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5108B1 - 수신장치,수신방법및단말장치 - Google Patents

수신장치,수신방법및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5108B1
KR100445108B1 KR1019960064428A KR19960064428A KR100445108B1 KR 100445108 B1 KR100445108 B1 KR 100445108B1 KR 1019960064428 A KR1019960064428 A KR 1019960064428A KR 19960064428 A KR19960064428 A KR 19960064428A KR 100445108 B1 KR100445108 B1 KR 100445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larization
receiving
signals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4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5689A (ko
Inventor
게이지 후꾸자와
고조 고바야시
히로유끼 미따
미쯔루 이께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55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5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5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51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8Input circuits, e.g. for coupling to an antenna or a transmission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90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43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via a GHz frequency band, e.g. via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46IF amplifier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B&W T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Abstract

공동수신시스템에 있어서, 우선편파 및 좌선편파에 의해 다중화된 방송전파를 수신하고, 이것을 1개의 IF신호케이블로 각 단말장치에 분배한다.
우선편파 및 좌선편파를, 저잡음변환기(52, 53)에 의해 각각 다른 주파수의 IF신호로 변환한 후, 혼합기(54)에 의해 혼합한다. 다시 혼합기(56)에 의해 이 신호에 지상파텔레비젼 방송신호를 혼합하고, 1개의 IF신호케이블에 의해 각 단말장치(2)에 분배한다. 단말장치(2)에서는 분기필터(59)에 의해 지상파텔레비젼 방송신호를 분리하고, 수신기(61)에 공급한다. 선택회로(60)는 수신기(61)에서 공급되는 편파전환신호에 의거해서, 우선편파성분 및 좌선편파성분을 선택하고, 필요에 따라서 주파수변환을 행한 후, 수신기(61)에 공급한다.

Description

수신장치, 수신방법 및 단말장치
본 발명은 수신장치, 수신방법 및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별히, 본 발명은 다중화된 방송파를 수신하고 그것을 다수의 단말장치에 분배하기 위한 수신장치와, 그 수신방법과,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송위성을 거쳐 송신되는 방송파의 정보량을 훨씬 증가시키기 위해서, 예를들어 좌선편파(左旋偏波) 및 우선편파(右旋偏波) 또는 수직편파 및 수평편파를 다중화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지금까지는 이러한 방법에 의해 송신된 편파를 수신하기 위해서, 다중화된 방송파를 좌선편파와 우선편파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장치가 종래의 수신장치(다중화되지 않은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에 추가되어야만 한다.
특히, 다가구 거주지역 등에서의 공동수신시스템(공동수신장치 및 각 시청자용 단말장치로 이루어짐)에서, 수신된 방송파를 분배해야 하는 단말장치의 수가 상당히 많으며, 상기 설명된 다중화된 방송파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많은 분리장치가 추가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종래의 공동수신시스템에 최소의 분리장치를 추가하여 다중화된 방송파를 수신하기 위해서, 다양한 대책이 적용되고 있다.
도 8은 공동수신시스템의 구성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에서, 파라볼라안테나(11)는 방송위성(도시생략)으로부터 송신된 우선편파 및 좌선편파(또는 수직편파 및 수평편파)로 다중화된 RF(고주파수)대역의 전파를 수신하도록 설계된다. 저잡음블록(LNB)변환기(12)는 파라볼라안테나(11)에 의해 수신된 RF대역의 전파를 좌선편파와 우선편파로 분리하고, 그 편파를 IF(중간주파수)대역의 신호(이하 "IF신호"라 칭함)로 변환하고, 그것을 분배기(13a, 13b)로 공급하도록 설계된다.
분배기(13a, 13b)는 좌선편파의 IF신호와 우선편파의 IF신호를 멀티스위치(14a, 14b)로 각각 분배한다. 멀티스위치(14a, 14b)는 각 가입자의 각단말장치(수신기(15a∼15d)와 텔레비젼수상기(16a∼16d)로 이루어짐)로부터 공급된 개별 편파절환신호에 의거해서 좌선편파의 IF신호나 우선편파의 IF신호 중에서 선택하고, 그 IF신호를 각 단말장치에 공급한다.
수신기(15a∼15d)는 시청자에 의한 작동에 기초해서 편파절환신호를 멀티스위치(14a∼14d)로 출력하고, 그 편파절환신호에 의거해서 선택되는 좌선편파의 IF신호나 우선편파의 IF신호를 입력하고, 그 신호를 훨씬 더 낮은 주파수의 RF신호로 변환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최종적으로 그 신호를 텔레비젼수상기(16a∼16d)로 공급한다. 텔레비젼수상기(16a∼16d)는 수신기(15a∼15d)로부터 공급된 신호로부터 영상 및 음성신호를 추출하고, 그들 신호를 출력하여 표시를 행한다.
상기 종래기술의 작동에 대하여 이하에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방송위성(도시생략)으로부터 송신된 다중화된 방송파는 파라볼라안테나(11)에 의해 수신된다. LNB변환기(12)는 수신된 방송파를 좌선 및 우선편파의 전파로 분리하고, 그것을 IF신호로 변환하고, 최종적으로 그 IF신호를 분배기(13a, 13b)로 각각 공급한다. 분배기(13a, 13b)는 좌선편파의 IF신호와 우선편파의 IF신호를 각각 멀티스위치(14a, 14b)로 분배한다.
멀티스위치(14a, 14b)는 수신기(15a∼15d)로부터 공급된 편파절환신호에 의거해서 좌선편파의 IF신호와 우선편파의 IF신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그 IF신호를 수신기(15a∼15d)로 공급한다.
상기 설명된 구성을 이용하여, 각 시청자는 소정의 작동으로 좌선편파나 우선편파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한다. 그때, 멀티스위치(14a 또는 14b)는 이들 신호 중어느 하나를 자동적으로 선택하며, 따라서 원하는 방송(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게 한다.
도 9는 공동수신시스템의 구성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에서와 동일한 도 9의 구성성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시되며,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수신기(21a∼21d)는 분리신호케이블을 거쳐서 분배기(13a, 13b)로부터 공급된 좌선편파 및 우선편파의 IF신호를 수신하고, 붙박이식 스위치(도시생략)에 의해 이들 신호를 선택한다. 그후, 선택된 IF신호를 훨씬 낮은 주파수의 RF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처리가 실행되며, 그후 RF신호가 텔레비젼 수상기(16a∼16a)로 출력된다.
본 구성의 다른 부분은 도 8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도 9에 도시된 일례의 작동은 이하에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파라볼라안테나(11)는 방송위성(도시생략)으로부터 송신된 RF대역의 전파를 수신한다. LNB변환기(12)는 수신된 전파를 좌선 및 우선편파의 전파로 분리하고, 그 전파를 IF신호로 변환한 후, IF신호를 분배기(13a, 13b)로 각각 공급한다.
