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3234B1 - 분할입력된 지문의 합성장치와 분할입력된 지문의 등록 및인증방법 - Google Patents

분할입력된 지문의 합성장치와 분할입력된 지문의 등록 및인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3234B1
KR100443234B1 KR10-2001-0061214A KR20010061214A KR100443234B1 KR 100443234 B1 KR100443234 B1 KR 100443234B1 KR 20010061214 A KR20010061214 A KR 20010061214A KR 100443234 B1 KR100443234 B1 KR 100443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partial
fingerprints
feature points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1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8919A (ko
Inventor
심재창
김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원테크
심재창
김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원테크, 심재창, 김은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원테크
Priority to KR10-2001-0061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3234B1/ko
Publication of KR20030028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8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2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35Combining adjacent partial images (e.g. slices) to create a composite input or reference pattern; Tracking a sweeping finger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손가락으로부터 분할입력된 복수의 부분지문을 합성하여 하나의 전체지문을 생성하고 이와 같이 생성된 전체지문을 등록 및 인증에 이용하는 분할입력된 지문의 합성장치와 분할입력된 지문의 등록 및 인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된 실시예는, 소형의 지문입력창(10): 상기 지문입력창(10)을 통해 안착된 지문형상의 화상정보를 입력받아 디지탈 화상신호로 변환하는 지문화상 입력부(11);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다수의 키들이 구비되어 사용자와 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키입력부(12); 지문 등록 및 인증에 필요한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13); 상기 키입력부(12)에서 설정되는 기능 진행상태 및 기기의 기타 다른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4); 상기 지문 등록 및 인증동작을 위해 필요로 하는 작업용 데이터 및 입출력 데이터를 임시저장하는 작업 메모리부(15); 등록된 지문과 관련된 개인식별데이타를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부(16); 및 분할입력된 복수의 부분지문의 중복지점을 검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손가락의 끝부분이나 가장자리와 같이 보다 많은 지문정보가 포함되도록 하여 지문의 등록이나 인증이 보다 정확하게 수행되도록 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분할입력된 지문의 합성장치와 분할입력된 지문의 등록 및 인증방법{An apparatus for composing part-fingerprints and a method for registering and identifying composed that}
본 발명은 분할입력된 복수의 부분지문을 합성하는 장치 및 분할입력된 복수의 부분지문의 등록 및 인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손가락으로부터 분할입력된 복수의 부분지문을 합성하여 하나의 전체지문을 생성하고 이와 같이 생성된 전체지문을 등록 및 인증에 이용하는 분할입력된 지문의 합성장치와 분할입력된 지문의 등록 및 인증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의 신분 인증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가됨에 따라 생체의 일부를 이용하여 개인별 신분을 확인하거나 식별하는 지문인식에 의한 기법이 생체학적 확인기법의 하나로 사용되어져 왔다.
상기 지문 인식방법은 확인(verification)과 식별(identification)의 두 응용 분야에서 주로 사용된다. 특히 확인 시스템에서는 확인받고자 하는 개인이 마그네틱 카드나 스마트 카드, 로그인 이름 등으로 시스템에 확인을 요구하는 형태를취하고, 식별 시스템에서는 확인받고자 하는 개인이 그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가를 찾아내는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종래의 지문인식방법은 범죄 수사 등 특정인을 찾아내는 식별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되었으나, 근래에는 컴퓨터 접근 제어나 집적회로 내장형(IC : Integrated Circuit) 카드와 관련된 금융시스템, 전자주민 카드, 연구소, 관공서, 전산시설 등을 이용한 보안구역의 출입관리 및 통제 등에 응용되는 보안을 필요로 하는 경비보안회사, 빌딩관리회사 및 귀금속점이나 은행, 개인금고와 같은 시민의 응용분야에 점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종래에 식별받고자 하는 개인이 자신의 손가락을 지문입력창에 안착시키는 경우, 이로부터 추출되는 지문은 지문입력창의 크기 이내로 한정되어 손가락의 끝부분이나 손가락 가장자리의 지문이 온전히 추출될 수 없었다.
특히, 손가락으로부터 추출된 지문의 오른쪽과 왼쪽의 하단에 대다수의 경우 분포하는 특징 가운데 하나인 삼각주부분(지문융선 흐름의 방향이 3방향으로 나누어지는 부분)은 지문의 매칭 및 분류에 대단히 중요한 특징으로 활용되는데, 지문입력창이 지문이 추출되어야 하는 손가락보다 작은 종래의 경우 양쪽의 삼각주를 동시에 추출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범죄 현장 등에서 채취된 지문이 일부 훼손되어 손가락의 끝부분만이 남아있는 유류지문인 경우 이에 대한 식별은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한 손가락으로부터 복수의 부분지문이 분할입력되도록 함으로써 손가락의 가장자리나 끝부분의 지문까지 모두 입력될 수 있도록 한 분할입력된 지문의 합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문 등록시 한 손가락으로부터 분할입력된 복수의 부분지문을 합성하여 하나의 전체지문을 생성하여 저장함으로써, 등록하고자 하는 손가락의 가장자리나 끝부분의 지문까지 모두 입력/저장되도록 한 분할입력된 지문의 등록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문 인증시 한 손가락으로부터 분할입력된 복수의 부분지문을 합성하여 하나의 전체지문(입력지문)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입력지문을 기 등록된 전체지문(원본지문)과 비교하여 동일여부를 확인하도록 한 분할입력된 지문의 인증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문 인증시 한 손가락으로부터 추출된 단일의 부분지문(입력지문)과, 기 등록된 전체지문(원본지문)을 비교하여 동일여부를 확인하도록 한 분할입력된 지문의 인증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입력된 지문의 합성장치가 적용된 실시예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입력된 지문의 등록방법이 적용된 실시예의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입력된 지문의 인증방법이 적용된 실시예의 흐름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영상매칭을 이용한 중복지점 검출모드의 상세 흐름도이고,
도 4c는 특징점매칭을 이용한 중복지점 검출모드의 상세 흐름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4개의 부분지문을 분할입력하는 예시도면이고,
도 5c 및 도 5d는 영상매칭을 이용하여 중복지점을 검출하는 예시도면이고,
도 6a는 특징점매칭을 이용한 중복지점 검출모드에서 추출된 각 특징점데이터를 포함하는 지문특징구조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각 특징점 데이터의 크기와 설명을 나타낸 참고표이고,
도 6c는 특징점데이타를 매칭하는 상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문입력창 11 : 지문화상 입력부
12 : 키입력부 13 : 제어부
