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3622B1 - 티타늄 펌프 - Google Patents

티타늄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3622B1
KR100443622B1 KR1020040008156A KR20040008156A KR100443622B1 KR 100443622 B1 KR100443622 B1 KR 100443622B1 KR 1020040008156 A KR1020040008156 A KR 1020040008156A KR 20040008156 A KR20040008156 A KR 20040008156A KR 100443622 B1 KR100443622 B1 KR 100443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ower
impeller
titanium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8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갑
Original Assignee
김재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갑 filed Critical 김재갑
Priority to KR1020040008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3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6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2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04D29/026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7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5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05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300/00Materials; Properties thereof
    • F05D2300/10Metals, alloys or intermetallic compounds
    • F05D2300/13Refractory metals, i.e. Ti, V, Cr, Zr, Nb, Mo, Hf, Ta, 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타늄 펌프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티타늄 펌프는 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동력발생수단, 동력발생수단에 해제 가능하게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동력발생수단에서 발생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 동력전달수단에 해제 가능하게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전달된 동력에 의해 구동되며 유체를 유입하고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유체펌핑수단 및 유체펌핑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안내하기 위한 유체안내수단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크롬산 등의 강산에 입수된 상태에서 펌프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고, 펌프 고장시 용이하게 분해하여 수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티타늄 펌프{Titanium pump}
본 발명은 펌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롬산 등의 강산성에 견딜 수 있으며 용이하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는 티타늄 펌프에 관한 것이다.
크롬은 청백색 색상을 지니며 반사성이 우수하다. 또한, 크롬은 변색이 잘 되지 않으며 내식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크롬은 스크래치에 대해 강한 저항성을 갖는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기류나 기타 일용품의 표면은 대게 크롬으로 도금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 렌즈의 나사고정부분, 정밀기계의 끼워맞춤부분, 주형의 내면, 인쇄용 판면 등에 마모를 방지할 목적으로 크롬을 그 표면에 도금하고 있다.
크롬 도금은 크롬 도금 전용기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크롬 도금 전용기에 크롬산을 공급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순환펌프라 불리우는 펌프를 사용하고 있다.
순환펌프는 대게 액체형태의 크롬산에 입수된 상태로 사용하며 크롬산을 펌핑하여 크롬 도금 전용기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현재, 일반적으로는 순환펌프를 주로 P.V.C나 F.R.P를 소재로 하여 주조공정을 통하여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P.V.C.나 F.R.P.는 크롬산 등의 강산에 오래 견디지 못하고 쉽게 부식되기 때문에, 부식된 펌프는 진동이 가해지면 쉽게 손상되어 펌프를 크롬산에 입수한 상태로 장시간 사용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펌프가 주조공정에 의해 제조되기 때문에 펌프가 손상되었을 때 분해하여 수리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펌프를 P.V.C나 F.R.P.로 제조할 경우 펌프 운행시 발생하는 진동, 하중 및 토오크를 견디게 하기 위해서 펌프의 부피가 커지고 이로 인해 펌프의 무게 또한 증가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이다. 본 발명은 크롬산 등의 강산에 입수한 상태로 장시간 사용 가능한 티타늄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벤딩 등의 기계가공 및 용접가공으로 펌프를 제조함으로써 분해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티타늄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펌프의 소재를 티타늄으로 함으로써 펌프의 크기와 중량을 줄일 수 있는 티타늄 펌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티타늄 펌프의 개략적인 외형사시도;
도 2는 도 1의 티타늄 펌프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및
도 3은 도 1의 티타늄 펌프의 장착되는 임펠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0; 티타늄 펌프 1100; 동력발생부
1110; 구동모터 1120; 모터축
1200; 동력전달부 1210; 케이싱
1220; 제1원판 1230; 커플러
1240; 제2원판 1250; 주축
1260; 지지봉 1270; 제3원판
1280; 부싱하우징 1300; 유체펌핑부
1310; 임펠라 케이싱 1320; 연장판링
1330; 제4원판 1440; 유체안내부
1410; 유체안내관 1420; U형 덮개
1430; 밀봉마개 1440; 주름부
1450; 니쁠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동력발생수단, 동력발생수단에 해제 가능하게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동력발생수단에서 발생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 동력전달수단에 해제 가능하게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전달된 동력에 의해 구동되며 유체를 유입하고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유체펌핑수단 및 유체펌핑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안내하기 위한 유체안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타늄 펌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티타늄 펌프는 동력발생수단으로 구동모터를 사용한다.
