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0030A - 굴삭기용 예초기 - Google Patents

굴삭기용 예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0030A
KR20180010030A KR1020160092100A KR20160092100A KR20180010030A KR 20180010030 A KR20180010030 A KR 20180010030A KR 1020160092100 A KR1020160092100 A KR 1020160092100A KR 20160092100 A KR20160092100 A KR 20160092100A KR 20180010030 A KR20180010030 A KR 20180010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avator
main body
grass
guide pipe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9980B1 (ko
Inventor
조상훈
Original Assignee
조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훈 filed Critical 조상훈
Priority to KR1020160092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980B1/ko
Publication of KR20180010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3Cutting apparatus
    • A01D34/733Cutting-blade moun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6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 A01D34/80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flui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소하면서도 다양한 예초수단의 선택적 장착이 가능하고, 예초수단의 전후좌우 각도 조절을 통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굴삭기용 예초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굴삭기용 예초기는 유압모터(103)와 유압장치 및 유압실린더(106)를 구비하는 본체(100)와, 상기 유압실린더(106)에 의해 본체(100) 상부에서 좌우로 회전 가능케 힌지 결합하여 굴삭기의 암 단부에 결합하는 연결구(200)와, 상기 유압모터(103)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판(300)과, 상기 회전판(300)에 탈부착 가능케 설치하는 예초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소한 구조로 인해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다양한 예초수단을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예초수단의 전후좌우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복잡, 다양한 형태의 지형 하에서도 원활한 예초작업 수행을 통해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굴삭기용 예초기{Excavator for mowers}
본 발명은 굴삭기용 예초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소하면서도 다양한 예초수단의 선택적 장착이 가능하고, 예초수단의 전후좌우 각도 조절을 통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굴삭기용 예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초기(또는 예취기라 함)'는 곡식이나 풀, 잡목 등의 초목을 베는데 사용하는 기계를 말한다.
예초기는 작업 대상에 따라 미맥용(米麥用), 목초용(牧草用), 잡목용(雜木用) 등이 있는데, 예초 폭에 따라서 전용형과 부속작업기형으로 분류하기도 하나, 보통 작물의 예포 상태에 따라서 인력견인형 예초기와 인력압진형 예초기로 나눌 수 있다.
인력견인형 예초기는 앞으로 잡아당겨 예초하게 되는데 작업능률과 작업 정도는 압진형과 비슷하나, 가격이 압진형의 절반밖에 안 돼 경제적이며, 예초날의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인력압진형 예초기는 기계를 앞으로 밀어서 전진하면서 예초하게 되는데, 잔디밭과 같이 지면이 비교적 평탄하고, 작업 면적이 넓지 않은 곳에서 예초 작업을 수행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농지와 같이 작업 면적이 넓은 곳에서는 상기와 같은 인력견인형이나 인력압진형 예초기를 이용하여 예초 작업을 수행하기에는 과도한 노동 강도가 부여되기 때문에 농가에서 농지에서 예초 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주로 농기계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부속작업기형 예초기를 주로 사용하게 된다.
한편, 야산이나 구릉지 등과 같이 일반적인 농지에 비해 경사가 심한 지형의 경우에는 인력견인형이나 인력압진형 예초기를 사용하면 심한 경사로 인해 노동 강도가 과중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떨어지고, 부속작업기형의 경우에 심한 경사로 인해 예초기가 장착되는 일반적인 경운기나 트랙터의 운행이 곤란하여 단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경사 지형에서도 작업자가 탑승하여 운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 및 관절 작동이 가능한 붐과 암을 구비하여 한 장소에 정지한 상태에서도 넓은 면적에 대한 예초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 효율성이 우수한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굴삭기용 예초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굴삭기용 예초기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등록특허공보 제10-0633396호에는 첨부도면 도 7과 같이 굴삭기의 붐 선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시키기 위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저부측에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의 일측 상단에 고정 설치된 채 굴삭기의 유압에 의하여 정, 역방향으로 회전 작동하게 되는 제1 유압모터와;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유압모터의 정, 역 회전력을 감속된 회전출력으로 전달하기 위한 