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4096B1 - 초음파 진단 장치 - Google Patents

초음파 진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4096B1
KR100444096B1 KR10-2002-0043151A KR20020043151A KR100444096B1 KR 100444096 B1 KR100444096 B1 KR 100444096B1 KR 20020043151 A KR20020043151 A KR 20020043151A KR 100444096 B1 KR100444096 B1 KR 100444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sonic
image
contrast agent
mode
l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1597A (ko
Inventor
스즈키요이치
Original Assignee
지이 메디컬 시스템즈 글로발 테크놀러지 캄파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이 메디컬 시스템즈 글로발 테크놀러지 캄파니 엘엘씨 filed Critical 지이 메디컬 시스템즈 글로발 테크놀러지 캄파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30011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0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8Diagnostic techniques
    • A61B8/481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the use of contrast agent, e.g. microbubbles introduced into the bloodstr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89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01S15/8906Short-range imaging systems; Acoustic microscope systems using pulse-echo techniques
    • G01S15/8979Combined Doppler and pulse-echo imaging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017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particularly adapted to short-range imaging
    • G01S7/52023Details of receivers
    • G01S7/52036Details of receivers using analysis of echo signal for target characterisation
    • G01S7/52038Details of receivers using analysis of echo signal for target characterisation involving non-linear properties of the propagation medium or of the reflective target
    • G01S7/52041Details of receivers using analysis of echo signal for target characterisation involving non-linear properties of the propagation medium or of the reflective target detecting modification of a contrast enhancer, e.g. detecting the destruction of a contrast agent by an acoustic wave, e.g. loss of correl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Image Analysis (AREA)
  • Image Input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조영제(contrast agent)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weak enough ultrasonic wave)를 이용하여 모니터 화상을 촬영하는 약초음파(weak ultrasonic)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와, 조영제가 소실될 정도의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B 모드 화상을 촬영하는 강초음파(strong ultrasonic)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와,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CFM 화상을 촬영하는 약초음파 CFM 화상 촬영 단계로 이루어지는 촬영 사이클이 반복된다. CFM 화상의 가산에 의한 최신의 화상이 B 모드 화상 위에 중첩되어 표시된다.

Description

초음파 진단 장치{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본 발명은 초음파 주사 방법(ultrasonic scanning method) 및 초음파 진단 장치(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B 모드 화상을 촬영하는지 혹은 CFM 화상을 촬영하는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강한 초음파의 낭비적인 이용을 제거하고, BCFM 기반 간헐 주사(BCFM-based intermittentscanning)가 종래 기술에 의한 것보다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초음파 주사 방법 및 초음파 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1 종래예
도 19 및 도 20은 종래 기술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 수행된 BCFM 기반 간헐 주사의 제 1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초음파 주사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조영제(contrast agent)(기포(bubble))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모니터 화상(M1 내지 M10)을 촬영하는 약초음파(weak ultrasonic)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와, 조영제가 소실될 정도의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B 모드 화상(B1)을 촬영하는 강초음파(strong ultrasonic)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와, 조영제가 소실될 정도의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CFM(color flow mapping) 화상(F1)을 촬영하는 강초음파 CFM 화상 촬영 단계로 이루어지는 촬영 사이클이 반복된다.
도 20은 촬영된 영역에 존재하는 조영제 양(quantity)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강한 초음파로 촬영한 직후 조영제의 75%가 소실되고, 약한 초음파로 촬영하는 동안 조영제가 증가(유입(flows in))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그래프 jB로부터 알 수 있듯이,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증가하고,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 및 강초음파 CFM 화상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소실되며, 다시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증가하고, 이들 변화는 반복된다.
모니터 화상(M1 내지 M10) 중 최신의 것이, 예를 들면 스크린의 좌측 절반상에 표시된다.
모니터 화상(M1 내지 M10)은 프레임율(frame rate)이 높기 때문에 실시간 성능에 있어서 우수하다. 그러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되기 때문에 화질이 저하된다.
B 모드 화상(B1) 중 최신의 것이, 예를 들면 스크린의 우측 절반상에 표시된다.
B 모드 화상(B1)은, 조영제가 충분히 침윤(infiltrating)된 상태에서 촬영되고,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되기 때문에 화질이 높다. 그러나, 프레임율이 낮기 때문에 실시간 성능에 있어서 열등하다.
CFM 화상(F1) 중 최신의 것이 B 모드 화상(B1) 위에 중첩되어 표시된다.
CFM 화상(F1)의 화질은, 대부분의 조영제가 소실된 상태에서 촬영되기 때문에 그다지 높지 않지만,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되기 때문에 모니터 화상보다는 다소 높다. 또, 프레임율이 낮기 때문에 실시간 성능에 있어서 열등하다.
제 2 종래예
도 21 및 도 2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 수행된 BCFM 기반 간헐 주사의 제 2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초음파 주사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모니터 화상(M1 내지 M10)을 촬영하는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와, 조영제가 소실될 정도의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CFM 화상(F1)을 촬영하는 강초음파 CFM 화상 촬영 단계와, 조영제가 소실될 정도의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B 모드 화상(B1)을 촬영하는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로 이루어지는 촬영 사이클이 반복된다.
도 22는 촬영된 영역에 존재하는 조영제 양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 jF로부터 알 수 있듯이,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증가하고, 강초음파 CFM 화상 촬영 단계 및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소실되며, 다시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증가하고, 이들 변화는 반복된다.
모니터 화상(M1 내지 M10) 중 최신의 것이, 예를 들면 스크린의 좌측 절반상에 표시된다.
모니터 화상(M1 내지 M10)은, 프레임율이 높기 때문에 실시간 성능에 있어서 우수하다. 그러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되기 때문에 화질이 저하된다.
CFM 화상(F1) 중 최신의 것이, 예를 들면 스크린의 우측 절반상에 표시된다.
CFM 화상(F1)은, 조영제가 충분히 침윤된 상태에서 촬영되고,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되기 때문에 화질이 높다. 그러나, 프레임율이 낮기 때문에 실시간 성능에 있어서 열등하다.
B 모드 화상(B1) 중 최신의 것이 CFM 화상(F1) 위에 중첩되어 표시된다.
B 모드 화상(B1)의 화질은, 대부분의 조영제가 소실된 상태에서 촬영되기 때문에 그다지 높지 않지만,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되기 때문에 모니터 화상보다는 다소 높다. 또, 프레임율이 낮기 때문에 실시간 성능에 있어서 열등하다.
제 3 종래예
도 23 내지 도 2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 수행된 BCFM 기반 간헐 주사의 제 3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 영역(S)은 예를 들면, 4 개의 부분 영역(a 내지 d)으로 분할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주사 영역(S) 전체에 걸쳐 모니터 화상(M1 내지 M8)을 촬영하는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와, 각 부분 영역(a, b, c, d)에서 조영제가 소실될 정도의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B 모드 화상(B1)을 촬영하는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및 조영제가 소실될 정도의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CFM 화상(F1)을 촬영하는 강초음파 CFM 화상 부분 촬영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순차 부분 촬영 단계로 이루어지는 촬영 사이클이 반복된다.
