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0827B1 - 다자간 전화통역시스템 및 그를 위한 전화단말기 - Google Patents

다자간 전화통역시스템 및 그를 위한 전화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0827B1
KR100440827B1 KR10-2001-0076621A KR20010076621A KR100440827B1 KR 100440827 B1 KR100440827 B1 KR 100440827B1 KR 20010076621 A KR20010076621 A KR 20010076621A KR 100440827 B1 KR100440827 B1 KR 100440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preter
service
interpretation
telephone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1699A (ko
Inventor
안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씨.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씨.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씨.텔레콤
Priority to KR10-2001-0076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0827B1/ko
Publication of KR20020001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1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8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 H04M3/4936Speech interaction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자간 전화통역시스템과 다자간 통역서비스를 위한 전화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 전화단말기로부터의 통역서비스 요청에 따라 통역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제공 가능한 통역서비스를 안내하고, 상기 전화단말기로부터의 통역서비스 언어 선택에 따라 해당 통역언어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연결가능한 통역자를 검색하여, 직접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내부통역자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통역자 정보를 상기 통역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전화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해당 통역언어 데이터 베이스 검색결과 연결 가능한 내부통역자가 없으면 연결 가능한 개인통역자 정보를 제공하는 통역서비스센터와; 상기 통역서비스센터의 데이터 베이스에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전화단말기로부터의 접속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전화단말기로 통역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통역자와; 상기 통역서비스센터로 통역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통역서비스센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내부통역자 또는 상기 개인통역자 정보를 분석하고 통화로 형성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통역서비스를 수행하는 다자간 전화단말기와; 소정 통신규약에 따라 상기 통역서비스센터와 상기 개인통역자 및 상기 다자간 전화단말기간의 접속 및 상호 통화로 형성을 제공하는 공중전화망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자간 전화통역시스템 및 그를 위한 전화단말기{MULTILATERAL TELEPHONY INTERPRETATION SYSTEM AND THERE FOR TELEPHONE SET}
본 발명은 통역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내국인과 다수의 외국인간의 통역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자간 전화통역시스템 및 상기 다자간 통역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화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외국인 방문객들의 수가 해를 거듭할수록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산업 전반적인 분야에서 중국과의 거래가 이루어지면서 중국인의 우리나라 방문이 급증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2002년 월드컵 개최지로서 공동 개최지인 일본을 비롯한 세계 각 국의 방문객들이 대거 방문할 것임은 쉽게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사업을 목적으로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사람들 수도 증가일로에 있다. 따라서 세계 각 국의 수많은 방문자들간의 의사소통과 우리나라 국민간의 의사소통이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외국인 방문객들은 통상적으로는 서비스가 철저한 호텔 등을 이용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호텔에서는 방문객이 자국의 언어를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자신과는 다른 언어권의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과 의사소통을 하고자 하는 경우, 호텔에 상주하는 통역사를 거쳐 의사소통을 하거나, 인터넷을 이용한 이-메일(e-mail)또는 팩시밀리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호텔에 세계 각 국의 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 통역사들을 모두 배치시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으며, 통역사를 항시 동반해야 하며 한 두 명의 통역사들로는 다수의 방문객들에게 만족할 만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불합리함, 그리고 원하는 시간에 통역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메일 또는 팩시밀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는 하나, 전송시간 소요로 인해 실시간(realtime)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통역서비스 요청이 있을 시, 통역서비스 요청자와 통역서비스 요청자가 원하는 언어권의 언어를 구사하는 통역사를 연결시키는 통역서비스 제공센터부와, 데이터 베이스화된 정보를 공유하는 통신사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종래의 통역서비스 제공장치는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여 보다 효율적인 실시간 동시통역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나, 이는 제공할 수 있는 통역서비스가 일대일 통역서비스만으로 한정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한 다른 나라에서도 자국을 방문을 외국인들에게 보다 효율적이고 간편한 방법으로 실시간 동시통역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아, 많은 기업들의 세계화 경영전략에 대한 준비가 미비한 형편이다. 