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0460A - 지뢰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지뢰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0460A
KR20020020460A KR1020000053620A KR20000053620A KR20020020460A KR 20020020460 A KR20020020460 A KR 20020020460A KR 1020000053620 A KR1020000053620 A KR 1020000053620A KR 20000053620 A KR20000053620 A KR 20000053620A KR 20020020460 A KR20020020460 A KR 20020020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ne
towing
equipment
shaft
m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3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두우균
Original Assignee
두우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우균 filed Critical 두우균
Priority to KR1020000053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0460A/ko
Publication of KR20020020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046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12Means for clearing land minefield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on of landmines
    • F41H11/16Self-propelled mine-clearing vehicles; Mine-clearing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 F41H11/20Self-propelled mine-clearing vehicles; Mine-clearing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with ground-penetrating elements, e.g. with means for removing buried landmines from the soil
    • F41H11/22Self-propelled mine-clearing vehicles; Mine-clearing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with ground-penetrating elements, e.g. with means for removing buried landmines from the soil the elements being excavation bu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12Means for clearing land minefield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on of landmines
    • F41H11/16Self-propelled mine-clearing vehicles; Mine-clearing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 F41H11/32Decoy or sacrificial vehicles; Decoy or sacrificial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12Means for clearing land minefield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on of landm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Drilling And Exploitation, And Mining Machines And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된 지뢰를 폭파 제거하는 장비와 그 장비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자체중량으로 깔아뭉개서 지상의 수목을 제거하면서 지중에 매설된 대전차지뢰를 빠짐없이 폭발시켜 제거할 수 있을 정도로 무겁고, 상기 폭발에도 파손되지 않을 정도로 견고하며, 바위와 같은 장애물에도 걸리지 않고 그것을 넘어서 지나갈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견인용 샤프트에 끼워져서 샤프트를 축으로 상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멍이 조성되어 있는 지뢰제거장치와,
상기 지뢰제거장치의 구멍에 끼우는 방식으로 복수개의 지뢰제거장치를 끼운 상태로 하우징에 견고하게 부착된 견인용 샤프트와,
샤프트를 수용하면서 샤프트가 바위와 같은 견고한 장애물에 걸리지 않고 그것을 넘어서 지나갈 수 있도록 구성된 하우징으로 지뢰제거장비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뢰제거장비는,
스스로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불도저와 같은 견인용 중장비와 와이어로 체결되어서 중장비가 앞에서 끌어당기고 지뢰제거장비가 끌려가도록 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지뢰 제거장치 각각은 지면의 높고 낮음에 따라서 견인용 샤프트를 축으로 상하 회동하면서 지뢰제거장치 자체중량으로 지면을 빠짐없이 깔아뭉개서 매설된 지뢰 등을 폭발시킬 수 있도록 작용한다.
상기 지뢰제거장비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면,
지뢰제거장비를 견인용 와이어에 체결시킨 상태로 상기 와이어를 땅바닥에 늘어트리면서 지뢰매설지역의 중간지점으로 헬리콥터에 매달아서 옮겨놓고, 땅바닥에 늘어트려져 있는 와이어의 다른 한쪽끝을 지뢰가 매설되지 않은 안전지대에 있는 불도저 등의 견인용 중장비에 체결시켜서 불도저 등이 와이어를 끌어 당기면, 와이어 끝에 체결된 지뢰제거장비가 불도저 쪽으로 끌려오면서, 상기와 같이 지뢰제거장치가 작용 매설된 각종 지뢰 등을 빠짐 없이 폭파시켜 제거하므로, 지뢰가 제거된 곳은 불도저와 같은 중장비가 지뢰매설지역을 통과할 수 있는 통행로가 된다.
상기 통행로가 개설 되면 지뢰제거장비 복수개를 횡으로 연결하여 대형 지뢰제거장비를 구성하며, 대형 지뢰제거장비에서 견인용 중장비까지 견인용 와이어를 체결시킨 상태로 견인용 중장비가 상기 통행로를 따라서 지뢰매설지역으로 진입하면, 통행로 양측에 매설된 지뢰 등을 상기 통로의 개설 때와 같은 방식으로 대형 지뢰제거장비가 자체중량으로 지면을 깔아뭉개고 폭파시켜서 지뢰와 우거진 수목을 제거한다.
