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2384B1 -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2384B1
KR100442384B1 KR10-2001-0065452A KR20010065452A KR100442384B1 KR 100442384 B1 KR100442384 B1 KR 100442384B1 KR 20010065452 A KR20010065452 A KR 20010065452A KR 100442384 B1 KR100442384 B1 KR 100442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ting oil
reciprocating
suction
flow path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5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4497A (ko
Inventor
신동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5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2384B1/ko
Priority to US10/241,769 priority patent/US6802700B2/en
Priority to BRPI0203933-8A priority patent/BR0203933B1/pt
Priority to DE10246200A priority patent/DE10246200B4/de
Priority to CNB02148015XA priority patent/CN1231669C/zh
Priority to JP2002308396A priority patent/JP3984146B2/ja
Publication of KR20030034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4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3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04B35/045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using soleno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7/00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04B17/03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 F04B17/04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using soleno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2Lubr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흡입관과 토출관을 양측에 연통 설치하고 일정량의 윤활유를 채운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부 양측에 각각 설치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운동을 발생하는 복수 개의 왕복동식 모터와, 양쪽 왕복동식 모터 사이에 압축공간을 구비하여 장착하는 실린더와, 양쪽 왕복동식 모터의 가동자에 각각 결합하여 그 선단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실린더에 미끄러지게 삽입하는 복수 개의 피스톤과, 실린더의 압축공간이 흡입관과 토출관에 번갈아 연통하도록 상기 압축공간의 흡입측과 토출측을 교대로 개폐하는 흡입밸브 조립체 및 토출밸브 조립체와, 양쪽 왕복동식 모터의 가동자에 결합하여 왕복운동시 케이싱의 윤활유를 차주는 윤활유 차개를 포함함으로써, 압축기의 설치형태에 관계없이 케이싱 내의 윤활유를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의 미끄럼부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압축기의 윤활유 부족과 이로 인한 건마찰을 미연에 방지하여 압축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OIL SUPPLYING APPARATUS FOR OPPOSED RECIPROCATING COMPRESSOR}
본 발명은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축기를 횡형이나 종형으로 설치할 때 윤활유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Opposed Type Linear Compressor)는 한 개의 케이싱 내부에 두 개의 압축유니트를 각각의 왕복동식 모터에 결합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한 고효율 저진동 압축기이다.
이러한 종래의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흡입관(SP1)(SP2)과 한 개의 토출관(DP)을 구비한 케이싱(10)와, 케이싱(10)의 내부 양측에 각각 장착하는 제1 왕복동식 모터(21) 및 제2 왕복동식 모터(22)와, 양쪽 왕복동식 모터(21)(22)의 사이에 장착하는 실린더(30)와, 실린더(30)에 미끄러지게 삽입하고 상기한 각 왕복동식 모터(21)(22)의 가동자(21C)(22C)에 결합하여 압축공간(S)을 형성하는 제1 피스톤(41) 및 제2 피스톤(42)과, 양쪽 피스톤(41)(42)의 선단면에 장착하는 제1 흡입밸브(51) 및 제2 흡입밸브(52)와, 양쪽 피스톤(41)(42) 사이의 압축공간(S)을 개폐 가능하게 장착하는 토출밸브 조립체(60)와, 각 왕복동식 모터(21)(22)의 가동자(21C)(22C)와 각 피스톤(41)(42)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공진운동을 유도하는 제1 스프링 조립체(71) 및 제2 스프링 조립체(72)를 포함하고 있다.
왕복동식 모터(21)(22)는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케이싱(10)에 고정하도록 외측 고정자(21A)(22A) 및 내측 고정자(21B)(22B)와, 그 외측 고정자(21A)(22A)와 내측 고정자(21B)(22B) 사이에 개재하여 좌우로 직진 왕복운동을 하는 가동자(21C)(22C)로 이루어져 있다.
실린더(30)는 양쪽 피스톤(41)(42)이 미끄러지게 삽입하여 압축공간(S)을 이루도록 그 피스톤(41)(42)의 왕복방향으로 관통구멍(31)을 구비하는 환형 모양으로 형성하고, 실린더(30)의 외주면은 케이싱(10)의 중간부 내주면에 밀착하여 용접이나 볼팅으로 후조립하여 고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실린더(30)의 관통구멍(31) 중간부에는 압축공간(S)에 연통하여 실린더(30)의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토출구멍(32)을 형성하고 있다.
