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6238B1 -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 단일 pll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 단일 pll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6238B1
KR100446238B1 KR10-2001-0069691A KR20010069691A KR100446238B1 KR 100446238 B1 KR100446238 B1 KR 100446238B1 KR 20010069691 A KR20010069691 A KR 20010069691A KR 100446238 B1 KR100446238 B1 KR 100446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l
data
module
transmission
high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9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8208A (ko
Inventor
이재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9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238B1/ko
Priority to CNB02124474XA priority patent/CN1223098C/zh
Publication of KR20030038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8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2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3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 H04B1/405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with multiple discrete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지국 및 단말기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단일 PLL 제어방법은,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의 초기화 이전에 PLL 모듈 특성에 맞는 PLL 데이터를 값을 중앙 처리부에서 해당 고주파수에 맞게 연산한 결과 값을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에서 상기 기록된 PLL 데이터 값을 읽은 다음 한 프레임 내의 송수신 절체 순서를 미리 연산하여 프레임 내의 각각의 가드 타임 내 고주파 모듈이 요구하는 안정 타임을 고려하여 PLL 락킹 데이터 전송과 송/수신 스위치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PLL 락킹 데이터 및 송/수신 스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단일개의 PLL 모듈의 동작과, 송수신 스위치 절체로 인해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고주파 모듈이 송/수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개의 PLL 모듈을 갖는 고주파 모듈의 송수신 모드에 따라 PLL 데이터 및 송/수신 스위치 절체를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각기 다른 PLL 모듈이 적용되더라도 메모리에 상기 PLL 모듈의 연산 정보만을 기록하여 줌으로써, 고주파 모듈에서 단일개의 PLL 모듈을 갖고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함에 있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 단일 PLL 제어장치 및 방법{Control appliance and method for one PLL using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Protocol}
본 발명은 지능형 교통시스템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지국에 있어서, 특히 무선 통신 기지국 또는 단말기 구현시 하나의 PLL 모듈로 송/수신 및 이종의 PLL 모듈의 선택 여부에 관계없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가능케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 단일 PLL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은 기존의 교통 체계를 정보통신, 전자, 제어, 컴퓨터 등의 첨단기술과 접목시켜 교통의 이동성, 안정성, 효율성 및 교통 환경을 개선하는 신 교통체계로서, 교통 혼잡 완화, 교통 사고의 감소, 대중 교통의 이용 확대 및 물류비 절감을 위한 것이다.
이러한 지능형 교통 시스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도입된 새로운 근거리 무선 통신(DSRC: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은 도로변에 위치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지국(노변장치)과 차량 단말(차량 탑재장치)로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이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통신 거리가 100M 이하이고, 전송 속도가 1Mbps인 5.8GHz 대역의 TDMA/TDD 방식을 지원하는 소 출력 장치로, 자동요금징수시스템(ETC) 서비스뿐만 아니라 교통정보 및 제어시스템의 제반 ITS 서비스를 수용하고 있다.
종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지국의 고주파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안테나(101)를 통해 차량 단말과 근거리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튜너부(102)와,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국부 발진 신호에 의해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고 수신 데이터를 복조하는 수신부(111)와, 송신 데이터를 국부 발진 신호로 변조하여 5.8GHz 대 주파수로 튜너부(102)로 출력하는 송신부(123)와, 송신 및 수신 모드에 따라 송신 및 수신 국부 발진 신호를 출력하는 국부 발진부(131)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튜너부(103)는 송신 또는 수신 모드에 따라 제어부(129)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 경로로 절체되는 고주파 스위치(105)와, 고주파 스위치(105)의 수신 주파수(5.8GHz)를 저 잡음 증폭하는 저 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107)와, 송신 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고주파 스위치(105)에 전달하는 전력 증폭기(109)로 구성된다.
그리고, 수신부(111)는 저 잡음 증폭기(107)의 출력을 밴드패스 필터링하는 제 1밴드패스 필터(113)와, 상기 밴드패스 필터링된 주파수를 국부 발진 신호로 믹싱시켜 중간 주파수로 출력하는 주파수 변환기(115)와,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필터링하는 제 2밴드패스 필터(117)와, 상기 중간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중간주파 증폭기(119)와, 상기 중간 주파 증폭기(119)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121)로 구성된다.
그리고, 송신부(123)는 송신 데이터를 국부 발진신호로 ASK 변조하는 ASK 변조부(125)와, ASK 변조된 신호를 근거리 무선 주파수 대역(약 5.8GHz)으로 필터링하는 제 3밴드패스 필터(127)로 구성된다.
상기 국부 발진부(131)는 송신 및 수신모드에 따라 동작하는 송신 주파수 발생모듈(133) 및 수신 주파수 발생모듈(143)로 구성되며, 송신 및 수신 주파수 모듈(133,143)에는 PLL 기준 주파수를 발생하는 온도보상 수정 발진기(135,145), PLL모듈(137,147), 제 4 및 제 5밴드패스 필터(139,149), 구동 증폭기(141,151)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지국의 고주파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신 모드일 때에는 제어부(129)에 의해 튜너부(103)의 고주파 스위치(105)는 수신 경로(a)로 절환된다. 이때, 안테나(101)를 통해 수신되는 주파수는 고주파 스위치(105)를 거쳐 저 잡음 증폭기(107)에 의해 저 잡음 증폭된다.
저 잡음 증폭기(107)의 출력 주파수는 수신부(111)의 제 1밴드패스필터(113)에서 5.8GHz 대역의 주파수로 필터링되며, 주파수 변환기(115)에 의해 국부 발진 신호와 혼합되어 중간 주파수로 변환되며, 제 2밴드패스 필터(117)에 의해 중간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된다. 그리고 중간 주파수 증폭기(119)에서 중간 주파수 증폭되며, 복조기(121)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수신 데이터(Rx Data)를 복조하여 출력된다.
