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9093A - 굴삭기를 이용한 로터리 타입의 초목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를 이용한 로터리 타입의 초목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9093A
KR20120019093A KR1020100082240A KR20100082240A KR20120019093A KR 20120019093 A KR20120019093 A KR 20120019093A KR 1020100082240 A KR1020100082240 A KR 1020100082240A KR 20100082240 A KR20100082240 A KR 20100082240A KR 20120019093 A KR20120019093 A KR 20120019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excavator
vegetation
rotor shaf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호
Original Assignee
김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호 filed Critical 김기호
Priority to KR1020100082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9093A/ko
Publication of KR20120019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0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12Means for clearing land minefield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on of landmines
    • F41H11/16Self-propelled mine-clearing vehicles; Mine-clearing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 F41H11/18Self-propelled mine-clearing vehicles; Mine-clearing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with ground-impacting means for activating mines by the use of mechanical impulses, e.g. flails or stamp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를 이용한 로터리 타입의 초목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다관절링크(20)를 갖춘 통상의 굴삭기에 장착되고, 상기 다관절링크(20) 선단의 버켓 장착부위(13)에 장착될 수 있게 링크연결부(35)를 갖춘 초목제거수단(30)을 포함하는 굴삭기를 이용한 초목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목제거수단(30)은, 상기 링크연결부(35)가 상단 중앙에 연결 결합되면서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31)와, 상기 본체(31) 일측에 마련되고 통상적인 굴삭기에 마련된 유압공급시스템으로부터 고압의 작동유를 전달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40)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회전 가능하게 본체(31) 내에 양단이 지지되어 수평 설치된 로터축(50)과, 상기 로터축(50) 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칼날장착부(51)에 일대일 대응되게 체결 조립되는 칼날이 구비된 다수의 칼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칼날부는 작업환경에 따라 작업자의 필요에 의해 선택적으로 교체 가능한 바, 예를 들어, 합쳐진 두 개의 판 끝단을 좌우로 벌려 휘어진 구조로 형성된 예초칼날(52)이나 상기 칼날장착부(51)에 바 형태로 힌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끝단에 칼날이 망치 형태로 형성된 망치날(53)을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굴삭기를 이용한 로터리 타입의 초목 제거장치{Flail type land mine and trees and plants removal apparatus using excavator}
본 발명은 굴삭기를 이용한 로터리 타입의 초목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 접근 및 시야 확보 등이 어려운 수풀지형이나 경사지형에서의 지뢰 탐지에 따른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사전 표면 조사를 통해 지뢰 제거작업이 가능하도록 굴삭기를 이용한 로터리 타입의 초목 제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지뢰 매설이 예상되는 국내의 산악지형 및 수풀지역에서 사전 표면 조사용으로 적극 활용하여 초목의 뿌리를 훼손하지 않고 잡목 및 풀을 베어내는 방법으로 잡목 및 풀을 제거하고, 이에 따라 경제적이면서 안전하고 신속하게 지뢰를 제거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음은 물론 산림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굴삭기를 이용한 로터리 타입의 초목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종래 지뢰를 탐지 제거하는 방식은 지뢰 매설지역에 사람이 직접 들어가서 탐지기를 사용하거나 탐침봉을 땅속에 꽂아 가면서 땅속에 매설된 지뢰를 찾아내서 발굴 또는 폭파시키는 원시적인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지뢰 매설지역에 사람이 직접 들어가므로 지뢰 폭발사고 등으로 인명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있고, 지뢰 제거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초목이 우거진 지역에서는 시야 확보가 어려워 작업자가 직접 진입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시야 확보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쩔 수 없이 초목이 우거진 지역에서 작업자가 직접 진입하여 지뢰 탐지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플라스틱제의 대인지뢰 등은 탐지기에 탐지되지 않기 때문에 찾아내기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 고속으로 회전이 가능한 회전체의 표면에 복수개의 와이어 또는 체인을 부착한 지뢰 제거장비를 불도저 또는 전차(탱크)의 전면에 장착하여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면서 지뢰가 매설된 지역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와이어와 체인이 회전되는 회전체의 원심력으로 지뢰가 매설된 지면을 지속적으로 세차게 후려치게 되므로, 그 후려치는 충격으로 지뢰 등을 폭파시켜서 제거하는 장비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수목이 우거진 지뢰 매설지역에서는 회전되는 체인과 와이어가 수목에 걸리게 되므로, 와이어 또는 체인이 지면을 세차게 후려칠 수 없게 되어서, 효과적인 지뢰제거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고, 체인과 와이어의 후려치는 충격이 약하므로 땅속에 매설된 대전차(탱크)지뢰 등을 폭파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으므로 완전한 지뢰제거가 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회전체가 불도저나 전차(혹은 탱크)의 전면에 장착되어 있는 관계로, 불도저 및 전차의 활동 양태 및 활동 반경을 고려할 때, 수목지역에서는 부득이하게 산림 파괴가 일어날 수밖에 없고, 활동지역의 제약에 따른 작업성 및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더구나, 현재 국내 전투 공병부대의 지뢰제거 활동을 살펴보면, 군 장병의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산림지역에 매설된 지뢰를 제거하기 위해 자연환경 보존가치가 높은 수목지대를 100% 제거하고, 땅을 1m 깊이로 굴착하여 선별 후, 굴착한 흙을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여 임야를 개간하는 방식으로 수행하고 있다.
