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0966B1 - 보색을 이용한 색역 사상 방법 - Google Patents

보색을 이용한 색역 사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0966B1
KR100440966B1 KR10-2002-0002021A KR20020002021A KR100440966B1 KR 100440966 B1 KR100440966 B1 KR 100440966B1 KR 20020002021 A KR20020002021 A KR 20020002021A KR 100440966 B1 KR100440966 B1 KR 100440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ut
color
point
brightness
ma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1499A (ko
Inventor
김경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2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0966B1/ko
Publication of KR20030061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1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9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7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matr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58Reduction of colour to a range of reproducible colours, e.g. to ink- reproducible colour gamut

Abstract

색역사상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색역사상방법은, 출력계의 색역(R)이 입력계의 색역(S)보다 작은 경우, 입력계 색역(S)의 명도(Lo*), 채도(Co*) 및 색상(Ho*)을 선택하는 제1단계와, 명도(Lo*)를 출력계 색역(R)의 최대 명도(Lr*max)와 최소 명도(Lr*min) 사이의 명도(Lo*')로 압축하는 제2단계와, 색상(Ho*)에 대한 입력계의 색역(S)과 출력계의 색역(R)을 명도(L*)와 채도(C*)를 좌표축으로 하는 2차원 평면상에 나타내는 제3단계와, 입력계의 색역(S)과 출력계의 색역(R)의 관계에 따라 사상점(E)을 결정하는 제4단계 및, 사상점(E)을 향해 상기 명도(Lo*)와 상기 채도(Co*)를 색역사상하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입력계 색역을 색의 왜곡없이 그대로 출력계의 색역으로 재현할 수 있으며, 어두운 색에 대해 채도를 확대함으로써 출력계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보색을 이용한 색역 사상 방법{Color gamut mapping method utilizing complementary color}
본 발명은 색역사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색을 이용한 색역사상방법에 관한 것이다.
컬러 화상을 취급하는 영상 장치에는 적색(R), 녹색(G), 청색(B)의 삼원색의 형광체에 의한 발광을 이용하는 출력장치인 모니터, LCD(Liquid Crystal Display),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와 옐로우(Y), 시안(C), 마젠타(M) 및 블랙(K)의 사색을 이용하여 종이에 색을 재현하는 출력장치인 프린터, 팩스 및 복사기등이 있으며, 입력장치로는 스캐너와 디지털 카메라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출력장치는 조명과 장치의 비선형적 특성등에 의한 영향으로 제한된 범위의 색을 재현하며 이 제한된 범위의 색 재현 영역을 색역(color gamut)이라 한다. 컬러 화상을 취급하는 상기의 장치를 이용할 때 사용자들은 장치에 상관없이 동일한 컬러의 영상을 출력하기를 원하므로 장치간에 동일한 색상을 재현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서로 상이한 장치간의 색역의 차이를 최대한 줄이고 동시에 인간 시각에 의해 인지되는 출력 영상에서의 색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소위 CMS(Color Management System)가 필요하게 된다.
CMS란 컴퓨터에 연결되는 각종 입력 및 출력 영상 장치에 대해 각각의 컬러 재현 특성에 맞는 프로파일(profile)을 OS(Operating System) 또는 특정 소프트웨어에 내장한 다음 영상의 입출력을 위해 선택된 장치의 프로파일로부터 장치의 고유한 색 재현 특성을 읽고 이 특성에 기초하여 각 장치에서 재현되는 색을 일치시키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CMS는 ICC(International Color Committee)에서 PCS(Profile Connection Space)로 정하고 있는 CIE XYZ, CIE L*a*b*, 또는 CIE L*u*v*를 이용해 모니터의 RGB영상의 각 화소(pixel)를 변환시켜 프린터의 CMYK 값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CMS에서 프린터와 같은 출력계의 색 재현범위가 모니터와 같은 입력계의 색재현범위보다 큰 경우 입력계의 영상이 출력계의 영상으로 그대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그 반대의 경우 입력계의 영상이 출력계의 영상으로 그대로 표현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러한 경우 원래의 화상 정보를 가능한 한 유지하면서 출력계의 색 재현범위를 벗어나는 색을 색 재현범위로 가져오는 수정과정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재현불가능한 색을 소정의 과정을 통해 색 재현범위로 인입시키는 것을 색역 사상(Color gamut mapping)이라 한다. 색역사상방법에는 선형적인 비례관계를 이용하여 색역을 사상하는 색역 압축(Color area compression)방법과 출력계 색역의 외부에 존재하는 컬러들만 출력계 색역의 경계면으로 사상하는 색역절단(Color area clipping)방법이 있으나, 색역압축방법이 색역절단방법보다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종래의 색역압축방법에는 도 1에 도시된 일본 특개평 제998298호의 색역 압축 방법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색역압축방법은, 입력계(GMin)과 출력계(GMout)의 색역을 CIE L*C*H*색공간에서 일정 색상(H*)에 대한 명도(L*)와 채도(C*)의 2차원 평면상에 나타낸 다음 상기 입력계(GMin)과 출력계(GMout)의 색역을 직선1과 직선2로 네영역(AR1, AR2, AR3, AR4)로 나눈다.