도 25는 촬영된 영역에 존재하는 조영제 양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그래프 jpBa로부터 알 수 있듯이, 부분 영역(a)에서,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증가하고,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및 강초음파 CFM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소실되며, 다시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증가하고, 이들 변화는 반복된다.
부분 영역(b)의 그래프 jpBb, 부분 영역(c)의 그래프 jpBc 및 부분 영역(d)의 그래프 jpBd도 부분 영역(a)의 그래프 jpBa와 마찬가지이다.
모니터 화상(M1 내지 M8) 중 최신의 것이, 예를 들면 스크린의 좌측 절반상에 표시된다.
모니터 화상(M1 내지 M8)은, 프레임율이 높기 때문에 실시간 성능에 있어서 우수하다. 그러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되기 때문에 화질이 저하된다.
B 모드 화상(B1) 중 최신의 것이, 예를 들면 스크린의 우측 절반상에 표시된다.
B 모드 화상(B1)은, 조영제가 충분히 침윤된 상태에서 촬영되고,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되기 때문에 화질이 높다. 그러나, 프레임율이 낮기 때문에 실시간 성능에 있어서 열등하다.
CFM 화상(F1) 중 최신의 것이 B 모드 화상(B1) 위에 중첩되어 표시된다.
CFM 화상(F1)의 화질은, 대부분의 조영제가 소실된 상태에서 촬영되기 때문에 그다지 높지 않지만,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되기 때문에 모니터 화상보다는 다소 높다. 또, 프레임율이 낮기 때문에 실시간 성능에 있어서 열등하다.
제 4 종래예
도 26 및 도 2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 수행된 BCFM 기반 간헐 주사의 제 4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주사 영역(S) 전체에 걸쳐 모니터 화상(M1 내지 M8)을 촬영하는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와, 각 부분 영역(a, b, c, d)에서 조영제가 소실될 정도의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CFM 화상(F1)을 촬영하는 강초음파 CFM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및 조영제가 소실될 정도의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B 모드 화상(B1)을 촬영하는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부분 촬영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순차 부분 촬영 단계로 이루어지는 촬영 사이클이 반복된다.
도 27은 촬영된 영역에 존재하는 조영제 양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그래프 jpFa로부터 알 수 있듯이, 부분 영역(a)에서,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증가하고, 강초음파 CFM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및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소실되며, 다시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증가하고, 이들 변화는 반복된다.
부분 영역(b)의 그래프 jpFb, 부분 영역(c)의 그래프 jpFc 및 부분 영역(d)의 그래프 jpFd도 부분 영역(a)의 그래프 jpFa와 마찬가지이다.
모니터 화상(M1 내지 M8) 중 최신의 것이, 예를 들면 스크린의 좌측 절반상에 표시된다.
모니터 화상(M1 내지 M8)은, 프레임율이 높기 때문에 실시간 성능에 있어서 우수하다. 그러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되기 때문에 화질이 저하된다.
CFM 화상(F1) 중 최신의 것이, 예를 들면 스크린의 우측 절반상에 표시된다.
CFM 화상(F1)은, 조영제가 충분히 침윤된 상태에서 촬영되고, 강한 초음파를이용하여 촬영되기 때문에 화질이 높다. 그러나, 프레임율이 낮기 때문에 실시간 성능에 있어서 열등하다.
B 모드 화상(B1) 중 최신의 것이 CFM 화상(F1) 위에 중첩되어 표시된다.
B 모드 화상(B1)의 화질은, 대부분의 조영제가 소실된 상태에서 촬영되기 때문에 그다지 높지 않지만,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되기 때문에 모니터 화상보다는 다소 높다. 또, 프레임율이 낮기 때문에 실시간 성능에 있어서 열등하다.
종래의 초음파 진단 장치에 의한 상기 BCFM 기반 간헐 주사에서는, B 모드 화상을 촬영하는지 혹은 CFM 화상을 촬영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강한 초음파가 이용된다. 그러나, 제 1 종래예에서,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 직후에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에서 획득된 B 모드 화상의 화질은 높지만, 후속하는 강초음파 CFM 화상 촬영 단계에서 획득된 CFM 화상의 화질은 그다지 높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강초음파 CFM 화상 촬영 단계에서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는 것은 어떠한 이점도 거의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종래예에서,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에서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는 것은 어떠한 이점도 거의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제 3 종래예에서, 강초음파 CFM 화상 부분 촬영 단계에서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는 것은 어떠한 이점도 거의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제 4 종래예에서, 강초음파 B 모드 부분 촬영 단계에서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는 것은 어떠한 이점도 거의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B 모드 화상을 촬영하는지 혹은 CFM 화상을 촬영하는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강한 초음파의 낭비적인 이용을 제거하고, BCFM 기반 간헐 주사가 종래 기술에 의한 것보다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초음파 주사 방법 및 초음파 진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조영제가 소실될 정도의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B 모드 화상을 촬영하는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와,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난류 화상(turbulent image)을 촬영하는 약초음파 난류 화상 촬영 단계와,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모니터 화상의 촬영을 다수회 반복하는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로 이루어지는 촬영 사이클이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주사 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제 1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에 의해,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B 모드 화상이 촬영되고,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난류 화상(CFM 화상을 포함함)이 촬영된다. 그 결과, 약초음파 난류 화상 촬영 단계 동안에도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고, 유입에 의해 조영제의 양이 증가된다. 따라서, 프레임율이 전술한 제 1 종래예와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침윤하는 조영제의 양이 제 1 종래예에서의 양보다 많기 때문에, B 모드 화상의 화질이 향상된다. 또한, 프레임율이 제 1 종래예보다 높은 경우에도, 침윤하는 조영제의 양은 제 1 종래예에서의 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B 모드 화상에 대해 제 1 종래예에서의 화질과 동일한 정도의 화질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B 모드 화상의 화질을 희생하지 않고서도 프레임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난류 화상의 화질은,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되기 때문에 저하되지만, 제 1 종래예보다는 단지 조금만 저하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BCFM 기반 간헐 주사가 제 1 종래예에 의한 것보다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 2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의 초음파 주사 방법에서,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 약초음파 난류 화상 촬영 단계 및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의 순서로 실행되거나, 또는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 및 약초음파 난류 화상 촬영 단계의 순서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주사 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제 2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에 의해,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 약초음파 난류 화상 촬영 단계 및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의 실행 순서가 원하는 대로 선택될 수 있다. 이것은 난류 화상 촬영을 위해 약한 초음파가 이용되기 때문이며, 따라서 모니터 화상 촬영에 의해 순서를 교체해도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제 3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조영제가 소실될 정도의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난류 화상을 촬영하는 강초음파 난류 화상 촬영 단계와,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B 모드 화상을 촬영하는 약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와,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모니터 화상의 촬영을 다수회 반복하는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로 이루어지는 촬영 사이클이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주사 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제 3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에 의해, 난류 화상만이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되고, B 모드 화상은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된다. 그 결과, 약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 동안에도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고, 유입에 의해 조영제의 양이 증가된다. 따라서, 프레임율이 전술한 제 2 종래예와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침윤하는 조영제의 양이 제 2 종래예에서의 양보다 많기 때문에, 난류 화상의 화질이 향상된다. 또한, 프레임율이 제 2 종래예보다 높은 경우에도, 침윤하는 조영제의 양은 제 2 종래예에서의 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난류 화상에 대해 제 2 종래예에서의 화질과 동일한 정도의 화질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난류 화상의 화질을 희생하지 않고서도 프레임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B 모드 화상의 화질은,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되기 때문에 저하되지만, 제 2 종래예보다는 단지 조금만 저하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BCFM 기반 간헐 주사가 제 2 종래예에 의한 것보다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 4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의 초음파 주사 방법에서, 강초음파 난류 화상 촬영 단계, 약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 및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의 순서로 실행되거나, 또는 강초음파 난류 화상 촬영 단계,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 및 약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의 순서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주사 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제 4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에 의해, 강초음파 난류 화상 촬영 단계, 약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 및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의실행 순서가 원하는 대로 선택될 수 있다. 이것은 B 모드 화상 촬영을 위해 약한 초음파가 이용되기 때문이며, 따라서 모니터 화상 촬영에 의해 순서를 교체해도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제 5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제 1 또는 제 2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과 제 3 또는 제 4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간의 변경이 조작자에 의해 지정된 대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주사 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제 5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에 의해, 제 1 또는 제 2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이 지정된 경우, 보다 높은 화질의 B 모드 화상이 획득될 수 있고, 제 3 또는 제 4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이 지정된 경우, 보다 높은 화질의 난류 화상이 획득될 수 있다.