이는 수많은 지뢰가 매설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비무장지대(DMZ)와 같이 50년 이상 사람이 들어가지 않아 자연생태계가 잘 보존되어 있는 보존 가치가 높은 지역에서의 지뢰 제거 작업시에 산림을 심하게 훼손될 우려가 있고, 실질적으로 현재 지뢰 제거작업으로 인해 울창한 산림지대 일부가 심하게 훼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훼손되는 산림자원의 경제적 가치는 천문학적이라 할 수 있으며, 미래에 국가의 경쟁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기후변화 협약 및 탄소 배출권 부분에서도 불리한 위치를 점하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초목이 우거진 수풀지역이나 산림지역에서의 지뢰 제거작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가장 경제적이면서 안전하고 신속하게 지뢰를 제거할 수 있는 장비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사람의 직접적인 접근이 어려운 지형이나 우리나라와 같은 산악지형에서 활동성이 뛰어난 장비를 통해서 지뢰를 탐지 및 제거할 수 있는 장비의 개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초목이 우거진 수풀지역이나 산악지형에서의 지뢰 제거작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가장 경제적이면서 안전하고 신속하게 지뢰를 제거할 수 있는 장비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 됨에 따라 우리나라와 같은 비무장지대에 산재되어 있는 산악지형 및 수풀지역에서의 지뢰 제거작업시 이를 보조하여 사전에 우거진 수풀지역에서 잡목 및 풀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장비를 제공하고자 연구 개발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굴삭기의 버켓 장착부위에 별도로 장착되고, 굴삭기에 마련된 기존의 유압공급시스템으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초목 제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지뢰 매설이 예상되는 국내의 산악지형 및 수풀지역에서 사전 표면 조사용으로 적극 활용하여 초목의 뿌리를 훼손하지 않고 잡목 및 풀을 베어내는 방법으로 잡목 및 풀을 제거하고, 이에 따라 경제적이면서 안전하고 신속하게 지뢰를 제거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음은 물론 산림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굴삭기를 이용한 로터리 타입의 초목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관절링크를 갖춘 통상의 굴삭기에 장착되고, 상기 굴삭기의 버켓 장착부위에 장착될 수 있게 상기 다관절링크의 선단에 연결 구동되는 링크연결부를 갖춘 초목제거수단을 포함하는 굴삭기를 이용한 초목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목제거수단은, 상기 링크연결부가 상단 중앙에 연결 결합되면서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일측에 마련된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회전 가능하게 본체 내에 양단이 지지되어 수평 설치된 로터축과, 상기 로터축 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칼날장착부에 일대일 대응되게 체결 조립되는 칼날이 구비된 다수의 칼날부를 포함하는 굴삭기를 이용한 로터리 타입의 초목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칼날장착부는 상기 로터축 상에 일정한 회전곡률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굴삭기에 마련된 유압공급시스템으로부터 유압공급라인을 통해서 고압의 작동유를 전달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모터이고, 상기 로터축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벨트를 매개로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터축의 전방 쪽 본체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일정길이를 갖는 다수의 체인이 촘촘하게 배열 장착되어 형성하는 체인막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본체의 후방 하단 부위쪽에는 지면에 대해 수평하면서 높낮이 및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롤러장착브라켓트를 매개로 수평롤러가 장착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칼날부는 합쳐진 두 개의 판 끝단을 좌우로 벌려 휘어진 구조로 형성된 예초칼날(5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칼날부는 상기 칼날장착부에 바 형태로 힌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끝단에 칼날이 망치 형태로 형성된 망치날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칼날장착부와 칼날부는 작업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칼날을 교체 가능하도록 하는 데 구성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굴삭기에 장착되는 초목제거수단을 통해서 지뢰 매설 예상지역의 작업 조건에 따라 다양한 운용 방식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지뢰 매설 여부를 사전에 판단해 볼 수 있는 표면조사용 장비로 운용 가능함은 물론, 사람 접근이 어려운 수풀이 우거진 지형에서 잡목 및 풀을 제거하는 장비로 유용하게 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우리나라와 같이 지뢰 매설 예상지역이 산악이나 수풀지형에 산재되어 있어 사람이 직접 지뢰 탐지기를 들고 들어가 지뢰탐지 작업을 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지형에서도 지형지물에 관계없이 활동성이 우수한 굴삭기를 이용하여 초목 제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지면에 충격을 주어 지뢰를 탐지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지뢰 매설 여부를 사전에 판단할 수 있는 탐지 장비로 사용 가능한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초목제거장치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지뢰탐지 장비로써 지뢰매설 여부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매설된 지뢰가 폭발하는 경우에도 인명사고 없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람이 접근하기 쉽지 않은 우거진 수풀지형에서 잡목이나 풀을 보다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지뢰탐지 제거를 위한 각종 상용제품이 지뢰 탐지 및 지뢰 제거과정에서 산림 파괴가 필수적으로 일어날 수밖에 없었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는 국가의 현행 과제인 저탄소 녹색성장과 맞물려서 국내의 산림을 보호하는 긍정적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용의 굴삭기를 이용하여 초목제거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 불도저나 전차(혹은 탱크)에 회전체를 장착하여 지뢰 제거작업을 수행하는 것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굴삭기의 작업 활동 반경 및 작업 형태가 우수함과 아울러 우리나라와 같은 산악지형과 수목지역에서 산림의 파괴를 최소화하면서도 작업성이 뛰어나 작업시간의 효율화를 가져 올 수 있고, 불필요한 인력 낭비를 막으면서 지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처럼, 본 발명은 소형 굴삭기에 적합한 시스템 제작을 통해 산악지형과 수목지역에서 산림의 파괴를 최소화하며, 지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비를 개발하여 제공함으로써, 지뢰 제거작업에서 지뢰탐지 작업을 