14 : 표시부 15 : 작업 메모리부
16 : 플래시 메모리부 17 : 프로그램 메모리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한 손가락의 소정 부분을 안착시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지문을 입력하기 위한 소형의 안착수단, 상기 소형의 안착수단에 하나의 손가락을 복수개의 소정 부분으로 분할하여 순차적으로 안착시키되 상기 분할된 소정 부분이 중복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소형의 안착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부분지문간의 중복지점을 각각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중복지점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부분지문을 합성하여 하나의 전체지문을 생성하는 지문 생성수단, 상기 손가락의 각 소정 부분이 안착되는 순서 및 소정 부분의 부분지문을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입력된 지문의 합성장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지문 생성수단이, 상기 입력되는 복수의 부분지문 가운데 인접된 두 개의 부분지문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제 1 및 제 2 부분지문 가운데 제 1 부분지문의 위치를 상,하,좌,우로 소정값만큼 가변시키면서 제 1 및 제 2 부분지문간의 상관도를 각각 산출하는 상관도 산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산출된 상관도가 가장 높은 중복지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중복지점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지문을 합성하여 하나의 지문을 생성하고, 상기 산출 및 생성동작을 상기 입력되는 복수의 부분지문으로부터 선택가능한 두 개의 부분지문에 대해 동일하게 수행하여 하나의 전체지문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입력된 지문의 합성장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상관도 산출수단이 상기 제 1 부분지문의 각도를 소정값만큼 가변시키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지문간의 상관도를 더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입력된 지문의 합성장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상기 지문 생성수단은, 상기 입력되는 복수의 부분지문 가운데 인접된 두 개의 부분지문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제 1 및 제 2 부분지문으로부터 지문의 특징점과 상기 특징점들간의 연결관계정보를 각각 추출하는 추출수단; 상기 추출된 특징점들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각각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특징점들 가운데 특정 관계에 있는 특징점 쌍을 각각 취하여 두 매칭후보로 선택하는 선택수단; 상기 선택된 두 매칭후보의 특징점 쌍을 잇는 직선의 길이와 방향을 비교하는 제 1 비교수단; 상기 제 1 비교수단에 의한 비교결과 직선의 길이와 방향이 일치하면, 상기 제 1 부분지문의 매칭후보에 대한 제 2 부분지문의 매칭후보의 회전각을 산출하여 이동 및 회전변위를 계산하고, 제 2 부분지문의 특징점들을 제 1 부분지문의 특징점들에 대해 이동 및 회전변환시키는 이동 및 회전변환수단; 상기 이동 및 회전변환된 제 2 부분지문의 특징점들을 제 1 부분지문의 특징점들과 비교하는 제 2 비교수단; 및 상기 제 2 비교수단에 의한 비교결과 서로 일치하는 특징점의 수가 지정된 문턱치 이상이면, 상기 선택된 각각의 매칭후보를 중복지점으로 판단하는 판단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추출 내지 판단동작은 상기 입력되는 복수의 부분지문으로부터 선택가능한 두 개의 부분지문에 대해 동일하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입력된 지문의 합성장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지문 등록모드시, 하나의 손가락을 복수개의 소정 부분으로 분할하여 순차적으로 안착시키되 상기 분할된 소정 부분이 중복되도록 함으로써, 안착된 손가락의 소정 부분으로부터 인식되어 입력되는 복수의 부분지문을 합성하여 하나의 전체지문을 생성하는 지문 생성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전체지문을 저장하는 지문 저장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문 저장단계는, 손가락의 각 소정 부분이 안착되는 순서 및 소정 부분의 부분지문을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지문 생성단계는, 상기 입력되는 복수의 부분지문 가운데 인접된 두 개의 부분지문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제 1 및 제 2 부분지문 가운데 제 1 부분지문의 위치를 상,하,좌,우로 소정값만큼 가변시키면서 제 1 및 제 2 부분지문간의 상관도를 각각 산출하는 상관도 산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산출된 상관도가 가장 높은 중복지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중복지점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지문을 합성하여 하나의 지문을 생성하되, 상기 산출 및 생성단계를 상기 입력되는 복수의 부분지문으로부터 선택가능한 두 개의 부분지문에 대해 동일하게 수행하여 하나의 전체지문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관도 산출단계는, 상기 제 1 부분지문의 각도를 소정값만큼 가변시키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지문간의 상관도를 더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지문 생성단계는, 상기 입력되는 복수의 부분지문 가운데 인접된 두 개의 부분지문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제 1 및 제 2 부분지문으로부터 지문의 특징점과 상기 특징점들간의 연결관계정보를 각각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추출된 특징점들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각각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특징점들 가운데 특정 관계에 있는 특징점 쌍을 각각 취하여 두 매칭후보로 선택하는 선택단계; 상기 선택된 두 매칭후보의 특징점 쌍을 잇는 직선의 길이와 방향을 비교하는 제 1 비교단계; 상기 제 1 비교단계에 의한 비교결과 직선의 길이와 방향이 일치하면, 상기 제 1 부분지문의 매칭후보에 대한 제 2 부분지문의 매칭후보의 회전각을 산출하여 이동 및 회전변위를 계산하고, 제 2 부분지문의 특징점들을 제 1 부분지문의 특징점들에 대해 이동 및 회전변환시키는 이동 및 회전변환단계; 상기 이동 및 회전변환된 제 2 부분지문의 특징점들을 제 1 부분지문의 특징점들과 비교하는 제 2 비교단계; 및 상기 제 2 비교단계에 의한 비교결과 서로 일치하는 특징점의 수가 지정된 문턱치 이상이면, 상기 선택된 각각의 매칭후보를 중복지점으로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추출 내지 판단단계는 상기 입력되는 복수의 부분지문으로부터 선택가능한 두 개의 부분지문에 대해 동일하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지문 인증모드시, 한 손가락의 소정 부분으로부터 인식된 단일의 부분지문에 해당하는 입력지문을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입력지문과 기 저장된 원본지문과의 동일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손가락이 인식되는 소정 부분을 달리하면서 상기 단일의 부분지문 추출단계를 반복수행하여 한 손가락으로부터 서로 다른 복수의 부분지문을 추출하는 하위 추출단계; 및 상기 추출되는 복수의 부분지문을 합성하여 하나의 전체지문을 생성하여 입력지문으로 갱신하는 지문 생성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지문 생성단계는, 상기 추출되는 복수의 부분지문 가운데 인접된 두 개의 부분지문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제 1 및 제 2 부분지문 가운데 제 1 부분지문의 위치를 상,하,좌,우로 소정값만큼 가변시키면서 제 1 및 제 2 부분지문간의 상관도를 각각 산출하는 상관도 산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산출된 상관도가 가장 높은 중복지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중복지점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지문을 