종래의 색역압축방법에서, 입력계의 색 재현범위가 AR1에 있는 경우 출력계의 색재현범위에 포함되므로 그대로 표현한다. 다른 세 영역은 입력계의 색 재현범위가 출력계의 색재현범위보다 커서 입력계의 색상이 그대로 출력계의 색상으로 표현되지 못하므로 색을 압축한다.
입력계의 색 재현범위가 AR2에 있는 경우 최소 명도점(0, L*_min)방향으로 사상하며. 입력계의 색 재현범위가 AR3에 있는 경우 최대 명도점(0, L*_max)방향으로 사상하며, 입력계의 색 재현범위가 AR4에 있는 경우 직선 1과 직선 2가 만나는교차점(C*_th, L*_th)으로 사상한다.
종래의 색역압축방법은 AR4에 위치하는 입력계의 색 재현범위 중 어두운 컬러에 대한 색 재현성이 현격이 떨어지며 또한 회색(achromatic color)에 대한 밝기의 정도가 비선형적으로 되어 출력계에서 재현되는 영상의 화질이 저하되게 된다. 특히 사람의 시각은 특히 회색에 대해 민감하므로 회색부분의 열화는 출력 영상의 화질 전체에 좋지않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접한 색에 대해 유사한 색역 사상을 하여 출력계에서 재현되는 색의 왜곡을 방지하며 특히 어두운 색에 대한 색재현성을 양호하게 하는 색역사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본 특개평 제9-98298호의 색역압축방법을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역사상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색역사상방법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색역사상방법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색역사상방법을 나타낸 그래프,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출력계의 색역(R)이 입력계의 색역(S)보다 작은 경우, 상기 입력계 색역(S)의 명도(Lo*), 채도(Co*) 및 색상(Ho*)을 선택하는 제1단계;와 상기 명도(Lo*)를 상기 출력계 색역(R)의 최대 명도(Lr*max)와 최소 명도(Lr*min) 사이의 명도(Lo*')로 압축하는 제2단계;와 상기 색상(Ho*)에 대한 상기 입력계의 색역(S)과 상기 출력계의 색역(R)을 명도(L*)와채도(C*)를 좌표축으로 하는 2차원 평면상에 나타내는 제3단계;와 상기 입력계의 색역(S)과 상기 출력계의 색역(R)의 관계에 따라 사상점을 결정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사상점을 향해 상기 명도(Lo*)와 상기 채도(Co*)를 색역사상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역사상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압축은 출력계의 최대 명도(Lr*max)및 최소명도(Lr*min) 및 입력계의 최대 명도(Lo*max) 및 최소 명도(Lo*min)에 대한 수학식1에 따른 선형압축이다.
제4단계에서, 상기 출력계의 색역(R)이 상기 입력계의 색역(S)에 완전히 포함되는 관계에서, 상기 입력계(S)의 최대 채도점(Co*max(θ), 0)및 상기 출력계의 최대 채도점(Cr*max(θ), 0)을 연결하는 직선1과 상기 명도축이 만나는 점(0, Ee1)이 최대 명도점(0, L*max)과 및 최소 명도점(0, L*min) 사이에 있는 경우, 상기 (0, Ee1)을 사상점으로 결정한다.
