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3141B1 -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 Google Patents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3141B1
KR100443141B1 KR10-2001-0086922A KR20010086922A KR100443141B1 KR 100443141 B1 KR100443141 B1 KR 100443141B1 KR 20010086922 A KR20010086922 A KR 20010086922A KR 100443141 B1 KR100443141 B1 KR 100443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front block
anchor
pin memb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6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6648A (ko
Inventor
한승호
이태식
한중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설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설그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설그린
Priority to KR10-2001-0086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3141B1/ko
Publication of KR20030056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6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1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뒤 채움 토양의 유실 없이 옹벽의 좌우 방향으로 다양한 형태인 직선(평면) 또는 곡선(곡면)의 형태의 윤곽으로, 아울러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 단계적인 다양한 기울기로,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며, 그 축조가 안정된 상태로서 유지 가능한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옹벽축조용 앞면부 블록은, 옹벽축조용 앞면부 블록에 의한 옹벽의 좌우 방향으로의 연속 축조에서의 윤곽이 곡선(곡면)을 이루는 경우에는 인접한 앞면부 블록들 사이의 맞닿는 부분이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앞면부 블록들로 보강된 뒤 채움 토양이 앞쪽 방향으로 유실되어지는 경우가 많은 문제점과, 옹벽의 상하 방향의 연결에서 기울기가 다양하지 못한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앞면부 블록과 앵커 바와 앵커 조인트가 구비되며, 상기 앞면부 블록은, 옹벽의 축조에서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범위 내의 임의의 각도로 접속되어 연속 설치함이 가능하도록 원호 기둥부와 원호 공간부가 형성되며, 아울러 옹벽의 축조에서 상하 방향으로 단계적인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로 쌓아 설치함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이 형성되고,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럭의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 중 1개의 관통구멍에 상응하여 끼워지도록 된 조절핀이 구비된 조절핀 부재가 구비되고, 이 조절핀 부재가 끼워져 고정 설치 가능하도록 된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가 형성되며, 아울러 앵커턱 걸림 공간부와 앵커턱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앵커 바와 상기 앵커 조인트는 상기 앞면부 블록을 그 뒤쪽 방향에서 지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뒤 채움 토양의 유실이 없이 옹벽의 좌우 방향으로 다양한 형태인 직선(평면) 또는 곡선(곡면)의 형태의 윤곽으로, 아울러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 다양한 기울기로, 옹벽의 축조가 용이하게 가능하며, 그 축조가 용이하게 안정된 상태로서 유지됨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Block set for retaining wall construction}
본 발명은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옹벽의 축조에서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범위 내의 임의의 각도로 접속되어 연속 설치함이 가능하며, 아울러 옹벽의 축조에서 상하 방향으로 단계적인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로 기울여 쌓아 설치함이 가능하도록 된 앞면부 블록과, 상기 앞면부 블록을 뒤쪽 방향에서 지지 가능하도록 앵커 바과 앵커 조인트로 이루어짐으로써,
뒤 채움 토양의 유실 없이 옹벽의 좌우 방향으로 다양한 형태인 직선(평면) 또는 곡선(곡면)의 형태의 윤곽으로, 아울러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 다양한 기울기로,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며, 그 축조가 안정된 상태로서 유지 가능한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옹벽축조용 앞면부 블록은, 옹벽축조용 앞면부 블록에 의한 옹벽의 좌우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인접한 앞면부 블록들 사이의 맞닿는 부분이 좁았음에 따라 앞면부 블록들로 보강된 뒤 채움 토양이 앞면부 블록들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앞쪽 방향으로 유실되어지는 경우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더욱이 옹벽의 좌우 방향으로의 연속 축조에서의 윤곽이 곡선(곡면)을 이루는 경우에는 인접한 앞면부 블록들 사이의 맞닿는 부분이 더욱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앞면부 블록들로 보강된 뒤 채움 토양이 앞쪽 방향으로 유실되어지는 경우가 더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옹벽축조용 앞면부 블록은, 옹벽축조용 앞면부 블록에 의한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앞면부 블록 자체에 형성된 걸림턱을 이용하거나, 상하 연결용 고정핀 설치 구멍의 간격 조절로 그 기울기를 결정하였으나, 콘크리트의 재료의 성질상 상기 걸림턱이나 상기 고정핀 설치용 구멍을 조밀하게 형성할 수 없어, 상하 방향의 축조에서 다양한 기울기로 기울어지게 하기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옹벽축조용 앞면부 블록은, 옹벽의 앞면부 블록으로서, 옹벽의 높이와 옹벽으로 보강되는 뒤 채움 토양의 성질에 따라, 그 길이나 구조가 결정되는 토목섬유(Geotextile, Geogrid)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조이었음에 따라, 상기 토목섬유의 재질과 구조의 특성에 따라 늘어나는 등의 구조적 불안정성으로 인하여, 뒤 채움 토양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아니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옹벽 성토(成土)용 흙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앞면부 블록과 앵커 바와 앵커 조인트가 구비되며, 상기 앞면부 블록은, 옹벽의 축조에서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범위 내의 임의의 각도로 접속되어 연속 설치함이 가능하도록 원호 기둥부와 원호 공간부가 형성되며, 아울러 옹벽의 축조에서 상하 방향으로 단계적인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로 쌓아 설치함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이 형성되고,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럭의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 중 1개의 관통구멍에 상응하여 끼워지도록 된 제1 조절핀과 제2 조절핀이 구비된 조절핀 부재가 구비되고, 이 조절핀 부재가 끼워져 고정 설치 가능하도록 된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가 형성되며, 아울러 앵커턱 걸림 공간부와 앵커턱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앵커 바와 상기 앵커 조인트는 상기 앞면부 블록을 그 뒤쪽 방향에서 지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짐으로써,
뒤 채움 토양의 유실이 없이 옹벽의 좌우 방향으로 다양한 형태인 직선(평면) 또는 곡선(곡면)의 형태의 윤곽으로, 아울러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 다양한 기울기로, 옹벽의 축조가 용이하게 가능하며, 그 축조가 용이하게 안정된 구조로서 유지됨이 가능한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4는 도1에서의 A-A′선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앞면부 블록의 구성을 보인 확대 평면도
도6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에서의, 조절핀 부재의 구성을 보인 확대 사시도
도6b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에서의, 조절핀 부재의 구성을 보인 확대 종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앞면부 블록들이 좌우 방향으로 연속되며 곡선(곡면)의 윤곽을 이룬 상태의 작용을 보인 축소 평면도
도8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앞면부 블록들이 상하 방향으로 쌓이며 제1 단계로서의 수직을 이룬 상태의 작용을, 일 실시예의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그 앞뒤 방향으로 절단되어, 보인 종단면도
도8b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앞면부 블록들이 상하 방향으로 쌓이며 제2 단계로서의 기울기를 이룬 상태의 작용을, 일 실시예의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그 앞뒤 방향으로 절단되어, 보인 종단면도
도8c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앞면부 블록들이 상하 방향으로 쌓이며 제3 단계로서의 기울기를 이룬 상태의 작용을, 일 실시예의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그 앞뒤 방향으로 절단되어, 보인 종단면도
도8d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앞면부 블록들이 상하 방향으로 쌓이며 제4 단계로서의 기울기를 이룬 상태의 작용을, 일 실시예의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그 앞뒤 방향으로 절단되어, 보인 종단면도
도8e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앞면부 블록들이 상하 방향으로 쌓이며 제5 단계로서의 기울기를 이룬 상태의 작용을, 일 실시예의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그 앞뒤 방향으로 절단되어, 보인 종단면도
도8f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앞면부 블록들이 상하 방향으로 쌓이며 제6 단계로서의 기울기를 이룬 상태의 작용을, 일 실시예의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그 앞뒤 방향으로 절단되어, 보인 종단면도
도8g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앞면부 블록들이 상하 방향으로 쌓이며 제7 단계로서의 기울기를 이룬 상태의 작용을, 일 실시예의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그 앞뒤 방향으로 절단되어, 보인 종단면도
도8h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앞면부 블록들이 상하 방향으로 쌓이며 제8 단계로서의 기울기를 이룬 상태의 작용을, 일 실시예의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그 앞뒤 방향으로 절단되어, 보인 종단면도
도8i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앞면부 블록들이 상하 방향으로 쌓이며제9 단계로서의 기울기를 이룬 상태의 작용을, 일 실시예의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그 앞뒤 방향으로 절단되어, 보인 종단면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12는 도9에서의 B-B′선 단면도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앞면부 블록의 구성을 보인 확대 평면도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앞면부 블록들이 좌우 방향으로 연속되며 곡선(곡면)의 윤곽을 이룬 상태의 작용을 보인 평면도
도15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앞면부 블록들이, 조절핀 부재가 앞면부 블록의 중심(中心)에 형성된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에 설치된 경우에서, 상하 방향으로 쌓이며 제1 단계로서의 수직을 이룬 상태의 작용을, 상기 앞면부 블록의 상기 중심(中心)에 형성된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그 앞뒤 방향으로 절단되어, 보인 종단면도
도15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앞면부 블록들이, 조절핀 부재가 앞면부 블록의 상기 중심(中心)에 형성된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에 설치된 경우에서, 상하 방향으로 쌓이며 제2 단계로서의 기울기를 이룬 상태의 작용을, 상기 앞면부 블록의 상기 중심(中心)에 형성된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그 앞뒤 방향으로 절단되어, 보인 종단면도
도15c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앞면부 블록들이, 조절핀 부재가 앞면부 블록의 상기 중심(中心)에 형성된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에 설치된 경우에서, 상하 방향으로 쌓이며 제3 단계로서의 기울기를 이룬 상태의 작용을, 상기 앞면부 블록의 상기 중심(中心)에 형성된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그 앞뒤 방향으로 절단되어, 보인 종단면도
도15d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앞면부 블록들이, 조절핀 부재가 앞면부 블록의 상기 중심(中心)에 형성된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에 설치된 경우에서, 상하 방향으로 쌓이며 제4 단계로서의 기울기를 이룬 상태의 작용을, 상기 앞면부 블록의 상기 중심(中心)에 형성된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그 앞뒤 방향으로 절단되어, 보인 종단면도
도15e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앞면부 블록들이, 조절핀 부재가 앞면부 블록의 상기 중심(中心)에 형성된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에 설치된 경우에서, 상하 방향으로 쌓이며 제5 단계로서의 기울기를 이룬 상태의 작용을, 상기 앞면부 블록의 상기 중심(中心)에 형성된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그 앞뒤 방향으로 절단되어, 보인 종단면도