동력전달수단은 동력발생수단에서 발생한 동력을 유체펌핑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축부재, 축부재와 동력발생수단을 결합하는 제1결합부재, 축부재와 유체펌핑수단을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부재 및 축부재와 지지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싱을 포함한다.
또한, 동력전달수단은 케이싱의 양측단에 축부재 및 지지부재가 관통하는 제1판재 및 제2판재를 더 포함하며, 제1판재 및 제2판재는 소정의 제2결합부재에 의해 지지부재의 양단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케이싱의 양측단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또한, 동력전달수단은 축부재의 회전에 의한 떨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판재의 중앙부근에 축부재의 말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부싱부재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다수의 지지부재는 축부재를 중심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등간격으로 배치한다.
유체펌핑수단은 유체를 펌핑하기 위한 티타늄 소재의 임펠라, 임펠라와 축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이음부재, 임펠라와 이음부재를 수용하고 일측의 소정 위치에펌핑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유체배출구가 형성되며 오프닝을 갖는 티타늄 소재의 임펠라 케이싱 및 오프닝을 덮도록 임펠라 케이싱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며 소정 위치에 오프닝과 연결되도록 유체유입구가 형성되는 제3판재를 포함한다.
또한, 임펠라 케이싱은 벤딩공정에 의해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티타늄 펌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티타늄 펌프(1000)는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1100), 구동부(1100)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200), 동력전달부(1200)로부터 동력을 부여 받아 유체를 펌핑하는 유체펌핑부(1300) 및 유체펌핑부(1300)에서 펌핑된 유체를 운반하는 유체안내부(1400)를 포함한다.
구동부(1100), 동력전달부(1200), 유체펌핑부(1300) 및 유체안내부(1400)에 대하여 도 2를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동부(110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1110)를 구비한다.
구동모터(1110)의 전면에는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소정길이의 모터축(1120)가 설치된다.
동력전달부(1200)는 구동모터(1110)의 모터축(1120)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주축(1250)을 구비한다.
주축(1250)은 커플러(1230)에 의해 모터축(1120)과 고정되게 결합되고,주축(1250)의 말단부에는 제1나사부(1251)가 형성된다. 또한, 주축(1250)은 모터축(1120)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축(1250)의 주변에는 주축(1250)을 중심으로 정삼각형을 이루도록 다수의 지지봉(1260)들을 구비한다.
지지봉(1260)은 주축(1250) 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말단에는 소정길이의 제2나사부(126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축(1250)과 지지봉(1260)은 그 양말단이 각각 외부로 돌출되도록 원통형 케이싱(1210)에 삽입된다.
구동모터(1110)와 주축(1250)이 결합되는 부분에는 주축(1250)과 지지봉(1260)이 관통하도록 제1원판(1220)과 제2원판(1240)을 설치한다.
제1원판(1220)은 구동모터(1110)와 가까이 배치되므로 구동모터(1110)의 운행시 진동을 견디기 위하여 다소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원판(1220)의 소정 위치에는 다수의 지지봉(1260)이 관통하는 다수의 제1관통홀(1221)을 형성한다. 또한, 제1원판(1220)의 중앙에는 모터축(1120)이 관통하는 제2관통홀(1222)을 형성한다.