따라서 다수의 외국인들과 다수의 내국인들간에 동시통역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경제적이고 편리한 다자간 통역시스템의 구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내국인과 다수의 외국인으로 이루어지는 다자간 회의에서 동시통역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자간 전화통역시스템 및 그를 위한 전화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자간 전화통역서비스가 가능한 전화통역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자간 전화통역서비스를 제공하는 전화단말기의 제어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자간 전화통역서비스를 제공하는 전화단말기의 제어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자간 전화통역서비스를 제공하는 전화단말기의 메모리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화통역시스템의 신호처리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화통역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역 서비스센터의 데이터 베이스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공중전화망 12: 개인통역자
20: 전화단말기 22: 내국인
24: 외국인 30: 통역 서비스센터
32: 통역자 34: 데이터 베이스
상기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화단말기를 이용한 다자간 통역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전화단말기로부터의 통역서비스 요청에 따라 통역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제공 가능한 통역서비스를 안내하고, 상기 전화단말기로부터의 통역서비스 언어 선택에 따라 해당 통역언어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연결가능한 통역자를 검색하여, 직접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내부통역자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통역자 정보를 상기 통역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전화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해당 통역언어 데이터 베이스 검색결과 연결 가능한 내부통역자가 없으면 연결 가능한 개인통역자 정보를 제공하는 통역서비스센터와;
상기 통역서비스센터의 데이터 베이스에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전화단말기로부터의 접속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전화단말기로 통역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통역자와;
상기 통역서비스센터로 통역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통역서비스센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내부통역자 또는 상기 개인통역자 정보를 분석하고 통화로 형성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통역서비스를 수행하는 다자간 전화단말기와;
소정 통신규약에 따라 상기 통역서비스센터와 상기 개인통역자 및 상기 다자간 전화단말기간의 접속 및 상호 통화로 형성을 제공하는 공중전화망으로 이루어지는 다자간 전화통역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통역서비스 되는 통역언어에 따라 다수의 내부통역자들 및 다수의 개인통역자들을 구분하고, 상기 다수의 내부통역자들 및 다수의 개인통역자들의 전화번호 및 연결가능 정보를 실시간으로 갱신하며, 상기 사용자 전화단말기로부터의 통역서비스 언어 선택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상기 다수의 내부통역자 중 연결가능한 내부통역자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전화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다수의 내부통역자 중 연결가능한 내부통역자가 없는 경우 상기 다수의 개인통역자들 중 연결가능한 개인통역자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전화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관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자간 통역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자간 전화통역시스템의 전화단말기에 있어서,
복수의 외국어 통역서비스에 원터치 키로써 접속하기 위해 상기 원터치 통역서비스 수행을 위한 복수의 외국어 통역서비스 개인통역자 연결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구비하여, 상기 전화통역시스템의 통역서비스센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개인통역자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메모리의 상기 소정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개인통역자로 자동 다이얼링하여 상기 개인통역자와 통역서비스를 수행하고, 다수의 음성 입출력 포트를 구비하여 다수의 내국인들과 다수의 외국인들이 동시에 상기 통역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전화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자간 전화통역서비스가 가능한 전화통역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화통역시스템의 신호처리 흐름도로서, 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전화통역서비스를 제공하는 전화통역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자간 통역서비스를 위하여 다수의 내부통역자(32)와 다수의 개인통역자(12)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34)를 구비한 통역서비스센터(30)와 통역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복수의 내국인(22) 및 복수의 외국인(24)을 다자간 전화통역을 위한 다수의 음성 입출력 포트와 통역서비스를 위해 접속하기 위한 통역서비스센터(30) 및 해당 통역언어의 개인통역자(12)를 직접 접속하기 위한 원터치 키를 구비한 전화단말기(20), 그리고 상기 통역서비스센터(30)의 데이터 베이스(34)에 정보가 등록된 다수의 개인통역자(12)가 공중전화망(PSTN)(10)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다자간 전화통역시스템을 구비하여 다자간 전화단말기를 이용하여 공중전화망과 같은 특정 서비스 망을 통한 전화통역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다양한 외국어에 대한 통역서비스를 실시간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내부통역자(32)와 직접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내부통역자(32) 및 다수의 개인통역자(12)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34)를 구비하는 통역서비스센터(30)와 상기 통역서비스센터(30)로 통역서비스를 요청하는 전화단말기(20)가 공중전화망(10)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다.
상기 통역서비스 요청자인 내국인 또는 외국인의 요청은 전화단말기(20)로부터 외국어 통역서비스에 대한 요청 신호로서, 공중전화망(10)을 통하여 통역서비스센터(30)에 접속하고, 데이터 베이스(34) 정보를 검색하여 유기적으로 상호 접속됨으로서 통역서비스를 실시하게 된다.