분배기(13a, 13b)는 좌선 및 우선편파에 상응하는 입력된 IF신호를 분리케이블을 거쳐서 각 수신기(21a∼21d)로 분배하여 공급한다. 수신기(21a~21d)는 분배기(13a 또는 13b)로부터 공급된 좌선 또는 우선편파에 상응하는 IF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그 IF신호를 훨씬 낮은 주파수의 RF신호로 변환하는 처리를 실행한 후, 그 RF신호를 텔레비젼수상기(16a∼16d)로 출력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각 시청자는 좌선편파 또는 우선편파에 포함되어 있는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시청하기 위해서, 수신기(21a∼21d)를 작동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일례에서, 우선편파 및 좌선편파의 IF신호를 실외에서 실내로 송신하기 위해서는 2개의 케이블이 필요하다. 멀티스위치(14a, 14b)의 분배 수는 어느 정도로 한정되기 때문에, 멀티스위치를 대규모의 공동수신시설에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멀티스위치(14a, 14b)는 보통 고가이며, 따라서 설비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예에서는, IF신호를 분배기(13a, 13b)로부터 각 수신기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각 단말장치에 2개의 케이블이 요구되므로, 다량의 케이블을 새롭게 설치해야 하므로, 그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상황을 고려하여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설비를 이용하여 다중화된 위성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 및 단말장치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신장치의 구성일례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 블록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주요부의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단말장치의 구성일례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 블록도.
도 5a, 도 5b, 도 5c 및 도 5d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주요부의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IF다운컨버터에서 발생하는 상호변조왜곡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 및 단말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종래 수신장치 및 종래 단말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종래 수신장치 및 종래 단말장치의 구성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공동수신장치 2. 단말장치
10. 방송위성
11. 파라볼라안테나(수신수단, 제 1수신수단)
12. 저잡음블록(LNB)변환기 16. 텔레비젼수상기
51. 편파분기필터편파분파기(분리수단)
52,53. 저잡음변환기(변환수단) 54. 혼합기(혼합수단)
55. 지상파 텔레비젼방송용 안테나(제 2수신수단)
56. 혼합기 56a. 입력부(제 2수신수단)
57, 58. 분배기 59. 분기필터
60. 선택회로 61. 수신기
101. 증폭기 (입력수단) 102. 편파스위치(선택수단, 출력수단)
103,110. 밴드패스필터(BPF) 106. 로패스필터(LPF)
104,108. 국부발진기 107. 증폭기
111. 편파스위치(선택수단) 120. IF다운컨버터(변환수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관점에 의하면, 수신장치는, 다중화된 방송파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과,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다중화된 방송파신호를 다수의 방송파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수단과,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다수의 방송파를 서로 다른 주파수의 IF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수단과,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IF신호를 처리부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2관점에 의하면, 수신방법은, 다중화된 방송파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다중화된 방송파를 다수의 방송파로 분리하는 단계와, 분리된 다수의 방송파를 서로 다른 주파수의 IF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관점에 의하면, 수신장치는, 위성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제 1수신수단과, 케이블 텔레비젼방송 또는 지상파 텔레비젼방송 중 하나를 수신하기 위한 제 2수신수단과, 제 1수신수단과 제 2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위성방송신호나, 케이블텔레비젼 방송신호 또는 지상파 텔레비젼 방송신호를, 서로 간섭하지 않는 주파수대역의 IF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수단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4관점에 의하면, 수신방법은, 위성방송을 수신하는 단계와, 케이블텔레비젼 방송이나 지상파 텔레비젼방송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위성방송신호나 수신된 케이블텔레비젼 방송신호나 수신된 지상파 텔레비젼 방송신호를 서로 간섭하지 않는 주파수대역의 IF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관점에 의하면, 단말장치는, 수신장치로부터 공급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다수의 IF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다수의 IF신호로부터 원하는 IF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과,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IF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관점에 의하면, 수신방법은, 수신장치로부터 공급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다수의 IF신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다른 주파수를 갖는 입력된 다수의 IF신호로부터 원하는 IF신호를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IF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관점에 의한 수신장치에 있어서, 다중화된 방송파는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되며, 수신된 다중화된 방송파는 분리수단에 의해서 다수의 방송파로 분리되며,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다수의 방송파는 변환수단에 의해서 서로 다른 주파수의 IF신호로 변환되며,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IF신호는 출력수단에 의해서 처리부로 출력된다.
본 발명의 제 2관점에 의한 수신방법에 있어서, 다중화된 방송파가 수신되며, 수신된 다중화된 방송파가 다수의 방송파로 분리되며, 분리된 다수의 방송파신호는 서로 다른 주파수의 IF신호로 변환된다.
본 발명의 제 3관점에 의한 수신장치에 있어서, 위성방송이 제 1수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되고, 케이블텔레비젼 방송과 지상파 텔레비젼방송 중 적어도 하나가 제 2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되고, 제 1 및 제 2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위성방송신호나 케이블텔레비젼 방송신호 또는 지상파 텔레비젼 방송신호가 변환수단에 의해서 서로 간섭하지 않는 주파수대역의 IF신호로 변환된다.
본 발명의 제 4관점에 의한 수신방법에 있어서, 위성방송이 수신되고, 케이블텔레비젼방송과 지상파 텔레비젼방송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고, 수신된 위성방송신호나 수신된 케이블텔레비젼방송신호나 수신된 지상파텔레비젼 방송신호가 서로 간섭하지 않는 주파수대역의 신호로 변환된다.
본 발명의 제 5관점에 의한 단말장치에 있어서, 수신장치로부터 공급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다수의 IF신호가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되고,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다수의 IF신호 중에서 희망하는 IF신호가 선택수단에 의해서 선택되고,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IF신호가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된다.
본 발명의 제 6관점에 의한 수신방법에 있어서, 수신장치로부터 공급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다수의 IF신호가 입력되고, 다른 주파수를 갖는 입력된 IF신호의 여러 유형 중에서 희망하는 IF신호가 선택되고, 선택된 IF신호가 출력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관점 및 새로운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읽을 때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하게 될 것이다.
다음의 설명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수신장치와 단말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 대한 요점을 우선 설명하며, 그후 공동수신장치와 단말장치의 각각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와 단말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방송위성(10)은 다른 정보를 좌선편파와 우선편파에 가산함으로써 다중화된 RF대역의 전파를 지구의 지상을 향하여 송신한다. 공동수신장치(1)는 방송위성(10)으로부터 송신된 전파와 지상파 텔레비젼방송파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신호를 각 시청자(각 세대)의 단말장치(2)에 분배한다. 단말장치(2)는 공동수신장치(1)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입력하고 그 신호를 복조한다.
공동수신장치(1)의 파라볼라안테나(11) (수신수단, 제 1수신수단)는 방송위성으로부터 송신된 전파를 파라볼라 반사면에 의해 반사하여, 그 전파를 수신한다. LNB변환기(12)는 파라볼라안테나(11)에 의해 수신된 RF대역의 전파를 좌선편파의 전파 및 우선편파의 전파로 분리하고, 그들 전파를 IF신호로 각각 변환한 후, 그 IF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다음에 설명될 편파 분기필터(51) (분리수단)와, 저잡음 변환기(52) (변환수단)와 저잡음 변환기(53) (변환수단)은 실제 구성에 있어 LNB변환기(12) 내에 포함된다. 그러나, 신호처리상태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서, 이들을 분리하여 도시한다.
