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069A -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 Google Patents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069A
KR20210112069A KR1020200027169A KR20200027169A KR20210112069A KR 20210112069 A KR20210112069 A KR 20210112069A KR 1020200027169 A KR1020200027169 A KR 1020200027169A KR 20200027169 A KR20200027169 A KR 20200027169A KR 20210112069 A KR20210112069 A KR 20210112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taining wall
insertion groove
rear block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곤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호에코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호에코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호에코탑
Priority to KR1020200027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2069A/ko
Publication of KR20210112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0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로 열을 형성하여 축조됨으로써 옹벽의 표면구조물을 형성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에 있어서, 후방에 상하방향을 따라 삽입홈이 형성된 전방블록과; 전방두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전후방향을 따라 이탈이 방지되도록 형성된 후방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후방블록과 인접하여 설치되는 타 후방블록의 사이에 토사충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전방블록의 폭에 비해 상기 후방블록의 폭이 좁게 형성되고, 상기 후방블록이 배후토사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전방블록의 길이에 비해 상기 후방블록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상기 후방블록의 상부에 성토된 토사의 다짐 작업시에 상기 후방블록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방블록의 높이에 비해 상기 후방블록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상기 후방블록이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인장력을 갖도록 하여 일정 정도 변형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를 제시함으로써, 후방블록을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하여 다짐작업 시 후방블록의 손상을 방지하고 후방블록의 중량을 줄임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전방블록과 후방블록의 결합부의 응력집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BLOCK ASSEMBLY AND RETAING WAL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에 관한 것이다.
상호 구조가 상이한 전방블록과 후방블록의 조립체에 의해 옹벽의 표면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도 1 내지 5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07195호(자체 지지구조를 가지는 옹벽블럭)에 관한 것이다.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자체 지지구조를 가지는 옹벽블럭은, 옹벽의 전방을 형성하는 전방블럭(100) 및 이 전방블럭(100)을 지지하도록 전방블럭(100)의 후방에 별도의 체결수단없이 상호간의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앵커블럭(200)을 구비한다. 상기 전방블럭(100)과 앵커블럭(200)의 높이는 동일하다.
상기 전방블럭(100)은 전방에서부터 옹벽의 앞면을 형성하는 전방벽부(110), 전방속채움공(120), 격벽(130), 후방속채움공(140) 및 후방벽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전방블럭(100)은 식생기반을 부여하기 위하여 전방벽부(110)가 다공성 콘크리트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나머지 부분(12,130,140,15)은 강도 유지를 위한 무공극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녹화용 옹벽블럭일 수 있다.
자체 지지구조를 가지는 옹벽블럭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전방블럭(100)과 앵커블럭(200)을 연결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전방블럭(100)과 앵커블럭(200)에는 서로 끼워지는 결합부가 형성된다. 예컨대, 앵커블럭(200)은 전방에서부터 결합부(210), 연결부(220) 및 지지부(230)가 대략 "T" 형태로 일체 형성될 수 있다. 앵커블럭(200)의 결합부(210)는 연결부(220)보다 좌우로 길게 돌출 형성된다. 전방블럭(100)에는 앵커블럭(200)의 결합부(210)가 끼워 고정되는 삽입부(160)가 구비된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 결합부(160)는 후방벽부(150)에 후방속채움공(140)과 연통되는 구멍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후방벽부(150)의 내부에 앵커블럭(200)의 결합부(210)의 형상을 따라 후방으로 개구된 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삽입부(160)는 앵커블럭(200)의 연결부(220)가 삽입될 수 있으면서 결합부(210)가 수평방향으로 빠지지 않을 정도의 폭으로 형성된다.
앵커블럭(200)이 보강토에 대한 저항력을 크게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앵커블럭(200)의 지지부(230)는 앵커블럭(200)의 다른 부분보다 좌우로 길게 돌출된다. 또한, 이 앵커블럭(200)의 지지부(230) 길이는 전방블럭(100)의 전방벽부(110)의 길이보다 짧아야만 한다. 그 이유는, 앵커블럭(200)의 지지부(230)의 길이가 전방블럭(100)의 길이보다 같거나 길면, 예컨대 옹벽을 곡선형으로 축조할 경우 앵커블럭(200)의 지지부(230)들끼리 간섭되므로 곡선형 옹벽을 축조할 수 없기 때문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70은 전방블럭(100)들이 다단으로 쌓일 때 겹쳐지는 전방블럭들이 서로 결속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앵커이다.
앵커블럭(200)의 결합부(210)가 전방블럭(100)의 후방벽부(150)에 걸려 전방블럭(100)과 앵커블럭(200)이 별도의 체결수단없이 결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앵커블럭(200)의 지지부(230)에 의해 옹벽블럭에 수평토압이 작용하여도 옹벽블럭이 전방으로 전도되지 않는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자체 지지구조를 가지는 옹벽블럭에 대하여 설명한다.