도15f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앞면부 블록들이, 조절핀 부재가 앞면부 블록의 상기 중심(中心)에 형성된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에 설치된 경우에서, 상하 방향으로 쌓이며 제6 단계로서의 기울기를 이룬 상태의 작용을, 상기 앞면부 블록의 상기 중심(中心)에 형성된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그 앞뒤 방향으로 절단되어, 보인 종단면도
도15g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앞면부 블록들이, 조절핀 부재가 앞면부 블록의 상기 중심(中心)에 형성된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에 설치된 경우에서, 상하 방향으로 쌓이며 제7 단계로서의 기울기를 이룬 상태의 작용을, 상기 앞면부 블록의 상기 중심(中心)에 형성된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그 앞뒤 방향으로 절단되어, 보인 종단면도
도15h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앞면부 블록들이, 조절핀 부재가 앞면부 블록의 상기 중심(中心)에 형성된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에 설치된 경우에서, 상하 방향으로 쌓이며 제8 단계로서의 기울기를 이룬 상태의 작용을, 상기 앞면부 블록의 상기 중심(中心)에 형성된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그 앞뒤 방향으로 절단되어, 보인 종단면도
도15i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앞면부 블록들이, 조절핀 부재가 앞면부 블록의 상기 중심(中心)에 형성된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에 설치된 경우에서, 상하 방향으로 쌓이며 제9 단계로서의 기울기를 이룬 상태의 작용을, 상기 앞면부 블록의 상기 중심(中心)에 형성된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그 앞뒤 방향으로 절단되어, 보인 종단면도
도16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서의, 앵커 조인트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16b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서의, 앵커 조인트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앞면부 블록, 100′, 100″, 100″″: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
100-1 : 앞면부 블록의 일측, 100-1-c : 앞면부 블록의 일측의 앞뒤 방향에서의 중심(中心),
100-2 : 앞면부 블록의 타측, 100-2-c : 앞면부 블록의 타측의 앞뒤 방향에서의 중심(中心),
100-c : 앞면부 블록의, 그 앞뒤 방향의 중심(中心)이며 아울러 원호 기둥부의 횡단면의 원호의 중심(中心)과 원호 공간부의 횡단면의 원호의 중심(中心) 사이의 중심(中心)인, 중심(中心),
100″-c, 100″″-c :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의 중심,
100-3 : 앞면부 블록의 앞면,
110, 110′, 110″, 110″″: 원호 기둥부, 110-c, 110″-c, 110″″-c : 원호 기둥부의 횡단면의 원호의 중심(中心),
111, 111′: 원호 공간부, 111-c : 원호 공간부의 횡단면의 원호의 중심(中心),
120 : 관통구멍, 120-c : 관통구멍의 앞뒤 방향과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中心),
120-1 : 제1 관통구멍, 120-1-c : 제1 관통구멍의 앞뒤 방향과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中心), 120-2 : 제2 관통구멍, 120-3 : 제3 관통구멍, 120-n : 제n 관통구멍, 120-n-c : 제n 관통구멍의 앞뒤 방향과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中心),
130 : 조절핀 부재, 130-c : 조절핀 부재의 앞뒤 방향 및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中心), 130-1 : 조절핀 부재 몸통, 130-1-1 : 조절핀 부재 몸통의 일측,
131 : 제1 조절핀, 131-c : 제1 조절핀의 앞뒤 방향 및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中心),
132 : 제2 조절핀, 132-c : 제2 조절핀의 앞뒤 방향 및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中心),
135, 135′ :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 135-c, 135′-c :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의 앞뒤 방향 및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中心),
L : 조절핀 부재의 상기 중심과 제1 조절핀의 상기 중심 사이의 소정의 거리,
P : 앞면부 블록의 상기 중심으로부터 앞쪽으로 상기 L과 같은 거리의 위치,
S : 서로 인접한 2개의 관통구멍들 사이의 소정의 거리
S1 : 제1 관통구멍과 제2 관통구멍 사이의 소정의 거리,
150 : 앵커턱 걸림 공간부, 151 : 앵커턱 걸림턱,
200, 200′: 앵커 바, 201, 201′: 앵커턱,
300 : 앵커 조인트, 301, 301′: 앵커턱 걸림 공간부,
302, 302′: 앵커턱 걸림턱
본 발명은 그 실시예에 따라 그 도면에 의거하여 그 구성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은, 도1 내지 도8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면부 블록(block)(100)과 앵커 바(anchor bar)(200)와 앵커 조인트(anchor joint)(300)가 구비되며,
상기 앞면부 블록(100)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좌우 방향으로의 옹벽(擁壁)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이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앞면부 블록(100′)과는 소정의 범위 내의 임의의 각도로 접속되어 연속 설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일측(100-1)에는, 횡단면이 바깥쪽 방향으로 원호(圓弧) 형상인 원호(圓弧) 기둥부(110)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일측(100-1)의 앞뒤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즉, 상기 원호(圓弧) 기둥부(110)가 그 횡단면에서의 원호의 중심(中心)(110-c)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일측(100-1)의 앞뒤 방향의 중심(中心)(100-1-c)에 위치하며] 수직으로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타측(100-2)에는,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앞면부 블록(100′)의 원호(圓弧) 기둥부(110′)가 상응하여 끼워져 상기 소정의 범위 내의 임의의 각도로 회전 가능 상태에서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형상으로서, 횡단면이 안쪽 방향으로 원호(圓弧) 형상인 원호(圓弧) 공간부(111)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타측(100-2)의 앞뒤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며[즉, 상기 원호(圓弧) 공간부(111)가 그 횡단면에서의 원호의 중심(中心)(111-c)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타측(100-2)의 앞뒤 방향의 중심(中心)(100-2-c)에 위치하며] 수직으로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하 방향으로의 옹벽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에 대하여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앞면부 블록(100″)이,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앞면부 블록(100″)의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 중 1개의 관통구멍(120)에 상응하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조절핀 부재(130)의 제1 조절핀(131) 및 제2 조절핀(132) 중 하나의 조절핀이 끼워져 설치됨에 따라 단계적으로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를 가지며, 상방(上方)으로 적층(積層)으로 쌓여 설치 가능하도록,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그 앞뒤 방향의 중심(中心)이며 아울러 상기 원호(圓弧) 기둥부(110)의 횡단면의 원호(圓弧)의 중심(中心)(110-c)과 상기 원호(圓弧) 공간부(111)의 횡단면의 원호(圓弧)의 중심(中心)(111-c) 사이의 중심(中心)인, 중심(中心)(100-c)으로부터 앞쪽으로,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앞뒤 방향 및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中心)(130-c)과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제1 조절핀(131)의 앞뒤 방향 및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中心)(131-c) 사이의 소정의 거리(L)와 같은 거리의 위치(P) 및, 이 위치(P)와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앞면(100-3) 사이에는 앞뒤 방향으로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이 이 관통구멍들(120)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관통구멍들(120)의 앞뒤 방향과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들(120-c) 사이의 간격을, 이 간격에 따라 상기 단계적으로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소정의 거리(S)로 하며 수직으로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 중 제1 관통구멍(120-1)은 그 앞뒤 방향과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120-1-c)이 상기 위치(P)에 위치하며 수직으로 형성되며,
아울러 상방(上方)에서 접(接)하여 쌓이는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 중 1개의 관통구멍(120)에 상응하여,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하(上下)가 정상(正常)상태의 경우로서 그 앞뒤가 정상(正常)상태의 경우[도6a, 도6b, 도8a, 도8d, 도8g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임(하기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6a, 도6b, 도15a, 도15d, 도15g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임)]와 그 앞뒤가 거꾸로 된 상태의 경우[도8c, 도8f, 도8i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임(하기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15c, 도15f, 도15i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임)]에는 상기 제1 조절핀(131)의 상기 중심(131-c)의 위치와 상기 1개의 관통구멍(120)의 앞뒤 방향과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120-c)의 위치가 일치하게 상기 제1 조절핀(131)이 상기 1개의 관통구멍(120)에 끼워져 설치 가능하며, 아울러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하(上下)가 거꾸로 된 상태의 경우[도8b, 도8e, 도8h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임(하기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15b, 도15e, 도15h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임)]에는 상기 제2 조절핀(132)의 앞뒤 방향과 좌우방향에서의 중심(132-c)의 위치와 상기 1개의 관통구멍(120)의 상기 중심(120-c)의 위치가 일치하게 상기 제2 조절핀(132)이 상기 1개의 관통구멍(120)에 끼워져 설치 가능하여, 상기 단계적으로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조절핀(131)은 그 상기 중심(中心)(131-c)이 조절핀 부재(130)의 상기 중심(中心)(130-c)[즉, 조절핀 부재 몸통(130-1)의 앞뒤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중심임]으로부터 소정의 거리(L)에 위치하며 상기 조절핀 부재 몸통(130-1)의 일측(130-1-1)의 상면부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조절핀(132)은 그 앞뒤 방향 및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中心)(132-c)이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기 중심(中心)(130-c)에 위치하며 수직으로 상기 조절핀 부재 몸통(130-1)의 하면부에 형성된 조절핀 부재(130)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핀 부재(130)가, 그 상하(上下)가 상기 정상(正常)상태의 경우로서 그 앞뒤가 상기 정상(正常)상태의 경우와 그 앞뒤가 상기 거꾸로 된 상태의 경우 및 그 상하(上下)가 상기 거꾸로 된 상태의 경우에서 모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게 설치 가능하며 아울러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기 중심(中心)(130-c)이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의 앞뒤 방향과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中心)(135-c)에 위치함이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는 그 상기 중심(中心)(135-c)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원호(圓弧) 기둥부(110)의 상기 중심(中心)(110-c)에 위치하며 상기 원호(圓弧)기둥부(110)의 상면부에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옹벽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을 상기 앵커 바(anchor bar)(200)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뒤쪽 방향에서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상기앞면부 블록(100)의 뒤쪽부에는 앵커(anchor)턱 걸림 공간부(150)와 앵커(anchor)턱 걸림턱(151)이 형성된다.
상기 좌우 방향으로의 옹벽 축조에서의 상기 소정의 범위 내의 임의의 각도로 회전 가능 상태에서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소정의 범위는,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원호 기둥부(110)가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원호 공간부(111′)에 끼워져 설치된 경우에서, 상기 원호 기둥부(110)의 상기 원호의 길이 중, 상기 원호 공간부(111′)의 상기 원호의 길이와 서로 겹쳐지고 남는 즉, 서로 겹쳐지지 않는 원호의 길이에 따라, 상기 원호 기둥부(110)가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원호 공간부(111′)에서의 회전 가능 상태가 허용되는 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진다.