제1 피스톤(41)과 제2 피스톤(42)은 각각 제1 왕복동식 모터(21)와 제2 왕복동식 모터(22)의 각 가동자(21C)(22C)에 결합하고, 각각의 피스톤(41)(42) 중앙부에는 왕복방향으로 흡입유로(41a)(42a)를 관통 형성하고 있다.
제1 흡입밸브(51)와 제2 흡입밸브(52)는 각 피스톤(41)(42)의 흡입유로(41a)(42a)의 선단을 개폐하도록 그 선단면에 장착하고 있다.
토출밸브(60)는 실린더(30)의 토출구멍(32) 중간에 그 토출구멍(32)을 개폐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제1 스프링 조립체(71) 및 제2 스프링 조립체(72)는 각 왕복동식 모터(21)(22)의 가동자(21C)(22C)와 피스톤(41)(42)에 결합하는 제1 스프링 지지대(71A) 및 제2 스프링 지지대(72A)와, 각 스프링 지지대(71A)(72A)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수 개의 공진 스프링(71B)(72B)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왕복동식 압축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양쪽 왕복동식 모터(21)(22)에 전원을 인가하면, 각각의 피스톤(41)(42)이 실린더(30)의 내부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을 하고, 이와 동시에 냉매가스가 흡입관(SP1)(SP2)을 통해 케이싱(10)의 내부로 흡입되며, 이후 피스톤(41)(42)의 지속적인 왕복운동에 의해 냉매가스가 실린더(30)의 압축공간(S)으로 유입되어 압축되었다가 토출관(DP)을 통해 케이싱(10) 외부의 시스템으로 토출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에서는, 흡입관(SP1)(SP2)을 통해 케이싱(10)의 내부로 유입한 냉매가스가 그 케이싱(10)의 내부에 채워진 윤활유와 혼합하여 압축공간(S)으로 유입하면서 실린더(30)와 피스톤(41)(42) 사이의 미끄럼부 등으로 스며들어 윤활유를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었으나, 이는 흡입가스와 윤활유의 혼합이 원활하지 못하여 급유량이 충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설사 급유된다 하더라도 그 속도가 늦어 특히 압축기의 기동시 실린더(30)와 피스톤(41)(42) 사이에 윤활유 부족에 따른 건마모를 유발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가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로 윤활유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일례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일례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종형 설치시 윤활유 공급 과정을 보인 반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를 상세히 보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횡형 설치시 윤활유 공급 과정을 보인 반단면도.
도 6은 도 5의 "B"부를 상세히 보인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케이싱 121,122 : 제1,제2 왕복동식 모터
130 : 실린더 131 : 관통구멍
131a : 윤활유 구멍 132 : 흡입유로
133 : 토출유로 134,135 : 윤활유 유로
134a,135a : 윤활유 밸브 피난홈 141,142 : 제1,제2 피스톤
150 : 흡입밸브 조립체 151 : 흡입측 어댑터
151a : 가스통구 151b : 윤활유 통구
152 : 흡입밸브 160 : 토출밸브 조립체
161 : 토출측 어댑터 161a : 가스통구
162 : 토출밸브 163 : 밸브스프링
171,172 : 제1,제2 스프링 조립체 181,182 : 윤활유 차개
191,192 : 윤활유 밸브 S1 : 압축공간
S2 : 토출공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흡입관과 토출관을 양측에 연통 설치하고 일정량의 윤활유를 채운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부 양측에 각각 설치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운동을 발생하는 복수 개의 왕복동식 모터와, 양쪽 왕복동식 모터 사이에 장착하고 흡입관과 연통하는 흡입유로 및 토출관에 연통하는 토출유로를 형성하며 흡입유로와 토출유로 사이에 압축공간과 이 압축공간에 연통하도록 윤활유 유로를 형성하는 실린더와, 양쪽 왕복동식 모터의 가동자에 각각 결합하여 그 선단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실린더에 