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2173B1 - 전화장치 - Google Patents

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2173B1
KR100442173B1 KR1019970018118A KR19970018118A KR100442173B1 KR 100442173 B1 KR100442173 B1 KR 100442173B1 KR 1019970018118 A KR1019970018118 A KR 1019970018118A KR 19970018118 A KR19970018118 A KR 19970018118A KR 100442173 B1 KR100442173 B1 KR 100442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vibration generator
main body
signal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8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2999A (ko
Inventor
세이이치로 후쿠시마
Original Assignee
세이이치로 후쿠시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이치로 후쿠시마 filed Critical 세이이치로 후쿠시마
Priority to KR1019970018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2173B1/ko
Publication of KR19980082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2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전화장치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진동발생기를 몸에 지닌 사용자가, 휴대전화기 본체로 부터 소정거리 이상 떨어진 장소에 있는 경우의 불편을 해소하는 것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무선에 의하여 통화 가능한 전화기 본체와, 그 전화기 본체와 분리되고, 그 전화기 본체로 부터의 무선에 의한 호출신호를 받아서 진동하는 진동발생기로 이루어지는 전화장치로서, 전화기 본체는 진동발생기가, 소정의 교신범위 내에 들어가 있음을 무선에 의한 교신으로 인식하는 인식수단과, 그 인식수단에 의하여 그 진동발생기가 소정의 교신범위 내에 들어가 있음을 인식할 수 없을 때, 그 전화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의 동작을 금지하는 금지수단을 구비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무선에 의하여 통화가 가능한 전화장치에 사용됨.

Description

전화장치
본 발명은, 무선에 의하여 통화가 가능한 전화장치, 상세히는 착신이 있었을 경우에 진동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착신을 알림으로써, 호출을 하는 수단을 가지는 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전화장치, 이른바 휴대전화기는, 개인적인 사용 용도에 사용되는 것으로서는 유용한 것이지만, 전화기 본체의 진동에 의한 호출수단이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전화기 본체를 몸에 지니고 있지 않은 경우, 착신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가 없다. 이에 대하여, 전화기 본체와 분리되고, 그 전화기 본체로 부터의 무선에 의한 호출신호를 받아서 진동하는, 진동발생기를 병용한 전화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전화장치는, 전화기 본체측에서 진동에 의한 호출을 하는 모드를 선택하여 두면, 전화기 본체를 몸에 지니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진동발생기를 몸에 지니고만 있으면 착신을 알 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전화기라도, 본인이 휴대전화기 본체가 놓여있는 장소에서 떨어져 있으면, 그 사이의 착신을 알 수가 없어 여러가지 애로가 발생할 수 있었다. 예로서, 본인 부재시의 착신에 대하여 타인이 착신을 알고, 휴대전화기를 조작하여 본인 대신에 전화 응답이 가능하므로, 본인으로서는 개인적인 용무가 타인에게 알려지고 만다는 문제가 있었다. 마찬가지로, 휴대전화기를 타인이 조작하여, 단축다이얼 등 개인적인 정보를 판독해 내어 버리는 등의 염려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사전에 등록한 번호(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으면, 착신을 포함해서 일체의 조작을 받아 들이지 않는다는 기능(이른 바 키록크)을 가지는 것도 제안되고 있으나, 자리를 뜰 때마다 일일이 키록크를 하거나,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으면 안되어, 번잡스러운 조작이 필요하였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진동발생기를 몸에 지닌 본인이, 휴대전화기 본체로 부터 소정거리 이상 떨어진 장소에 있는 경우의 불편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개략구성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처리 플로우챠트,
제 3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진동발생기(50) 검출처리의 플로우챠트,
제 4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금지처리의 플로우챠트,
제 5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금지처리의 제 2 형태에 관한 플로우챠트,
제 6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금지처리의 제 2 형태에 관한 플로우챠트,
제 7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개략구성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의 금지처리의 플로우챠트,
제 9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개략구성도,
제 10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의 금지처리의 플로우챠트,
제 11 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개략구성도,
제 12 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서의 진동발생기 검출처리의 플로우챠트,
제 13 도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서의 처리의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화장치 20 : 전화기 본체
22 : 송수신부 24 : 발착신제어부
26 : 음성출력부 28 : 제어부
30 : 검출처리부 32 : 입력부
34 : 음성입력부 36 : 진동발생기 제어부
38 : 호출제어부 40 : 녹음부
42 : 응답메시지 출력부 50 : 진동발생기
52 : 송수신부 54 : 검출부
56 : 제어부 58 : 식별신호 출력부
60 : 진동발생부 62 : 응답신호 출력부
그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전화장치는,
무선에 의하여 통화 가능한 전화기 본체와, 그 전화기 본체와 분리되고, 그 전화기 본체로 부터의 무선에 의한 호출신호를 받아서 진동하는 진동발생기로서 이루어지는 전화장치로서,
상기 전화기 본체는,
상기 진동발생기가, 소정의 교신범위 내에 들어 있음을, 무선에 의한 교신으로 인식하는 인식수단과,
그 인식수단에 의하여 , 그 진동발생기가 소정의 교신범위 내에 들어가 있음을 인식하지 못할 때, 그 전화기 본체의 최소한 일부의 동작을 금지하는 금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요지로 한다.