제4단계에서, 상기 출력계의 색역(R)이 상기 입력계의 색역(S)에 완전히 포함되는 관계에서, 상기 입력계의 최대 채도점(Co*max(θ), 0) 및 상기 출력계의 최대 채도점(Cr*max(θ), 0)을 연결한 직선2와 최대 채도점(C*max(θ), 0) 및 최소 채도점(C*min, 0)을 연결하는 채도축이 만나는 점(Ee2, 0)이 최대 명도점(L*max, 0) 및 최소 명도점(L*min, 0) 사이에 있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색상(Ho*)의 보색(H*c)의 출력계 색역(R')을 상기 2차원 평면상에 나타낸 다음 상기 보색(H*c)의 최대 채도점(-Cr*max(θ+π), 0)과 상기 색상(H*)의 최대 채도점(Cr*max(θ), 0)을 연결하는 직선2'이 명도축과 만나는 점 (0, Ee2')을 사상점으로 결정한다.
제4단계에서, 상기 출력계의 색역(R)이 상기 입력계의 색역(S)에 완전히 포함되지 않는 형태에서, 상기 색상(Ho*)의 보색(H*c)의 출력계 색역(R')을 상기 2차원 평면상에 나타낸 다음 상기 보색(H*c)의 최대 채도점(-Cr*max(θ+π), 0)과 상기 색상(Ho*)의 최대 채도점(Cr*max(θ), 0)을 연결한 직선3이 명도축과 만나는 점 (0, Ee3)을 사상점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계 색역(S) 및 출력계의 색역(R)이 만나는 점(C*m, L*m)과 상기 출력계의 최대 채도점(Cr*max(θ), 0)의 절반에 해당하는 점(C*r_max(θ)/2, 0)을 연결하는 직선(B)을 채도 확대선으로 하고 상기 채도 확대선 이상으로 채도 확대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모니터와 같은 입력계의 색역과 프린터와 같은 출력계의 색역의 관계에 따라 세 종류의 색공간을 구성하며, 보색의 개념을 이용하여 색역사상을 실행함으로써 입력계의 색상을 가능한 한 그대로 출력계에서 재현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어두운 색에서 채도를 확대하여 어두운 색상을 더 잘 표현한다.
여기서, 보색이란, 반대색상을 가지는 두 색의 관계를 말하며, 보색관계에 있는 두 색을 혼합하면 색상이 없어져 회색이 된다. 즉, 적색(Red)과 보색관계에 있는 청록색(Cyan)을 섞으면 회색이 되어 색상이 없어진다. 보색관계에 있는 색끼리의 대비를 보색대비라고 하며 보색대비는 서로의 색을 강하고 선명하게 해주며 적당한 비례로 구성되었을 때 정적이고 안정적인 느낌을 준다.
모니터나 스캐너에서 색재현을 위해 이용되는 RGB와 프린터에서 이용되는 CMY는 서로 보색관계에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보색관계의 특성을 이용하여 사상점이 결정되는 못하는 색상의 색역에 대하여 보색과의 어울림을 고려하여 새로운 사상점을 결정한다. 이 새로운 사상점은 인접한 색에 대해 유사한 색역 사상이 이루어지게 하여 재현되는 색의 왜곡을 상당부분 제거하며 채도의 확대를 통해 어두운 부분에서 색 재현성을 개선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색역사상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역사상방법의 알고리즘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역사상방법은, 출력계의색역(R)이 입력계의 색역(S)보다 작은 경우, 입력계 색역(S)의 명도(Lo*), 채도(Co*) 및 색상(Ho*)을 선택하는 제101단계와, 명도(Lo*)를 출력계 색역(R)의 최대 명도(Lr*max)와 최소 명도(Lr*min) 사이의 명도(Lo*')로 압축하는 제103단계와, 색상(Ho*)에 대한 입력계의 색역(S)과 출력계의 색역(R)을 명도(L*)와 채도(C*)를 좌표축으로 하는 2차원 평면상에 나타내는 제105단계와, 입력계의 색역(S)과 출력계의 색역(R)의 관계에 따라 사상점(E)을 결정하는 제107단계 및, 사상점을 향해 명도(Lo*)와 채도(Co*)를 색역사상하는 제109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역사상방법은 출력계의 색역(R)이 입력계의 색역(S)보다 작은 경우에 적용되므로 출력계의 색역(R)이 입력계의 색역(S)의 색역보다 큰 경우에는 색역사상없이 입력계의 색상을 그대로 출력계에서 재현한다.
제101단계에서, 출력계 색역(R)이 입력계 색역(S)보다 작은 경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계 색역(R)이 입력계 색역(S)에 완전히 포함되는 경우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계 색역(R)이 입력계 색역(S)에 완전히 포함되지 않는 경우의 두 가지로 나타난다.
