별하여 안전하게 수거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미부에 장착된 후미지뢰제거장치의 와이어 또는 체인의 원심력에 의해 지뢰를 폭파시켜 한 번의 작업으로 이중으로 지뢰를 제거하는 효과를 갖도록 함으로써 지뢰제거작업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면서 신속한 지뢰 제거작업을 제공하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불도저형 기동차량과, 후측에 세로방향의 지지벽을 갖고, 선단에 다수의 쟁기가 횡으로 돌출 배열된 지뢰 선별삽과, 상기 선별삽의 양측을 상기 기동차량에 상하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아암과, 상기 기동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며 그 로드 선단은 선별삽의 후단에 연결되어 유압에 의해 상기 선별삽을 승하강 시키는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장치가 구비된 기동차량의 후미부에 양측의 지지아암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과, 원심력에 펼쳐지도록 상기 회전축상에 다수개 연결설치된 타격부재와,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타격부재가 펼쳐저 땅을 타격하도록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타격부재가 미치지못하는 거리의 회전축과 몸체사이에 지뢰의 폭발시 불도저 족으로의 파편의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판으로 구성된 후미지뢰제거장치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뢰제거장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지뢰 제거장비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지뢰 제거장비의 안내부 다른 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 지뢰 제거장비의 원격조종을 위한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 지뢰 제거장비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기동차량 11 - 아암 12 - 실린더
13 - 영상 카메라 14 - 영상신호 송신부 15 - 제어신호 수신부
20 - 무선 통제소 21 - 조종부 22 - 제어신호 송신부
23 - 영상신호 수신부 24 - 모니터 30 - 지뢰선별삽
31 - 지지벽 32 - 선별망 33 - 가이드벽
34 - 안내부 35 - 스크린 36 - 이송샤프트
37 - 구동모터 38 - 쟁기 40 - 후미지뢰제거장치
41 - 지지아암 42 - 회전축 43 - 타격부재
44 - 차단판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뢰제거장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지뢰 제거장비의 측면도이다.
상기의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도저형 기동차량(10)의 전방에 지뢰선별삽(30)이 양측의 아암(11)에 의해 상하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아암(11)은 기동차량(10)의 전방에 설치된 유압 실린더(12)에 의해 승하강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불도저형 기동차량(10)은 직접 운전자가 탑승하여 운전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안전을 위해서 무선 조종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외부에 무선 통제소(20)가 별도로 구비된다. 무선 통제소(20)에서의 원만한 운전을 위해서는 도 4에서와 같이 지뢰작업 지역과 그 작업 상황을 잘 알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전방에 영상 카메라(13)가 장착되어 있고, 영상 카메라(13)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무선 통제소(20)로 보내기 위해 영상신호 송신부(14)가 구비되어 있으며, 원격 조종을 받기 위해 제어신호 수신부(15)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기동차량(10)의 외부는 지뢰폭발시 발생되는 파편이 기동차량(10)에 충격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방을 경사면을 갖도록 되어 있다.
또한, 무선 통제소(20)에는 영상신호 송신부(14)에서 보내진 영상신호를 받기 위해 영상신호 수신부(23)가 구비되며, 영상신호 수신부(23)의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24)가 구비된다. 아울러 기동차량(10)의 원격 조종을 위해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신호 송신부(22)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지뢰 선별삽은 후측에 세로방향의 지지벽(31)이 있고, 선단에 다수의 쟁기(38)가 횡으로 돌출 배열되어 있으며, 선별삽의 양측에 선별된 지뢰가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벽(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별삽의 지지벽(31)에는 지뢰는 걸르고 흙은 배출하는 선별망(32)이 설치되어 있고, 또 선별삽과 쟁기(38) 사이에 완만하게 경사진 지뢰 안내부(34)를 형성하여 지뢰의 인입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안내부(34)는 도 1, 도 2 및 도 5에서와 같이 스크린(35)으로 구성하여 기동차량(10)의 진행속도에 의해 흙과 함께 유입되는 지뢰를 자연적으로 인입시키고, 흙은 스크린(35)으로 빠져 나가도록 되어 있다.
물론 도 3에서와 같이 지뢰의 유입을 강제로 유도 할 수도 있다. 즉, 지뢰선별삽(30)의 양측에 축착되는 구조로 전후 평행하게 이송샤프트(36)들을 배열·설치하고, 이 이송샤프트(36)들의 일단에 체인이나 벨트와 같은 동력전달장치를 설치하여 이와 구동모터(37)를 연결함으로써 수거되는 지뢰를 강제 이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지뢰제거장비의 후측에 또다른 지뢰제거장비를 설치하여 2중으로 지뢰를 제거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동차량(10)의 후측에 플레일 방식의 후미지뢰제거장치(40)를 구성하여 지뢰제거의 신뢰성을 높이도록 할 수도 있다. 즉, 기동차량(10)의 양측에 설치된 지지아암(41)에 의해 기동차량(10)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거리로 회전축(42)이 설치되고, 이 회전축(42)의 둘레에 체인이나 와이어와 같은 타격부재(43)가 설치되어 있다.