진행할 필요성이 감소하여 지뢰 제거자가 직접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현저히 감소되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초목제거장치는 굴삭기에 장착하여 굴삭기의 유압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성이 우수하고, 특히 사람 접근이 어려운 경사지와 같은 제한적인 상황에서도 굴삭기를 이용 초목 제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관계로, 초목 제거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도가 매우 높은 장비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버켓 장착부위에 로터리 타입의 초목 제거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로터리 타입의 초목 제거장치의 외관 구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로터리 타입의 초목 제거장치의 구성 중 로터축 상에 배치된 칼날장착부의 배치구조 및 칼날장착부에 예초칼날이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로터리 타입의 초목 제거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측면방향을 기준으로 도시된 개략적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로터리 타입의 초목 제거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전면 체인막을 제외하고 정면방향을 기준으로 도시된 개략적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로터리 타입의 초목 제거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저면 방향을 기준으로 도시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로터리 타입의 초목 제거장치의 구성 중 로터축 상에 배치된 칼날장착부의 배치구조 및 칼날장착부에 도끼날이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로터리 타입의 초목 제거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전면 체인막을 제외하고 정면방향을 기준으로 도시된 개략적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로터리 타입의 초목 제거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저면 방향을 기준으로 도시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굴삭기를 초목제거용 차량으로 활용하고 있다.
즉, 통상적인 굴삭기(일명, 포크레인)는 운전실(11)이 마련된 굴삭기본체부(10)와, 굴삭기본체부(10)의 하부에 마련되는 바퀴(12)와, 굴삭기본체부(10)의 일측에 결합되는 다관절링크(20)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상기 다관절링크(20)는 통상 2부분으로 구성되어 각기 서로 다른 위치에 실린더(21)가 결합되어 다관절링크(20)를 유연하게 동작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21)는 주로, 유압 실린더가 사용되나, 공압 실린더나 혹은 유공압 복합 실린더가 채용될 수도 있으며, 상기 실린더(21)는 다관절링크(20)에 대해서 동력을 제공하여 후술하는 초목제거수단(30)를 상하로 동작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참고로, 도면을 보면 통상의 굴삭기 바퀴(12)가 탱크식 레일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통상의 원형 바퀴로 적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굴삭기본체부(10)의 일측에는 굴삭기의 실린더(21) 구동에 필요한 유압을 제공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유압펌프를 포함하는 유압공급시스템을 통상적으로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다관절링크(20), 실린더(21) 및 유압공급시스템과 같은 통상의 구성을 갖는 굴삭기에 있어서, 상기 다관절링크(20)의 선단에 마련된 버켓 장착부위(13)에 별도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굴삭기에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유압공급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의 유압펌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고압의 작동유를 전달받아 회전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40)를 통해서 회전 구동됨으로써, 잡목 및 풀을 베어내는 방법으로 제거하면서 지뢰 매설 여부를 사전에 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초목제거수단(30)을 제공하는 것에 그 특징을 두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초목제거수단(30)은 구동모터(4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로터축(33) 상에 로터리 타입으로 구비된 다수의 칼날부를 포함함으로써, 사람 접근이 어려운 우거진 수풀지형에서 상기 칼날부가 회전하면서 잡목 및 풀을 베어내는 방식으로 제거하게 됨은 물론, 경우에 따라 지면에 직접적인 충격을 가하여 지뢰의 매설 여부를 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잡목이나 풀을 베어내는 예초 작업 과정에서 지면으로부터 돌출된 지뢰의 뇌관을 제거하여 지뢰를 무력화시킬 수도 있고, 이 과정에서 지뢰가 베어내는 충격으로 폭발하는 경우에도 지뢰가 매설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지뢰 매설 예상 지역에서 잡목이나 풀을 제거하면서 사전에 지뢰가 매설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표면 조사용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초목제거수단(30)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참조도면을 의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목제거수단(30)은 상기 링크연결부(35)가 상단 중앙에 연결 결합되면서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31)와, 상기 본체(31) 내에 마련된 구동모터(40)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로터축(50)과, 상기 로터축(50) 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칼날장착부(5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로터축(5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잡목이나 풀을 베어내는 다수의 칼날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본체(31)는 상기 초목제거수단(30)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굴삭기의 다관절링크(20) 선단에 마련된 상기 버켓 장착부위(13)에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버켓 장착부위(13)에 연결되는 링크연결부(35)를 통해서 체결 조립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31)는 철판과 같은 강성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본 장치로 지뢰 매설 예상 지역에서 초목 제거작업을 수행할 때 미확인 지뢰를 건드려 폭발하더라도 지뢰 폭발에 의한 장비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31)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판상의 상판(32)과, 이 상판(32)의 좌우에 대향 배치되는 판상의 측면판(33)을 기본 구성으로 갖는다. 상기 좌우 측면판(33)은 상기 로터축(50)의 양단을 지지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상판(32)의 중앙 상단면에는 링크연결부(35)가 체결 조립되게 된다.