편파분기필터(51)는 파라볼라안테나(11)에 의해 수신된 RF대역의 전파를 좌선 및 우선편파성분으로 분리한다. 편파분기필터(51)로부터 공급된 좌선 및 우선편파성분이 저잡음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후, 저잡음변환기(52, 53)는 편파성분을 다른 IF대역의 신호로 변환한다.
혼합기(54) (혼합수단)는 저잡음변환기(52, 53)로부터 공급된 우선편파 및 좌선편파에 상응하는 IF신호들을 서로 혼합한다. 지상파 텔레비젼방송용 안테나(55) (제 2수신수단)는 지상파 텔레비젼 방송파(UHF 및 VHF대역의 전파)를 수신한다. 혼합기(56)는 혼합기(54)로부터 공급되는 우선편파와 좌선편파가 혼합된 IF신호와, 지상파 텔레비젼방송용 안테나(55)로부터 공급되어 입력부(56a) (제 2수신수단)에 입력되는 지상파 텔레비젼방송신호와를 혼합하여, 그것을 IF신호케이블을 통하여 출력한다. 분배기(57, 58)는 혼합기(56)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각 단말장치(2)에 분배한다.
단말장치(2)의 분기필터(59)는, 각 시청자의 세대에 배치되며, 분배기(58)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지상파 텔레비젼방송신호와 위성방송의 IF신호로 분리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선택회로(60)는 분기필터(59)로부터 공급된 위성방송의 IF신호를 입력하고, 수신기(61)로부터 공급된 편파 절환신호에 의거해서 우선편파 또는 좌선편파의 IF신호를 선택하고, IF신호에 대해 소정의 주파수변환을 실행한 이후에, 선택회로(60)는 그 신호를 수신기(61)로 출력한다.
수신기(61)는 시청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지상파 텔레비젼방송신호와, 우선편파신호와 좌선편파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고, 이들 신호에 대한 소정의 처리를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그 신호를 텔레비젼수상기(16)로 출력한다. 또한, 텔레비젼수상기(16)는 수신기(61)로부터 공급된 신호로부터 영상 및 음성신호를 추출하고, 그 신호를 출력하여 표시를 행한다.
상기 설명된 예의 작동을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및 좌선으로 편극화된 전파가 다중화되어 있으며 방송위성(10)으로부터 송신되는 전파는 파라볼라안테나(11)에 의해서 수신되고, LNB변환기(12) 내에 포함된 편파 분기필터(51)에 의해서 우선편파 및 좌선편파성분으로 분리된다.
또한, 우선편파 및 좌선편파성분이 각각 저잡음변환기(52, 53)에 의해 증폭된 이후에, 편파성분이 다른 주파수의 IF신호로 변환되고, 혼합기(54)로 출력된다.
혼합기(54)는 저잡음변환기(52, 53)로부터 각각 공급된 우선편파 및 좌선편파에 상응하는 IF신호를 혼합하고, 그 혼합된 IF신호를 혼합기(56)로 출력한다. 혼합기(56)는 지상파 텔레비젼 방송용 안테나(55)에 의해 수신되며 입력부(56a)로 입력되는 지상파 텔레비젼 방송신호와, 우선편파 및 좌선편파가 혼합되어서 혼합기(54)로부터 공급되는 IF신호와를 혼합하여, 그 혼합된 신호를 출력한다.
혼합기(56)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IF신호케이블을 통하여 실내로 입력되고, 분배기(57, 58)에 의해서 각 단말장치(2)로 분배된다.
분기필터(59)는 분배기(58)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지상파 텔레비젼 방송신호와 위성방송의 IF신호로 분리한다. 그후, 지상파 텔레비젼 방송신호는 수신기(61)로 출력되고, 위성방송의 IF신호는 선택회로(60)로 출력된다.
선택회로(60)는 분기필터(59)에서 공급된 위성방송의 IF신호로부터 우선편파 및 좌선편파에 상응하는 IF신호를 추출한다. 그후, 선택회로(60)는 수신기(61)로부터 공급된 편파절환신호에 의거해서 우선편파 또는 좌선편파를 선택하고, 그것에 대하여 소정의 주파수변환작동을 실행하고, 그후 선택된 편파를 수신기(61)로 출력한다.
수신기(61)는 시청자의 조작에 기초해서, 지상파 텔레비젼 방송신호와, 우선편파에 상응하는 IF신호 및 좌선편파에 상응하는 IF신호 중에서 한 유형의 신호를 선택하고, 그 신호를 텔레비젼 수상기(16)로 출력한다.
지상파 텔레비젼 방송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시청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에, 수신기(61)는 분기필터(59)로부터 공급된 지상파 텔레비젼 방송신호를 텔레비젼 수상기(16)로 공급한다.
또한, 우선편파가 포함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시청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에, 수신기(61)는 우선편파를 선택하기 위한 편파절환신호를 선택회로(60)에 공급하고, 그로인해 출력된 우선편파에 상응하는 IF신호가 텔레비젼 수상기(16)로 공급된다. 좌선편파가 포함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시청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에, 수신기(61)는 좌선편파를 선택하기 위한 편파절환신호를 선택회로(60)에 공급하고, 그로인해 출력되는 좌선편파에 상응하는 IF신호가 텔레비젼 수상기(16)에 공급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위성방송의 우선편파 및 좌선편파성분은 저잡음변환기(52, 53)에 의해 서로 간섭하지 않는 IF신호로 변환되며, 우선편파와, 좌선편파 및 지상파 텔레비젼 방송신호는 혼합기(54, 56)에 의해서 단일 유형의 신호로 혼합된다. 그러므로, 세가지 유형의 다른 신호가 단일 케이블을 통하여 실내에 배치된 각 단말장치(2)에 공급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들어, 지상파 텔레비젼신호나 CATV 방송신호를 각 세대에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이 이미 설치되어 있는 다가구 거주지역 등에서, 케이블을 새롭게 설치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위성방송을 새롭게 수신하기 위해 셋업을 변경할때 이들 세가지 유형의 신호를 공동으로 다룰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각 신호에 대하여 분배기(57, 58)를 개별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공동수신시스템의 공동수신장치(1)의 구성에 대하여 이하에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신장치(1)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의 구성성분과 동일한 도 2의 구성성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주어지며, 따라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원편파 발생기(81)는, 파라볼라안테나(11)에 의해 수신된 전파에 포함되는 12.22∼12.66GHz의 우선편파 및 12.24∼12.68GHz의 좌선편파를 각각 수평 및 수직편파로 변환한다. 편파 분기필터(51)는 원편파 발생기(81)로부터 공급된 수평편파 및 수직편파로부터 우선 및 좌선편파성분을 추출하고, 우선편파성분을 저잡음변환기(52)로, 좌선편파성분을 저잡음변환기(53)로 공급한다.