미끄러지게 삽입하는 복수 개의 피스톤과, 실린더의 압축공간이 흡입관과 토출관에 번갈아 연통하도록 상기 압축공간의 흡입측과 토출측을 교대로 개폐하는 흡입밸브 조립체 및 토출밸브 조립체와, 양쪽 왕복동식 모터의 가동자에 결합하여 왕복운동시 케이싱의 윤활유를 차주는 윤활유 차개와, 실린더의 윤활유 유로 중간에 장착하여 윤활유의 유동을 제어하는 윤활유 밸브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일례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종형 설치시 윤활유 공급 과정을 보인 반단면도이며, 도 4는 도 4의 "A"부를 상세히 보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횡형 설치시 윤활유 공급 과정을 보인 반단면도이며, 도 6은 도 6의 "B"부를 상세히 보인 개략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는, 흡입관(미도시)과 토출관(미도시)을 각각 연통 설치하고 일정량의 윤활유를 채운 케이싱(110)과, 케이싱(110)의 내부 양측에 각각 설치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운동을 발생하는 제1 왕복동식 모터(121) 및 제2 왕복동식 모터(122)와, 두 왕복동식 모터(121)(122)의 사이에 장착하는 실린더(130)와, 양쪽 왕복동식 모터(121)(122)의 가동자(121C)(122C)에 각각 결합하여 그 선단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실린더(130)에 미끄러지게 삽입하는 제1 피스톤(141) 및 제2 피스톤(142)과, 실린더(130)의 흡입유로(132)와 토출유로(133)에 각각 장착하는 흡입밸브 조립체(150) 및 토출밸브 조립체(160)와, 각 왕복동식 모터(121)(122)의 가동자(121C)(122C)와 각 피스톤(141)(142)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공진운동을 유도하는 제1 스프링 조립체(171) 및 제2 스프링 조립체(172)와, 양쪽 왕복동식 모터(121)(122)의 가동자(121C)(122C)에 결합하여 왕복운동시 케이싱(110)의 윤활유를 차주는 제1 윤활유 차개(181) 및 제2 윤활유 차개(182)와, 실린더(130)의 각 윤활유 유로(134)(135) 중간에 장착하여 윤활유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1 윤활유 밸브(191) 및 제2 윤활유 밸브(192)로 구성한다.
실린더(130)는 그 외주면이 케이싱(110)의 내주면에 밀착하도록 일체로 성형하거나 별도로 제작하여 케이싱(110)의 중간부 내주면에 용접이나 볼팅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또, 실린더(130)는 피스톤(141)(142)이 미끄러지게 삽입하여 압축공간(S1)을 이루도록 그 피스톤(141)(142)의 왕복방향으로 관통구멍(131)을 형성하고, 압축공간(S1)과 흡입관(미도시)을 연통하도록 흡입유로(132)를 형성하며, 압축공간(S1)과 토출관(미도시)을 연통하도록 토출유로(133)를 형성한다. 흡입유로(132)와 토출유로(133)는 그 안쪽 끝단이 서로 일직선상에서 마주보도록 180°위상차를 두고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흡입유로(132)와 토출유로(133) 사이에 압축공간(S1)을 형성하고, 흡입유로(132)를 통해 압축공간(S1)에 연통하도록 제1 윤활유 유로(134)와 제2 윤활유 유로(135)를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하며, 각 윤활유 유로(134)(135)의 중간에는 윤활유 밸브 피난홈(134a)(135a)을 서로 대칭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한다.
제1 윤활유 유로(134)와 제2 윤활유 유로(135)의 시작단에는 케이싱(10)의 윤활유를 각각의 윤활유 유로(134)(135)로 안내하도록 그 끝단이 윤활유에 잠기는 윤활유 안내관(P1)(P2)을 장착한다.
또, 상기 실린더(130)에는 윤활유의 유입과 회수를 위한 윤활유 구멍(131a)(131a)을 적어도 양쪽에 한 개 이상씩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밸브 조립체(150)는 흡입관(미도시)과 연통하는 가스통구(151a)를 구비하여 실린더의 흡입유로(132)에 압입하는 흡입측 어댑터(151)와, 흡입측 어댑터(151)의 선단면에 착탈하여 그 가스통구(151a)를 개폐하는 흡입밸브(152)로 이루어진다.
흡입측 어댑터(151)의 가스통구(151a) 직경은 흡입유로(132)의 안쪽 끝단 직경 보다 작게 형성하고, 가스통구(151a)의 양측으로 상기한 윤활유 유로(134)(135)와 연통하도록 윤활유 통구(151b)를 각각 형성한다.