제 6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주사 영역이 2 이상의 부분 영역으로 분할되고, 하나의 부분 영역에서 조영제가 소실될 정도의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B 모드 화상을 촬영하는 강초음파 B 모드 부분 촬영 단계 및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난류 화상을 촬영하는 약초음파 난류 화상 부분 촬영 단계가 각 부분 영역에 대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순차 부분 촬영 단계와,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전체 주사 영역에서 모니터 화상 촬영을 다수회 반복하는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로 이루어지는 촬영 사이클이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주사 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제 6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에 의해, 하나의 부분 영역에서의 B 모드 화상의 촬영 및 난류 화상의 촬영이 각 부분 영역에 대해 순차적으로 반복되지만, 다른 점에서는 전술한 제 1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B 모드 화상만이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되고, 난류 화상은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된다. 그 결과, 약초음파 난류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동안에도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고, 유입에 의해 조영제의 양이 증가된다. 따라서, 프레임율이 전술한 제 3 종래예와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침윤하는 조영제의 양이 제 3 종래예보다 많기 때문에, B 모드 화상의 화질이 향상된다. 또한, 프레임율이 제 3 종래예보다 높은 경우에도, 침윤하는 조영제의 양은 제 3 종래예에서의 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B 모드 화상에 대해 제 3 종래예에서의 화질과 동일한 정도의 화질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B 모드 화상의 화질을 희생하지 않고서도 프레임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난류 화상의 화질은,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되기 때문에 저하되지만, 제 3 종래예보다는 단지 조금만 저하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BCFM 기반 간헐 주사가 제 3 종래예에 의한 것보다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 7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의 초음파 주사 방법에서, 하나의 부분 영역에서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및 약초음파 난류 화상 부분 촬영 단계의 순서로 실행되거나, 또는 약초음파 난류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및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부분 촬영 단계의 순서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주사 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제 7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에 의해, 강초음파 B 모드 화상부분 촬영 단계 및 약초음파 난류 화상 부분 촬영 단계의 실행 순서가 원하는 대로 선택될 수 있다. 이것은 난류 화상 촬영을 위해 약한 초음파가 이용되기 때문이며, 따라서 어떠한 위치에서 실행하더라도 B 모드 화상 촬영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제 8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주사 영역이 2 이상의 부분 영역으로 분할되고, 하나의 부분 영역에서 조영제가 소실될 정도의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난류 화상을 촬영하는 강초음파 난류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및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B 모드 화상을 촬영하는 약초음파 B 모드 화상 부분 촬영 단계가 각 부분 영역에 대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순차 부분 촬영 단계와,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전체 주사 영역에서 모니터 화상 촬영을 다수회 반복하는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로 이루어지는 촬영 사이클이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주사 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제 8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에 의해, 하나의 부분 영역에서의 난류 화상의 촬영 및 B 모드 화상의 촬영이 각 부분 영역에 대해 순차적으로 반복되지만, 다른 점에서는 전술한 제 3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난류 화상만이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되고, B 모드 화상은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된다. 그 결과, 약초음파 B 모드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동안에도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고, 유입에 의해 조영제의 양이 증가된다. 따라서, 프레임율이 전술한 제 4 종래예와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침윤하는 조영제의 양이 제 4 종래예보다 많기 때문에, 난류 화상의 화질이 향상된다. 또한, 프레임율이 제 4 종래예보다 높은 경우에도, 침윤하는 조영제의 양은 제 4 종래예에서의 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난류 화상에 대해 제 4 종래예에서의 화질과 동일한 정도의 화질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난류 화상의 화질을 희생하지 않고서도 프레임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B 모드 화상의 화질은,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되기 때문에 저하되지만, 제 4 종래예보다는 단지 조금만 저하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BCFM 기반 간헐 주사가 제 4 종래예에 의한 것보다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 9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의 초음파 주사 방법에서, 하나의 부분 영역에서 강초음파 난류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및 약초음파 B 모드 화상 부분 촬영 단계의 순서로 실행되거나, 또는 약초음파 B 모드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및 강초음파 난류 화상 부분 촬영 단계의 순서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주사 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제 9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에 의해, 강초음파 난류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및 약초음파 B 모드 화상 부분 촬영 단계의 실행 순서가 원하는 대로 선택될 수 있다. 이것은 B 모드 화상 촬영을 위해 약한 초음파가 이용되기 때문이며, 따라서 어떠한 위치에서 실행하더라도 난류 화상 촬영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제 10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제 6 또는 제 7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과 제 8 또는 제 9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간의 변경이 조작자에의해 지정된 대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주사 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제 10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에 의해, 제 6 또는 제 7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이 지정된 경우, 보다 높은 화질의 B 모드 화상이 획득될 수 있고, 제 8 또는 제 9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이 지정된 경우, 보다 높은 화질의 난류 화상이 획득될 수 있다.
제 11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의 초음파 주사 방법에서,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이 수행되는 경우, 조영제가 소실될 정도의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이 수행되는 경우보다 높은 주파수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주사 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제 11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에 의해,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이 수행되는 경우 초음파의 주파수가 상승되기 때문에, 조영제의 파괴가 보다 억제될 수 있다.