옹벽블럭은, 전방블럭(100)과 앵커블럭(200) 사이에 이들을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블럭(300)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 중계블럭(300)의 높이는 전방블럭(100) 및 앵커블럭(200)의 높이와 각각 동일하다.
상기 중계블럭(300)을 전방블럭(100)에 결합하기 위하여, 중계블럭(300)은 전방블럭(100)의 삽입부(160)에 삽입되는 결합부(310)를 가지는데, 이 결합부(310)는 전방블럭(100)의 삽입부(160)에서 빠지지 않을 정도의 폭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중계블럭(300)을 앵커블럭(200)에 결합하기 위하여, 중계블럭(300)은 앵커블럭(200)의 결합부(210)가 삽입되는 삽입부(320)가 구비된다.
중계블럭(300)은 결합부(310)와 삽입부(320)를 연결하는 연결부(330)를 갖는다. 중계블럭(300)은 전방블럭(100)과 앵커블럭(200)의 사이에 다수개가 개재될 수 있다. 즉,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중계블럭(300)들은 서로 연쇄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중계블럭(300)의 결합부(310)와 삽입부(320)는 인터록킹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축조되는 옹벽블럭의 열들 중 하부쪽 열로 갈수록 전방블럭(100)과 앵커블럭(200)과의 사이에 더 많은 수의 중계블럭(300)이 개재되고, 위쪽 열로 갈수록 적은 수의 중계블럭(300)이 개재되면,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운 철근콘크리트 옹벽과 유사한 자중식 앵커구조가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앵커수단이 없이 옹벽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계블럭(300)이 채용되면 실시예 1에 의한 옹벽블럭에 비하여 수평토압에 대한 저항력이 증대하므로 옹벽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6 내지 9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54766호(옹벽블럭)에 관한 것이다.
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블록은 전방에서 옹벽의 벽면을 형성하는 블록본체(1)와 상기 블록본체(1)의 뒤쪽에 결속된 상태로 옹벽 배후에 성토되는 토사에 매립되는 지지블록(2)으로 구성된다.
상기 블록본체(1)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각각 간격을 두고 그 내부에 흙이 충전되는 채움부(1a)를 형성하면서 일체화되어 전체 골격을 형성하는 전,후방벽(11,12)과 좌,우측벽(13,14), 상기 전,후방벽(11,12) 사이에서 좌,우측벽(13,14)을 연결하여 상기 전방벽(11) 및 좌,우측벽(13,14)과 함께 채움부(1a)을 형성하는 중간벽(15), 그리고, 상기 후방벽(12)의 좌,우 측단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형성된 지지부(16)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방벽(11)은 대략 원호형으로 만곡된 벽체로서 곡선 시공이 가능하도록 지지부(15)가 포함된 후방벽(12)에 비해 더 큰 좌우방향의 폭을 갖도록 성형된다. 좌,우측벽(13,14)은 전방벽(11) 양 끝단에서 연장되어 후방벽(12)에 연결되는 벽체로, 블록본체(1)를 곡선형으로 축조할 있도록 후방벽(12)측으로 가면서 안쪽으로 10∼45도 범위 내에서 비스듬히 성형된다. 그리고, 그 상면에는 중간쯤 위치에서 후방벽(12)으로 약간 치우친 위치에서 돌출하여 그 위단의 좌,우측에 나란히 뒤물림 적층되는 두 블록본체의 중간벽을 지지할 수 있는 앵커(17)가 성형된다. 중간벽(15)은 그 하단부가 아래 단에 축조된 블록본체의 앵커에 걸쳐져 블록본체(1)가 그 아랫단에 축조된 블록본체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벽체로서, 상기 좌,우측벽(13,14)을 연결하여 블록본체(1)의 전체 지지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겸한다.
위 구성 중 위단에 적층되는 블록본체의 중간벽을 지지하는 상기 앵커(17)의 경우에는 도 2와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후단부가 중간벽(15)의 전면 보다 뒤쪽에 위치하도록 성형되어 위단에 적층된 블록본체(1)를 중간벽(15) 전면과 앵커(17) 후단부 사이 거리(D) 만큼 뒤물림된 상태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16)는 상기 후방벽(12)에서 좌우측으로 연장 성형된 것으로서, 여기에는 이웃하고 다른 블록본체(1) 지지부(16)와의 사이에 끼워지는 지지블록(2) 선단의 결속부(21)가 걸치게 된다. 이에, 블록본체(1)를 지지부(16)에 대하여 결속하는 기능을 하며, 더불어 축조되기 전에는 운반할 때 손으로 잡고 들 수 있는 손잡이로 이용되기도 한다. 특히 이 지지부(16)에는 곡률이 큰 곡선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도록 그 선단 일부를 파단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파단홈(16a)이 상하방향으로 가로질러 형성된다.