흡입밸브(152)는 그 외주면에 수 개의 가스홈(미도시)을 구비한 원판형으로형성하되, 가스홈의 내주면을 잇는 직경이 가스통구(151a)의 직경 보다는 크나 흡입유로(132)의 안쪽 끝단 내경 보다는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출밸브 조립체(160)는 토출관(미도시)에 연통하도록 가스통구(161a)를 구비하여 실린더(130)의 토출유로(133)에 압입하는 토출측 어댑터(161)와, 토출측 어댑터(161)의 선단면에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토출유로(133)의 안쪽 끝단을 개폐하는 토출밸브(162)와, 토출밸브(162)의 압력배면과 토출측 어댑터(161)의 선단면 사이에 장착하여 상기한 토출밸브(162)를 지지하는 밸브스프링(163)으로 이루어진다.
토출측 어댑터(161)는 토출유로(133)의 안쪽 끝단에서 일정 간격만큼 두고 삽입하여 그 토출유로(133)의 안쪽에서 토출밸브(162)와 밸브스프링(163)을 수용하는 토출공간(S2)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출밸브(162)는 토출유로(133)에 삽입되는 압력면과 토출유로(133) 보다 넓은 압력배면 그리고 압력면과 압력배면 사이에 경사진 실링면을 구비하여 테이퍼진 절두원추형으로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토출유로(133)의 안쪽 끝단도 단차면을 구비하되 그 단차면의 모서리부위에는 상기한 토출밸브(162)의 실링면과 면접촉하도록 경사진 실링면을 형성한다.
제1 스프링 조립체(171) 및 제2 스프링 조립체(172)는 각 왕복동식 모터(121)(122)의 가동자(121C)(122C)와 피스톤(141)(142)에 결합하는 제1 스프링 지지대(171A) 및 제2 스프링 지지대(172A)와, 각 스프링 지지대(171A)(172A)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수 개의 공진 스프링(171B)(172B)으로 이루어진다.
제1 스프링 지지대(171A)와 제2 스프링 지지대(172A)는 그 끝단이케이싱(110)에 채운 윤활유에 잠기도록 형성하고, 각 스프링 지지대(171A)(172A)의 끝단에는 환형으로 형성하여 왕복운동시 케이싱(110)의 윤활유를 차주는 윤활유 차개(181)(182)를 장착한다.
제1 윤활유 밸브(191)와 제2 윤활유 밸브(192)는 압축기의 설치형태에 따라 각 윤활유 유로(134)(135)와 각 윤활유 밸브 피난홈(134a)(135a) 사이를 굴러 오가면서 상기한 각각의 윤활유 유로(134)(135)를 개폐하도록 구(求)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121A 및 122A는 외측 고정자, 121B 및 122B는 내측 고정자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갖는다.
즉, 제1 왕복동식 모터(121)와 제2 왕복동식 모터(122)에 전원을 인가하면, 제1 피스톤(131)과 제2 피스톤(132)이 실린더(1301)의 관통구멍(131)에서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을 하고, 이와 동시에 냉매가스가 흡입관(미도시)과 흡입측 어댑터(151)의 가스통구(151a) 그리고 실린더(130)의 흡입유로(132)를 통해 압축공간(S1)으로 유입되어 압축되다가 어느 시점에서 실린더(130)의 토출유로(133)와 토출측 어댑터(161)의 가스통구(161a) 그리고 토출관(미도시)을 통해 케이싱 외부의 시스템으로 토출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를 종형으로 설치하는 경우, 각 피스톤(141)(142)의 흡입행정시 냉매가스가 흡입관(미도시)과 흡입측 어댑터(151)의 가스통구(151a)를 통해 흡입되는 중에 생기는 압력 손실(suction loss)에 의해 케이싱(110) 내의 윤활유가 윤활유 안내관(P1)을 따라 흡상하여 실린더(130)의 윤활유 유로(134)와 흡입측 어댑터(151)의 윤활유 통구(151b)를 통해 흡입가스와 함께 압축공간(S1)으로 유입되고, 그 압축공간(S1)으로 유입된 윤활유의 일부가 실린더(130)의 내주면과 이에 대응하는 제1 피스톤(141) 및 제2 피스톤(142) 사이로 스며들어 실린더(130)와 피스톤(141)(142) 사이의 미끄럼부를 윤활시키게 되며, 이후 케이싱(110)의 바닥면으로 다시 낙하하여 고이게 된다.