이 전화장치에서는, 전화기 본체의 인식수단이 무선의 교신에 의하여, 진동발생기가 소정의 교신범위 내에 들어 있음을 인식한다. 그와 같은 인식이 안될 때에는, 전화기 본체에 갖추어진 금지수단이, 전화기 본체의 최소한 일부의 동작을 금지한다. 따라서, 진동발생기가 소정의 교신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경우, 즉 전화장치의 정규 사용자가 전화기 본체 근처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화기 본체의 최소한일부의 기능, 예컨대 걸려온 전화를 받는 착신기능을 금지함으로써, 전화기 본체의 사용을 제한하여, 전화기 본체 근처에 사용자가 없는 경우의 불편을, 최소한 일부를 해소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로서, 다음의 것을 생각할 수가 있다. 진동발생기가 소정의 교신범위 내에 있음을 판단하는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진동발생기는, 최소한 소정의 간격에서, 사전에 정하여진 식별신호를 출력하는 식별신호 출력수단을 갖추며,
상기 전화기 본체는,
상기 식별신호를 검출하는 식별신호 검출수단과,
그 식별신호가 검출되어 있지 않을 때, 그 전화기 본체의 최소한일부의 동작을 금지하는 금지수단을 갖추는 형태를 생각할 수가 있다.
그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진동발생기가 소정의 간격에서 사전에 정하여진 식별신호를 출력하기 위하여, 전화기 본체는 그 식별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진동발생기, 즉 그것을 몸에 지닌 본인이, 소정 거리내에 있는가 여부를 검출할 수가 있다. 전화기 본체가 식별신호를 검출하지 못할 때는, 본인이 전화기 본체로 부터 떨어져 있는 것을 의미하므로, 전화기 본체의 최소한 일부의 동작을 금지함으로써, 진동발생기를 몸에 지닌 본인이 휴대전화기 본체로 부터 소정거리 이상 떨어진 장소에 있는 경우의 불편을 해소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휴대전화기의 소유자가 전화기 본체로 부터 떨어질 때에, 키록크등의 특수한 조작을 함이 없이, 안심하고 전화기 본체로 부터 떨어져 있을 수가 있으며, 휴대전화기의 편리성도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소정의 거리는, 휴대전화기의 소유자 각자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여기에 맞추어서 진동발생기로 부터 출력되는 식별신호를 전화기 본체가 검출할 수 있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 진동발생기로 부터 식별신호를 출력하는 간격이 짧은 경우에는, 전화기 본체가 진동발생기를 검출하는확실성은 증가되나, 진동발생기가 밧데리에 의하여 동작하는 경우 등에는, 식별신호출력기능의 지속시간이 짧아진다는 것을 생각할 수가 있다. 따라서, 휴대전화기의 소유자 각자에 대응한 적절한 출력간격의 조절을 할 수가 있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 소정의 교신범위에 들어 있는 것을 인식하는 다른 형태로서는,
상기 진동발생기는, 상기 호출신호와는 구별이 가능한, 소정의 식별신호를 검출한 경우에, 사전에 정하여진 응답신호를 출력하는 응답신호 출력수단을 갖추고,
상기 전화기 본체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식별신호를 출력하는 식별신호 출력수단과,
상기 응답신호를 검출하는 응답신호 검출수단과,
그 응답신호가 검출되어 있지 않을 때, 그 전화기 본체의 최소한 일부의 동작을 금지하는 금지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을 생각할 수가 있다.
이 형태에서는, 전화기 본체로 부터의 호출신호와는 구별이 가능한 소정의 식별신호를 진동발생기가 검출한 경우에만, 미리 정하여진 응답신호를 출력한다. 이 결과, 전화기 본체는 착신이 있었던 경우등, 필요한 타이밍(예컨대, 착신시나 키의 조작시 등)에서 상기 식별신호를 출력하며, 진동발생기로 부터의 응답신호가 검출될 수 있는가 없는가의 여부에 따라, 진동발생기가 전화기 본체로 부터 소정거리내에 있는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전화기 본체가 응답신호를 검출하지 않을 때, 전화기 본체의 최소한 일부의 동작을 금지함으로써, 진동발생기를몸에 지닌 본인이 휴대전화기 본체로 부터 소정의 거리 이상 떨어진 장소에 있는 경우의 불편을 해소할 수가 있다.
또한 본 구성에서는, 필요한 타이밍으로 호출신호의 발신 및 진동발생기로 부터의 응답신호 발신을 하면 되므로, 진동발생기의 응답신호 출력기능의 지속시간을 길게 유지할 수가 있다는 효과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형태는, 전화기 본체가 소정 간격으로 호출신호를 출력하고, 진동발생기를 검출하는 형태로도 성립될 수가 있다. 이 경우에는, 착신시의 호출신호와, 인식용 호출신호의 형태를 달리하여, 착신시 이외의 호출신호로는 진동발생기가 체감할 수 있는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은 것으로 하면 된다. 예로서, 호출신호를, 진동발생기를 특정 짓는 식별코드와, 진동시킬 것인가 여부를 나타내는 진동제어신호로서 구성하며, 착신시 이외의 호출에서는, 진동제어신호를 [오프]로 하여, 이것을 받은 진동발생기는 진동을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하면 된다.
한편, 금지수단의 형태로서는, 여러가지의 것을 생각할 수가 있다. 예로서 , 상기 전화기 본체는, 무선에 의한 통화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금지수단은, 그 송수신부를 통한 송수신을 금지하는 수단인 형태를 채용하여도 좋다.
이 형태에서는, 전화기 본체가 진동발생기를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 송수신부를 통한 송수신을 금지함으로써, 착신을 받는 것과 전화기로 부터 발신할 수가 없게 되므로, 진동발생기를 몸에 지닌 본인이 휴대전화기 본체로 부터, 소정의 거리 이상 떨어진 장소에 있는 경우의 불편을 해소할 수가 있다.
금지수단의 다른 형태로서는,
상기 전화기 본체는, 그 전화기 본체에 설치된 입력장치에 의하여, 그 전화기 본체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입력부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금지수단으로서는, 그 입력부를 통하는 조작을 금지하는 수단인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 형태에서는, 전화기 본체가 진동발생기를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 입력부를 통한 조작을 금지함으로써, 착신시에 타인이 조작을 하여 전화를 받는 것, 타인이 단축다이얼 등 개인적인 정보를 판독하는 것이나, 부재중 녹음기능이 있는 전화장치에 있어서는, 녹음된 전언 메시지의 재생을 하는 등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진동발생기를 몸에 지닌 본인이 휴대전화기 본체로 부터, 소정의 거리 이상 떨어진 장소에 있는 경우의 불편을 해소할 수가 있다.