합성하여 하나의 지문을 생성하되, 상기 산출 및 생성단계를 상기 입력되는 복수의 부분지문으로부터 선택가능한 두 개의 부분지문에 대해 동일하게 수행하여 하나의 전체지문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입력된 지문의 인증방법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상기 상관도 산출단계는, 상기 제 1 부분지문의 각도를 소정값만큼 가변시키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지문간의 상관도를 더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입력된 지문의 인증방법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상기 지문 생성단계는, 상기 추출되는 복수의 부분지문 가운데 인접된 두 개의 부분지문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제 1 및 제 2 부분지문으로부터 지문의 특징점과 상기 특징점들간의 연결관계정보를 각각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추출된 특징점들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각각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특징점들 가운데 특정 관계에 있는 특징점 쌍을 각각 취하여 두 매칭후보로 선택하는 선택단계; 상기 선택된 두 매칭후보의 특징점 쌍을 잇는 직선의 길이와 방향을 비교하는 제 1 비교단계; 상기 제 1 비교단계에 의한 비교결과 직선의 길이와 방향이 일치하면, 상기 제 1 부분지문의 매칭후보에 대한 제 2 부분지문의 매칭후보의 회전각을 산출하여 이동 및 회전변위를 계산하고, 제 2 부분지문의 특징점들을 제 1 부분지문의 특징점들에 대해 이동 및 회전변환시키는 이동 및 회전변환단계; 상기 이동 및 회전변환된 제 2 부분지문의 특징점들을 제 1 부분지문의 특징점들과 비교하는 제 2 비교단계; 및 상기 제 2 비교단계에 의한 비교결과 서로 일치하는 특징점의 수가 지정된 문턱치 이상이면, 상기 선택된 각각의 매칭후보를 중복지점으로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추출 내지 판단단계는 상기 입력되는 복수의 부분지문으로부터 선택가능한 두 개의 부분지문에 대해 동일하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입력된 지문의 인증방법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입력된 지문의 합성장치가 적용된 일 실시예의 구성도로서, 손가락의 실제 지문형상보다 작은 크기로 제작된 소형의 지문입력창(10): 상기 지문입력창(10)을 통해 안착된 지문형상의 화상정보를 입력받아 디지탈 화상신호로 변환하는 지문화상 입력부(11);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다수의 키들이 구비되어 사용자와 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키입력부(12); 지문 등록 및 인증에 필요한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13); 상기 키입력부(12)에서 설정되는 기능 진행상태 및 기기의 기타 다른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4); 상기 지문 등록 및 인증동작을 위해 필요로 하는 작업용 데이터 및 입출력 데이터를 임시저장하는 작업 메모리부(15); 등록된 지문과 관련된 개인식별데이타를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부(16); 및 분할입력된 복수의 부분지문의 중복지점을 검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부(17)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플래시 메모리부(16)에는 지문 등록시 허가된 아이디(ID : IDentification)를 소지한 개인의 손가락으로부터 분할입력된 후 이로부터 생성된 하나의 전체지문이 각 아이디에 대응저장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플래시메모리부(16)에는 사용자에 의해 분할입력되는 부분지문의 개수에 상응하는 부분지문 입력순서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분할입력되는 부분지문의 개수가 2개인 경우 이에 상응하는 부분지문 입력순서정보는 왼쪽-오른쪽이고, 상기 부분지문의 개수가 3개인 경우 위쪽-왼쪽-오른쪽이며, 상기 부분지문의 개수가 4개인 경우 왼쪽위-오른쪽위-왼쪽아래-오른쪽아래에 각각 해당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부(17)에는 본 발명에 따라 분할입력된 복수의 부분지문의 중복지점을 검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구현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영상매칭용 프로그램 메모리부(17a)와 특징점매칭용 프로그램 메모리부(17b)에는 각각 '영상매칭을 이용한 중복지점 검출용 프로그램'과 '특징점매칭을 이용한 중복지점 검출용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입력된 지문의 합성장치의 동작에 대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입력된 지문의 등록 및 인증방법이 적용된 흐름도인 도 2 내지 도 4와 병행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후술하는 제 1 실시예에서는 분할입력된 복수의 부분지문의 중복지점을 검출하기 위한 '중복지점 검출모드'가, 상기 제어부(13)에 의해 영상매칭용 프로그램 메모리부(17a)에 저장된 '영상매칭을 이용한 중복지점 검출용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수행되는 경우(도 4a에 도시)에 대해 언급할 것이며, 제 2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복지점 검출모드'가 상기 제어부(13)에 의해 특징점매칭용 프로그램 메모리부(17b)에 저장된 '특징점매칭을 이용한 중복지점 검출용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수행되는 경우(도 4b에 도시)에 대해 언급할 것이다.
제 1 실시예
등록 모드시, 자신의 지문을 등록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먼저, 자신이 이전에 부여받은 아이디를 키입력부(12)로 입력(S210)하여 허가된 아이디임이 확인(S211)되고 나면, 표시부(14)는 사용자로 하여금 하나의 손가락의 지문을 몇 개의 부분지문으로 분할하여 입력할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사용자는 분할입력될 부분지문의 개수를 예를 들어 4개로 선택(S212)하여 키입력부(12)로 입력한다.
이어, 제어부(13)는 사용자에 의해 키입력된 분할입력될 부분지문의 개수가 4개인 경우에 상응하는 지문입력순서정보를 플래시 메모리부(16)로부터 독출한 후 독출된 지문입력순서정보가 표시부(14)로 문자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지정된 지문입력순서에 맞게 해당 부분지문을 입력하도록 제어한다.
즉, 사용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위-오른쪽위-왼쪽아래-오른쪽아래의 순으로 손가락의 해당 부위를 지문입력창(10)에 순차적으로 안착시키되 손가락의 가장자리나 끝부분이 온전히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써 상기 지문입력창(10)을 통해 4개의 부분지문(도 5a의 A,B,C,D)은 지문화상 입력부(11)로 입력되는데 이때 입력되는 부분지문은 처리가능한 화질임을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지문화상 입력부(11)가 상기 4개의 부분지문을 디지털 화상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3)로 순차출력하면, 상기 제어부(13)는 4개의 디지털 화상신호를 작업 메모리부(15)에 임시저장한 상태에서 상기 4개의 디지털 화상신호간의 중복지점을 검출(S214)한 후 검출된 중복지점을 이용하여 각 디지털 화상신호를 합성함으로써 하나의 전체지문을 생성(S215)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 가운데 먼저, 4개의 디지털 화상신호의 중복지점을 검출(S214)하는 모드의 동작에 대해 도 4a 및 도 4b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어부(13)는 4개의 디지털 화상신호 가운데 인접된 두 개의 부분지문을 선택(S410)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에 의해 인접된 왼쪽위와 오른쪽위에 해당하는 부분지문(A,B)이 선택되고 이들 각각을 제 1 및 제 2 부분지문이라 하면, 제어부(13)는 상기 작업 메모리부(15)에 임시저장된 제 1 및 제 2 부분지문(A,B)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로 나누고 이 가운데 점선표시된 부분 즉 중복이 예측되는 영역의 부분지문(A',B')만을 추출하고 추출된 두 개의 부분지문(A',B')은 설명의 편이를 위해 제 1' 및 제 2' 부분지문이라 명명하기로 한다.