저잡음 변환기(52)는 편파 분기필터(51)로부터 공급된 우선편파를 증폭하기 위한 저잡음증폭기(52a)와, 11.25GHz의 주파수(국부발진주파수)를 갖는 국부발진기(52b)와, 저잡음증폭기(52a)와 국부발진기(52b)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서로 승산하는 처리를 행하기 위한 승산기(52c)와, 승산기(52c)의 출력신호의 전력을 증폭하기 위한 버퍼(52d)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잡음변환기(53)는 편파분기필터(51)로부터 공급된 좌선편파를 증폭하기 위한 저잡음증폭기(53a)와, 10.675GHz의 주파수를 갖는 국부발진기(53b)와, 저잡음증폭기(53a)와 국부발진기(53b)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서로 승산하는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승산기(53c)와, 승산기(53c)의 출력신호의 전력을 증폭하기 위한 버퍼(53d)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잡음변환기(52)의 국부발진기(52b)의 국부발진주파수(=11.25GHz)는 개별수신되는 경우(각 세대별로 수신하기 위해 파라볼라안테나를 개별적으로 설치한 경우)의 주파수와 동일하다. 반면, 저잡음변환기(53)의 국부발진기(53b)의 국부발진주파수(=10.675GHz)에 대해서, 국부발진기(52b)의 국부주파수를 간섭하지 않는 주파수가 선택된다.
혼합기(54)는 우선편파성분 중 970∼1410MHz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밴드패스필터(54a)와, 좌선편파성분 중에서 1565MHz나 그 이상의 신호만을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하이패스필터(54b)와, 밴드패스필터(54a)와 하이패스필터(54b)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서로 가산하기 위한 가산기(54c)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혼합기(56)는 지상파 텔레비젼방송용 안테나(55)로부터 공급되는 지상파 텔레비젼 방송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56a)와, 입력부(56a)로부터 입력된 신호 중에서 806MHz 이하의 신호만을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로패스필터(56b)와, 혼합기(54)와 로패스필터(56b)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서로 가산하기 위한 가산기(56c)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는 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주요부의 신호를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신호를 참고하여, 도 2의 실시예의 작동을 이하에 설명한다.
방송위성(10)으로부터 송신된 우선편파(12.22∼12.66GHz)와 좌선편파(12.24∼12.68GHz)가 다중화되어 있는 전파(도 3a)가 파라볼라안테나(11)에 의해 수신되고, 원편파 발생기(81)로 공급된다. 원편파 발생기(81)는 수신된 전파에 포함되어 있는 우선 및 좌선편파를 수평 및 수직편파로 변환하고, 그것을 편파분기필터(51)로 공급한다. 편파분기필터(51)는 수평 및 수직편파를 우선편파(도 3b)와 좌선편파(도 3c)로 분리하고, 그것을 각각 저잡음변환기(52, 53)에 공급한다.
저잡음변환기(52)로 공급된 우선편파(도 3b)는 증폭기(52a)에 의해 증폭된다. 증폭된 신호는 승산기(52c)에 의해서 국부발진기(52b)로부터 공급된 11.25GHz의 신호와 승산된다. 그 결과, 12.22∼12.66GHz의 주파수대역을 갖는 우선편파성분(도 3b)은 970MHz(=12.22GHz-11.25GHz) 내지 1410MHz(=12.66GHz-11.25GHz)의 IF신호로 변환된다. 그후, 그 전력은 버퍼(52d)에 의해서 증폭된후, 출력된다.
반면, 저잡음변환기(53)로 공급된 좌선편파성분(도 3c)은 증폭기(53a)에 의해 증폭된다. 증폭신호는, 승산기(53c)에 의해서 국부발진기(53b)로부터 공급된 10.675GHz의 신호와 승산된다. 그 결과, 12.24∼12.68GHz의 주파수대역을 갖는 좌선편파성분(도 3c)은 1565MHz(=12.24GHz-10.675GHz) 내지 2005MHz(=12.68GHz-10.675GHz)의 IF신호로 변환된다. 그후, 그 전력은 버퍼(53d)에 의해 증폭된 후, 출력된다.
저잡음변환기(52)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970∼1410MHz의 통과대역을 갖는 밴드패스필터(54a)에 공급되며, 따라서 우선편파성분 이외의 신호는 제거된다. 또한, 저잡음변환기(53)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1565MHz의 차단주파수를 갖는 하이패스필터(54b)로 공급되며, 따라서 유사하게 좌선편파성분 이외의 신호는 제거된다. 그후, 우선편파 및 좌선편파성분은 가산기(54c)에 의해 서로 가산되고, 혼합기(56)로 출력된다.
지상파 텔레비젼방송용 안테나(55)에 의해 수신된 지상파 텔레비젼방송신호는 입력부(56a)로 입력되고, 그후 806MHz의 차단주파수를 갖는 로패스필터(56b)로 공급된다. 지상파 텔레비젼방송신호 이외의 신호가 제거된 이후, 그 신호는가산기(56c)에 의해서 혼합기(54)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가산됨으로써, IF신호(도 3d)를 형성하게 된다. 그후, 이들 IF신호는 IF신호케이블을 통하여 각 단말장치(2)에 분배된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구성에 있어서, 위성방송의 우선편파성분과 위성방송의 좌선편파성분 및 지상파 텔레비젼방송신호는 서로 간섭하기 않는 주파수의 신호로 변환되고, 서로 혼합된 후, 출력된다. 그러므로, 단일의 IF신호케이블을 통하여 신호를 송신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는, 단말장치(2)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단말장치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은 도 4를 참고하여 이루어진다.
도 4의 블록도에 있어서, 간략화를 위해서 수신기(61)와 텔레비젼수상기(16)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으며, 분기필터(59)와 선택회로(60)의 블록도에 대해서만 도시한다.
도 4에 있어서, 분기필터(59)는 입력된 IF신호를 지상파 텔레비젼방송신호 및 위성방송의 IF신호로 분리한다. 분기필터(59)로부터 출력된 지상파 텔레비젼 방송신호는 수신기(61)로 공급되는 한편, 위성방송의 IF신호는 증폭기(101)(입력수단)로 공급된다.
증폭기(101)는 분기필터(59)로부터 출력된 위성방송의 IF신호를 증폭하고, 그 증폭신호를 편파스위치(102) (선택수단, 출력수단)로 공급한다. 수신기(61)로부터 공급된 절환전압(편파절환신호와 동일함)이 13V일 경우, 편파스위치(102)는 위성방송의 IF신호로부터 우선편파에 상응하는 IF신호를 추출하고, 그것을 편파스위치(111) (선택수단)로 공급한다. 또한, 절환전압이 18V일 경우, 편파스위치(102)는 위성방송의 IF신호로부터 좌선편파에 상응하는 IF신호를 추출하고, 그것을 IF다운컨버터(120) (변환수단)로 공급한다.
IF다운컨버터(120)의 밴드패스필터(BPF) (103)는 1350∼2100MHz의 통과대역을 가지며, 이후에 설명될 2212MHz의 국부발진주파수에서의 주파수변환에 있어서 발생하는, 이미지대역 [3777(=1565+2212)MHz∼4217(=2005+2212)MHz]의 신호성분이 2212MHz의 국부발진주파수에서 다시금 변환되고 출력되는 것을 방지한다(소위 이미지제거라 칭해짐). 더욱이, 밴드패스필터(103)는 좌선편파 이외의 신호성분을 제거하는 효과를 갖는다.
승산기(105)는 2212MHz의 국부발진주파수를 갖는 국부발진기(104)의 출력신호와 밴드패스필터(103)의 출력신호와를 승산한다. 로패스필터(LPF) (106)는 승산기(105)의 출력신호 중에서 차단주파수 이하의 신호만을 출력한다. 증폭기(107)는 로패스필터(106)의 출력신호를 증폭한다.