이때의 국부 발진부(131)의 수신 주파수 발생모듈(133)의 동작을 보면, 온도 보상 수정 발진기(TCXO)(135)에서 PLL 기준 주파수를 발생하고, PLL 기준 주파수에 의해 PLL 모듈(137)이 동작하여 수신 국부 발진 신호를 발생시키며, 발생된 수신 국부 발진 신호는 제 4밴드패스 필터(139)에 의해 일정 대역(5.87GHz)으로 필터링된 후 구동 증폭기(141)를 통해서 상기 주파수 변환기(115)로 출력됨으로써, 근거리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한편, 송신 모드일 때 제어부(129)는 고주파 스위치(105)를 송신 경로(b)로 절환된다. 이때 송신 데이터(Tx Data)는 송신부(123)의 ASK(Amplitude Sequence Keying) 변조부(125)에서 국부 발진신호로 변조하고, 변조된 송신 주파수는 제 3밴드패스필터(127)에 의해 일정 대역(5.8GHz)이 필터링되며, 필터링된 신호는 튜너부(109)의 전력 증폭기(109)에 의해 소정 레벨로 전력 증폭된 후 고주파 스위치(105)를 거쳐 안테나(105)로 송출된다.
그리고 국부 발진부(131)의 송신 주파수 발생모듈(143)의 동작을 보면, 온도 보상 수정 발진기(TCXO)(145)에서 PLL 기준 주파수를 발생하고, PLL 기준 주파수에 의해 PLL 모듈(147)이 동작하여 수신 국부 발진 신호를 발생시키며, 발생된 수신국부 발진 신호는 제 4밴드패스 필터(149)에 의해 일정 대역(5.8GHz)으로 필터링된 후 구동 증폭기(151)를 통해서 상기 ASK 변조부(123)로 출력됨으로써, 근거리 무선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이러한 고주파 장치의 제어를 위해 제어부(129)의 동작을 보면, 종래에는 송/수신을 위해 각각의 PLL(phase locked loop) 모듈(137,147)을 두고, 파워가 켜지고 난 뒤 시스템 초기화시 송/수신 각각의 주파수 락킹(Locking)을 위해 PLL 데이터를 PLL 모듈(137,147)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시스템 초기화시 송/수신 주파수 락킹이 완료되면 그 후 주파수 락킹은 하지 않고 송수신 절환시 송신/수신 경로 스위치만 변경시켜 준다.
그러나, 종래에는 송신 및 수신 각각에 두 개의 PLL 모듈(137,147)을 사용하기 때문에 RF 모듈(137,147)의 크기가 커지고 타 제품과의 가격 경쟁력이 취약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주파 모듈에 단일개의 PLL 모듈을 적용하여 송수신 락킹 절체와 송/수신 스위치 절체가 가드 타임 이내에서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 이용한 단일 PLL 모듈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PLL 모듈의 락킹 데이터 연산 결과 값을 시스템 초기화시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를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에서 읽어온 후 고주파 모듈에 전송하여, 송/수신 모드에 따라 절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단일 PLL 모듈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에서 프레임 메시지 제어 슬롯을 분석하여 다음 채널에 송/수신 여부, 각각의 가드 타임의 순서와 시간을 미리 인식한 후, PLL 데이터 및 송/수신 스위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단일 PLL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중앙 처리부에서 PLL 모듈이 교체되더라도 하드웨어 교체없이 소프트 웨어의 변경이 가능하며,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에서 실제적인 고주파 모듈의 제어를 수행하여, 중앙 처리부의 부하 분담을 줄고 유효한 고주파 모듈 설계가 가능하도록 한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단일 PLL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근거리 무선 통신의 고주파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단일 PLL 모듈 제어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맵핑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의 고주파 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에 있어, 노변 기지국에서의 PLL 제어 타이밍도.
도 6은 근거리 무선 통신의 프레임 제어 슬롯 구성도.
도 7은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접속 슬롯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중앙 처리부 203...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
205...메모리 207...고주파 모듈
313...튜너부 215...고주파 스위치
217...저 잡음 증폭기 219..전력 증폭기
221...수신부 223...제 1밴드패스필터
225...주파수 변환기 227...제 2밴드패스필터
229...중간주파 증폭기 231...복조기
233...송신부 235...ASK 변조부
237...제 3밴드패스필터 239...국부 발진부
241...온도보상 수정발진기 243...PLL 모듈
245...제 4밴드패스필터 247...구동증폭기
249...출력 스위치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단일 PLL 모듈 제어장치는,
PLL 모듈의 데이터를 메모리에 기록하는 중앙 처리부;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PLL 데이터를 읽어와 송/수신 절환 순서를 미리 연산한 후 프레임 내의 각각의 가드 타임 내에 PLL 락킹 데이터 전송 및 송/수신 스위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
단일개의 PLL 모듈을 갖고 상기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의 제어신호에 의해 송신 및 수신 모드에 따라 근거리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고주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리에는 채널 송수신 방향 표시 레지스터 및 다양한 PLL 모듈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각각의 PLL 모듈 특성 표시 레지스터 값이 기록된 PLL 모듈 제어 레지스터 그룹 영역, PLL 모듈 데이터 영역, 명령 레지스터(command_register) 영역, 송신 데이터 영역, 수신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PLL 모듈 데이터는 각 PLL 모듈의 동작을 고려하여 원하는 주파수로 세팅할 때 내부적으로 그 주파수 부분을 여러 가지 변수의 합으로 결정된 상위 값에 해당하는 R-카운터, R-카운터에서 세팅되고 난 뒤 나머지 하위 값에 해당하는 N-카운터, PLL이 원하는 주파수로 빠르게 고정시키기 위해 고 이득 모드에서 PLL이 머무를 시간을 결정해주는 데이터 값에 해당하는 기능 래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는 매 프레임 마다 제어정보를 실은 SCI 필드를 갖는 프레임 제어 메시지 슬롯을 분석을 통해 송수신 여부, 각각의 가드 시간의 순서와 시간정보를 검출한 후, 각각의 슬롯 시간 내의 가드 타임 때 그 다음 슬롯 송/수신 여부에 맞추어 가드 타임 이내의 구간에서 미리 송신 PLL 데이터 또는 수신 PLL 데이터와, 송/수신 스위치 제어 신호를 고주파 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주파 모듈은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의 스위치 제어신호에 따라 송/수신 경로로 절체되는 고주파 스위치, 수신 경로 상의 저 잡음 증폭기, 송신 경로 상의 전력 증폭기로 이루어진 튜너부;