지지블록(2)은 선단에 좌,우측으로 연장된 결속부(21)와 상기 결속부(21) 중앙에서 정후방으로 곧게 연장된 몸체(20)가 일체로 성형된 대략 T 자형 구조를 갖는 보강블록으로서, 상기 결속부(21)는 전방에 나란히 축조된 두 블록본체(1) 사이에 끼워져 그 두 블록본체(1)의 지지부(16)에 걸쳐지고 몸체(20)가 그 위에 성토되는 토사에 매립되어 토사로부터 받는 토압에 지지되면서 결속부(21) 좌,우에 지지부(16)가 걸친 두 블록본체(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지지부(16)의 몸체(20) 선단 좌,우측에는 그 선단의 결속부(21)가 상기 두 옹벽블록의 지지부(16)에 걸칠 때 상기 두 옹벽블록의 지지부 선단을 수용하여 두 용벽블록과 몸체(20)가 전후방향으로 상대유동하지 못하게 유동방지홈(20a)이 형성되며, 후단에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토압의 작용면적을 넓혀 토압에 의한 지지력을 증강할 수 있는 지지턱(22)이나, 또는, 토압 작용면적을 확대할 필요가 있거나 성토 면적인 넓은 경우에 다른 지지블록(2)을 직렬로 연결하기 위한 요철구조의 이음돌기(20b)가 선택적으로 성형된다. 또한, 선단의 결속부(21) 중앙에는 다른 지지블록의 후단에 결속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그 후단의 이음돌기(20b)에 대응하는 구조를 가진 이음홈(21a)이 형성된다.
전방에 블록본체(1)들을 그들의 지지부(16)들이 간격을 둔 상태에서 전방벽(11)의 측면이 서로 맞닿게 하면서 옹벽 선의 곡선 여부와 관계없이 사전 설계된 옹벽의 선을 따라 횡으로 일렬로 배열한 다음, 그 위에서, 블록본체(1)들 사이사이에 각 블록본체(1)들의 지지부(16)에 결속부(21)가 걸치도록 지지블록(2)들을 끼워 가조립한다. 이 때 옹벽 배후의 성토 면적이 넓은 경우에는 도 7,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블록본체(1)에 대하여 2 개 이상의 지지블록(2)을 연결할 수 있다. 이어 블록본체(1)의 배후에 지지블록(2)들이 매립되도록 토사를 성토하면 블록본체(1)들이 토압을 받는 지지블록(2)들에 의해 이웃한 블록본체(1)들끼리 서로 연계되어 지지되는 1 단(段)의 블록옹벽이 구축된다. 블록옹벽 1 단의 구축이 완료되면, 그 위에 다시 블록옹벽 1 단을 같은 방식으로 구축하게 되는데, 이 때는 블록본체(1)들을 뒤로 물려 그 중간벽(15)이 앞서 구축된 아랫단 블록본체(1)의 앵커(17)에 걸쳐지게 쌓음으로써 옹벽블록들이 윗단으로 가면서 윗단 옹벽블록이 그 아랫단 옹벽블록의 블록본체(1)에 대하여 상기 앵커(17)와 중간벽(15) 사이의 거리(D) 만큼씩 간격을 두고 뒷물림되는 옹벽을 축조할 수 있게 된다.
옹벽블록은, 블록본체(1)의 전방벽(11)의 폭이 후방벽(12) 폭 보다 크고 또 좌,우측벽(13,14)이 뒤쪽으로 가면서 중심측으로 비스듬히 성형되어 대략 꼭지 짤린 부채꼴 형상을 가지며 아울러 지지블록(2)들이 블록본체(1) 사이에서 블록본체(1)의 지지부(16)에 여유를 가지고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걸쳐짐에 따라, 곡선 시공이 가능하여, 만곡된 옹벽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0 내지 13은 한국등록특허 제10-0443141호(옹벽축조용 블록 세트)에 관한 것이다.