종래의 지뢰제거장비 및 기술은, 탐침봉으로 지뢰를 탐지하여 발굴 또는 폭파시키는 재래식 방법과,
포크형태의 굴착용 장치를 불도저 또는 전차(탱크) 등 중장비의 전면에 장착하고 쟁기처럼 흙을 파헤치면서 전진하므로 지뢰를 발굴, 수거 및 폭파시켜서 제거하는 장비 및 방법과,
중장비의 전면에 회전체을 장착하고, 그 회전체 둘레에 복수개의 와이어 또는 체인을 매달아서 회전체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중장비를 지뢰매설지역으로 전진시키면, 와이어 또는 체인은 회전하는 회전체의 원심력으로 지뢰매설지역의 지면을 세차게 후려치게 되며, 그 후려치는 충격으로 매설된 지뢰 등을 폭발시켜서 제거하는 장비 및 방법과,
복수개의 돌기가 부착된 철재의 롤러를 불도저와 같은 중장비의 전면에 장착하여 지뢰가 매설된 지역을 전진하면서 상기 롤러의 중량으로 매설된 지뢰에 압력을 가해 폭발시켜서 제거하는 장비 및 방법과,
지뢰탐지기를 사용하여 지중에 매설된 지뢰를 찾아내고, 그 지뢰의 근접지점 또는 그 지뢰의 몸통에 폭약을 부착시키고서 원격조작으로 폭약을 폭발시키므로, 그 폭발력으로 지뢰를 폭파시켜 제거하는 방법과,
복수개의 폭약이 사슬과 같이 연결되어 구성된 지뢰 제거용 폭약을 박격포와 같은 발사장치를 사용하여 지뢰매설지역에 발사하면, 상기 지뢰매설지역의 지면에 상기 폭약이 일렬로 떨어져서 설치되며, 이후에 상기 폭약을 폭발시키면 그 폭발력으로 지중에 매설된 지뢰가 폭파되어서 제거하는 장비 및 방법 등 기존의 장비와 방법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Description

지뢰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removal of mine and device the same}
본 발명은 전장 또는 경계지역에서 적의 공격 및 침입을 방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땅속에 매설한 지뢰 등 폭발물의 탐지 및 제거분야에서, 특히 전차(탱크) 또는 불도저와 같은 중장비로 견인되면서 지뢰매설지역을 통과 자체 무게로 지면을 빠짐없이 깔아뭉개서 대전차지뢰 등을 폭파 제거 하도록 구성된 장비와 그 장비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중에 매설된 지뢰 등 폭발물을 제거하는 종래의 장비와 기술의 설명 및 그것의 문제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뢰매설지역에 사람이 직접 들어가서 탐지기를 사용 하거나 탐침봉을 땅속에 꽂아 가면서 땅속에 매설된 지뢰를 찾아내서 발굴 또는 폭파시키는 원시적인 방식이 있다.
상기의 방식은
첫째, 지뢰매설지역에 사람이 직접 들어가므로 지뢰폭발사고 등으로 인명 피해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둘째, 지뢰제거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수목이 우거진 지역에서는 작업자가 진입할 수 없기 때문에 지뢰 제거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냇째, 플라스틱제의 대인지뢰 등은 탐지기에 탐지되지 않기 때문에 찾아내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계속해서, 복수개의 포크형태로 된 지면 굴착기를 불도저 또는 전차(탱크)의 전면에 경사지도록 장착하고서, 지뢰가 매설된 깊이까지 땅을 파헤치면서 전진하면, 매설된 지뢰 등이 상기 굴착기에 부딪치는 충격이나 압력에 폭발하거나, 굴착기의 포크에 걸려서 지상으로 노출되면 폭파 또는 수거하여 제거하거나, 굴착기에 장착된 파쇄기 안으로 들어가도록 하여 파쇄기 안에서 폭파시켜 제거하는 장비와 방법이 있다.
상기의 장비와 방법은
첫째, 종래의 방법중에서 가장 경제적이면서 안전하고 신속하게 지뢰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다.
