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437B1 - 옹벽용 블록 조립구조물 - Google Patents

옹벽용 블록 조립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437B1
KR102205437B1 KR1020200088081A KR20200088081A KR102205437B1 KR 102205437 B1 KR102205437 B1 KR 102205437B1 KR 1020200088081 A KR1020200088081 A KR 1020200088081A KR 20200088081 A KR20200088081 A KR 20200088081A KR 102205437 B1 KR102205437 B1 KR 102205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entral
retaining wall
sides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우
신환숙
Original Assignee
이현우
신환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우, 신환숙 filed Critical 이현우
Priority to KR1020200088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4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가 열지어 축조되어 옹벽의 표면구조물을 형성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후방에 상하방향을 따라 후방삽입공(101)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삽입공(101)에서 후방을 향하여 후방연장공(102)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후방연장공(102)의 양측에 후방측벽(103)이 돌출형성된 전방블록(100); 전방에 상하방향을 따라 전방삽입공(201)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삽입공(201)에서 전방을 향하여 전방연장공(202)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전방연장공(202)의 양측에 전방측벽(203)이 돌출형성된 머리부(210)와, 배후토사에 매몰되어 지지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머리부(210)의 후방으로 연장형성된 후방연장부(220)를 구비한 후방블록(200); 전후방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전단이 상기 전방블록(100)의 후방삽입공(101)에 삽입되고, 후단이 상기 후방블록(200)의 전방삽입공(201)에 삽입됨과 아울러, 전방 양측에 상기 전방블록(100)의 후방측벽(103)이 삽입되도록 전방함몰부(301)가 형성되고, 후방 양측에 상기 후방블록(200)의 전방측벽(203)이 삽입되도록 후방함몰부(302)가 형성된 중간블록(300);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블록(100), 중간블록(300) 및 후방블록(200)의 상호 부등침하에 대응하도록, 상기 중간블록(300)의 전방함몰부(301) 및 후방함몰부(302)의 종단면은 하부의 폭에 비해 상부의 폭이 넓은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구조물을 제시함으로써, 옹벽 시공과정의 다짐작업이나 부등침하로 인한 후방블록의 파손을 방지하고, 후방블록의 설치위치를 쉽게 변경하여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옹벽용 블록 조립구조물{BLOCK ASSEMBLY FOR RETAING WALL}
본 발명은 건설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옹벽용 블록 조립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상호 구조가 상이한 전방블록과 후방블록의 조립체에 의해 옹벽의 표면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도 1,2는 종래기술의 도면으로서, 전방블록(10)의 삽입홈(11)에 후방블록(20)의 삽입부(21)가 끼움결합됨으로써, 배후토사의 토압에 의한 후방블록(20)의 지지력에 의해 전방블록(10)을 지지하는 옹벽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옹벽 시공과정의 다짐작업이나 부등침하로 인하여, 후방블록(20)의 전부 또는 일부가 하강거동을 일으키게 되는데, 후방블록(20)의 삽입부(21)가 전방블록(10)의 삽입홈(1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후방블록(20)에 크랙 등 손상이 발생한다.
둘째, 배후토사에 지장물이 매설되어 있거나, 타 구조물과의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후방블록(20)의 설치위치를 변경해야 함에 불구하고, 전방블록(10)과 힌지결합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러한 설치위치 변경을 할 수 없다.