앞면부 블록(block)(100)과 앵커 바(anchor bar)(200)와 앵커 조인트(anchor joint)(300)가 구비되며, 상기 앞면부 블록(100)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좌우 방향으로의 옹벽(擁壁)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이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앞면부 블록(100′)과는 소정의 범위 내의 임의의 각도로 접속되어 연속 설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일측(100-1)에는, 횡단면이 바깥쪽 방향으로 원호(圓弧) 형상인 원호(圓弧) 기둥부(110)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일측(100-1)의 앞뒤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즉, 상기 원호(圓弧) 기둥부(110)가 그 횡단면에서의 원호의 중심(中心)(110-c)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일측(100-1)의 앞뒤 방향의 중심(中心)(100-1-c)에 위치하며] 수직으로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타 측(100-2)에는,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앞면부 블록(100′)의 원호(圓弧) 기둥부(110′)가 상응하여 끼워져 상기 소정의 범위 내의 임의의 각도로 회전 가능 상태에서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형상으로서, 횡단면이 안쪽 방향으로 원호(圓弧) 형상인 원호(圓弧) 공간부(111)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타측(100-2)의 앞뒤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며[즉, 상기 원호(圓弧) 공간부(111)가 그 횡단면에서의 원호의 중심(中心)(111-c)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타측(100-2)의 앞뒤 방향의 중심(中心)(100-2-c)에 위치하며] 수직으로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하 방향으로의 옹벽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에 대하여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앞면부 블록(100″)이, 상기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앞면부 블록(100″)의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 중 1개의 관통구멍(120)에 상응하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조절핀 부재(130)의 제1 조절핀(131) 및 제2 조절핀(132) 중 하나의 조절핀이 끼워져 설치됨에 따라 단계적으로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를 가지며, 상방(上方)으로 적층(積層)으로 쌓여 설치 가능하도록,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그 앞뒤 방향의 중심(中心)이며 아울러 상기 원호(圓弧) 기둥부(110)의 횡단면의 원호(圓弧)의 중심(中心)(110-c)과 상기 원호(圓弧) 공간부(111)의 횡단면의 원호(圓弧)의 중심(中心)(111-c) 사이의 중심(中心)인, 중심(中心)(100-c)으로부터 앞쪽으로,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앞뒤 방향 및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中心)(130-c)과 상기 조절핀 부재(130)의 제1 조절핀(131)의 앞뒤 방향 및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中心)(131-c) 사이의 소정의 거리(L)와 같은 거리의 위치(P) 및, 이 위치(P)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앞면(100-3) 사이에는 앞뒤 방향으로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이 이 관통구멍들(120)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관통구멍들(120)의 앞뒤 방향과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들(120-c) 사이의 간격을, 이 간격에 따라 상기 단계적으로 소정의 각도로서의 임의의 각도의 기울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소정의 거리(S)로 하며 수직으로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소정의 복수 개수의 관통구멍들(120) 중 제1 관통구멍(120-1)은 그 앞뒤 방향과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120-1-c)이 상기 위치(P)에 위치하며 수직으로 형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옹벽용 블록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안고 있었다.
첫째, 전방블록은 표면구조물을 형성하고, 후방블록은 배후토사에 매몰되어 지지구조를 형성하는데, 전방블록과 후방블록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배후토사의 다짐작업 시 후방블록이 손상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전방블록과 후방블록의 결합구조가 힌지결합구조를 취하지 않으므로, 횡방향 유해응력의 발생 시 전방블록과 후방블록의 결합부에 응력집중이 발생하여 파손이 발생한다는 점, 옹벽의 절곡부와 같이 블록조립체가 만곡진 구조로 배열되는 경우 전방블록과 후방블록의 결합각도의 변화가 불가능하여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좋지 못하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셋째, 후방블록이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다짐작업시에 후방블록의 깨짐으로 인한 손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후방블록의 무거운 중량으로 인하여 시공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위 종래기술의 도면부호는 당해 종래기술의 설명에 대하여만 한정되는 것으로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07195호(자체 지지구조를 가지는 옹벽블럭)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54766호(옹벽블럭) 한국등록특허 제10-0443141호(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후방블록을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하여 다짐작업 시 후방블록의 손상을 방지하고 후방블록의 중량을 줄임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전방블록과 후방블록의 결합부의 응력집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로 열을 형성하여 축조됨으로써 옹벽의 표면구조물을 형성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에 있어서, 후방에 상하방향을 따라 삽입홈이 형성된 전방블록과; 전방두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전후방향을 따라 이탈이 방지되도록 형성된 후방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후방블록과 인접하여 설치되는 타 후방블록의 사이에 토사충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전방블록의 폭에 비해 상기 후방블록의 폭이 좁게 형성되고, 상기 후방블록이 배후토사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전방블록의 길이에 비해 상기 후방블록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상기 후방블록의 상부에 성토된 토사의 다짐 작업시에 상기 후방블록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방블록의 높이에 비해 상기 후방블록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상기 후방블록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인장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일정 정도 변형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후방블록의 내부는 전체적으로 격자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전방블록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격자의 내부에 뒷채움의 골재나 흙이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격자의 외곽을 형성하는 격벽은 