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3003B1 - 가정용 양액재배장치 - Google Patents

가정용 양액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3003B1
KR100343003B1 KR1020000020483A KR20000020483A KR100343003B1 KR 100343003 B1 KR100343003 B1 KR 100343003B1 KR 1020000020483 A KR1020000020483 A KR 1020000020483A KR 20000020483 A KR20000020483 A KR 20000020483A KR 100343003 B1 KR100343003 B1 KR 100343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rient solution
nutrient
present
outer container
cul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0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9626A (ko
Inventor
유서옥
Original Assignee
유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서옥 filed Critical 유서옥
Priority to KR1020000020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3003B1/ko
Publication of KR20000049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9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0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ponic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의 베란다나 실내에서 과채소류나 화훼류등을 양액으로 재배하는 양액재배장치를 새로이 제시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용기(10)와 그 내부 바닥층에 위치시킨 내부용기(20) 및 외부용기 내부에 채워지는 투수성 흙(30)으로 이루어지고, 외부용기는 스치로풀폼을 박스형상으로 성형한 형태로서 바닥에 양액의 원활한 흐름을 위한 골(11)이 격자형태로 형성되고, 바닥의 구석 테두리에 저면으로 뚫린 다수의 통수공(12)을 형성한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양액재배장치를 제시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일반 가정에서도 양액의 순환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양액 과부족에 따른 작물의 불완전 성장 문제가 해소되고, 작물의 지속적 성장과 고른 품질을 유지할 수 있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양액이 원활하게 순환됨으로서 기저부 양액의 부패가 방지된다. 또한, 자연토를 사용함으로서 양액 재배에 따른 거부감이 없고, 영양원으로서의 흙의 작용에 의해 일반 가정에서 쉽게 양액재배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가정용 양액재배장치{ HOMELIFE HYDROPONICS GROWING DEVICE}
본 발명은 아파트의 베란다나 실내에서 과채소류나 화훼류등을 양액으로 재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액재배는 비닐하우스등의 보온 시설내에 암면이나 펄라이트를 이루어지는 배지시설을 구비하여 계속적인 양액 순환과정을 통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방식으로서 일정한 규모의 보온 시설과, 양액 순환시설을 갖춘 대규모 영농단위에서 이루어지며, 온도조건 및 양액공급조건등이 매우 정밀하게 관리되어야 하는 까다로운 영농방법이라 할 수 있다.
최근 들어 이와 같은 양액재배기법을 일반 가정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정용 수경재배장치등이 제시됨으로서 일반 가정에서도 각종 작물을 직접 재배하여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길이 열리고 있다.
그러나 수경재배는 양액의 순환을 전제로한 작물재배방법으로 일반가정에서는 양액의 순환을 위한 시설을 구비하는데 공간이 부족하고 시설하는데 따른 비용부담이 커지고, 양액의 조절 및 순환을 제어하는데 따른 고도의 기술을 구현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갖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일반 가정에서는 상자 또는 화분 형태의 간편한 양액재배용기에 펄라이트나 압면등을 채워 배지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재배 기법 또한 작물의 성장 상태에 따른 양액의 수급을 정밀하게 조절하는 방식이 아니고 하루 또는 이틀간격으로 양액을 부어주는 형태로 재배하고 있다.
따라서, 양액의 건조 및 과부족이 주기적으로 발생하여 작물의 성장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양호한 품질을 얻을 수 없으며, 용기의 바닥에 누적된 양액이 쉽게 부패되고, 그에 따른 병해충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스치로풀폼으로 제조되고 측하방 구석부분에 양액배출구를 갖는박스형 외부용기와 양액을 일시저장하여 공급하기 위한 내부 용기를 각 구비하여 내부에 투습성이 양호한 흙을 채우는 구성의 양액재배장치를 새로이 제시함으로서 양액재배시의 양액 과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수분을 지속적으로 함유할 수 있도록 하여 양액공급시기에 관계 없이 일정한 수분 상태를 유지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양액이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하여 기저부 양액의 부패를 방지함으로서 종래의 가정용 양액재배 장치 또는 용기가 갖는 문제점을 해소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실시례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을 보이기 의한 측단면 상태도
도2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형태를 보인 평면 상태도
본 발명에 의한 식물의 재배 상태도
도3은 키큰 작물을 대상으로 하는 재배장치의 실시례도
*주요부호의 설명
10.외부용기 11.골 12.통수공
20.내부용기 30.흙
도1 및 2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형태를 도시하기 위한 곳으로 본 발명은 외부용기(10)와 그 내부의 바닥층에 위치시킨 내부용기(20)로 이루어진다.