위 종래기술의 도면부호는 당해 종래기술의 설명에 대하여만 한정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옹벽 시공과정의 다짐작업이나 부등침하로 인한 후방블록의 파손을 방지하고, 후방블록의 설치위치를 쉽게 변경하여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구조물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가 열지어 축조되어 옹벽의 표면구조물을 형성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구조물에 있어서, 후방에 상하방향을 따라 후방삽입공(101)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삽입공(101)에서 후방을 향하여 후방연장공(102)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후방연장공(102)의 양측에 후방측벽(103)이 돌출형성된 전방블록(100); 전방에 상하방향을 따라 전방삽입공(201)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삽입공(201)에서 전방을 향하여 전방연장공(202)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전방연장공(202)의 양측에 전방측벽(203)이 돌출형성된 머리부(210)와, 배후토사에 매몰되어 지지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머리부(210)의 후방으로 연장형성된 후방연장부(220)를 구비한 후방블록(200); 전후방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전단이 상기 전방블록(100)의 후방삽입공(101)에 삽입되고, 후단이 상기 후방블록(200)의 전방삽입공(201)에 삽입됨과 아울러, 전방 양측에 상기 전방블록(100)의 후방측벽(103)이 삽입되도록 전방함몰부(301)가 형성되고, 후방 양측에 상기 후방블록(200)의 전방측벽(203)이 삽입되도록 후방함몰부(302)가 형성된 중간블록(300);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블록(100), 중간블록(300) 및 후방블록(200)의 상호 부등침하에 대응하도록, 상기 중간블록(300)의 전방함몰부(301) 및 후방함몰부(302)의 종단면은 하부의 폭에 비해 상부의 폭이 넓은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전방함몰부(301) 및 후방함몰부(302)의 종단면은 역사다리꼴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블록(300)은, 상기 전방블록(100)의 후방삽입공(101)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전단에 양측으로 돌출형성된 전단돌출부(310); 상기 후방블록(200)의 전방삽입공(201)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후단에 양측으로 돌출형성된 후단돌출부(320); 중앙부에 양측으로 돌출형성된 중앙돌출부(330);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함몰부(301)는 상기 전단돌출부(310)와 중앙돌출부(330)의 사이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후방함몰부(302)는 상기 후단돌출부(320)와 중앙돌출부(330)의 사이영역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횡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전단돌출부(310)의 양측 후방에 형성된 전단후방턱부(311)와, 상기 중앙돌출부(330)의 양측 후방에 형성된 중앙후방턱부(331)는 내측 및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후단돌출부(320)의 양측 전방에 형성된 후단전방턱부(322)와, 상기 중앙돌출부(330)의 양측 전방에 형성된 중앙전방턱부(332)는 내측 및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블록(200)의 높이는 상기 전방블록(100)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중간블록(300)의 높이는 상기 후방블록(200)의 높이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블록(200)의 후방연장부(220)에는 좌우방향을 향해 복수의 날개부(221)가 돌출형성되고, 인접하여 설치되는 타 후방블록(200)의 후방연장부(220)의 날개부(221)와의 저촉을 방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날개부(221)는 좌측과 우측이 엇갈림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블록(100)은 엇갈림 쌓기식 축조 구조에 의해 벽체를 형성하고, 다수의 상기 전방블록(100) 중 상부 전방블록(100a)의 저면에 폭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저면 결합홈(110)에 결합하는 결합핀(500)의 하부의 삽입부(210)가 삽입되도록, 다수의 상기 전방블록(100) 중 하부 전방블록(100b)의 상면에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상면 결합홈(120) 및 상기 상면 결합홈(120)의 저면에 형성된 지지홈(121)에 결합하는 결합보조부재(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보조부재(400)는, 상기 결합핀(500)의 하부의 삽입부(21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420)이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된 몸통부(410); 상기 지지홈(121)에 삽입되도록, 상기 몸통부(410)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지지부(4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430)는 상기 몸통부(410)의 일단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통부(410)의 복수의 삽입홈(420) 중 일단에 위치한 삽입홈(421)은 상기 지지부(430)의 연직상방에 위치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블록(100)의 지지홈(121)은 상기 상면 결합홈(120)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전방블록(100)의 상면 결합홈(120)에 상기 결합보조부재(400)의 몸통부(410)가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410)의 타단이 전방을 향하거나, 후방을 향하도록 선택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옹벽 시공과정의 다짐작업이나 부등침하로 인한 후방블록의 파손을 방지하고, 후방블록의 설치위치를 쉽게 변경하여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구조물을 제시한다.
도 1,2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관한 측단면도.
도 3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은 블록 조립구조물의 평면도.
도 4는 블록 조립구조물의 종단면도.
도 5는 전방블록의 제1 실시예의 평면도.
도 6은 전방블록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후방블록의 제1 실시예의 평면도.
도 8은 후방블록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9는 중간블록의 제1 실시예의 평면도.