또, 금지수단에 의한 일부의 기능 금지는, 단순히 전화기 본체를 조작 불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부가기능과의 조합으로 하는 것도 좋다. 예로서, 상기 전화기 본체는,
무선에 의한 통화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사전에 설정된 응답메시지를 출력하는 응답메시지 출력부와,
무선에 의한 통화신호를 녹음하는 녹음부를 갖추며,
상기 금지수단은,
착신시에 외부로의 착신통보 대신, 그 응답메시지 출력부에 의하여, 송수신부를 통한 응답메시지의 출력을 하는 수단과,
착신시에 무선에 의한 통화신호를 상기 녹음부에 의하여 녹음하는 수단으로서 이루어지는 형태를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형태에서는, 전화기 본체가 진동발생기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 착신시에 외부로의 착신통보 대신, 응답메시지를 출력한 후, 통화신호를 녹음하는 수단을 사용하여, 발신자로 부터의 전언을 녹음하여 둘 수가 있다. 이 녹음은, 전화기의 소유자가 후에 조작을 하여 들을 수가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본인이 휴대전화기 본체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상 떨어진 장소에 있는 경우의 불편을 해소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와 같은 경우에, 발신자로 부터의 메시지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휴대전화기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다음과 같은 부가기능을 가지는 형태를 생각할 수가 있다. 즉, 상기 전화기 본체는,
무선에 의한 통화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사전에 고유의 호출번호가 할당된 무선신호 수신장치의 호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송신호 출력부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금지수단은,
착신시에 외부로의 착신통보 대신에, 그 전송신호 출력부에 의하여, 상기 무선신호 수신장치의 호출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으로써 이루어지는 형태이다.
이 형태에서는, 전화기 본체가 진동발생기를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 사전에고유 호출번호가 할당된 무선신호 수신장치, 예를 들어 페이저등의 호출신호를 전송신호 출력부에 의하여 출력함으로써, 그 다른 무선신호 출력장치를 호출하여, 본인에게 착신이 있었음을 알린다.
따라서, 본인이 휴대전화기 본체로 부터 소정의 거리 이상 떨어진 장소에 있는 경우의 불편을 해소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와 같은 경우에서도 본인에게 착신이 있었음을 알릴수가 있으므로, 휴대전화기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현재에는, 휴대전화기를 복수로 소유하거나, 페이저와 같은 휴대전화기와 다른 종류의 무선신호 수신장치를 동시에 소유하고 있는 자가 상당수 있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그 호출수단은 유효성이 높다.
이외에, 상기 전화기 본체는,
호출제어부로 부터의 호출신호에 따라 착신이 있었음을 외부에 알리는 착신통보수단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금지수단은, 착신시에 상기 착신통보수단에 의한 착신의 통보를 금지하는 수단인 형태도 채용 가능하다.
이 형태에서는, 진동발생기를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 전화기 본체도 착신이 있었음을 외부로 통보하지 못하므로(예컨대, 착신음을 울리지 않고, 또한 진동을 발생하지 않으므로), 타인에게 착신이 있었음을 알 수 없으며, 본인이 휴대전화기 본체로 부터, 소정의 거리이상 떨어진 장소에 있는 경우의 불편을 해소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전화기 본체의 입력부를 통하는 조작의 금지와 함께, 상기 착신통보의 금지를 하도록 하여도 좋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의 실시형태인 전화장치(10)의 개략 구성도이다. 전화장치(10)는, 크게는 무선에 의하여 통화가능한 전화기 본체(20)와, 전화기 본체(20)로부터 분리되는 진동발생기(50)로서 구성된다. 통상, 전화기 본체(20)는 가방속에 넣어 놓거나, 책상 위에 놓는 것이며, 진동발생기(50)는 전화장치(10)의 소유자가 진동을 체감할 수 있도록 몸에 지니고 있는 것이다.
전화기 본체(20)로서는, 이른바, 휴대전화기나 퍼스널 휴대전화기(이른바 PHS)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내부구조에 관해서는 주지하는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되는 개략 구성을 유니트로 하여 설명한다. 이들은 전기회로에 의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전화기 본체(20)는 각 유니트를 뒤에 설명하는 각종 처리를 함으로써 제어하는 제어부(28)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도시가 생략된 CPU, RAM, ROM 등을 내장하고, 산술논리 연산회로로서 실현되고 있다. 이 제어부(28)와 데이터버스를 통하여 각종 유니트가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안테나를 통하여 외부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22)와, 송수신부(22)와의 사이에서 발착신의 제어신호를 주고 받음으로써 송수신을 제어하는 발착신제어부(24)와, 통화음성을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26)와, 외부로부터 전화기 본체(20)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을 하는 입력부(32)와,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통화음성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송수신부(22)로 전달하기 위한 음성입력부(34)및, 전화기 본체(20)를 진동시키거나, 스피커로부터 호출음을 울리거나 함으로써 착신을 알리는 호출제어부(38)이다. 입력부(32)로서는, 텐키 및 「*」「#」키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 그리고, 음성출력부(26) 및 음성입력부(34)와 송수신부(22) 사이에는 상기 데이터버스를 통하지 않고 직접 신호를 주고 받는 회로도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진동발생기(50)에 대하여 호출신호의 송출등을 행하는 진동발생기 제어부(36)와, 진동발생기(50)의 검출신호의 입출력 등을 행하는 검출처리부(30)가, 역시 상기 데이터버스를 통하여 제어부(28)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진동발생기(50)는, 도시가 생략된 CPU, RAM, ROM을 내장하고 진동발생기(50)에 관한 뒤에 설명하는 각종 처리를 행하는 제어부(56)와, 안테나를 통하여 전화기 본체(20)와의 사이에서 호출신호 등의 송수신을 하는 송수신부(52)와, 송수신부(52)에서 수신된 신호를 받아서 자기의 호출부호인가 아닌가의 판단 등을 행하는 검출부(54)와, 송수신부(52)를 통하여 자기의 식별신호를 출력하는 식별신호출력부(58)와, 자기의 호출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부(60)가 데이터버스를 통하여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식별신호출력부(58)로부터는 송수신부(52)로 직접 신호를 송신하는 회로도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 1의 실시형태에서의 각 부의 기능 및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전화장치(10) 전체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전화장치(10)는 전원을 온으로하면, 진동발생기 검출처리(스텝 S100)를 한다.