제1원판(1220)의 외부로 돌출된 다수의 지지봉(1260)은 너트(1262)에 의해 결합된다. 너트(1262)는 모터(1110)에 의한 진동에도 쉽게 풀리지 않도록 이중 너트 또는 스프링 워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원판(1220)과 케이싱(1210) 사이에는 제2원판(1240)을 설치한다.
제2원판(1240)은 제1원판(1220)에 비하여 비교적 얇게 형성한다.
또한, 제2원판(1240)의 소정 위치에는 다수의 지지봉(1260)이 관통하는 다수의 제3관통홀(1241)을 형성한다. 또한, 제2원판(1240)의 중앙에는 주축(1250)이 관통하는 제4관통홀(1242)을 형성한다.
또한, 제2원판(1240)의 테두리의 소정 위치에는 유체안내관(141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1243)을 형성한다.
제1원판(1220)과 제2원판(1240)의 사이에는 모터축(1120)과 주축(1250)이 각각 돌출되며 모터축(1120)과 주축(1250)은 커플러(1230)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된다.
또한, 제1원판(1220)과 제2원판(1240) 사이의 지지봉(1260)에는 지지봉(1260)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중공형 지지봉 덮개(1263)를 삽입하여 제1원판(1220)과 제2원판(1240) 사이에 덮개(1263) 만큼의 거리를 확보하도록 한다.
덮개(1263)는 커플러(1230)보다 다소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작업자가 커플러(1230)를 용이하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다.
주축(1250)의 말단부쪽에는 제2원판(1240)과 동일한 크기의 제3원판(1270)을 설치한다. 제3원판(1270)에는 다수의 지지봉(1260)이 관통하는 제5관통홀(1271) 및 주축(1250)이 관통하는 제6관통홀(1272)을 형성한다.
이때, 제1원판(1220)에 형성된 다수의 제1관통홀(1221), 제2원판(1240)에 형성된 다수의 제3관통홀(1241) 및 제3원판(1270)에 형성된 다수의 제5관통홀(1271)은 동축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또한, 제1원판(1220)에 형성된 제2관통홀(1222), 제2원판(1240)에 형성된 제4관통홀(1242) 및 제3원판(1270)에 형성된 제6관통홀(1272)은 동축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제3원판(1270)의 일면에는 주축(1250)의 말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부싱하우징(1280)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게 설치한다. 이때, 부싱하우징(1280)의 중심축과 제6관통홀(1272)의 중심축을 일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싱하우징(1280)의 내부에는 부싱하우징(1280)과 밀착하도록 부싱(1281)을 삽입한다.
부싱(1281)은 주축(1250)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을 정도의 내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싱(1281)은 쉽게 마모되어 자주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부싱(1281)을 부싱하우징(1280)의 외부로 살짝 돌출시키는 등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원판(1270)은 제5관통홀(1271)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다수의 지지봉(1260)에 이중너트(1262)를 결합함으로써 케이싱(1210)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제3원판(1270)의 타면에는 임펠라 케이싱(1310)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게 설치한다.
임펠라 케이싱(1310)은 티타늄을 소재로 하며, 그 측면의 소정 위치에 펌핑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유체배출구(1311)를 형성한다. 또한, 제6관통홀(1272)과 마주하도록 오프닝(1312)을 형성한다.한편, 임펠라는 상기 임펠라 케이싱(1310)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도 1 및 도 2에는 미도시 되어 있으며, 구체적인 임펠라의 구성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 도 3에서 상기 임펠라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후술한다.
오프닝(1312)의 주위에는 임펠라 케이싱(1310)로부터 연장되도록 연장판링(1320)을 형성한다. 또한, 연장판링(1320)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제7관통홀(1321)을 형성한다.
임펠라 케이싱(1310)의 오프닝(1312)은 제4원판(1330)에 의해 덮혀진다.
제4원판(1330)에는 임펠라 케이싱(1310)의 측면에 형성된 유체배출구(1311)와 대응하는 위치에 연장부(1331)를 형성한다.