제 12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초음파 프로브와, 그 초음파 프로브를 이용하여 피검체(subject)의 내부를 주사하는 초음파 주사 수단과, 주사에 의해 획득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초음파 화상을 생성하는 초음파 화상 생성 수단과, 초음파 화상을 표시하는 초음파 화상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로서, 초음파 주사 수단은, 조영제가 소실될 정도의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B 모드 화상을 촬영하는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와,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난류 화상을 촬영하는 약초음파 난류 화상 촬영 단계와,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모니터 화상 촬영을 다수회 반복하는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로 이루어지는 촬영 사이클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제 12 양상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는, 전술한 제 1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이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 13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의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 초음파 주사 수단이,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 약초음파 난류 화상 촬영 단계 및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의 순서로 실행하거나, 또는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 및 약초음파 난류 화상 촬영 단계의 순서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제 13 양상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는, 전술한 제 2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이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 14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초음파 프로브와, 그 초음파 프로브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내부를 주사하는 초음파 주사 수단과, 주사에 의해 획득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초음파 화상을 생성하는 초음파 화상 생성 수단과, 초음파 화상을 표시하는 초음파 화상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로서, 초음파 주사 수단은, 조영제가 소실될 정도의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난류 화상을 촬영하는 강초음파 난류 화상 촬영 단계와,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B 모드 화상을 촬영하는 약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와,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모니터 화상 촬영을 다수회 반복하는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로 이루어지는 촬영 사이클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제 14 양상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는, 전술한 제 3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이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 15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의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 초음파 주사 수단이, 강초음파 난류 화상 촬영 단계, 약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 및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의 순서로 실행하거나, 또는 강초음파 난류 화상 촬영 단계,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 및 약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의 순서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제 15 양상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는, 전술한 제 4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이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 16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 12 또는 제 13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수단 및 제 14 또는 제 15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수단과, 작동될 초음파 주사 수단을 조작자가 지정하는데 사용하는 지정 수단을 구비한 초음파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제 16 양상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는, 전술한 제 5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이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 17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초음파 프로브와, 그 초음파 프로브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내부를 주사하는 초음파 주사 수단과, 주사에 의해 획득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초음파 화상을 생성하는 초음파 화상 생성 수단과, 초음파 화상을 표시하는 초음파 화상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로서, 초음파 주사 수단은,주사 영역이 2 이상의 부분 영역으로 분할되고, 하나의 부분 영역에서 조영제가 소실될 정도의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B 모드 화상을 촬영하는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및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난류 화상을 촬영하는 약초음파 난류 화상 부분 촬영 단계가 각 부분 영역에 대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순차 부분 촬영 단계와,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전체 주사 영역에서 모니터 화상 촬영을 다수회 반복하는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로 이루어지는 촬영 사이클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제 17 양상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는, 전술한 제 6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이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 18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의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 초음파 주사 수단이, 하나의 부분 영역에서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및 약초음파 난류 화상 부분 촬영 단계의 순서로 실행하거나, 또는 약초음파 난류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및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부분 촬영 단계의 순서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제 18 양상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는, 전술한 제 7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이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 19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초음파 프로브와, 그 초음파 프로브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내부를 주사하는 초음파 주사 수단과, 주사에 의해 획득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초음파 화상을 생성하는 초음파 화상 생성 수단과, 초음파 화상을 표시하는 초음파 화상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로서, 초음파 주사 수단은, 주사 영역이 2 이상의 부분 영역으로 분할되고, 하나의 부분 영역에서 조영제가 소실될 정도의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난류 화상을 촬영하는 강초음파 난류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및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B 모드 화상을 촬영하는 약초음파 B 모드 화상 부분 촬영 단계가 각 부분 영역에 대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순차 부분 촬영 단계와,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전체 주사 영역에서 모니터 화상 촬영을 다수회 반복하는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로 이루어지는 촬영 사이클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제 19 양상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는, 전술한 제 8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이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 20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의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 초음파 주사 수단이, 하나의 부분 영역에서 강초음파 난류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및 약초음파 B 모드 화상 부분 촬영 단계의 순서로 실행하거나, 또는 약초음파 B 모드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및 강초음파 난류 화상 부분 촬영 단계의 순서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제 20 양상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는, 전술한 제 9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이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 21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 17 또는 제 18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수단 및 제 19 또는 제 20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수단과, 작동될 초음파 주사수단을 조작자가 지정하는데 사용하는 지정 수단을 구비한 초음파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제 21 양상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는, 전술한 제 10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이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 22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의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 초음파 주사 수단이,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이 수행되는 경우, 조영제가 소실될 정도의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이 수행되는 경우보다 높은 주파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제 22 양상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는, 전술한 제 11 양상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이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 및 초음파 진단 장치는, BCFM 기반 간헐 주사를 종래 기술보다 적절하게 수행하고, B 모드 화상이 촬영되든지 혹은 CFM 화상이 촬영되든지 간에 강한 초음파의 낭비적인 이용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첨부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하나의 모드와 관련된 초음파 진단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 1 초음파 주사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제 1 초음파 주사 방법에서, 조영제 양(quantity)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 2 초음파 주사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 2 초음파 주사 방법에서, 조영제 양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제 3 초음파 주사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제 3 초음파 주사 방법에서, 조영제 양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제 4 초음파 주사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 4 초음파 주사 방법에서, 조영제 양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0은 주사 영역 및 부분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제 5 초음파 주사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 5 초음파 주사 방법에서, 조영제 양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3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제 6 초음파 주사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 6 초음파 주사 방법에서, 조영제 양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5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 7 초음파 주사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제 7 초음파 주사 방법에서, 조영제 양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7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제 8 초음파 주사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제 8 초음파 주사 방법에서, 조영제 양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9는 제 1 종래예의 초음파 주사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제 1 종래예의 초음파 주사 방법에서, 조영제 양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21은 제 2 종래예의 초음파 주사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제 2 종래예의 초음파 주사 방법에서, 조영제 양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23은 주사 영역 및 부분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제 3 종래예의 초음파 주사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제 3 종래예의 초음파 주사 방법에서, 조영제 양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26은 제 4 종래예의 초음파 주사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제 4 종래예의 초음파 주사 방법에서, 조영제 양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초음파 프로브 2 : 송/수신부
3 : B 모드 처리부 4 : CFM 처리부
5 : 모니터 화상 생성부 6 : B 모드 화상 생성부
7 : CFM 화상 생성부 9 : 표시 제어부
10 : 표시 유닛 11 : 스캔 제어부
본 발명은 도면에 예시된 실시 모드를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하나의 모드와 관련된 초음파 진단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초음파 진단 장치(100)는 초음파 프로브(1)와, 조영제가 소실될 정도의 강한 초음파 또는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송신하고, 그것에 대응하는 에코를 수신하며, 수신 신호(reception signal)를 출력하는 송/수신부(2)와, 수신 신호로부터 B 모드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B 모드 처리부(3)와, 수신 신호로부터 CFM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CFM 처리부(4)와,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한 주사에 의해 획득된 B 모드 화상 정보 또는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한 주사에 의해 획득된 CFM 화상 정보를 선택하여 모니터 화상을 생성하는 모니터 화상 생성부(5)와, 조영제가 소실될 정도의 강한 초음파를 이용한 주사에 의해 획득된 B 모드 화상 정보로부터 B 모드 화상을 생성하는 B 모드 화상 생성부(6)와, 조영제가 소실될 정도의 강한 초음파를 이용한 주사에 의해 획득된 CFM 화상 정보로부터 CFM 화상을 생성하는 CFM 화상 생성부(7)와, 모니터 화상을 표시 유닛(10)의 스크린의 좌측 절반상에 표시하고, B 모드 화상과 CFM 화상이 서로 중첩되도록 함으로써 합성된 합성 화상을 표시 유닛(10)의 스크린의 우측 절반상에 표시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표시 제어부(9)와, 화상 및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 유닛(10)과,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스캔 제어부(11)로 구성된다.