이때, 상기 상판(32)의 상단면에는 길게 경사진 오각형 구조를 갖는 복수의 상판보강플랜지부(32a)가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상판(32)을 좌우로 가로질러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판(32)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상판보강플랜지부(32a)의 중간 지점에 사각의 연결판(32c)이 일체로 구비되어 이 연결판(32c) 상에 상기 링크연결부(35)가 볼트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처럼, 상기 링크연결부(35)는 상기 상판(32)의 상단 중앙 부위에 체결 조립되어 상기 다관절링크(20)의 선단에 링크(35a)를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통상의 굴삭기에서 버켓을 구동하는 방식으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링크연결부(35)는 상기 상판(32)의 상단 중앙 부위에 마련된 연결판(32c)를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조립 체결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링크연결부(35)를 통해서 상기 본체(31)가 굴삭기의 버켓 장착부위(13)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다관절링크(20), 실린더(21)와 링크(35a) 등의 구성요소들 간의 상호 유기적인 메커니즘에 의해서 동작될 수 있게 되고,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초목제거수단(30)이 굴삭기를 이용하여 지뢰 매설 예상지역에서 잡목이나 풀을 제거하는 장비로 운용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지뢰의 매설 여부를 조사하는 사전 표면조사 장비로 운용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판(32)의 전방 쪽에는 가림막 형태의 상면덧판(34)이 체결볼트(34a)에 의해 조립 고정되어 있고, 이 상면덧판(34)의 좌우 측면에는 상기 측면판(33)에서 연장되는 구조로 체결볼트(36a)에 의해 체결조립된 측면덧판(36)이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측면판(33)의 전면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여기에 상기 측면덧판(36)을 체결볼트(36a)를 통해 체결 고정함으로써, 상기 상면덧판(34)의 좌우 측면을 막아주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면덧판(34)의 전방쪽 가장자리 부위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체인걸이축(61)이 상기 측면덧판(36)에 양단이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 구비되고, 이 체인걸이축(61)에는 일정길이를 갖는 다수의 체인을 촘촘하게 배열 장착하는 구조를 통해서 형성되는 체인막(60)이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체인막(60)은 후술하는 로터축(50)의 칼날부가 회전하면서 잡목이나 풀을 베어내는 과정에서 베어진 풀이나 작은 돌과 같은 임의의 파편이 전방으로 튀어나가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특히, 작업과정에서 미확인 지뢰 등이 폭발하는 경우에 파편이 전방이 튀어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지뢰 폭발에 의한 인명사고와 같은 안전사고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31)의 후방 쪽은 상기 상판(32)이 일정한 길이로 약간 경사진 구조를 갖는 형태로 설계되어 있는 바, 그 선단에 상판(32)을 좀 더 연장하는 구조의 후방덧판(37)이 체결볼트(37a)를 통해서 체결 조립되어 있다. 이때, 상기 후방덧판(37)은 본체(31)의 후면을 어느 정도 커버해 줌으로써, 잡목이나 풀을 제거하는 작업과정에서 본체(31)의 후방 쪽으로 임의의 파쇄물이나 혹시 있을지 모르는 지뢰 폭발에 의한 파편이 을 튀어나가는 것을 차단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 상기 측면판(33)의 일측에는 상기 로터축(50)과 구동모터(40)를 상호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 배치되는 바, 전술한 바와 같이 좌우 측면판(33) 상에 로터축(50)의 양단이 각각 지지된 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로터축(50)에 대해 비스듬히 상향 경사진 위치에 상기 구동모터(40)가 배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40)는 상기 상판(32)의 상단면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된 상판브라켓트(32b) 상에 고정 배치되고, 이 구동모터(40)에는 베어링(45)을 매개로 원활하게 회전 가능한 구동축(41)이 본체(31)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이 구동축(41)의 일단에 구동풀리(4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로터축(50)의 일단에 마련된 종동풀리(43)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구동풀리(42)와 종동풀리(43) 사이에 다수의 벨트(44)가 체결되어 벨트에 의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벨트(44)에 의한 동력전달을 통해서 상기 구동모터(40)의 회전 동력이 로터축(50)으로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때, 상기 구동축(41)과 로터축(50)의 일단에 상기 구동풀리(42) 및 종동풀리(43)가 측면판(33)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각각 장착 구비됨에 따라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는 관계로, 도 2 및 도 3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측면커버(38)가 벨트(44)에 의한 동력전달 부위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막아주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도면부호 39는 일측 측면판(33)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측면판(39)을 따라 수직하게 형성된 복수의 측면보강부(39)로써, 상기 측면보강부(39)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는 본체(31)는 가로×세로×높이의 규격이 대략 100㎝×74㎝×67㎝의 정도의 규격을 갖는다.
이때, 상기 본체(31)의 가로길이는 좌우 측면판(32)의 내벽을 기준으로 한 측면판(32)의 좌우 폭 간격을 의미하고, 상기 본체(31)의 세로길이는 상면덧판(34)의 전면 끝단에서 후술하는 측면커버(38)가 후방으로 돌출된 최외곽 끝단까지의 길이를 의미하며, 상기 본체(31)의 높이는 상기 측면판(33) 최하단에서 링크연결부(35)의 최상단 사이의 길이를 의미한다.