이때, 도 4에서와 같이 제1 윤활유 밸브(191)는 제1 윤활유 유로(134)에서 제1 윤활유 밸브 피난홈(134a)으로 굴러 내려 상기한 제1 윤활유 유로(134)를 여는 반면 제2 윤활유 밸브(191)는 제1 윤활유 유로(135)를 차단하여 윤활유의 흡입압을 높임으로써 케이싱(110)의 바닥면에 채워진 윤활유가 제1 윤활유 안내관(P1)을 따라 압축공간(S1)으로 원활하게 유입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를 횡형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 왕복동식 모터(121)(122)의 가동자(121C)(122C)와 피스톤(141)(142)이 왕복운동을 하는 중에 각 스프링 지지대(171A)(172A)에 장착한 윤활유 차개(181)(182)가 바닥면에 고인 윤활유를 거칠게 휘젖고, 이 윤활유가 튀겨져 일부가 인접한 실린더(130)와 피스톤(141)(142)의 미끄럼부로 직접 스며들거나 또는 실린더(130)의 윤활유 구멍(131a)(131a)을 통해 상기한 미끄럼부로 유입되어 그 미끄럼부를 윤활한 다음에 다시 윤활유 구멍(131a)(131a)이나 미끄럼부를 통해 원활하게 회수된다.
이렇게 하여, 압축기를 종형으로 설치하든 횡형으로 설치하든 그 설치형태에관계없이 케이싱 내의 윤활유를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로 원활하게 공급함에 따라 압축기의 윤활유 부족과 이로 인한 건마찰을 미연에 방지하여 압축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는, 각 왕복동식 모터의 가동자에 결합한 스프링 지지대에 윤활유 차개를 장착하거나 실린더에 흡입유로와 연통하는 윤활유 유로를 형성하고 그 윤활유 유로에 윤활유 밸브를 장착함으로써, 압축기의 설치형태에 관계없이 케이싱 내의 윤활유를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의 미끄럼부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압축기의 윤활유 부족과 이로 인한 건마찰을 미연에 방지하여 압축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17)

  1. 삭제
  2. 흡입관과 토출관을 양측에 연통 설치하고 일정량의 윤활유를 채운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부 양측에 각각 설치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운동을 발생하는 복수 개의 왕복동식 모터와,
    양쪽 왕복동식 모터 사이에 압축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압축공간에 연통하여 윤활유의 유입과 회수를 위한 윤활유 구멍을 양쪽에 적어도 한 개 이상씩 형성하는 실린더와,
    양쪽 왕복동식 모터의 가동자에 각각 결합하여 그 선단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실린더에 미끄러지게 삽입하는 복수 개의 피스톤과,
    실린더의 압축공간이 흡입관과 토출관에 번갈아 연통하도록 상기 압축공간의 흡입측과 토출측을 교대로 개폐하는 흡입밸브 조립체 및 토출밸브 조립체와,
    양쪽 왕복동식 모터의 가동자에 결합하여 왕복운동시 케이싱의 윤활유를 차주는 윤활유 차개를 포함한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흡입관과 토출관을 양측에 연통 설치하고 일정량의 윤활유를 채운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부 양측에 각각 설치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운동을 발생하는 복수 개의 왕복동식 모터와,
    양쪽 왕복동식 모터 사이에 장착하고 흡입관과 연통하는 흡입유로 및 토출관에 연통하는 토출유로를 형성하며 흡입유로와 토출유로 사이에 압축공간과 이 압축공간에 연통하도록 윤활유 유로를 형성하고 이 윤활유 유로는 양쪽에서 흡입유로와 연통하여 함께 압축공간과 연통하도록 형성하는 실린더와,
    양쪽 왕복동식 모터의 가동자에 각각 결합하여 그 선단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실린더에 미끄러지게 삽입하는 복수 개의 피스톤과,
    실린더의 압축공간이 흡입관과 토출관에 번갈아 연통하도록 상기 압축공간의 흡입측과 토출측을 교대로 개폐하는 흡입밸브 조립체 및 토출밸브 조립체와,
    실린더의 윤활유 유로 중간에 장착하여 윤활유의 유동을 제어하는 윤활유 밸브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유로는 그 중간에 서로 대칭방향으로 경사진 윤활유 밸브 피난홈을 형성하고,
    상기 윤활유 밸브는 압축기의 설치형태에 따라 윤활유 유로와 윤활유 밸브 피난홈 사이를 오가면서 상기한 윤활유 유로를 개폐하도록 자유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유로의 시작단에 연통하여 케이싱의 윤활유를 윤활유 유로로 안내하도록 윤활유 안내관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밸브는 구(求)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
  10. 흡입관과 토출관을 양측에 연통 설치하고 일정량의 윤활유를 채운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부 양측에 각각 설치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운동을 발생하는 복수 개의 왕복동식 모터와,
    양쪽 왕복동식 모터 사이에 장착하고 흡입관과 연통하는 흡입유로 및 토출관에 연통하는 토출유로를 형성하며 흡입유로와 토출유로 사이에 압축공간과 이 압축공간에 연통하도록 윤활유 유로를 형성하는 실린더와,
    양쪽 왕복동식 모터의 가동자에 각각 결합하여 그 선단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실린더에 미끄러지게 삽입하는 복수 개의 피스톤과,
    실린더의 압축공간이 흡입관과 토출관에 번갈아 연통하도록 상기 압축공간의 흡입측과 토출측을 교대로 개폐하는 흡입밸브 조립체 및 토출밸브 조립체와,
    양쪽 왕복동식 모터의 가동자에 결합하여 왕복운동시 케이싱의 윤활유를 차주는 윤활유 차개와,
