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3401B1 - 면역 증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면역 증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3401B1
KR100443401B1 KR10-2001-0086846A KR20010086846A KR100443401B1 KR 100443401 B1 KR100443401 B1 KR 100443401B1 KR 20010086846 A KR20010086846 A KR 20010086846A KR 100443401 B1 KR100443401 B1 KR 100443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resent
yeast
ginger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6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6582A (ko
Inventor
김형민
홍승헌
Original Assignee
김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민 filed Critical 김형민
Priority to KR10-2001-0086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3401B1/ko
Publication of KR20030056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6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4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5Perilla (beefsteak 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61K36/725Ziziphus, e.g. juj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감초, 대추, 배, 백출, 생강, 소엽, 진피 및 총백 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면역 증강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mune enhancement}
본 발명은 감기 예방 등의 효과를 갖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감초, 대추, 배, 백출, 생강, 소엽, 진피 및 총백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력 증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감기는 일차적인 건강관리에 있어서 가장 빈번하게 치료 및 상담을 요하는 질환이다. 일반 내과 병원을 찾는 환자의 3분의 1 내지 4분의 1 정도가 이른바 감기라 불리는 급성 상기도 감염환자들이다. 소아과 기도 감염은 특히 심각하며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다. 5세 이하의 어린이에 있어서 기도 감염은 폐 질환으로 인해 사망케 하는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감염성 질환은 면역기능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면역력 증가는 감기의 예방과 치료에 좋은 수단이 될 수 있다.
근래 감기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대체 의약품 시장은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데 미국이 경우 전 인구의 약 1/3이 백신과 화학약품이 아닌 대체 의약품에 의존하고 있으며, 유럽에서는 그 비중이 더 큰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한약과 같은 대체 의약품으로서 면역기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는 의약 또는 식품 조성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면역계는 자연저항, 비특이성 면역체계 및 특이성 면역체계로 구분할 수 있다. 자연저항(1차방어선)이란 미생물을 위시한 모든 침입자들을 그들의 종류에 관계없이 막아내는 해부생리학적 요소들을 말하며, 비특이적 면역(2차방어선)은 자연저항을 돌파하여 체내로 들어온 침입자들을 제거하는 식세포로 구성된 방어체계를, 그리고 특이성 면역계(3차방어선)는 림프구들로 구성된 면역체계를 말하는데, 이중 특이성 면역계는 기억능 그리고 자기와 비자기를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고도로 발달한 면역체계이다.
백혈구는 2차 또는 3차 방어선을 구성하여 1차 방어선을 돌파하여 체내에 들어온 이물을 담당한다. 이중 대식세포는 많은 라이소솜을 가지고 있고 이들은 산성가수분해효소와 과산화 효소를 함유하고 있다. 또한 유리면과 플라스틱 표면에 강하게 부착하는 성질이 있으며 미생물이나 종양세포 등을 활발하게 탐식한다. 이 세포는 IFN-γ등의 싸이토카인 수용체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보체성분, 인터페론, 인터루킨-1 및 종양괴사인자 같은 싸이토카인을 생산하며 T-세포로부터 생산되는 여러 가지 싸이토카인에 의해 기능이 증강될 수 있다.