감속출력기어와; 상기 감속출력기어로부터 정, 역 회전력을 전달받아 정, 역방향으로 회전 조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기어박스의 저부측에 설치되는 예초판과; 상기 예초판의 선단에 톱날과 같이 일직선상으로 연속해서 배열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고정칼날과; 상기 고정칼날들 위에 일직선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고정칼날들 각각에 대하여 교차하는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가동칼날과; 상기 예초판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굴삭기의 유압에 의하여 회전 작동을 하게 되는 제2유압모터와; 상기 제2유압모터의 출력축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출력축의 회전 작동을 왕복작동으로 변환시켜주는 편심캠; 상기 편심캠의 일측에 연결되어 왕복운동을 전달하는 왕복작동링크와; 상기 왕복작동링크의 자유단에 연결되어 왕복작동링크의 왕복운동을 전달받아 일정각도의 범위 내에서의 왕복회전작동으로 상기 가동칼날들을 일직선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주는 회전작동링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예초기가 게재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5590호에는 첨부도면 도 8과 같이 붐실린더(3)가 장착된 붐(4)의 선단에 암실린더(5)에 의해 작동되는 암(6)이 설치되고, 상기 암(6)에 제초수단(1)을 구동시키는 버킷실린더(7)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초수단(1)을 갖는 굴삭기에 있어서,
상기 제초수단(1)은 상기 암(6)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버킷실린더(7)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10)와; 상기 지지부(10) 일측에 설치되며 유압모터(21)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22)을 가지는 구동부(20)와; 상기 구동부(20)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구동축(22)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 지지하는 몸체부(30)와; 상기 몸체부(30)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축(22)에 축결합되며 외주에 다수의 예초와이어 커터(42) 및 날형커터(44)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터부(4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수단을 갖는 굴삭기가 게재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633396호(2006. 10. 13.)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5590호(2010. 01. 15.) 등록특허공보 제10-1389019호(2014. 05. 12.)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 중에서 등록특허공보 제10-0633396호의 '굴착기용 예초기'는 고정칼날과 가동칼날이 마치 이발기계로 머리카락을 깎아내는 것과 같이 잡초를 베어낼 수 있을 뿐 아니라 베어낸 잡초들이 예초판에 저장되게 하였다가 벌초된 잡초가 일정량 모아지면 굴삭기의 붐을 들어올려서 잡초를 쌓아두는 저장소에 쏟아 붓거나 또는 벌초현장에 미리 대기시켜 놓은 차량의 적재함에 쏟아 붓는 간편한 작동으로 벌초된 잡초의 뒤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반면에,
회전 작동을 왕복작동으로 변환시켜주는 편심캠과, 상기 편심캠의 일측에 연결되어 왕복운동을 전달하는 왕복작동링크와; 상기 왕복작동링크의 왕복운동을 전달받아 일정각도의 범위 내에서의 왕복 회전 작동으로 상기 가동칼날들을 일직선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주는 회전작동링크로 구성됨으로써 구조가 복잡하고, 편심캠과 링크 구조를 이루어짐으로써 작동 중 진동이 심하여 주요 부품의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으며, 무엇보다 일반적인 회전예초날식 예초기에 비해 예초 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인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5590호의 '제초수단을 갖는 굴삭기'는 구성이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유압모터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는 커터부를 구비함으로써 전술한 등록특허공보 제10-0633396호의 '굴착기용 예초기'와 비교할 때, 예초 성능이 우수한 장점은 있으나, 지지부가 굴삭기의 암 단부에 전후로만 회전 가능케 핀 결합함으로써 커터부의 전후좌우 다양한 각도 조절이 곤란하여 경사가 심하고 매우 불규칙한 지표면 형상을 가진 야산이나 구릉지와 같은 작업 현장에서 예초 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커터부에 의한 예초 작업 과정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커터부에 의해 지면의 돌과 같이 단단한 이물질이 굴삭기의 운전석 방향으로 튀는 경우에, 이를 막아주는 안전판이 없기 때문에 예초 작업 과정에서 커터부에 의해 튄 돌이나 나뭇조각 등 각종 이물질이 굴삭기의 운전석 방향으로 튀면서 고가의 운전석 유리가 파손되거나, 유리가 없는 소형 굴삭기의 경우에 운전자가 커터부에 의해 튄 이물질에 맞으면서 부상을 입을 가능성이 큰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굴삭기용 예초기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굴삭기에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모터(103)와 유압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장치(104)를 내장하고, 말단부에는 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안전판(105)을 일체로 형성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상부의 힌지부(101)에 좌우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케 힌지 결합하고, 일측면에는 로드연결부(201)를 형성하여 상기 본체(100) 상면에 회동 가능케 설치된 유압실린더(106)의 피스톤로드(106a)를 로드연결부(201)에 피벗 결합하여 유압실린더(106)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좌우 각도 조절이 가능케 하고, 상부에는 굴삭기암의 단부에 결합하는 굴삭기연결부(202)를 형성한 연결구(200)와;
