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2890A - 단말기의 데이터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데이터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2890A
KR20040082890A KR1020030017594A KR20030017594A KR20040082890A KR 20040082890 A KR20040082890 A KR 20040082890A KR 1020030017594 A KR1020030017594 A KR 1020030017594A KR 20030017594 A KR20030017594 A KR 20030017594A KR 20040082890 A KR20040082890 A KR 20040082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ata
predetermined
terminal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7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에프온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에프온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에프온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30017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2890A/ko
Publication of KR20040082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289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에 사용되던 중계기 자체를 설치하기 않고 근접한 단말기가 서로 중계기능을 하면서 측정된 소정의 데이터를 중앙통제소에까지 용이하게 무선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중계기 설치나 유선방식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그에 따른 설치비나 관리 및 유지비를 획기적으로 절감시킨 단말기의 데이터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정 단말기로부터 데이터의 전송을 요구하고 이에 전송되어온 소정 데이터를 입력 받아 이를 종합적으로 관리 제어하는 중앙통제소와; 상기 중앙통제소와 무선 교신이 가능한 거리에 위치하여 중앙통제소로부터 지정되며, 상기 중앙통제소의 제어에 의해 주변 단말기와의 반복적인 소정의 송수신 전파교류를 통해 주변 단말기의 고유식별 ID와 전파 수신전계강도(RSSI)를 파악하여 최단거리에 있는 단말기끼리 서로 링크되도록 설정을 수행하며, 자신이 최종의 검출 단말기가 아니라면 수신된 데이터를 중계하는 기능만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복수개의 주단말기와; 상기 주단말기와는 물론 주변의 다른 단말기와도 반복적인 소정의 송수신 전파교류를 통해 주변 단말기의 고유식별 ID와 전파 수신전계강도(RSSI)를 파악하여 최단거리에 있는 단말기끼리 서로 링크되도록 설정을 수행하며, 자신이 최종 검출 단말기가 아니라면 수신된 데이터를 중계하는 기능만 수행하도록 설정되고, 중계기능이 설정된 단말기가 중복 지정되면 상기 주단말기의 제어에 의해 지정된 단말기로 설정을 변경하는 복수개의 단말기를 포함하여 된 것이다.

Description

단말기의 데이터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A DATA RELAYING SYSTEM OF TERMINAL AND METHODE THEREOF}
본 발명은 단말기의 데이터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단말기들이 서로 중계역할을 하면서 무선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중앙통제소와 최종 검침용 단말기 간에 직접 정보 송수신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종래에 필히 사용되던 중계기가 필요 없게 되어 이에 따른 설치비나 유지 및 관리비를 획기적으로 절감시킨 원격 검침용 단말기의 데이터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은 단말기는, 예를 들어 감지수단(Sensor 등)에서 감지된 측정데이터, 위성항법장치(GPS)에 의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라디오의 특정 방송데이터, 차량운행(교통)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으로부터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단말기로, 중앙통제소 등의 제어수단 통제 하에 일정한 작업(센싱 등)을 수행한 후 이에 따른 데이터를 상기 중앙통제소로 송출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단말기의 종래 데이터 중계시스템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1,12,13...)(21,22,23...)(31,32,33...)의 일정거리 이내, 즉 전파가 수신되는 범위 내에는 복수개의 중계기(10,20,30,...)가 설치되고, 상기 중계기(10,20,30,...)는 중앙통제소(40)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11,....)들은 중앙통제소(40)의 요구에 따라 일정한 작업(여기에서는 소정 센서를 통해 감지된 소정의 데이터를 일례로 든다)을 수행한 후, 소정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해당 중계기(10,...)로 송출하고, 상기 중계기(10,...)는 상기 단말기(11,...)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무선 데이터를 입력받아 유선으로 연결된 상기 중앙통제소(40)로 다시 전송하여준다.