도 11 내지 16은 블록 조립구조물의 효과에 관한 개념도.
도 17,18은 전방블록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19는 전방블록의 제2 실시예의 평면도.
도 20은 결합보조부재의 측단면도.
도 21은 결합보조부재의 평면도.
도 22는 전방블록의 축조구조의 제1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23은 전방블록의 축조구조의 제2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24는 전방블록의 축조구조의 제3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25는 전방블록의 축조구조의 제4 실시예의 측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다수가 열지어 축조되어 옹벽의 표면구조물을 형성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전방블록(100), 후방블록(200), 중간블록(300)에 의해 구성된다.
전방블록(100)은 후방에 상하방향을 따라 후방삽입공(101)이 형성되고, 후방삽입공(101)에서 후방을 향하여 후방연장공(102)이 형성됨과 아울러, 후방연장공(102)의 양측에 후방측벽(103)이 돌출형성된다.(도 5,6)
후방블록(200)은 전방에 상하방향을 따라 전방삽입공(201)이 형성되고, 전방삽입공(201)에서 전방을 향하여 전방연장공(202)이 형성됨과 아울러, 전방연장공(202)의 양측에 전방측벽(203)이 돌출형성된 머리부(210)와, 배후토사에 매몰되어 지지력이 발생하도록 머리부(210)의 후방으로 연장형성된 후방연장부(220)를 구비한다.(도 7,8)
중간블록(300)은 전후방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전단이 전방블록(100)의 후방삽입공(101)에 삽입되고, 후단이 후방블록(200)의 전방삽입공(201)에 삽입됨과 아울러, 전방 양측에 전방블록(100)의 후방측벽(103)이 삽입되도록 전방함몰부(301)가 형성되고, 후방 양측에 후방블록(200)의 전방측벽(203)이 삽입되도록 후방함몰부(302)가 형성된다.(도 9,10)
여기서, 전방블록(100), 중간블록(300) 및 후방블록(200)의 상호 부등침하에 대응하도록, 중간블록(300)의 전방함몰부(301) 및 후방함몰부(302)의 종단면은 하부의 폭에 비해 상부의 폭이 넓은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4,10)
즉, 옹벽 시공과정의 다짐작업이나 부등침하로 인하여, 후방블록(200)의 전부 또는 일부가 침하 또는 융기거동을 일으키게 되는데, 본 발명의 경우 종래기술과 달리 별도의 중간블록(300)을 적용함과 아울러, 중간블록(300)의 전방함몰부(301) 및 후방함몰부(302)의 종단면이 하부의 폭에 비해 상부의 폭이 넓은 구조를 취하므로, 전방블록(100)이 고정되어 있더라도 후방블록(200)의 침하 또는 융기거동을 허용하게 되므로, 후방블록(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도 11 내지 16)
이를 위하여 구체적으로, 중간블록(300)의 전방함몰부(301) 및 후방함몰부(302)의 종단면은 역사다리꼴 구조로 형성된다.(도 10)
또한 중간블록(300)은, 전방블록(100)의 후방삽입공(101)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전단에 양측으로 돌출형성된 전단돌출부(310); 후방블록(200)의 전방삽입공(201)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후단에 양측으로 돌출형성된 후단돌출부(320); 중앙부에 양측으로 돌출형성된 중앙돌출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전방함몰부(301)는 전단돌출부(310)와 중앙돌출부(330)의 사이영역에 형성되고, 후방함몰부(302)는 후단돌출부(320)와 중앙돌출부(330)의 사이영역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중간블록(300)은 상술한 후방블록(200)의 침하 또는 융기거동을 허용하면서도, 이를 적정범위 내로 제한하므로, 옹벽 구조물 전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후방블록(200)의 후단의 침하(하향)거동 시에는, 후방블록(200)의 전방측벽(203)의 상단이 후방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전방측벽(203)의 후면이 중간블록(300)의 후단돌출부(320)의 후단전방턱부(322)에 의해 지지된다.(도 12)
후방블록(200)의 후단의 융기(상향)거동 시에는, 후방블록(200)의 전방측벽(203)의 상단이 전방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전방측벽(203)의 전면이 중간블록(300)의 중앙돌출부(330)의 중앙후방턱부(331)에 의해 지지된다.(도 13)