다수의 통공부(301)를 방사형으로 형성하고, 저면 중앙에는 암나사부를 구비한 결합돌부(302)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유압모터(103)에 의해 고속 회전하도록 상기 본체(100) 저면에 설치하는 회전판(300)과;
상기 회전판(300)에 탈부착 가능케 설치하는 예초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예초수단(400)은, 상기 회전판(300) 저면에 탈부착 가능케 나사 결합하는 케이스(401)에, 상기 케이스(401)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안내관(402)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안내관(402)의 양측 입구(402a)가 케이스(401)의 주벽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하고, 상기 안내관(402)과 연통하도록 안내관(402)의 가운데에서 직각 방향으로 고정관(403)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주벽에 형성되는 고정관(403)의 입구에 암나사부(403a)를 형성하여, 양단부가 상기 안내관(402) 양측 입구(402a)에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안내관(402)에 끼워진 예초와이어(404)를 상기 고정관(403)의 암나사부(403a)에 나사 결합하는 고정볼트(405)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굴삭기용 예초기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통해서 구조가 간소하면서도 다양한 예초수단의 선택적 장착이 가능하고, 예초수단의 전후좌우 각도 조절을 통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굴삭기용 예초기는 간소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유압모터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판에 예초와이어나 예초날과 같은 다양한 예초수단을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함으로써 작업 현장에 맞는 예초수단의 선택을 통해서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굴삭기용 예초기는 유압모터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판이 설치되는 본체가 굴삭기암의 단부에서 좌우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케 구성되어 회전판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는 예초수단의 전후좌우 각도 조절이 가능케 됨으로써 복잡, 다양한 형태의 지형 하에서도 원활한 예초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 후방에 일체로 형성된 안전판은 예초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굴삭기 후방으로 튀는 돌이나 나뭇가지 등 각종 이물질을 막아줌으로써 예초작업 중 튀는 각종 이물질에 의한 굴삭기 차체의 손상이나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굴삭기용 예초기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굴삭기용 예초기의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굴삭기용 예초기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굴삭기용 예초기의 실시 예에 따른 좌우 각도 조절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굴삭기용 예초기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굴삭기용 예초기의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 상태 예시도.
도 7, 도 8은 종래기술의 굴삭기용 예초기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굴삭기용 예초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굴삭기용 예초기는 유압모터(103)와 유압장치 및 유압실린더(106)를 구비하는 본체(100)와, 상기 유압실린더(106)에 의해 본체(100) 상부에서 좌우로 회전 가능케 힌지 결합하여 굴삭기의 암 단부에 결합하는 연결구(200)와, 상기 유압모터(103)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판(300)과, 상기 회전판(300)에 탈부착 가능케 설치하는 예초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본체(100)는 굴삭기에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모터(103)와 유압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장치(104)를 내장하고, 말단부에는 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안전판(105)을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본체(100)의 전방에는 커버(102)를 착탈 가능케 구성하여, 상기 커버(102) 내부에 상기 유압모터(103)와 밸브장치(104)를 내장함으로써 유압모터(103)와 밸브장치(104)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여 외부의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유압모터(103)와 밸브장치(104)를 보호한다.
상기 밸브장치(104)는 굴삭기에서 공급되는 유압을 상기 유압모터(103)로 공급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100) 상부에 설치된 유압실린더(106)로 공급 제어 가능하도록 듀얼 타입의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판(105)은 상기 본체(100)의 말단부 양측에서 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결편(105a)을 돌출 형성한 후, 상기 양측 연결편(105a)을 연결하여 일체로 되도록 가로 방향으로 길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예초수단(400)에 의한 예초 과정에서 후방으로 비산되는 돌이나 나뭇가지 등 각종 이물질을 방어하여 굴삭기 차체의 손상이나 운전자의 부상을 방지한다.