외부용기 스치로풀폼을 박스형상으로 성형한 형태로서 바닥에 양액의 원활한 흐름을 위한 골(11)이 격자형태로 형성되고, 바닥의 구석 테두리에 저면으로 뚫린 다수의 통수공(12)이 형성된다.
스치로풀폼은 작물의 성장 조건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시키고, 실내 온도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작물의 위축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적인 작물의 재배온도인 10-30℃를 효과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가벼운 소재로서 재배도중 바닥층의 청소나 이동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바닥부에 형성한 골은 용기내에서 양액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여 정체에 따른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으로 흘러내린 양액은 골을 타고 구석으로 흐르면서 통수구를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통수공은 양액의 지속적 배출과 외부공기의 유입을 통하여 양액의 변패를 방지하고, 작물 뿌리에 충분한 공기를 공급시키기 위한 것으로 외부용기를 75X45cm크기의 바닥면으로 구성할 경우 장변측에 3개와 단변측에 2개 정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경우 각 통수공의 단면적이 6㎠ 내외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통수공의 수가 이보다 많으면 양액의 체류시간이 짧아져 양액의 효율성이 감소되고, 이보다 작으면 공기의 흡수량이 부족하고 양액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지 않기 때문이다.
동일한 이유로 각 통수공의 단면적도 6㎠ 내외가 바람직하며, 폭이 넓은 장방형 형태로 유지함으로서 양호한 실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내부용기(20)는 장방형 쟁반 형태로서 양액을 일시 저장하여 용기내부의 건조를 방지하고, 작물의 뿌리를 통한 지속적인 양액 흡수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한 내부용기는 스치로품폼으로 성형되고, 용기바닥으로 부터의 높이가 1cm내외가 되도록 구성된다.
용기바닥으로 부터의 높이가 1cm이상이 되면 저류할 수 있는 양액의 량이 많아지는 효과는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 용기내부의 습도를 지나치게 높임으로서 뿌리를 상하게 하거나 썩게 하고, 양액자체의 부패도 촉진시키기 때문에 1cm내외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내부용기는 하루 또는 이틀간격으로 이루어지는 양액 재공급시기동안 저류한 양액을 거의 소비하게 되며, 양액 재공급시 남아 있는 양액이 있다 하더라도 공급된 양액과 섞여 흘러넘치게 됨으로 양액재공급시마다 교환이 이루어 지며, 그에 따라 양액의 부패가 방지된다.
상기한 내부용기(20)는 외부용기(10)의 바닥층에 깔고, 모래를 포함하는 투수성이 좋은 흙(30)을 채운 상태에서 묘판으로 부터 키운 어린 묘를 이식하여 식재하거나 처음부터 씨앗을 뿌린 후 발아 시키는 방법으로 사용된다.
양액은 어린 묘목을 이식한 후부터 적은 양을 하루 2-3차례공급하거나 흙에 스며들도록 충분한 양을 공급할 경우 1-2일 간격으로 공급한다.
양액은 물에 여러가지 양액을 희석하여 만드는 것으로 희석수로 사용하는 물은 순수한 지하수를 사용하거나 pH 7-7.5 에 드는 수도물을 사용할 수 있다.
도3는 본 발명에 의한 양액재배장치를 사용하여 엽채류를 재배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내부에 채운 흙이 충분히 적셔지도록 양액을 공급하면, 공급된 양액의 일부는 채워진 흙에 의해 저류되고, 일부는 내부용기에 채워지며, 바닥으로 내려간 양액은 바닥에 형성된 골을 타고 통수공을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흙에 저류된 양액 및 내부용기에 채워진 양액이 지속적으로 식물의 뿌리를 통하여 흡수됨으로서 양액재배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4은 토마토와 같은 키큰 과채류의 재배에 적합한 형태의 재배장치 실시례로서 이들 식물은 뿌리를 깊게 내리기 때문에 외부용기의 높이를 일반 채소류보다 높게 형성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작물에 공히 적용할 수 있으며, 약간의 재배 기술만 익히면 일반 가정에서 쉽게 양액에 의한 작물재배가 가능하게 된다.