물론, 상기 선택된 제 1 및 제 2 부분지문(A,B)으로부터 중복이 예측되는 영역내의 부분지문(A',B')을 추출하지 않고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지문(A,B)에 대해 이후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두 개의 부분지문 가운데 중복이 예측되는 절반의 부분지문(A',B')을 추출하고 추출된 두 개의 부분지문(A',B')에 대해서 이후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중복지점을 검출하는 이후의 동작이 보다 신속하게 수행되는 것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제어부(13)는 상기 추출된 제 1' 및 제 2' 부분지문(A',B') 가운데 제 2' 부분지문(또는 제 1' 부분지문)을 다른 하나의 제 1' 부분지문(또는 제 2' 부분지문)의 오른편으로 이동시켜 두 개의 부분지문이 겹치지 않도록 나란히 배열(S411)시킨다.{도 5c의 (a)}
이와 같이 배열된 상태에서 두 개의 부분지문이 중첩되도록 오른편으로 이동된 제 2' 부분지문(B')을 왼쪽으로 1화소만큼 이동시킨 후(S412) 두 개의 부분지문(A',B')간의 상관도를 산출한다. 여기서, 상관도는 아래 식으로부터 산출되는 차분값과 반비례하므로, 산출된 차분값의 크기가 가장 작은 위치를 두 부분지문간의 상관도가 가장 큰 위치로 간주하기로 한다.
D(dx,dy,dθ)=abs(f1dxdy(i,j)-f2dxdydθ(i,j,θ))in AOI/[AOI] (식)
위 (식)에서와 같이, 차분값 D(dx,dy,θ)는 in AOI(Area Of Interest, 관심영역) 즉 두 개의 부분지문(A',B')이 중첩된 영역{도 5c의 (b)}에서 두 부분지문의 화소값 차의 절대값(abs)으로부터 산출된다.
여기서, abs는 절대값,
[AOI]는 두 개의 부분지문이 중첩된 영역에서의 화소의 갯수,
dx는 왼쪽(가로방향)으로 제 2' 부분지문의 1회 이동변위,
dy는 아래쪽(세로방향)으로 제 2' 부분지문의 1회 이동변위,
dθ는 제 2' 부분지문의 1회 이동각도,
i,j는 제 2' 부분지문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이동된 위치,
θ는 제 2' 부분지문이 이동된 각도,
M은 제 1' 부분지문(M1)과 제 2' 부분지문(M2)의 가로방향으로의 길이의 합,
N은 제 1' 부분지문(N1)과 제 2' 부분지문(N1)의 세로방향으로의 길이의 합,
f1(i,j)는 i,j의 위치에서 중첩된 영역(AOI)내에 제 1' 부분지문의 화소값,
f2(i,j)는 i,j의 위치에서 중첩된 영역(AOI)내에 제 2' 부분지문의 화소값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차분값(D)이 산출(S413)되고, 산출된 차분값이 최소 차분값(DMIN)보다 작으면(S414) 제어부(13)는 기 산출된 차분값을 최소 차분값으로 갱신하고 최소 차분값으로 갱신된 차분값에 해당하는 위치(i,j)와 각도(θ)를 작업 메모리부(15)에 임시저장(S415)한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13)는 제 2' 부분지문의 각도를 +1도 이동(S416)시킨 후 두 개의 부분지문간의 차분값(D)을 전술한 식과 같이 재산출(S417)하고 산출된 차분값을 기 산출된 최소 차분값(DMIN)과 비교(S418)하여 최소 차분값이 갱신된 경우 위와 같이 갱신된 차분값에 해당하는 위치와 각도를 저장(S419)하는 동작을 제 2' 부분지문의 현재 위치에서 각도만 +1도씩 이동시켜 +30도 이동(S420)될 때까지 동일하게 반복수행한다.
그 다음, 제어부(13)는 상기 제 2' 부분지문을 왼쪽으로 1화소만큼 더 이동(S412)한 후 차분값(D)을 산출(S413)하고 이동한 위치에서 제 2' 부분지문의 각도를 위와 같이 +1도씩 +30도까지 이동(S420)시키면서 차분값(D)을 반복산출하며 이와 같은 동작을 제 2' 부분지문의 가로방향으로의 위치가 M이 될 때(S421)까지 즉??제 2' 부분지문이 제 1' 부분지문의 왼편에 겹치지 않도록 나란히 배열될 때까지 반복하여 수행한다.
또, 제어부(13)는 도 5d의 (a)와 같이 제 2' 부분지문을 제 1' 부분지문의 윗편에 겹치지 않고 나란히 배열(S422)한 후, 제 2' 부분지문을 제 1' 부분지문의 아래쪽으로 1화소씩 이동(S423)시킨 후 차분값(D)을 산출(S424)하고 산출한 차분값을 최소 차분값(DMIN)으로 갱신(S425)하고 갱신된 차분값이 산출된 제 2' 부분지문의 위치와 각도를 저장(S426)하는 동작을, 제 2' 부분지문의 각도를 +1도씩 이동(S427)하면서 +30도만큼 이동(S431)될 때까지 반복하여 수행하고, 이와 같은 동작은 제 2' 부분지문이 제 2' 부분지문의 세로방향으로의 위치가 N이 될 때(S432)까지 즉??제 2' 부분지문이 제 1' 부분지문의 아랫편에 겹치지 않고 나란히 배열될 때까지 반복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부분지문의 각도가 도 5c의 (c)와 도 5d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30도에서 +30도까지 가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1' 부분지문은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 2' 부분지문의 위치와 각도를 가변시키면서 두 부분지문 화소값간의 차분값을 산출하는 동작(S410∼S432)이 종료되고 나면, 제어부(13)는 작업 메모리부(15)에 저장된 최소 차분값(DMIN)과 이에 상응하여 저장된 제 2' 부분지문의 위치(i,j)와 각도(θ)를 독출함으로써 두 개의 부분지문이 최적의 상관도를 갖는 중복지점을 검출하게 된다.