또 회전축(42)은 일단에 체인이나 와이어를 통해 구동모터(47)와 연결되어 고속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42)의 타격부재(43)가 미치지 못하는 거리의 차체 쪽 지지아암(41)부에 지뢰의 폭발시 기동차량(10) 쪽으로의 파편의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판(44)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 지뢰 제거장비의 작동상태도이다.
지뢰제거장비의 기동차량(10) 전방에 장착된 영상 카메라(13)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기동차량(10)의 송신부에서 송신하면 이를 무선 통제소(20)의 수신부에서 전달받아 모니터(24)에 디스플레이하고, 운영자는 이를 보면서 조종부(21)을 조작하여 기동차량(10)제어를 위한 조종을 실시한다. 조종부(21)의 조작신호는 제어신호 송신부(22)를 통해 기동차량(10)으로 전달되며, 기동차량(10)에서는 제어신호 수신부(15)로 전달받아 그 제어신호대로 기동차량(10)이 구동된다.[도 4 참조]
무선으로 원격조종되는 본 발명의 지뢰제거장비는 지뢰제거시 기동차량(10)의 전방에 설치된 실린더(12)를 하강시킨 후 기동차량(10)을 진행시킨다.기동차량(10)의 진행에 의해 지뢰선별삽(30)의 쟁기(38)는 땅속으로 파고들어가면서 굴토하여 기동차량의 진행 속도에 의해 흙을 후측으로 유입시키게 된다. 쟁기(38)가 지중으로 대략 30㎝~40㎝정도로 굴토하게 되면 유압실린더(12) 및 지뢰선별삽(30)의 하부의 미끄럼 지지판(39)에 의해 쟁기(38)가 필요 이상으로 땅속을 굴토하지 않게된다. 따라서 불필요한 깊이까지 굴토하게 됨에 따른 에너지낭비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로 계속하여 기동차량(10)이 진행하게 되면 지면에서 대략 30㎝ 깊이 내에 묻혀있는 지뢰 즉, 대전차지뢰가 함께 지뢰선별삽(30)으로 유입되게 되는데, 대전차지뢰와 흙이 함께 지뢰선별삽(30)으로 유입되면서 흙은 안내부(34)의 스크린(35)에 의해 빠져나가 1차 선별된다. 이때 양측의 가이드벽(33)에 의해 유입되는 대전차지뢰는 지뢰선별삽(30)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선별된 재전차지뢰는 지뢰선별삽(30)의 지지벽(31)으로 유입된다. 1차 선별된 지뢰는 지지벽(31)에 의해 더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되고 다만 안내부(34)의 스크린(35)을 통해 빠져나가지 못한 흙은 다시 지뢰와 함께 지뢰선별삽(30)으로 유입된 후 지지벽(31)의 선별망(3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지뢰선별삽(30)에는 대전차지뢰만 남게 된다. 물론 대인 지뢰도 걸러질 수도 있다.
이때 안내부(34)가 롤러샤프트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대전차지뢰와 흙이 쟁기(38)에 의해 유입될 때 측부에 설치된 모터의 구동에 의해 후측으로 회전되고 있기 때문에 안내부(34)까지 유입된 지뢰는 강제로 후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이송샤프트(36)간에는 약간의 틈새가 있기 때문에 유입되는 흙은 그 틈새로 배출고, 배출되지 못하고 이송되는 흙은 다시 세로벽의 선별망(32)을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이 선별된 대전차 또는 대인지뢰들은 수거되어 안전한 장소에서 제거된다.
땅을 파헤치는 쟁기(38)의 간격은 주로 대전차 지뢰를 걸러낼 정도의 간격을 갖는다. 물론 기동차량(10)의 바퀴와 일직선 상에 있는 쟁기(38)부에는 대인지뢰도 걸러낼 수 있을 정도의 간격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기동차량(10)의 바퀴가 위치한 부분을 제외하고는 거의 대전차지뢰만 선별하게 되고, 대인지뢰는 그대로 두게 된다. 대신 후측에 설치된 로프 또는 와이어와 같은 후미지뢰제거장치(40)의 타격부재(43)에 의해 제거되도록 한다.