상기 앞면부 블록(100)에서 그 높이는,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관통구멍들(120)의 상기 중심들(120-c) 사이의 상기 소정의 거리(S)와,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기 중심(130-c)과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기 제1 조절핀(131)의 상기 중심(131-c) 사이의 상기 소정의 거리(L)의 조합에 따라, 상기 단계적으로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길이로 구성된다.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일측(100-1)은, 이 일측(100-1)이 상기 원호 기둥부(110)로만 이루어지거나 이 일측(100-1)의 거의 대부분이 원호 기둥부(110)로 이루어지는 경우 등 상기 회전 가능 상태가 언제나 존재하는 경우[즉, 상기 회전의 때에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그마주 보는 부분들의 서로 간의 충돌방지가 가능한 형상의 경우][그 도시는 생략함] 이외에는, 상기 회전 가능 상태를 가능하도록[즉, 상기 회전의 때에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그 마주 보는 부분들의 서로 간의 충돌방지가 가능하도록] 상기 일측(100-1)의 앞쪽단부와 뒤쪽단부가 안쪽 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타측(100-2)은, 이 타측(100-2)이 상기 원호 공간부(111)로만 이루어지거나 이 타측(100-2)의 거의 대부분이 원호 공간부(111)로 이루어지는 경우 등 상기 회전 가능 상태가 언제나 존재하는 경우[즉, 상기 회전의 때에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그 마주 보는 부분들의 서로 간의 충돌방지가 가능한 형상의 경우][그 도시는 생략함] 이외에는, 상기 회전 가능 상태를 가능하도록[즉, 상기 회전의 때에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그 마주 보는 부분들의 서로 간의 충돌방지가 가능하도록] 상기 타측(100-2)의 앞쪽단부와 뒤쪽단부가 안쪽 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앵커 바(anchor bar)(200)는,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앵커(anchor)턱 걸림 공간부(150)에 끼워져 상기 앵커(anchor)턱 걸림턱(151)에 걸려 체결되도록 된 앵커(anchor)턱(201)(201′)이 앞뒤쪽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앵커 조인트(anchor joint)(300)는,
상기 앵커 바(anchor bar)(200)와 체결되어 이 앵커 바(anchor bar)(200)를이 앵커 바(anchor bar)(200)의 뒤쪽 방향에서 지지 가능하며 아울러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앵커 바(anchor bar)(200′)와는 상기 앵커 조인트(anchor joint)(300)의 뒤쪽 방향으로 체결되어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앵커 바(anchor bar)(200′)에 의하여 상기 앵커 조인트(anchor joint)(300)의 뒤쪽 방향에서 지지 가능하게, 상기 앵커 바(anchor bar)(200)의 상기 앵커(anchor)턱(201)과 상기 앵커(anchor)턱(201′) 중 한쪽의 앵커(anchor)턱이 끼워져 걸려 체결되도록, 앞뒤쪽으로 대칭되게 앵커(anchor)턱 걸림 공간부(301)(301′)와 앵커(anchor)턱 걸림턱(302)(30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block set)[이하, 이 실시예를 "일 실시예"라고 함]이다.
상기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통구멍들(120)은,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기 제1 조절핀(131)과 상기 제2 조절핀(132) 중 하나의 조절핀이 상기와 같이 끼워져 설치 가능하도록, 앞뒤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대칭인 형상이 바람직하며,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크기에 따라, 2개 내지 6개 정도의 관통구멍들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이 3개의 관통구멍들(120)로서 제1 관통구멍(120-1), 제2 관통구멍(120-2), 제3 관통구멍(120-3)으로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9 내지 도15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핀 부재(130)가, 그 상하(上下)가 상기 정상(正常)상태의 경우로서 그 앞뒤가 상기 정상(正常)상태의 경우[도6a, 도6b, 도15a, 도15d, 도15g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임]와 그 앞뒤가 상기 거꾸로 된 상태의 경우[도15c, 도15f, 도15i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임] 및 그 상하(上下)가 상기 거꾸로 된 상태의 경우[도15b, 도15e, 도15h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임]에서 모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게 설치 가능하며 아울러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기 중심(中心)(130-c)이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의 상기 중심(中心)(135-c) 및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의 앞뒤 방향 및 전후 방향에서의 중심(中心)(135′-c) 중 하나의 중심(中心)에 위치함이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는, 상기 "일 실시예"의 구성과 같이, 그 상기 중심(中心)(135-c)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원호(圓弧) 기둥부(110)의 상기 중심(中心)(110-c)에 위치하며 상기 원호(圓弧) 기둥부(110)의 상면부에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는 그 상기 중심(135′-c)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중심(100-c)에 위치하며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면부에 형성되며,
아울러 기타의 구성은 상기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된 실시예[이하, 이 실시예를 "다른 실시예"라고 함]도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도, 상기 "일 실시예"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상기 관통구멍들(120)은,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기 제1 조절핀(131)과 상기 제2 조절핀(132) 중 하나의 조절핀이 상기와 같이 끼워져 설치 가능하도록, 앞뒤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대칭인 형상이 바람직하며,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크기에 따라, 2개 내지 6개 정도의 관통구멍들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이 3개의 관통구멍들(120)로서제1 관통구멍(120-1), 제2 관통구멍(120-2), 제3 관통구멍(120-3)으로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일 실시예"와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은 그 재질은 콘크리트재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밖에 금속재나 합성수지재의 블록도 가능하며, 상기 앵커 바(200)와 앵커 조인트(300)는 콘크리트재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밖에 금속재나 합성수지재도 가능하다.
상기 "일 실시예"와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조절핀 부재(130)는 강한 강도(强度)가 유지 가능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가 바람직하며,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몸통(130-1)의 형상은 앞뒤 대칭 및 좌우 대칭인 형상이 바람직하며, 그 횡단면이 마름모형이거나, 4각형이거나 8각형이거나 12각형이거나 타원형이거나, 상기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135′)에 착탈 가능하며 아울러 앞뒤 및 좌우가 거꾸로 되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형태로서의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상기 "일 실시예"와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기 제1 조절핀(131)과 상기 제2 조절핀(132)는 모두, 앞뒤 대칭 및 좌우 대칭인 형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 실시예"와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앵커 바(200)의 하부에는,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앵커턱 걸림 공간부(150)와 상기 앵커 조인트(300)의 상기 앵커턱 걸림 공간부(301)(301′)에,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앵커 조인트(300)의 사이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앵커턱(201)(201′)이 안정되게 체결되도록 하는, 하부 지지대(203)가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일 실시예"에서의 상기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와,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의 상기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135′)는 모두, 상기 조절핀 부재(130)가 상기와 같이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게 설치 가능하도록, 앞뒤 대칭 및 좌우 대칭인 형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 실시예"와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앵커턱 걸림 공간부(150)와 상기 앵커턱 걸림 공간부(301)(301′)는 그 저면이, 상기 앵커 바(200)의 앵커턱(201)(201′)을 지지 가능하도록 하는 저면 부재(150-2) (301-2) (301′-2)에 의하여 막힌 구성과, 공간부로서 개방된 구성이 모두 가능하다.
상기 "일 실시예"와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 및, 상기 앵커 바(200)는, 각각 그 안쪽에 토양 채움용 공간부(105)(205)가 형성되는 구성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앵커 조인트(300)는, 상기 옹벽 축조시 상기 앵커 조인트(3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끼워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재 설치 구멍(30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히다.
상기 앵커 조인트(300)는, 도16a와 도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단부와 타측단부가 필요에 따라 절단 가능하도록 된 절단 가능부(309)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절단 가능부(309)에 의하여 형성된 토양 채움용 공간부(305)와, 상기 토양 채움용 공간부(105), (205)는 그 저면이 개방된 구성과 그 저면이 저면부재로 막힌 구성이 모두 가능하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의 작용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은 도1 내지 도5와, 도7, 도9 내지 도13,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 실시예"와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 옹벽의 좌우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원호 기둥부(110)는 인접한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원호 공간부(111′)에 끼워져 문짝의 경첩과 같은 원리로써 상기 원호 기둥부(110)의 횡단면에서의 원호와 상기 원호 공간부(111′)의 횡단면에서의 원호가 서로 맞닿아 회전 가능 상태에서 접속되어 연속 설치되며, 아울러 상기 앞면부 불록(100)의 상기 원호 공간부(111)에는 인접한 같은 구성의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원호 기둥부(110′)가 끼워져 문짝의 경첩과 같은 원리로써 상기 원호 공간부(111)의 횡단면에서의 원호와 상기 원호 기둥부(110′)의 횡단면에서의 원호가 서로 맞닿아 회전 가능 상태에서 접속되어 연속 설치된다.
아울러 이러한 접속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일측(100-1)은,
이 일측(100-1)의 거의 대부분이 원호 기둥부(110)로 이루어지는 경우 등 상기 회전 가능 상태가 언제나 존재하는 경우[즉, 상기 회전의 때에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그 마주 보는 부분들의 서로 간의 충돌방지가 가능한 형상의 경우] 또는 상기 함몰된 형상이 형성된 경우이며, 아울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타측(100-2)은,
이 타측(100-2)이 상기 원호 공간부(111)로만 이루어지거나 이 타측(100-2)의 거의 대부분이 원호 공간부(111)로 이루어지는 경우 등 상기 회전 가능 상태가 언제나 존재하는 경우[즉, 상기 회전의 때에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그 마주 보는 부분들의 서로 간의 충돌방지가가능한 형상의 경우] 또는 상기 함몰된 형상이 형성된 경우이므로,
상기 회전 가능 상태에서의 상기 접속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원호 기둥부(110)의 상기 원호의 길이 중, 상기 원호 공간부(111′)의 상기 원호의 길이와 서로 겹쳐지고 남는 즉, 서로 겹쳐지지 않는 길이에 따라 상기 소정의 범위의 임의의 각도로 회전 가능 상태에서 접속 가능하여, 적절한 임의의 각도로 회전 가능 상태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이 이에 인접한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과 접속되어 연속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연속 설치가 반복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앞면부 블록(100)에 의하면, 옹벽의 좌우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다양한 형태인 직선(평면) 또는 곡선(곡면)의 형태의 윤곽으로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다.
또한, 이렇게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접속된 상기 인접한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은, 상기 원호 기둥부(110)와 상기 원호 공간부(111′), 및 상기 원호 공간부(111)과 상기 원호 기둥부(110′)의 각각의 서로 간의 곡면으로 맞닿는 접속에 따른 연속 설치에 의하여,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인접한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 사이의 상기 임의의 각도로 접속되어 다양한 형태인 직선(평면)또는 곡선(곡면)의 형태의 윤곽으로 옹벽의 축조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그 접속의 틈새가 곡면이므로 그 접속의 틈새로 뒤 채움 토양이 그 접속된 틈새로 유실되지 아니하게 된다.