역시 백혈구의 일종인 T-세포는 혈중 소림프구의 약 70%를 차지한다. T-세포는 흉선에서 분화되며 T-세포항원수용체(TCR)를 갖는다. 말초혈액 T-세포는 CD4 양성인 TH세포(helper T-cell)와 CD8 양성인 TC 세포(cytotoxic T-cell)로 나뉜다. CD4+TH세포는 MHC classII 분자에 결합된 항원을 인식하여 활성화되며, B세포를 도와서 항체생성을 가능하게 하거나 다른 T 세포의 기능을 돕는다. CD4+TH세포는 다시 그들이 생산하는 싸이토카인을 근거로 TH1 및 TH2로 분류할 수 있다. 실험용 생쥐(mouse)의 TH1세포는 인터루킨-2(IL-2), 인터페론-감마(IFN-γ) 등을 분비하는 반면에 TH2 세포는 IL-4, IL-5, IL-6, IL-9, IL-10, IL-13 등을 분비한다. 그러나 사람에 있어서는 IL-2, IL-6, IL-10, IL-13의 생성이 엄격히 구분되지 않는다. 그외에 IL-3, 종양괴사인자-알파(TNF-α), GM-CSF(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메트)엔케팔린[(Met)enkephalin], 키모카인(chemokine, CK) 등도 구분없이 공통으로 분비된다. TH1세포는 세포면역반응에 관여하며 세포독성 및 염증성 반응을 활성화한다. TH2 세포에서 생성된 사이토카인은 항체형성을 촉진시키는데, 특히 IgE의 생성을 도우며 호산구의 증식과 기능을 증강시킨다. 그러므로 TH2 사이토카인은 항체생성 및 알레르기 반응에서 흔히 발견된다. TH1 과 TH2 사이토카인은 서로간에 억제기능을 가지고 있고, 동물의 감염증에서 항 IL-4 항체와 항IFN-γ항체로 질환의 경과를 변화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으며, 류마티스 관절염의 환자에 IFN-γ를 주사하여 증상의 호전이 관찰된 예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인터루킨-2(IL-2)나 인터페론-감마(IFN-γ) 등의 생성능력이 탁월한 물질은 면역증강효과가 기대되고, 나아가 그에 따른 감기 예방이나 초기 감기의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을 성분으로 하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조성물의 항히스타민 효과, IL-2 및 인터페론-감마 생성능력을 규명함으로써, 감기예방 및 초기 감기 치료효과 등의 효과가 있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대한 인터페론-감마 생성 증가 효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대한 비만세포에 대한 히스타민 분비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감초, 대추, 배, 백출, 생강, 소엽, 진피 및 총백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 용매로는 물 또는 통상의 유기용매,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이 사용된다. 또한 맛의 향상을 위해 흑설탕 등의 감미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유효한 질환은 특히, 허약체질, 면역능 저하, 초기감기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감초, 대추, 배, 백출, 생강, 소엽, 진피 및 총백이 1∼4 : 1∼4 : 10∼40 : 3∼9 : 1∼4 : 1∼4 : 2∼6 : 5∼1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추가로 흑설탕을 1∼4의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1 유효성분인 감초(Glycyrrhiza uralensisFISCH)는 다년생 초본인 감초의 근과 근상경이다. 본품은 보비익기, 청열해독, 윤폐지해, 조화제약의 작용을 한다. 본품은 여러 약을 조화시켜 약물의 준열한 성질을 완화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2 유효성분인 대추 (Zizyphus jujubaMill. varinermis(Bunge) Rehd)는 갈매나무과에 속한 낙엽관목 혹은 소교목인 대추나무의 성숙한 과실이다. 본품은 보비화위, 익기생진, 안신 등의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3 유효성분인 배 (Pyrus pyrifoliavar.culta(Makino) Nakai)는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낙엽 교목 또는 관목성 식물인 배나무의 성숙한 과실이다. 본품은 무기성분으로 칼슘, 나트륨, 마그네슘의 함량이 74%을 차지하고, 인이나 유산 등의 함량이 25% 정도로서 강한 알칼리성 식품이므로 배나 배가공품을 많이 먹는 것은 우리 혈액을 중성으로 유지시켜 건강을 유지하는데 큰 효과가 있다. 배에 함유된 비타민의 종류는 다른 과실에 비하여 많은 것은 아니나, 사과에 비하여 비타민 B1, B2 함량은 다소 많고, 비타민 C의 함량은 적다. 비타민 C는 잎에서 동화작용의 결과 생성된 포도당에 의하여 만들어져 이것이 과실 중으로 이동하여 축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일반적으로 햇빛이 비타민 C 생성에 많은 영향을 주어 햇빛을 많이 받을 과실일수록 비타민 C의 함량이 많다. 가래가 심한 천식이나 어린아이의 기침, 백일해 등에 활용하면 효과적이다. 배의 성질은 냉하나 소화에 효과가 있고, 대변이나 소변을 잘나오게 하여 몸에 열을 내리게 한다. 갈증이 심하거나 심한 숙취에는 배가 간장 활동을 촉진시켜 체내의 알콜성분을 빨리 해독시키므로 주독이 풀어지고 갈증도 없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4 유효성분인 백출 (Atractylodes macrocephalaKoidz) 은 국화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흰삽주 및 동속 근연식물의 괴근이다. 본 품은 보비익기, 조습이수, 고표지한 등의 효능을 지닌다. 수습의 정류로 인한 종만 등의 증에 응용한다. 