진동발생기 검출처리에 관하여는, 제 3 도의 플로우챠트에 도시하였다. 이플로우챠트에 의거하여 진동발생기 검출처리의 내용을 설명한다.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동발생기(50)의 제어부(56)는 수 10초에 한번의 비율로 식별신호 출력처리 루틴을 기동하고, 식별신호 출력부(58)에 의하여 그 송수신부(52)를 통하여 식별신호를 출력한다(스텝 S120). 이것은 식별신호출력부(58)에 내장된 타이머를 사용하여 정기적으로 실행된다. 이 식별신호는 전화기 본체(20)의 주변에 복수의 진동발생기(50)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전화기 본체(20)가 자기의 진동발생기(50)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식별신호로서는 전화기 본체(20)에 표시된 여러자리 수의 ID넘버와 동일한 번호를 포함하는 형태가 고려된다. 전화기 본체(20)는 진동발생기 검출처리(스텝 S100)에서 진동발생기 제어부(36)에 접속된 안테나를 통해서 식별신호를 수신하는 처리를 하고 있다(스텝 S105). 단, 진동발생기(50)와 전화기 본체(20)가 소정의 거리 이상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이 식별신호는 미약해져서 전화기 본체(20)가 검출되지 않는다. 전화기 본체(20)는 식별신호의 수신처리를 한 후, 검출처리부(30)에서 상기 식별신호를 검출하였는가 아닌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10). 식별신호를 검출한 경우에는, 진동발생기 검출 플래그 F에 값 1을 대입하는 처리를 하고(스텝 S115),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플래그 F에 값 0을 대입하는 처리를 하여 (스텝 S116), 진동발생기 검출처리를 종료한다. 그리고, 전화기 본체(20)가 진동발생기(50)로 부터의 식별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거리는, 출력되는 식별신호의 강도 및 전화기 본체(20)의 안테나 감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므로, 타인이 전화기 본체(20)를 조작하지 못하도록 전화장치의 소유자가 감시가능한 정도의 거리내에서만 식별신호를 검출이 가능하도록, 그 강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제 2 도로 돌아가서, 전화기 본체(20)측의 처리의 흐름을 계속하여 설명한다. 진동발생기 검출처리(스텝 S100)가 종료되면, 스텝 S200으로 이행하고, 발착신제어부(24)는 착신이 있는가 없는가의 판단을 한다. 착신이 있는 경우에는 다시 진동발생기 검출플래그 F가 값 1인가 아닌가의 여부 판단을 한다(스텝 S210). 진동발생기(50)와 전화기 본체(20)와의 사이에서 식별신호를 송수신하고, 진동발생기(50)가 전화기 본체(20)로부터 소정의 범위에 존재하는가의 여부 판단은, 반복해서 실행되고 있으므로, 위에 설명한 진동발생기 검출처리에 의하여, 진동발생기 검출플래그 F는 값 1 또는 값 0 으로 설정되어 있다. 플래그 F가 값 1인 경우에는, 진동발생기(50)가 전화기 본체(20) 부근에 있음을 뜻하기 때문에, 전화기 본체(20)는 진동발생기(50)에 진동발생기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스텝 S220). 진동발생기(50)가 그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56)는 도시가 생략된 제어 루틴을 기동하여, 진동발생부(60)에 진동발생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를 진동시킨다. 플래그 F가 값 0인 경우에는, 진동발생기(50)가 부근에 없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전화기 본체(20)의 제어부(28)는, 소정의 금지처리를 한다(스텝 S500). 금지처리에 관하여는 후에 설명한다.
한편, 스텝 S200에서, 착신이 없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입력부(32)를 통한 다른 조작이 있는가의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230). 다른 조작으로서는, 예로서 발신조작이나 단축다이얼의 판독조작 등을 들 수가 있다. 이러한 조작이 있을 경우에는, 진동발생기 검출 플래그 F가 값 1인가 아닌가를 판단하고(스텝 S240), 플래그 F가 값 1이 아닐때, 즉 전화기 본체(20)의 근처에 진동발생기(50)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소정의 금지처리가 행하여진다(스텝 S500). 이 처리내용은, 상기 착신시의 금지처리와 같기 때문에, 뒤에 설명한다. 플래그 F가 값 1, 즉 진동발생기(50)가 부근에 있는 경우에는, 스텝 S250으로 진행하고, 입력부(32)를 통해서 행하여진 각 조작에 대응하는 응답처리가 행하여진다. 구체적으로, 발신조작이 행하여진 경우에는, 발착신제어부(24)를 통해서 송수신부(22)에 발신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대방의 전화번호의 송신등을 행하게 된다.
이상의 처리를 종료한 경우, 또는 입력부로 부터의 입력조작이 없는 경우에는, 다시 최초로 돌아가서, 진동발생기(50)의 검출처리로부터, 위에 설명한 처리를 반복한다.