상기 "일 실시예"에서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의 축조에서의, 상기 단계적으로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로 조절 가능한 작용은, 도1 내지 도6b와 도8a 내지 도8i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와 같다. 즉,
상기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모두 앞쪽 방향을 향하며 아울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원호 기둥부(110)의 상기 중심(110-c)에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중심(100″-c)[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중심부(100-c)에 해당하는 중심임]이 위치하며 수직으로 접하여 설치되며 옹벽을 축조하기 위하여는,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 중 ,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중심(100-c)으로부터 앞쪽으로,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기 중심(130-c)과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제1 조절핀(131) 사이의 소정의 거리(L)와 같은 거리의 위치(P)에 그 중심(120-1-c)이 위치하며 형성된 상기 제1 관통구멍(120-1)[예컨대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이 상기 3개의 관통구멍들인 경우에서는 이 3개의 관통구멍들 중 제1 관통구멍(120-1)]에,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하(上下)가 정상(正常)상태인 경우로서 그 앞뒤가 정상(正常)상태인 경우[도8a에 도시된 경우임]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에 설치된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기 제1 조절핀(131)이 끼워져 설치되면[도8a에 도시된 경우임],
상기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에 끼워져 고정된 상기 조절핀 부재(130)는 그 상기 중심(130-c)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원호 기둥부(110)의 횡단면에서의 원호의 상기 중심(110-c)에 위치하므로,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원호 기둥부(110)의 상기 중심(110-c )에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중심(100″-c)이 위치하며, 수직으로 쌓여 적층으로 축조됨이 가능하다[이하, 이 경우를 "제1 단계의 경우"라고 함].
옹벽의 상하 방향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적층 원리는, 도8a에서의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적층에 그대로 작용한다.
이와 같은 축조가 반복됨으로써,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의 축조가 수직으로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모두 앞쪽 방향을 향하며 아울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원호 기둥부(110)의 상기 중심(110-c)에 대하여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중심(100″-c)이 수직선(V)으로부터 소정의 단위 각도[예컨대 3°]의 대략 1배 정도의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로써 뒤쪽 방향 즉 뒤 채움 토양쪽으로 기울여 옹벽을 축조하기 위하여는,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 중 상기 제1 관통구멍(120-1)[예컨대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이 상기 3개의 관통구멍들인 경우에서는 이 3개의 관통구멍들 중 제1관통구멍(120-1)]에,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하(上下)가 거꾸로 된 상태인 경우[도8b에 도시된 경우임]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에 설치된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기 제2 조절핀(132)이 끼워져 설치되면[도8b에 도시된 경우임],
상기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에 끼워져 고정된 상기 조절핀 부재(130)는 그 상기 중심(130-c)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원호 기둥부(110)의 횡단면에서의 원호의 상기 중심(110-c)에 위치하므로,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원호 기둥부(110)에 대하여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이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제1 관통구멍(120-1)[예컨대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이 상기 3개의 관통구멍들인 경우에서는 이 3개의 관통구멍들 중 제1 관통구멍(120-1)]에 상기 제1 조절핀(131)이 끼워져 축조된 경우(즉, 상기 "제1 단계의 경우")보다, 상기 소정의 거리(L) 만큼의 거리를 더 후진한 위치에서 접하며 쌓여 축조되어[도8b에 도시된 경우임], 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의 1배 정도의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 만큼 수직선(V)으로부터 뒤쪽 방향 즉 뒤 채움 토양쪽으로 기울어지며 축조됨이 가능하다[이하, 이 경우를 "제2 단계의 경우"라고 함].
옹벽의 상하 방향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적층 원리는, 도8b에서의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적층에 그대로 작용한다.
이와 같은 축조가 반복됨으로써,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수직선(V)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의 1배 정도의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로써 뒤쪽 방향으로 기울여진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모두 앞쪽 방향을 향하며 아울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원호 기둥부(110)의 상기 중심(110-c)에 대하여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중심(100″-c)이 수직선(V)으로부터, 상기 "제2 단계의 경우"보다 대략 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 정도 더 기울어, 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예컨대 상기 3°]의 대략 2배 정도의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로써 뒤쪽 방향 즉 뒤 채움 토양쪽으로 기울여 옹벽을 축조하기 위하여는,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제1 관통구멍(120-1)[예컨대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이 상기 3개의 관통구멍들인 경우에서는 이 3개의 관통구멍들 중 제1 관통구멍(120-1)]에,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하(上下)가 정상(正常)상태인 경우로서 그 앞뒤가 거꾸로 된 상태 경우[도8c에 도시된 경우임]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에 설치된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기 제1 조절핀(131)이 끼워져 설치되면[도8c에 도시된 경우임],
상기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에 끼워 고정된 상기 조절핀 부재(130)는 그 상기 중심(130-c)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원호 기둥부(110)의 횡단면에서의 원호의 상기 중심(100-c)에 위치하므로,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원호 기둥부(110)에 대하여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이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제1 관통구멍(120-1)[예컨대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이 상기 3개의 관통구멍들인 경우에서는 이 3개의 관통구멍들 중 제1 관통구멍(120-1)]에 상기 제2 조절핀(132)이 끼워져 축조된 경우(즉, 상기 "제2 단계의 경우"임)보다, 상기 소정의 거리(L) 만큼의 거리를 더 후진한 위치에서 접하며 쌓여 축조되어[도8c에 도시된 경우임], 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의 대략 2배 정도의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로 수직선(V)으로부터 뒤쪽 방향 즉 뒤 채움 토양쪽으로 기울어지며 축조됨이 가능하다[이하, 이 경우를 "제3 단계의 경우"라고 함].
옹벽의 상하 방향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적층 원리는, 도8c에서의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적층에 그대로 작용한다.
이와 같은 축조가 반복됨으로써,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수직선(V)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의 대략 2배 정도의 기울기로써 기울여진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모두 앞쪽 방향을 향하며 아울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원호 기둥부(110)의 상기 중심(110-c)에 대하여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중심(100″-c)이 수직선(V)으로부터, 상기 "제3 단계의 경우"보다 대략 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 정도 더 기울어, 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예컨대 상기 3°]의 대략 3배 정도의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로써 뒤쪽 방향 즉 뒤 채움 토양쪽으로 기울여 옹벽을 축조하기 위하여는,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 중 제1 관통구멍(120-1)[예컨대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이 상기 3개의 관통구멍들인 경우에서는 이 3개의 관통구멍들 중 제1 관통구멍(120-1)]로부터 앞쪽으로 소정의 거리(S1)을 두고 형성된 제2 관통구멍(120-2)[예컨대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이 상기 3개의 관통구멍들인 경우에서는 이 3개의 관통구멍들 중 제2 관통구멍(120-2)]에,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하(上下)가 정상(正常)상태인 경우로서 그 앞뒤가 정상(正常)상태인 경우[도8d에서 도시된 경우임]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에 설치된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제1 조절핀(131)이 끼워져 설치되면[도8d에 도시된 경우임],
상기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에 끼워 고정된 상기 조절핀 부재(130)는 그 상기 중심(130-c)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원호 기둥부(110)의 횡단면에서의 원호의 상기 중심(100-c)에 위치하므로,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원호 기둥부(110)에 대하여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이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제1 관통구멍(120-1)[예컨대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이 상기 3개의 관통구멍들인 경우에서는 이 3개의 관통구멍들 중 제1 관통구멍(120-1)]에 제1 조절핀(131)이 앞뒤가 거꾸로 되어 끼워져 축조된 경우(즉, 상기 "제3 단계의 경우")보다, 상기 소정의 거리(S1)[즉, 상기 제1 관통구멍(120-1)과 상기 제2 관통구멍(120-2) 사이의 소정의 거리임] 만큼의 거리를 더 후진한 위치에서 접하며 쌓여 축조되어[도8d에 도시된 경우임], 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의 대략 3배 정도의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로 수직선(V)으로부터 뒤쪽 방향 즉 뒤 채움 토양쪽으로 기울어지며 축조됨이 가능하다[이하, 이 경우를 "제4 단계의 경우"라고 함].
옹벽의 상하 방향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적층 원리는, 도8d에서의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적층에 그대로 작용한다.
이와 같은 축조가 반복됨으로써,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수직선(V)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의 대략 3배 정도의 기울기로써 기울여진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모두 앞쪽 방향을 향하며 아울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원호 기둥부(110)의 상기 중심(110-c)에 대하여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중심(100″-c)이 수직선(V)으로부터, 상기 "제4 단계의 경우"보다 대략 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 정도 더 기울어, 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예컨대 상기 3°]의 대략 4배 정도의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로써 뒤쪽 방향 즉 뒤 채움 토양쪽으로 기울여 옹벽을 축조하기 위하여는,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제2 관통구멍(120-2)[예컨대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이 상기 3개의 관통구멍들인 경우에서는 이 3개의 관통구멍들 중 제2 관통구멍(120-2)]에,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하(上下)가 거꾸로 된 경우[도8e에서 도시된 경우임]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에 설치된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제2 조절핀(132)이 끼워져 설치되면[도8e에 도시된 경우임],
상기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에 끼워 고정된 상기 조절핀 부재(130)는 그 상기 중심(130-c)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원호 기둥부(110)의 횡단면에서의 원호의 상기 중심(110-c)에 위치하므로,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원호 기둥부(110)에 대하여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이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제2 관통구멍[예컨대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이 상기 3개의 관통구멍들인 경우에서는 이 3개의 관통구멍들 중 제1 관통구멍(120-1)]에 상기 제1 조절핀(131)이 끼워져 축조된 경우(즉, "제4 단계의 경우"임)보다, 상기 소정의 거리(L)만큼의 거리를 더 후진한 위치에서 접하며 쌓여 축조되어[도8e에 도시된 경우임], 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의 대략 4배 정도의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로 수직선(V)으로부터 뒤쪽 방향 즉 뒤 채움 토양쪽으로 기울어지며 축조됨이 가능하다[이하, 이 경우를 "제5 단계의 경우"라고 함].
옹벽의 상하 방향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적층 원리는, 도8e에서의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적층에 그대로 작용한다.