각 경우에서 입력계의 화상에 대한 정보를 CIE L*C*H*의 색공간 좌표계로 나타낸다. 입력계의 특정 화상 정보에 대한 3차원 색공간의 좌표점은 (Lo*, Co*, Ho*)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L*는 명도(lightness), C*는 채도(chroma), H*는색상(hue)를 의미하며 채도(C*)는 0≤C*≤128, 색상(H*)는 0≤H*≤360°의 범위를 가진다.
제103단계에서, 사상점(E)을 구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서, 입력된 명도(Lo*)의 값을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출력계 색역(R)의 최대 및 최소 명도의 사이값(Lo*')으로 선형압축한다.
여기서, Lr*max와 Lr*min은 출력계의 최대 및 최소 명도를 나타내며, Lo*max와 Lo*min은 입력계의 최대 및 최소 명도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제105단계에서와 같이, 특정 색상(Ho*)에 대해 명도(L*)와 채도(C*)로 이루어지는 2차원 공간에서 입력계 색역(S)과 출력계 색역(R)을 표현한다. 이와 같은 색역의 형태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제107단계에서, 각 입력계 색역(S)과 출력계 색역(R) 관계에 따라 사상점을 각기 다르게 결정하고 제109단계에서 출력계 색역(R)을 벗어나는 색역에 대해 사상점을 향해 색역사상을 한다.
제107단계 및 제109단계의 과정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색역사상방법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입력계 색역(S1)이 출력계 색역(R1)을 완전히 포함하는 형태이고 입력계의 최대 채도점(Co*max, 0)과 출력계의 최대 채도점(Cr*max, 0)을 연결하는 직선 1이 명도축과 만나는 점(0, Ee1)가 최대 명도점(0, L*max)과 최소 명도점(0, L*min)의 사이에 있는 경우, 상기 점(0, Ee1)을 사상점으로 결정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입력계 및 출력계의 색역(S1, R1)은 주로 적색 또는 황색에서 나타난다.
이 경우 출력계 색역(R1)의 외부영역(A1)의 명도 및 채도(Lo*, Co*)를 동시에 사상점(0, Ee1)을 향해 사상한다. 출력계 색역(R1)이 입력계 색역(S1)에 완전히 포함되므로 입력계의 최대 채도점(0, Co*max)을 출력계의 최대 채도점(0, Cr*max)으로 색역사상함으로써 입력계의 전체 색역(S1)을 표현할 수 있다.
특정점(C*, L*)에 대한 색역사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계 색역(R1)의 외부 영역의 특정점(C*, L*)과 사상점까지의 거리(D)와 입력계 색역(S1)의 최외각점(C*max, L*max)까지의 거리(Dmax)의 비례관계에 대한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점(C*', L*')으로 압축할 수 있다.
또는 출력계 색역(R2)외부의 색역을 출력계 색역(R2)의 경계선으로 모두 보내는 색절단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색역사상방법에서는 색역압축방법이 더 양호한 화질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색역사상방법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입력계 색역(S2)이 출력계 색역(R2)을 완전히 포함하는 형태이고 입력계의 최대 채도점(Co*max, 0)과 출력계의 최대 채도점(Cr*max, 0)을 연결하는 직선 2가 명도축과 만나는 점(0, Ee2)이 최대 명도점(0, L*max)과 최소 명도점(0, L*min)의 사이에 있지 아니하며 채도축과 만나는 경우, 색상(Ho*)에 대한 보색(Hc*)의 출력계 색역(R')을 구한 다음 보색(Hc*)의 최대 채도점(-Cr*'max(θ+π), 0)과 색상(Ho*)의 최대 채도점(Cr*max(θ), 0)을 연결하는 직선 2가 명도축과 만나는 점(0, Ee2')을 사상점으로 결정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입력계 및 출력계의 색역(S2, R2)은 주로 녹색에서 나타난다.