제어부(13)는 이와 같은 동작을 왼쪽위(A)와 오른쪽위(B)의 부분지문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도 5a에 도시된 왼쪽위(A)와 왼쪽아래(C), 왼쪽아래(C)와 오른쪽아래(C), 그리고 오른쪽위(B)와 오른쪽아래(D)와 같이 인접된 각각의 두 부분지문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수행하여 인접된 두 개의 부분지문간의 중복지점을 각각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중복지점을 기준으로 4개의 부분지문을 합성하여 도 5e와 같이 하나의 전체지문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체지문을 앞서 허가된 아이디에 대응시켜 플래시 메모리부(16)에 저장(S216)한다.
이와 같이 분할입력된 복수의 부분지문이 제어부(13)에 의해 하나의 전체지문으로 합성된 후 플래시 메모리부(16)에 등록저장되는 동작이 수행되고 난 후, 이를 인증하는 모드에 대해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이전에 부여받은 아이디를 키입력부(12)를 통해 입력(S300)하여 허가된 사용자임을 인증(S301)받고, 제어부(13)는 상기 입력된 아이디를 플래시 메모리부(16)에 기 등록저장된 아이디들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아이디가 있는지를 확인한 후 동일한 아이디가 존재하면 허가된 사용자임을 인증하는 메시지를 표시부(14)를 통해 출력한다.
이어, 제어부(13)는 플래시 메모리부(16)로부터 상기 인증된 아이디에 대응저장된 전체지문(원본지문)을 추출(S302)하여 작업 메모리부(15)에 임시저장해 둔다.
그 다음에 제어부(13)는 사용자로부터 지문입력창(10)을 통해 분할입력될 부분지문을 하나의 전체지문으로 합성할 것인지를 확인(S303)하고, 사용자의 키입력을 통해, 분할입력될 복수의 부분지문을 합성하고 합성결과 생성된 하나의 전체지문을 입력지문으로 이용할 것임이 확인되면, 사용자로 하여금 몇 개의 부분지문으로 나누어 입력할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한 후 사용자에 의해 4개의 부분지문을 나누어 입력할 것임이 선택(S304)되면, 지문입력창(10) 및 지문화상 입력부(11)는 전술한 등록모드에서와 같이 4개의 부분지문을 왼쪽위-오른쪽위-왼쪽아래-오른쪽아래의 순으로 분할입력(S305)받아 각각의 디지털 화상신호로 변환하고 제어부(13)는 도 4a 및 도 4b의 흐름도와 같이 이들 4개의 부분지문간의 중복지점을 영상매칭을 이용하여 검출(S306)한 후 도 5e와 같은 하나의 전체지문을 생성(S307)한다. 이때 생성되는 전체지문은 입력지문에 해당한다.
이와는 달리, 제어부(13)가 사용자로부터 지문입력창(10)을 통해 분할입력될 부분지문을 하나의 전체지문으로 합성하여 입력지문으로 이용할 것인지를 확인(S303)한 결과, 사용자의 키입력을 통해 분할입력될 복수의 부분지문을 합성하지 않을 것임이 확인되고 이어 사용자가 지문입력창(10)을 통해 손가락의 소정 부분을 안착시켜 이로부터 인식된 단일의 부분지문이 지문화상 입력부(11)에 의해 디지털 화상신호로 변환된 후 제어부(13)로 입력(S320)되면,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입력된 디지털 화상신호를 입력지문으로서 이용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일의 부분지문을 입력지문으로 이용하는 경우, 종래에 단일의 전체지문을 입력지문으로 이용했던 경우와는 달리, 사용자는 지문입력창(10)의 중심에 해당 손가락의 중심이 반드시 일치되도록 안착시킬 필요없이 손가락의 어느 부분이라도 안착이 되면 이로부터 부분지문이 입력지문으로서 추출되어 원본지문과 비교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본지문이 분합입력된복수의 부분지문이 합성되어 생성된 것인 경우 이는 손가락 끝부분이나 가장자리의 지문정보까지 모두 포함하고 있으므로, 입력지문과 원본지문이 동일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것이라면, 입력지문이 손가락의 어느 부분으로부터 입력된 것이라 할지라도 동일한 것으로 입증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제어부(13)는 상기 입력지문을 작업 메모리부(15)에 임시저장되어 있는 원본지문과 비교(S308)하여 일치하는지 확인(S309)하고, 일치하면 본인(S310)으로 일치하지 않으면 타인(S311)으로 각각 판단하게 되는데, 입력지문과 원본지문의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은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2 실시예
본 실시예는, 등록모드(도 2)와 인증모드(도 3)에 있어서 분할입력되는 복수의 부분지문의 중복지점을 검출하는 모드(S214, S306)에서영상매칭을 이용하는 중복지점 검출모드(도 4a 및 도 4b)가 이용되었던 제 1 실시예와는 달리,특징점매칭을 이용하는 중복지점 검출모드(도 4c)가 이용된다.
제어부(13)에 의한, 특징점매칭을 이용하여 4개의 디지털 화상신호의 중복지점을 검출하는 동작에 대해, 도 4c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어부(13)는 4개의 디지털 화상신호 가운데 인접된 두 개의 부분지문을 선택(S450)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인접된 왼쪽위와 오른쪽위에 해당하는 부분지문(A,B)이 선택되고 이들 각각을 제 1 및 제 2 부분지문이라 하면, 제어부(13)는 지문화상 입력부(11)로부터 입력되어 작업 메모리부(15)에 임시저장하였던 4개의 부분지문(A,B,C,D) 가운데 제 1 및 제 2 부분지문(A,B)을 도 5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로 나누고 이 가운데 빗금친 부분 즉 중복이 예측되는 영역내의 부분지문(A'B'){도 5c의 a)}만을 추출하고 추출된 두 개의 부분지문(A',B') 또한 설명의 편이를 위해 제 1' 및 제 2' 부분지문이라 명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3)가 상기 추출된 제 1' 및 제 2' 부분지문(A'B')에 대해 수행하는 후술되는 중복지점 검출동작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선택가능한 인접된 두 개의 부분지문 즉 왼쪽위와 왼쪽아래(A와 C), 오른쪽위와 오른쪽아래(B와 D), 왼쪽아래와 오른쪽아래(C와 D) 모두에 대해 동일하게 수행된다.
먼저, 제어부(13)는 상기 추출된 제 1' 및 제 2' 부분지문 각각의 디지털 화상신호로부터 전경과 배경을 분리시킴으로써 지문영역을 분리(S451)해 낸다.
그 다음으로 제어부(13)는 분리된 지문영역에 대한 이진화 및 세선화단계를 거치게 되고(S452∼S453), 하나의 융선을 따라 서로 연결되어 있는 두 개 이상의 특징점에 대한 연결관계정보(특징점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내는 지문데이타의 특징점을 각각 추출(S454)한다. 상기 추출된 지문데이타 내에 포함된 각 특징점데이타의 형태는 도 6a와 같고 상기 특징점데이타의 크기와 설명은 도 6b와 같다.