또한 고표지한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표허로인한 자한에 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5 유효성분인 생강 (Zingiber offininaleRosc)은 생강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생강의 신선한 근경이다. 본품은 발한해표, 온중지구, 온폐지해의 효능을 갖는다. 감모풍한이나 비위허한의 증 등에 활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6 유효성분인 소엽 (Perilla frutescens(L.) var.acuta(Thunb.) Kudo) 은 순형과에 속한 1년생 초본인 차조기의 잎 또는 전초이다. 본품은 발한해표, 행기관중, 해어독 등의 효능이 있다. 감모풍한의 표증, 해수 흉민의 증 등에 활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7 유효성분인 진피 (Citrus unshiuMarcor) 는 운향과에 속한 상록소교목인 귤나무 및 동속 근연식물의 성숙한 과피이다. 본품은 이기건비, 조습화담 등의 효능이 있다. 비위의 기체병증이나 기역해천 등의 증을 다스린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8 유효성분인 총백 (Allium fistulosum L.)은 백합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파의 인경이다. 본품은 해표산한, 통양 등의 효능이 있다. 외감풍한으로 인한 두통 오한, 발열 등의 증을 다스린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맛의 향상을 위해 첨가할 수 있는 흑설탕 (black sugar)은 사탕수수에서 제조하는 함밀당(含蜜糖)의 하나이다. 사탕수수의 즙액을 졸인 후 원심분리기로 당밀을 제거하지 않은 것으로서, 사탕수수의 줄기에서 짜낸 즙액에 석회 등의 청징제(淸澄劑)를 가한 다음 졸인 것이다. 흑설탕은 흰설탕에 비해 정제 단계에서 없어지는 미네랄, 비타민이 풍부할 뿐 아니라, 체내에서 유효한 작용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면역 증강용 조성물에서, 각 생약들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그 유효성분들을 각각 추출하거나, 또는 생약들을 혼합한 후 한꺼번에 추출하고, 필요한 경우 이를 농축건조시켜 분말화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면역 증강용 조성물에서, 각 생약들은 바람직하게는 규정된 중량비로 혼합한 후, 물로 추출하여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면역 증강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담체는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인 것으로, 예를 들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결합제, 활택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안정화제 등이 있고, 국소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기제, 부형제, 윤활제, 보존제 등이 있다.
본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인 제제, 예를 들면, 정제, 캅셉제, 트로키제, 액제, 현탁제 등의 경구투여용 제제, 주사용 용액 또는 현탁액, 또는 주사 시에 주사용 증류수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즉시 사용형 주사용 건조 분말 등의 형태인 주사용 제제, 연고제, 크림제, 액제 등의 국소적용형 제제 등의 다양한 제제로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액제 형태이다. 본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활성성분인 생약들의 추출물에 발효 원료를 부가하여 알콜 발효시켜 만드는 주제(酒劑) 형태이다. 발효 원료로는, 알콜 발효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곡물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쌀, 누룩, 효모, 찹쌀, 조 등이다. 발효 원료로는, 특히 쌀, 누룩 및 효모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맛이나 간편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감초, 대추, 배, 백출, 생강, 소엽, 진피 및 총백이 1∼4 : 1∼4 : 10∼40 : 3∼9 : 1∼4 : 1∼4 : 2∼6 : 5∼10의 중량비로 포함한다. 또한, 쌀, 누룩 및 효모를 추가로 함유하며 통상의 방법으로 발효시켜 적정 농도의 기능성 주제(酒劑)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감초, 대추, 배, 백출, 생강, 소엽, 진피 및 총백이 1∼4 : 1∼4 : 10∼40 : 3∼9 : 1∼4 : 1∼4 : 2∼6 : 5∼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달이고 농축시켜 얻은 수추출액에, 쌀, 누룩 및 효모를 100∼400 : 20∼100 : 0∼10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상기 수추출액의 30∼40 중량%로 가하고 발효시켜 적당한 농도의 주제로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감초, 대추, 배, 백출, 생강, 소엽, 진피 및 총백이 1∼4 : 1∼4 : 10∼40 : 3∼9 : 1∼4 : 1∼4 : 2∼6 : 5∼10의 중량비의 혼합물에 쌀 100∼400의 비율로 만든 증미 : 누룩 20∼100: 효모 0∼10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발효시켜 얻은 알콜 추출물도 포함한다.