둘째, 지면의 높낮이가 심한 우리나라의 지형에서는 주위의 지면보다 움푹들어간 낮은 곳에 매설된 지뢰 등이 제거되지 않고 빠질 수 있으므로, 완벽한 지뢰제거가 의심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바위가 있을 경우에는 그 바위에 장비의 포크가 걸리게 되므로 지뢰제거작업에 애로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계속해서, 고속으로 회전이 가능한 회전체의 표면에 복수개의 와이어 또는 체인을 부착한 지뢰제거장비를 불도저 또는 전차(탱크)의 전면에 장착 회전체를 회전시키면서 지뢰가 매설된 지역을 통과하면, 상기 와이어와 체인이 회전되는 회전체의 원심력으로 지뢰가 매설된 지면을 지속적으로 세차게 후려치게 되므로, 그 후려치는 충격으로 지뢰 등을 폭파시켜서 제거하는 장비와 방법이 있다.
상기의 장비와 방법은,
첫째, 수목이 우거진 지뢰매설지역에서는 회전되는 체인과 와이어가 수목에 걸리게 되므로, 와이어 또는 체인이 지면을 세차게 후려칠 수 없게 되어서, 효과적인 지뢰제거가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체인과 와이어의 후려치는 충격이 약하므로 땅속에 매설된 대전차(탱크)지뢰 등을 폭파 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으므로 완전한 지뢰제거가 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계속해서, 철판에 복수개의 철침을 부착한 지뢰제거장치를 굴삭기 등의 붐대에 장착하고서 지뢰매설지역으로 천천히 전진하면서 상기 붐대를 작동 지뢰제거장치의 철침을 붐대의 압력으로 땅속 깊숙히 찔러서 상기 철침이 지중에 매설된 지뢰에 충격을 주어서 폭발시키는 지뢰제거장비 및 방법이 있다.
상기의 장비와 방법은,
첫째, 바위가 많은 지역에서는 상기 철침이 바위에 걸리게 되므로 사용에 애로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둘째, 대전차(탱크)지뢰 등 폭발력이 강한 폭발물이 폭발할 경우에는 그 폭발력이 굴삭기 등 중장비의 붐대에 직접 전달 되므로 상기 중장비가 파손 될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계속해서, 복수개의 돌기가 부착된 철제의 롤러를 불도저와 같은 중장비의 전면에 연결하여 지뢰가 매설된 지역을 전진하면서 상기 롤러의 중량으로 매설된 지뢰에 압력을 가하므로, 지뢰를 폭발시켜서 제거하는 장비와 방법이 있다.
상기의 장비와 방법은,
첫째, 지면의 높낮이가 일정하지 않고 우거진 수목 또는 바위 등의 장애물 때문에 롤러와 지면 사이에는 부분적으로 틈이 생기게 되며, 그 틈으로 매설된 지뢰 등 폭발물이 롤러의 압력을 받지 않고 빠져나가는 경우가 발생되므로, 같은 곳을 반복하여 롤러를 통과 시켜도 지뢰의 완전한 제거가 이루어질 수 없게 되어서, 지뢰제거작업이 진행된 지역이라 하여도 예상치 못한 폭발사고가 발생 인명피해가 속출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무거운 롤러는 경사진 지형 등 지면의 높낮이가 일정하지 않은 지형에서는 롤러가 어느 한편으로 미끌리면서 장비 전체가 전복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롤러 밑에서 대전차(탱크)지뢰 등 강력한 폭발이 지속되면 롤러와 견인용 중장비를 연결시켜주는 연결부위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계속해서, 지뢰탐지기를 사용하여 땅속에 매설된 지뢰를 찾아내고, 그 지뢰의 근접지점 또는 그 지뢰의 몸통에 폭약을 장치 원격조작으로 폭약을 폭발시켜서 그 폭발력으로 지뢰를 폭파시켜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의 장비와 방법은,
첫째, 상기 탐침봉으로 지뢰를 찾아 내는 방법과 같이 지뢰매설지역에 사람이 직접 들어가야 하므로 매우 위험하고 인명피해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상기 지뢰탐지기를 이용하여 대전차지뢰의 탐지는 가능하나 비철금속제(플라스틱제)인 대인지뢰 등의 탐지는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셋째, 지뢰를 탐지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발견된 지뢰에 폭약을 설치하여 폭파 시키는 과정이 있음으로, 지뢰를 발견하여 제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계속해서, 복수개의 폭약이 사슬과 같은 형태로 연결되어 구성된 지뢰폭파용 폭약을 박격포와 같은 발사장치를 사용하여 지뢰매설지역에 발사하면, 상기 폭약이 날아가서 지뢰매설지역의 지면에 일렬로 떨어져 설치되며, 이후에 폭약을 폭발시켜서 그 폭발력으로 매설된 지뢰를 폭파시켜 제거하게 되는 장비와 방법이 있다.