상기 통역서비스센터(30)로부터 제공되는 외국어 통역서비스는 외국인 관광객의 방문이 빈번한 호텔 등에서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다수의 내국인들과 다수의 외국인들이 회의를 하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다수의 내국인들(22)과 다수의 외국인들(24)이 회의실 등에서 회의를 하고자 하는 경우, 회의실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유선 또는 무선 전화단말기(무선전화단말기인 경우에는 공중전화망 대신에 무선전화망을 사용)를 사용하여 통역서비스를 요청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화단말기(20)와 통역서비스센터(30)간에 통화로가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전화단말기(20)의 스피커 또는 이어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음성출력 포트를 통하여 회의자들 각각의 이어폰 스피커부로 통역서비스센터(30)로부터 제공 가능한 통역서비스 안내가 출력된다(한편 문자의 표시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전화단말기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요청자에게 통역을 원하는 언어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요청자(회의자)는 통역서비스를 원하는 언어를 선택하여 대응되는 키를 누른다. 그러면 전화단말기(20)는 대응되는 키신호를 통역서비스센터(30)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통역서비스센터(30)가 해당통역언어의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고 연결가능한 통역자를 확인하게 된다.
상기 통역서비스센터(30)가 구비하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34)의 구조는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화통역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역 서비스센터의 데이터 베이스 구성도로서, 상기 통역서비스를 요청한 전화단말기(20)에서 선택한 통역언어넘버에 대응하는 통역서비스 언어가 할당되며, 각 통역서비스 언어별로 구분넘버를 가지는 다수의 내부 및 외부 통역자들의 전화번호 및 관련 정보들이 등록되며, 통역자들의 전화번호 각각에는 실시간으로 갱신되어 현재 연결가능 여부를 표시하는 플래그로 구성된다. 또한 도면에는 구분하여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역서비스센터(30)에서 실시간으로 연결 가능한 내부통역자(32)가 없는 경우에 통역서비스를 요청한 전화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개인통역자(12) 정보를 구비한다.
즉, 통역서비스센터(30)에서는 세계 각국의 언어구사가 가능한 통역자를 직통으로 연결한 다수의 내부통역자들(32)을 배치시켜, 외부로부터 통역서비스 요청이 발생하면, 통역서비스 요청자와 통역서비스 요청자가 선택한 언어권의 통역사를 핫-라인(hot-line)으로 연결한다. 이처럼 핫-라인으로 회의 시스템과 연결된 통역사는 회의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의사소통이 실시간으로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역서비스를 수행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역서비스센터(30)에서 실시간으로 연결 가능한 내부통역자(32)가 없는 경우에 상기 통역서비스센터(30)의 데이터 베이스(34)에 구비된 개인통역자(12) 정보를 통역서비스를 요청한 전화단말기(20)로 제공하여, 상기 전화단말기(20)로 하여금 실시간 통역서비스가 가능한 개인통역자(12)로 직접 접속하여 통역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자간 전화통역서비스를 제공하는 전화단말기의 제어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자간 전화통역서비스를 제공하는 전화단말기의 제어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자간 전화통역서비스를 제공하는 전화단말기의 메모리 구성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역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자간 전화단말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2의 200단계에서 도 1의 전화단말기(20)의 제어부(미도시함)는 후크오프 동작을 감지한다. 상기 후크오프가 감지되면 상기 전화단말기(20)의 제어부는 202단계에서 통역서비스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통역서비스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208단계의 통역서비스센터(30)로의 자동다이얼링을 수행하며, 상기 통역서비스 모두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204단계로 진행하여 통역서비스 모드 설정키 입력을 대기한 후 상기 통역서비스 모드 설정키 입력이 발생하면 208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는 208단계의 통역서비스센터(30)로 자동다이얼링을 수행한다. 상기 208단계의 자동다이얼링은 전화단말기(20)에 통역서비스 모드키가 기 설정되어 있거나, 설정되는 경우에 통역서비스센터(30)의 대표전화로 자동 다이얼링 되는 것이다. 이후 210단계에서 통화로를 형성하고 212단계에서 사용자의 통역서비스언어 선택입력에 따른 통역서비스센터(30)로 신호를 송출한다. 이에 따라 통역서비스센터(30)에서 해당통역언어 데이터 베이스(34) 검색에 따른 연결가능 내부통역자(32)를 확인하고 선택된 언어통역자와 핫라인을 연결하면, 214단계에서 선택된 언어통역자와 연결하고, 216단계에서 통화 및 통역서비스를 실시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300단계에서 도 1의 전화단말기(20)의 제어부(미도시함)는 후크오프 동작을 감지한다. 