상기 언급한 생약들의 조성비는 반복된 실험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것이며, 각 생약들의 조성비가 그 하한치보다 낮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약리효과가 감소하며, 그 상한치보다 높을 경우에는 각각의 성분의 약리효과가 감소될 수 있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상승작용 및 협동작용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면역력 증강을 통한 감기 예방 또는 치료 보조제 등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약리효과는 하기 실험예 1 내지 3으로부터 확인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면역 담당세포로부터 사이토카인 및 화학적 매개물질의 생성을 조절하여 국소 또는 전신의 면역능을 증강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일예를 들면, 감초 10∼40g, 대추 10∼40g, 배 100∼400g, 백출 30∼90g, 생강 10∼40g, 소엽 10∼40g, 진피 20∼60g, 총백 50∼100g 및 흑설탕 10∼40g에 물 6,000 ㎖를 붓고, 약 2.5 시간동안 달여 약 4,000 ㎖로 농축시켜 추출액을 얻고, 별도로 쌀 1∼4kg으로 만든 증미, 누룩 0.2∼1kg 및 효모 0∼0.1kg을 균일하게 혼합한 것에 상기 추출액을 붓고, 20∼27℃에서 5∼10일간 발효시키고 여과하여 주제를 제조한 후 정제수를 추가하여 3,000 ㎖로 조절한다.
본 조성물의 통상적인 1회 투용량은 체중 1 kg당 0.1∼5.0 ㎖, 바람직하게는 1.0∼2.0 ㎖이며, 이를 1일 3회 복용한다. 예를들어, 체중 60 kg인 성인의 경우, 1회 6∼300㎖씩 1일 3회 복용한다. 이러한 용량으로 복용시 상기 제조물은 약8∼15일 분량이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병증의 경중정도와 소화상태에 따라 복용량을 적의 증감할 수 있다. 기타 제제에 있어서도 상기 액제 복용량을 고려하여 산출된 적정량을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다. 빠르면 복용 후 2∼3일 후부터 증상의 경감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나 개인차가 있다.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한 후 약 1개월간 지속적으로 복용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액제의 제조
감초 4g, 대추 4g, 배 40g, 백출 6g, 생강 4g, 소엽 4g, 진피 6g 및 총백 10g의 혼합물에 물 1,000 ㎖를 붓고 약 2 시간동안 달인 후, 약 150 ㎖로 농축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주제(酒劑)의 제조
감초 40g, 대추 80g, 배 800g, 백출 120g, 생강 80g, 소엽 40g, 진피 60g, 총백 200g, 흑설탕 80g의 혼합물에 물 6,000 ㎖를 붓고 약 2.5 시간동안 달인 후, 약 4,000 ㎖로 농축시켜 추출액을 얻고, 이 추출액에, 별도로 쌀 2 kg으로 만든 증미, 누룩 1kg 및 효모 50g을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상기 추출액의 30중량%로 붓고, 20∼27℃에서 7 일간 발효시켰다. 발효액을 여과하여 액상부분과 고형부분을 분리하고 55∼60℃로 가열한후 여액에 정제수를 가하여 3,000 ㎖로 조절하여 주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독성 및 부작용 확인시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액제를 사람에게 투여하는 용량비율(체중 1 kg당 1∼2 ㎖의 투여량)의 각각 1 배(2 ㎖/kg), 5 배(10 ㎖/kg) 및 10 배(20 ㎖/kg) 투여량으로 성체 흰쥐 30마리에 90일동안 경구투여한 후, 30일 이상 매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실험군에서 외견상 생리적 이상은 물론 해부학적 소견상 어떠한 이상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20세 이후 성인 남녀 지원자를 대상으로, 상기 액제의 적정 투여량과 투여방법을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 상기의 표준 약용량을 결정한 후 환자의 연령 등에 따라 적의 증감하여 투여하였다. 이렇게 투여된 사람의 소수에서 위장관 불쾌감, 일시적 명현현상 또는 주취 현상이 나타난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어떤 심각한 국소 또는 전신적인 부작용이 확인되지 않았으며, 위장관 불쾌감도 약용량을 1/2 내지 2/3로 감량한 후부터는 현저하게 소멸되었다.