여기에서, 금지처리의 내용을 제 4 도에 의거 설명한다. 금지처리가 선택된 경우에는, 발착신제어부(24)는 송수신부(22)의 회로를 절단한다(스텝 S501). 회로의 절단은, 실제로 전기신호의 회로를 절단함으로서 행하여도 좋고, 소프트적으로 등가인 대응을 취하는 것도 좋다. 전자의 경우에는, 송수신부(22)는 안테나에 접속된 주변회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들 회로의 일부에 접점을 형성하고, 발착신제어부(24)로 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이 접점을 열므로서 회로를 절단할 수가 있다. 접점을 형성하는 장소는, 안테나와의 접속부분이나 발착신제어부(24)와 송수신부(22)의 접속부분등, 전화장치가 외부와 신호를 주고 받는 기능을 정지시킬 수 있는 곳이라면, 어느 곳이나 상관 없다. 후자의 경우에는, 예로서 송수신부(22)로 부터의 신호를 제어부(28)가 무시하는 구성이나, 송수신부(22)가 인테리젠트한 구성을 갖추는 경우, 그 동작을 무효로 하는 코맨드를 출력하는 따위의 대응 등을 취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 금지처리가 행하여진 경우에는, 처리중의 적당한 장소에서 송수신부(22)의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한 처리를 하여둘 필요가 있다. 예컨대, 제 3 도에 도시한 진동발생기 검출처리중에 있어서, 식별신호가 검출된 경우의 처리, 즉, 스텝 S115에서, 검출플래그 F에 값 1을 대입하는 처리와, 더불어, 송수신부(22)의 회로를 접속하는 처리를 하여 두는 것을 생각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일련의 처리에 의거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진동발생기(50)를 몸에 지닌 본인이, 어떠한 이유로 전화기 본체(20)의 부근을 떠난 경우, 착신하여도 타인이 조작을 하여 전화를 받을 수가 없으며, 또, 발신등의 조작을 할 수도 없게 되므로, 종래의 불편을 해소할 수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타인이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특수한 조작, 이른바 키록크를 하고 전화기 본체(20)의 근처로 부터 떠날 필요가 있었으나,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그와 같은 특수한 조작을 하지 않고, 안심하고 전화기 본체(20)의 근처를 떠날 수가 있어, 휴대전화기의 편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금지처리로서 상기 이외의 다른 형태를 생각할 수가 있다. 금지처리의 제 2의 형태를 제 5 도에 도시한다. 이 형태에서는, 금지처리가 선택된 경우에, 제어부(28)는, 입력부(32)로 부터의 신호입력회로를 절단한다(스텝 S520). 입력부(32)에서는, 소프트적으로 키 · 스캔을 반복하여, 조작된 키가 있으면, 그 키에 대응한 키코드를 제어부(28)에 출력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있다. 따라서, 제어부(28)가 입력부(32)로 부터의 스캔 결과의 판독입력을 정지, 또는 제어부(28)로 부터 입력부(32)에 키 스캔 정지명령을 출력을 함으로써, 신호입력회로를 절단할 수가 있다. 이 경우도, 제 1의 형태에서의 금지처리와 마찬가지로 전화장치의 처리중의 적당한곳에서 입력부(32)로 부터의 신호입력회로의 회복처리를 하여둔다.
제 2의 형태에 의하면, 제 1의 형태에서의 효과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타인에 의한 발신조작 이외의 조작, 예를 들면, 단축다이얼의 판독조작 등도 확실하게 금지할 수가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더욱 휴대전화기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금지처리의 제 3의 형태를 제 6 도에 도시한다. 이 형태에서는, 금지처리가 선택된 경우에는, 발착신 제어부(24)는 스텝 S530에서, 착신이 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착신이 없는 경우에는, 금지처리로서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한편, 착신이 있을 때에는, 통상 제어부(28)로 부터 호출제어부(38)로 호출신호가 출력되어, 호출음을 발생하거나 진동한다든지 하지만, 금지처리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28)는 착신통보회로를 절단하고, 호출제어부(38)로의 신호출력을 하지 않는다(스텝 S540).
이 제 3의 형태에 의하면, 진동발생기(50)가 전화기 본체(20)로 부터 떨어진 장소에 있는 경우에는, 전화기 본체(20)도 착신이 있었음을 외부에 통보하지 않는다. 예로서, 착신음을 울리지 않고, 또,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착신이 있었음을 타인에게 알리지않고, 본인이 휴대전화기 본체(20)로 부터 소정의 거리 이상 떨어진 장소에 있는 경우의 불편을 해소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전화기 본체의 입력부를 통한 조작의 금지와 함께, 상기 착신통보의 금지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를 제 7 도에 의거 설명한다. 제 2의 실시예에서는, 전화기 본체(20a)는, 제 1의 실시예에서의 구성에 더하여, 사전에 녹음하여둔 응답메시지를 송수신부(22)를 통하여 출력하는 응답메시지 출력부(42)와, 송수신부(22)에 접속되어, 그곳으로 부터의 음성신호를 녹음하여 두는 녹음부(40)를 갖추고 있다. 제 2 실시예에서의 전화장치 전체의 처리는, 제 1 실시예에서 제 2 도에 도시한 처리와 동일하다. 또, 진동발생기 검출처리도, 제 1 실시예에서 제 3 도에 도시한 처리와 동일하다. 제 2 실시예에서는, 금지처리의 내용이 제 1 실시예와는 다르다.