상기의 장비와 방법은
첫째, 지뢰제거 면적당 소요되는 비용이 다른 방법보다 월등히 비싼 문제점이 있다.
둘째, 일렬로 설치되어서 폭발하는 폭약의 줄간격을 정확히 할 수 없으므로, 일렬로 된 폭약의 줄과 줄 사이의 간격이 멀어서 그 사이에 제거되지 않은 지뢰가 남아 있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지뢰를 제거하는 장비와 방법에는 상기 장비 및 방법 외에도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으나 대부분 실용화 단계에 못미치는 수준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대전차지뢰의 폭발력에도 견딜 수 있으면서 견인용 샤프트를 끼울 수 있도록 원형의 구멍이 조성된 지뢰제거장치와, 상기 지뢰제거장치 복수개를 끼울 수 있는 견고한 견인용 샤프트와, 견인용 샤프트를 바위와 같은 견고한 장애물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견인용 샤프트 보호장치와, 상기 샤프트와 샤프트 보호장치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는 길이가 긴 견인용 와이어가 체결되어서 지뢰제거장비를 구성하면서,
상기 견인용 와이어의 끝이 불도저와 같은 견인용 중장비에 체결된 상태로 지뢰제거장치가 지뢰매설지역을 통과하면서 지중에 매설된 지뢰 등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견인용 샤프트에 끼워져 있는 복수개의 지뢰제거장치 각각은 견인용 샤프트을 축으로 상하 회동하면서, 높고 낮은 지면과 바위 등 장애물의 표면도 무거운 자체무개로 빠짐없이 깔아 뭉개서,
안전하고 경제적이면서 대규모의 지뢰제거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지뢰제거장비와 그것의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지뢰제거장비의 사시도
도 2는 지뢰제거장치의 단면도
도 3은 지뢰제거장치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뢰제거장치 2 : 견인용 샤프트
3 : 샤프트 보호장치 4 : 견인용 와이어
5 : 지뢰제거장치의 지뢰폭파 작용점 6 : 하우징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뢰제거장치 복수개와, 견인용 샤프트와, 견인용 샤프트 보호장치와, 하우징과, 견인용 와이어 등으로 지뢰제거장비를 구성하며,
상기 지뢰제거장치 들은 견인용 샤프트를 축으로 각각 상하로 회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지뢰제거장비를 불도저 등의 견인용 중장비에 와이어 등으로 체결하여 지뢰매설지역으로 견인하면, 지뢰제거장치 각각은 지면의 높고 낮음과 수목 및 바위 등 장애물의 표면을 따라 견인용 샤프트를 축으로 상하 회동하면서 무거운 자체 중량으로 우거진 수목과 지중에 매설된 지뢰 등을 빠짐없이 깔아뭉개고 폭발 시켜서 지뢰매설지역의 수목 및 지뢰 등을 제거하는 장비와 방법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뢰제거장치( 1 )는, 자체에 조성된 구멍이 있어서 견인용 샤프트( 2 )가 그 구멍에 끼워지면 견인용 샤프트( 2 )를 축으로 하여 상하로 회동 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지면의 굴곡이 심하고 바위와 잡목 등의 장애물이 있어도 지뢰제거장치 각각은 지면과 장애물의 높고 낮은 굴곡을 따라서 상하 회동하면서 지뢰매설지역의 지면을 빠짐없이 자체 무게로 깔아뭉개고 지나가면서 지상의 우거진 수목과 지중에 매설된 대전차지뢰 등을 폭발시키도록 되어있으며, 상기와 같이 자체중량으로 우거진 잡목을 깔아뭉게고 대전차지뢰를 폭발시킬 수 있을 정도로 무겁고, 상기 대전차지뢰의 폭발력에도 파괴되지 않을 정도로 견고 하며, 견인용 샤프트( 2 )에 끼워진 상태로 견인되면 바위 등의 장애물이 있어도 견인용 샤프트를 축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그 장애물에 걸리지 않고 쉽게 넘어서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에 복수개가 끼워지져서 피아로의 건반과 같이 배열되어 있다.
견인용 샤프트( 2 )는, 상기 지뢰제거장치( 1 )에 조성된 구멍을 관통하는 상태로 지뢰제거장치( 1 ) 복수개를 끼우고서 하우징( 6 )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다.