앞서 언급한 제어부(13)에 의해 수행되는 지문영역의 이진화 및 세선화, 그리고 특징점 구조를 추출하는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번호 제299858호에 상세히 서술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 가운데 개략적인 과정과 내용에 대해서만 언급하였으며, 후술하는 내용에서도 간략히 서술함을 미리 말해둔다.
따라서, 제어부(13)는 상기와 같이 제 1' 및 제 2' 부분지문으로부터 각각 추출된 특징점데이타를 매칭(matching)(S455)하여 매칭이 이루어지는 동일한 특징점데이타를 제 1' 및 제 2' 부분지문에서의 중복지점으로 판단, 검출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3)에 의한 제 1' 및 제 2' 부분지문으로부터 각각 추출된 특징점데이타를 매칭하는 동작(S455)에 대해 도 6c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및 제 2' 부분지문내의 특징점들은 융선을 따라 연결된 두 특징점사이의 거리가 긴 점부터 내림차순으로 각각 정렬(S455-1)되고 이들 가운데 거리가 가장 먼 두 특징점은 제 1' 및 제 2' 부분지문의 매칭후보로 각각 선택(S455-2)된다.
상기 선택된 각각의 매칭후보는 일치하는지 검색(S455-3)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지문 각각의 매칭후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제 1' 부분지문에서 다음으로 거리가 먼 두 특징점이 제 1' 부분지문의 매칭후보로 선택(S455-4)되어 제 2' 부분지문의 매칭후보와 일치하는지가 다시 검색(S455-3)되고, 이와 같이 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 비교가능한 제 1' 및 제 2' 부분지문 각각의 두 특징점이 매칭후보로 순차적으로 선택되어 일치하는지 검색(S455-3)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지문간에 일치하는 특징점 쌍이 있으면, 상기 선택된 제 1' 부분지문의 두 특징점에 대한 기준점과 상기 제 2' 부분지문의두 특징점에 대한 기준점이 각각 구해지고(S455-5), 상기 제 2' 부분지문의 두 특징점을 잇는 직선과 상기 제 1' 부분지문의 두 특징점을 잇는 직선의 길이와 방향이 비교(S455-6)되어, 길이가 같고 방향이 일치하는 제 2' 부분지문에 대하여 상기 제 1' 부분지문에 대한 제 2' 부분지문의 회전각과 중심점이 각각 차례로 구하여진 후(S455-7) 제 2' 부분지문이 제 1' 부분지문에 대하여 이동 및 회전변환(S455-8)된다.
이와 같이 제 2' 부분지문이 이동 및 회전변환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부분지문에서 일치하는 특징점 쌍의 수가 산출(S455-9)되어 그 수가 임의의 문턱치와 비교(S455-10)되고, 상기 비교결과, 일치하는 특징점 쌍의 수가 문턱치보다 적으면, 후보 그룹에 변환 변수(회전각 및 중심점)에 저장된 후,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제 1' 및 제 2' 부분지문에서 각각 다음으로 거리가 먼 두 특징점들이 매칭후보로 각각 선택(S455-4)되어 제 1' 및 제 2' 부분지문에 일치하는 특징점 쌍이 있는지 검색(S455-3)하는 동작이 다시 수행된다.
이와는 달리 상기 비교(S455-10)결과, 일치하는 특징점 쌍의 수가 문턱치보다 많으면, 앞서 제 1' 및 제 2' 부분지문으로부터 매칭후보로 각각 선택된 두 특징점쌍의 위치가 두 부분지문의 중복지점으로 검출(S455-11)되는 것이다.
참고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부분지문으로부터 각각 추출된 특징점데이타를 매칭하는 동작(S455)을 수행한 결과 중복지점을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 마찬가지로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는 특징점 수개를 활용하는 점매칭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두 부분지문간의 중복지점을 검출할 수도 있음을 미리 말해 둔다.
이후, 제어부(13)는 분할입력된 부분지문의 등록모드(도 2)에서, 상기와 같이 검출된 중복지점을 기준으로 두 부분지문(A,B)를 합성하여 결국 도 5e와 같은 하나의 전체지문을 생성(S215)하고, 상기와 같이 생성된 전체지문을 사용자의 아이디에 대응시켜 플래시 메모리부(16)에 저장(S216)하게 된다.
또한, 분할입력된 부분지문의 인증모드(도 3)에서도, 상기 제어부(13)는 상기와 같이 검출된 중복지점을 기준으로 두 부분지문(A,B)를 합성하여 결국 도 5e와 같은 하나의 전체지문을 생성(S307)하고, 상기와 같이 생성된 전체지문 즉 입력지문을 앞서 추출되어 작업 메모리부(15)에 임시저장되어 있는 원본지문과 비교(S308)함으로써, 일치하면(S309) 본인(S310)으로, 일치하지 않으면 타인(S311)으로 각각 판단하게 되는데, 입력지문과 원본지문의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은 제 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 손가락의 지문을 복수개의 소정 부분으로 분할입력받아 전체지문을 생성함으로써, 생성된 전체지문에 손가락의 끝부분이나 손가락 가장자리와 같이 보다 많은 지문정보가 포함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손가락으로부터 추출된 지문의 오른쪽과 왼쪽의 하단에 대다수의 경우 분포하는 특징 가운데 하나인 삼각주부분(지문융선 흐름의 방향이 3방향으로 나누어지는 부분)에 관련된 지문정보가 완벽하게 추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손가락 전체의 지문정보가 포함되어 등록된 원본지문과 손가락 전체의 지문정보가 포함되어 입력된 입력지문을 비교하는 인증과정을 거침으로써, 지문을 이용한 등록과정을 거쳐 권한을 부여받은 사용자임을 인증하는 동작이 보다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의 부분지문을 입력하여 등록된 사용자임을 인증하는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의 중심을 지문입력창의 중심에 반드시 안착시킬 필요가 없어, 지문입력시 사용자의 주의를 덜 요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가락의 실제 지문형상보다 작은 크기로 제작된 소형의 지문입력창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지문입력창이 구비되는 장비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범죄 수사에 있어 범인이 남긴 일부의 지문으로 범인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고 잔해에 남겨진 일부의 지문으로 사상자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삭제
  2. 한 손가락의 소정 부분을 안착시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지문을 입력하기 위한 소형의 안착수단;
    상기 소형의 안착수단에 하나의 손가락을 복수개의 소정 부분으로 분할하여 순차적으로 안착시키되 상기 분할된 소정 부분이 중복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소형의 안착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부분지문간의 중복지점을 각각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중복지점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부분지문을 합성하여 하나의 전체지문을 생성하는 지문 생성수단;