여기서, 보색(Hc*)은 수학식 3와 같이 색상에 대한 반대 위상을 가지는 색을 의미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도(L*)와 채도(C*)의 제1사분면의 색상이 청색인 경우 제2사분면의 색상은 황색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상점(0, Ee2')을 결정한 다음, 출력계 색역(R2)의 외부영역(A2)의 색역을 사상점(0, Ee2')을 향해 색역사상한다. 색역사상의 원리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색역사상방법과 동일하게 색역압축법 또는 색역절단법을 사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색역사상방법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출력계 색역(R3)이 입력계 색역(S3)에 완전히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색상(Ho*)에 대한 보색(Hc*)의 출력계 색역(R')을 구한 다음 보색(Hc*)의 최대 채도점(-Cr*'max(θ+π), 0)과 색상(Ho*)의 최대 채도점(Cr*max(θ), 0)을 연결하는 직선 3이 명도축과 만나는 점(0, Ee3)을 사상점으로 결정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입력계 및 출력계의 색역은 주로 청색에서 나타난다. 여기서, 색역사상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색역압축방법 또는 색역절단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색역사상방법에서는 어두운 부분의 컬러를 향상시켜 재현할 수 있도록 출력계 색역(R3)을 확대하여 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계의 색역(S3)과 출력계의 색역(R3)이 만나는 점(C*m, L*m)과 입력계의 최대 채도(Cr*max(θ), 0)의 절반에 해당하는 점(Cr*max(θ)/2, 0)을 연결하는 채도확대선(B)을 정의하며 이 이상의 채도확대는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색역사상방법에서는 어두운 색에 대한 채도를 채도확대선(B) 또는 입력계 색역(S3)까지 확대하여 어두운 색에 대한 좀더 풍부한 표현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색역사상방법에서 어느 경우이든 색상이 없는 회색의 경우 명도의 변화만 있을 뿐 채도의 변화가 없으므로 회색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보색에 의한 사상점을 이용함으로써 인접한 색에 대한 유사한 색역사상이 이루어질 수 있어 재현되는 색의 왜곡을 현격히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사상점의 위치를 다르게 변형시킬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색역사상방법의 장점은 출력계 색역이 입력계 색역보다 작은 경우 출력계 외부영역의 색역을 출력계 내부영역으로 적절히 사상함으로써 입력계 색역의 색특성이 가능한한 그대로 재현되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어두운 색에 대해 채도를 확대하여 출력계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Claims (6)

  1. 출력계의 색역(R)이 입력계의 색역(S)보다 작은 경우,
    상기 입력계 색역(S)의 명도(Lo*), 채도(Co*) 및 색상(Ho*)을 선택하는 제1단계;
    상기 명도(Lo*)를 상기 출력계 색역(R)의 최대 명도(Lr*max)와 최소 명도(Lr*min) 사이의 명도(Lo*')로 압축하는 제2단계;
    상기 색상(Ho*)에 대한 상기 입력계의 색역(S)과 상기 출력계의 색역(R)을 명도(L*)와 채도(C*)를 좌표축으로 하는 2차원 평면상에 나타내는 제3단계;
    상기 입력계의 색역(S)과 상기 출력계의 색역(R)의 관계에 따라 사상점을 결정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사상점을 향해 상기 명도(Lo*)와 상기 채도(Co*)를 색역사상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역사상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압축은 와 출력계의 최대 명도(Lr*max)및 최소명도(Lr*min) 및 입력계의 최대 명도(Lo*max) 및 최소 명도(Lo*min)에 대한 다음의 식에 따른 선형압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역사상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제4단계에서,
    상기 출력계의 색역(R)이 상기 입력계의 색역(S)에 완전히 포함되는 관계에서, 상기 입력계(S)의 최대 채도점(Co*max(θ), 0)및 상기 출력계의 최대 채도점(Cr*max(θ), 0)을 연결하는 직선1과 상기 명도축이 만나는 점(0, Ee1)이 최대 명도점(0, L*max)과 및 최소 명도점(0, L*min) 사이에 있는 경우, 상기 (0, Ee1)을 사상점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역사상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제4단계에서,
    상기 출력계의 색역(R)이 상기 입력계의 색역(S)에 완전히 포함되는 관계에서, 상기 입력계의 최대 채도점(Co*max(θ), 0) 및 상기 출력계의 최대 채도점(Cr*max(θ), 0)을 연결하는 직선2와 최대 채도점(C*max(θ), 0) 및 최소 채도점(C*min, 0)을 연결하는 채도축이 만나는 점(Ee2, 0)이 최대 명도점(L*max, 0) 및 최소 명도점(L*min, 0) 사이에 있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색상(Ho*)의 보색(H*c)의 출력계 색역(R')을 상기 2차원 평면상에 나타낸 다음 상기 보색(H*c)의 최대 채도점(-Cr*max(θ+π), 0)과 상기 색상(H*)의 최대 채도점(Cr*max(θ), 0)을 연결한 직선2'이 명도축과 만나는 점 (0, Ee2')을 사상점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역사상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제4단계에서,
    상기 출력계의 색역(R)이 상기 입력계의 색역(S)에 완전히 포함되지 않는 형태에서, 상기 색상(Ho*)의 보색(Hc*)의 출력계 색역(R')을 상기 2차원 평면상에 나타낸 다음 상기 보색(Hc*)의 최대 채도점(-Cr*max(θ+π), 0)과 상기 색상(Ho*)의 최대 채도점(Cr*max(θ), 0)을 연결하는 직선3이 명도축과 만나는 점 (0, Ee3)을 사상점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역사상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계 색역(S) 및 출력계의 색역(R)이 만나는 점(C*m, L*m)과 상기 출력계의 최대 채도점(Cr*max(θ), 0)의 절반에 해당하는 점(Cr*max(θ)/2, 0)을 연결하는 직선(B)을 채도 확대선으로 하고 상기 채도 확대선 이상으로 채도 확대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역사상방법.