하우징( 6 )은, 견인용 샤프트( 2 )를 수용하면서 전면에 견인용 샤프트를 보호할 수 있는 샤프트 보호장치( 3 )가 부착되어 있으면서 견인용 와이어가 체결된다.
견인용 샤프트 보호장치( 3 )는, 상기 견인용 샤프트( 2 )가 견인되는 과정에서 바위와 같은 크고 견고한 장애물에 걸려서 견인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상황을 예방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6 ) 전면에는 철판 등을 경사지도록 부착하여 바위와 같은 장애물에 걸리지 않고 하우징( 6 )이 장애물을 타고넘어서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견인용 와이어( 4 )는, 주변에서 폭발하는 지뢰 등의 파편에도 쉽게 손상되지 않고 상기 지뢰제거장비( 1 )를 견인할 수 있을 정도로 견고한 길이 수십m 이상 수백m 길이의 와이어를 사용 한다.
상기의 지뢰제거장치( 1 )와, 견인용 샤프트( 2 )와, 하우징( 7 )과, 견인용 샤프트 보호장치( 3 )와, 견인용 와이어( 4 )가 조합되어서 지뢰제거장비( 도1 )가 구성되며, 그렇게 구성된 지뢰제거장비( 도1 )를 사용하여 지중에 매설된 대전차지뢰와 대인지뢰 등을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뢰제거장비( 도1 )는 스스로 움직일 수 없는 중량물이므로, 불도저와 같은 중장비에 의하여 견인되도록 되어 있으며, 지뢰제거장비를 지뢰매설지역으로 견인 지뢰제거작업을 하기 위하여 견인용 중장비가 지뢰매설지역으로 진입할 수 있어야 하므로, 견인용 중장비가 진입할 수 있도록 지뢰매설지역에 지뢰가 제거된 진입로의 개설이 선행되어야 한다.
상기 진입로를 개설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상기 지뢰제거장비( 도1 )를 헬리콥터에 매달아서 지뢰매설지역의 중간지점에 옮겨놓고, 지뢰가 매설되지 않은 안전지대에서 견인용 중장비로 지뢰제거장비( 도1 )를 끌어당기면, 지뢰제거장비가 상기 견인용 중장비 쪽으로 끌려오면서 자체무게로 우거진 수목 등을 빠짐없이 깔아뭉개면서 대인지뢰와 매설된 대전차지뢰 까지도 빠짐없이 폭발시켜 진입로를 개설하는 방법과, 상기 종래의 방법중에서 선택하여 상기 진입로의 개설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진입로 개설방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지뢰매설지역과 근접하면서 지뢰폭발의 위험이 없는 안전지대에, 지뢰제거장비를 견인하는 불도저 등의 중장비와 지뢰제거장비를 대기시키며, 지뢰제거장비에 지뢰제거장비를 견인할 수 있는 견고한 와이어( 4 ) 또는 체인의 한쪽 끝을 체결시키며, 다른 한쪽 끝은 견인용 중장비에 체결시킨다.
상기와 같이 견인용 중장비에 견인용 와이어 또는 체인으로 연결된 상태의 지뢰제거장비를 헬리콥터에 매달아서 지뢰매설지역 내의 일정한 지역에 옮겨 놓으면 지뢰제거장비는 상기 지뢰매설지역 밖의 안전한 지역에 있는 견인용 중장비와 견인용 와이어 또는 체인으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헬리콥터로 지뢰제거장비를 지뢰매설지역에 옮겨놓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 하여야 한다.
첫째, 견인용 중장비와 지뢰제거장비를 연결시키는 견인용 와이어( 4 )또는 체인의 길이는 수십∼수백m가 되도록 하여, 견인용 중장비가 지뢰제거장비에서 폭발되는 지뢰의 피해를 받지 않도록 한다.
둘째, 견인용 와이어 또는 체인의 길이는, 헬리콥터가 지뢰제장비를 지뢰 매설지역에 내려놓는 장소와 안전한 지역에 있는 견인용 중장비 까지의 거리와, 지뢰매설지역의 넓고 좁음과, 바위 또는 하천 등 지형지물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셋째, 견인용 중장비와 지뢰제거장비를 연결시킨 견인용 와이어를 지뢰매설지역에 늘어트리면서 지뢰 제거장비를 헬리콥터에 와이어 등으로 매달아서 지뢰매설지역으로 옮겨놓게 되는데, 이때에 헬리콥터에서 지뢰제거장비를 매달은 와이어 등의 길이는 수십∼수백m 이상 되도록 하여, 지뢰제거장비를 지뢰매설지역의 지면에 내려놓는 과정에서 매설되어 있는 지뢰와 지뢰제거장비의 충돌로 발생할 수 있는 지뢰폭발로 부터 헬리콥터의 안전을 확보 하도록 한다.