물론,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보여주는 본체(31)의 규격은 일정하게 규격화되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본체(31)의 규격을 변경 설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특히, 상기 상면덧판(34)과 후방덧판(37), 측면덧판(36)과 같이 상기 상판(32)과 측면판(33)에 각각 체결볼트(34a,36a,37a)에 의해 체결 조립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본체(31) 제작의 편의성 등을 고려한 단순 설계 사항에 불과하며, 상기와 같은 구성 및 규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상면덧판(34)과 후방덧판(37), 측면덧판(36)은 상기 상판(32)과 측면판(33)에 각각 일체로 설계되어 제작이 가능함으로, 각각 분리 제작되어 체결볼트(34a,36a,37a)에 의해 조립 체결하는 구성 자체는 단순 설계변경 사항에 해당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본체(31)의 외관 형상 구조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적절하게 단순 설계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동모터(40)는 상기 본체(31) 일측에 마련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40)는 상기 굴삭기에 통상적으로 마련된 도시되지 않은 유압공급시스템으로부터 고압의 작동유를 전달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동모터(32)로는 전동모터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높은 출력이 요구되는 전동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전원공급수단을 갖추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굴삭기의 밧데리를 전원으로 이용할 경우, 굴삭기에 장착되는 밧데리는 통상 12V ~ 24V 수준이기 때문에 높은 출력이 요구되는 전동모터 구동에 필요로 하는 충분한 전원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굴삭기의 유압공급시스템으로부터 고압의 작동유를 전달받아 구동될 수 있는 유압모터를 채용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경제성 및 실효성에서 우수하다 할 수 있다. 즉, 상기 유압모터는 유압(혹은 작동유)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켜 회전에너지(회전력)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고속회전에 적합하면서 출력토오크의 맥동이 적다는 장점을 갖고 있는 바, 이는 유압전동장치 분야에서 이미 주지 관용되고 있는 보편화된 사실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유압모터의 구체적인 형상 및 작동 관계 등에 대해서는 이미 주지 관용되고 있는 보편화된 것이기 때문에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하나의 최적화된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초목제거수단(30)의 동력원인 구동모터(40)를 유압모터로 채용하고, 이 유압모터는 통상적인 굴삭기에 마련된 유압공급시스템에 유압공급라인(22)을 통해 연결시킴으로써, 전술한 전동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전원공급수단을 갖추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면서 경제적으로 보다 손쉽게 고압의 작동유를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도록 유기적으로 배치 결합시키는 데 그 특징을 두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유압공급라인(22)은 굴삭기의 유압공급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의 유압펌프와 구동모터(40)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도시되지 않은 유압펌프의 작동유를 고압으로 구동모터(40)인 유압모터에 제공하게 된다.
이때,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터(40)인 유압모터에 의해 상기 로터축(33)의 회전속도는 300rpm ~ 1000rpm 정도를 유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40)의 동력을 로터축(50)에 전달 과정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벨트(44)에 의한 전달 방식 외에도 상기 구동모터(40)의 구동축(41)과 로터축(50)을 직결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초목제거수단(30)으로 잡목 또는 풀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로터축(50)에 걸리는 부하가 그대로 구동모터(40)로 지속적으로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과부하에 의한 구동모터(40)의 파손이 우려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40)의 구동축(41)과 로터축(50)을 직결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에 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시하고 있는 상기와 같이 벨트(44) 방식으로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벨트(44)에 의한 동력전달방식의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40)와 로터축(50) 사이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벨트(44)에서 완충시킴과 더불어, 만약에 벨트(44)가 과부하로 인해 끊어지는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소모품인 벨트(44)를 간단하게 교체 가능하기 때문에 벨트(44) 방식의 동력전달이 직결 방식에 비해서 바람직하다 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벨트(44) 대신에 내구성이 우수한 체인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체인은 벨트에 비해 구동과정에서 풀리들과 접촉면에서 소음이 발생할 우려가 높다는 단점이 있어 사용상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41) 및 로터축(50)의 회전에 따른 마찰력을 감소하기 위해 조립 부위에 베어링(45,54)을 매개하는 기술은 이미 주지 관용되는 보편화된 기술임으로, 그 구체적인 결합관계 및 작동관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로터축(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판(32)의 좌우 양측에 수직하게 대응 배치된 좌우 측면판(33) 사이에서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40)의 동력(회전에너지)을 벨트(44)를 매개로 전달받아 회전하는 요소로써, 상기 로터축(50)의 양단 지지 부위가 원활한 회전을 위해서 베어링(54)에 의해 지지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로터축(50)은 대략 1000㎜ 정도로써, 여기에 10개의 칼날부가 일정간격을 두고 체결 조립되어 있다.