    실린더의 윤활유 유로 중간에 장착하여 윤활유의 유동을 제어하는 윤활유 밸브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는 윤활유의 유입과 회수를 위한 윤활유 구멍을 적어도 양쪽에 한 개 이상씩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왕복동식 모터의 가동자에는 스프링 지지대를 결합하여 각각의 공진스프링을 장착하되, 상기 스프링 지지대의 끝단이 케이싱의 윤활유에 잠기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차개는 환형으로 형성하여 스프링 지지대의 끝단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유로는 양쪽에서 흡입유로와 연통하여 함께 압축공간과 연통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유로는 그 중간에 서로 대칭방향으로 경사진 윤활유 밸브 피난홈을 형성하고,
    상기 윤활유 밸브는 압축기의 설치형태에 따라 윤활유 유로와 윤활유 밸브 피난홈 사이를 오가면서 상기한 윤활유 유로를 개폐하도록 자유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유로의 시작단에 연통하여 케이싱의 윤활유를 윤활유 유로로 안내하도록 윤활유 안내관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밸브는 구(求)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
KR10-2001-0065452A 2001-10-23 2001-10-23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 KR100442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5452A KR100442384B1 (ko) 2001-10-23 2001-10-23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
US10/241,769 US6802700B2 (en) 2001-10-23 2002-09-12 Oil supplying apparatus for opposed type reciprocating compressor
BRPI0203933-8A BR0203933B1 (pt) 2001-10-23 2002-09-26 aparelho abastecedor de óleo para compressor alternado do tipo oposto.
DE10246200A DE10246200B4 (de) 2001-10-23 2002-10-04 Ölzufuhrvorrichtung für einen Doppelkolbenverdichter
CNB02148015XA CN1231669C (zh) 2001-10-23 2002-10-22 用于对置型往复式压缩机的供油设备
JP2002308396A JP3984146B2 (ja) 2001-10-23 2002-10-23 対向型往復動式圧縮機の潤滑油供給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5452A KR100442384B1 (ko) 2001-10-23 2001-10-23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497A KR20030034497A (ko) 2003-05-09
KR100442384B1 true KR100442384B1 (ko) 2004-07-30

Family

ID=19715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5452A KR100442384B1 (ko) 2001-10-23 2001-10-23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02700B2 (ko)
JP (1) JP3984146B2 (ko)
KR (1) KR100442384B1 (ko)
CN (1) CN1231669C (ko)
BR (1) BR0203933B1 (ko)
DE (1) DE10246200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34296A1 (de) * 2007-07-24 2009-01-2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Linearverdichter
ITCO20120027A1 (it) 2012-05-16 2013-11-17 Nuovo Pignone Srl Attuatore elettromagnetico e dispositivo di conservazione d¿inerzia per un compressore alternativo
ITCO20120028A1 (it) * 2012-05-16 2013-11-17 Nuovo Pignone Srl Attuatore elettromagnetico per un compressore alternativo
CN103670998A (zh) * 2012-09-20 2014-03-26 艾伦·桑德 一种电机泵组件
US10852040B2 (en) * 2015-07-23 2020-12-01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 Linear expander and cryogenic refriger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05065230B (zh) * 2015-08-14 2018-08-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往复式压缩机及家用电器
CN105179198A (zh) * 2015-08-14 2015-12-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往复式压缩机及其使用方法
US10704635B2 (en) * 2016-07-20 2020-07-07 Silgan Containers Llc Spring deflection control assembly
DE102016010567A1 (de) * 2016-09-02 2018-03-08 Gea Bock Gmbh Verdichter
CN106571719A (zh) * 2016-10-31 2017-04-19 连伟 双激励模块化往复式永磁直线压缩机
CN106571730A (zh) * 2016-10-31 2017-04-19 连伟 模块化往复式永磁直线电机
CN106655702A (zh) * 2016-10-31 2017-05-10 连伟 高推力密度的双激励模块化往复式永磁直线电机
CN112555123B (zh) * 2020-12-10 2023-06-02 武汉高芯科技有限公司 可维持活塞平衡位置不变的直线压缩机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6790A (en) * 1913-07-23 1914-05-12 Stephen S Miles Gas-compressor-driving mechanism.