상기 수신 고주파 신호를 국부 발진 신호에 의해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고 이를 복조하는 수신부;
송신 모드시 송신 데이터를 국부 발진 신호에 의해 변조시킨 후 근거리 무선 주파 대역으로 튜너부로 출력하는 송신부;
단일 경로 상에 PLL 기준 주파수를 발생하는 발진기, PLL 데이터에 의해 국부 발진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단일개의 PLL 모듈, PLL 모듈로부터 출력된 국부 발진 신호를 필터링하는 밴드패스 필터, 구동 증폭기, 송/수신 스위치 제어신호에 의해 송신부 또는 수신부에 국부 발진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절환되는 출력 스위치로 이루어진 국부 발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단일 PLL 모듈 제어방법은, 고주파 모듈의 단일 PLL 모듈의 송수신 절체를 위해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의 초기화 이전에 PLL 모듈 특성에 맞는 PLL 데이터를 값을 중앙 처리부에서 해당 고주파수에 맞게 연산한 결과 값을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에서 상기 기록된 PLL 데이터 값을 읽은 다음 한 프레임 내의 송수신 절체 순서를 미리 연산하여 프레임 내의 각각의 가드 타임 내 고주파 모듈이 요구하는 안정 타임을 고려하여 PLL 락킹 데이터 전송과 송/수신 스위치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PLL 락킹 데이터 및 송/수신 스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단일개의 PLL 모듈의 동작과, 송수신 스위치 절체로 인해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고주파 모듈이 송/수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단일 PLL 모듈 제어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맵핑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의 고주파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에 있어, 노변 기지국에서의 PLL 제어 타이밍도이며, 도 6은 근거리 무선 통신의 프레임 제어 슬롯 구성도이고, 도 7은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접속 슬롯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PLL 모듈의 데이터 및 연산 기본 정보를 메모리(DPRAM)(205)에 기록하는 중앙 처리부(CPU)(201)와, 상기 메모리(205)에 기록된 PLL 데이터를 읽어와 송/수신 절환 순서를 미리 연산한 후 프레임 내의 각각의 가드 타임 내에 PLL 락킹 데이터 전송 및 송/수신 스위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FPGA: Field Programmable Logic Array)(203)와, 단일개의 PLL 모듈(243)을 갖고 상기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203)의 제어신호에 의해 근거리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고주파(RF) 모듈(207)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주파 모듈(207)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너부(213), 수신부(221) 및 송신부(233), 단일개의 PLL 모듈(243)을 갖는 국부 발진부(239)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국부 발진부(239)는 온도보상 수정발진기(241), PLL 모듈(243), 밴드패스 필터(245), 구동 증폭기(247) 및 송/수신 모드에 따라 발생된 국부 발진 신호를 주파수 변환기(225) 및 ASK 변조부(235)로 선택 스위칭 출력하는출력 스위치(249)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단일 PLL 모듈 제어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고주파 모듈(207)에는 단일개의 PLL 모듈(243)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단일개의 PLL 모듈(243)에 PLL 데이터 신호(PLL control)와, 고주파 스위치(215) 및 출력 스위치(249)에 송/수신 절체 신호(Rx/Tx switch)로 제어해 주어야 한다.
여기서, 고주파 모듈(203)의 안정 타임을 위해 세 가지를 고려 항목에 넣어야 하는데, 첫 번째는 고주파 모듈의 PLL 모듈의 락킹 타임(Locking time)이고, 두 번째는 송/수신 고주파 스위치 동작 및 이격 시간이며, 세 번째는 PLL 데이터 전송시간이다.
첫 번째의 경우 DSRC 프로토콜이 허락하는 가드타임 내에 미리 고주파 모듈의 특성을 고려한 안정 시간 확보가 우선적이다. 두 번째의 경우는 송수신 주파수 절체시 절체 간격(Transient Interval)에서 고주파 발진 방지를 위해 5-10us 정도의 이격 시간과 실제 데이터 송수신시 미리 스위치를 열어 주어야 하며, 세 번째의 경우 적용되는 PLL 모듈의 고유한 특성에 맞추면 된다.
이를 위해서, 중앙 처리부(CPU)(201)는 메모리 제어신호(DPRAM Control)를 메모리(205)에 출력하여,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203)의 초기화 이전에 PLL 모듈의 개개의 특성에 맞는 PLL 데이터(N-Counter, R-Counter, Function-Latch Data) 값을 해당 고 주파수에 맞게 소프트웨어 상으로 연산하여 PLL 내부 레지스터 데이터 값을 메모리(DPRAM)(205)에 기록한다. 이는 PLL 모듈은 고주파 모듈의 설계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적용되는 단일개의 PLL 모듈의 특성을 고려하여 DSRC 프로토콜이 정하는 가드타임 내에서 락(Lock)이 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는 도 3의 메모리 맵핑도에서의 PLL 모듈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다. 즉, PLL 모듈이 교체되더라도 PLL 모듈마다의 고유한 동작 특성이나 원하는 주파수 값이 달라질 때 미리 소프트 웨어 상으로 그 PLL 데이터(R-counter, N-counter, Function-latch) 값을 연산하여 PLL 내부 레지스터 값을 메모리(205)에 기록하게 된다.