실험예 2: 인터페론-감마 생성 증가효과
인터페론-감마는 TH1세포가 분비하는 사이토카인으로서 면역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것의 증가는 면역능 증가의 지표로서 이해될 수 있다. TH1세포의 세포주의 하나인 몰트-4를 배양하여 2 ×105cell/well로 세포를 심고(seeding) 30분간 안정화시켰다. 여기에 실시예 2의 주제를 동결건조하여 분말화 한 시료(0.01mg/㎖, 0.1mg/㎖, 1.0mg/㎖ 의 농도) 및 및 기타 자극원, 예컨데 피토헤마글루티닌(Phytohaemaglutinin: PHA) 20㎍/ml 을 처리하고, 24시간후에 인터페론-감마의 생성정도를 엘라이자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인터페론-감마의 생성량을 증가시켰다.
실험예 3: 인터루킨-2의 생성능력 측정
인터페론-감마와 함께 인터루킨-2도 TH1세포가 분비하는 사이토카인으로서 면역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것의 증가 역시 면역능 증가의 지표로서 이해될 수 있다. TH1세포의 세포주인 몰트-4를 배양하여 2 ×105cell/well로 세포를 심고 30분간 안정화시켰다. 여기에 실시예 2의 주제를 동결건조하여 분말화 한 시료(0.01mg/㎖, 0.1mg/㎖, 1.0mg/㎖)를 처리하고, 24시간후에 인터루킨-2의 생성정도를 엘라이자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농도(mg/ml) IL-2(ng/ml)
0 0.103 ±0.01
0.1 0.231 ±0.04
1 0.354 ±0.07*
상기 표 1과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터루킨-2의 생성량을 현저히 증가시켰다.
실험예 4: 히스타민 분비 억제 효과
초기 감기 증상 중 대표적인 것은 비염이나 비색 등과 같은 일종의 알레르기성 반응이다. 이러한 증상의 대증 치료 수단로서 스테로이드성 항히스타민제가 많이 활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항히스타민제는 많은 부작용이 따르며, 효과 또한 일시적이다. 따라서 면역증강을 통한 감기 예방 및 치료보조제로서 히스타민 분비 억제 효과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로 비만세포주에 대한 히스타민 억제 효과를 관찰하였다. 흰쥐를 에테르로 마취시킨 후 0.1% 젤라틴(gelatin)을 함유한 티로드(Tyrode) 버퍼 B (1mM MgCl2, 1.8mM CaCl2, 137mM NaCl, 12mM NaHCO3, 2.7mM KCl, 0.2mM NaH2PO4, 5.5mM glucose) 약 20 ml를 복강내에 주입하고 30초간 복벽을 가볍게 맛사지한 후, 복벽 중앙선을 조심스럽게 절개하여 복강세포를 함유한 세척액을 파스퇴르 피펫으로 채취하였다. 복강세포를 150 ×g로 10분간씩 3회 반복하여 원심분리한 후, 상층 부유액을 버리고 동일 티로드 버퍼 B로 재부유시켰다. 이 세포부유액중 비만세포는 22.5%(w/v) 메트리자마이드 (metrizamide)를 이용하여 분리 정제하였다. 즉 티로드 버퍼 B 1 ml에 현탁시킨 복강세포(6∼9 ×107)에 22.5% (w/v) 메트리자마이드(농도 1.120 g/ml)를 중첩시켜, 400 ×g에서 15분동안 상온에서 원심분리하였다. 완충액과 메트리자마이드 접촉면의 세포는 수집하여 버리고, 펠렛의 세포를 티로드 버퍼 B 1 ml에 재부유시켰다.99% 이상 순도의 복강 비만세포를 얻기 위해 이 과정을 반복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비만세포를 96 웰에 각각 부가하고, 실시예 2에 따른 주제를 분말화시킨 시료를 0.01, 0.1 및 1 mg/ml의 농도로 3 개씩 각 웰에 첨가시켰다. 대조구로서는 증류수를 첨가시켰다. 이후 compound 48/80 6㎍/ml 양만큼 각 웰에 부가시켜 히스타민 분비를 유도하였다. 37℃에서 20분 경과 후, 분비된 히스타민 양을 측정하였다. 히스타민 량의 측정을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쳤다.