    상기 손가락의 각 소정 부분이 안착되는 순서 및 소정 부분의 부분지문을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입력된 지문의 합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생성수단은,
    상기 입력되는 복수의 부분지문 가운데 인접된 두 개의 부분지문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제 1 및 제 2 부분지문 가운데 제 1 부분지문의 위치를 상,하,좌,우로 소정값만큼 가변시키면서 제 1 및 제 2 부분지문간의 상관도를 각각 산출하는 상관도 산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산출된 상관도가 가장 높은 중복지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중복지점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지문을 합성하여 하나의 지문을 생성하고, 상기 산출 및 생성동작을 상기 입력되는 복수의 부분지문으로부터 선택가능한 두 개의 부분지문에 대해 동일하게 수행하여 하나의 전체지문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입력된 지문의 합성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도 산출수단은, 상기 제 1 부분지문의 각도를 소정값만큼 가변시키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지문간의 상관도를 더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입력된 지문의 합성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생성수단은,
    상기 입력되는 복수의 부분지문 가운데 인접된 두 개의 부분지문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제 1 및 제 2 부분지문으로부터 지문의 특징점과 상기 특징점들간의 연결관계정보를 각각 추출하는 추출수단;
    상기 추출된 특징점들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각각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특징점들 가운데 특정 관계에 있는 특징점 쌍을 각각 취하여 두 매칭후보로 선택하는 선택수단;
    상기 선택된 두 매칭후보의 특징점 쌍을 잇는 직선의 길이와 방향을 비교하는 제 1 비교수단;
    상기 제 1 비교수단에 의한 비교결과 직선의 길이와 방향이 일치하면, 상기 제 1 부분지문의 매칭후보에 대한 제 2 부분지문의 매칭후보의 회전각을 산출하여 이동 및 회전변위를 계산하고, 제 2 부분지문의 특징점들을 제 1 부분지문의 특징점들에 대해 이동 및 회전변환시키는 이동 및 회전변환수단;
    상기 이동 및 회전변환된 제 2 부분지문의 특징점들을 제 1 부분지문의 특징점들과 비교하는 제 2 비교수단; 및
    상기 제 2 비교수단에 의한 비교결과 서로 일치하는 특징점의 수가 지정된 문턱치 이상이면, 상기 선택된 각각의 매칭후보를 중복지점으로 판단하는 판단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추출 내지 판단동작은 상기 입력되는 복수의 부분지문으로부터 선택가능한 두 개의 부분지문에 대해 동일하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입력된 지문의 합성장치.
  6. 삭제
  7. 지문 등록모드시, 하나의 손가락을 복수개의 소정 부분으로 분할하여 순차적으로 안착시키되 상기 분할된 소정 부분이 중복되도록 함으로써, 안착된 손가락의 소정 부분으로부터 인식되어 입력되는 복수의 부분지문을 합성하여 하나의 전체지문을 생성하는 지문 생성단계;
    상기 생성된 전체지문을 저장하는 지문 저장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문 저장단계는, 손가락의 각 소정 부분이 안착되는 순서 및 소정 부분의 부분지문을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입력된 지문의 등록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생성단계는,
    상기 입력되는 복수의 부분지문 가운데 인접된 두 개의 부분지문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제 1 및 제 2 부분지문 가운데 제 1 부분지문의 위치를 상,하,좌,우로 소정값만큼 가변시키면서 제 1 및 제 2 부분지문간의 상관도를 각각 산출하는 상관도 산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산출된 상관도가 가장 높은 중복지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중복지점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지문을 합성하여 하나의 지문을 생성하고, 상기 산출 및 생성단계를 상기 입력되는 복수의 부분지문으로부터 선택가능한 두 개의 부분지문에 대해 동일하게 수행하여 하나의 전체지문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입력된 지문의 등록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도 산출단계는, 상기 제 1 부분지문의 각도를 소정값만큼 가변시키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지문간의 상관도를 더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입력된 지문의 등록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생성단계는,
    상기 입력되는 복수의 부분지문 가운데 인접된 두 개의 부분지문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제 1 및 제 2 부분지문으로부터 지문의 특징점과 상기 특징점들간의 연결관계정보를 각각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추출된 특징점들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각각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특징점들 가운데 특정 관계에 있는 특징점 쌍을 각각 취하여 두 매칭후보로 선택하는 선택단계;
    상기 선택된 두 매칭후보의 특징점 쌍을 잇는 직선의 길이와 방향을 비교하는 제 1 비교단계;
    상기 제 1 비교단계에 의한 비교결과 직선의 길이와 방향이 일치하면, 상기 제 1 부분지문의 매칭후보에 대한 제 2 부분지문의 매칭후보의 회전각을 산출하여 이동 및 회전변위를 계산하고, 제 2 부분지문의 특징점들을 제 1 부분지문의 특징점들에 대해 이동 및 회전변환시키는 이동 및 회전변환단계;
    상기 이동 및 회전변환된 제 2 부분지문의 특징점들을 제 1 부분지문의 특징점들과 비교하는 제 2 비교단계; 및
    상기 제 2 비교단계에 의한 비교결과 서로 일치하는 특징점의 수가 지정된 문턱치 이상이면, 상기 선택된 각각의 매칭후보를 중복지점으로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추출 내지 판단단계는 상기 입력되는 복수의 부분지문으로부터 선택가능한 두 개의 부분지문에 대해 동일하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입력된 지문의 등록방법.