도 3의 메모리 맵핑도를 보면, 제 1 영역에는 PLL 모듈(PLL IC) 제어 레지스터 그룹(PLL IC control register group), 제 2영역에는 PLL 모듈 데이터(PLL IC Data), 제 3영역에는 명령 레지스터(command_register), 제 4영역에는 송신 데이터, 제 5영역에는 수신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영역의 PLL 모듈 제어 레지스터 그룹은 채널 송수신 방향 표시 레지스터(PLL_en_register), 다양한 PLL 모듈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각각의 PLL 모듈 특성 표시 레지스터(PLL IC 내부의 레지스터 크기, PLL_spcc_register) 특성 값이 기록된다.
이러한 PLL 모듈 데이터 영역은 주파수를 세팅하는 부분으로서, 내부의 레지스터를 구비하게 되는데, 내부 레지스터로 상위 값(R-Counter), 하위 값(N-Counter), 기능 래치(Function-Latch) 데이터 세 가지가 있다. 상위 값(R-Counter) 역할은 서로 다른 PLL 모듈의 동작을 고려하여 원하는 주파수로 세팅할 때 내부적으로 그 주파수 부분을 여러 가지 변수의 합으로 결정하고 그 중 상위 값 해당하며, 하위 값(N-counter)의 역할은 상위 값(R-counter)에서 세팅되고 난 뒤 나머지 하위 값 해당하며, 기능 래치(Function-latch) 데이터의 역할은 PLL 모듈이 원하는 주파수로 빠르게 고정(Fast lock)시키기 위해 고 이득모드(gain mode)에서 PLL 모듈이 머무를 시간을 결정해 주어야 하는데 그 데이터 값이다.
그 때 각각의 메모리(DPRAM Memory) 영역에 PLL 상위 값(PLL R counter) 데이터, PLL 모듈의 기능 래치 데이터, 송신 PLL 모듈의 하위 카운터 데이터(TX_PLL N counter Data), 수신 PLL 모듈의 상위 카운터 데이터(RX_PLL N counter Data)가 기록된다. 상기한 세 개의 PLL 모듈의 내부 레지스터를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FPGA(또는 ASIC)(203)가 읽어 고주파 모듈(207)에 구비된 PLL 모듈로 전송한다.
그리고, 채널 송수신 방향 표시 레지스터(PLL_en_Reg)는 DSRC 프로토콜에서 프레임 제어 메시지 슬롯(FCMS: Frame Control Message Slot) 자체를 분석하면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203) 스스로 알 수 있다. 그러한 연산 과정을 줄이기 위해 중앙 처리부(201)가 연산하게 된다(PLL_en_Reg는 사용하지 않아도 됨).
이와 같이 고주파 모듈(207)의 PLL 모듈(243) 및 송/수신 스위치(215,249)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중앙 처리부(201)는 메모리(DPRAM)(205)에 메모리 제어신호(DPRAM CONTROL)로 제어하고 PLL 정보를 기록한다. 즉, 중앙 처리부(201)는 고주파 모듈(207)의 PLL 모듈이 교체되더라도 PLL 모듈의 제어에 대한 연산 기본 정보를 메모리(205)에 기록해 준다.
그리고,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203)는 중앙 처리부(201)에 인터럽트신호(interrupt)를 발생시켜 새로운 프레임(frame)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그 신호를 받은 중앙 처리부(201)는 다음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가 메모리(205)에 적혀 있음을 데이터 업데이트 신호(Data_update)로 알려준다.
이때,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203)는 상기 메모리(205)에 기록된 PLL 데이터를 읽어와 송/수신 절환 순서를 미리 연산한 후 프레임 내의 각각의 가드 타임 내에서 PLL 락킹 데이터 전송 및 송/수신 스위치를 제어하는 고주파 제어신호(RF_control)를 고주파 모듈(207)로 출력한다. 즉, 고주파 모듈(207)에는 한 개의 PLL 모듈로서 송/수신을 공유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PLL 데이터 및 송/수신 스위치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203)는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서 한 프레임 내에 다양한 송수신 절차 변화가 발생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 데이터의 송수신시 고주파 모듈(207)의 특성과 충분한 락킹 타임(locking time)을 고려하면서 가드 타임 이내에 송/수신 모드 절환동작을 끝내야 한다. 그러나 2개의 PLL 모듈을 이용하는 고주파 모듈에서는 시스템 초기화 때 락킹이 이루어짐으로 큰 문제가 안되나, 본 발명과 같이 1개의 PLL 모듈인 경우 DSRC 규격(SPEC) 상 최소 가드타임 내에 송수신 락킹 절체와 송수신 고주파 스위치 절체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203)는 PLL 데이터의 송수신 순간을 제어하기 위해, 프레임 제어 메시지 슬롯(FCMS)을 받아서 그 슬롯 내부의 SCI 필드를 분석하고, 미리 그 프레임 내의 슬롯 성격 및 송수신 여부를 알게 된다.
상기 프레임 제어 메시지 슬롯은 도 6과 같은 구조를 갖고 있으며, 노변 장치에서 차량 탑재장치로 채널 사용에 대한 제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하며, 프레임의 맨 앞부분에 위치한다. 이 슬롯에는 통신 프로파일과 슬롯 할당 정보가 포함되며, 하향링크(노변장치→차량 탑재장치) 전용으로 사용한다. 도 6에서 SCI#i는 프레임 내에서 연속되는 SCI(Slot Control Information) 필드들 중에서 i번째 SCI 필드를 나타낸다. t0,t2는 가드타임이다.