이렇게 하여, 상기 중앙통제소(40)는 상기 중계기(10,20,3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온 소정의 데이터를 인식하게 되고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단말기의 데이터 중계시스템은 장거리 데이터 전송에 필수 구성인 중계기를 반드시 설치해야 했고, 상기 중계기와 중앙통제소는 유선으로 연결 구성하는 관계로, 그에 따른 설치비는 물론 이를 관리하고 유지하는 비용이 크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계기 자체를 설치하기 않고 근접한 단말기가 서로 중계기능을 하면서 전송할 소정의 데이터를 중앙통제소에까지 용이하게 무선 전송할 수 있도록 한 단말기의 데이터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의 중계에 있어서 기존의 중계기 설치나 유선방식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그에 따른 설치비나 관리 및 유지비를 획기적으로 절감시킨 단말기의 데이터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단말기의 데이터 중계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데이터 중계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내부 회로 블록도,
도 4는 상기 도 3의 RF모듈을 상세히 나타낸 회로 블록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데이터 중계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수순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종합통제소 201,202,...: 주단말기
301,302,...: 단말기 400: RF모듈
401: 안테나 402: RF증폭기
403: 대역통과필터 404: 제1믹서
405: 제1IF필터 406: IF증폭기
407: 제2믹서 408: 제2발진기
409: 제2IF필터 410: 리미터
411: 검파기 412: AF저역통과필터
413: 비교기 414: VCO/PLL
415: 변조기 416: TX파워증폭기
417: 저역통과필터 418: 안테나스위치
500: 제어부 600: 메모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 단말기로부터 데이터의 전송을 요구하고 이에 전송되어온 소정 데이터를 입력 받아 이를 종합적으로 관리 제어하는 중앙통제소와; 상기 중앙통제소와 무선 교신이 가능한 거리에 위치하여 중앙통제소로부터 지정되며, 상기 중앙통제소의 제어에 의해 주변 단말기와의 반복적인 소정의 송수신 전파교류를 통해 주변 단말기의 고유식별 ID와 전파 수신전계강도(RSSI)를 파악하여 최단거리에 있는 단말기끼리 서로 링크되도록 설정을 수행하며, 자신이 최종의 검출 단말기가 아니라면 수신된 데이터를 중계하는 기능만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복수개의 주단말기와; 상기 주단말기와는 물론 주변의 다른 단말기와도 반복적인 소정의 송수신 전파교류를 통해 주변 단말기의 고유식별 ID와 전파 수신전계강도(RSSI)를 파악하여 최단거리에 있는 단말기끼리 서로 링크되도록 설정을 수행하며, 자신이 최종 검출 단말기가 아니라면 수신된 데이터를 중계하는 기능만 수행하도록 설정되고, 중계기능이 설정된 단말기가 중복 지정되면 상기 주단말기의 제어에 의해 지정된 단말기로 설정을 변경하는 복수개의 단말기를 포함하여 된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중앙통제소에서 이미 지정한 복수개의 주단말기로 단말기 중계를 위한 소정 명령신호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주단말기와 주변 단말기들 간에 소정신호 송수신을 반복하는 과정과; 전체 단말기들 간에 소정신호 송수신을 반복하는 과정과; 상기 소정신호 송수신 반복과정을 통해서 각 단말기들의 고유식별 ID와 전파 수신전계강도(RSSI)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각 단말기 별로 체크된 적정한 크기의 RSSI로 최단거리의 단말기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단말기끼리 링크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된 단말기가 최종의 검출 단말기인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단계에서 최종 검출 단말기가 아니라면 중계기능 단말기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중계기능 단말기로 설정된 단말기가 중복 지정되었는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단계에서 중계기능 단말기가 중복지정 되었다면 주단말기가 지정한 단말기로 변경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과정에서 최종 검출 단말기로 판단되면 검출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과; 수신된 데이터를 중계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데이터 중계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정 단말기로부터 데이터의 전송을 요구하고 이에 전송되어온 소정 데이터를 입력 받아 이를 종합적으로 관리 제어하는 중앙통제소(100)와, 상기 중앙통제소(100)와 무선 교신이 가능한 거리에 위치하여 중앙통제소(100)로부터 지정된 단말기로 상기 중앙통제소(100)의 제어에 의해 주변 단말기와의 반복적인 소정의 송수신 전파교류를 통해 주변 단말기의 고유식별 ID와 전파 수신전계강도(RSSI)를 파악하는 주단말기(201,202,203,...)와, 상기 주단말기(200)와는 물론 주변의 다른 단말기와도 반복적인 소정의 송수신 전파교류를 통해 주변 단말기의 고유식별 ID와 전파 수신전계강도(RSSI)를 파악하는 단말기(301,302,302,...)를 포함한다.