승산기(109)는 1637MHz의 발진주파수를 갖는 국부발진기(108)로부터 공급된 신호와 증폭기(107)로부터 출력된 신호와를 승산한다. 밴드패스필터(110)는 승산기(109)로부터 출력된 신호 중에서 900∼1500MHz인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신호를 편파스위치(111)에 출력한다.
상기 설명된 편파스위치(102)와 유사하게, 편파스위치(111)는, 수신기(61)로부터 공급된 절환전압이 13V일 경우 편파스위치(102)로부터 공급된 우선편파에 상응하는 IF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반면, 절환전압이 18V일 경우, 편파스위치(111)는 IF다운컨버터(120)로부터 공급된 좌선편파에 상응하는 IF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커패시터(112)는 선택회로(60)와 수신기(61)가 서로 영향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신호에 포함된 DC성분을 차단한다. 더욱이, 코일(113)은 우선편파 및 좌선편파에 상응하는 IF신호(고주파신호)가 전원부(114)에 대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전원부(114)는 수신기(61)로부터 공급된 절환전압에 의거해서 13V나 18V의 전압을 출력한다.
도 5a, 도 5b, 도 5c 및 도 5d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주요부의 신호를 나타낸다. 도 5a, 도 5b, 도 5c 및 도 5d를 참고하여 도 4의 실시예의 작동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분배기(58)로부터 공급된 IF신호(도 5a)는 지상파 텔레비젼방송신호와 위성방송의 IF신호로 분리된다. 그후, 지상파 텔레비젼방송신호는 분기필터출력신호(도 5b)로써 수신기(61)에 출력된다. 반면, 위성방송의 IF신호는 증폭기(101)로 공급되어서 신호가 증폭되고, 그후 편파스위치(102)로 공급된다.
편파스위치(102)는, 수신기(61)로부터 공급된 절환전압이 13V일 경우, 증폭기(101)로부터 공급된 위성방송의 IF신호 중에서 우선편파에 상응하는 IF신호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IF신호를 편파스위치(111)로 출력한다. 반면, 절환전압이 18V일 경우, 편파스위치(102)는 위성방송의 IF신호 중에서 좌선편파에 상응하는 IF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IF신호를 IF다운컨버터(120)로 공급한다.
IF다운컨버터(120)의 밴드패스필터(103)는 편파스위치(102)로부터 공급된 좌선편파에 상응하는 IF신호(1565∼2005MHz) 중 1350∼2100MHz의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키고, 그것을 승산기(105)로 출력한다. 그 결과, 상기 설명된 방식으로, 이미지대역의 주파수성분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승산기(105)는 2212MHz의 발진주파수를 갖는 국부발진기(104)의 출력신호와 밴드패스필터(103)의 출력신호와를 승산하고, 그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한 승산의 결과, 좌선편파의 IF신호의 주파수대역은 1565MHz∼2005MHz의 범위에서 207MHz (=2212MHz - 2005MHz) ∼647MHz (=2212MHz - 1565MHz)의 범위로 하향변환된다.
좌선편파의 하향변환된 IF신호(승산기(105)의 출력신호)는 800MHz의 차단주파수를 갖는 로패스필터(106)로 입력됨으로써, 원치않는 조파성분이 제거된다.
또한 IF신호가 증폭기(107)에 의해 증폭된 이후, 그 신호는 승산기(109)에 입력된다.
승산기(109)는 1637MHz의 발진주파수를 갖는 국부발진기(108)의 출력신호와 증폭기(107)의 출력신호와를 승산하여, 그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승산의 결과, 증폭기(107)로부터 공급된 좌선편파에 상응하는 IF신호의 주파수대역은 207∼647MHz의 범위에서 990MHz (=1637MHz - 647MHz) ∼1430MHz (=1637MHz -207MHz)범위로 상향변환된다.
좌선편파에 상응하는 상향변환된 IF신호(승산기(109)의 출력신호)는 900∼1500MHz의 통과대역을 갖는 밴드패스필터(110)로 입력됨으로써, 원치않는 저주파 및 고주파성분이 제거되고, 그후 IF다운컨버터(120)의 출력신호로써 편파스위치(111) 내로 입력된다.
수신기(61)로부터 공급된 절환전압이 13V일 경우, 편파스위치(111)는 편파스위치(102)로부터 공급된 신호(우선편파에 상응하는 IF신호)를 선택하고, 그 신호를 출력한다. 반면, 절환전압이 18V일 경우, 편파스위치(111)는 IF다운컨버터(120)로부터 공급된 신호(좌선편파에 상응하는 IF신호)를 선택차고, 그 신호를 출력한다.
편파스위치(111)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커패시터(112)를 거쳐서 수신기(61)로 공급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시청자가 수신기(61)를 거쳐서 소정의 조작을 행할때, 지상파 텔레비젼방송이나 위성방송의 우선편파 또는 위성방송의 좌선편파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그것을 복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6a는 도 4에 도시된 IF다운컨버터(120)의 국부발진기(104, 108)의 각 출력(2212MHz 및 1637MHz)의 주파수축(수평축)상의 플롯이다. 만일 이들 다른 주파수의 신호가 서로 변조된다면, 상호변조왜곡이 발생한다.
도 6b는 IF다운컨버터(120)에 의해 하향변환된 이후의 좌선편파성분들(990∼1430MHz)과 상호변조왜곡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상호변조왜곡은 각 신호의 주파수의 배수의 합과 그 차분의 주파수성분으로 된다. 그러므로, 두 국부발진주파수인 1637MHz 및 2212MHz 사이의 차분주파수인 575MHz의 왜곡이 발생한다. 더욱이, 국부발진주파수 575MHz와 1637MHz의 상호변조의 결과, 차분주파수인 1062MHz의 왜곡성분이 발생한다. 더욱이, 상기 575MHz의 제 2차 고조파인 1150MHz의 왜곡성분이 발생한다.
이들 왜곡성분은 좌선편파성분에 중첩된다. 그러므로, 방송프로그램에 대해 영향을 끼치지 않기 위해서는, 이들 상호변조왜곡성분(1150MHz 또는 1062MHz)이 좌선편파성분들 사이(1130MHz 채널과 1160MHz 채널과의 사이 또는 1020MHz 채널과 1080MHz 채널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국부발진기(104, 108)의 국부발진주파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단말장치(2)에서는, 2개의 다른 국부발진주파수를 이용하여 신호주파수변환을 행하는 경우, 국부발진주파수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방송신호의 채널 사이에 상호변조왜곡을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상호변조왜곡에 의해서 방송신호에 대해 행해지는 영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575MHz의 상호변조왜곡은 저잡음블록 내의 밴드패스필터(54a)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필터(103)에 의해서 상호변조왜곡이 제거될수 있을 뿐만아니라, 증폭기(101)가 상호변조왜곡에 대하여 증폭이득의 역수의 감쇠기로써 기능하므로, 상호변조왜곡의 영향이 작아진다.