상기 칼날부는 상기 로터축(5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잡목 또는 풀을 베어내어 제거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바, 상기 칼날부는 다양한 형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칼날부는 상기 로터축(50) 상에 마련된 각각의 칼날장착부(51)에 조립볼트(55)를 체결 고정되는 예초칼날(5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예초칼날(5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폭을 갖는 판상의 바 두 개를 하나로 결합하여 합친 후, 합쳐진 두 개의 판 끝단을 좌우로 일정하게 벌려 휘어진 구조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휘어진 부위가 칼날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예초칼날(52)은 상기 칼날장착부(51)에 조립볼트(55)에 의해 견고하게 조립 고정됨으로써, 상기 로터축(50)이 회전하게 됨에 따라 원심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로터축(33) 내에 위치한 잡목 및 풀을 베어내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예초칼날(52)의 형상 및 중량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나, 잡목 또는 풀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칼날장착부(51)는 상기 로터축(50) 상에 일정한 회전곡률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전곡률이란 각각의 칼날장착부(51) 중심이 로터축(50) 상에서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고, 로터축(50) 상에 임의로 설정된 나선형(혹은 스크류형)곡선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로터축이 1회전 했을 때, 10개의 칼날장착부(51)가 로터축(50)의 전체에 대해서 4개의 나선형 곡선을 형성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때, 이러한 회전곡률의 의미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도시된 도 4에 나타난 인접한 칼날장착부(51)가 서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 형태를 통해서 좀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회전곡률을 따라 칼날장착부(51)를 배치하는 이유는, 상기 로터축(50) 내에 대응되는 잡목 및 풀을 빠짐없이 베어내는 과정에서 인접한 칼날부 사이에서 상호 간섭없이 고르게 회전하면서 순차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로터축(50)이 1회전 하는 동안 5개의 칼날부가 상호 간섭없이 360°를 일정하게 분할하면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물론, 상기 로터축(50)의 길이 변화(즉, 제작자에 의한 규격 변화)에 따른 로터축(50) 상에 설치되는 칼날부의 갯수가 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로터축(50)이 1회전 하는 동안 상기 칼날부가 상호 간섭없이 360°를 분할하여 회전하게 되는 갯수가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처럼, 상기 칼날부의 형상, 설치 갯수 및 설치 간격 등은 첨부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칼날부의 형상, 설치 갯수 및 설치 간격과 같은 다양한 조건은 로터축(50)의 길이 등에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 전체적인 초목제거수단(30)의 규격에 따라 제작자에 의한 최적의 설계 사양에 의해 선택적으로 설계되게 되는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써, 상기 칼날부가 망치날(53)로 구현되고 있는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망치날(53)은 상기 칼날장착부(51)에 바 형태로 힌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끝단에 칼날이 망치 형태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보여주는 상기 칼날부를 망치날(53)로 구현하는 경우에는 상기 초목제거수단(30)을 단지 잡목이나 풀을 베어내는 수단외에도 지면을 타격하여 지뢰의 매설 여부를 판단하는 탐지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망치날(53)의 경우에는 통상의 망치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일측면에 칼날이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타측면에는 대상물을 두드리거나 타격할 수 있는 쇠뭉치로 구성할 수 있는 바, 상기 망치날(53)의 칼날 부위는 잡목이나 풀을 베어내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망치날(53)의 쇠뭉치 부위는 지면을 타격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는 상기 로터축(50)의 회전방향을 정역 방향으로 가변시킴으로써 가능하다. 즉, 유압모터는 통상적으로 유압의 작동방향에 따라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관계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보여주는 망치날(53)의 기능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망치날(53)의 쇠뭉치 부위로 지면을 타격하는 경우에는 상기 칼날장착부(51)에서 망치날(53)의 조립부위가 힌지 회동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망치날(53)이 지면을 타격한 이후에 상기 로터축(50)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망치날(53)이 접혀지면서 원활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해야 함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초목제거수단(30)은 굴삭기의 선단 버켓 장착부위(13)에 장착된 상태에서 굴삭기의 다관절링크(20)의 절곡 상태를 조절하여 지면과의 작업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관계로, 상기 칼날부가 지면을 후려치지 않고,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떨어져 잡목 및 풀을 제거하는 수단으로만 사용될 수 있는 바, 이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보여주는 예초칼날(52)로 칼날부를 구현하여 잡목이나 풀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칼날부를 주로 지면을 타격하여 땅속에 매설된 지뢰에 충격을 가하여 지뢰 폭발을 통한 지뢰의 매설 여부를 감지하는 사전 표면 조사용으로 사용하거나, 직접적인 지뢰 폭발을 통한 지뢰 제거용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보여주는 망치날(53)을 칼날부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보여주는 망치날(53)에도 칼날이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망치날(53)에 형성된 칼날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보여주는 예초칼날에 비해서 잡목 등을 제거하는 데 보다 효과적이기 때문에, 수풀지역의 작업 환경에 따라 주로 풀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제1실시예에 따른 예초칼날(52)을 칼날부로 구현하고, 풀과 잡목이 혼합된 경우에서는 제2실시예에 따른 망치날(53)을 칼날부로 구현하여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음으로, 이러한 작업 환경에 따른 칼날부를 어떻게 구성할지는 그때그때 상황에 따라 작업자가 선택할 문제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지뢰 매설 예상지역에서 지면을 타격하여 지뢰 매설 여부를 탐지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로터축(50)의 칼날장착부(51)에 조립 체결되는 망치날(53)의 회전직경이 지면을 충분히 타격할 수 있는 길이로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망치날(53)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작업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상기 칼날장착부(51)에 자유롭게 교체 가능하게 됨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본체(31)를 구성하는 좌우 측면판(33)의 후방 하단쪽에는 지면에 대해서 수평하게 원통형의 수평롤러(70)가 장착되어 있다.