또한, 제4원판(1330)의 중앙에는 제3원판(1270)에 형성된 제6관통홀(1272)과 동축을 이루도록 유체유입구(1333)를 형성한다.
또한, 제4원판(1330)에는 유체유입구(1333)의 주변에 임펠라 케이싱(1310)의 연장판링(1320)에 형성된 다수의 제7관통홀(1321)과 대응하는 다수의 제8관통홀(1332)을 형성한다.
다수의 볼트(1334)가 임펠라 케이싱(1310)의 연장판링(1320)에 형성된 제7관통홀(1321)과 제4원판(1330)에 형성된 제8관통홀(1332)을 관통하도록 삽입하고 볼트(1334)를 너트(1335)로 조임으로써 제4원판(1330)을 임펠라 케이싱(1310)에 고정되게 결합한다.
임펠라 케이싱(1310)에 형성된 유체배출구(1311)에는 U자형 덮개(1420)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게 설치한다.
U자형 덮개(1420)의 일면은 제4원판(1330)의 연장부(1331)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게 설치하며, 타면은 유체안내관(1410)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게 설치한다.
U자형 덮개(1420)와 유체안내관(1410)이 결합된 부위에는 밀봉마개(1430)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한다.
밀봉마개(1430)는 배출되는 유체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임페라 케이싱(1310), U자형 덮개(1420) 및 유체안내관(1410)에 용접을 통하여 고정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체안내관(1410)은 케이싱(1210) 보다 다소 길게 형성하며, 그 일부는 제2원판(1240)에 형성된 고정홈(1243)에 삽입되고 고정된다.
유체안내관(1410)은 그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소정의 위치에 주름부(1440)를 형성한다. 따라서, 유체안내관(1410)에 연결되는 크롬 도금기 등의 장비를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유체안내관(1410)의 말단부에는 니쁠(1450)을 형성하며, 니쁠(1450)은 나사식과 호스식을 구비하여 현장에서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 도 3을 참조로 상술한 임펠라 케이싱(1310)에 장착되는 임펠라(13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임펠라(1340)는 티타늄으로 소재로 하며, 소정 두께의 원판(1341)을 구비한다.
원판(1341)은 임펠라 케이싱(1310)의 내경과 거의 밀착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앙에는 상향 돌출형의 결합마운트(1342)를 형성한다.
결합마운트(1342)의 주변에는 와선형의 다수의 블레이드(1343)들을 형성하고, 결합마운트(1342)의 내벽에는 다수의 결합홈(1345)을 형성한다.
결합마운트(1342)에는 주축(1250)과 결합되는 주축이음재(1350)를 결합한다. 주축이음재(1350)는 티타늄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축이음재(1350)의 내벽에는 주축(1250)의 말단부에 형성된 제1나사부(1251)와 대응하는 나사산(1351)을 형성한다. 또한, 주축이음재(1350)의 외벽에는 결합마운트(1342)의 내벽에 형성된 결합홈(1345)와 대응하는 결합돌기(1352)를 형성한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티타늄 펌프(10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모터(1110)가 구동되어 모터축(1120)이 회전하면, 커플러(1230)에 의해 모터축(1120)에 결합된 주축(1250)이 회전한다.
또한, 주축(1250)의 말단에 주축이음재(1350)에 의해 결합된 임펠라(1340)이 회전한다. 이때, 주축(1250)의 말단부에 구비된 부싱(1281)에 의해 주축(1250)의 말단부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임펠라 케이싱(1310)이 크롬산 등의 유체 속에 입수된 상태에서 임펠라(1340)가 회전하면 유체유입구(1333)를 통하여 유체가 임펠라 케이싱(13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임펠라(1340)를 경유하면서 임펠라(1340)에 의해 동력을 얻은 유체는 임펠라 케이싱(1310)의 일측에 형성된 유체배출구(1311)를 통하여 배출된다.
