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0734B1 - 한지형 잔디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한지형 잔디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0734B1
KR100440734B1 KR10-2001-0066782A KR20010066782A KR100440734B1 KR 100440734 B1 KR100440734 B1 KR 100440734B1 KR 20010066782 A KR20010066782 A KR 20010066782A KR 100440734 B1 KR100440734 B1 KR 100440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ss
cold
seed
day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6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4950A (ko
Inventor
김두환
이재필
조용인
Original Assignee
김두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환 filed Critical 김두환
Priority to KR10-2001-0066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0734B1/ko
Publication of KR20030034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4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7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4Sheets, multiple sheets or m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지형 잔디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한지형 잔디 종자를 침지하는 침지 공정; 상기 침지 공정을 거친 상기 한지형 잔디 종자를 보관하는 보관 공정; 상기 보관 공정을 거친 상기 한지형 잔디 종자를 자연 건조 및 온풍 건조 중 적어도 하나의 건조 방법에 의하여 상기 한지형 잔디 종자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 공정; 상기 건조 공정을 거친 상기 한지형 잔디 종자를 토양개량제인 프로파일(Profile)과 혼합한 후, 파종을 하는 파종 공정; 및 부직포를 이용하여 상기 파종된 토양을 피복하는 피복 공정;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한지형 잔디 시공방법{Method for constructing the lawn}
본 발명은 한지형 잔디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최적의 침지 및 건조 공정을 수행한 한지형 잔디 종자에 파종 직전 소정비율로 토양개량제를 혼합하여 파종한 후 부직포를 이용하여 피복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경제적, 시간적 낭비 없이 균일한 한지형 잔디를 시공하기 위한, 한지형 잔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잔디 파종에 의한 잔디 시공공정을 도 1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종래의 종자침지 공정을 나타내는 사진도이고, 도 2 는 종래의 건조 공정을 나타내는 사진도이고, 도 3 은 종래의 차광막 피복 공정을 나타내는 사진도이고, 도 4 는 종래의 차광막 피복 공정을 거친 잔디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도이며 도 5 는 종래의 잔디 시공방법에 의해 조성된 잔디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도이다.
종래의 잔디 파종은 상기 도 1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소정기간 잔디 종자를 물에 침지하여 상기 잔디 종자가 발아할 수 있도록 하는 침지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침지되어 있는 잔디 종자를 상기 도 2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채로 종자를 걸러 중력수만 제거하는 건조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건조 공정이 수행된 잔디 종자를 토양양생재 및 비료분 등과 적정비율로 배합하여 살포하고, 로라로 가볍게 다져주거나 로라가 없으면 삽 뒷등으로 잘 다져 주어서 상기 잔디 종자가 밑에서 올라오는 수분을 잘 흡수 할 수 있도록 해주어는 파종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파종 공정을 수행한 후, 상기 파종된 종자의 보온, 보습 및 유실을 방지하고 발아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비닐재질로 이루어진 차광막을 약 20 일 내지 30 일 정도 설치하고, 발아된 잔디가 상기 차광막에 끼여 차광막 제거시 잔디가 뽑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차광막 피복 후 잔디가 1 내지 2 ㎝ 정도 성장하였을 때 주기적으로 상기 차광막을 들어주는 차광막 설치 공정을 수행한다.
파종 후 약 20 일이 경과하면 상기 도 4 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발아가 되며 파종 후 30 일이 경과하면 상기 차광막을 제거하면 상기 도 5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잔디면이 조성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잔디 파종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파종후 충분한 습도 유지를 위해 7-10일 토양 2cm 이상 깊이로 관수를 1일 1-2회 해야 하는 바, 규칙적인 관수가 어려운 지역에서는 종자 발아속도, 발아율 및 균일도가 저하되어 잔디면의 조성기간이 길어지는 원인이 된다.