KR10-2002-0002021A 2002-01-14 2002-01-14 보색을 이용한 색역 사상 방법 KR100440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021A KR100440966B1 (ko) 2002-01-14 2002-01-14 보색을 이용한 색역 사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021A KR100440966B1 (ko) 2002-01-14 2002-01-14 보색을 이용한 색역 사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499A KR20030061499A (ko) 2003-07-22
KR100440966B1 true KR100440966B1 (ko) 2004-07-21

Family

ID=19718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021A KR100440966B1 (ko) 2002-01-14 2002-01-14 보색을 이용한 색역 사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09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380B1 (ko) 2006-01-17 2008-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색 대비를 이용하여 영상을 향상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0927A (ja) * 1996-04-02 1997-10-14 Canon Inc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KR19990042024A (ko) * 1997-11-25 1999-06-15 구자홍 영상 의존 색역 사상방법
JPH11205619A (ja) * 1998-01-07 1999-07-30 Mitsubishi Heavy Ind Ltd 異デバイス間のカラーマッチング方法及びカラーマッチング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H11341294A (ja) * 1998-05-27 1999-12-10 Mitsubishi Heavy Ind Ltd 異種デバイス間のカラーマッチング方法及びそのためのカラーマッチング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10051599A (ko) * 1999-11-11 2001-06-2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색 정보 정규화 방법과 색 정보 교환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0927A (ja) * 1996-04-02 1997-10-14 Canon Inc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KR19990042024A (ko) * 1997-11-25 1999-06-15 구자홍 영상 의존 색역 사상방법
JPH11205619A (ja) * 1998-01-07 1999-07-30 Mitsubishi Heavy Ind Ltd 異デバイス間のカラーマッチング方法及びカラーマッチング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H11341294A (ja) * 1998-05-27 1999-12-10 Mitsubishi Heavy Ind Ltd 異種デバイス間のカラーマッチング方法及びそのためのカラーマッチング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10051599A (ko) * 1999-11-11 2001-06-2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색 정보 정규화 방법과 색 정보 교환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380B1 (ko) 2006-01-17 2008-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색 대비를 이용하여 영상을 향상하는 방법 및 장치
US7769231B2 (en) 2006-01-17 2010-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quality of images using complementary h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499A (ko) 2003-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8392B2 (ja) デジタル画像処理方法及びマッピング方法
KR100736939B1 (ko) 지능형 색역 관리 방법
JP4594185B2 (ja) 色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4565642B2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US8204304B2 (en) Color gamut mapping by forming curved cross-sectional surfaces
US67781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colors into a color gamut
US796962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gmenting an output device color gamut and mapping an input device color gamut to the segmented output device color gamut
JP2001157069A (ja) 色管理システム、色管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4536431B2 (ja) カラー出力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84565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image using output prediction
JPH09135316A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JP2007043424A (ja) 色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2004023996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6873730B2 (en) Color conversion method for preferred color tones
US832519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JP2000253264A (ja) カラー画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カラー画像信号処理方法
KR100440966B1 (ko) 보색을 이용한 색역 사상 방법
US6947177B2 (en) Method of color accentuation
JPH07236069A (ja) 画像処理装置
JP4533277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テーブル作成方法
JP2000184222A (ja) カラー画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カラー画像信号処理方法
JP2007312313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243957A (ja) カラー画像データからグレイ情報を抽出する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2152540A (ja) カラー画像信号処理装置及びカラー画像信号処理方法
JP2007043613A (ja) 色データ処理方法、色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