US1231900A (en) * 1917-01-22 1917-07-03 John D Jones Piston-rod.
US1766829A (en) * 1927-12-09 1930-06-24 Dunning Compressor Co Means for preventing oil from passing pistons
JPH08284832A (ja) * 1995-04-10 1996-10-29 Matsushita Refrig Co Ltd 振動式圧縮機
DE69617609T2 (de) * 1995-06-23 2002-08-08 Lg Electronics Inc Kühlmittelzufuhrgerät für linearen kompressor
DE69617173T2 (de) * 1995-06-23 2002-06-20 Lg Electronics Inc Ölzufuhrgerät für den reibungsteil eines linearen kompressors
US5693991A (en) * 1996-02-09 1997-12-02 Medis El Ltd. Synchronous twin reciprocating piston apparatus
JP2950809B1 (ja) * 1998-05-07 1999-09-20 エルジー電子株式会社 リニア圧縮機のオイル供給装置
DE19921293C2 (de) * 1998-05-12 2002-06-13 Lg Electronics Inc Ölzuleitungsvorrichtung für einen Linearkompressor
WO2000017585A1 (en) * 1998-09-21 2000-03-30 Airxcel, Inc. Single and double-ended compress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14244A (zh) 2003-04-30
BR0203933B1 (pt) 2010-11-03
US6802700B2 (en) 2004-10-12
JP2003139058A (ja) 2003-05-14
DE10246200A1 (de) 2003-05-08
US20030077192A1 (en) 2003-04-24
DE10246200B4 (de) 2009-07-09
BR0203933A (pt) 2003-09-16
JP3984146B2 (ja) 2007-10-03
CN1231669C (zh) 2005-12-14
KR20030034497A (ko) 200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2384B1 (ko)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
US3146940A (en) Reverse leakage seal for reciprocating parts
US3955899A (en) Apparatus for lubricating a swash plate compressor
KR100851368B1 (ko) 선형 모터를 구비한 왕복동 압축기용 피스톤 윤활 시스템
CN1093918C (zh) 线性压缩机的油路打开和关闭系统
US3713513A (en) Crankcase evacuation and oil return system
CN109162898B (zh) 一种压缩机及制冷设备
CN109058078B (zh) 一种压缩机及制冷设备
KR20030085070A (ko) 왕복식 밀봉 압축기용 오일 급송 시스템
CN1266381C (zh) 用于往复运动密封压缩机的油泵系统
KR100446769B1 (ko)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
KR100469454B1 (ko)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
WO2004005713A1 (en) Piston for a hermetic compressor
KR100253239B1 (ko) 압축기의 오일 입출구조
CN110691904B (zh) 用于内燃机活塞发动机的高压燃料泵组件
KR100414120B1 (ko)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
RU2686536C1 (ru) Гибридная машина объемного действия с тронковым поршнем
KR100963987B1 (ko) 사판식 압축기
KR100421616B1 (ko) 왕복동식 압축기
JP2024517636A (ja) 圧縮装置及びそのような装置を含む充填ステーション
KR100620046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스프링 고정구조
KR100741681B1 (ko) 압축기의 오일분리구조
KR100677292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00652598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
KR200163923Y1 (ko) 압축기의 압축기구부 윤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