이와 같은 축조가 반복됨으로써,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수직선(V)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의 대략 4배 정도의 기울기로써 기울여진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앞쪽 방향을 향하며 아울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원호 기둥부(110)의 상기 중심(110-c)에 대하여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중심(100″-c)이 수직선(V)으로부터, 상기 "제5 단계의 경우"보다 대략 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 정도 더 기울어, 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예컨대 상기 3°]의 대략 5배 정도의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로써 뒤쪽 방향 즉 뒤 채움 토양쪽으로 기울여 옹벽을 축조하기 위하여는,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제2 관통구멍(120-2)[예컨대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이 상기 3개의 관통구멍들인 경우에서는 이 3개의 관통구멍들 중 제2 관통구멍(120-2)]에,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하(上下)가 정상(正常)상태이고 앞뒤가 거꾸로 된 상태인 경우[도8f에 도시된 경우임]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에 설치된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제1 조절핀(131)이 끼워져 설치되면[도8f에 도시된 경우임],
상기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에 끼워져 고정된 상기 조절핀 부재(130)는 그 상기 중심(130-c)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원호 기둥부(110)의 횡단면에서의 원호의 상기 중심(100-c)에 위치하므로,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원호 기둥부(110)에 대하여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가, 이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제2 관통구멍(120-2)[예컨대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이 상기 3개의 관통구멍들인 경우에서는 이 3개의 관통구멍들 중 제2 관통구멍(120-2)]에 상기 제2 조절핀(132)이 끼워져 축조된 경우[즉, "제5 단계의 경우"임]보다, 상기 소정의 간격(L)의 거리 만큼 더 후진한 위치에서 접하며 쌓여 축조되어[도8f에 도시된 경우임], 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의 대략 5배 정도의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로 수직선(V)으로부터 뒤쪽 방향 즉 뒤 채움 토양쪽으로 기울어지며 축조됨이 가능하다[이하, 이 경우를 "제6 단계의 경우"라고 함].
옹벽의 상하 방향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적층 원리는, 도8f에서의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적층에 그대로 작용한다.
이와 같은 축조가 반복됨으로써,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수직선(V)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의 대략 5배 정도의 기울기로써 기울여진옹벽의 축조가 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모두 앞쪽 방향을 향하며 아울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원호 기둥부(110)의 상기 중심(110-c)에 대하여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중심(100″-c)이 수직선(V)으로부터, 상기 "제6 단계의 경우"보다 대략 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 정도 더 기울어, 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예컨대 상기 3°]의 대략 6배 정도의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로써 뒤쪽 방향 즉 뒤 채움 토양쪽으로 기울여 옹벽을 축조하기 위하여는,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 중 제3 관통구멍(120-3)[예컨대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이 상기 3개의 관통구멍들인 경우에서는 이 3개의 관통구멍들 중 제3 관통구멍(120-3)]에,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하(上下)가 정상(正常)상태인 경우로서 그 앞뒤가 정상(正常)상태인 경우[도8g에 도시된 경우임]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에 설치된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기 제1 조절핀(131)이 끼워져 설치되면[도8g에 도시된 경우임],
상기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에 끼워 고정된 상기 조절핀 부재(130)는 그 상기 중심(130-c)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원호 기둥부(110)의 횡단면에서 원호의 상기 중심(110-c)에 위치하므로,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은,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원호 기둥부(110)에 대하여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이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제2 관통구멍(120-2)[예컨대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이 상기 3개의 관통구멍들인 경우에서는 이 3개의 관통구멍들 중 제2 관통구멍(120-2)]에 상기 제1 조절핀(131)이 앞뒤가 거꾸로 되어 끼워져 축조된 경우[상기 "제6 단계의 경우"임]보다, 상기 소정의 간격(S2)[즉, 상기 제2 관통구멍(120-2)과 상기 제3의 관통구멍(120-3) 사이의 소정의 거리임]의 거리 만큼 더 후진한 위치에서 접하며 쌓여 축조되어[도8g에 도시된 경우임], 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의 대략 6배 정도의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로 수직선(V)로부터 뒤쪽 방향 즉 뒤 채움 토양쪽으로 기울어지며 축조됨이 가능하다[이하, 이 경우를 "제7 단계의 경우"라고 함].
이와 같은 축조가 반복됨으로써,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수직선(V)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의 대략 6배 정도의 기울기로써 기울여진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8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모두 앞쪽 방향을 향하며 아울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원호 기둥부(110)의 상기 중심(110-c)에 대하여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중심(100″-c)이 수직선(V)으로부터, 상기 "제7 단계의 경우"보다 대략 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 정도 더 기울어, 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예컨대 상기 3°]의 대략 7배 정도의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로써 뒤쪽 방향 즉 뒤 채움 토양쪽으로 기울여 옹벽을 축조하기 위하여는,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제3 관통구멍(120-3)[예컨대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이 상기 3개의 관통구멍들인 경우에서는 이 3개의 관통구멍 중 제3 관통구멍(120-3)]에,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하(上下)가 거꾸로 된 상태인 경우[도8h에 도시된 경우임]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에 설치된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기 제2 조절핀(132)이 끼워져 설치되면[도8h에 도시된 경우임],
상기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에 끼워 고정된 상기 조절핀 부재(130)는 그 상기 중심(130-c)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원호 기둥부(110)의 횡단면에서의 원호의 상기 중심(100-c)에 위치하므로,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원호 기둥부(110)에 대하여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이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제3 관통구멍(120-3)[예컨대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이 상기 3개의 관통구멍들인 경우에서는 이 3개의 관통구멍들 중 제3 관통구멍(120-3)]에 상기 제1 조절핀(130)이 끼워져 축조된 경우[즉, 상기 "제7 단계의 경우"임]보다, 상기 소정의 간격(L)의 거리 만큼 더 후진한 위치에서 접하며 쌓여 축조되어[도8h에 도시된 경우임], 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의 대략 7배 정도의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로 수직선(V)으로부터 뒤쪽 방향 즉 뒤 채움 토양쪽으로 기울어지며 축조됨이 가능하다[이하, 이 경우를 "제8 단계의 경우"라고 함].
옹벽의 상하 방향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적층 원리는, 도8h에서의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적층에 그대로 작용한다.
이와 같은 축조가 반복됨으로써,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수직선(V)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의 대략 7배 정도의 기울기로써 기울여진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8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모두 앞쪽 방향을 향하며 아울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원호 기둥부(110)의 상기 중심(110-c)에 대하여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중심(100″-c)이 수직선(V)으로부터, 상기 "제8 단계의 경우"보다 대략 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 정도 더 기울어, 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예컨대 상기 3°]의 대략 8배 정도의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로써 뒤쪽 방향 즉 뒤 채움 토양쪽으로 기울여 옹벽을 축조하기 위하여는,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제3 관통구멍(120-3)[예컨대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이 상기 3개의 관통구멍들인 경우에서는 이 3개의 관통구멍들 중 제3 관통구멍(120-3)]에,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하(上下)가 정상(正常)상태이고 앞뒤가 거꾸로 된 상태인 경우[도8i에 도시된 경우임]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에 설치된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제1 조절핀(131)이 끼워져 설치되면[도8i에 도시된 경우임],
상기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에 끼워 고정된 상기 조절핀 부재(130)는 그 상기 중심(130-c)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원호 기둥부(110)의 횡단면에서의 원호의 상기 중심(110-c)에 위치하므로,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원호 기둥부(110)에 대하여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이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제3 관통구멍(120-3)[예컨대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이 상기 3개의 관통구멍들인 경우에서는 이 3개의 관통구멍들 중 제3 관통구멍(120-3)]에 상기 제2 조절핀(132)이 끼워져 축조된 경우[즉, 상기 "제8 단계의 경우"임]보다, 상기 소정의 간격(L)의 거리 만큼 더 후진한 위치에서 접하며 쌓여 축조되어[도8i에 도시된 경우임], 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의 대략 8배 정도의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로 수직선(V)으로부터 뒤쪽 방향 즉 뒤 채움 토양쪽으로 기울어지며 축조됨이 가능하다[이하, 이 경우를 "제9 단계의 경우"라고 함].
옹벽의 상하 방향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적층 원리는, 도8i에서의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적층에 그대로 작용한다.
이와 같은 축조가 반복됨으로써,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수직선(V)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의 대략 8배 정도의 기울기로써 기울여진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모두 앞쪽 방향을 향하며 아울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원호 기둥부(110)의 상기 중심(110-c)에 대하여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중심(100″-c)이 수직선(V)으로부터, 상기 단계적으로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로써 뒤쪽 방향 즉 뒤 채움 토양쪽으로 기울여 옹벽을 축조하기 위하여는,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제1 관통구멍(120-1)[예컨대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이 상기 3개의 관통구멍들인 경우에서는 제1 관통구멍(120-1)]에 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단계의 경우" 내지 "제3 단계의 경우"와 같은 작용 원리에 의하여 상기 수직 또는 상기 단계적으로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가 조절 가능하고,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제2 관통구멍(120-2)[예컨대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이 상기 3개의 관통구멍들인 경우에서는 제2 관통구멍(120-2)] 등의 제n 관통구멍(120-n)[n은 2 이상의 자연수임]에 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관통구멍(120-1)의 상기 중심(120-1-c)과 상기 제n 관통구멍(120-n)의 상기 중심(120-n-c) 사이의 거리[즉, 서로 인접한 2개의 관통구멍들(120)의 상기 중심들(120-c) 사이의 거리인 상기 소정의 거리(S)의 합, 예컨대 S1+ ‥‥‥ + (Sn-1)의 합]와 상기 소정의 거리(L)[즉, 상기 제1 조절핀(131)의 상기 중심(131-c)과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기 중심(130-c) 사이의 소정의 거리(L)임]의 적절한 조합이 되도록, 상기 제n 관통구멍(120-n)에,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하(上下)가 정상(正常)상태이고 앞뒤가 정상(正常)상태인 경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에 설치된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제1 조절핀(131)과,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하(上下)가 거꾸로 된 상태인 경우에서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제2 조절핀(132)과,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하(上下)가 정상(正常)상태이고 앞뒤가 거꾸로 된 상태인 경우에서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제1 조절핀(131) 중, 하나의 조절핀이 선택되어 끼워져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4 단계의 경우" 내지 "제9 단계의 경우"와 같은 작용 원리에 의하여,
상기 앞면부 블록(100)에 대하여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상기 제1 관통구멍(120-1)의 상기 중심(120-1-c)과 상기 제n 관통구멍(120-n)의 상기 중심(120-n-c) 사이의 거리[즉, 상기 소정의 거리(S)의 합, 예컨대 S1+ ‥‥‥ + (Sn-1)의 합]와 상기 소정의 거리(L) 에 의하여 조합된 거리에 따라 단계적으로 후진한 위치에서 접하며 쌓여 축조되어,상기 단계적으로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로 수직선(V)으로부터 뒤쪽 방향 즉 뒤 채움 토양쪽으로 기울어지며 축조됨이 가능하다[이하, 이 경우를 "제[3(n-1)+1] 및 [3(n-1)+2] 및 [3(n-1)+3] 단계의 경우"라고 함].