초음파 진단 장치(100)는 조영제를 피검체의 혈류(blood flow)내로 주입하고, 스캔 제어부(11)의 제어하에 초음파 프로브(1), 송/수신부(2), B 모드 처리부(3) 및 CFM 처리부(4)를 동작함으로써, 도 2, 4, 6, 8, 11, 13, 15 또는 17에 도시된 초음파 주사 방법을 실행한다. 조작자는 도 2, 4, 6, 8, 11, 13, 15 및 17에 도시된 초음파 주파 방법 중 어느 것을 실행할 것인지를 지정한다.
제 1 초음파 주사 방법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모니터 화상(M1 내지 M8)을 촬영하는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와, 조영제가 소실될 정도의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B 모드 화상(B1)을 촬영하는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와,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CFM 화상(F1 내지 F3)을 촬영하는 약초음파 CFM 화상 촬영 단계로 이루어지는 촬영 사이클이 반복된다.
CFM 화상(F1 내지 F3)의 가산에 의한 최신 화상 ∑F가 B 모드 화상(B1) 위에 중첩되어 표시된다.
도 3은 촬영 영역에 존재하는 조영제 양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 αB로부터 알 수 있듯이,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증가하고,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소실된다. 그 후, 약초음파 CFM 화상 촬영 단계 및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증가하고,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소실되며, 이들 변화가 반복된다.
이러한 그래프 αB와 전술한 제 1 종래예의 그래프 jB를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프레임율이 제 1 종래예와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B 모드 화상 촬영 동안의조영제의 양은 제 1 종래예에서의 양보다 많다. 그 결과, B 모드 화상의 화질이 향상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레임율이 제 1 종래예보다 높은 경우에도, 조영제의 양이 대략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제 1 종래예와 동일한 정도의 B 모드 화상의 화질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B 모드 화상의 화질을 희생하지 않고서도 프레임율을 높일 수 있다.
CFM 화상 ∑F의 화질은, 조영제의 대부분이 소실된 상태에서 촬영하고,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것에 의해 그다지 높지 않지만, 그들이 가산되는 것에 의해 제 1 종래예와 동일한 정도의 화질 레벨이 된다.
또한, CFM 화상(F1)의 화질은, 조영제의 대부분이 소실된 상태에서 촬영하고,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것에 의해 다소 저하되지만, 제 1 종래예보다 단지 조금만 저하되기 때문에, 가산된 CFM 화상 ∑F를 이용하는 대신에 단지 CFM 화상(F1)만이 이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기술한 제 1 초음파 주사 방법에 의해, BCFM 기반 간헐 주사가 제 1 종래예보다 전반적으로 적절하게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B 모드 화상에서의 불투명(opacification) 관찰에 적합하고, 또한 CFM 화상을 통해 주변 혈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초음파 주사 방법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모니터 화상(M1 내지 M8)을 촬영하는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와,조영제가 소실될 정도의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CFM 화상(F1)을 촬영하는 강초음파 CFM 화상 촬영 단계와,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B 모드 화상(B1 내지 B3)을 촬영하는 약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로 이루어지는 촬영 사이클이 반복된다.
B 모드 화상(B1 내지 B3)의 가산에 의한 최신 화상 ∑B가 CFM 화상(F1) 위에 중첩되어 표시된다.
도 5는 촬영 영역에 존재하는 조영제 양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 αF로부터 알 수 있듯이,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증가하고, 강초음파 CFM 화상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소실된다. 그 후, 약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 및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증가하고, 강초음파 CFM 화상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소실되며, 이들 변화가 반복된다.
이러한 그래프 αF와 전술한 제 2 종래예의 그래프 jF를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프레임율이 제 2 종래예와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CFM 화상 촬영 동안의 조영제의 양은 제 2 종래예에서의 양보다 많다. 그 결과, CFM 화상의 화질이 향상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레임율이 제 2 종래예보다 높은 경우에도, 조영제의 양이 대략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제 2 종래예와 동일한 정도의 CFM 화상의 화질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CFM 화상의 화질을 희생하지 않고서도 프레임율을 높일 수 있다.
B 모드 화상 ∑B의 화질은, 조영제의 대부분이 소실된 상태에서 촬영하고,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것에 의해 그다지 높지 않지만, 그들이 가산되는 것에 의해 제 2 종래예와 동일한 정도의 화질 레벨이 된다.
또한, B 모드 화상(B1)의 화질은, 조영제의 대부분이 소실된 상태에서 촬영하고,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것에 의해 다소 저하되지만, 제 2 종래예보다 단지 조금만 저하되기 때문에, 가산된 B 모드 화상 ∑B를 이용하는 대신에 단지 B 모드 화상(B1)만이 이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기술한 제 2 초음파 주사 방법에 의해, BCFM 기반 간헐 주사가 제 2 종래예보다 전반적으로 적절하게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CFM 화상에서의 불투명 관찰에 적합하고, 또한 B 모드 화상을 통해 구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 3 초음파 주사 방법
제 3 초음파 주사 방법은 제 1 초음파 주사 방법이 변형된 것으로서,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와 약초음파 CFM 화상 촬영 단계의 상대적인 위치의 순서가 변경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초음파 CFM 화상 촬영 단계는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 직후에 실행되며, 그 후에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가 실행된다.
도 7의 그래프 βB로부터 알 수 있듯이,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 및 약초음파 CFM 화상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증가하고,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소실되며,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 및 약초음파 CFM화상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증가하고, 이들 변화가 반복된다.
이러한 그래프 βB와 전술한 제 1 종래예의 그래프 jB를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프레임율이 제 1 종래예와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B 모드 화상 촬영 동안의 조영제의 양은 제 1 종래예에서의 양보다 많다. 그 결과, B 모드 화상의 화질이 향상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레임율이 제 1 종래예보다 높은 경우에도, 조영제의 양이 대략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제 1 종래예와 동일한 정도의 B 모드 화상의 화질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B 모드 화상의 화질을 희생하지 않고서도 프레임율을 높일 수 있다.
CFM 화상 ∑F의 화질은,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것에 의해 그다지 높지 않지만, 조영제가 증가된 상태에서 촬영하고, 복수의 CFM 화상이 가산되는 것에 의해 제 1 종래예와 동일한 정도의 화질 레벨이 된다.