정육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벌집 구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자의 외곽을 형성하는 격벽은 직사각 형상 또는 정사각 형상 또는 직사각 형상과 정사각 형상의 조합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후방블록의 높이는 상기 전방블록의 높이의 절반이나 절반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블록에 대한 상기 후방블록의 힌지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홈 및 전방두부는 만곡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블록은, 후방에 트임부가 형성된 원형 단면 구조의 상기 삽입홈과; 내면이 상기 트임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벌어지도록, 상기 트임부의 양측에 형성된 제한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블록은, 상기 삽입홈에 대응하는 원형 단면 구조로 형성된 상기 전방두부와; 상기 전방두부의 후방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전방두부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 몸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두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블록의 힌지구동 시, 상기 몸통부의 양측면이 상기 제한벽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후방블록의 힌지구동의 범위가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후방블록의 몸통부의 후단에는 양측으로 돌출된 후단날개부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옹벽의 절곡부 시공 시, 상기 후방블록과 타 후방블록의 저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후단날개부의 양측을 절개하기 쉽도록, 상기 후단날개부의 양측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상기 후단날개부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된 절개용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후방블록의 몸통부의 하면에는 폭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마찰돌기 다수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옹벽용 블록 조립체를 이용한 옹벽으로서, 상기 전방블록의 상면 및 하면에는 각각 상면 핀삽입홈 및 하면 핀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블록은 상하방향을 따라 축조된 상층 전방블록과 하층 전방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상층 전방블록의 하면 핀삽입홈에 삽입되는 상부돌기와, 상기 하층 전방블록의 상면 핀삽입홈에 삽입되는 하부돌기를 구비한 핀부재를 포함하고, 옹벽 전면의 경사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돌기는 상기 상부돌기에 비해 전방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핀부재는, 완경사용 핀부재와, 상기 완경사용 핀부재에 비해, 상기 하부돌기의 전방돌출정도가 큰 급경사용 핀부재를 포함하고, 옹벽 전면의 완경사를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는, 축조되는 다수의 상기 전방블록의 상면 핀삽입홈 및 하면 핀삽입홈에 대하여 다수의 상기 완경사용 핀부재를 설치하고, 옹벽 전면의 급경사를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는, 축조되는 다수의 상기 전방블록의 상면 핀삽입홈 및 하면 핀삽입홈에 대하여 다수의 상기 급경사용 핀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핀부재는, 상기 상부돌기와, 상기 상부돌기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연장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하부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후방블록을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하여 다짐작업 시 후방블록의 손상을 방지하고 후방블록의 중량을 줄임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전방블록과 후방블록의 결합부의 응력집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5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07195호의 도면.
도 6 내지 9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54766호의 도면.
도 10 내지 13은 한국등록특허 제10-0443141호의 도면.
도 14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4는 전방블록의 사시도.
도 1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1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방블록의 사시도.
도 16은 블록 조립체의 사시도.
도 17은 옹벽의 사시도.
도 18은 전방블록의 제1 실시예의 평면도.
도 19는 블록 조립체의 제1 실시예의 평면도.
도 20은 블록 조립체의 제2 실시예의 평면도.
도 21은 옹벽의 평면도.
도 22는 후방블록의 저면도.
도 23은 핀부재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
도 24는 핀부재가 설치된 옹벽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
도 25는 핀부재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26은 핀부재가 설치된 옹벽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27은 핀부재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28은 핀부재가 설치된 옹벽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
도 29는 전방블록의 제2 실시예의 평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다수가 열지어 축조되어 옹벽의 표면구조물을 형성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후방에 상하방향을 따라 삽입홈(110)이 형성된 전방블록(100); 전방두부(210)가 삽입홈(110)에 삽입되어, 전후방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형성된 후방블록(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4,15a, 15b).
여기서, 후방블록(200)과 인접하여 설치되는 타 후방블록(200)의 사이에 토사충전부가 형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옹벽의 절곡부(코너부)의 시공 시 양 후방블록(200)의 저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방블록(100)의 폭에 비해 후방블록(200)의 폭이 좁게 형성되고, 후방블록(200)이 배후토사에 의해 지지되도록, 전방블록(100)의 길이에 비해 후방블록(200)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후방블록(200)의 상부에 성토된 토사의 다짐작업 시, 후방블록(200)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전방블록(100)의 높이에 비해 후방블록(200)의 높이가 낮게 형성된다(도 16,17,24).
따라서, 전방블록은 표면구조물을 형성하고, 후방블록은 배후토사에 매몰되어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블록 조립체에 있어서, 전방블록(100)의 높이에 비해 후방블록(200)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므로, 후방블록(200)의 상면이 토사에 매몰된 상태에서 배후토사의 다짐작업을 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은 후방블록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후방블록(200)의 높이가 너무 높으면 여전히 다짐작업에 의한 파손의 우려가 있고, 그 높이가 너무 낮으면 충분한 강도를 발휘하기 어려우므로, 후방블록(200)의 높이는 전방블록(100)의 높이의 절반이나 절반 보다 다소 낮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블록(100)에 대한 후방블록(200)의 힌지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홈(110) 및 전방두부(210)는 만곡진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도 18,19).