상기 주단말기(201,...)와 단말기(301,...)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로, 단지 차이점이 있다면 주단말기(201,202,...)는 중앙통제소(100)로부터 전파가 수신되는 근접한 거리에 있으며, 이러한 주단말기를 중앙통제소(100)에서 지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상기 주단말기(201,...) 및 단말기(301,...)는 서로 소정의 전파신호(ID 데이터 등)를 송신 및 수신 반복하여 근접한 위치에 있는 단말기의 ID와 RSSI를 파악하게 되고, 최단거리에 있는 단말기끼리 서로 링크되도록 설정(Set)을 수행하며, 자신이 최초로 소정 데이터를 검출(또는 별도의 장치에서 검출된 데이터를 전송하는)하여 직접 전송해야하는 최종 단말기가 아니라면 수신된 데이터를중계하는 기능만 수행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이와 같이 중계기능이 설정된 단말기가 중복 지정되면 주단말기의 제어에 의해 지정된 단말기로 설정을 변경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내부 회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201,202,...301,302,...)는 안테나를 통해 전파를 송수신하고 이를 처리하는 RF모듈(400)과, 상기 RF모듈(400)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근접된 단말기의 ID 및 RSSI 등을 판단하고, 자신의 ID데이터 또는 측정(검출)된 데이터를 RF모듈(400)로 전송하거나 중계기능 설정시 RF모듈(400)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다시 RF모듈(400)을 통해 송출하는 제어부(500)와, 소정의 프로그램 및 자신의 ID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500)에 연결되어 그 데이터를 제공하는 메모리(6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에는 데이터생성수단(700)이 더 부가되어 상기 제어부(500)의 요구에 의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제어부(5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단말기의 RF모듈(400)을 상세히 나타낸 회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안테나(401)와, 상기 안테나(40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증폭기(402)와, 상기 RF증폭기(402)로부터 증폭된 신호를 소정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대역통과필터(403)와, 상기 대역통과필터(403)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의 발진주파수와 혼합하는 믹서(404)와, 상기 제1믹서(404)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중간주파수로 필터링하는 제1IF필터(405)와, 상기 제1IF필터(405)를 통해 출력되는중간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IF증폭기(406)와, 상기 IF증폭기(406)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제2발진기(408)를 통해 출력되는 주파신호와 혼합하는 제2믹서(407)와, 상기 제2믹서(407)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의 중간주파로 필터링하는 제2IF필터(409)와, 상기 제2IF필터(40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진폭을 제한하는 리미터(410)와, 상기 리미터(410)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검파하는 검파기(411)와, 상기 검파기(411)를 통해 출력되는 검파신호를 동조하는 AF저역통과필터(412)와, 상기 AF저역통과필터(412)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의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제어부(500)로 출력하는 비교기(413)와, 상기 제어부(500)의 출력에 따라 소정의 발진주파신호를 생성하고 그 위상을 송신신호와 동기시키는 VCO(전압제어발진기)/PLL(위상동기루프)(414)과, 상기 VCO/PLL(414)로 변조신호를 출력하는 변조기(415)와, 상기 VCO/PLL(414)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TX파워증폭기(416)와, 상기 TX파워증폭기(416)의 출력신호를 저역통과시키는 저역통과필터(417)와, 저역통과필터(417)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가 안테나(401)를 통해 무선 송출되도록 온오프 단속하는 안테나스위치(418)로 구성된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데이터 중계 방법의 제어 수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데이터 중계 방법은, 중앙통제소(100)에서 이미 지정한 주단말기(201,202,...)로 단말기 중계를 위한 소정 명령신호를 전송하는 과정(S10)과, 상기 주단말기(201,...)와 주변 단말기(301,...) 간에 소정신호 송수신을 반복하는 과정(S11)과, 전체 단말기(301,...) 간에 소정신호 송수신을 반복하는 과정(S12)과, 상기 소정신호 송수신 반복과정을 통해서 각 단말기(201,202,...301,302,...)의 고유식별 ID와 전파 수신전계강도(RSSI)를 체크하는 과정(S13)과, 상기 각 단말기 별로 체크된 적정한 크기의 RSSI로 최단거리의 단말기를 설정하는 과정(S14)과, 상기 설정된 단말기끼리 링크(Link)를 설정하는 과정(S15)과, 상기 연결(Link)된 단말기가 최종의 단말기인 데이터 검출용 단말기인가를 판단하는 과정(S16)과, 상기 판단단계(S16)에서 최종의 단말기가 아니라면 중계기능 단말기로 설정하는 과정(S17)과, 상기 중계기능 단말기로 설정된 단말기가 중복 지정되었는가를 판단하는 과정(S18)과, 상기 판단단계(S18)에서 중계기능 단말기가 중복지정 되었다면 주단말기가 지정한 단말기로 변경 설정하는 과정(S19)과, 상기 판단과정(S16)에서 최종 단말기로 판단되면 데이터생성수단(700)으로부터 생성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송신하는 과정(S20)과, 수신된 데이터를 중계하는 과정(S21)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단말기 데이터 중계 시스템 및 방법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을 살펴본다.