상기 안전판(105)의 높이나 형태는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안전판(105)은 필요에 따라서 지표면을 긁어서 평탄하게 하거나, 예초수단(400)에 의해 절단되어 주변에 비산되는 풀이나 잡목을 긁어모으는데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연결구(200)는 상기 본체(100) 상부의 힌지부(101)에 좌우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케 힌지 결합하고, 일측면에는 로드연결부(201)를 형성하여 상기 본체(100) 상면에 회동 가능케 설치된 유압실린더(106)의 피스톤로드(106a)를 로드연결부(201)에 피벗 결합하여 유압실린더(106)의 스트로크 제어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좌우 각도 조절이 가능케 하고, 상부에는 굴삭기암의 단부에 결합하는 굴삭기연결부(202)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연결구(200)의 저면에는 상기 본체(100) 상부의 힌지부(101)에 대응하는 힌지부(203)를 형성함으로써 연결구(200)의 힌지부(203)를 본체(100)의 힌지부(101)에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케 힌지 결합한다.
상기 로드연결부(201)는 상기 연결구(200)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하여 상기 본체(100) 상면에 회동 가능케 설치된 유압실린더(106)의 피스톤로드(106a)를 로드연결부(201)에 피벗 결합함으로써, 유압실린더(106)의 피스톤로드(106a)가 실린더보디에서 인출되면 유압실린더(106) 전체 길이가 길어지면서 정면에서 볼 때 본체(100)가 좌측으로 회전하고, 유압실린더(106)의 피스톤로드(106a)가 실린더보디 내부로 인입되면, 유압실린더(106) 전체 길이가 짧아지면서 정면에서 볼 때, 본체(100)가 우측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본체(100)의 회전 각도는 유압실린더(106)의 피스톤로드(106a)의 스트로크 거리에 의해 결정되며, 설계적으로 볼 때 좌우로 각 45°씩 회전 가능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굴삭기연결부(202)는 연결구(20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하여 굴삭기암의 단부에 연결구(200)를 결합 가능케 하는데, 신속하고 간편하게 결합 가능케 하기 위해서 굴삭기암의 단부에 퀵커플러를 결합하여 퀵커플러에 연결구(200)의 굴삭기연결부(202)를 연결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퀵커플러는 굴삭기암의 단부에 집게, 버켓, 리퍼, 콤팩터 등 다양한 각종 어태치먼트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착탈 가능케 하는 것으로써, 굴삭기 관련 기술 분야에서 주지된바, 구체적인 도면의 도시나 구조 및 기능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전판(300)은 다수의 통공부(301)를 방사형으로 형성하고, 저면 중앙에는 암나사부를 구비한 결합돌부(302)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유압모터(103)에 의해 고속 회전하도록 유압모터(103)의 구동축에 결합하여 상기 본체(100) 저면에 설치한다.
상기 예초수단(400)은 상기 회전판(300) 하부에 탈부착 가능케 설치하되, 합성수지나 금속 와이어로 된 예초와이어(404)나, 칼날 형태로 된 예초날(406) 등 다양한 종류의 예초수단(400)을 선택적으로 설치 가능하다.
합성수지나 금속 와이어로 된 예초와이어(404)를 탈부착하기 위해서는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상기 회전판(300) 저면에 탈부착 가능케 나사 결합하는 케이스(401)에, 상기 케이스(401)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안내관(402)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안내관(402)의 양측 입구(402a)가 케이스(401)의 주벽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하고, 상기 안내관(402)과 연통하도록 안내관(402)의 가운데에서 직각 방향으로 고정관(403)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주벽에 형성되는 고정관(403)의 입구에 암나사부(403a)를 형성하여, 양단부가 상기 안내관(402) 양측 입구(402a)에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안내관(402)에 끼워진 예초와이어(404)를 상기 고정관(403)의 암나사부(403a)에 나사 결합하는 고정볼트(405)로 고정함으로써 회전판(300)과 결합된 케이스(401)가 고속으로 회전하면, 양단부가 케이스(401) 외측으로 노출된 예초와이어(404)가 케이스(401)와 함께 회전하면서 절삭력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칼날 형태로 된 예초날(406)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첨부도면 도 3과 같이 회전판(300)의 저면에서 돌출 형성된 결합돌부(302)를 칼날 형태로 된 예초날(406)의 결합공(406a)에 끼운 후 예초날(406)의 저면에 고정브라켓을 대고, 결합돌부(302) 중앙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체결볼트(407)를 체결함과 동시에 회전판(300)에 형성된 통공부(301)와 예초날(406)에 형성된 통공부(406b)를 관통하도록 체결볼트를 끼워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예초날(406)이 회전판(300)에 고정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굴삭기용 예초기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굴삭기용 예초기는 굴삭기암(501)의 단부에 결합된 퀵커플러에 연결구(200)의 굴삭기연결부(202)를 결합하여 굴삭기암의 단부에 장착함과 동시에 굴삭기에서 공급되는 유압이 본체(100) 내부에 설치된 유압모터(103)와 밸브장치(104)를 비롯하여 본체(100) 상부에 설치된 유압실린더(106)에 공급되도록 유압라인을 연결하게 된다.