상기 후크오프가 감지되면 상기 전화단말기(20)의 제어부는 302단계에서 통역서비스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통역서비스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308단계의 통역서비스센터(30)로의 자동다이얼링을 수행하며, 상기 통역서비스 모두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304단계로 진행하여 통역서비스 모드 설정키 입력을 대기한 후 상기 통역서비스 모드 설정키 입력이 발생하면 308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는 308단계의 통역서비스센터(30)로 자동다이얼링을 수행한다. 상기 308단계의 자동다이얼링은 전화단말기(20)에 통역서비스 모드키가 기 설정되어 있거나, 설정되는 경우에 통역서비스센터(30)의 대표전화로 자동 다이얼링 되는 것이다. 이후 310단계에서 통화로를 형성하고 312단계에서 사용자의 통역서비스언어 선택입력에 따른 통역서비스센터(30)로 신호를 송출한다. 이에 따라 통역서비스센터(30)에서 해당통역언어 데이터 베이스(34) 검색에 따른 연결가능 내부통역자(32)를 확인하여 실시간으로 연결가능한 내부통역자(32)가 없는 경우에 검색된 연결가능한 개인통역자(12)의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된 연결가능한 개인통역자(12)로 자동다이얼링을 수행한다. 그리고 316단계에서 연결된 해당 언어 개인통역자(12)와 연결하고, 3186단계에서 통화 및 통역서비스를 실시한다.
즉, 상기 전화단말기(20)는 복수의 외국어 통역서비스에 원터치 키로써 접속하기 위해 메모리에 상기 원터치 통역서비스 수행을 위한 복수의 외국어 통역서비스 개인통역자(12)의 연결 전화번호를 저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화통역시스템의 통역서비스센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개인통역자(12)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메모리의 상기 소정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개인통역자(12)로 자동 다이얼링하여 상기 개인통역자(12)와 통역서비스를 수행하며, 다수의 음성 입출력 포트를 구비하여 다수의 내국인들과 다수의 외국인들이 동시에 상기 통역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다자간 전화단말기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 국의 언어에 대한 통역서비스를 다수의 내국인들 및 다수의 외국인들에게 동시에 동일 장소에 동일 내용을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인원이 참여하는 회의 시스템에 통역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전화단말기를 이용한 다자간 통역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전화단말기로부터의 통역서비스 요청에 따라 통역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제공 가능한 통역서비스를 안내하고,
    상기 전화단말기로부터의 통역서비스 언어 선택에 따라 해당 통역언어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연결가능한 통역자를 검색하여,
    직접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내부통역자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통역자 정보를 상기 통역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전화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해당 통역언어 데이터 베이스 검색결과 연결 가능한 내부통역자가 없으면 연결 가능한 개인통역자 정보를 제공하는 통역서비스센터와;
    상기 통역서비스센터의 데이터 베이스에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전화단말기로부터의 접속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전화단말기로 통역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통역자와;
    상기 통역서비스센터로 통역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통역서비스센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내부통역자 또는 상기 개인통역자 정보를 분석하고 통화로 형성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통역서비스를 수행하는 다자간 전화단말기와;
    소정 통신규약에 따라 상기 통역서비스센터와 상기 개인통역자 및 상기 다자간 전화단말기간의 접속 및 상호 통화로 형성을 제공하는 공중전화망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전화통역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통역서비스 되는 통역언어에 따라 다수의 내부통역자들 및 다수의 개인통역자들을 구분하고,
    상기 다수의 내부통역자들 및 다수의 개인통역자들의 전화번호 및 연결가능 정보를 실시간으로 갱신하며,
    상기 사용자 전화단말기로부터의 통역서비스 언어 선택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상기 다수의 내부통역자 중 연결가능한 내부통역자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전화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다수의 내부통역자 중 연결가능한 내부통역자가 없는 경우 상기 다수의 개인통역자들 중 연결가능한 개인통역자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전화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관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전화통역시스템.