이는, 전방블록과 후방블록의 결합구조가 힌지결합구조를 취하므로, 횡방향 유해응력의 발생 시 전방블록과 후방블록의 결합부에 응력집중이 발생하지 않아 파손이 방지된다는 점, 옹벽의 절곡부와 같이 블록조립체가 만곡진 구조로 배열되는 경우라도 전방블록과 후방블록의 결합각도의 변화가 가능하여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점 등의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블록(100)은, 후방에 트임부(111)가 형성된 원형 단면 구조의 상기 삽입홈(110); 내면이 트임부(111)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벌어지도록, 트임부(111)의 양측에 형성된 제한벽부(120);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한다(도 18).
한편, 후방블록(200)은, 삽입홈(110)에 대응하는 원형 단면 구조로 형성된 전방두부(210)와, 전방두부(210)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전방두부(210)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 몸통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후방블록(200)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인장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일정 정도 변형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후방블록(200)이 종래의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된 경우 다짐 작업시에 외력으로 인하여 후방블록(200) 자체가 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방블록(100)에 대한 지지력이 저하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후방블록(200)을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하여 인장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일정 정도의 변형이 허용되도록 하여 후방블록(200)을 시공시에 바닥면에 작은 장애물이 존재하더라도 유연하게 시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후방블록(200)이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도록 하여 종래의 콘크리트 재질에 비하여 중량을 대폭 감소시킴으로써 운반이나 배치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후방블록(200)의 내부는 전체적으로 격자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전방블록(200)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격자의 내부에 뒷채움의 골재나 흙이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후방블록(200)의 내부를 격자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격자의 내부에 뒷채움의 골재나 흙이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후방블록(200)이 전방블록(100)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격자의 외곽을 형성하는 격벽(201)은 정육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벌집 구조를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상기 격자의 외곽을 형성하는 격벽(201)이 직사각 형상 또는 정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도 15a, 15b)
상기 격자의 외곽을 형성하는 격벽(201)이 정육각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후방블록(200)이 전방블록(100)을 지지시에 후방블록(200)에 작용하는 저항력이 후방블록(200)의 내부에서 균등하게 분배되도록 함으로써 후방블록(200)의 전방블록(100)에 대한 지지력과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격자의 외곽을 형성하는 격벽(201)이 직사각 또는 정사각 형상 및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격벽(201)이 정육각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보다 격벽(201)을 제조하기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전방두부(210)는 삽입홈(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방블록(200)의 힌지구동 시, 몸통부(220)의 양측면이 제한벽부(120)에 접촉됨으로써 후방블록(200)의 힌지구동의 범위가 제한되므로 안정적인 범위 내에서의 힌지구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한다(도 19).
전방블록(100)의 양측의 제한벽부(120) 내측에 양측의 고정벽부(130)가 형성되고, 양측의 고정벽부(130)의 내면 사이의 폭은 상기 후방블록(200)의 몸통부(220)의 폭과 일치하고, 제한벽부(120)와 고정벽부(130)는 일체로 형성되되, 현장에서 고정벽부(130)를 절개하여 제거하기 쉽도록, 제한벽부(120)와 고정벽부(130)의 경계부에는 홈 등의 구조를 취하는 절개허용부(131)가 허용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도 29).
이는 현장상황에 맞추어, 후방블록(200)의 힌지구동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고정벽부(130)가 형성된 상태의 전방블록(100)을 사용할 수 있고, 후방블록(200)의 힌지구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고정벽부(130)가 제거된 상태의 전방블록(100)을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다만, 옹벽의 절곡부 시공 시, 후방블록(200)의 후단날개부(230)와 타 후방블록(200)의 후단날개부(230)의 저촉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후단날개부(230)의 양측을 절개하기 쉽도록, 후단날개부(230)의 양측에 절개부(23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0, 21).
위 절개부(231)는, 후단날개부(23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절개용 홈부를 형성함으로써, 현장에서 쉽게 절개작업이 가능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블록(200)의 몸통부(220)의 후단에는 양측으로 돌출된 후단날개부(230)가 형성되고, 몸통부(220)의 중앙부에는 양측으로 돌출된 중앙날개부(240)가 형성되는 경우, 배후토사에 의한 블록 조립체의 지지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다만, 옹벽의 절곡부 시공시, 후방블록(200)의 후단날개부(230)와 타 후방블록(200)의 후단날개부(230)의 저촉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후단날개부(230)의 양측을 절개하기 쉽도록, 후단날개부(230)의 양측에 절개부(23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0,21).
위 절개부(231)는, 후단날개부(23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절개용 홈부를 형성함으로써, 현장에서 쉽게 절개작업이 가능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블록(200)의 몸통부(220)의 하면에 폭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마찰돌기(221) 다수가 돌출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경우, 블록 조립체가 전방을 향하여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추가된다(도 22).