둘째 침지 후 중력수를 제거하여 파종할 경우 종자가 엉겨붙어 기계파종이 곤란하다. 또한 온풍 또는 그늘 건조후 파종은 침지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셋째 초기 발아속도, 발아율 및 균일도를 높이기 위해 파종 후 차광율 50% 이상의 차광막 피복 및 들어주기 등의 작업을 함으로써 재료비 및 인건비의 추가 투입이 필요하다. 특히 차광막 들어주기 및 제거시 어린 잔디가 스트레스를 받거나 손상된다.
넷째 파종 후 잔디면 조성시까지 4-6개월 이상의 기간이 소요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지형 잔디의 잔디면 조성을 위한 최적의 침지, 건조, 파종 및 피복 공정을 이용하여 단기간내에 저렴한 비용으로 균일한 한지형 잔디면을 조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종자침지 공정을 나타내는 사진도.
도 2 는 종래의 건조 공정을 나타내는 사진도.
도 3 은 종래의 차광막 피복 공정을 나타내는 사진도.
도 4 는 종래의 차광막 피복 공정을 거친 잔디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도.
도 5 는 종래의 잔디 시공방법에 의해 조성된 잔디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지 공정을 나타내는 사진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100%의 습도에서 3일동안 보관 공정을 거친 한지형 잔디 종자의 사진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풍 건조 공정을 수행한 한지형 잔디 종자의 사진도.
도 9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종 직전 한지형 잔디 종자와 프로파일을 혼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파종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직포를 이용한 피복 공정을 나타내는 사진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종일로부터 4 일이 경과된 잔디면을 나타내는 사진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종일로부터 9 일이 경과된 잔디면을 나타내는 사진도.
도 1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종일로부터 24 일이 경과된 잔디면을 나타내는 사진도.
도 1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성된 잔디면을 나타내는 사진도.
도 16 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습도 100%로 3일동안 보관 후 파종한 경우 종자발아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도.
도 17 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습도 100%, 20℃, 6일 및 반투명의 광환경에서 한지형 잔디 종자의 발아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도.
도 18 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습도 100%, 20℃, 6일 및 불투명의 광환경에서 한지형 잔디 종자의 발아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도.
도 19 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습도 100%, 4℃, 6일 및 반투명의 광환경에서 한지형 잔디 종자의 발아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도.
도 20 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습도 100%, 4℃, 6일 및 불투명의 광환경에서 한지형 잔디 종자의 발아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도.
도 21 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습도 100%, 25℃, 6일 및 반투명의 광환경에서 한지형 잔디 종자의 발아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도.
도 22 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습도 100%, 25℃, 6일 및 불투명의 광환경에서 한지형 잔디 종자의 발아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도.
도 23 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습도 100%, 30℃, 6일 및 반투명의 광환경에서 한지형 잔디 종자의 발아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도.
도 24 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습도 100%, 30℃, 6일 및 불투명의 광환경에서 한지형 잔디 종자의 발아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지형 잔디 조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한지형 잔디 종자를 침지하는 침지 공정; 상기 침지 공정을 거친 상기 한지형 잔디 종자를 보관하는 보관 공정; 상기 보관 공정을 거친 상기 한지형 잔디 종자를 자연 건조 및 온풍 건조 중 적어도 하나의 건조 방법에 의하여 상기 한지형 잔디 종자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 공정; 상기 건조 공정을 거친 상기 한지형 잔디 종자를 토양개량제인 프로파일(Profile)과 혼합한 후, 파종을 하는 파종 공정; 및 부직포를 이용하여 상기 파종된 토양을 피복하는 피복 공정; 을 포함하되, 상기 침지 공정은, 온도가 20℃ 내지 25℃이고, 기간이 6일 내지 9일인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관 공정은, 온도가 20℃이고, 기간이 3일이고, 습도가 100%이고, 반투명인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 공정을 거친 한지형 잔디 종자 대 토양개량제인 프로파일의 혼합 비율은 1:2 이고, 상기 부직포는 OB16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지형 잔디 조성 방법은 침지, 보관, 건조, 파종 및 피복 공정을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한지형 잔디 조성 방법의 일실시예를 각각의 공정 및 도 6 내지 도 15 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지 공정을 나타내는 사진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100%의 습도에서 3일동안 보관 공정을 거친 한지형 잔디 종자의 사진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풍 건조 공정을 수행한 한지형 잔디 종자의 사진도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종 직전 한지형 잔디 종자와 프로파일을 혼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도이고, 도 10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파종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도이고, 도 1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직포를 이용한 피복 공정을 나타내는 사진도이고, 도 1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종일로부터 4 일이 경과된 잔디면을 나타내는 사진도이고, 도 1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종일로부터 9 일이 경과된 잔디면을 나타내는 사진도이고, 도 1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종일로부터 24일이 경과된 잔디면을 나타내는 사진도이며, 도 1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성된 잔디면을 나타내는 사진도이다.