또한, 본체(100) 하부에 설치된 회전판(300)에는 예초작업을 수행할 작업 현장의 지형이나 초목의 종류 등에 따라서 적절한 예초수단(400)을 장착함으로써 굴삭기에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유압모터(103)의 구동축에 설치된 회전판(300)이 고속으로 회전함에 따라 회전판(300)에 장착된 예초수단(400)에 의해 각종 초목을 절단하는 예초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굴삭기암(501)은 굴삭기의 정면에서 볼 때, 굴삭기 자체적으로 굴삭기암의 전후 각도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굴삭기 운전석 일측에서 각도 조절 가능케 설치된 붐과 굴삭기암은 관절 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굴삭기가 한 장소에 정지한 상태에서도 굴삭기암의 단부에 결합된 본 발명의 굴삭기용 예초기를 이용하여 넓은 면적에 대한 예초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굴삭기용 예초기는 굴삭기암(501)의 단부에 결합하는 연결구(200)와, 예초수단(400)이 장착되는 회전판(300)이 설치된 본체(100)가 힌지 결합되어 첨부도면 도 4와 같이 굴삭기에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실린더(106)에 의해 굴삭기 정면에서 볼 때, 본체(100)가 좌우로 회전 가능케 구성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예초수단(400)의 전후좌우 각도 조절이 가능케 된다.
따라서 굴삭기가 한 장소에 정지한 상태에서 예초 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 지역의 지표면이 복잡 다양하게 굴곡지거나, 암석이나 큰 나무 등 각종 장애물이 있더라도 예초수단(400)의 전후좌우 각도 조절을 통해 효율적인 예초 작업이 가능케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 굴삭기용 예초기 100: 본체
101: 힌지부 102: 커버
103: 유압모터 104: 밸브장치
105: 안전판 105a: 연결편
106: 유압실린더 200: 연결구
201: 로드연결부 202: 굴삭기연결부
300: 회전판 301: 통공부
302: 결합돌부 400: 예초수단
401: 케이스 402: 안내관
402a: 입구 403: 고정관
403a: 암나사부 404: 예초와이어
405: 고정볼트 406: 예초날

Claims (2)

  1. 굴삭기에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모터(103)와 유압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장치(104)를 내장하고, 말단부에는 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안전판(105)을 일체로 형성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상부의 힌지부(101)에 좌우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케 힌지 결합하고, 일측면에는 로드연결부(201)를 형성하여 상기 본체(100) 상면에 회동 가능케 설치된 유압실린더(106)의 피스톤로드(106a)를 로드연결부(201)에 피벗 결합하여 유압실린더(106)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좌우 각도 조절이 가능케 하고, 상부에는 굴삭기암의 단부에 결합하는 굴삭기연결부(202)를 형성한 연결구(200)와;
    다수의 통공부(301)를 방사형으로 형성하고, 저면 중앙에는 암나사부를 구비한 결합돌부(302)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유압모터(103)에 의해 고속 회전하도록 상기 본체(100) 저면에 설치하는 회전판(300)과;
    상기 회전판(300)에 탈부착 가능케 설치하는 예초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예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초수단(400)은, 상기 회전판(300) 저면에 탈부착 가능케 나사 결합하는 케이스(401)에, 상기 케이스(401)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안내관(402)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안내관(402)의 양측 입구(402a)가 케이스(401)의 주벽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하고, 상기 안내관(402)과 연통하도록 안내관(402)의 가운데에서 직각 방향으로 고정관(403)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주벽에 형성되는 고정관(403)의 입구에 암나사부(403a)를 형성하여, 양단부가 상기 안내관(402) 양측 입구(402a)에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안내관(402)에 끼워진 예초와이어(404)를 상기 고정관(403)의 암나사부(403a)에 나사 결합하는 고정볼트(405)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예초기.