또한, CFM 화상(F1)의 화질은,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것에 의해 다소 저하되지만, 제 1 종래예보다 단지 조금만 저하되기 때문에, 가산된 CFM 화상 ∑F를 이용하는 대신에 단지 CFM 화상(F1)만이 이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기술한 제 3 초음파 주사 방법에 의해, BCFM 기반 간헐 주사가 제 1 종래예보다 전반적으로 적절하게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B 모드 화상에서의 불투명 관찰에 적합하고, 또한 CFM 화상을 통해 주변 혈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 4 초음파 주사 방법
제 4 초음파 주사 방법은 제 2 초음파 주사 방법이 변형된 것으로서, 강초음파 CFM 화상 촬영 단계와 약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의 상대적인 위치의 순서가 변경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는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 직후에 실행되며, 그 후에 강초음파 CFM 화상 촬영 단계가 실행된다.
도 9의 그래프 βF로부터 알 수 있듯이,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 및 약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증가하고, 강초음파 CFM 화상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소실되며,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 및 약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증가하고, 이들 변화가 반복된다.
이러한 그래프 βF와 전술한 제 2 종래예의 그래프 jF를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프레임율이 제 2 종래예와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CFM 화상 촬영 동안의 조영제의 양은 제 2 종래예에서의 양보다 많다. 그 결과, CFM 화상의 화질이 향상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레임율이 제 2 종래예보다 높은 경우에도, 조영제의 양이 대략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제 2 종래예와 동일한 정도의 CFM 화상의 화질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CFM 화상의 화질을 희생하지 않고서도 프레임율을 높일 수 있다.
B 모드 화상 ∑B의 화질은,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것에 의해 그다지 높지 않지만, 조영제가 증가된 상태에서 촬영하고, 복수의 B 모드 화상이 가산되는 것에 의해, 제 2 종래예와 동일한 정도의 화질 레벨이 된다.
또한, B 모드 화상(B1)의 화질은,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것에 의해 다소 저하되지만, 제 2 종래예보다 단지 조금만 저하되기 때문에, 가산된 B 모드 화상 ∑B를 이용하는 대신에 단지 B 모드 화상(B1)만이 이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기술한 제 4 초음파 주사 방법에 의해, BCFM 기반 간헐 주사가 제 2 종래예보다 전반적으로 적절하게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CFM 화상에서의 불투명 관찰에 적합하고, 또한 B 모드 화상을 통해 구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 5 초음파 주사 방법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 영역(S)은 예를 들어, 4 개의 부분 영역(a 내지 d)으로 분할된다.
그 다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전체 주사 영역(S)에서 모니터 화상(M1 내지 M8)을 촬영하는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와, 각 부분 영역(a, b, c, d)에서 조영제가 소실될 정도의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B 모드 화상(B1)을 촬영하는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및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CFM 화상(F1)을 촬영하는 약초음파 CFM 화상 부분 촬영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순차 부분 촬영 단계로 이루어지는 촬영 사이클이 반복된다.
도 12는 촬영 영역에 존재하는 조영제 양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부분 영역(a)에서는, 그래프 αpBa로부터 알 수 있듯이,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증가하고,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소실된다. 그 후, 약초음파 CFM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및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증가하고,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소실되며, 이들 변화가 반복된다.
부분 영역(b)의 그래프 αpBb, 부분 영역(c)의 그래프 αpBc 및 부분 영역(d)의 그래프 αpBd도 부분 영역(a)의 그래프 αpBa와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그래프 αpBa와 전술한 제 3 종래예의 그래프 jpBa를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프레임율이 제 3 종래예와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B 모드 화상 촬영 동안의 조영제의 양은 제 3 종래예에서의 양보다 많다. 그 결과, B 모드 화상의 화질이 향상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레임율이 제 3 종래예보다 높은 경우에도, 조영제의 양이 대략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제 3 종래예와 동일한 정도의 B 모드 화상의 화질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B 모드 화상의 화질을 희생하지 않고서도 프레임율을 높일 수 있다.
CFM 화상(F1)의 화질은, 조영제의 대부분이 소실된 상태에서 촬영하고,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것에 의해 그다지 높지 않지만, 제 3 종래예보다 단지 조금만 저하된다.
또한, 제 1 초음파 주사 방법과 마찬가지로, 부분 영역에서 복수의 CFM 화상(F1, F2, ...)을 촬영하고, 그들의 가산에 의한 CFM 화상 ∑F를 이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기술한 제 5 초음파 주사 방법에 의해, BCFM 기반 간헐 주사가 제 3 종래예보다 전반적으로 적절하게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B 모드 화상에서의 불투명 관찰에 적합하고, 또한 CFM 화상을 통해 주변 혈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 6 초음파 주사 방법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전체 주사 영역(S)에서 모니터 화상(M1 내지 M8)을 촬영하는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와, 각 부분 영역(a, b, c, d)에서 조영제가 소실될 정도의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CFM 화상(F1)을 촬영하는 강초음파 CFM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및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B 모드 화상(B1)을 촬영하는 약초음파 B 모드 화상 부분 촬영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순차 부분 촬영 단계로 이루어지는 촬영 사이클이 반복된다.
도 14는 촬영 영역에 존재하는 조영제 양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부분 영역(a)에서는, 그래프 αpFa로부터 알 수 있듯이,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증가하고, 강초음파 CFM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소실된다. 그 후, 약초음파 B 모드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및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증가하고, 강초음파 CFM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소실되며, 이들 변화가 반복된다.
부분 영역(b)의 그래프 αpFb, 부분 영역(c)의 그래프 αpFc 및 부분 영역(d)의 그래프 αpFd도 부분 영역(a)의 그래프 αpFa와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그래프 αpFa와 전술한 제 4 종래예의 그래프 jpFa를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프레임율이 제 4 종래예와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CFM 화상 촬영 동안의 조영제의 양은 제 4 종래예에서의 양보다 많다. 그 결과, CFM 화상의 화질이 향상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레임율이 제 4 종래예보다 높은 경우에도, 조영제의양이 대략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제 4 종래예와 동일한 정도의 CFM 화상의 화질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CFM 화상의 화질을 희생하지 않고서도 프레임율을 높일 수 있다.
B 모드 화상(B1)의 화질은, 조영제의 대부분이 소실된 상태에서 촬영하고,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것에 의해 그다지 높지 않지만, 제 4 종래예보다 단지 조금만 저하된다.
또한, 제 2 초음파 주사 방법과 마찬가지로, 부분 영역에서 복수의 B 모드 화상(B1, B2, ...)을 촬영하고, 그들의 가산에 의한 B 모드 화상 ∑B를 이용할 수 있다. 이들 가산된 B 모드 화상 ∑B는 제 4 종래예와 대략 동일한 화질을 갖는다.
지금까지 기술한 제 6 초음파 주사 방법에 의해, BCFM 기반 간헐 주사가 제 4 종래예보다 전반적으로 적절하게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CFM 화상에서의 불투명 관찰에 적합하고, 또한 B 모드 화상을 통해 구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 7 초음파 주사 방법
제 7 초음파 주사 방법은 제 5 초음파 주사 방법이 변형된 것으로서,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부분 촬영 단계와 약초음파 CFM 화상 부분 촬영 단계의 상대적인 위치의 순서가 변경된 것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초음파 CFM 화상 부분 촬영 단계가 먼저 실행된 후,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부분 촬영 단계가 실행된다.