이와 같은 축조가 반복됨으로써,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의 축조에서수직선(V)으로부터 상기 단계적으로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로써 기울여진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일 실시예"에서 그 구체적 실시로서,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이 3개로서 제1 관통구멍(120-1)과 제2 관통구멍(120-2)와 제3 관통구멍(120-3)으로 이루어진 실시예의 경우에서, 상기 소정의 거리(S1)[즉, 제1 관통구멍(120-1)의 상기 중심(120-1-c)과 제2 관통구멍(120-2)의 그 중심 사이의 소정의 거리임]가 31.5mm이고, 상기 소정의 거리(S2)[즉, 제2 관통구멍(120-2)의 그 중심과 제3 관통구멍(120-3)의 그 중심 사이의 소정의 거리임]가 34.5mm이고, 상기 소정의 거리(L)[즉, 상기 제1 조절핀(131)의 상기 중심(131-c)와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기 중심(130-c) 사이의 소정의 거리임]가 11mm이고,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높이가 200mm인 경우에서의 상기 "제1 단계의 경우" 내지 "제9 단계의 경우"에서의 관련된 구체적 수치는 하기와 같다. 즉,
상기 "제1 단계의 경우"에서는, 앞면부 블록(100)의 상하 방향으로의 옹벽의 축조에서, 앞면부 블록(100)에 대한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후진하는 거리는 0mm[11mm+(-11)mm=0mm]이며, 기울기[즉, 후진 거리/높이]는 0%이며, 수직선(V)로부터 후진하는 각도(θ)는 0°이며, 대략적 표시각은 0°이다.
상기 "제2 단계의 경우"에서는, 앞면부 블록(100)의 상하 방향으로의 옹벽의 축조에서, 앞면부 블록(100)에 대한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후진하는 거리는 11mm[11mm+0mm=11mm]이며, 기울기[즉, 후진 거리/높이]는 5.5%이며, 수직선(V)로부터 후진하는 각도(θ)는 3.15°이며, 대략적 표시각은 3°[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임]이다.
상기 "제3 단계의 경우"에서는, 앞면부 블록(100)의 상하 방향으로의 옹벽의 축조에서, 앞면부 블록(100)에 대한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후진하는 거리는 22mm[11mm+11mm=22mm]이며, 기울기[즉, 후진 거리/높이]는 11%이며, 수직선(V)로부터 후진하는 각도(θ)는 6.28°이며, 대략적 표시각은 6°[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의 2배임]이다.
상기 "제4 단계의 경우"에서는, 앞면부 블록(100)의 상하 방향으로의 옹벽의 축조에서, 앞면부 블록(100)에 대한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후진하는 거리는 31.5mm[42.5mm+(-11)mm=31.5mm]이며, 기울기[즉, 후진 거리/높이]는 15.7%이며, 수직선(V)로부터 후진하는 각도(θ)는 8.95°이며, 대략적 표시각은 9°[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의 3배임]이다.
상기 "제5 단계의 경우"에서는, 앞면부 블록(100)의 상하 방향으로의 옹벽의 축조에서, 앞면부 블록(100)에 대한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후진하는 거리는 42.5mm[42.5mm+0mm=42.5mm]이며, 기울기[즉, 후진 거리/높이]는 21.3%이며, 수직선(V)로부터 후진하는 각도(θ)는 12°이며, 대략적 표시각은 12°[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의 4배임]이다.
상기 "제6 단계의 경우"에서는, 앞면부 블록(100)의 상하 방향으로의 옹벽의 축조에서, 앞면부 블록(100)에 대한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후진하는 거리는 53.5mm[42.5mm+11mm=53.5mm]이며, 기울기[즉, 후진 거리/높이]는 26.8%이며, 수직선(V)로부터 후진하는 각도(θ)는 15°이며, 대략적 표시각은 15°[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의 5배임]이다.
상기 "제7 단계의 경우"에서는, 앞면부 블록(100)의 상하 방향으로의 옹벽의 축조에서, 앞면부 블록(100)에 대한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후진하는 거리는 66mm[77mm+(-11)mm=66mm]이며, 기울기[즉, 후진 거리/높이]는 33%이며, 수직선(V)로부터 후진하는 각도(θ)는 18.26°이며, 대략적 표시각은 18°[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의 6배임]이다.
상기 "제8 단계의 경우"에서는, 앞면부 블록(100)의 상하 방향으로의 옹벽의 축조에서, 앞면부 블록(100)에 대한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후진하는 거리는 77mm[77mm+0mm=77mm]이며, 기울기[즉, 후진 거리/높이]는 38.5%이며, 수직선(V)로부터 후진하는 각도(θ)는 21.06°이며, 대략적 표시각은 21°[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의 7배임]이다.
상기 "제9 단계의 경우"에서는, 앞면부 블록(100)의 상하 방향으로의 옹벽의 축조에서, 앞면부 블록(100)에 대한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후진하는 거리는 88mm[77mm+11mm=88mm]이며, 기울기[즉, 후진 거리/높이]는 44%이며, 수직선(V)로부터 후진하는 각도(θ)는 23.7°이며, 대략적 표시각은 24°[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의 8배임]이다.
따라서,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쌓여 축조됨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 중 하나의 관통구멍(120)의 선택과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위치에 따른 제1 조절핀(131)과 제2 조절핀(132) 중 하나의 조절핀의선택의 조합에 의하여, 상기 "제1 단계의 경우" 내지 "제9 단계의 경우" 및 "제[3(n-1)+1] 및 [3(n-1)+2] 및 [3(n-1)+3] 단계의 경우"와 같이, 수직 및 상기 소정의 단위 각도의 대략 정수배의 정도의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의 선택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뒤 채움 토양의 유실 없이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의 다양한 기울기를 가진 직선(평면) 또는 곡선(곡면)의 형태의 윤곽으로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다.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의 축조에서의, 상기 단계적으로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로 조절 가능한 작용은 하기와 같다. 즉,
상기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는 그 상기 중심(中心)(135-c)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원호(圓弧) 기둥부(110)의 횡단면의 원호(圓弧)의 상기 중심(中心)(110-c)에 위치하며 상기 원호(圓弧) 기둥부(110)의 상면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조절핀 부재(130)가 이러한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에 끼워져 고정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일 실시예"의 상기 "제1 단계의 경우" 내지 "제9 단계의 구성" 및 "제[3(n-1)+1] 및 [3(n-1)+2] 및 [3(n-1)+3] 단계의 경우"와 같이 작용한다.
아울러 상기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는 그 상기 중심(135′-c)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중심(100-c)에 위치하며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면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조절핀 부재(130)가 이러한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에 끼워져 고정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에 끼워져 고정된 상기 조절핀 부재(130)는 그 상기 중심(130-c)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중심(100-c)에 위치하므로,
도15a 내지 도15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 실시예"의 상기 "제1 단계의 경우" 내지 상기 "제9 단계의 구성" 및 "제[3(n-1)+1] 및 [3(n-1)+2] 및 [3(n-1)+3] 단계의 경우"와 같은 작용 원리로 작용하여[다만 상기 "일 실시예"의 상기 "제1 단계의 경우" 내지 상기 "제9 단계의 경우" 관련 기재에서의 도8a 내지 도8i는 각각 도15a 내지 도15i로 대체되어 작용함],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중심(100-c)에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c)의 상기 중심(100″-c)이 위치하여 수직으로 쌓여 적층으로 축조되거나, 또는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중심(100-c)의 단계적으로 그 뒤쪽에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c)의 상기 중심(100″-c)이 위치하며, 수직선(V)으로부터 단계적으로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로써 뒤쪽 방향 즉 뒤 채움 토양쪽으로 기울어지며 쌓여 적층으로 축조됨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서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관련 구체적 수치는 상기 "일 실시예"의 상기 구체적 실시에 따른 상기 관련 구체적 수치와 같다.
따라서, 상기 "일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도, 뒤 채움 토양의 유실 없이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의 다양한 기울기를 가진 직선(평면) 또는 곡선(곡면)의 형태의 윤곽으로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상기 "일 실시예"에서의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원호 기둥부(110)의 횡단면의 원호의 상기 중심(110-c) 또는 단계적으로 그 뒤쪽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중심(100″-c)이 서로 접하며 적층으로 축조되는 경우에 더하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중심(100-c) 또는 단계적으로 그 뒤쪽과,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중심(100″-c)이 서로 접하며 적층으로 축조되는 경우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일 실시예"와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은, 상기 옹벽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을 그 뒤쪽 방향에서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뒤쪽부에는 앵커(anchor)턱 걸림 공간부(150)와 앵커(anchor)턱 걸림턱(151)이 형성되므로, 옹벽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은, 상기 앵커(anchor)턱 걸림 공간부(150)와 상기 앵커(anchor)턱 걸림턱(151)에 의하여, 용이하고 견고하게 상기 앵커 바(anchor bar)(200)가 그 앵커(anchor)턱(201)과 앵커(anchor)턱(201′) 중 한쪽의 앵커턱이 끼워져 걸려 체결되어, 상기 앵커 바(anchor bar)(200)에 의하여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뒤쪽 방향에서 지지된다.
아울러, 상기 앵커 바(anchor bar)(200)를 그 뒤쪽 방향에서 지지 가능하게, 상기 앵커 바(anchor bar)(200)의 상기 앵커(anchor)턱(201)과 상기 앵커(anchor)턱(201′) 중 한쪽의 앵커턱이 끼워져 걸려 체결되도록, 앵커(anchor)턱 걸림 공간부(301)(301′)와 앵커(anchor)턱 걸림턱(302)(302′)이 형성된 앵커조인트(anchor joint)(300)가 구비되므로, 옹벽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은 이러한 앵커 조인트(300)와 상기 앵커 바(200)에 의하여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뒤쪽 방향에서 지지되어, 뒤 채움 토양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보강한다.