이러한 프레임 제어 메시지 슬롯을 탑재 장치에서 받아야지 동작하며, 상기 프레임 제어 메시지 슬롯 내부 구조 중에 SCI#1~SCI#8 사이의 데이터 내용을 분석하면 그 프레임 내에 송/수신 슬롯 조합을 예상할 수 있다. 즉, 매 프레임 마다 제어 정보가 담긴 SCI 필드를 갖는 프레임 제어 메시지 슬롯을 분석하여 그 프레임 내의 나머지 슬롯 조합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또 몇 초 후에 송신인지 또는 수신인지, MDS/ACT인지를 미리 예측하여 각각의 가드 타임 및 시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통해 각각의 슬롯 시간 내의 가드타임 때 그 다음 슬롯의 송신 또는 수신 여부에 맞추어 미리 송신 PLL 및 수신 PLL 데이터를 PLL 모듈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메시지 데이터 슬롯(MDS: Message Data Slot)은 프레임 제어슬롯 또는 다른 메시지 데이터 슬롯 뒤에 위치하여 상향링크(탑재장치→노변장치) 또는 하향링크(노변장치→탑재장치) 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슬롯은 노변장치와 탑재장치 사이의 메시지 데이터 교환을 위하여 사용한다. 한 개의 프레임에는 최대 8개의 메시지 데이터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요구 슬롯(ACTS: Activation Slot)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재장치가 노변장치에게 메시지 데이터 슬롯의 할당을 요구하기 위하여 사용하며, 상향링크(탑재장치→노변장치) 전용으로 사용된다. 한 개의 프레임에는 최대 8개의 접속요구 슬롯(48개의 접속요구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PLL 모듈 마다 주파수 고정을 위한 시간(locking time), 특정 슬롯 송신 또는 수신을 미리 예측하고, PLL 모듈의 특성을 미리 초기에 세팅하며,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DSRC) 프로토콜의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이러한 세 가지 조건의 공통 충족조건으로 본다면 한 프레임 내의 슬롯 조합의 구성은 프레임 제어 메시지 슬롯(FCMS)을 수신하면 미리 예측할 수 있다. 즉 몇 초 후에 송신이고 몇 초 후에 수신이며 각 각의 가드타임(guard_time)의 순서와 시간을 알 수 있다.
그러면 가드 타임 때 미리 그 다음 슬롯이 송신인지, 수신인지 알고 있으므로 그 가드 타임 이내의 구간에서 프로그램적으로 고주파 모듈(PLL IC locking time)이 요구하는 안정타임을 고려하여 주파수 세팅 데이터 값(PLL IC 연산 데이터)을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ASIC(FPGA))가 고주파 모듈로 전송하게 된다.
고주파 모듈(209)의 동작을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해서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203)의 스위치 제어신호(Rx/Tx switch)에 의해 튜너부(213)의 고주파 스위치(215) 및 국부 발진부(239)의 출력 스위치(249)는 송신 또는 수신 모드에 따라 해당 경로(a 또는 b)로의 절체 동작시 연동한다.
또한,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203)는 송신 또는 수신 모드에 따라 국부 발진부(239)에 구비된 단일개의 PLL 모듈(243)에 PLL 데이터(PLL Data, PLL Rx_LE,PLL Tx_LE)를 출력하게 된다.
수신 모드시에는 차량 단말의 송신 신호가 안테나(211)를 통해 수신되며, 수신된 고주파 신호는 튜너부(215)의 고주파 스위치(210)의 절환 경로(a)를 통해서 저 잡음 증폭기(217)에 의해 저 잡음 증폭되고 수신부(221)에 입력된다.
수신부(221)의 제 1밴드패스 필터(223)는 수신 고주파 신호를 5.8GHz 대역으로 밴드패스 필터링시키고, 주파수 변환기(225)는 필터링된 고주파 신호를 국부 발진부(239)의 국부 발진 주파수와 혼합하여 중간 주파수를 변환하고, 제 2밴드패스 필터(227)는 주파수 변환기(225)에 의해 변환된 신호로부터 중간 주파수 성분만 필터링하고, 중간 주파 증폭기(229)에 의해 증폭된 후 복조기(231)를 통해서 수신 데이터(Rx Data; Manchaster coding Data)로 복조된다.
그리고, 송신 모드시 송신부(233)는 전송하고자 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ASK 변조부(235)에 의해 국부 발진부(239)에 의해 발생된 국부 발진 신호로 변조한 후, 제 3밴드패스 필터(237)로 상기 변조된 주파수 중 5.8GHz 대역만 밴드패스 필터링시킨 후 송신 데이터를 출력하면, 튜너부(213)의 전력 증폭기(219)는 상기 밴드패스 필터링된 주파수를 전력 증폭하여, 상기 고주파 스위치(215)의 경로(b)를 통해서 안테나(211)로 송출된다.
한편, 국부 발진부(239)는 상기 송/수신부(221,233)의 송신 및 수신 신호에 동조시켜 주기 위한 국부 발진 신호를 발생하는데, 단일 경로 상에 송수신 모드에 따라 송/수신 국부 발진 신호를 각각 발생한다.
이러한 국부 발진부(239)는 온도 보상 수정발진기(TCXO)(241), PLL(PhaseLock Loop) 모듈(243), 제 4밴드패스 필터(BPF)(245), 구동 증폭기(247), 출력 스위치(249)로 구성된다.
상기 온도 보상 수정발진기(241)는 수정 응용 제품의 하나로서, PLL을 동작시키기 위한 기준 주파수를 발생하고, PLL 모듈(243)은 PLL 기준 주파수와 발진 주파수의 위상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이용하여 주파수를 찾아 원하는 송신 및 수신 주파수를 각각 출력한다. 이러한 PLL 모듈(242)은 양방향 통신시 TDD(Time Division Duplex) 통신을 위한 국부 발진 주파수를 발생하게 된다.