넷째, 상기 셋째 내용을 실행하기 전에, 지뢰폭파용 폭약이 장착된 프레임을 헬리콥터에 매달아서 지뢰제거용장비를 내려놓을 장소에 미리 내려놓고 원격조작으로 폭발시켜 그곳의 지뢰를 미리 제거하면, 상기 셋째 내용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지뢰 폭발을 방지하여 헬리콥터의 안전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이 지뢰제거장비와 견인용 중장비의 설치작업이 끝난 후에, 견인용 중장비를 천천히 운전하면서 상기 지뢰매설지역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지뢰제거장비를 끌어 당기면 지뢰제거장비가 끌려오면서 자체의 무게로 지상의 수목 등 장애물을 빠짐없이 깔아뭉개고, 대인지뢰와 지중에 매설된 대전차지뢰 등의 폭발물을 폭발시켜서 지뢰매설지역에 불도저 등의 견인용 중장비와 사람이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는 진입로를 개설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뢰매설지역를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는 진입로를 개설하는 과정에서, 지뢰제거장비가 예상 못한 굵은 바위 등 장애물에 걸려서 움직이지 못하게 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헬리콥터를 사용하여 상기 지뢰제거장비의 상부에 체결된 견인용 와이어에 갈고리가 달린 와이어 등을 걸어서 지뢰제장비를 약간 옮겨놓아서 상기 장애물을 벗어날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이 개설된 진입로가 지뢰매설지역에 계속 연결되어 개설되도록 상기와 같은 진입로 개설 작업을 반복하여 시행하므로 지뢰매설지역의 중간을 관통하는 진입로가 개설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뢰매설지역을 관통하는 진입로가 개설되면, 견인용 중장비가 복수개의 지뢰제거장비를 힝으로 체결시킨 대규모의 지뢰제거장비를 끌고서 진입로를 따라서 지뢰매설지역을 천천히 관통하면 지뢰제거장비는 진입로 주변 지뢰매설지역의 넓은 면적을 자체중량으로 빠짐없이 깔아 뭉개면서 우거진 수목과 대인지뢰 및 지중에 매설된 대전차지뢰 등 각종 폭발물을 폭발시키고 깔아무개서 제거한다.
상기 과정에서, 견인용 중장비의 견인력이 부족하여 지뢰제거장비를 끌어 당길 수 없을 경우에는 불도저 등 견인용 중장비 여러대를 와이어 또는 체인으로 연결하여 중장비 여러대의 힘으로 견인하도록 한다.
그리고, 종래의 지뢰제거장비 및 방법으로도 상기 진입로를 개설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과 종래의 장비 및 방법을 병행하여 지뢰와 수목 등의 제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이 지뢰제거작업이 이루어지면 최종적으로 지뢰제거작업이 실행된 지역에 지뢰탐지기를 소지한 작업자가 들어가서 제거되지 않고 남아 있을 수 있는 대전차지뢰 등 대형 폭발물을 탐지하여 굴삭기 등 중장비로 굴착하여 수거 하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불도저와 같은 중장비 여러대를 지뢰제거작업이 진행된 지역에 투입하여 지면을 빠짐없이 깔아뭉개서 제거되지 않고 남아 있을 수 있는 지뢰를 폭발 또는 발굴하여 제거 하므로, 본 발명의 지뢰제거장비와 그것의 사용방법을 이용한 지뢰제거작업을 종료하게 된다.