이하, 도 23 내지 2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옹벽용 블록 조립체를 이용한 옹벽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옹벽은, 전방블록(100)의 상면 및 하면에는 각각 상면 핀삽입홈(121) 및 하면 핀삽입홈(122)이 형성되고, 전방블록(100)은 상하방향을 따라 축조된 상층 전방블록(100a)과 하층 전방블록(10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24).
상하 전방블록(100a,100b)의 위치 확보를 위하여, 상층 전방블록(100a)의 하면 핀삽입홈(122)에 삽입되는 상부돌기(310)와, 하층 전방블록(100b)의 상면 핀삽입홈(121)에 삽입되는 하부돌기(320)를 구비한 핀부재(300)를 사용한다(도 23).
옹벽 전면의 경사를 형성하기 위하여, 핀부재(300)의 하부돌기(320)는 상부돌기(310)에 비해 전방으로 돌출된 구조를 취한다(도 23).
이러한 구조의 핀부재(300)는, 하부돌기(320)를 하층 전방블록(100b)의 상면 핀삽입홈(121)에 삽입하고, 상부돌기(310)를 상층 전방블록(100a)의 하면 핀삽입홈(122)에 삽입하는 단순한 작업에 의해 정해진 옹벽 전면의 경사를 쉽게 형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하부돌기(320)의 전방으로 돌출된 정도가 다양한 종류의 핀부재(300a,300b,300c)를 사용하는 경우, 위 효과를 더욱 극대화하여 얻을 수 있다.
즉, 다수의 완경사용 핀부재(300a)와, 그 완경사용 핀부재(300a)에 비해, 하부돌기(320)의 전방돌출정도가 큰 다수의 급경사용 핀부재(300b)를 미리 준비한다(도 23,25).
옹벽 전면의 완경사를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는, 축조되는 다수의 전방블록(100)의 상면 핀삽입홈(121) 및 하면 핀삽입홈(122)에 대하여 다수의 완경사용 핀부재(300a)를 설치한다(도 23,24).
옹벽 전면의 급경사를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는, 축조되는 다수의 전방블록(100)의 상면 핀삽입홈(121) 및 하면 핀삽입홈(122)에 대하여 다수의 급경사용 핀부재(300b)를 설치한다(도 25,26).
옹벽 전면의 더욱 급격한 급경사를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는, 축조되는 다수의 전방블록(100)의 상면 핀삽입홈(121) 및 하면 핀삽입홈(122)에 대하여 다수의 급경사용 핀부재(300c)를 설치한다(도 27,28).
완경사용 핀부재(300a)의 경우에는 별문제가 없으나, 급경사용 핀부재(300b,300c)의 경우에는 상부돌기(310)와 하부돌기(320)의 이격 거리가 상당히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핀부재(300)는, 상부돌기(310); 상부돌기(310)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연장형성된 연결부(330); 연결부(330)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하부돌기(320);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100a,100b : 전방블록 110 : 삽입홈
111 : 트임부 120 : 제한벽부
121 : 상면 핀삽입홈 122 : 하면 핀삽입홈
130 : 고정벽부 131 : 절개허용부
200 : 후방블록 201 : 격벽
210 : 전방두부 220 : 몸통부
221 : 마찰돌기 230 : 후단날개부
231 : 절개부 240 : 중앙날개부
300,300a,300b,300c : 핀부재
310 : 상부돌기 320 : 하부돌기
330 : 연결부

Claims (11)

  1. 복수로 열을 형성하여 축조됨으로써 옹벽의 표면구조물을 형성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에 있어서,
    후방에 상하방향을 따라 삽입홈(110)이 형성된 전방블록(100)과;
    전방두부(210)가 상기 삽입홈(110)에 삽입되어, 전후방향을 따라 이탈이 방지되도록 형성된 후방블록(200)을 포함하되,
    상기 후방블록(200)과 인접하여 설치되는 타 후방블록(200)의 사이에 토사충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전방블록(100)의 폭에 비해 상기 후방블록(200)의 폭이 좁게 형성되고,
    상기 후방블록(200)이 배후토사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전방블록(100)의 길이에 비해 상기 후방블록(200)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상기 후방블록(200)의 상부에 성토된 토사의 다짐 작업시에 상기 후방블록(200)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방블록(100)의 높이에 비해 상기 후방블록(200)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상기 후방블록(200)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인장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일정 정도 변형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블록(200)의 내부는 전체적으로 격자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전방블록(200)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격자의 내부에 뒷채움의 골재나 흙이 충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의 외곽을 형성하는 격벽(201)은 정육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벌집 구조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의 외곽을 형성하는 격벽(201)은 직사각 형상 또는 정사각 형상 또는 직사각 형상과 정사각 형상의 조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블록(200)의 높이는 상기 전방블록(100)의 높이의 절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블록(100)에 대한 상기 후방블록(200)의 힌지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홈(110) 및 전방두부(210)는 만곡진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블록(100)은,
    후방에 트임부(111)가 형성된 원형 단면 구조의 상기 삽입홈(110);
    내면이 상기 트임부(111)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벌어지도록, 상기 트임부(111)의 양측에 형성된 제한벽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블록(200)은,
    상기 삽입홈(110)에 대응하는 원형 단면 구조로 형성된 상기 전방두부(210);
    상기 전방두부(210)의 후방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전방두부(210)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 몸통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두부(210)가 상기 삽입홈(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블록(200)의 힌지구동 시, 상기 몸통부(220)의 양측면이 상기 제한벽부(120)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후방블록(200)의 힌지구동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블록(200)의 몸통부(220)의 후단에는 양측으로 돌출된 후단날개부(2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옹벽용 블록 조립체를 이용한 옹벽으로서,