제 2 실시예에서의 금지처리 내용을 제 8 도에 도시한다. 제 2 실시예에서 금지처리가 선택된 경우(제 2 도 스텝 S500), 제어부(28)는, 발착신 제어부(24)에 의하여, 외부로 부터의 착신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550). 착신이 없는 경우에는, 다른 처리는 하지않고 금지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착신이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28)로 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응답메시지 출력부(42)가 응답메시지를 출력한다(스텝 S560). 이 메시지는, 송수신부(22)를 통해서 무선신호 또는 전화회선을 통하여, 그 전화장치로 발신한 상대방에게 음성으로서 도달하는 것이다. 이 메시지의 출력후, 제어부(28)는 스텝 S570으로 이행하여, 녹음부(40)에 녹음개시 신호를 출력하고, 송수신부(22)를 통하여 수신되는 음성신호, 즉 전언메시지를 녹음한다. 녹음은, 전화기 본체(20)에 내장된 자기테이프 또는 RAM에 음성신호를 직접 혹은 디지털정보로 변환 후, 기록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여기에서 녹음된 음성은, 별도의 녹음재생조작에 의하여, 스피커를 통해서 들을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 8 도에서는, 처리의 흐름을 표시하는 형편상, 응답메시지의 출력이 행하여진 후에 통화의 녹음이 이루어지도록 기재되어 있으나, 이들 처리는 병행하여 실행가능한 것이며, 응답메시지의 송신중에도 상대가 통화하여 오는 가능성을 고려하면, 동시에 실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서의 효과와 같은 효과 및 타인에 의한 발신조작 이외의 조작, 예컨대, 단축다이얼의 판독조작이나 전언메시지의 재생조작 등도 확실하게 금지할 수가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언메시지의 녹음기능에 의하여, 전화기 본체(20)의 부근에 본인이 없는 경우라도, 전화를 걸어온 사람으로 부터의 메시지를 전할 수가 있으므로, 휴대전화기의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를 제 9 도에 의거 설명한다. 제 3의 실시예에서는, 전화기 본체(20b)는, 제 1의 실시예에서의 구성에 더하여, 다시, 사전에 전화번호가 할당된 무선신호 수신장치의 호출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송신호 출력부(44)가 설치되어 있다. 제 3 실시예에서의 전화장치 전체의 처리의 흐름은, 제 1 실시예에서 제 2 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 또, 진동발생기 검출처리도, 제 1 실시예에서 제 3 도에 도시한 처리와 동일하다. 제 3 실시예에서는, 금지처리의내용이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제 3 실시예에서의 금지처리의 흐름을 제 10 도에 도시한다. 제 3 실시예에서 금지처리가 선택된 경우(제 2 도, 스텝 S500), 발착신 제어부(24)는, 착신이 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580). 착신이 없는 경우에는, 다른 처리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금지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착신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590으로 진행하고, 제어부(28)로 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전송신호 출력부(44)는 사전에 설정하여 놓은 다른 무선신호 수신장치의 전화번호를 출력한다. 이른바, 전송처리에 상당하는 것이다. 다른 무선신호 수신장치로서는, 다른 휴대전화기나 페이저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에서의 효과와 같은 효과외에, 다시 다른 휴대전화기를 소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것이 호출되므로 상대방과 통화할 수가 있으며, 폐이저를 소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착신이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는 등 효과가 있다. 현재, 휴대전화기는 각 종류마다에서 사용가능한 범위가 다르고, 이른바 PHS는 고속이동중은 회선의 접속이 보장되지 못하는 등의 이유때문에, 복수의 휴대전화기를 소유하는 자 또는 휴대전화기와 페이저를 소유하는 자도 있으므로, 상기 구성에 의하여, 휴대전화기의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예를 제 11 도에 도시한다. 이 실시예예서 전화기 본체(20)의 구성은, 제 1 실시예, 제 2 실시예 또는 제 3 실시예와 같으며, 진동발생기(50A)의 구성이 이러한 것들과 다르다. 제 4 실시예에서의 진동발생기(50A)는, 제 1 실시예로 부터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진동발생기(50)와 송수신부(52), 검출부(54), 제어부(56) 및 진동발생부(60)의 구성은 같으며, 식별신호 출력부(58) 대신에, 응답신호 출력부(62)를 갖춘다. 이 응답신호 출력부(62)는, 데이터버스를 통하여 제어부(56)와 접속되어 있다. 또, 응답신호 출력부(62)로 부터 송수신부(52)로 직접 신호를 송신하는 회로도 형성 되어 있다.
제 4 실시예에서의 전화장치 전체의 처리 흐름은, 제 1 실시예에서 제 2 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 또, 그곳에서의 금지처리도,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에서 각각 도시한 처리와 동일하다. 제 4 실시예에서는, 진동발생기 검출처리(제 2 도 스텝 S100)의 내용이 제 1 실시예와는 다르다.
제 4 실시예에서의 진동발생기 검출처리 내용을 제 12 도에 도시한다. 제 12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진동발생기(50A)가 정기적으로 식별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아니며, 전화기 본체(20)측으로 부터 진동발생기(50A)에 대한 호출신호를 출력한다(스텝 S130). 이 호출신호는, 전화기 본체(20)의 식별신호와 진동발생기 구동부호로서 구성되어 있다. 식별신호는, 진동발생기(50)의 주변에 복수의 전화기 본체(20)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진동발생기(50)가 자기의 전화기 본체(20)를 인식 가능하도록 부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식별신호로서는, 전화기 본체(20)에 부착된 여러자리 수의 ID 넘버를 포함하는 구성을 고려할 수가 있다. 진동발생기 구동부호는, 전화기 본체(20)가 진동발생기(50A)를 검출하기 위하여 호출하는 경우와, 착신이 있었음을 알리기 위하여 호출하는 경우를 구별하기 위한 부호이며, 예로서 상기 식별부호의 선두 또는 말미에, 진동발생기(50)를 구동하는 경우에는 값 1을, 기타의 경우에는 값 0의 수치를 취하는 플래그신호를 붙이는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한편, 진동발생기(50A)는, 상기 호출신호를 판독입력하고(스텝 S150), 다음에 스텝 S155에서, 진동발생기(50)의 검출부(54)가 호출신호를 검출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호출신호를 검출한 경우에는, 검출부(54)로 부터 응답신호 출력부(62)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송수신부(52)를 통해서 전화기 본체(20)를 향한 응답신호를 출력하는 처리를 한다(스텝 S160). 이 응답신호는, 상기 호출신호에 포함되는 식별신호와 같은 식별신호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식별신호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에는, 응답신호의 출력을 하지 않고 응답신호 출력처리를 종료한다. 진동발생기(50A)는, 이후, 도시가 생략된 진동발생기 구동처리로 이행한다. 진동발생기 구동처리는, 전화기 본체(20)로 부터의 호출신호에 포함되는 진동발생기 구동부호가 값 1인 경우에, 진동발생부(60)에 의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진동발생기 검출처리에 있어서, 전화기 본체(20)로 부터 출력되는 호출신호는, 진동발생기 구동부호가 값 0이므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처리는 행하여지지 않는다.