배출된 유체는 유체배출구(1311)와 연결된 유체안내관(1410)을 통하여 이동한다.
유체안내관(1410)에는 크롬 도금 전용기 등의 장비를 장착하여 원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티타늄 펌프(1000)의 조립순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다수의 지지봉(1260)의 일단에 너트(1262)를 결합한다.
다음, 지지봉(1260)이 제1관통홀(1221)을 관통하도록 제1원판(1220)을 지지봉(1260)에 장착한다.
다음, 모터축(1120)을 제1원판(1220)의 제2관통홀(1222)을 관통하도록 삽입한 후 커플러(1230)의 일단을 결합한다. 또한, 이때 지지봉 덮개(1263)를 지지봉(1260)에 장착한다.
다음, 다수의 지지봉(1260)을 관통하도록 제2원판(1240)을 장착한다.
다음, 제2원판(1240)에 주축(1250)을 삽입하여 커플러(1230)의 타단에 주축(1250)을 결합한다.
다음, 주축(1250)과 다수의 지지봉(1260)을 감싸도록 케이싱(1210)을 장착한다.
다음, 주축(1250)이 부싱하우징(1280)에 삽입한 부싱(1281)을 관통하고, 다수의 지지봉(1260)이 제5관통홀(1271)을 관통하도록 제3원판(1270)을 장착한 후 너트(1262)로 지지봉(1260)을 조인다.
다음, 주축이음재(1350)을 사용하여 주축(1250)과 임펠라(1340)를 결합함으로써 임펠라 케이싱(1310) 내에 임펠라(1340)를 장착한다.
마지막으로, 임펠라 케이싱(1310)의 연장판링(1320)에 형성된 다수의 제7관통홀(1321)과 제4원판(1330)에 형성된 다수의 제8관통홀(1332)을 관통하도록 볼트(1334)를 삽입하고 너트(1335) 등으로 조임으로써 제4원판(1330)을 임펠라 케이싱(1310)에 고정되게 결합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의 티타늄 펌프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본 발명의 티타늄 펌프는 크롬산 등의 유체에 입수되는 부분이 티타늄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쉽게 부식되지 않아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티타늄을 소재로 하여 펌프를 제조하기 때문에 펌프 운행시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한 손상이 거의 없어 소규모의 펌프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펌프의 임펠라 케이싱 등을 주조가 아닌 벤딩 등의 기계가공을 거쳐 제작하고 볼트 등의 해제가 용이한 결합수단을 통하여 펌프를 조립함으로써 소정 부품의 손상시 펌프를 용이하게 분해하여 수리할 수 있다.

Claims (10)

  1. 삭제
  2. 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동력발생수단;
    상기 동력발생수단에서 발생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동력발생수단에 기계적으로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동력전달수단;
    유체를 유입하고 상기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전달된 동력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기계적으로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티타늄 소재의 유체펌핑수단; 및
    상기 유체펌핑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유체를 안내하기 위한 유체안내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타늄 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동력발생수단에서 발생한 상기 동력을 상기 유체펌핑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축부재, 상기 축부재와 상기 동력발생수단을 결합하는 제1결합부재, 상기 축부재와 상기 유체펌핑수단을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부재 및 상기 축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타늄 펌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케이싱의 양측단에 상기 축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가 관통하는 제1판재 및 제2판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판재 및 상기 제2판재는 소정의 제2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케이싱의 양측단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타늄 펌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축부재의 회전에 의한 떨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판재의 중앙부근에 상기 축부재의 말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부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타늄 펌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지부재는 상기 축부재를 중심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타늄 펌프.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펌핑수단은 상기 유체를 펌핑하기 위한 티타늄 소재의 임펠라, 상기 임펠라와 상기 축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이음부재, 상기 임펠라와 상기 이음부재를 수용하고 일측의 소정위치에 상기 펌핑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유체배출구가 형성되며 오프닝을 갖는 티타늄 소재의 임펠라 케이싱 및 상기 오프닝을 덮도록 상기 임펠라 케이싱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며 소정위치에 유체유입구가 형성된 제3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타늄 펌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라 케이싱은 벤딩공정에 의해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타늄 펌프.