    상기 전방블록(100)의 상면 및 하면에는 각각 상면 핀삽입홈(121) 및 하면 핀삽입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블록(100)은 상하방향을 따라 축조된 상층 전방블록(100a)과 하층 전방블록(100b)을 포함하고,
    상기 상층 전방블록(100a)의 하면 핀삽입홈(122)에 삽입되는 상부돌기(310)와, 상기 하층 전방블록(100b)의 상면 핀삽입홈(121)에 삽입되는 하부돌기(320)를 구비한 핀부재(300)를 포함하고,
    옹벽 전면의 경사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돌기(320)는 상기 상부돌기(310)에 비해 전방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300)는,
    완경사용 핀부재(300a);
    상기 완경사용 핀부재(300a)에 비해, 상기 하부돌기(320)의 전방돌출정도가 큰 급경사용 핀부재(300b);를 포함하고,
    옹벽 전면의 완경사를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는, 축조되는 다수의 상기 전방블록(100)의 상면 핀삽입홈(121) 및 하면 핀삽입홈(122)에 대하여 다수의 상기 완경사용 핀부재(300a)를 설치하고,
    옹벽 전면의 급경사를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는, 축조되는 다수의 상기 전방블록(100)의 상면 핀삽입홈(121) 및 하면 핀삽입홈(122)에 대하여 다수의 상기 급경사용 핀부재(300b)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300)는,
    상기 상부돌기(310);
    상기 상부돌기(310)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연장형성된 연결부(330);
    상기 연결부(330)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하부돌기(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KR1020200027169A 2020-03-04 2020-03-04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202101120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169A KR20210112069A (ko) 2020-03-04 2020-03-04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169A KR20210112069A (ko) 2020-03-04 2020-03-04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069A true KR20210112069A (ko) 2021-09-14

Family

ID=77774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169A KR20210112069A (ko) 2020-03-04 2020-03-04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2069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195Y1 (ko) 2002-12-09 2003-03-12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자체 지지구조를 가지는 옹벽블럭
KR200354766Y1 (ko) 2004-03-16 2004-06-30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옹벽블럭
KR100443141B1 (ko) 2001-12-28 2004-08-09 주식회사 한설그린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141B1 (ko) 2001-12-28 2004-08-09 주식회사 한설그린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KR200307195Y1 (ko) 2002-12-09 2003-03-12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자체 지지구조를 가지는 옹벽블럭
KR200354766Y1 (ko) 2004-03-16 2004-06-30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옹벽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1130A (en) Building block
KR100674366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JP2001512796A (ja) 擁壁パネルを埋設メッシュに連結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873313B1 (ko) 기능별 전용 연결구를 이용하여 시공성과 시공 안정성을 증대한 조립식 지오셀 및 이의 시공 공법
KR20180014793A (ko) 연결형강을 이용한 이중벽체 구조물 제작방법 및 그 시공방법
CA2547129C (en) Window well
WO2004053239A1 (en) Block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prefabricated reinforced retaining wall constructed using the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fabricated reinforced retaining wall
KR101700830B1 (ko) 보강토 옹벽블록과 그리드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AU1738699A (en)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US20080244995A1 (en) Wall Assembly
KR101719710B1 (ko)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20210112069A (ko)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1127916B1 (ko) 수직 옹벽축조용 중공블록
KR101867512B1 (ko)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 보강 철근
KR200307195Y1 (ko) 자체 지지구조를 가지는 옹벽블럭
KR200238747Y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앵커 블록
KR101143498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AU2019101738B4 (en) A void forming module and system therefor
KR100794221B1 (ko) 친환경 식생옹벽
KR20220100121A (ko) 조립식 옹벽블럭 및 옹벽시공방법
US20090110491A1 (en)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KR100752688B1 (ko) 조립식 옹벽블록 및 조립식 옹벽블록 결합체
KR102135475B1 (ko) 스토퍼가 구비된 옹벽 블록 및 그 시공 방법
JP7456686B1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
KR102331654B1 (ko) 벽체용 블록의 핀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282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1120

Effective date: 2021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