도 4에 도시된 IF다운컨버터(120)에 있어서, 2212MHz의 국부발진주파수에서 하향변환이 실행되는 반면, 1637MHz의 국부발진주파수에서 상향변환이 실행된다. 따라서, 575MHz의 하향변환이 이루어진다. 상기 설명된 방식으로 2회의 다른 스텝으로 신호를 주파수변환하는 방법은 소위 이중 변환이라 칭한다. 이 방법은 신호의 주파수를 1회로 변환하는 단일 변환과 비교할때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a) 단일변환에 있어서, 575MHz의 국부발진주파수가 이용된다. 이 주파수는 지상파 텔레비젼방송의 주파수대역 내에 위치하며, 이 신호의 레벨이 예를들어 대략 +10dBmW(데시벨 미리와트)로 높으므로, 그 신호는 방송신호에 대하여 영향을 미치게 된다. 반면, 이중변환에 있어서, 2개의 국부발진주파수(2212 및 1637MHz)는 얻어진 좌선편파신호의 주파수대역(990∼1430MHz) 외이므로, 신호는 방송신호에 대하여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b) 단일 변환의 경우에, 기본신호의 우선편파가 좌선편파에 대하여 30dB이상 억제되므로, 1410∼1565MHz 범위의 차단주파수를 갖는 고감도 특성을 갖는 하이패스필터를 삽입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 주파수대역에서 고감도 특성을 갖는 하이패스필터를 저렴하게 형성하는 것이 어렵다. 반면, 이중변환의 경우에는, 그것을 다수의 필터로 분할함으로써 하이패스필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각 필터가 고감도 특성을 가질 필요는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우선편파 및 좌선편파로 다중화된 위성방송파가 이용되지만, 수평 및 수직편파로 다중화된 위성방송파가 이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에 도시된 선택회로(60)에서, IF다운컨버터(120)는 좌선편파의 주파수변환을 실행하도록 장치된다. 그러나, 만일 수신기(61)의 입력된 주파수대역이 좌선편파의 주파수대역(1565∼2005MHz)에 대응한다면, IF다운컨버터(120)는 생략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와 단말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지상파 텔레비젼 방송을 포함하는 CATV(케이블텔레비젼)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의 구성성분과 동일한 도 7의 구성성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주어지며, 따라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서, 혼합기(56)는 혼합기(54)로부터 공급된 위성방송의 IF신호와 입력부(56a)에 접속된 케이블(도시생략)로부터 공급된 CATV방송신호를 혼합하고, 혼합된 신호를 출력한다. 더욱이, 저잡음변환기(52, 53)는, 우선편파의 IF신호와, 좌선편파의 IF신호 및 CATV방송신호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주파수변환을 실행한다.
분기필터(59)는 분배기(58)로부터 공급된 IF신호를 위성방송의 IF신호와 CATV신호로 분리한다. 그후, 분기필터(59)는 위성방송의 IF신호를 선택회로(60)에 공급하고, CATV방송신호를 수신기(61)로 공급한다.
이 구성의 다른 부분은 도 1의 경우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중화된 위성방송 뿐만 아니라 CATV방송도 수신할 수 있으며, 단일의 IF신호케이블을 통하여 그 방송들을 각 단말장치(2)에 분배할 수 있다. 또한, 선택회로(60)는 수신기(61)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1관점에 의한 수신장치와 본 발명의 제 2관점에 의한 수신방법에 의하면, 다중화된 방송전파가 수신되며, 수신된 다중화방송전파는 다수의 방송전파로 분리되고, 다수의 분리된 방송전파는 서로 다른 주파수의 IF신호로 변환되며, 변환된 IF신호는 처리부로 출력된다. 따라서, 다중화된 방송전파를 단일 케이블을 거쳐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케이블을 새롭게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더욱이, 다수의 IF신호는 단일의 신호로써 취급될 수 있으며, 따라서 분배신호용 분배기의 수 등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3관점에 의한 수신장치 및 본 발명의 제 4관점에 의한 수신방법에 의하면, 위성방송이 수신되고, 케이블텔레비젼방송과 지상파 텔레비젼방송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고, 수신된 위성방송신호나 케이블텔레비젼 방송신호 또는 지상파 텔레비젼 방송신호가 서로 간섭하지 않는 주파수의 신호로 변환된다. 따라서, 존재하는 분리장치와 존재하는 IF케이블을 이용함으로써 위성방송을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5관점에 의한 단말장치와 본 발명의 제 6관점에 의한 수신방법에 의하면, 공동수신장치로부터 공급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다수의 IF신호가 입력되고, 다른 주파수를 갖는 다수의 입력된 IF신호로부터 희망하는 IF신호가 선택되고, 선택된 IF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다중화된 방송을 확실히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진의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면, 본 발명의 다른 여러 실시예가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반면, 본 발명은 이하의 청구범위에 청구된 바와같은 본 발명의 진의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수정 및 동등한 구성을 모두 포함한다. 이하의 청구범위는 그러한 모든 수정과, 동등한 구성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광범위하게 이해될 필요가 있다.

Claims (38)

  1. 다중화된 방송파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다중화된 방송파를 다수의 방송파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수단;
    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상기 다수의 방송파를 서로 다른 주파수의 IF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수단;및
    상기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상기 IF신호를 처리부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에 의해서 변환된 상기 다수의 IF신호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은 상기 다수의 방송과 중에서 적어도 한 유형의 방송파를 상기 처리부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주파수대역의 상기 IF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파는 위성을 거쳐서 송신된 전파이며, 지상파 텔레비젼방송파 또는 케이블텔레비젼 방송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기 위한 제 2수신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변환수단은 상기 다수의 IF신호를 상기 제 2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지상파 텔레비젼방송파 또는 상기 케이블텔레비젼 방송신호의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를 갖는 IF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5. 다중화된 방송파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다중화된 방송파를 다수의 방송파로 분리하는 단계;및
    상기 다수의 분리된 방송파를 서로 다른 주파수의 IF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방법.
  6. 위성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제 1수신수단;
    케이블 텔레비젼방송이나 지상파 텔레비젼방송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기 위한 제 2수신수단;
    상기 제 1수신수단과 상기 제 2수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상기 위성방송신호나 상기 케이블텔레비젼 방송신호나 또는 상기 지상파텔레비젼 방송신호를 서로 간섭하지 않는 주파수대역의 IF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7. 위성방송을 수신하는 단계;
    케이블 텔레비젼방송과 지상파 텔레비젼 방송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위성방송신호나, 상기 수신된 케이블텔레비젼 방송신호나 또는 상기 수신된 지상파텔레비젼 방송신호를 서로 간섭하지 않는 주파수대역의 IF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방법.
  8. 다중화된 방송파를 수신하고, 이들 다중화된 방송파를 다른 주파수를 갖는 다수의 IF신호로 변환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는 수신장치로부터의 IF신호를 입력하는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장치로부터 공급된 다른 주파수를 갖는 상기 다수의 IF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다른 주파수를 갖는 상기 다수의 IF신호로부터 원하는 IF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및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IF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IF신호를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은 주파수를 변환하기 위한 다수의 국부발진기를 갖추어 구성되며, 상기 국부발진기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신호의 상호간섭의 결과 발생하는 상호변조왜곡의 주파수가 상기 다수 IF신호의 채널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1. 다중화된 방송파를 수신하고, 이들 다중화된 방송파를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다수의 IF신호로 변환하고 그것을 출력하는 수신장치로부터의 IF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단말장치의 수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장치로부터 공급된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상기 다수의 IF신호를 입력하는 단계;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상기 다수의 입력된 IF신호 중에서 원하는 IF신호를 선택하는 단계;및
    상기 선택된 IF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방법.