상기 각 웰 내의 시료를 3000 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 한 후 에펜돌프 튜브에 상등액 500 ㎕를 넣고 0.1N-HCI 450 ㎕, 60% 과염소산 용액 50 ㎕를 넣고 혼합 후, 원심분리(1,500 rpm, 20분)하여 그 상층액 800 ㎕를 5 N-NaOH 용액 500 ㎕, 증류수 3 ml, n-부탄올 10 ml 및 NaCl 1.2 g을 혼합한 시험관에 넣고, 진탕 후 원심분리(2,000 rpm, 10분)하였다. 부탄올층 8 ml를 50 ml 시험관에 넣고 0.1 N-HCI 용액 3 ml, n-헵탄 10 ml를 가하여 진탕 후 원심분리(2,000 rpm, 10 분)하였다. 여기에서 얻어진 수층 2 ml에 1 N-NaOH 용액 400 ㎕와 1%o-프탈디알데하이드 (o-phthaldialdehyde) 용액 100 ㎕를 넣고, 혼합 후 2분 동안 방치하여 스펙트로플루오르미터(spectrofluormeter)(λex = 360nm, λex = 440 nm)로 형광도를 측정하여 분비된 히스타민 량의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히스타민 억제효과가 우수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터루킨-2 및 인터페론-감마 생성증가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인터루킨-2와 인터페론-감마(IFN-γ)등의 생성능력은 면역증강효과와 직간접적으로 연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히스타민의 분비를 억제하는 효과도 가짐을 알 수 있다. 면역증강 효과로 기대할 수 있는 다양한 긍정적 기능 중에는 감기의 예방효과도 포함된다. 히스타민 분비 억제 효과는 초기감기의 제 증상을 완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유해 환경에 노출되어 면역력이 저하된 현대 산업사회에서 면역력 저하에 따른 질환, 특히 감기의 예방과 초기 감기의 치료 또는 치료보조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7)

  1. 감초, 대추, 배, 백출, 생강, 소엽, 진피 및 총백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로 추출하여 얻은 수추출물인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감초, 대추, 배, 백출, 생강, 소엽, 진피 및 총백이 1∼4 : 1∼4 : 10∼40 : 3∼9 : 1∼4 : 1∼4 : 2∼6 : 5∼10의 중량비로 혼합된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흑설탕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수추출물에 추가로 발효 원료를 첨가해 발효시켜 얻어지는 주제(酒劑) 형태인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발효 원료는 1∼4 : 0.2∼1 : 0∼0.1의 중량비로 혼합된 쌀, 누룩 및 효모의 혼합물인 조성물.