제 1 공정: 침지 공정.
본 실시예에 따른 한지형 잔디 종자의 침지 공정은 상기 도 6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온도는 4℃ 내지 35℃, 바람직하게는 20℃이고, 기간은 3일 내지 9일, 바람직하게는 6일인 환경에서 침지 공정을 거치며 침지기간 동안 물을 2-3회 교체해 주며 부대에 넣어 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공정: 보관 공정.
상기 침지 공정을 거친 한지형 잔디 종자는 온도는 4℃ 내지 35℃, 바람직하게는 20℃이고, 기간은 3일 내지 9일, 바람직하게는 3일이고, 습도는 3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100%이고, 명암은 반투명 또는 불투명, 바람직하게는 반투명인 환경에서 보관 공정을 거치며 100%의 습도에서 3일동안 보관 공정을 거친 한지형 잔디 종자는 상기 도 7 에 예시된 바와 같다.
제 3 공정: 건조 공정.
상기 보관 공정을 거친 한지형 잔디 종자는 그늘에서 자연 건조(중력수 제거) 방법으로 건조 공정을 거치는 바, 상기 한지형 잔디 종자가 고온에 의한 피해를 입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연 건조 방법에 의하여 상기 한지형 잔디 종자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바, 온풍 건조에 의하여 상기 한지형 잔디 종자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할 수도 있다.
상기 건조 공정을 거친 한지형 잔디 종자는 상기 도 8 에 예시된 바와 같다.
제 4 공정: 파종 공정.
상기 건조 공정을 거친 한지형 잔디 종자를 상기 도 9 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토양개량제인 프로파일(Profile)과 소정비율, 바람직하게는 종자 대 프로파일 비율이 1:2 로 파종직전에 혼합하여 상기 도 10 에 예시된 바와 같이 파종 공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한지형 잔디 종자와 상기 프로파일을 소정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상기 한지형 잔디 종자에 포함되어 있는 습기가 제거되어 파종하기에 좋은 상태가 되는 바, 상기 도 10 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기계파종도 가능하게 된다.
제 5 공정: 피복 공정.
상기 제 4 공정에 의한 파종이 완료되면, 상기 도 11 에 예시된 바와 같이 OB16이라는 흰색 부직포를 이용하여 파종된 토양 위를 피복하는 피복 공정을 거친다.
상기 피복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관수에 의한 종자의 흩어짐을 방지하고, 발아세를 촉진하며 발아율을 향상시킨다.
종래에는 검은색은 비닐 재질을 이용하여 차광 공정을 수행하였으나 잔디가 차광막에 끼어 차광막 제거시 잔디가 뽑히는 현상이 발생하였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차광막 피복후 잔디가 1-2cm 정도 성장하면 차광막을 주기적으로 들어올리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를 이용함으로써 이러한 불편을 감소할수 있게 되었다.