즉, 상기 측면판(33) 상에는 체결공(33a)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수평롤러(70)가 체결공(33a)에 롤러장착브라켓트(71)를 매개로 체결볼트(72)에 의해서 체결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공(33a)이 높낮이 및 위치 조절 가능하게 형성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수평롤러(70)의 체결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처럼, 상기 수평롤러(70)는 높낮이 및 장착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볼트 체결되어 있는 바, 상기 수평롤러(70)는 지면과의 간격 조절을 위한 높낮이 조절 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수풀지형에서 초목 제거작업을 수행할 때 초목제거수단이 전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풀이나 잡목을 고르게 눌러주면서 잡목 및 풀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특히, 상기 수평롤러()는 지면을 고르게 다지거나 칼날부에 의해 베어진 잡목이나 풀을 지면에 고르게 눌러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통상의 굴삭기에 상기 지뢰 및 초목 제거수단(30)을 장착하여 잡목이나 풀을 제거하거나 지뢰 제거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굴삭기의 운전실(11)이 지뢰 폭발 등에 대한 안전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굴삭기의 운전실(11)을 이미 주지 관용되고 있는 방탄 캐빈(Cabin)으로 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초목제거수단(30)은 지뢰 매설 예상지역에서 사람이 직접 접근하기 어려운 지형에서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지뢰의 매설 여부를 판단하는 표면조사 장비로 운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풀이 우거진 지형에서 잡목 및 풀을 제거하는 장비로 유용하게 운용될 수 있다.
특히, 통상적인 지뢰 중에서 금속탐지기로 잘 탐지되지 않아 지뢰 제거작업에 어려움이 있는 플라스틱 재질의 M14(일명, 발목지뢰)와 같은 지뢰의 경우에는 매설된 지면에 강한 충격을 가하여 폭발시켜 지뢰 매설 여부를 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초목제거수단(30)은 지뢰 매설 예상 지역에서 상기 칼날부의 작업 형태를 지면을 강하게 타격할 수 있는 망치날(53) 형태로 선택함으로써, 플라스틱 재질의 M14와 같은 지뢰가 매설되어 있는지 사전에 판단해 볼 수 있는 표면조사 장비로 유용하게 이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뇌관이 지면에서 삼각뿔 형태로 돌출된 대인지뢰의 경우에는 뇌관을 누르는 압력에 의해 폭발하게 되는 바, 이러한 대인지뢰는 뇌관을 측면에서 타격할 경우에 폭발하지 않고 뇌관만 제거되어 지뢰를 무력화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초목제거수단(30)을 잡목 및 풀을 베어내는 과정에서 삼각뿔 형태로 돌출된 대인지뢰의 뇌관을 제거하여 지뢰를 무력화시키는 용도로도 사용 가능한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초목제거수단(30)은 지뢰 매설 예상 지역의 작업 조건에 따라 다양한 운용 방식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초목제거장치는 단순히 지뢰 매설 예상지역에서의 초목을 제거하는 장치로 활용되는 것 외에도 일반적으로 초목제거 작업을 필요로 하는 작업 현장에서 경사지와 같이 사람 접근이 어려운 지형에서 굴삭기에 상기 초목제거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초목을 제거할 수 있는 관계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게 됨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굴삭기본체부 11 : 운전실
12 : 바퀴 13 : 버켓 장착부위
20 : 다관절링크 21 : 실린더
22 : 유압공급라인 30 : 초목제거수단
31 : 본체 32 : 상판
32a : 상판보강플랜지부 32b : 상판브라켓트
32c : 연결판 33 : 측면판
33a : 체결공 34 : 상면덧판
34a, 36a, 37a, 72 : 체결볼트 35 : 링크연결부
35a : 링크 36 : 측면덧판
37 : 후방덧판 38 : 측면커버
39 : 측면보강부 40 : 구동모터
41 : 구동축 42 : 구동풀리
43 : 종동풀리 44 : 벨트
45, 54 : 베어링 50 : 로터축
51 : 칼날장착부 52 : 예초칼날
53 : 도끼날 55 : 조립볼트
60 : 체인막 61 : 체인걸이축
70 : 수평롤러 71 : 롤러장착브라켓트

Claims (7)

  1. 다관절링크(20)를 갖춘 통상의 굴삭기에 장착되고, 상기 다관절링크(20) 선단의 버켓 장착부위(13)에 장착될 수 있게 링크연결부(35)를 갖춘 초목제거수단(30)을 포함하는 굴삭기를 이용한 초목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목제거수단(30)은,
    상기 링크연결부(35)가 상단 중앙에 연결 결합되면서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31)와,
    상기 본체(31) 일측에 마련된 구동모터(40)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회전 가능하게 본체(31) 내에 양단이 지지되어 수평 설치된 로터축(50)과,
    상기 로터축(50) 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칼날장착부(51)에 일대일 대응되게 체결 조립되는 칼날이 구비된 다수의 칼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를 이용한 로터리 타입의 초목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장착부(51)는 상기 로터축(50) 상에 일정한 회전곡률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를 이용한 로터리 타입의 초목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40)는 상기 굴삭기에 마련된 유압공급시스템으로부터 유압공급라인(22)을 통해서 고압의 작동유를 전달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모터이고,
    상기 로터축(50)은 상기 구동모터(40)의 구동축(41)과 벨트(44)를 매개로 연결되어 구동모터(5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를 이용한 로터리 타입의 초목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축(50)의 전방 쪽 본체(31)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일정길이를 갖는 다수의 체인이 촘촘하게 배열 장착되어 형성하는 체인막(6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를 이용한 로터리 타입의 초목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1)의 후방 하단 부위쪽에는 지면에 대해 수평하면서 높낮이 및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롤러장착브라켓트(71)를 매개로 수평롤러(70)가 장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를 이용한 로터리 타입의 초목 제거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는 합쳐진 두 개의 판 끝단을 좌우로 벌려 휘어진 구조로 형성된 예초칼날(5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를 이용한 로터리 타입의 초목 제거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는 상기 칼날장착부(51)에 바 형태로 힌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끝단에 칼날이 망치 형태로 형성된 망치날(5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를 이용한 로터리 타입의 초목 제거장치.