  12. 공동수신수단과 다수의 단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동수신수단은,
    다중화된 방송파를 수신하기 위한 제 1수신수단;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다중화된 방송파를 다수의 방송파로 분리하기 위한 제 1분리수단;
    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상기 다수의 방송파를 서로 다른 주파수의 IF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수단;및
    상기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상기 IF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1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공동수신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IF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상기 단말장치의 각각은,
    상기 공동수신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다수의 IF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상기 다수의 IF신호로부터 원하는 IF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IF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2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수신수단은 실외에 설치하며, 상기 단말장치는 실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시스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수신수단은
    상기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상기 다수의 IF신호를 혼합하기 위한 제 1혼합수단;
    케이블텔레비젼 방송신호나 지상파 텔레비젼 방송파 중 하나를 수신하기 위한 제 2수신수단;및
    상기 제 1혼합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상기 제 2수신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케이블 텔레비젼 방송신호나 지상파 텔레비젼 방송파 중 하나와 혼합하여, 상기 다수의 IF신호와 상기 케이블 텔레비젼 방송신호 또는 지상파 텔레비젼 방송파를 포함하는 혼합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2혼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시스템.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수신수단은 상기 제 1출력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상기 각 단말장치로 분배하기 위한 분배수단을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시스템.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말장치는 상기 공동수신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상기 방송파로부터 변환된 상기 다수의 IF신호와 상기 케이블텔레비젼 방송신호나 지상파 텔레비젼 방송파 중 하나로 분리하기 위한 제 2분리수단을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시스템.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된 방송파는 우선편파 및 좌선편파로 다중화된 RF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시스템.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출력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IF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수신기로부터 공급된 편파절환신호에 의거해서 상기 IF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시스템.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분리수단은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다중화된 방송파를 상기 우선편파와 상기 좌선편파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시스템.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은, 제 1의 소정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상기 우선편파를 제 2의 소정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우선편파로 변환하기 위한 제 1변환수단;
    제 3의 소정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상기 좌선편파를 제 4의 소정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좌선편파로 변환하기 위한 제 2변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시스템.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변환수단은
    공급된 우선편파를 증폭하기 위한 제 1증폭기;
    제 1국부발진주파수를 갖는 제 1국부발진기;
    상기 제 1증폭기와 상기 제 1국부발진기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승산하는 제 1승산기; 및
    상기 승산기의 출력신호의 전력을 증폭하기 위한 제 1버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시스템.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변환수단은
    공급된 좌선편파를 증폭하기 위한 제 2증폭기;
    제 2국부발진주파수를 갖는 제 2국부발진기;
    상기 제 2증폭기와 상기 제 2국부발진기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승산하는 제 2승산기; 및
    상기 승산기의 출력신호의 전력을 증폭하기 위한 제 2버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시스템.
  2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제 3국부발진주파수를 갖는 제 3국부발진기와 상기 제 3국부발진주파수와 다른 제 4국부발진주파수를 갖는 제 4국부발진기를 구비하며,
    상기 선택수단은 입력된 IF신호중 좌선편파신호를 상기 제 3국부발진기의 출력신호와 승산하여 하향변환시키고,
    상기 좌선편파의 하향변환된 IF신호를 상기 제 4국부발진기의 출력신호와 승산하여 상향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시스템.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국부발진주파수와 상기 제 4국부발진주파수 사이의 차분에 의해 생기는 상호간섭의 결과 발생하는 상호변조왜곡의 주파수는 상기 다수 IF신호의 채널들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시스템.
  2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장치는 실외에 놓이는 공동수신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2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상기 다수의 IF신호를 혼합하기 위한 제 1혼합수단; 상기 제 1혼합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상기 케이블텔레비젼 방송신호나지상파 텔레비젼 방송파 중 적어도 하나를 혼합하고, 상기 다수의 IF신호와 상기 케이블텔레비젼 방송신호 또는 지상파 텔레비젼 방송파 중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혼합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2혼합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2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출력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각 단말장치로 분배하기 위한 분배수단을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2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다중화된 방송파를 우선편파와 좌선편파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은 상기 분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제 1의 소정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상기 우선편파를 제 2의 소정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우선편파로 변환하여 상기 출력수단에 출력하기 위한 제 1변환수단;
    상기 분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제 3의 소정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상기 좌선편파를 제 4의 소정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좌선편파로 변환하여 상기 출력수단에 출력하기 위한 제 2변환수단을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변환수단은
    공급된 우선편파를 증폭하기 위한 제 1증폭기;
    제 1국부발진주파수를 갖는 제 1국부발진기;
    상기 제 1증폭기와 상기 제 1국부발진기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승산하는 제 1승산기; 및
    상기 승산기의 출력신호의 전력을 증폭하기 위한 제 1버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변환수단은
    공급된 좌선편파를 증폭하기 위한 제 2증폭기;
    제 2국부발진주파수를 갖는 제 2국부발진기;
    상기 제 2증폭기와 상기 제 2국부발진기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승산하는 제 2승산기; 및
    상기 승산기의 출력신호의 전력을 증폭하기 위한 제 2버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3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된 방송파는 우선편파와 좌선편파로 다중화된 RF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방법.
  3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방송은 우선편파 및 좌선편파로 다중화된 RF신호인 다중화된 방송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방법.
  3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실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케이블텔레비젼 방송신호나 지상파텔레비젼 방송파중 하나를 입력하고,
    상기 단말장치는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다른 주파수를 갖는 상기 다수의 IF신호와 케이블텔레비젼 방송신호나 지상파텔레비젼 방송신호로부터 방송파로부터 변환된 IF신호와 상기 케이블텔레비젼 방송신호나 지상파텔레비젼 방송신호 중 하나로 분리하여, 분리된 신호중 상기 방송파로부터 변환된 IF신호는 상기 선택수단에 출력하고, 상기 케이블텔레비젼 방송신호나 지상파텔레비젼 방송신호는 상기 출력수단에 출력하기 위한 제 2분리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IF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2분리수단은 상기 수신기로부터 공급된 편파절환신호에 의거해서 상기 IF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7.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제 3국부발진주파수를 갖는 제 3국부발진기와 제 4국부발진주파수를 갖는 제 4국부발진기와를 갖추어 구성되며,상기 제 3국부발진주파수는 상기 제 4국부발진주파수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국부발진주파수와 상기 제 4국부발진주파수 사이의 차분에 의해 생기는 상호간섭의 결과로 발생되는 상호변조왜곡의 주파수는 상기 다수 IF신호의 채널들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시스템.