이때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203)는 메모리(205)에 미리 기록된 PLL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작 주파수 변경(송신 및 수신)시 걸리는 시간(PLL locking time)을 안정화 타임 이내(30us 또는 40us)에서 순간적으로 가드 타임 이내에서 절체되도록 구현한다. 즉, TDD 방식에서 서로 다른 송신 주파수와 수신 주파수로의 주파수 발생을 고속 락킹 타임에 의해 빠른 변경이 가능해 진다.
즉,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203)는 가드 타임때 그 다음이 송신인지, 수신인지에 따라 중앙 처리부(201)가 시스템 초기화 때 미리 메모리에 기록한 PLL 데이터 값(R-counter, N-counter, Funcion-latch, Tx_PLL N counter, Rx_PLL N counter)을 고려하여, 송신 PLL 데이터 또는 수신 PLL 데이터를 정확한 송/수신 순간에 시리얼 통신으로 PLL 모듈(243)에 적어 주게 된다. 이때에는 가드 타임때 PLL 데이터 전송시 그 PLL 모듈이 안정화 타임을 30us 요구할 지, 40us 요구할 지, 해당 PLL 모듈 특성(locking data, locking time, PLL data 전송속도 및 시간)을 고려하여 미리 전송해 주면 된다.
또한,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203)는 한 프레임 내의 슬롯 조합의 구성을 프레임 제어 메시지 슬롯을 수신하여 미리 예측한 결과로서, 각각의 가드타임의 순서와 시간을 알 수 있으므로, 송/수신 스위치 제어와 그 스위치의 특성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므로, PLL 모듈(243)은 PLL 데이터에 의해 수신 또는 송신 국부 발진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 발생된 국부 발진 신호는 제 4밴드패스 필터(245)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 국부 발진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되고, 구동 증폭기(247)에 의해 증폭된 후, 출력 스위치(249)의 선택 경로(a 또는 b)로 출력됨으로서, 주파수 변환기 (225)또는 ASK 변조부(235)에 출력된다.
또한, PLL 발진 주파수 제어도 결국 PLL 모듈 연산 정보를 제대로 전송하면 이를 바탕으로 발진 주파수 제어를 루프 돌려서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에 있어, 노변 기지국에서의 PLL 제어 타이밍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송신 모드일 경우 도 5의 (d)와 같은 PLL 데이터가 전송되고, PLL 데이터가 전송되면 PLL 락킹 타임과 안정화 시간을 갖는 시간 간격(a) 후에 FCMC 데이터(FCMC= FCMS-guard time)를 송신하고, 도 5의 (b)와 같이 고주파 스위치 및 출력 스위치 경로(b)로 절환(Tx_on)하면 도 5의 (a)와 같은 송신 데이터가 송신 경로를 통해 송출된다.
다시, 고주파 스위치 및 출력 스위치(215,249)는 데이터 송신 후 오프 시키고 그 오프된 시점부터 송/수신 절체 이격 시간을 두고 수신 모드를 위해스위치(215,249)를 온 시키고, PLL 데이터는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기 전에 미리 PLL 락킹 타임과 안정화 시간 이전에 전송됨으로써, 수신 데이터(MDC)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도 5에서의 시간 간격(a)은 PLL 락킹 타임과 안정화 시간의 합으로서, 고주파 데이터를 정확히 수신 또는 송신하기 위해 미리 PLL 값을 세팅하고 그 PLL 모듈이 안정화 요구하는 타임까지 반영한 시간이다. 시간 간격(b)은 스위치 절체 이격 시간으로 송신과 수신의 스위치를 할 때 그 시간이 충분히 이격되지 않을 경우 주파수를 바꿀 때 즉, 송신 주파수를 수신 주파수로, 수신 주파수를 송신 주파수로 변경할 때 고주파 특성상 진동이 발생하여 잘못된 주파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송신이나 수신에서 그 반대로 주파수 변경할 때 그러한 부차적 전파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스위치 이격 시간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시 송신 데이터(ACKC)를 송신하고, 수신 데이터(ACTC)를 차례대로 수신하게 된다. 이때에도 PLL 데이터 전송은 송/수신 데이터를 수신하기 전에 미리 전송되며, 스위치(215)(249)는 데이터 수신을 위해 송/수신 절체 이격 시간을 두고 절환된다.
여기서, 슬롯은 1개 이상의 채널과 한 개 이상의 가드 타임으로 구성되므로, "FCMS = FCMC + 가드 타임"으로 형성되며, 메시지 데이터 슬롯(MDS)은 MDC + 가드타임 + ACKC + 가드타임으로 이루어져 있다.
메시지 데이터 채널(MDC: Message Data Channel)은 메시지 데이터 슬롯에서 사실상 메시지에 해당하는 데이터 영역이며, ACKC는 메시지 데이터 슬롯에 대한확인용으로 사용되는 채널이다. 즉, 메시지 데이터 채널(MDC)은 데이터를 수신할 때 정상적으로 받았는지, 못 받았는지, 상기 메시지 데이터 채널을 송신한 곳에 확인용으로 되돌려 전송하는 수신확인 채널이다. 반대로 메시지 데이터 슬롯을 송신하였을 경우 수신 확인이 필요한 경우 접속 요구 슬롯(ACKC)의 수신을 대기한다.
그러므로, 접속 요구 슬롯(ACTS)은 6개의 접속요구슬롯(ACTC)과 여러 개의 가드타임으로 구성된다.