상기 피복 공정을 거친 후, 주기적인 관수 및 비료 공급을 통해 한지형 잔디면이 조성되게 되는 바, 상기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파종 후 4 일이 경과된 잔디면을, 상기 도 13 은 파종일 후 9 일이 경과된 잔디면을, 도 14 는 파종일 후 24 일이 경과된 잔디면 그리고 도 15 는 완성된 잔디면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잔디면을 나타내는 상기 도 15 와 종래의 방법에 의해 완성된 잔디면을 나타내는 상기 도 5 를 비교해 보면, 본 발명을 이용하여 한지형 잔디를 시공함으로써 초기 잔디 피해가 적고 상기 한지형 잔디의 균일한 생육이 보장됨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각의 공정에서의 최적 조건을 찾기 위한 실험예를 도 16 내지 도 24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습도 100%로 3일동안 보관 후 파종한 경우 종자발아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도이고, 도 17 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습도 100%, 20℃, 6일 및 반투명의 광환경에서 한지형 잔디 종자의 발아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도이고, 도 18 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습도 100%, 20℃, 6일 및 불투명의 광환경에서 한지형 잔디 종자의 발아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도이고, 도 19 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습도 100%, 4℃, 6일 및 반투명의 광환경에서 한지형 잔디 종자의 발아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도이고, 도 20 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습도 100%, 4℃, 6일 및 불투명의 광환경에서 한지형 잔디 종자의 발아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도이고, 도 21 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습도 100%, 25℃, 6일 및 반투명의광환경에서 한지형 잔디 종자의 발아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도이고, 도 22 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습도 100%, 25℃, 6일 및 불투명의 광환경에서 한지형 잔디 종자의 발아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도이고, 도 23 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습도 100%, 30℃, 6일 및 반투명의 광환경에서 한지형 잔디 종자의 발아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도이며, 도 24 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습도 100%, 30℃, 6일 및 불투명의 광환경에서 한지형 잔디 종자의 발아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도이다.
상기 침지 공정에서 침지 온도 및 기간이 한지형 잔디의 발아속도 및 발아율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의 표 1 에 기재된 바와 같다. 표 1 에서 X 는 종자 발아율을 의미한다.
온도(℃) 침지기간(일) 파종 후 발아일 수
3 4 5 6 7 8 9 10일 이상
4(냉장고) 3 - - - - - - - 10
6 - - - - - 10 - -
9 - - - - - - 10 -
20 (상온) 3 - - - 80 100 - - -
6 80 X 100 - - - - - -
9 - - - - 80 100 - -
25(챔버) 3 - - - - - 80 100 -
6 - - - - 80 100 - -
9 - - - - - 80 100 -
35(챔버) 3 - - - - - - - 10
6 - - - - - 10 - -
9 - - - - - - 10 -
상기 표 1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침지온도는 한지형 잔디의 생육적온인 20℃에서 발아속도 및 발아율이 높았으며 4℃와 35℃ 실험구에서는 오히려 발아속도가늦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침지 기간에 있어 9일 이상의 침지기간이 길어질수록 발아시기가 늦어지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는 바, 20℃에서 6일간 침지 처리가 발아속도 및 발아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보관 공정에서 20℃에서 6일 동안 침지한 한지형 잔디 종자의 발아속도 및 발아율에 대하여는 다음의 표 2 에 기재된 바와 같다. 표 2 에서 X 는 종자 발아율을 의미한다.
습도(%) 보관기간(일) 파종 후 발아일 수
1 2 3 4 5 6 7 8일 이상
30 3 - - - - 20 100 - -
6 - - - - - - 20 100
9 - - - - - - - -
50 3 - - - 20 100 - - -
6 - - - - - - 20 100
9 - - - - - - - -
100 3 100 X - - - - - - -
6 100 - - - - - - -
9 100 - - - - - - -
상기 표 2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습도에 상관없이 저장기간은 3일 처리가 6 및 9일 처리보다 발아속도가 빠른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습도는 100% 처리구가 30%, 50% 처리에 비해 상당히 빠르고, 상기 도 16 에 예시된 바와 같이 파종 1일 후부터 발아하였는 바, 따라서 습도 100%로 3일 동안 저장후 파종하면 발아속도 및 발아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 도 16 의 좌측은 종자 발아(솜털)를 나타내고 우측은 종자 발아(신초)를 나타내는 사진도이다.