먼저, 중앙통제소(100)는 특정 단말기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수신받기 위하여, 근접되어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지정된 주단말기(201,202,.)로 단말기 중계를 위한 소정 명령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중앙통제소(100)로부터 송출된 명령신호는 상기 주단말기(201,...)의 안테나(401) 및 RF모듈(400)을 통해 수신되어 제어부(500)는 이때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중앙통제소(100)의 명령을 인식하게 된다(S10 과정).
따라서 상기 주단말기(201,...)는 메모리(600)에 저장된 자신의 고유식별 ID데이터와 주변 단말기로부터 자신의 ID데이터를 송출하라는 명령 데이터 등을 주변 단말기(301,...)로 송출한다. 이러한 주단말기(201,...)의 명령 데이터를 수신한 주변 단말기(301,...)들은 자신의 ID 데이터를 송출하게 된다. 그리고 주단말기(201,...)는 이러한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몇 차례 반복한다(S11 과정).
또한, 상기 주변 단말기(301,...) 들도 그 주변의 전체 단말기 간에 상기 소정신호 송수신을 반복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12 과정).
이와 같은 상기 소정신호 송수신 반복과정을 통해서 전체 단말기(201,202,...301,302,...)들은 수신된 주변 단말기들의 고유식별 ID와 그에 따른 전파 수신전계강도(RSSI)를 RF모듈(400) 및 제어부(500)를 통해 체크할 수 있게 된다(S13 과정).
그리고, 상기 각 단말기들은 체크된 주변의 단말기와 RSSI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문제가 없는 적정크기의 RSSI를 가진 주변 단말기를 설정하고, 설정된 단말기의 ID를 메모리(600)에 저장하게 된다(S14 과정).
이렇게 하여 설정된 단말기 끼리 데이터중계를 위한 링크를 설정을 하게 된다. 이는 중앙통제소(100)와 무선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범위에 위치한 단말기 사이에 네트워크(Network)가 형성 되는 것이다(S15 과정).
이와 같은 단말기 간 링크가 구축되면 각 단말기는 자신이 중앙통제소(100)에서 요구한 최종 검출용 단말기인가를 판단한다. 이는 중앙통제소(100)에서 전송되어온 해당 검출용 단말기 ID와 검출에 관한 명령 등을 판독함으로써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자신이 최종 검출용 단말기가 아니라면 중계기능 단말기로설정한다(S17 과정).
그리고 상기 중계기능 단말기로 설정된 단말기가 전술한 링크 상에서 중복 지정되었는가를 판단한다(S18과정). 이는 만약 중계기능으로 설정된 단말기가 링크 상에 중복 지정되었다면 추후 데이터 전송시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배제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중계기능 단말기가 중복지정 되었다면 주단말기가 지정하는 단말기로 중계기능 단말기를 변경 설정한다(S19과정). 이렇게 되면 중복되는 중계기능 단말기가 없게 되어 최단경로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판단과정(S16)에서 자신이 최종 검출용 단말기로 판단되면 단말기는 데이터생성수단(700)로부터 생성된 데이터를 제어부(500) 및 RF모듈(400)을 통해 송신한다(S20 과정).