즉, 근거리 무선 통신에서는 탑재 장치가 통신 링크에 접속하기 위하여 먼저 접속 요구 채널(ACTC)을 이용하여 노변 장치에게 메시지 데이터 슬롯(MDS)을 할당 요구를 하고, 슬롯 알로하(slotted ALOHA) 방식으로 접속 요구 채널에 액세스하여 성공함으로써 가능하다. 한 개의 접속요구 슬롯에는 6개의 접속요구채널(윈도우)이 존재한다. 접속요구슬롯(ACTS)의 윈도우 구조는 도 7과 같고 각 윈도우 사이에는 채널 보호구간(t5=guard time)이 설정되며, 마지막 윈도우와 뒤에는 채널 보호구간이 설정된다. 여기서, 슬롯 알로하 방식으로 접속하는 것은 6개의 접속요구채널 중 확률적으로 랜덤하게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여 접속한다는 뜻이며, 시간축 개념으로 볼 때 마지막 ACTC가 끝났음을 표시하게 된다.
이는 도 5에서의 마지막 채널(ACTC)은 도 7에 도시된 마지막 슬롯(ACTC(6))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중앙 처리부(201)의 부하 분담을 위해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207)가 보조 처리기(coprocessor)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중앙 처리부(201)에서 고주파 모듈(207)의 PLL 데이터 및 송/수신 스위치 제어를 수행하는것이 아니라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203)에서 고주파 모듈(207)을 제어하게 된다. 그러므로, 중앙 처리부(201)는 단지 단일개의 PLL 모듈로 송수신 절체가 되는 고주파 모듈을 지원하기 위해 PLL 모듈이 교체되더라도 PLL 모듈에 대한 연산 기본 정보만을 수행하여 메모리(205)에 기록하게 된다.
그러므로,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203)는 상기 메모리(205)의 락킹 데이터 연산 결과 값을 읽은 다음, 한 프레임 내의 송수신 절체 순서를 미리 연산하여 프레임 내의 각각의 가드 타임 시간 내 고주파 모듈이 요구하는 안정 타임을 고려하여 정확한 순간에 PLL 락킹 데이터 전송과 송/수신 스위치 제어를 한다. 송/수신 스위치 제어는 고주파 모듈의 PLL 모듈 부분이 아니고, 고주파 송/수신 스위치 특성을 고려하여 제어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 단일 PLL 모듈 제어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노변 기지국 또는 단말기 구현시 단일 PLL 모듈로 송/수신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고주파 모듈의 크기 및 가격 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어떠한 PLL 모듈을 고주파 모듈에 적용하더라도 그 PLL 모듈의 특성 정보를 갱신시켜 줌으로써, 하드웨어의 변경 없이 단일 PLL 모듈 및 스위치 제어를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PLL 모듈의 데이터를 메모리(DPRAM)에 기록하는 중앙 처리부;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PLL 데이터를 읽어와 송/수신 절환 순서를 미리 연산한 후 프레임 내의 각각의 가드 타임 내에 PLL 락킹 데이터 전송 및 송/수신 스위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
    단일개의 PLL 모듈을 갖고 상기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의 제어신호에 의해 송신 및 수신 모드에 따라 근거리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고주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 단일 PLL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는 채널 송수신 방향 표시 레지스터 및 다양한 PLL 모듈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각각의 PLL 모듈 특성 표시 레지스터 값이 기록된 PLL 모듈 제어 레지스터 그룹 영역, PLL 모듈 데이터 영역, 명령 레지스터(command_register) 영역, 송신 데이터 영역, 수신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 단일 PLL 제어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PLL 모듈 데이터는 각 PLL 모듈의 동작을 고려하여 원하는 주파수로 세팅할 때 내부적으로 그 주파수 부분을 여러 가지 변수의 합으로 결정된 상위 값에해당하는 R-카운터, R-카운터에서 세팅되고 난 뒤 나머지 하위 값에 해당하는 N-카운터, PLL이 원하는 주파수로 빠르게 고정시키기 위해 고 이득 모드에서 PLL이 머무를 시간을 결정하는 데이터 값에 해당하는 기능 래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 단일 PLL 제어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는 매 프레임 마다 제어정보를 실은 SCI 필드를 갖는 프레임 제어 메시지 슬롯을 분석하여 송수신 여부, 각각의 가드 시간의 순서와 시간정보를 검출하고 각각의 슬롯 시간 내의 가드 타임 때 그 다음 슬롯 송/수신 여부에 맞추어 가드 타임 이내의 구간에서 미리 송신 PLL 데이터 또는 수신 PLL 데이터와, 송/수신 스위치 제어 신호를 고주파 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 단일 PLL 제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고주파 모듈은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의 스위치 제어신호에 따라 송/수신 경로로 절체되는 고주파 스위치, 수신 경로 상의 저 잡음 증폭기, 송신 경로 상의 전력 증폭기로 이루어진 튜너부;
    상기 수신 고주파 신호를 국부 발진 신호에 의해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고 이를 복조하는 수신부;
    송신 모드시 송신 데이터를 국부 발진 신호에 의해 변조시킨 후 근거리 무선주파 대역으로 튜너부로 출력하는 송신부;
    단일 경로 상에 PLL 기준 주파수를 발생하는 발진기, PLL 데이터에 의해 국부 발진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단일개의 PLL 모듈, PLL 모듈로부터 출력된 국부 발진 신호를 필터링하는 밴드패스 필터, 구동 증폭기, 송/수신 스위치 제어신호에 의해 송신부 또는 수신부에 국부 발진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절환되는 출력 스위치로 이루어진 국부 발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 단일 PLL 제어장치.
  6. 단일개의 PLL 모듈에 따른 가변적인 데이터의 연산 및 그 결과를 메모리에 기록하는 제 1프로세서와; 상기 기록된 PLL 모듈에 대한 연산 정보를 읽어 고주파 모듈의 상기 PLL 모듈 및 송/수신 스위치의 타이밍과 동작 순서에 맞는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제 2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 단일 PLL 제어장치.