  11. 삭제
  12. 지문 인증모드시, 한 손가락의 소정 부분으로부터 인식된 단일의 부분지문에 해당하는 입력지문을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입력지문과 기 저장된 원본지문과의 동일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손가락이 인식되는 소정 부분을 달리하면서 상기 단일의 부분지문 추출단계를 반복수행하여 한 손가락으로부터 서로 다른 복수의 부분지문을 추출하는 하위 추출단계; 및
    상기 추출되는 복수의 부분지문을 합성하여 하나의 전체지문을 생성하여 입력지문으로 갱신하는 지문 생성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입력된 지문의 인증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생성단계는,
    상기 추출되는 복수의 부분지문 가운데 인접된 두 개의 부분지문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제 1 및 제 2 부분지문 가운데 제 1 부분지문의 위치를 상,하,좌,우로 소정값만큼 가변시키면서 제 1 및 제 2 부분지문간의 상관도를 각각 산출하는 상관도 산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산출된 상관도가 가장 높은 중복지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중복지점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지문을 합성하여 하나의 지문을 생성하고, 상기 산출 및 생성단계를 상기 입력되는 복수의 부분지문으로부터 선택가능한 두 개의 부분지문에 대해 동일하게 수행하여 하나의 전체지문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입력된 지문의 인증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도 산출단계는, 상기 제 1 부분지문의 각도를 소정값만큼 가변시키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지문간의 상관도를 더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입력된 지문의 인증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생성단계는,
    상기 추출되는 복수의 부분지문 가운데 인접된 두 개의 부분지문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제 1 및 제 2 부분지문으로부터 지문의 특징점과 상기 특징점들간의 연결관계정보를 각각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추출된 특징점들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각각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특징점들 가운데 특정 관계에 있는 특징점 쌍을 각각 취하여 두 매칭후보로 선택하는 선택단계;
    상기 선택된 두 매칭후보의 특징점 쌍을 잇는 직선의 길이와 방향을 비교하는 제 1 비교단계;
    상기 제 1 비교단계에 의한 비교결과 직선의 길이와 방향이 일치하면, 상기 제 1 부분지문의 매칭후보에 대한 제 2 부분지문의 매칭후보의 회전각을 산출하여 이동 및 회전변위를 계산하고, 제 2 부분지문의 특징점들을 제 1 부분지문의 특징점들에 대해 이동 및 회전변환시키는 이동 및 회전변환단계;
    상기 이동 및 회전변환된 제 2 부분지문의 특징점들을 제 1 부분지문의 특징점들과 비교하는 제 2 비교단계; 및
    상기 제 2 비교단계에 의한 비교결과 서로 일치하는 특징점의 수가 지정된 문턱치 이상이면, 상기 선택된 각각의 매칭후보를 중복지점으로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추출 내지 판단단계는 상기 입력되는 복수의 부분지문으로부터 선택가능한 두 개의 부분지문에 대해 동일하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입력된 지문의 인증방법.
KR10-2001-0061214A 2001-10-04 2001-10-04 분할입력된 지문의 합성장치와 분할입력된 지문의 등록 및인증방법 KR100443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214A KR100443234B1 (ko) 2001-10-04 2001-10-04 분할입력된 지문의 합성장치와 분할입력된 지문의 등록 및인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214A KR100443234B1 (ko) 2001-10-04 2001-10-04 분할입력된 지문의 합성장치와 분할입력된 지문의 등록 및인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919A KR20030028919A (ko) 2003-04-11
KR100443234B1 true KR100443234B1 (ko) 2004-08-04

Family

ID=29563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1214A KR100443234B1 (ko) 2001-10-04 2001-10-04 분할입력된 지문의 합성장치와 분할입력된 지문의 등록 및인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32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279B1 (ko) * 2002-03-12 2005-01-24 테스텍 주식회사 지문이미지의 등록방법
KR100439891B1 (ko) * 2002-07-02 2004-07-12 구홍식 생체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
KR100613697B1 (ko) * 2003-07-18 2006-08-21 학교법인연세대학교 손가락의 슬라이딩/롤링에 따른 지문영상획득방법
KR100699026B1 (ko) * 2004-12-24 2007-03-27 현대정보기술주식회사 스위핑 센서를 채용한 지문인식기용 지문 템플릿 생성장치 및 그 방법
KR20220117540A (ko) * 2021-02-17 2022-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센서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지문 정보 업데이트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11081A (ja) * 1987-02-27 1988-09-01 Shinsaibi Denki Kk 指紋照合における補正照合と二次再照合の方法
KR970049821A (ko) * 1995-12-22 1997-07-29 가네꼬 히사시 지문특징추출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지문분류장치 및 지문조회장치
KR0126464B1 (ko) * 1991-06-03 1998-04-02 박원희 지문 인식 방법
KR19990013325A (ko) * 1997-07-03 1999-02-25 세키자와다다시 회전 지문 인상 채취 시스템
US5878158A (en) * 1995-05-10 1999-03-02 Ferris; Stephen G. Ridge-valley minutia associator for fingerprints
KR20010070576A (ko) * 2001-05-25 2001-07-27 이기덕 리니어 지문 검출센서를 이용한 지문획득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11081A (ja) * 1987-02-27 1988-09-01 Shinsaibi Denki Kk 指紋照合における補正照合と二次再照合の方法
KR0126464B1 (ko) * 1991-06-03 1998-04-02 박원희 지문 인식 방법
US5878158A (en) * 1995-05-10 1999-03-02 Ferris; Stephen G. Ridge-valley minutia associator for fingerprints
KR970049821A (ko) * 1995-12-22 1997-07-29 가네꼬 히사시 지문특징추출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지문분류장치 및 지문조회장치
KR19990013325A (ko) * 1997-07-03 1999-02-25 세키자와다다시 회전 지문 인상 채취 시스템
KR20010070576A (ko) * 2001-05-25 2001-07-27 이기덕 리니어 지문 검출센서를 이용한 지문획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919A (ko) 200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184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tching fingerprint
US6370263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gistering and collating palm imprints
Ross et al. Information fusion in biometrics
Schouten et al. Biometrics and their use in e-passports
US7206437B2 (en) Method to conduct fingerprint verification and a fingerprint verification system
KR100299858B1 (ko) 지문 매칭 방법
US20210406351A1 (en) Non-face-to-face authentication system
JP2005168627A (ja) 個人識別装置
KR101774151B1 (ko) 홍채템플릿 분산 저장 및 매칭을 이용한 홍채인식 보안 강화 방법 및 장치
KR970022829A (ko) 지문카드 선택장치 및 지문카드 찾기장치
JPH10261082A (ja) コンピュータ署名照合方式における登録署名データ作成方法
KR100443234B1 (ko) 분할입력된 지문의 합성장치와 분할입력된 지문의 등록 및인증방법
Jacob et al. Feature level fusion using multiple fingerprints
WO2003085591A1 (en) Method for synthesizing a minutiae template and increasing reliability of fingerprint matching using a fingerprint sensor with small sensor area
KR101977539B1 (ko) 지문등록 및 지문인증 제어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30006789A (ko) 지문 등록 및 인증방법
JP2000222361A (ja) モーションを利用した認証方法及び装置
KR100456463B1 (ko) 지문 영상의 전역적 정보 및 지역적 특성 정보의 조합을이용한 지문 인증방법
JPH0498370A (ja) 指紋識別装置
KR101991461B1 (ko) 특징점의 벡터화를 이용한 문자인식 시스템 및 방법
JP2003030660A (ja) 指紋照合装置及び指紋照合方法
JP2974857B2 (ja) 指紋辞書登録処理方式
JP2001331804A (ja) 画像領域検出装置及び方法
Sharma et al. Fingerprint matching Using Minutiae Extraction Techniques
JP2002329205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指紋認証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