한편, 전화기 본체(20)는, 진동발생기(50A)로 부터의 응답신호를 판독입력하고(스텝 S135), 검출처리부(30)에 의하여 응답신호를 검출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40). 진동발생기(50A)가 전화기본체(20)로 부터의 호출신호를 검출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진동발생기(50)로 부터의 응답신호는 출력되지 않으므로, 전화기 본체(20)는 당연히 응답신호를 검출할 수는 없다. 또, 진동발생기(50A)가 응답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경우(스텝 S160)라 하여도, 진동발생기(50A)와 전화기 본체(20)와의 거리가, 소정거리 이상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이 응답신호는 미약하게 되어 전화기 본체(20)가 검출되지 못하게 된다. 전화기 본체(20)는, 응답신호를 검출한 경우에는 진동발생기 검출플래그 F에, 값 1을 대입하는 처리를 하고(스텝 S145),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 플래그 F에 값 0을 대입하는 처리를 하여(스텝 S146), 진동발생기 검출처리를 종료한다. 그리고, 전화기 본체(20)가 진동발생기(50A)로 부터의 응답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거리는, 출력되는 응답신호의 강도 및 전화기 본체(20)의 안테나 감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므로, 타인이 전화기 본체(20)를 조작하지 않도록하기 위하여, 전화장치의 소유자가 감시할 수 있는 정도의 거리내에서만 응답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그 강도등을 조절하여 둔다.
제 4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실시예내지 제 3 실시예에서의 효과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내지 제 3 실시예에서는, 진동발생기 검출처리에서, 진동발생기(50)로 부터 정기적으로 식별신호가 출력되는 것이 필요한데 비하여, 제 4 실시예에서는 전화기 본체(20)로 부터 정기적으로 호출신호를 발신하고, 진동발생기(50A)는 그 호출신호를 검출한 경우에만 응답신호를 발신하면 되므로, 진동발생기(50A)의 전력소비를 억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진동발생기(50A)의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게 되어 휴대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장기간 전지교환 등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편리성에서도 뛰어나다.
제 4 실시예에서는, 전화장치의 구성은 동일하며, 제 2 도에 도시한 전화장치의 전체 처리를 다른 형태로 변경한 것도 생각할 수가 있다. 이것을 제 5 실시예로 하여, 그 처리내용을 제 13 도에 도시한다. 제 2 도의 처리에서는, 최초에 진동발생기 검출처리를 실행하고 있었으나, 이형태에서는, 진동발생기(50A) 검출처리의 실행에 앞서, 착신 유무 등의 판단을 실행하는 점이 다르다.
제 5 실시예에서는, 전화장치의 전원이 온으로 되면, 우선, 발착신제어부(24)에 의하여 착신의 유무여부를 판단하는 처리를 한다(스텝 S200). 착신이 있었던 경우에는, 전화기 본체의 작동상황을 나타내는 플래그 H에 값 1을 대입하고(스텝 S260), 진동발생기 검출처리로 이행한다(스텝 S100). 착신이 없었던 경우에는, 제어부(28)는 입력부(32)에서 입력조작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30). 입력부(32)에서 어떠한 입력조작이 있었던 경우에는, 플래그 H에 값 0을 대입하고(스텝 S270), 진동발생기 검출처리로 이행한다(스텝 S100). 입력부(32)에서의 입력조작이 없었던 경우에는, 전체처리를 종료한다.
진동발생기 검출처리(스텝 S100)는, 제 12 도에 도시한 것과 같다. 다음에, 제어부(28)는, 진동발생기 검출플래그 F가 값 1인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80). 플래그 F가 값 1이 아닌 경우에는, 소정의 금지처리를 한다(스텝 S500). 금지처리의 내용은 제 1 실시예내지제 3 실시예에서의 처리와 동일하다. 플래그 F가 값 1인 경우에는, 다음에 플래그 H가 값 1인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90). 플래그 H가 값 1인 경우에는, 착신이 있었음을 의미하므로, 진동발생기 구동신호를 출력한다(스텝 S220). 플래그 H가 값 1이 아닌 경우는, 입력부(32)로 부터의 조작이 있음을 의미하므로, 각 조작에 대한 응답처리를 한다(스텝 S250).
이 제 5 실시예에서는, 위에 설명한 제 4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는다. 또한, 제 4 실시예에서는 전화기 본체(20)로 부터 진동발생기(50A)를 검출하기 위한 호출신호를 정기적으로 출력하고 있던 것에 대하여, 이 형태에서는, 착신 또는 입력부로 부터의 조작이 있었던 경우에만 호출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전화기 본체(20)의 전력소비도 억제할 수가 있으며, 진동발생기(50A)의 전력소비도 제 4 실시예에 의하여 억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전화기 본체(20) 및 진동발생기(50A)의 보다 더 한층의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게 되어, 휴대성이 향상된다는 효과도 얻을 수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로서, 제 1 실시예에 설명한 각종 형태에 의한 금지처리, 또는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 전언메시지 녹음처리나, 제 3 실시예에서 설명한 전송처리 등의 부가적인 금지처리를, 전화기 본체의 조작에 의하여 임의로 선택하거나, 또는 조합시킬 수가 있는 기능을 부여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선택 또는 조합에 의하여, 전화장치의 소유자 의도에 따른 형태로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 비교적 대형의 디스플레이를 갖추고, 휴대전화의 기능에 더하여 스케줄 등의 기능이나 전자메일의 내용을 보는 브라우저의 기능을 부가한 복합전화기도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복합 전화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복합 전화장치는, 비교적 대형의 디스플레이를 갖출 필요에서 장치 전체가 대형화되기 쉬우므로, 몸에 지니고 다니는 경우가 적다는 것 및 스케줄 등 타인에게 숨겨두고 싶은 정보가 많은 것을 고려하면,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은 매우 유효하다고 할 수가 있다.