그리고, 이와 같이 검출된 데이터는 중앙통제소(100)와 최단경로로 연결 설정된 된 상기 중계기능 단말기들은 통해서 상기 중앙통제소(100)로 신속하게 전송되는 것이다(S21과정).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에 사용되던 중계기 자체를 설치하기 않고 근접한 단말기가 서로 중계기능을 하면서 측정된 소정의 데이터를 중앙통제소에까지 용이하게 무선 전송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중계기 설치나 유선방식을 사용하지않음으로써 그에 따른 설치비나 관리 및 유지비를 획기적으로 절감시킨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소정 단말기로부터 데이터의 전송을 요구하고 이에 전송되어온 소정 데이터를 입력 받아 이를 종합적으로 관리 제어하는 중앙통제소;
    상기 중앙통제소와 무선 교신이 가능한 거리에 위치하여 중앙통제소로부터 지정되며, 상기 중앙통제소의 제어에 의해 주변 단말기와의 반복적인 소정의 송수신 전파교류를 통해 주변 단말기의 고유식별 ID와 전파 수신전계강도(RSSI)를 파악하여 최단거리에 있는 단말기끼리 서로 링크되도록 설정을 수행하며, 자신이 최종 검출 단말기가 아니라면 수신된 데이터를 중계하는 기능만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복수개의 주단말기; 및
    상기 주단말기와는 물론 주변의 다른 단말기와도 반복적인 소정의 송수신 전파교류를 통해 주변 단말기의 고유식별 ID와 전파 수신전계강도(RSSI)를 파악하여 최단거리에 있는 단말기끼리 서로 링크되도록 설정을 수행하며, 자신이 최종 검출 단말기가 아니라면 수신된 데이터를 중계하는 기능만 수행하도록 설정되고, 중계기능이 설정된 단말기가 중복 지정되면 상기 주단말기의 제어에 의해 지정된 단말기로 설정을 변경하는 복수개의 단말기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데이터 중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단말기 및 단말기는 안테나를 통해 전파를 송수신하고 이를 처리하는 RF모듈;
    상기 RF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근접된 단말기의 ID 및 RSSI 등을 판단하고, 자신의 ID데이터 또는 검출된 데이터를 상기 RF모듈로 전송하거나 중계기능 설정시 RF모듈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다시 RF모듈을 통해 송출하는 제어부; 및
    소정의 프로그램 및 자신의 ID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그 데이터를 제공하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데이터 중계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제어부의 요구에 의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제어부로 제공하는 데이터생성수단이 더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데이터 중계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RF모듈은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증폭하는 RF증폭기와, 상기 RF증폭기로부터 증폭된 신호를 소정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대역통과필터와, 상기 대역통과필터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의 발진주파수와 혼합하는 믹서와, 상기 제1믹서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중간주파수로 필터링하는 제1IF필터와, 상기 제1IF필터를 통해 출력되는 중간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IF증폭기와, 상기 IF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제2발진기를 통해 출력되는 주파신호와 혼합하는 제2믹서와, 상기 제2믹서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의 중간주파로 필터링하는 제2IF필터와, 상기 제2IF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진폭을 제한하는 리미터와, 상기 리미터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검파하는 검파기와, 상기 검파기를 통해 출력되는 검파신호를 동조하는 AF저역통과필터와, 상기 AF저역통과필터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의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비교기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에 따라 소정의 발진주파신호를 생성하고 그 위상을 송신신호와 동기시키는 VCO/PLL과, 상기 VCO/PLL로 변조신호를 출력하는 변조기와, 상기 VCO/PLL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TX파워증폭기와, 상기 TX파워증폭기의 출력신호를 저역통과시키는 저역통과필터와, 저역통과필터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무선 송출되도록 온오프 단속하는 안테나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데이터 중계 시스템.