예를들면, 베란다에 상기한 양액재배장치를 설치하여 야채류의 경우 야간 최저온도 7-8℃이상 유지시켜줌으로서 년중재배가 가능하고, 양액의 희석을 위한 물온도를 15-20℃로 유지시켜 줌으로서 거의 모든 채소나 과채류를 재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일반 가정에서도 양액의 순환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양액양액 과부족에 따른 작물의 불완전 성장 문제가 해소되고, 필요한 수분을 용기에 채운 흙 및 내부용기에 의해 저류함으로서 작물의 지속적 성장과 고른 품질을 유지할 수 있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양액이 원활하게 순환됨으로서 기저부 양액의 부패가 방지된다.
또한, 펄라이트나 암면을 사용하는 종래 양액재배 방식과 달리 자연토를 사용함으로서 양액 재배에 따른 거부감이 없고, 일반 양액 재배시와 달리 작물에 따른 양액의 종류와 량 조절, 공급시기등을 정확하게 조절하지 않더라도 영양원으로서의 흙의 작용에 의해 이들 불균형 요소들이 해소됨으로 일반 가정에서 쉽게 양액재배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외부용기(10)와 그 내부 바닥층에 위치시킨 내부용기(20) 및 외부용기 내부에 채워지는 투수성 흙(30)으로 이루어지고, 외부용기는 스치로풀폼을 박스형상으로 성형한 형태로서 바닥에 양액의 원활한 흐름을 위한 골(11)이 격자형태로 형성되고, 바닥의 구석 테두리에 저면으로 뚫린 다수의 통수공(12)을 형성한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양액재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내부용기(20)는 스치로풀폼을 성형한 장방형의 쟁반 형태로서 바닥으로 부터의 테두리 높이가 1cm내외가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양액재배장치.
KR1020000020483A 2000-04-18 2000-04-18 가정용 양액재배장치 KR100343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483A KR100343003B1 (ko) 2000-04-18 2000-04-18 가정용 양액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483A KR100343003B1 (ko) 2000-04-18 2000-04-18 가정용 양액재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626A KR20000049626A (ko) 2000-08-05
KR100343003B1 true KR100343003B1 (ko) 2002-07-02

Family

ID=19665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0483A KR100343003B1 (ko) 2000-04-18 2000-04-18 가정용 양액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30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471B1 (ko) 2008-04-14 2010-06-16 김용원 가정용 양액재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471B1 (ko) 2008-04-14 2010-06-16 김용원 가정용 양액재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626A (ko) 200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78046A1 (ja) 植物栽培方法及び施設
US6389751B1 (en) Plant cultivating apparatus using subirrigation
RU2635396C1 (ru) Способ гидропонного бессубстратного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KR101941891B1 (ko) 아쿠아포닉스 인삼 재배 시스템
JP2017029127A (ja) 固形有機堆肥培地基板兼鉢
JP2002125495A (ja) 溶液栽培装置
KR101248356B1 (ko) 조립식 양액베드
KR100343003B1 (ko) 가정용 양액재배장치
JPH0662688A (ja) 植物栽培構造及び該装置
JP7373467B2 (ja) 植物栽培方法
JP2001346459A (ja) 植物栽培方法と、植物栽培装置
KR101821014B1 (ko) 추비 가능한 교체비료팩을 갖는 식물 재배관리기
Bhullar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wick type and recirculation type substrate hydroponic systems for greenhouse tomatoes.
JP7366937B2 (ja) 植物の栽培方法及び植物の栽培装置
KR200273611Y1 (ko) 배지셀을 이용한 셀성목 재배관리기
KR200290527Y1 (ko) 실내외 장식용 초화 양액재배관리기
KR200246210Y1 (ko) 양액재배포트
JPH0410757Y2 (ko)
KR19990001509A (ko) 식물의 재배장치
KR200290526Y1 (ko) 팬스형 장식용 초화 양액재배 관리기
KR200274996Y1 (ko) 수경재배장치
KR960001079Y1 (ko) 연조립식 다기능 수경재배기
JP2023026781A (ja) 植物の栽培装置
Bernau et al. Organic and Sustainable Seedling Production: A Guide for Specialty Crop Growers
JPS63263024A (ja) 養液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