횡단면을 기준으로, 전단돌출부(310)의 양측 후방에 형성된 전단후방턱부(311)와, 중앙돌출부(330)의 양측 후방에 형성된 중앙후방턱부(331)는 내측 및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후단돌출부(320)의 양측 전방에 형성된 후단전방턱부(322)와, 중앙돌출부(330)의 양측 전방에 형성된 중앙전방턱부(332)는 내측 및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도 9)
이는 상술한 후방블록(200)의 침하 또는 융기거동 시, 중간블록(300)의 전단후방턱부(311) 및 중앙전방턱부(332)와 전방블록(100)의 후방측벽(103)의 저촉에 의한 손상, 또는 중간블록(300)의 중앙후방턱부(331) 및 후단전방턱부(322)와 후방블록(200)의 전방측벽(203)의 저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옹벽 시공과정의 다짐작업 중 중간블록(300), 후방블록(2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후방블록(200)의 높이는 전방블록(100)의 높이보다 낮고, 중간블록(300)의 높이는 후방블록(200)의 높이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도 4)
배후토사와의 마찰력 증대를 위하여, 후방블록(200)의 후방연장부(220)에는 좌우방향을 향해 복수의 날개부(221)가 돌출형성되는데, 우각부 등의 구간에서 인접하여 설치되는 타 후방블록(200)의 후방연장부(220)의 날개부(221)와의 저촉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날개부(221)는 좌측과 우측이 엇갈림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8)
전방블록(100)은 엇갈림 쌓기식 축조 구조에 의해 벽체(옹벽)를 형성한다.
전방블록(100)의 저면에는 폭방향을 따라 길게 저면 결합홈(110)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상면 결합홈(120)이 형성되며, 상면 결합홈(120)의 저면에는 지지홈(121)이 형성된다.(도 17 내지 19)
축조되는 다수의 전방블록(100) 중 상부 전방블록(100a)의 저면 결합홈(110)에 결합하는 결합핀(500)의 하부의 삽입부(210)가 삽입되도록, 다수의 전방블록(100) 중 하부 전방블록(100b)의 상면 결합홈(120) 및 지지홈(121)에는 결합보조부재(400)가 결합한다.
결합보조부재(400)는, 결합핀(500)의 하부의 삽입부(21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420)이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된 몸통부(410); 지지홈(121)에 삽입되도록, 몸통부(410)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지지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20,21)
결합핀(500), 결합보조부재(400)는 콘크리트 재질인 전방블록(100)과 달리 합성수지, 강재 등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제조의 편의성,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이는 복잡한 삽입홈 구조를 별도의 결합보조부재(400)에 의해 구현하고, 이를 전방블록(100)에 삽입하는 방식을 취하므로, 전체적으로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결합핀(500)이 복수의 삽입홈(420) 중 어디에 결합하는가에 따라 축조되는 블록들의 기울기가 쉽게 조정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도 22 내지 25).
결합보조부재(400)의 지지부(430)는 몸통부(410)의 일단에 형성되고, 전방블록(100)의 지지홈(121)이 상면 결합홈(12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방블록(100)의 상면 결합홈(120)에 결합보조부재(400)의 몸통부(410)가 결합함에 있어서, 몸통부(410)의 타단이 전방을 향하거나,(도 22,23) 후방을 향하도록(도 24,25) 선택이 가능하므로, 실제 결합보조부재(400)에 형성된 삽입홈(420)의 수(종류)보다 전방블록(100)의 상면에 더 많은 수(종류)의 삽입홈(420)이 형성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는 전방블록(100) 축조 구조의 기울기를 더욱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도록 한다.