  9. 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주축;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축부재를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커플러;
    상기 주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주축을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봉;
    상기 주축과 상기 지지봉을 수용하는 원통형 케이싱;
    상기 주축 및 상기 지지봉이 관통하며 상기 지지봉의 양말단에 소정의 결합부재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케이싱의 양측단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판재 및 제2판재;
    상기 주축의 회전에 의한 떨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주축의 말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제2판재의 일면의 중앙부근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부싱부재;
    유체를 펌핑하기 위한 티타늄 소재의 임펠라;
    상기 주축의 말단부와 나사결합되며 상기 주축과 상기 임펠라를 연결하기 위한 티타늄 소재의 이음부재;
    상기 임펠라 및 상기 이음부재를 수용하고 일측의 소정위치에 상기 펌핑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유체배출구가 형성되며 오프닝을 갖는 티타늄 소재의 임펠라케이싱;
    상기 오프닝을 덮도록 상기 임펠라 케이싱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며 소정 위치에 유체유입구가 형성된 제3판재; 및
    상기 임펠라 케이싱의 상기 유체배출구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된 유체를 안내하기 위한 유체안내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타늄 펌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라 케이싱은 벤딩공정에 의해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타늄 펌프.
KR1020040008156A 2004-02-07 2004-02-07 티타늄 펌프 KR100443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156A KR100443622B1 (ko) 2004-02-07 2004-02-07 티타늄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156A KR100443622B1 (ko) 2004-02-07 2004-02-07 티타늄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3622B1 true KR100443622B1 (ko) 2004-08-09

Family

ID=37357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8156A KR100443622B1 (ko) 2004-02-07 2004-02-07 티타늄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36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861B1 (ko) * 2020-09-03 2021-06-30 주식회사 동성피엔피 와류 방지 패널이 구비된 수중 펌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861B1 (ko) * 2020-09-03 2021-06-30 주식회사 동성피엔피 와류 방지 패널이 구비된 수중 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6673B2 (en) Gear pump
US6398521B1 (en) Adapter for motor and fluid pump
MX2012010606A (es) Montaje de helice que comprende un cubo y al menos dos alabes.
US4140444A (en) Flexible shaft assembly for progressing cavity pump
JP5264060B2 (ja) 遠心力ポンプの側板を取り付けるための密封装置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取付ねじ
JP2563865Y2 (ja) ロータリーポンプ
KR100443622B1 (ko) 티타늄 펌프
US6227802B1 (en) Multistage centrifugal pump
US6152719A (en) Gear pump having an inlet port aligned with the drive shaft
JP2007085357A (ja) 蠕動ポンプ
WO2020233244A1 (zh) 螺杆泵
US4153397A (en) Rotor drive coupling for progressing cavity pump
US6328547B1 (en) Rotary pump
JPH0587690B2 (ko)
CN210531140U (zh) 螺杆泵
CN111448364B (zh) 用于渐进式空腔泵的拆卸装置
CN211950946U (zh) 一种多台阶耐腐蚀性水泵传动轴
CN219406999U (zh) 一种快拆螺杆泵灌装装置
KR20090059779A (ko) 로터리버용 다이 그라인더
CN220555990U (zh) 一种轻小型高压机床冷却螺杆泵
CN220168137U (zh) 挠性连接结构以及立式螺杆泵
CN219282049U (zh) 一种可快速拆装的立式长轴泵
CN216643431U (zh) 一种金属连接件
KR100232568B1 (ko) 포크레인용 트윈 헤드 홀더
JP2002174197A (ja) 水中ポンプ用軸継ぎ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