본 발명은 구성이 견고하고 단순하므로 고장이 극히 적으며, 지뢰제거작업이종료된 후에 노천에 장기간 방치하여도 부식 등의 원인으로 고장 등이 발생할 수 없으므로 사후 관리가 용이하여 장기간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제작이 쉬워서 특별한 가공기계 없이 현장에서 쉽게 제작할 수 있으며 제작 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바위 등이 많고 지면의 높낮이가 심한 지형과 수목이 우거진 지역에서도 지뢰와 수목 등의 제거작업을 동시에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단기간에 대단위 지역의 지뢰 등을 경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뢰매설지역에 작업자가 직접 들어가지 않고도 지뢰제거작업이 진행되므로 지뢰폭발사고의 원인으로 발생될 수 있는 인명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지뢰매설지역의 지면을 깔아뭉개고 지나가면서, 우거진 수목을 제거하고 지중에 매설된 지뢰 등을 폭발시킬 수 있을 정도로 무겁고 견고한 지뢰제거장치와, 상기 지뢰제거장치에 조성된 구멍에 끼워서 하우징에 부착된 견인용 샤프트와, 상기 견인용 샤프트를 수용한 상태로 견인용 와이어와 체결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부착된 샤프트보호장치와, 하우징과 견인용 불도저 등의 중장비를 연결하여 체결되는 견인용 와이어로 구성된 지뢰제거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지뢰제거장치의 전체적인 형태가 납작한 판형이며, 자체중량으로 지중에 매설된 대전차지뢰를 폭발시킬 수 있으면서 대전차지뢰의 폭발력에도 파손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정도로 견고하며, 앞부분에는 견인용 샤프트를 끼울 수 있도록 원형의 구멍이 조성되어 있고, 뒷부분은 앞부분보다 넓고 무거워서 전체적으로는 시계추 또는 오뚜기와 비슷한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세워 놓으면 오뚜기와 같이 견인용 샤프트가 끼워진 앞부분이 들리고 넓고 무거운 뒷부분은 지면에 안정되는 상태가 되며, 앞부분의 구멍에 견인용 샤프트를 끼우고 앞으로 잡아당기면 뒷부분의 넓고 무거운 부분이 자체무개로 지뢰가 매설된 지역의 지면과 우거진 수목 등을 빠짐없이 깔아뭉개고 지나가게 되며, 이와 같이 깔아뭉개는 압력으로 수목을 제거하면서 매설된 대전차지뢰 등도 빠짐없이 폭발시켜서 제거하도록 구성된 지뢰제거장치가 있는 지뢰제거장비.
  3. 제2항에 있어서
    지뢰제거장치의 견인용 구멍에 견인용 샤프트가 끼워지면 상기 지뢰제거장치는 견인용 샤프트를 축으로 상하 회동이 가능하므로 상기 견인용 샤프트는 지면 위를 일정한 높이로 지나가도 상기 지뢰제거장치는 견인용 샤프트를 축으로 회동하면서 높고 낮은 장애물과 지면의 굴곡을 따라서 우거진 수목과 지면을 한곳도 빠짐 없이 무거운 자체중량으로 깔아 뭉개면서 끌려 가므로, 매설된 지뢰 등을 빠짐없이 폭발시켜서 제거하도록 구성된 지뢰제거장치가 있는 지뢰제거장비.
  4. 제2항에 있어서
    지뢰제거장치는 견인용 샤프트에 끼워진 상태로 견인용 샤프트을 축으로 상하 회동이 가능하므로, 지뢰제거장치의 밑에서 대전차지뢰 등과 같은 강력한 폭발물이 폭발하면 그 폭발력으로 상기 지뢰제거장치 여러개 중에서 일부분의 지뢰제거장치가 견인용 샤프트를 축으로 회동하면서 공중으로 튀겻다가 다시 땅으로 떨어져서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되므로, 대전차지뢰 등의 강력한 폭발에도 지뢰제거장치가 받을 수 있는 충격을 최소화 시키게 되므로 지뢰제거장치의 파손 등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 지뢰제거장치가 있는 지뢰제거장비.
  5. 제1항에 있어서
    견인용 샤프트에 복수개의 지뢰제거장치를 끼워서 구성하므로 넓은 범위에 매설된 지뢰 등을 한꺼번에 제거할 수 있는도록 구성된 지뢰제거장비.
  6. 지뢰제거장비를 견인용 와이어에 체결시켜 늘어트린 상태로 헬리콥터에 매달아 지뢰매설지역에 투입시키고, 상기 견인용 와이어의 다른 끝은 지뢰가 매설되지 않은 안전지대에 있는 불도저 등의 견인용 장비에 체결된 상태로 상기 중장비를 지뢰매설지역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천천히 끌고가면, 상기 지뢰제거장비가 견인용 중장비 쪽으로 끌려오면서 지뢰매설지역을 통과하게 되고, 상기의 과정에서 지뢰제거장비는 무거운 자체중량으로 우거진 수목을 깔아뭉개고 지중에 매설된 대전차지뢰 등을 빠짐없이 폭발시켜서, 지뢰매설지역에 견인용 중장비와 사람이 통행할 수 있는 진입로를 개설하도록 하는 지뢰제거장비의 사용 방법.