또한, 진동발생기(50)에 각종 기능을 부가하는 것도 생각할 수가 있다. 예로서, 본 발명의 기능을 온 · 오프하는 스위치를 진동발생기(50)에 설치하고, 그 조작에 따른 신호를 전화기 본체(20)로 송신함으로써, 전화기 본체(20)를 조작함이 없이 본 발명의 기능을 온 · 오프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전화기 본체(20)는, 가방 등에 넣어두는 일이 많으므로, 몸에 지니고 있는 진동발생기(50)로 본 발명의 기능을 온 · 오프 가능하게 하면, 본 발명의 편리성이 더욱 증진된다. 이 기능은, 본 발명의 기능을 항상 온으로 하여두는것이 아니고, 전화기 본체(20)로 부터 떨어질 때만 온으로 하는 사용방법이 손쉽게 되는 것이므로, 전화기 본체(20) 및 진동발생기(50)쌍방의 전지소모를 억제 가능하다는 점에서도 유효하다고 할 수 있다. 진동발생기(50)에 부가하는 기타 기능으로서는, 진동발생기(50)의 전지가 소진되어 가고 있을때, 전화기 본체(20)에 소정의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전화기 본체(20)의 조작용 디스플레이에 경고표시를 하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기능을 부과함으로써, 진동발생기(50)의 전지소진으로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는 불편을 회피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효하다.

Claims (1)

  1. 무선에 의하여 통화 가능한 전화기 본체와, 그 전화기 본체와 분리되고, 그 전화기 본체로 부터의 무선에 의한 호출신호를 받아서 진동하는 진동발생기로 이루어지는 전화장치로서,
    상기 전화기 본체는,
    상기 진동발생기가, 소정의 교신범위 내에 들어가 있음을 무선에 의한 교신으로 인식하는 인식수단과,
    그 인식수단에 의하여 그 진동발생기가 소정의 교신범위 내에 들어가 있음을 인식할 수 없을 때, 그 전화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의 동작을 금지하는 금지수단을 구비한 전화장치.
KR1019970018118A 1997-05-10 1997-05-10 전화장치 KR100442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8118A KR100442173B1 (ko) 1997-05-10 1997-05-10 전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8118A KR100442173B1 (ko) 1997-05-10 1997-05-10 전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2999A KR19980082999A (ko) 1998-12-05
KR100442173B1 true KR100442173B1 (ko) 2004-10-08

Family

ID=49381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8118A KR100442173B1 (ko) 1997-05-10 1997-05-10 전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21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591B1 (ko) * 2004-10-19 2005-12-06 주식회사 텔리안 고정 무선 단말기의 통화 범위 제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454A (ja) * 1991-07-02 1993-01-22 Nec Commun Syst Ltd 電話機
JPH08321859A (ja) * 1995-05-26 1996-12-03 Hitachi Ltd 移動無線端末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H0984141A (ja) * 1995-09-18 1997-03-28 Casio Comput Co Ltd 着信呼出装置
KR970024818A (ko) * 1995-10-12 1997-05-30 배순훈 전자기기용 리모컨을 이용한 전화기의 착신상태 경보장치
JPH10243059A (ja) * 1997-02-21 1998-09-11 Seiichiro Fukushima 電話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454A (ja) * 1991-07-02 1993-01-22 Nec Commun Syst Ltd 電話機
JPH08321859A (ja) * 1995-05-26 1996-12-03 Hitachi Ltd 移動無線端末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H0984141A (ja) * 1995-09-18 1997-03-28 Casio Comput Co Ltd 着信呼出装置
KR970024818A (ko) * 1995-10-12 1997-05-30 배순훈 전자기기용 리모컨을 이용한 전화기의 착신상태 경보장치
JPH10243059A (ja) * 1997-02-21 1998-09-11 Seiichiro Fukushima 電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2999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176679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JP3821905B2 (ja) 電話装置
KR100442173B1 (ko) 전화장치
JP3564985B2 (ja) 携帯電話装置
JPH08321859A (ja) 移動無線端末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3791143B2 (ja) 携帯電話機
JP4232619B2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携帯端末制御方法
JP3925430B2 (ja) 電話装置
JP2872171B2 (ja) 携帯電話機
JP3751107B2 (ja) 携帯電話機
JP3408097B2 (ja) 電話機
JPH10290473A (ja) 携帯通信装置
JP2852199B2 (ja) 無線端末機
KR100320303B1 (ko) 셀룰라폰의발신자메세지저장방법
JP4207057B2 (ja) 電話装置
JPH1013507A (ja) 携帯電話機及びそのキー操作確認方法
JP4131835B2 (ja) 移動電話システムおよび移動電話端末
JP2962261B2 (ja) 携帯電話機
KR19980021680A (ko) 음성사서함 기능을 내장한 셀룰라 폰
JP2000278388A (ja) 音声認識機能を有する携帯可能な通信装置
JPH09270844A (ja) 自動ダイヤル機能付き携帯電話機及びダイヤル方法
JP2002271831A (ja) 移動無線端末装置および位置登録方法
JPH05145464A (ja) 着信報知システム
KR20000008578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착탈식원격수신장치 및 방법
KR20000039245A (ko) 휴대폰에서 잠시 휴식기능 구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