  7. 감초, 대추, 배, 백출, 생강, 소엽, 진피 및 총백 혼합물의 수추출물에 쌀,누룩 및 효모의 혼합물을 첨가하고,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5항의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1-0086846A 2001-12-28 2001-12-28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100443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846A KR100443401B1 (ko) 2001-12-28 2001-12-28 면역 증강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846A KR100443401B1 (ko) 2001-12-28 2001-12-28 면역 증강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582A KR20030056582A (ko) 2003-07-04
KR100443401B1 true KR100443401B1 (ko) 2004-08-09

Family

ID=32214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6846A KR100443401B1 (ko) 2001-12-28 2001-12-28 면역 증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34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36743A (zh) * 2013-09-24 2014-01-29 李建奎 一种祛寒散的中药配方
KR101935689B1 (ko) 2017-09-12 2019-04-04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대추, 감초 및 도라지 혼합 추출물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658B1 (ko) * 2008-02-28 2010-02-03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
KR101134781B1 (ko) * 2009-12-30 2012-04-1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파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06950B1 (ko) * 2011-04-01 2013-09-09 서범구 한약재와 선옥균을 발효한 식품 첨가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52130B1 (ko) * 2020-08-03 2021-05-18 주식회사 톱스톡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력 증강용 조성물
CN113171373B (zh) * 2021-04-28 2022-07-19 河北科技师范学院 安梨多糖的制备方法及其应用
KR102331255B1 (ko) * 2021-06-04 2021-12-02 농업회사법인 꿀작 주식회사 전분 침전물이 제거된 생강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생강청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473A (ko) * 1997-11-05 1999-06-05 박진수 초전도성 생체 에너지 활성화 파동을 방사하는 천연생약 추출물
KR20010000342A (ko) * 2000-09-18 2001-01-05 박증국 한약조성물 및 이의 제약학적 제제
KR100282165B1 (ko) * 1998-06-09 2001-02-15 문명현 한약재를사용한약용주의제조방법
KR20010111391A (ko) * 2000-06-09 2001-12-17 천현욱 한방건강차의 제조방법
KR20020013134A (ko) * 2000-08-11 2002-02-20 박찬우 면역 조절제 및 기능성 식품
KR20020025433A (ko) * 2000-09-29 2002-04-04 문형대 동물의 기능강화 조성물 및 복합물질
KR20030010186A (ko) * 2001-07-26 2003-02-05 주식회사 자광 산화질소 및 인터페론-γ 생성 증가용 의약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473A (ko) * 1997-11-05 1999-06-05 박진수 초전도성 생체 에너지 활성화 파동을 방사하는 천연생약 추출물
KR100282165B1 (ko) * 1998-06-09 2001-02-15 문명현 한약재를사용한약용주의제조방법
KR20010111391A (ko) * 2000-06-09 2001-12-17 천현욱 한방건강차의 제조방법
KR20020013134A (ko) * 2000-08-11 2002-02-20 박찬우 면역 조절제 및 기능성 식품
KR20010000342A (ko) * 2000-09-18 2001-01-05 박증국 한약조성물 및 이의 제약학적 제제
KR20020025433A (ko) * 2000-09-29 2002-04-04 문형대 동물의 기능강화 조성물 및 복합물질
KR20030010186A (ko) * 2001-07-26 2003-02-05 주식회사 자광 산화질소 및 인터페론-γ 생성 증가용 의약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36743A (zh) * 2013-09-24 2014-01-29 李建奎 一种祛寒散的中药配方
KR101935689B1 (ko) 2017-09-12 2019-04-04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대추, 감초 및 도라지 혼합 추출물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582A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1796B2 (en) Preventive or therapeutic agent for pollen allergy, allergic rhinitis, atopic dermatitis, asthma or urticaria, or health food for prevention or improvement or reduction of symptoms thereof
KR20120133133A (ko)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3566702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lergic diseases such as asthma or atopy, comprising baicalein as active ingredient
US10869904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respiratory disease comprising extract of Justicia procumbens L
KR100860080B1 (ko)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꼬리풀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WO2019124863A1 (ko)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3585433A (zh) 一种治疗口腔溃疡的中药组合物
KR100443401B1 (ko) 면역 증강용 조성물
CN102526546A (zh) 一种中药组合物及其制剂和制备方法
CN101933973B (zh) 防治肝损伤的药物组合物
KR100376307B1 (ko) 변비 예방 및 치료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0477959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및 그를이용한 한방 약술
CN113499381B (zh) 中药组合物和/或包含该中药组合物的药物制剂在抗流感病毒中的应用
CN111588801B (zh) 一种预防畜禽疫病的中药分散颗粒剂及其制备方法
KR101141191B1 (ko) 알레르기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조성물 및 약학조성물
KR20210122367A (ko)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를 위한 오가피, 교맥 및 목과 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499383B (zh) 中药组合物和/或包含该中药组合物的药物制剂在制备抗炎药物或者免疫调节药物中的应用
Fossum Assessment report on Sambucus nigra L., fructus
KR102517886B1 (ko) 혼합 생약재를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한약 조성물
CN111759901B (zh) 一种治疗儿童功能性腹痛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WO2023204364A1 (ko)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60010918A (ko)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면역조절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443402B1 (ko)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ose Herbal and nutritional support for the immune system
CN113491726A (zh) 一种防治肺炎提高机体抗病能力的中药组合物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