KR1019960064428A 1995-12-25 1996-12-11 수신장치,수신방법및단말장치 KR1004451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637595A JP3812599B2 (ja) 1995-12-25 1995-12-25 受信システムおよび受信方法、並びに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95-336375 1995-1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689A KR970055689A (ko) 1997-07-31
KR100445108B1 true KR100445108B1 (ko) 2004-11-06

Family

ID=18298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4428A KR100445108B1 (ko) 1995-12-25 1996-12-11 수신장치,수신방법및단말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26744A (ko)
JP (1) JP3812599B2 (ko)
KR (1) KR100445108B1 (ko)
CN (1) CN1158872C (ko)
CA (1) CA2191819C (ko)
MX (1) MX9606588A (ko)
SG (1) SG656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2482A (en) 1995-02-22 2000-09-19 Global Communications, Inc.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and distribution system
GB2325804B (en) * 1997-05-30 2001-01-03 Daewoo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receiving a satellite broadcast signal or a cable television signal
JP2001520847A (ja) * 1998-02-16 2001-10-3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衛星受信機
US6381745B1 (en) * 1998-05-21 2002-04-30 Avaya Technology Corp. Signal distribution system
JP3663323B2 (ja) 1999-04-05 2005-06-22 シャープ株式会社 ミリ波送信装置およびミリ波受信装置
WO2002005559A1 (en) * 2000-07-10 2002-01-17 Terk Technologies Corp. Pay-per-view program access control system
JP2002305460A (ja) * 2001-04-06 2002-10-18 Maspro Denkoh Corp 衛星受信装置
KR100405566B1 (ko) * 2001-10-11 2003-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위성/지상파 방송 전환시스템
US7428403B2 (en) * 2001-12-21 2008-09-23 Thomson Licens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apparatus
US7352991B2 (en) * 2002-03-21 2008-04-01 National Antenna Systems Satellite signal distribution systems
US7149470B1 (en) 2002-04-04 2006-12-12 The Directv Group, Inc. Direct broadcast receiver utilizing LNB in cascade
US6934378B2 (en) * 2002-05-31 2005-08-23 Metro One Telecommunications, Inc. Technique for enhanced information assistance call routing
BRPI0408216A (pt) * 2003-03-10 2006-02-14 Thomson Licensing aparelho receptor de sinais de satélite de vários canais
CN1759608A (zh) * 2003-03-11 2006-04-12 汤姆森许可贸易公司 用于分配信号的设备和方法
WO2004082277A1 (en) * 2003-03-11 2004-09-23 Thomson Licensing S.A.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signals
US7053961B2 (en) * 2004-02-17 2006-05-30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V automatic gain control (AGC)
US7853978B2 (en) * 2004-04-16 2010-12-14 Endres Thomas J Remote antenna and local receiver subsystems for receiving data signals carried over analog television
JP6271954B2 (ja) * 2013-11-08 2018-01-31 日本放送協会 Mimo受信システム、mimo受信装置、mimo送信装置及びmimo送受信システム
JP6257284B2 (ja) * 2013-11-26 2018-01-10 日本放送協会 受信装置
JP2016046790A (ja) * 2014-08-27 2016-04-04 日本放送協会 ブースター、分波器、及び放送受信システム
JP6705304B2 (ja) 2016-06-27 2020-06-03 船井電機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放送信号処理方法、及び放送受信機
CN109904622A (zh) * 2019-03-13 2019-06-18 睿高(广州)通信技术有限公司 信号极化切换装置、方法、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KR20220005461A (ko) * 2019-05-09 2022-01-13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칩 및 수신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2239A (en) * 1985-07-18 1989-01-31 Kabushiki Kaisha Toshiba Switch distributing apparatus for community reception
JPH03123124A (ja) * 1989-10-05 1991-05-24 Toshiba Corp 2帯域衛星受信機
JPH089364A (ja) * 1994-06-15 1996-01-12 Dx Antenna Co Ltd 衛星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装置
KR0141435B1 (ko) * 1994-09-29 1998-07-01 정장호 단일안테나를 이용한 멀티밴드 위성방송 수신장치
US5805975A (en) * 1995-02-22 1998-09-08 Green, Sr.; James A.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and distribu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49570B1 (fr) * 1989-07-04 1991-09-20 Thomson Composants Microondes Systeme de reception de signaux t.v. retransmis par satellites
CN1056027C (zh) * 1993-06-03 2000-08-30 德国汤姆逊-布朗特公司 地面接收与卫星接收用电视调谐器
US5787335A (en) * 1996-11-18 1998-07-28 Ethnic-American Broadcasting Co, Lp Direct broadcast satellite system for multiple dwelling uni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2239A (en) * 1985-07-18 1989-01-31 Kabushiki Kaisha Toshiba Switch distributing apparatus for community reception
JPH03123124A (ja) * 1989-10-05 1991-05-24 Toshiba Corp 2帯域衛星受信機
JPH089364A (ja) * 1994-06-15 1996-01-12 Dx Antenna Co Ltd 衛星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装置
KR0141435B1 (ko) * 1994-09-29 1998-07-01 정장호 단일안테나를 이용한 멀티밴드 위성방송 수신장치
US5805975A (en) * 1995-02-22 1998-09-08 Green, Sr.; James A.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and distribu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8872C (zh) 2004-07-21
JP3812599B2 (ja) 2006-08-23
MX9606588A (es) 1997-06-28
CA2191819C (en) 2002-09-10
JPH09182064A (ja) 1997-07-11
CN1166108A (zh) 1997-11-26
US5926744A (en) 1999-07-20
CA2191819A1 (en) 1997-06-26
SG65627A1 (en) 1999-06-22
KR970055689A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5108B1 (ko) 수신장치,수신방법및단말장치
EP1330059B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transmitter apparatus and receiver apparatus
MXPA96006588A (en) Receptor apparatus, receiving method and termi unit
KR920005218B1 (ko) 텔레비젼 수신용 튜너
US7991348B2 (en) Triple band combining approach to satellite signal distribution
JP2001231033A (ja) 共同受信システム及びこれの端末用周波数変換装置
US9282299B2 (en) Single local oscillator sharing in multi-band Ka-band LNBS
JP2022176779A (ja) 周波数変換伝送システム
JP4463944B2 (ja) Catvシステム、ダウンコンバータ及びアップコンバータ
JPH09168104A (ja) 共同受信施設
JP2006148963A (ja) 受信システム
JP3592454B2 (ja) 衛星通信共同受信施設
JP2002354473A (ja) ダウンコンバータ、アップコンバータ及びcatvシステム
JPH05304487A (ja) サテライト中間周波数切換装置
KR100667191B1 (ko)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를 이용한 지상파 dmb 중계기
JP4777686B2 (ja) 受信システム
JP4127556B2 (ja) 地上ディジタル放送再送信装置
JPH11313313A (ja) 切換装置
JP3107548B1 (ja) テレビ共同受信システム
JP4140130B2 (ja) 受信用コンバータと受信用アンテナ
JP2001292445A (ja) ヘッドエンド用衛星デジタル放送ダウンコンバータ
WO2007047364A2 (en) Single local oscillator sharing in multi-band ka-band lnbs
JPH11177451A (ja) 受信装置
KR200237127Y1 (ko) 위성공청 입력 혼합 분리형 증폭기
JP4593532B2 (ja) 衛星信号切換装置及び衛星信号受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