더욱이, 상기 앵커 바(anchor bar)(200)와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앵커 바(anchor bar)(200′)는, 그 사이에 개재(介在)되는 상기 앵커 조인트(300)에 의한 연결 체결에 따라, 상기 앞뒤쪽으로 대칭되게 형성된 상기 앵커턱(201)(201′)의 작용과, 상기 앞뒤쪽으로 대칭되게 형성된 상기 앵커턱 걸림 공간부(301)(301′)와 상기 앵커턱 걸림턱(302)(302′)의 작용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반복되게 체결 가능하므로, 옹벽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은 이러한 앵커 조인트(300)와 상기 앵커 바(200)(200′)의 반복된 연속 체결에 의하여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그 뒤쪽 방향에서 지지되어, 뒤 채움 토양을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보강한다.
상기 앵커 바(200)의 상기 하부 지지대(203)에 의하여,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앵커 조인트(300)의 사이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앵커 바(200)의 상기 앵커턱(201)과 앵커턱(201′) 중 한쪽 앵커턱과 다른쪽 앵커턱이 각각 안정되게 상기 앵커턱 걸림 공간부(150)(301)[상기 반복된 연속 체결에서는 (150)(301)(301′)]에 상응하여 끼워져 체결 가능하다.
상기 앞면부 블록(100) 및 상기 앵커 바(200)에서의 각각의 그 안쪽의 토양 채움용 공간부(105)(205) 및, 상기 앵커턱 걸림 공간부(150)(301)(301′)에서의 상기 앵커 바(200)의 상기 앵커턱(201)(201′)의 체결 후 남는 공간에 토양이 채워지면, 그 토양의 중량과 그 저항력에 의하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은 그 자체의 중량에 더하여 더욱 안정된 축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앵커 조인트(300)는, 이 앵커 조인트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16a와 도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 가능부(309)가 형성되면 이에 의한 토양 채움용 공간부(305)가 형성되므로, 이 토양 채움용 공간부(305)에 토양이 채워지면 그 토양의 중량과 그 저항력에 의하여 더욱 안정된 축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옹벽의 축조에서 좌우 방향에서의 그 윤곽의 곡선(곡면)의 곡률에 따라 서로 겹치게 되는 경우에는 그 겹치는 부분의 상기 절단 가능부(309)를 절단하여 용이하게 상기 곡선(곡면)의 곡률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구성과 작용의 본 발명에 의하면, 옹벽의 축조에서 좌우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소정의 범위 내의 임의의 각도로 연결 설치함이 가능하며, 아울러 옹벽의 축조에서 상하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단계적인 소정의 범위 내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로 쌓아 설치함이 가능하고, 앞면부 블록이 그 뒤쪽 방향에서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 가능하며,
따라서, 뒤 채움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며 옹벽의 좌우 방향으로 다양한 형태인 직선(평면) 또는 곡선(곡면)의 형태의 윤곽의 옹벽의 축조가 용이하게 가능하며, 아울러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 다양한 기울기로 옹벽의 축조가 용이하게 가능하며, 그 축조가 용이하게 안정된 상태로서 유지됨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특히 옹벽의 뒷 공간의 폭이 협소하거나, 곡선(곡면) 부위가 많은 지역에서 그 효과가 더욱 크다.

Claims (4)

  1. 앞면부 블록(block)(100)과 앵커 바(anchor bar)(200)와 앵커 조인트(anchor joint)(300)가 구비되며,
    상기 앞면부 블록(100)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좌우 방향으로의 옹벽(擁壁)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이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앞면부 블록(100′)과는 소정의 범위 내의 임의의 각도로 접속되어 연속 설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일측(100-1)에는, 횡단면이 바깥쪽 방향으로 원호(圓弧) 형상인 원호(圓弧) 기둥부(110)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일측(100-1)의 앞뒤 방향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타측(100-2)에는,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앞면부 블록(100′)의 원호(圓弧) 기둥부(110′)가 상응하여 끼워져 상기 소정의 범위 내의 임의의 각도로 회전 가능 상태에서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형상으로서, 횡단면이 안쪽 방향으로 원호(圓弧) 형상인 원호(圓弧) 공간부(111)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타측(100-2)의 앞뒤 방향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하 방향으로의 옹벽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에 대하여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앞면부 블록(100″)이,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앞면부 블록(100″)의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 중 1개의 관통구멍(120)에 상응하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조절핀 부재(130)의 제1 조절핀(131) 및 제2 조절핀(132) 중 하나의 조절핀이 끼워져 설치됨에 따라 단계적으로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를 가지며, 상방(上方)으로 적층(積層)으로 쌓여 설치 가능하도록,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그 앞뒤 방향의 중심(中心)이며 아울러 상기 원호(圓弧) 기둥부(110)의 횡단면의 원호(圓弧)의 중심(中心)(110-c)과 상기 원호(圓弧) 공간부(111)의 횡단면의 원호(圓弧)의 중심(中心)(111-c) 사이의 중심(中心)인, 중심(中心)(100-c)으로부터 앞쪽으로,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앞뒤 방향 및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中心)(130-c)과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제1 조절핀(131)의 앞뒤 방향 및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中心)(131-c) 사이의 소정의 거리(L)와 같은 거리의 위치(P) 및, 이 위치(P)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앞면(100-3) 사이에는 앞뒤 방향으로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이 이 관통구멍들(120)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관통구멍들(120)의 앞뒤 방향과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들(120-c) 사이의 간격을, 이 간격에 따라 상기 단계적으로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소정의 거리(S)로 하며 수직으로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 중 제1 관통구멍(120-1)은 그 앞뒤 방향과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120-1-c)이 상기 위치(P)에 위치하며 수직으로 형성되며,
    아울러 상방(上方)에서 접(接)하여 쌓이는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 중 1개의 관통구멍(120)에 상응하여,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하(上下)가 정상(正常)상태의 경우로서 그 앞뒤가 정상(正常)상태의 경우와 그 앞뒤가 거꾸로 된 상태의 경우에는상기 제1 조절핀(131)의 상기 중심(131-c)의 위치와 상기 1개의 관통구멍(120)의 앞뒤 방향과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120-c)의 위치가 일치하게 상기 제1 조절핀(131)이 상기 1개의 관통구멍(120)에 끼워져 설치 가능하며, 아울러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하(上下)가 거꾸로 된 상태의 경우에는 상기 제2 조절핀(132)의 앞뒤 방향과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132-c)의 위치와 상기 1개의 관통구멍(120)의 상기 중심(120-c)의 위치가 일치하게 상기 제2 조절핀(132)이 상기 1개의 관통구멍(120)에 끼워져 설치 가능하여, 상기 단계적으로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조절핀(131)은 그 상기 중심(中心)(131-c)이 조절핀 부재(130)의 상기 중심(中心)(130-c)으로부터 소정의 거리(L)에 위치하며 조절핀 부재 몸통(130-1)의 일측(130-1-1)의 상면부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조절핀(132)은 그 앞뒤 방향 및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中心)(132-c)이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기 중심(中心)(130-c)에 위치하며 수직으로 상기 조절핀 부재 몸통(130-1)의 하면부에 형성된 조절핀 부재(130)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핀 부재(130)가, 그 상하(上下)가 상기 정상(正常)상태의 경우로서 그 앞뒤가 상기 정상(正常)상태의 경우와 그 앞뒤가 상기 거꾸로 된 상태의 경우 및 그 상하(上下)가 상기 거꾸로 된 상태의 경우에서 모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게 설치 가능하며 아울러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기 중심(中心)(130-c)이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의 앞뒤 방향과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中心)(135-c)에 위치함이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는 그 상기 중심(中心)(135-c)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원호(圓弧) 기둥부(110)의 상기중심(中心)(110-c)에 위치하며 상기 원호(圓弧) 기둥부(110)의 상면부에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옹벽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을 상기 앵커 바(anchor bar)(200)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뒤쪽 방향에서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뒤쪽부에는 앵커(anchor)턱 걸림 공간부(150)와 앵커(anchor)턱 걸림턱(151)이 형성되고,
    상기 앵커 바(anchor bar)(200)는,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앵커(anchor)턱 걸림 공간부(150)에 끼워져 상기 앵커(anchor)턱 걸림턱(151)에 걸려 체결되도록 된 앵커(anchor)턱(201)(201′)이 앞뒤쪽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앵커 조인트(anchor joint)(300)는,
    상기 앵커 바(anchor bar)(200)와 체결되어 이 앵커 바(anchor bar)(200)를 이 앵커 바(anchor bar)(200)의 뒤쪽 방향에서 지지 가능하며 아울러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앵커 바(anchor bar)(200′)와는 상기 앵커 조인트(anchor joint)(300)의 뒤쪽 방향으로 체결되어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앵커 바(anchor bar)(200′)에 의하여 상기 앵커 조인트(anchor joint)(300)의 뒤쪽 방향에서 지지 가능하게, 상기 앵커 바(anchor bar)(200)의 상기 앵커(anchor)턱(201)과 상기 앵커(anchor)턱(201′) 중 한쪽의 앵커(anchor)턱이 끼워져 걸려 체결되도록, 앞뒤쪽으로 대칭되게 앵커(anchor)턱 걸림 공간부(301)(301′)와 앵커(anchor)턱 걸림턱(302)(30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은 3개의 관통구멍들(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3. 앞면부 블록(block)(100)과 앵커 바(anchor bar)(200)와 앵커 조인트(anchor joint)(300)가 구비되며,
    상기 앞면부 블록(100)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좌우 방향으로의 옹벽(擁壁)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이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앞면부 블록(100′)과는 소정의 범위 내의 임의의 각도로 접속되어 연속 설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일측(100-1)에는, 횡단면이 바깥쪽 방향으로 원호(圓弧) 형상인 원호(圓弧) 기둥부(110)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일측(100-1)의 앞뒤 방향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타측(100-2)에는,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앞면부 블록(100′)의 원호(圓弧) 기둥부(110′)가 상응하여 끼워져 상기 소정의 범위 내의 임의의 각도로 회전 가능 상태에서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형상으로서, 횡단면이 안쪽 방향으로 원호(圓弧) 형상인 원호(圓弧) 공간부(111)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타측(100-2)의 앞뒤 방향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하 방향으로의 옹벽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에 대하여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앞면부 블록(100″)이, 상기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앞면부 블록(100″)의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 중 1개의 관통구멍(120)에 상응하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조절핀 부재(130)의 제1 조절핀(131) 및 제2 조절핀(132) 중 하나의 조절핀이 끼워져 설치됨에 따라 단계적으로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를 가지며, 상방(上方)으로 적층(積層)으로 쌓여 설치 가능하도록,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그 앞뒤 방향의 중심(中心)이며 아울러 상기 원호(圓弧) 기둥부(110)의 횡단면의 원호(圓弧)의 중심(中心)(110-c)과 상기 원호(圓弧) 공간부(111)의 횡단면의 원호(圓弧)의 중심(中心)(111-c) 사이의 중심(中心)인, 중심(中心)(100-c)으로부터 앞쪽으로,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앞뒤 방향 및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中心)(130-c)과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제1 조절핀(131)의 앞뒤 방향 및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中心)(131-c) 사이의 소정의 거리(L)와 같은 거리의 위치(P) 및, 이 위치(P)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앞면(100-3) 사이에는 앞뒤 방향으로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이 이 관통구멍들(120)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관통구멍들(120)의 앞뒤 방향과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들(120-c) 사이의 간격을, 이 간격에 따라 상기 단계적으로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소정의 거리(S)로 하며 수직으로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 중 제1 관통구멍(120-1)은 그 앞뒤 방향과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120-1-c)이 상기 위치(P)에 위치하며 수직으로 형성되며,