KR1020160092100A 2016-07-20 2016-07-20 굴삭기용 예초기 KR101939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100A KR101939980B1 (ko) 2016-07-20 2016-07-20 굴삭기용 예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100A KR101939980B1 (ko) 2016-07-20 2016-07-20 굴삭기용 예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030A true KR20180010030A (ko) 2018-01-30
KR101939980B1 KR101939980B1 (ko) 2019-01-18

Family

ID=61070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100A KR101939980B1 (ko) 2016-07-20 2016-07-20 굴삭기용 예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9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312B1 (ko) * 2019-11-05 2020-03-27 박석민 초목 절단 파쇄 성능이 향상된 트랙터용 제초기 및 그 제초기를 이용한 초목 절단 파쇄방법
KR102240204B1 (ko) 2020-09-11 2021-04-14 김유현 굴삭기용 예초장치
KR20240054077A (ko) 2022-10-18 2024-04-25 김유현 굴삭기용 예초장치의 엉킴 방지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250Y1 (ko) * 2005-03-11 2005-05-25 김경환 수초 및 경사면 잡초제거용 예취기
KR100633396B1 (ko) 2005-07-16 2006-10-13 박청동 굴삭기용 예초기
KR20100005590A (ko) 2008-07-07 2010-01-15 주영길 제초수단을 갖는 굴삭기
KR20120019093A (ko) * 2010-08-25 2012-03-06 김기호 굴삭기를 이용한 로터리 타입의 초목 제거장치
KR20130051633A (ko) * 2011-11-10 2013-05-21 양용우 붐대 설치용 잡초, 가시덤불 및 잡목제거장치
KR101389019B1 (ko) 2012-08-17 2014-05-12 최승원 포크레인 장착용 예초기
KR20140127792A (ko) * 2014-10-14 2014-11-04 명성테크 주식회사 다목적 제초장치
KR101581841B1 (ko) * 2015-09-14 2015-12-31 (주)거웅건설 굴삭기용 제초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250Y1 (ko) * 2005-03-11 2005-05-25 김경환 수초 및 경사면 잡초제거용 예취기
KR100633396B1 (ko) 2005-07-16 2006-10-13 박청동 굴삭기용 예초기
KR20100005590A (ko) 2008-07-07 2010-01-15 주영길 제초수단을 갖는 굴삭기
KR20120019093A (ko) * 2010-08-25 2012-03-06 김기호 굴삭기를 이용한 로터리 타입의 초목 제거장치
KR20130051633A (ko) * 2011-11-10 2013-05-21 양용우 붐대 설치용 잡초, 가시덤불 및 잡목제거장치
KR101389019B1 (ko) 2012-08-17 2014-05-12 최승원 포크레인 장착용 예초기
KR20140127792A (ko) * 2014-10-14 2014-11-04 명성테크 주식회사 다목적 제초장치
KR101581841B1 (ko) * 2015-09-14 2015-12-31 (주)거웅건설 굴삭기용 제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980B1 (ko) 2019-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3396B1 (ko) 굴삭기용 예초기
US5765348A (en) Device for mowing and cutting
US5577374A (en) Wheel mounted string trimmer
KR101939980B1 (ko) 굴삭기용 예초기
US5226248A (en) Trencher
US6311746B1 (en) Circular saw head
AU2007316869A1 (en) Combination device for cutting snow, mowing, scarifying, soil breaking or the like
US7096900B2 (en) Tree cutting attachment for work vehicle
US6430906B1 (en) Mower deck attached trimmer
EP3498340A1 (en) Machine for extinguishing fires
US20050023010A1 (en) Counter-rotating twin shaft system for gardening machines
KR101745179B1 (ko) 굴삭기용 초목 제거장치
US20180343797A1 (en) Double disc counter rotation mulching mower assembly
JP2006271310A (ja) 除草機
KR20200089064A (ko) 안전 조경 손질장치
KR101652964B1 (ko) 굴착기 장착용 식생제거장치
KR20170046900A (ko) 굴삭기 장착형 로터리식 제초기
KR200292421Y1 (ko) 예초기 커터날 보호장치
US7246669B2 (en) Sod cutting device
KR101137328B1 (ko) 보행형 다목적 제초기
CA2439514A1 (en) Tractor mountable brush cutting device
KR101552431B1 (ko) 굴삭기용 잡초 제초장치 및 그 장치가 구성된 굴삭기
KR0116053Y1 (ko) 트랙터용 예취장치
CN218163486U (zh) 葡萄埋藤机
KR102547624B1 (ko) 다목적 양손 예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