KR1020100082240A 2010-08-25 2010-08-25 굴삭기를 이용한 로터리 타입의 초목 제거장치 KR201200190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240A KR20120019093A (ko) 2010-08-25 2010-08-25 굴삭기를 이용한 로터리 타입의 초목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240A KR20120019093A (ko) 2010-08-25 2010-08-25 굴삭기를 이용한 로터리 타입의 초목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093A true KR20120019093A (ko) 2012-03-06

Family

ID=46128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240A KR20120019093A (ko) 2010-08-25 2010-08-25 굴삭기를 이용한 로터리 타입의 초목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9093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2335A1 (ko) * 2013-07-04 2015-01-08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굴삭기 및 산림장비용 로그 디플렉터
KR101581841B1 (ko) 2015-09-14 2015-12-31 (주)거웅건설 굴삭기용 제초장치
KR101652964B1 (ko) 2015-12-09 2016-09-02 대한민국 굴착기 장착용 식생제거장치
KR20180010030A (ko) * 2016-07-20 2018-01-30 조상훈 굴삭기용 예초기
KR20180082375A (ko) 2018-06-29 2018-07-18 (주) 대동이엔지 수목제거 및 지뢰 제거장치
KR20200006267A (ko) * 2018-07-10 2020-01-20 양만규 중장비용 예초기
KR102087064B1 (ko) 2019-10-22 2020-03-10 박양주 굴삭기에 장착되는 제초용 버켓
IT201800010542A1 (it) 2018-11-23 2020-05-23 Woosung Prec Industrial Co Ltd Excavator-mounted rotary mowers
KR102240204B1 (ko) * 2020-09-11 2021-04-14 김유현 굴삭기용 예초장치
KR102383908B1 (ko) 2021-11-08 2022-04-08 한국도로공사 차량 장착용 장애물 회피형 삭초기
KR102407721B1 (ko) * 2021-12-23 2022-06-10 주식회사 뉴제이케이 퀵커플러에 의해 착탈되는 굴삭기용 제초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2335A1 (ko) * 2013-07-04 2015-01-08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굴삭기 및 산림장비용 로그 디플렉터
KR101581841B1 (ko) 2015-09-14 2015-12-31 (주)거웅건설 굴삭기용 제초장치
KR101652964B1 (ko) 2015-12-09 2016-09-02 대한민국 굴착기 장착용 식생제거장치
KR20180010030A (ko) * 2016-07-20 2018-01-30 조상훈 굴삭기용 예초기
KR20180082375A (ko) 2018-06-29 2018-07-18 (주) 대동이엔지 수목제거 및 지뢰 제거장치
KR20200006267A (ko) * 2018-07-10 2020-01-20 양만규 중장비용 예초기
IT201800010542A1 (it) 2018-11-23 2020-05-23 Woosung Prec Industrial Co Ltd Excavator-mounted rotary mowers
KR102087064B1 (ko) 2019-10-22 2020-03-10 박양주 굴삭기에 장착되는 제초용 버켓
KR102240204B1 (ko) * 2020-09-11 2021-04-14 김유현 굴삭기용 예초장치
KR102383908B1 (ko) 2021-11-08 2022-04-08 한국도로공사 차량 장착용 장애물 회피형 삭초기
KR102407721B1 (ko) * 2021-12-23 2022-06-10 주식회사 뉴제이케이 퀵커플러에 의해 착탈되는 굴삭기용 제초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9093A (ko) 굴삭기를 이용한 로터리 타입의 초목 제거장치
US5442990A (en) Tracked vehicle
ES2959285T3 (es) Máquina para la extinción de incendios
US20060156704A1 (en) Portable apparatus for reducing vegetation and method for using same
CA2281762C (en) Mine disposal apparatus and mine disposal method
US20070272074A1 (en) Mine and Unexploded Ordnance Clearing Vehicle
US6182769B1 (en) Demining device including demining discs and impact devices and demining method utilizing the device
KR20120019092A (ko) 굴삭기를 이용한 프레일 타입의 지뢰 및 초목 제거장치
KR101814522B1 (ko) 굴삭기 장착형 로터리식 제초기
Habib Mechanical Mine Clearance Technologies and Humanitarian Demining: Applicability and Effectiveness
KR102087064B1 (ko) 굴삭기에 장착되는 제초용 버켓
CN212658136U (zh) 链枷式扫雷装置
JP3737805B2 (ja) ロータリーカッタ式地雷処理装置
JP3899343B2 (ja) 地雷処理装置
JP3177737B2 (ja) 地雷処理装置
JP6796122B2 (ja) ショベルマウントロータリー式除草機{Excavator−mounted rotary mowers}
JP3809422B2 (ja) 地雷処理装置
WO1996037753A1 (en) Demining system
DE10018248A1 (de) Minenräumfahrzeug
JP2003042698A (ja) 地雷処理兼耕耘装置
JP5793536B2 (ja) 地雷処理装置
KR102144836B1 (ko) 중장비용 예초기
CN111750742B (zh) 链枷式扫雷装置
Wanner et al. Development and Test of the Humanitarian Demining Sifting Excavator
JP2004353945A (ja) 対人地雷処理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