    아울러 상방(上方)에서 접(接)하여 쌓이는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 중 1개의 관통구멍(120)에 상응하여,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하(上下)가 정상(正常)상태의 경우로서 그 앞뒤가 정상(正常)상태의 경우와 그 앞뒤가 거꾸로 된 상태의 경우에는 상기 제1 조절핀(131)의 상기 중심(131-c)의 위치와 상기 1개의 관통구멍(120)의 앞뒤 방향과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120-c)의 위치가 일치하게 상기 제1 조절핀(131)이 상기 1개의 관통구멍(120)에 끼워져 설치 가능하며, 아울러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하(上下)가 거꾸로 된 상태의 경우에는 상기 제2 조절핀(132)의 앞뒤 방향과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132-c)의 위치와 상기 1개의 관통구멍(120)의 상기 중심(120-c)의 위치가 일치하게 상기 제2 조절핀(132)이 상기 1개의 관통구멍(120)에 끼워져 설치 가능하여, 상기 단계적으로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조절핀(131)은 그 상기 중심(中心)(131-c)이 조절핀 부재(130)의 상기 중심(中心)(130-c)으로부터 소정의 거리(L)에 위치하며 조절핀 부재 몸통(130-1)의 일측(130-1-1)의 상면부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조절핀(132)은 그 앞뒤 방향 및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中心)(132-c)이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기 중심(中心)(130-c)에 위치하며 수직으로 상기 조절핀 부재 몸통(130-1)의 하면부에 형성된 조절핀 부재(130)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핀 부재(130)가, 그 상하(上下)가 상기 정상(正常)상태의 경우로서 그 앞뒤가 상기 정상(正常)상태의 경우와 그 앞뒤가 상기 거꾸로 된 상태의 경우 및 그 상하(上下)가 상기 거꾸로 된 상태의 경우에서 모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게 설치 가능하며 아울러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상기 중심(中心)(130-c)이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의 앞뒤 방향과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中心)(135-c) 및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의 앞뒤 방향 및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中心)(135′-c) 중 하나의 중심(中心)에 위치함이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는 그 상기 중심(中心)(135-c)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원호(圓弧) 기둥부(110)의 상기 중심(中心)(110-c)에 위치하며 상기 원호(圓弧) 기둥부(110)의 상면부에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조절핀 부재 설치 공간부(135′)는 그 상기 중심(135′-c)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중심(100-c)에 위치하며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면부에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옹벽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을 상기 앵커 바(anchor bar)(200)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뒤쪽 방향에서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뒤쪽부에는 앵커(anchor)턱 걸림 공간부(150)와 앵커(anchor)턱 걸림턱(151)이 형성되고,
    상기 앵커 바(anchor bar)(200)는,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앵커(anchor)턱 걸림 공간부(150)에 끼워져 상기 앵커(anchor)턱 걸림턱(151)에 걸려 체결되도록 된 앵커(anchor)턱(201)(201′)이 앞뒤쪽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앵커 조인트(anchor joint)(300)는,
    상기 앵커 바(anchor bar)(200)와 체결되어 이 앵커 바(anchor bar)(200)를 이 앵커 바(anchor bar)(200)의 뒤쪽 방향에서 지지 가능하며 아울러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앵커 바(anchor bar)(200′)와는 상기 앵커 조인트(anchorjoint)(300)의 뒤쪽 방향으로 체결되어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앵커 바(anchor bar)(200′)에 의하여 상기 앵커 조인트(anchor joint)(300)의 뒤쪽 방향에서 지지 가능하게, 상기 앵커 바(anchor bar)(200)의 상기 앵커(anchor)턱(201)과 상기 앵커(anchor)턱(201′) 중 한쪽의 앵커(anchor)턱이 끼워져 걸려 체결되도록, 앞뒤쪽으로 대칭되게 앵커(anchor)턱 걸림 공간부(301)(301′)와 앵커(anchor)턱 걸림턱(302)(30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은 3개의 관통구멍들(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KR10-2001-0086922A 2001-12-28 2001-12-28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KR100443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922A KR100443141B1 (ko) 2001-12-28 2001-12-28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922A KR100443141B1 (ko) 2001-12-28 2001-12-28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852U Division KR200270231Y1 (ko) 2001-12-29 2001-12-29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648A KR20030056648A (ko) 2003-07-04
KR100443141B1 true KR100443141B1 (ko) 2004-08-09

Family

ID=32214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6922A KR100443141B1 (ko) 2001-12-28 2001-12-28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31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710B1 (ko) 2016-09-21 2017-03-24 주식회사 서호에코탑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20210112069A (ko) 2020-03-04 2021-09-14 주식회사 서호에코탑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488B1 (ko) * 2002-01-28 2004-08-16 한승호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KR102285814B1 (ko) * 2018-09-20 2021-08-04 주식회사 뉴콘 옹벽 블록
KR102135475B1 (ko) * 2019-12-09 2020-07-17 강병준 스토퍼가 구비된 옹벽 블록 및 그 시공 방법
KR102135476B1 (ko) * 2019-12-09 2020-07-17 강병준 스토퍼가 구비된 대형 옹벽 블록
KR102178399B1 (ko) * 2020-05-13 2020-11-13 한산콘크리트(주) 내진성능이 우수한 보강지지구조를 구비한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2205437B1 (ko) * 2020-07-16 2021-01-19 이현우 옹벽용 블록 조립구조물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6141U (ja) * 1982-05-20 1983-11-25 株式会社三友クリエ−ト工芸 プレハブ擁壁ブロツク
JPS6285547U (ko) * 1985-11-19 1987-06-01
JPH0441536A (ja) * 1990-06-07 1992-02-12 Showa Denko Kk 樹脂組成物
US5161918A (en) * 1991-01-30 1992-11-10 Wedgerock Corporation Set-back retaining wall and concrete block and offset pin therefor
JPH0571126A (ja) * 1991-03-20 1993-03-23 Taiyo Gijutsu Kaihatsu Kk 無土圧盛土工法及び盛土用ブロツク
US5350256A (en) * 1991-11-26 1994-09-27 Westblock Products, Inc. Interlocking retaining walls blocks and system
KR950014446U (ko) * 1993-11-29 1995-06-16 박윤희 축대용 블럭고정구
KR19990038627U (ko) * 1998-03-28 1999-10-25 오성훈 옹벽지지용 연결식 지지블럭
KR19990085113A (ko) * 1998-05-13 1999-12-06 이정수 보강토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
KR20010034773A (ko) * 1999-02-11 2001-04-25 도우저 윌리엄 옹벽 블록 시스템
KR20010039041A (ko) * 1999-10-28 2001-05-15 최충렬 조립식 옹벽 블록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6141U (ja) * 1982-05-20 1983-11-25 株式会社三友クリエ−ト工芸 プレハブ擁壁ブロツク
JPS6285547U (ko) * 1985-11-19 1987-06-01
JPH0441536A (ja) * 1990-06-07 1992-02-12 Showa Denko Kk 樹脂組成物
US5161918A (en) * 1991-01-30 1992-11-10 Wedgerock Corporation Set-back retaining wall and concrete block and offset pin therefor
JPH0571126A (ja) * 1991-03-20 1993-03-23 Taiyo Gijutsu Kaihatsu Kk 無土圧盛土工法及び盛土用ブロツク
US5350256A (en) * 1991-11-26 1994-09-27 Westblock Products, Inc. Interlocking retaining walls blocks and system
US5688078A (en) * 1991-11-26 1997-11-18 Westblock Products, Inc. Interlocking retaining walls blocks and system
KR950014446U (ko) * 1993-11-29 1995-06-16 박윤희 축대용 블럭고정구
KR19990038627U (ko) * 1998-03-28 1999-10-25 오성훈 옹벽지지용 연결식 지지블럭
KR19990085113A (ko) * 1998-05-13 1999-12-06 이정수 보강토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
KR20010034773A (ko) * 1999-02-11 2001-04-25 도우저 윌리엄 옹벽 블록 시스템
KR20010039041A (ko) * 1999-10-28 2001-05-15 최충렬 조립식 옹벽 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710B1 (ko) 2016-09-21 2017-03-24 주식회사 서호에코탑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20210112069A (ko) 2020-03-04 2021-09-14 주식회사 서호에코탑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648A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3141B1 (ko)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US5505034A (en) Retaining wall block
CA1331286C (en) Earth structures
US6490837B1 (en) Retaining wall system
US6854220B2 (en) Retaining wall system
JP3164495B2 (ja) もたれ式擁壁の築造法
KR200270231Y1 (ko)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KR101700830B1 (ko) 보강토 옹벽블록과 그리드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US5004376A (en) Facing system
KR101719710B1 (ko)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US5860771A (en) Retaining wall/tie-back/anchor assembly
KR20120049603A (ko) 트러스형 말뚝 배열 구조를 가지는 흙막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444488B1 (ko)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KR102544134B1 (ko) 상단 결합위치 및 연직 지지각도 가변구성을 가지는 흙막이 벽체의 레이커 지보구조물, 이에 의해 지지 보강된 흙막이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427763Y1 (ko) 보강토 블록
KR200352266Y1 (ko) 용벽용 블록 및 그 조립체
JPH0738394Y2 (ja) 構築用ブロック
JP3343658B2 (ja) 山留め用裏込め具
JP2000282490A (ja) 上下嵌合ブロック
JP2005002681A (ja) 鉄筋用スペーサ
JP2007170151A (ja) 擁壁用l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コンクリート基礎部材
KR200232404Y1 (ko) 옹벽 축조용 블록
JP4671367B2 (ja) 法面壁、及びこれの構築に用いる法面用ブロック、基礎用ブロック
KR200288506Y1 (ko) 하천의 중앙분리벽 및 양안 붕괴방지시설
KR200369421Y1 (ko) 옹벽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