  7. 고주파 모듈의 단일 PLL 모듈의 송수신 절체를 위해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의 초기화 이전에 PLL 모듈 특성에 맞는 PLL 데이터를 값을 중앙 처리부에서 해당 고주파수에 맞게 연산한 결과 값을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에서 상기 기록된 PLL 데이터 값을 읽은 다음 한 프레임 내의 송수신 절체 순서를 미리 연산하여 프레임 내의 각각의 가드 타임 내 고주파 모듈이 요구하는 안정 타임을 고려하여 PLL 락킹 데이터 전송과 송/수신스위치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PLL 락킹 데이터 및 송/수신 스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단일개의 PLL 모듈의 동작과, 송수신 스위치 절체로 인해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고주파 모듈이 송/수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 단일 PLL 제어방법.
KR10-2001-0069691A 2001-11-09 2001-11-09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 단일 pll제어장치 및 방법 KR100446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691A KR100446238B1 (ko) 2001-11-09 2001-11-09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 단일 pll제어장치 및 방법
CNB02124474XA CN1223098C (zh) 2001-11-09 2002-06-28 利用专用短程通信协议控制锁相环模块的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691A KR100446238B1 (ko) 2001-11-09 2001-11-09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 단일 pll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208A KR20030038208A (ko) 2003-05-16
KR100446238B1 true KR100446238B1 (ko) 2004-08-30

Family

ID=19715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691A KR100446238B1 (ko) 2001-11-09 2001-11-09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 단일 pll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46238B1 (ko)
CN (1) CN122309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8913B2 (en) * 2006-09-29 2011-09-13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components in a time division multiplex wireless system
KR101918455B1 (ko) 2012-07-27 2018-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상 잠금 루프의 홀드 타임 또는 록 타임을 이용하여 데이터 세그먼트들을 스케쥴링하는 저전력 통신 장치
EP3002049A1 (en) * 2014-09-30 2016-04-06 Rovio Entertainment Ltd Remotely controllable vehicles
US10039990B2 (en) 2014-09-30 2018-08-07 Rovio Entertainment Ltd. Remotely controllable vehicles
CN107219396A (zh) * 2016-03-22 2017-09-29 北京万集科技股份有限公司 Dsrc车载设备的载波频率测量方法及装置
CN113708796B (zh) * 2021-10-13 2022-02-15 广州慧睿思通科技股份有限公司 对讲机通信方法、对讲机、窄带自组网系统及电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3788A (ja) * 1998-12-18 2000-06-30 Mitsubishi Electric Corp Dsrc車載器
EP1139601A2 (en) * 2000-03-27 2001-10-04 Nec Corporation Receiving circuit of DSRC radio
JP2001273534A (ja) * 2000-03-28 2001-10-05 Mitsubishi Electric Corp Dsrc車載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3788A (ja) * 1998-12-18 2000-06-30 Mitsubishi Electric Corp Dsrc車載器
EP1139601A2 (en) * 2000-03-27 2001-10-04 Nec Corporation Receiving circuit of DSRC radio
JP2001273534A (ja) * 2000-03-28 2001-10-05 Mitsubishi Electric Corp Dsrc車載器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MART CRUISE 21 - DEMO 2000(공개일: 2000.12.1) *
카다로그,<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Technical Review Vol.38 No.3> 단일의 PLL및 오실레이터를 통해 출력된 신호를 분할하여 송수신단에 입력하는 회로구성 (p.119, 도면 5 참조)(2001. 10.) *
카다로그,<OKI Technical Review Vol.68> 단일의 5.8GHz 국부발진블록의 출력을 송수신부에 분할, 입력하는 구성 (도면 참조)(2001. 10.) *
카다로그,2000년11월28일부터 12월1일까지 개최된 <Smart Cruise 21 - Demo2000> 에 出展된 TDK社의 제품인 ETC用 ①DSRC 고주파모듈로써, 단일의 국부발진단의 신호를 송수신부에 ②스위칭 입력하는 회로구성을 가짐 (도면 참조)(2000. 1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3098C (zh) 2005-10-12
CN1417757A (zh) 2003-05-14
KR20030038208A (ko) 200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1401A (en) Channel hopping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6295461B1 (en) Multi-mode radio frequency network system
KR100446238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 단일 pll제어장치 및 방법
KR100910022B1 (ko) 차량 탑재 단말기를 위한 무선 신호 처리 장치
US7003301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5307378A (en) Digital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EP0719063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base station frequency correcting method
US20010030988A1 (en) Spread spectrum, frequency hopping transceiver with frequency discriminator quadrature filter
KR100406491B1 (ko) 지능형 교통 시스템에서 교통 정보 송신 오동작 방지 장치
JP2908217B2 (ja) 受信電界レベル検出回路
KR100429262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기지국의 고주파 장치
KR100871469B1 (ko) 저잡음 증폭기를 이용한 etcs 단말 및 그 rf 신호처리 방법
JP3633360B2 (ja) 周波数選定機能を備えた車載通信装置
JP3084545B2 (ja) 中間周波数発生方式
KR20040082890A (ko) 단말기의 데이터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4297549A (ja) 無線装置
CN219372427U (zh) 收发机及通信设备
JP3923742B2 (ja) 中継装置及び中継方法
KR20040031498A (ko) 차량 탑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01094486A (ja) 車載器の消費電力の低減方法
JP4190980B2 (ja) 狭域通信用車載装置
JP2002246936A (ja) パッシブ方式用路上機側送受信器
JPH07226708A (ja) 複数チャネル無線受信機
EP0556763A2 (en) Wireless installation
JP4394255B2 (ja) 無線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