부분 영역(a)에서는, 도 16의 그래프 βpBa로부터 알 수 있듯이,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 및 약초음파 CFM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증가하고,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소실되며,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 및 약초음파 CFM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증가하고, 이들 변화가 반복된다.
이러한 그래프 βpBa와 전술한 제 3 종래예의 그래프 jpBa를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프레임율이 제 3 종래예와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B 모드 화상 촬영 동안의 조영제의 양은 제 3 종래예에서의 양보다 많다. 그 결과, B 모드 화상의 화질이 향상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레임율이 제 3 종래예보다 높은 경우에도, 조영제의 양이 대략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제 3 종래예와 동일한 정도의 B 모드 화상의 화질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B 모드 화상의 화질을 희생하지 않고서도 프레임율을 높일 수 있다.
CFM 화상(F1)의 화질은,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것에 의해 그다지 높지 않지만, 제 3 종래예보다 단지 조금만 저하된다.
또한, 제 1 초음파 주사 방법과 마찬가지로, 부분 영역에서 복수의 CFM 화상(F1, F2, ...)을 촬영하고, 그들의 가산에 의한 CFM 화상 ∑F를 이용할 수 있다. 이들 가산된 CFM 화상 ∑F는 제 3 종래예와 대략 동일한 화질을 갖는다.
지금까지 기술한 제 7 초음파 주사 방법에 의해, BCFM 기반 간헐 주사가 제 3 종래예보다 전반적으로 적절하게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B 모드 화상에서의 불투명 관찰에 적합하고, 또한 CFM 화상을 통해 주변 혈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 8 초음파 주사 방법
제 8 초음파 주사 방법은 제 6 초음파 주사 방법이 변형된 것으로서, 강초음파 CFM 화상 부분 촬영 단계와 약초음파 B 모드 화상 부분 촬영 단계의 상대적인 위치의 순서가 변경된 것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초음파 B 모드 화상 부분 촬영 단계가 먼저 실행된 후, 강초음파 CFM 화상 부분 촬영 단계가 실행된다.
부분 영역(a)에서는, 도 18의 그래프 βpFa로부터 알 수 있듯이,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 및 약초음파 B 모드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증가하고, 강초음파 CFM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소실되며,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 및 약초음파 B 모드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동안 조영제가 증가하고, 이들 변화가 반복된다.
이러한 그래프 βpFa와 전술한 제 4 종래예의 그래프 jpFa를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프레임율이 제 4 종래예와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CFM 화상 촬영 동안의 조영제의 양은 제 4 종래예에서의 양보다 많다. 그 결과, CFM 화상의 화질이 향상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레임율이 제 4 종래예보다 높은 경우에도, 조영제의 양이 대략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제 4 종래예와 동일한 정도의 CFM 화상의 화질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CFM 화상의 화질을 희생하지 않고서도 프레임율을 높일 수 있다.
B 모드 화상(B1)의 화질은, 조영제의 대부분이 소실된 상태에서 촬영하고,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것에 의해 그다지 높지 않지만, 제 4 종래예보다단지 조금만 저하된다.
또한, 제 2 초음파 주사 방법과 마찬가지로, 부분 영역에서 복수의 B 모드 화상(B1, B2, ...)을 촬영하고, 그들의 가산에 의한 B 모드 화상 ∑B를 이용할 수 있다. 이들 가산된 B 모드 화상 ∑B는 제 4 종래예와 대략 동일한 화질을 갖는다.
지금까지 기술한 제 8 초음파 주사 방법에 의해, BCFM 기반 간헐 주사가 제 4 종래예보다 전반적으로 적절하게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CFM 화상에서의 불투명 관찰에 적합하고, 또한 B 모드 화상을 통해 구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구현 모드로서,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이 수행되는 경우, 조영제가 소실될 정도의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이 수행되는 경우보다 높은 주파수가 이용되는 초음파 주사 방법 및 초음파 진단 장치를 들 수 있다.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는 것 외에, 초음파의 주파수가 높아지기 때문에, 조영제의 파괴가 보다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신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의 여러 가지 다른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규정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주사 방법 및 초음파 진단 장치에 의하면, BCFM 기반간헐 주사를 종래 기술보다 적절하게 수행하고, B 모드 화상이 촬영되든지 혹은 CFM 화상이 촬영되든지 간에 강한 초음파의 낭비적인 이용을 제거할 수 있다.

Claims (7)

  1. 초음파 진단 장치에 있어서,
    초음파 프로브와,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이용하여 피검체(subject)의 내부를 주사하는 초음파 주사 장치와,
    주사에 의해 획득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초음파 화상을 생성하는 초음파 화상 생성 장치와,
    상기 초음파 화상을 표시하는 초음파 화상 표시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초음파 주사 장치는,
    조영제(contrast agent)가 소실될 정도의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B 모드 화상을 촬영하는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와,
    상기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난류 화상(turbulent image)을 촬영하는 약초음파 난류 화상 촬영 단계와,
    상기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모니터 화상 촬영을 다수회 반복하는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로 이루어지는 촬영 사이클을 반복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주사 장치는,
    상기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 상기 약초음파 난류 화상 촬영 단계 및 상기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의 순서로 실행하거나, 또는 상기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 상기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 및 상기 약초음파 난류 화상 촬영 단계의 순서로 실행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
  3. 초음파 진단 장치에 있어서,
    초음파 프로브와,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내부를 주사하는 초음파 주사 장치와,
    주사에 의해 획득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초음파 화상을 생성하는 초음파 화상 생성 장치와,
    상기 초음파 화상을 표시하는 초음파 화상 표시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초음파 주사 장치는,
    조영제가 소실될 정도의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난류 화상을 촬영하는 강초음파 난류 화상 촬영 단계와,
    상기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B 모드 화상을촬영하는 약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와,
    상기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모니터 화상 촬영을 다수회 반복하는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로 이루어지는 촬영 사이클을 반복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주사 장치는,
    상기 강초음파 난류 화상 촬영 단계, 상기 약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 및 상기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의 순서로 실행하거나, 또는 상기 강초음파 난류 화상 촬영 단계, 상기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 및 상기 약초음파 B 모드 화상 촬영 단계의 순서로 실행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
  5. 초음파 진단 장치에 있어서,
    초음파 프로브와,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내부를 주사하는 초음파 주사 장치와,
    주사에 의해 획득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초음파 화상을 생성하는 초음파 화상생성 장치와,
    상기 초음파 화상을 표시하는 초음파 화상 표시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초음파 주사 장치는,