몸통부(410)의 복수의 삽입홈(420) 중 일단에 위치한 삽입홈(421)이 지지부(430)의 연직상방에 위치하도록 하는 경우, 연직방향 기울기(0°)의 벽체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전방블록 101 : 후방삽입공
102 : 후방연장공 103 : 후방측벽
110 : 폭방향 결합홈 120 : 상면 결합홈
121 : 지지홈 200 : 후방블록
201 : 전방삽입공 202 : 전방연장공
203 : 전방측벽 210 : 머리부
220 : 후방연장부 221 : 날개부
300 : 중간블록 301 : 전방함몰부
302 : 후방함몰부 310 : 전단돌출부
311 : 전단후방턱부 320 : 후단돌출부
322 : 후단전방턱부 330 : 중앙돌출부
331 : 중앙후방턱부 332 : 중앙전방턱부
400 : 결합보조부재 410 : 몸통부
420 : 삽입홈 422 : 각도조절용 홈부
430 : 지지부 500 : 결합핀

Claims (10)

  1. 다수가 열지어 축조되어 옹벽의 표면구조물을 형성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구조물에 있어서,
    후방에 상하방향을 따라 후방삽입공(101)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삽입공(101)에서 후방을 향하여 후방연장공(102)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후방연장공(102)의 양측에 후방측벽(103)이 돌출형성된 전방블록(100);
    전방에 상하방향을 따라 전방삽입공(201)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삽입공(201)에서 전방을 향하여 전방연장공(202)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전방연장공(202)의 양측에 전방측벽(203)이 돌출형성된 머리부(210)와, 배후토사에 매몰되어 지지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머리부(210)의 후방으로 연장형성된 후방연장부(220)를 구비한 후방블록(200);
    전후방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전단이 상기 전방블록(100)의 후방삽입공(101)에 삽입되고, 후단이 상기 후방블록(200)의 전방삽입공(201)에 삽입됨과 아울러, 전방 양측에 상기 전방블록(100)의 후방측벽(103)이 삽입되도록 전방함몰부(301)가 형성되고, 후방 양측에 상기 후방블록(200)의 전방측벽(203)이 삽입되도록 후방함몰부(302)가 형성된 중간블록(300);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블록(100), 중간블록(300) 및 후방블록(200)의 상호 부등침하에 대응하도록, 상기 중간블록(300)의 전방함몰부(301) 및 후방함몰부(302)의 종단면은 하부의 폭에 비해 상부의 폭이 넓은 역사다리꼴 구조이고,
    상기 중간블록(300)은,
    상기 전방블록(100)의 후방삽입공(101)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전단에 양측으로 돌출형성된 전단돌출부(310);
    상기 후방블록(200)의 전방삽입공(201)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후단에 양측으로 돌출형성된 후단돌출부(320);
    중앙부에 양측으로 돌출형성된 중앙돌출부(330);
    상기 전단돌출부(310)의 양측 후방에 형성된 전단후방턱부(311);
    상기 중앙돌출부(330)의 양측 전방에 형성된 중앙전방턱부(332);
    상기 중앙돌출부(330)의 양측 후방에 형성된 중앙후방턱부(331);
    상기 후단돌출부(320)의 양측 전방에 형성된 후단전방턱부(322);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함몰부(301)는 상기 전단돌출부(310)와 중앙돌출부(330)의 사이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후방함몰부(302)는 상기 후단돌출부(320)와 중앙돌출부(330)의 사이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후방블록(200)의 후단의 침하거동 시, 상기 후방블록(200)의 전방측벽(203)의 상단이 후방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전방측벽(203)의 후면이 상기 중간블록(300)의 후단돌출부(320)의 후단전방턱부(322)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후방블록(200)의 후단의 융기거동 시, 상기 후방블록(200)의 전방측벽(203)의 상단이 전방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전방측벽(203)의 전면이 상기 중간블록(300)의 중앙돌출부(330)의 중앙후방턱부(331)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횡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전단후방턱부(311)와, 상기 중앙후방턱부(331)는 내측 및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후단전방턱부(322)와, 상기 중앙전방턱부(332)는 내측 및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블록(200)의 높이는 상기 전방블록(100)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중간블록(300)의 높이는 상기 후방블록(200)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블록(200)의 후방연장부(220)에는 좌우방향을 향해 복수의 날개부(221)가 돌출형성되고, 인접하여 설치되는 타 후방블록(200)의 후방연장부(220)의 날개부(221)와의 저촉을 방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날개부(221)는 좌측과 우측이 엇갈림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블록(100)은 엇갈림 쌓기식 축조 구조에 의해 벽체를 형성하고,
    다수의 상기 전방블록(100) 중 상부 전방블록(100a)의 저면에 폭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저면 결합홈(110)에 결합하는 결합핀(500)의 하부의 삽입부(210)가 삽입되도록, 다수의 상기 전방블록(100) 중 하부 전방블록(100b)의 상면에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상면 결합홈(120) 및 상기 상면 결합홈(120)의 저면에 형성된 지지홈(121)에 결합하는 결합보조부재(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보조부재(400)는,
    상기 결합핀(500)의 하부의 삽입부(21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420)이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된 몸통부(410);
    상기 지지홈(121)에 삽입되도록, 상기 몸통부(410)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지지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30)는 상기 몸통부(410)의 일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410)의 복수의 삽입홈(420) 중 일단에 위치한 삽입홈(421)은 상기 지지부(430)의 연직상방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구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블록(100)의 지지홈(121)은 상기 상면 결합홈(120)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전방블록(100)의 상면 결합홈(120)에 상기 결합보조부재(400)의 몸통부(410)가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410)의 타단이 전방을 향하거나, 후방을 향하도록 선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구조물.