  7. 견인용 중장비가 지뢰매설지역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진입로가 개설되면 지뢰제거장비 복수개를 연결하여 구성된 대형 지뢰제거장비와 불도저 등 견인용 중장비 사이를 길이가 긴 와이어로 체결시켜서, 상기 진입로를 따라서 견인용 중장비가 지뢰매설지역에 진입 천천히 앞으로 전진하면서 상기 진입로 주변 넓은 지역에 매설된 지뢰 등을 빠짐없이 제거하면서 지뢰매설지역을 관통하도록하는 지뢰제거장비의 사용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헬리콥터에 지뢰제거장비를 매달아서 지뢰매설지역에 투입하기 전에, 지뢰제거용 폭약을 장착한 프레임을 헬리콥터에 매달아서 상기 지뢰제거장비가 투입될 장소에 내려놓고서, 상기 폭약을 원격조작으로 폭파시켜 지뢰제거장비를 내려놓을 장소의 지뢰를 미리 제거하므로, 지뢰제거장비를 헬리콥터로 매달아서 지뢰매설지역에 투입할 때에 지뢰제거장비와 매설된 지뢰의 충돌로 발생될 수 있는 지뢰의 폭발을 미연에 방지하여 지뢰제거장비를 옮겨놓는 헬리콥터의 안전을 확보하도록 하는 방법.
KR1020000053620A 2000-09-08 2000-09-08 지뢰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204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620A KR20020020460A (ko) 2000-09-08 2000-09-08 지뢰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620A KR20020020460A (ko) 2000-09-08 2000-09-08 지뢰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460A true KR20020020460A (ko) 2002-03-15

Family

ID=19688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620A KR20020020460A (ko) 2000-09-08 2000-09-08 지뢰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046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001A (ko) 2016-06-20 2016-10-04 (주) 대동이엔지 지뢰 제거장치
KR20170002195U (ko) 2015-12-13 2017-06-21 피어슨 엔지니어링 리미티드 지뢰 제거에서의 또는 이와 관련된 개선
KR20180082375A (ko) 2018-06-29 2018-07-18 (주) 대동이엔지 수목제거 및 지뢰 제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195U (ko) 2015-12-13 2017-06-21 피어슨 엔지니어링 리미티드 지뢰 제거에서의 또는 이와 관련된 개선
KR20160114001A (ko) 2016-06-20 2016-10-04 (주) 대동이엔지 지뢰 제거장치
KR20180082375A (ko) 2018-06-29 2018-07-18 (주) 대동이엔지 수목제거 및 지뢰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650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utralizing improvised explosive devices and landmines and mobile unit for performing the method
FI112398B (fi) Miinanraivausajoneuvo
US5291819A (en) Battlefield debris clearing apparatus
KR20120019093A (ko) 굴삭기를 이용한 로터리 타입의 초목 제거장치
Trevelyan Robots and landmines
EP1360451B1 (en) Mine excava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020020460A (ko) 지뢰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
Habib Mechanical Mine Clearance Technologies and Humanitarian Demining: Applicability and Effectiveness
Eblagh Practical problems in demining and their solutions
KR100446260B1 (ko) 지뢰 제거 장비
RU2582511C2 (ru) Оборудование для сооружения противотанкового рва
KR20030081196A (ko) 지뢰 제거 장비
JP5793536B2 (ja) 地雷処理装置
JP3899343B2 (ja) 地雷処理装置
KR20010070001A (ko) 물과 공기를 이용한 지뢰제거장비
Wanner et al. Development and Test of the Humanitarian Demining Sifting Excavator
JPH10245864A (ja) 埋設物処理方法及び装置
Denier et al. The use of water jets in the location and exposure of landmines for humanitarian demining
JPH02217589A (ja) 推進工事における地中障害物除去工法
JP3072109U (ja) 地雷除去装置
CN116952093A (zh) 一种爆炸物批量销毁方法
JP5976888B1 (ja) 地雷処理装置
Griffiths Machines Can Get the Job Done Faster
Trevelyan What Can Robotics Researchers Learn from the Land Mine Problem?
JP2003302197A (ja) 地雷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