또한, 상기 보관 공정에서 광환경이 상온 20℃에서 6일 침지된 후 습도 100%로 3일 밀봉 보관한 한지형 잔디의 발아속도 및 발아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는 다음의 표 3 에 기재된 바와 같다. 표 3 에서 X 는 종자 발아율을 의미한다.
광 및 암 조건 파종 후 발아일 수
1 2 3 4 5 6 7 8일 이상
투명 - - - - - - - -
반투명 100 - - - - - - -
불투명 - 100 - - - - - -
상기 표 3 에 예시된 바와 같이 투명과 불투명 처리 실험구보다 반투명 실험구의 발아율이 우수함을 알 수 있고 상기 도 17 은 본 실험예에 의한 한지형 잔디 종자의 발아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8 내지 도 24 는 대조구의 발아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표 3 에 예시된 바와 같이 투명 조건에서 100% 수분으로 밀봉 저장된 경우 한지형 잔디의 경우 발아가 전혀 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건조 및 파종 공정에서 토양 개량제인 프로파일(Profile)를 사용한 경우와 기존에 사용된 종자 건조 방법을 사용한 경우의 소요시간 및 작업의 난이도에 대하여는 다음의 표 4 에 기재된 바와 같다.
구분 소요시간 작업의 난이도 기계 파종
자연건조(중력수제거) 3 곤란 불가능
온풍 건조 6 보통 가능
프로파일 사용 혼합 후 즉시 쉬움 가능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시기의 유연성 증가하고 시공기간이 단축되고, 관수가 불가능한 척박지도 잔디면을 조성할 수 있고, 차광막 제거시 잔디의 스트레스 및 손상이 감소되고, 관수 횟수 및 관수량 감소로 관리비용 절약되고, 빠른 생장으로 잡초에 대한 경쟁력 증가하여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삭제
  2. 잔디 시공 방법에 있어서,
    한지형 잔디 종자를 침지하는 침지 공정;
    상기 침지 공정을 거친 상기 한지형 잔디 종자를 보관하는 보관 공정;
    상기 보관 공정을 거친 상기 한지형 잔디 종자를 자연 건조 및 온풍 건조 중 적어도 하나의 건조 방법에 의하여 상기 한지형 잔디 종자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 공정;
    상기 건조 공정을 거친 상기 한지형 잔디 종자를 토양개량제인 프로파일(Profile)과 혼합한 후, 파종을 하는 파종 공정; 및
    부직포를 이용하여 상기 파종된 토양을 피복하는 피복 공정; 을 포함하되,
    상기 침지 공정은,
    온도가 20℃ 내지 25℃이고, 기간이 6일 내지 9일인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형 잔디 시공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공정은,
    온도가 20℃이고, 기간이 3일이고, 습도가 100%이고, 반투명인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형 잔디 시공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공정을 거친 한지형 잔디 종자 대 토양개량제인 프로파일의 혼합 비율은 1:2 이고,
    상기 부직포는 OB16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형 잔디 시공방법.