KR1020200088081A 2020-07-16 2020-07-16 옹벽용 블록 조립구조물 KR102205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081A KR102205437B1 (ko) 2020-07-16 2020-07-16 옹벽용 블록 조립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081A KR102205437B1 (ko) 2020-07-16 2020-07-16 옹벽용 블록 조립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437B1 true KR102205437B1 (ko) 2021-01-19

Family

ID=74237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081A KR102205437B1 (ko) 2020-07-16 2020-07-16 옹벽용 블록 조립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4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627U (ko) * 1998-03-28 1999-10-25 오성훈 옹벽지지용 연결식 지지블럭
KR20030056648A (ko) * 2001-12-28 2003-07-04 주식회사 한설그린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KR101571556B1 (ko) * 2015-02-27 2015-11-24 트윈이엔지 주식회사 외장패널을 구비하는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23463B1 (ko) * 2020-01-22 2020-06-16 이현우 옹벽용 블록 조립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627U (ko) * 1998-03-28 1999-10-25 오성훈 옹벽지지용 연결식 지지블럭
KR20030056648A (ko) * 2001-12-28 2003-07-04 주식회사 한설그린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KR101571556B1 (ko) * 2015-02-27 2015-11-24 트윈이엔지 주식회사 외장패널을 구비하는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23463B1 (ko) * 2020-01-22 2020-06-16 이현우 옹벽용 블록 조립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0833B2 (en) Block with multifaceted bottom surface
JP4578681B2 (ja) 成形ブロック及び成形ブロック結合
US4813816A (en) Driven pile with transverse broadening in situ
US4781492A (en) Block for revetment
JP2019214929A (ja) 連結ブリック組立体及びその組立て方法
KR102205437B1 (ko) 옹벽용 블록 조립구조물
KR102123463B1 (ko) 옹벽용 블록 조립구조물
KR101278326B1 (ko) 조형석 및 그를 이용한 조형석 옹벽
KR200339448Y1 (ko) 보강토 옹벽용 블록
KR200238747Y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앵커 블록
CN212078004U (zh) 一种挡土墙
KR102072454B1 (ko) 조립형 옹벽 구조물
JP4912440B2 (ja) 緑化用擁壁ブロック
JP7089956B2 (ja) 擁壁用ブロックおよび擁壁
KR102267291B1 (ko)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20020008743A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JP3245826B2 (ja) 擁壁用ブロック及び擁壁
CN220013710U (zh) 一种护坡砌块及护坡挡墙
KR102239293B1 (ko) 결합보조부재 및 이를 이용한 경관 벽체용 블록의 결합구조물
KR102239292B1 (ko) 결합핀 및 이를 이용한 경관 벽체용 블록의 결합구조물
KR102052366B1 (ko) 계단블록 어셈블리
JP7137861B2 (ja) コンクリート壁体およ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0719281B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조립체
KR200392540Y1 (ko) 옹벽용 블록
KR0137620Y1 (ko) 옹벽 축조용 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