  5. 중앙통제소에서 이미 지정한 복수개의 주단말기로 단말기 중계를 위한 소정 명령신호를 전송하는 과정(S10);
    상기 주단말기와 주변 단말기들 간에 소정신호 송수신을 반복하는과정(S11);
    전체 단말기들 간에 소정신호 송수신을 반복하는 과정(S12);
    상기 소정신호 송수신 반복과정을 통해서 각 단말기들의 고유식별 ID와 전파 수신전계강도(RSSI)를 체크하는 과정(S13);
    상기 각 단말기 별로 체크된 적정한 크기의 RSSI로 최단거리의 단말기를 설정하는 과정(S14);
    상기 설정된 단말기끼리 링크를 설정하는 과정(S15);
    상기 연결된 단말기가 최종의 검출 단말기인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판단단계(S16)에서 최종 단말기가 아니라면 중계기능 단말기로 설정하는 과정(S17);
    상기 중계기능 단말기로 설정된 단말기가 중복 지정되었는가를 판단하는 과정(S18);
    상기 판단단계(S18)에서 중계기능 단말기가 중복지정 되었다면 주단말기가 지정한 단말기로 변경 설정하는 과정(S19);
    상기 판단과정(S16)에서 최종 단말기로 판단되면 검출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S20); 및
    수신된 데이터를 중계하는 과정(S21)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데이터 중계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단말기와 주변 단말기, 및 전체단말기 들 간에 소정신호 송수신을 반복하는 과정(S11)(S12)에서 상기 소정신호는 단말기 자신의 고유식별 ID데이터와 주변 단말기로부터 자신의 ID데이터를 송출하라는 명령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데이터 중계 방법.
KR1020030017594A 2003-03-20 2003-03-20 단말기의 데이터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828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7594A KR20040082890A (ko) 2003-03-20 2003-03-20 단말기의 데이터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7594A KR20040082890A (ko) 2003-03-20 2003-03-20 단말기의 데이터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890A true KR20040082890A (ko) 2004-09-30

Family

ID=37366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7594A KR20040082890A (ko) 2003-03-20 2003-03-20 단말기의 데이터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289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417B1 (ko) * 2005-04-27 2007-02-20 주식회사 에이로직스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중계 장치 및 중계 방법
KR100758041B1 (ko) * 2006-05-29 2007-09-11 서울도시가스 주식회사 원격 검침을 위한 단말기의 통신 경로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100987219B1 (ko) * 2007-06-29 201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101035226B1 (ko) * 2009-12-24 2011-05-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신호 간섭 회피방법 및 그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KR101416615B1 (ko) * 2014-03-27 2014-07-09 진양공업주식회사 동시 송신 회피를 위한 데이터 중계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417B1 (ko) * 2005-04-27 2007-02-20 주식회사 에이로직스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중계 장치 및 중계 방법
KR100758041B1 (ko) * 2006-05-29 2007-09-11 서울도시가스 주식회사 원격 검침을 위한 단말기의 통신 경로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100987219B1 (ko) * 2007-06-29 201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US8243641B2 (en) 2007-06-29 2012-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035226B1 (ko) * 2009-12-24 2011-05-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신호 간섭 회피방법 및 그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KR101416615B1 (ko) * 2014-03-27 2014-07-09 진양공업주식회사 동시 송신 회피를 위한 데이터 중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811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369965B2 (en) Electronic key system, on-board device, and electronic key
JP2007272676A (ja) 駐車場位置管理システムおよび駐車場位置管理方法
JP2007189549A (ja) 電力線搬送通信用モデム
KR20040082890A (ko) 단말기의 데이터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EP0719063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base station frequency correcting method
JP6406995B2 (ja) 無線テレメータ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
JP6309785B2 (ja) 無線テレメータ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
JP6830863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テレメータ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102400578B1 (ko) 무선 신호 수신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210314754A1 (en)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RU2517372C2 (ru) Мультичастотная метка, а также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инамической настройки радиочастотных параметров мультичастотной метки
KR100446238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 단일 pll제어장치 및 방법
EP3179635A1 (en) Radio apparatus
US9386527B2 (en) Proximity sensing method using loopback mechanism and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thereof
WO2011039938A1 (ja) 無線デバイス、およびこれを用いた無線装置、ならびに無線システム
KR101131801B1 (ko) 다중채널 수신기
JP200825232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H0787009A (ja) 無線通信機
JP2003318799A (ja)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
SU1688426A1 (ru) Система радиосв зи
JPH05507603A (ja) 移動電話システムのベースステーションにおけるスーパーバイズ信号の識別方法
JP201609254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番号発行無線機
KR20160027726A (ko) 주파수 가변기를 이용한 차량간 데이터 통신 장치 및 방법
JP5532242B2 (ja) 無線データ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