    주사 영역이 2 이상의 부분 영역으로 분할되고, 하나의 부분 영역에서 조영제가 소실될 정도의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B 모드 화상을 촬영하는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및 상기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난류 화상을 촬영하는 약초음파 난류 화상 부분 촬영 단계가 각 부분 영역에 대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순차 부분 촬영 단계와,
    상기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전체 주사 영역에서 모니터 화상 촬영을 다수회 반복하는 약초음파 모니터 화상 촬영 단계로 이루어지는 촬영 사이클을 반복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주사 장치는,
    하나의 부분 영역에서 상기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및 상기 약초음파 난류 화상 부분 촬영 단계의 순서로 실행하거나, 또는 상기 약초음파 난류 화상 부분 촬영 단계 및 상기 강초음파 B 모드 화상 부분 촬영 단계의 순서로 실행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주사 장치는,
    상기 조영제가 소실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조영제가 소실될 정도의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촬영이 수행되는 경우보다 높은 주파수를 이용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
KR10-2002-0043151A 2001-07-23 2002-07-23 초음파 진단 장치 KR1004440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21051 2001-07-23
JP2001221051A JP3844667B2 (ja) 2001-07-23 2001-07-23 超音波診断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597A KR20030011597A (ko) 2003-02-11
KR100444096B1 true KR100444096B1 (ko) 2004-08-11

Family

ID=19054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151A KR100444096B1 (ko) 2001-07-23 2002-07-23 초음파 진단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58327B2 (ko)
JP (1) JP3844667B2 (ko)
KR (1) KR100444096B1 (ko)
CN (1) CN1223311C (ko)
DE (1) DE10233221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4518B2 (en) * 2002-11-26 2004-11-30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High transmit power diagnostic ultrasound imaging
JP4521204B2 (ja) * 2004-02-27 2010-08-11 株式会社東芝 超音波診断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超音波画像撮影方法
DE102006057211B3 (de) * 2006-12-01 2008-03-27 Kompetenzzentrum Medizintechnik Ruhr (Kmr) E.V.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ntrastmittelgestützten Perfusionsmessung
JP5162923B2 (ja) * 2007-02-27 2013-03-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超音波撮像装置
JP2008245891A (ja) * 2007-03-30 2008-10-16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超音波造影撮影方法および超音波診断装置
JP5234392B2 (ja) 2007-08-21 2013-07-10 ジーイー・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グローバル・テクノロジー・カンパニー・エルエルシー 超音波診断装置
JP6012941B2 (ja) * 2011-09-08 2016-10-25 東芝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超音波診断装置
US9861341B2 (en) 2014-01-29 2018-01-09 Toshiba Medical Systems Corporation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CN105395214B (zh) * 2014-02-20 2018-09-21 飞依诺科技(苏州)有限公司 基于rf数据超声成像处理方法及系统
CN109805960A (zh) * 2019-02-22 2019-05-28 无锡海斯凯尔医学技术有限公司 超声成像中数据传输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7556A (ja) * 1988-06-13 1990-09-20 Asulab Sa エコー追跡装置
KR970706759A (ko) * 1994-11-01 1997-12-01 클로제; 엔. 슈바르쯔 초음파 프로세스 및 이를 수행하는 회로(Ultrasonic Process and Circuits for Carrying Out This Process)
KR20010060257A (ko) * 1999-11-05 2001-07-06 추후제출 Prf 조절 방법 및 장치, 및 초음파 촬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1347A (en) * 1976-09-21 1979-02-27 Sri International Real-time ultrasonic B-scan imaging and Doppler profile display system and method
JPH0790026B2 (ja) * 1989-08-25 1995-10-04 株式会社東芝 超音波診断装置
EP0477571B1 (en) * 1990-08-29 2001-03-21 Kabushiki Kaisha Toshiba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capable of acquiring high quality image by correcting phase distortion contained in ultrasonic pulses
JP3144819B2 (ja) * 1991-04-17 2001-03-12 株式会社東芝 超音波診断装置
US5490511A (en) * 1992-01-14 1996-02-13 Ge Yokogawa Medical Systems, Ltd Digital phase shifting apparatus
JP3329575B2 (ja) * 1994-05-12 2002-09-30 ジーイー横河メディカルシステム株式会社 マルチチャンネルデジタル受信装置および超音波診断装置
US6023968A (en) * 1995-08-23 2000-02-15 Diasonics Ultrasound, Inc. Real-time two-dimensional resistance and pulsatility mapping
US5993391A (en) * 1997-09-25 1999-11-30 Kabushiki Kaisha Toshiba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US5910119A (en) * 1998-05-12 1999-06-08 Diasonics, Inc. Ultrasonic color doppler velocity and direction imaging
JP3355140B2 (ja) * 1998-11-18 2002-12-09 ジーイー横河メディカルシステム株式会社 超音波撮像装置
US6450961B1 (en) * 1999-06-03 2002-09-17 Kabushiki Kaisha Toshiba Ultrasound imaging using flash echo imaging techniqu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7556A (ja) * 1988-06-13 1990-09-20 Asulab Sa エコー追跡装置
KR970706759A (ko) * 1994-11-01 1997-12-01 클로제; 엔. 슈바르쯔 초음파 프로세스 및 이를 수행하는 회로(Ultrasonic Process and Circuits for Carrying Out This Process)
KR20010060257A (ko) * 1999-11-05 2001-07-06 추후제출 Prf 조절 방법 및 장치, 및 초음파 촬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3311C (zh) 2005-10-19
DE10233221A1 (de) 2003-03-13
DE10233221B4 (de) 2006-10-19
US6558327B2 (en) 2003-05-06
CN1398575A (zh) 2003-02-26
KR20030011597A (ko) 2003-02-11
JP3844667B2 (ja) 2006-11-15
JP2003052698A (ja) 2003-02-25
US20030032881A1 (en) 200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1626B2 (en) Ultrasonic diagnosis apparatus and ultrasonic diagnosis method
US681470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ltrasonic diagnostic imaging using a contrast medium
JP2001120549A (ja) 超音波診断装置
JP2005319177A (ja) 超音波診断装置
US8360980B2 (en) Ultrasonic diagnosis apparatus and ultrasonic diagnosis apparatus control method
JP2000152939A (ja) 物体ボリュ―ムの3次元イメ―ジング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444096B1 (ko) 초음파 진단 장치
JPH03224552A (ja) 超音波診断装置
JP2004180784A (ja) 超音波診断装置
US20090187107A1 (e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thereof
JP2004202229A (ja) 造影剤時間強度曲線分析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3959257B2 (ja) 超音波診断装置
Lovstakken et al. Blood flow imaging-a new real-time, flow imaging technique
JP5241980B2 (ja) 超音波診断装置
JP2009119134A (ja) 超音波撮像装置
JP2001258886A (ja) 画像構成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超音波撮影装置
JP4381028B2 (ja) 超音波診断装置
JP3911379B2 (ja) 超音波診断装置
KR100822509B1 (ko) 초음파 진단 장치
JP2006296458A (ja) 超音波診断装置
JPH0581141B2 (ko)
JP4564184B2 (ja) 超音波診断装置及び該装置に関する超音波の送信及び受信方法
JPH10314170A (ja) 超音波診断装置
JP2000316861A (ja) 3次元画像作成方法および超音波診断装置
JP2003190153A (ja) 超音波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