KR10-2001-0066782A 2001-10-29 2001-10-29 한지형 잔디 시공방법 KR100440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782A KR100440734B1 (ko) 2001-10-29 2001-10-29 한지형 잔디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782A KR100440734B1 (ko) 2001-10-29 2001-10-29 한지형 잔디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950A KR20030034950A (ko) 2003-05-09
KR100440734B1 true KR100440734B1 (ko) 2004-07-15

Family

ID=29566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782A KR100440734B1 (ko) 2001-10-29 2001-10-29 한지형 잔디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07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9092A (zh) * 2018-06-22 2018-11-06 内蒙古蒙草生态环境(集团)股份有限公司 退化草地修复方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201A (ko) * 1986-07-29 1988-04-22 김교영 법면의 들잔디 식생대(植生袋)시공방법
KR930000009Y1 (ko) * 1990-09-20 1993-01-09 송영관 안마기
KR930021049A (ko) * 1992-04-30 1993-11-22 정동민 잔디종자의 발아촉진 처리방법
KR970064359A (ko) * 1996-03-22 1997-10-13 남대우 잔디 재배 방법
KR19990009173A (ko) * 1997-07-08 1999-02-05 허태학 잔디뗏장 재배방법
KR19990037779A (ko) * 1999-01-19 1999-05-25 김두환 잔디재배법
KR20010087556A (ko) * 2000-03-07 2001-09-21 김두환 피복에 의한 잔디관리 방법
KR20010105974A (ko) * 2000-05-19 2001-11-29 윤종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010113984A (ko) * 2000-06-20 2001-12-29 강진호 박 종자의 발아 및 출현율을 높이기 위한 파종전종자처리방법
KR20020022481A (ko) * 2000-09-20 2002-03-27 송연섭 잔디 재배 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201A (ko) * 1986-07-29 1988-04-22 김교영 법면의 들잔디 식생대(植生袋)시공방법
KR930000009Y1 (ko) * 1990-09-20 1993-01-09 송영관 안마기
KR930021049A (ko) * 1992-04-30 1993-11-22 정동민 잔디종자의 발아촉진 처리방법
KR970064359A (ko) * 1996-03-22 1997-10-13 남대우 잔디 재배 방법
KR19990009173A (ko) * 1997-07-08 1999-02-05 허태학 잔디뗏장 재배방법
KR19990037779A (ko) * 1999-01-19 1999-05-25 김두환 잔디재배법
KR20010087556A (ko) * 2000-03-07 2001-09-21 김두환 피복에 의한 잔디관리 방법
KR20010105974A (ko) * 2000-05-19 2001-11-29 윤종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010113984A (ko) * 2000-06-20 2001-12-29 강진호 박 종자의 발아 및 출현율을 높이기 위한 파종전종자처리방법
KR20020022481A (ko) * 2000-09-20 2002-03-27 송연섭 잔디 재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950A (ko) 200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692926B (zh) 一种鹿茸草无纺布袋育苗方法
KR100440734B1 (ko) 한지형 잔디 시공방법
US20220217926A1 (en) Methods for cultivating sphagnum
US3988858A (en) Method of cultivating epiphytically growing plants
CN110754229A (zh) 一种疏花水柏枝穴盘扦插繁殖方法
CN110839492A (zh) 一种丹参漂浮育苗方法
JP2022019836A (ja) 水稲の育苗方法
CN107173027A (zh) 一种瓜叶菊的养殖方法
JP7236704B2 (ja) 苔の培養方法
CN111448978B (zh) 一种人工光变光控制的欧洲报春穴盘育苗方法
JP3605198B2 (ja) 軟白ねぎの栽培方法および該方法に用いる遮光材
KR100475291B1 (ko) 씨앗발아대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587750A (zh) 水稻大棚基质育秧方法
CN111788977B (zh) 一种提高柳杉实生苗成活率的种植方法
CN109757285A (zh) 速生树种容器苗的培育方法及应用
JP3234398U (ja) プランター構造
CN107371698A (zh) 一种培育夏季番茄壮苗的方法
KR100343003B1 (ko) 가정용 양액재배장치
Quail Slow-growing cacti from seed
Trinklein Starting plants indoors from seeds
CN115989777A (zh) 一种多年生稻秋播育秧方法
CN114009231A (zh) 一种突尼斯软籽石榴硬枝扦插快速育苗方法
CN104081972A (zh) 一种雪松的芽苗移植方法
KR101329365B1 (ko) 부드러운 식감을 갖는 해송 새순 재배 방법
CN118000071A (zh) 一种大葱育苗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