  4. 다자간 통역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자간 전화통역시스템의 전화단말기에 있어서,
    복수의 외국어 통역서비스에 원터치 키로써 접속하기 위해 상기 원터치 통역서비스 수행을 위한 복수의 외국어 통역서비스 개인통역자 연결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구비하여,
    상기 전화통역시스템의 통역서비스센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개인통역자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메모리의 상기 소정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개인통역자로 자동 다이얼링하여 상기 개인통역자와 통역서비스를 수행하고,
    다수의 음성 입출력 포트를 구비하여 다수의 내국인들과 다수의 외국인들이 동시에 상기 통역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전화단말기.
KR10-2001-0076621A 2001-12-05 2001-12-05 다자간 전화통역시스템 및 그를 위한 전화단말기 KR100440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621A KR100440827B1 (ko) 2001-12-05 2001-12-05 다자간 전화통역시스템 및 그를 위한 전화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621A KR100440827B1 (ko) 2001-12-05 2001-12-05 다자간 전화통역시스템 및 그를 위한 전화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1699A KR20020001699A (ko) 2002-01-09
KR100440827B1 true KR100440827B1 (ko) 2004-07-21

Family

ID=19716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621A KR100440827B1 (ko) 2001-12-05 2001-12-05 다자간 전화통역시스템 및 그를 위한 전화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08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505A (ko) 2015-01-29 2016-08-08 이규범 다자간 통화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310B1 (ko) * 2014-10-17 2015-04-28 천영진 위치기반 실시간 동시통역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304A (ko) * 2000-02-17 2000-06-05 황용안 전화통역서비스시스템
KR20000049875A (ko) * 2000-01-27 2000-08-05 황용안 회원인증식원격전화통역서비스시스템
KR20000063812A (ko) * 2000-08-04 2000-11-06 김강구 지원장치를 이용한 원격통역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38441A (ko) * 2000-11-17 2002-05-23 진성산 휴대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역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020045356A (ko) * 2000-12-08 2002-06-19 조정남 전화를 이용한 통역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875A (ko) * 2000-01-27 2000-08-05 황용안 회원인증식원격전화통역서비스시스템
KR20000030304A (ko) * 2000-02-17 2000-06-05 황용안 전화통역서비스시스템
KR20000063812A (ko) * 2000-08-04 2000-11-06 김강구 지원장치를 이용한 원격통역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38441A (ko) * 2000-11-17 2002-05-23 진성산 휴대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역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020045356A (ko) * 2000-12-08 2002-06-19 조정남 전화를 이용한 통역 서비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505A (ko) 2015-01-29 2016-08-08 이규범 다자간 통화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1699A (ko) 2002-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68423B2 (ja) 音声認識を通じて構築された個人電話番号簿データベースを利用した音声自動接続サービス方法
KR20080021003A (ko) 전화 장치 및 전화 장치의 제어 방법
US96809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channel augmented auto attended voice response systems
US7272415B2 (en) Telephone system enabling operation of a telephone set by way of a portable terminal
KR20200143194A (ko) 상담 전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
JP2006506919A (ja) 統合通信id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010007833A (ko) 네트웍 기반 수신자 선택형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440827B1 (ko) 다자간 전화통역시스템 및 그를 위한 전화단말기
KR20010100037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 전화번호부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JP2003110702A (ja) 通訳支援システム
KR100424508B1 (ko) 음성인식을 통한 무선인터넷 사이트 접속 방법
JP2006229490A (ja) テレビ通話システム、これに用いるctiサーバおよびテレビ通話プログラム
KR2006009729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0148524B1 (ko) 전화기의 지역번호 자동검색 및 발신 제어방법
KR100493931B1 (ko) 맞춤형 개인용 전화번호 관리 서비스 및 전화 연결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41267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무인자동교환 시스템 및 그 방법과착신통화전환방법
KR100763306B1 (ko) 통합통신 id의 통신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420773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한 실시간 통화 중 음성 정보 서비스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2105018A (ja) 関係者情報表示システム、通信端末、関係者情報表示方法および関係者情報表示プログラム
KR100505090B1 (ko) 인터넷도메인주소 안내시스템 및 안내방법
US20040081138A1 (en) Method for associating subscriber numbers to messenger services
JP5266144B2 (ja) 複数端末通話システム、複数通話提供装置、複数端末通話方法及び複数端末通話プログラム
KR100810752B1 (ko) 통합통신 id의 호접속용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호접속 시스템과 호접속 방법
KR100846563B1 (ko)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및그 시스템
KR20070035883A (ko)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연결음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