즉, 기동차량(10)의 후측에 설치된 회전축(42)은 구동모터(47)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축(42) 상에 설치된 다수개의 와이어 또는 체인과 같은 타격부재(43)들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펼쳐져 땅을 타격하게 된다. 이 충격에 의해 땅속에 매립된 대인지뢰들이 폭발하여 제거된다. 특히 타격부재(43)가 촘촘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어 땅속에 묻혀있는 지뢰들은 100% 폭발 제거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쟁기가 지면을 일정한 두께로 파헤쳐 흙과 함께 유입되는 대전차 지뢰는 안내부의 스크린에서 1차 선별되고 다시 지지벽의 선별망을 통해 2차 선별되므로 지뢰는 안전하게 수거할 수가 있는 장점이 있고, 선별되지 않은 대인지뢰는 다시 후측에서 고속회전하는 후미지뢰제거장치의 타격부재에 의해 충격을 받아 폭발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결국 하나의 장비가 한번의 구동에 의해 이중으로 지뢰를 게거하여 완벽한 지뢰 제거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안전성과 신뢰성을 동시에 만족하시킬 수 있고, 또 신속한 지뢰 제거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불도저형 기동차량과,
    후측에 세로방향의 지지벽을 갖고, 선단에 완만하게 경사진 스크린 구조의 지뢰 안내부를 갖고 상기 안내부 선단에 다수의 쟁기가 횡으로 돌출 배열된 지뢰 선별삽과,
    상기 선별삽의 양측을 상기 기동차량에 상하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아암과,
    상기 기동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며 그 로드 선단은 선별삽의 후단에 연결되어 유압에 의해 상기 선별삽을 승하강 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선별삽의 지지벽에 지뢰는 걸르고 흙은 배출하는 선별망과,
    상기 선별삽의 양측에 가이드벽과,
    상기 기동차량의 후측에 후미지뢰제거장치가 설치되되,
    상기 후미지뢰제거장치는 상기 기동차량의 후미 양측의 지지아암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과,
    원심력에 펼쳐지도록 상기 회전축상에 다수개 연결설치된 타격부재와,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타격부재가 펼쳐저 땅을 타격하도록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타격부재가 미치지 못하는 거리의 회전축과 몸체사이에 지뢰의 폭발시 불도저 족으로의 파편의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판으로 구성된 후미지뢰제거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 제거 장비.
  2. 불도저형 기동차량과,
    후측에 세로방향의 지지벽을 가진 지뢰 선별삽과,
    상기 지뢰선별삽의 양측에 축착되는 구조로 전후 평행하게 배열·설치되는 이송샤프트들 및 상기 이송샤프트들의 일단에 동력전달장치로 연결되는 구동모터로 구성되어 수거되는 지뢰를 후측으로 강제 이송하는 강제 이송장치와,
    상기 선별삽의 선단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쟁기를 가지면서 완만하게 경사진 지뢰 안내부와,
    상기 선별삽의 양측을 상기 기동차량에 상하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아암과,
    상기 기동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며 그 로드 선단은 선별삽의 후단에 연결되어 유압에 의해 상기 선별삽을 승하강 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선별삽의 지지벽에 지뢰는 걸르고 흙은 배출하는 선별망과,
    상기 선별삽의 양측에 가이드벽과,
    상기 기동차량의 후측에 후미지뢰제거장치가 구비되되, 상기 후미지뢰제거장치는 후미 양측의 지지아암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과,
    원심력에 펼쳐지도록 상기 회전축상에 다수개 연결설치된 타격부재와,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타격부재가 펼쳐저 땅을 타격하도록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타격부재가 미치지 못하는 거리의 회전축과 몸체사이에 지뢰의 폭발시 불도저 족으로의 파편의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 제거 장비.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3-0045944A 2003-07-08 2003-07-08 지뢰 제거 장비 KR100446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944A KR100446260B1 (ko) 2003-07-08 2003-07-08 지뢰 제거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944A KR100446260B1 (ko) 2003-07-08 2003-07-08 지뢰 제거 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197A KR20030081197A (ko) 2003-10-17
KR100446260B1 true KR100446260B1 (ko) 2004-09-01

Family

ID=32388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5944A KR100446260B1 (ko) 2003-07-08 2003-07-08 지뢰 제거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62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3839A1 (ko) * 2015-10-27 2017-05-04 김동환 지뢰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00342B (zh) * 2017-08-29 2019-11-05 孟凡星 一种排雷机器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3839A1 (ko) * 2015-10-27 2017-05-04 김동환 지뢰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197A (ko) 200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6260B1 (ko) 지뢰 제거 장비
Smith An APT Demining Machine
JP2002535603A (ja) 掘削アセンブリ及び関連装置
EP1360451B1 (en) Mine excavation method and apparatus
CN202793184U (zh) 一种多功能排雷作业机具
Habib Mechanical Mine Clearance Technologies and Humanitarian Demining: Applicability and Effectiveness
SE9702281L (sv) Sätt och anordning vid minröjning
US6892622B2 (en) Anti-mine unit
King Demining: enhancing the process
JP3734480B2 (ja) 地雷処理装置
JP3899343B2 (ja) 地雷処理装置
DE10018248B4 (de) Minenräumfahrzeug
KR20020020460A (ko) 지뢰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81196A (ko) 지뢰 제거 장비
CN102721326B (zh) 一种扫雷装置
JP6082432B2 (ja) 地雷対応の分別処理機
WO1996037753A1 (en) Demining system
JP2003042698A (ja) 地雷処理兼耕耘装置
JP6082432B6 (ja) 地雷対応の分別処理機
Wanner et al. Development and Test of the Humanitarian Demining Sifting Excavator
JP2005282965A (ja) 地雷処理装置
JPH09311000A (ja) 地雷処理装置
Habib et al. Mechanical mine clearance: Development, applicability and difficulties
JP5793536B2 (ja) 地雷処理装置
Martin et al. Using REMOTE EXCAVATION for MUNITIONS REMOV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