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527Y1 - 실내외 장식용 초화 양액재배관리기 - Google Patents

실내외 장식용 초화 양액재배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527Y1
KR200290527Y1 KR2019990001837U KR19990001837U KR200290527Y1 KR 200290527 Y1 KR200290527 Y1 KR 200290527Y1 KR 2019990001837 U KR2019990001837 U KR 2019990001837U KR 19990001837 U KR19990001837 U KR 19990001837U KR 200290527 Y1 KR200290527 Y1 KR 2002905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rient solution
container
solution container
liquid supply
nutr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18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6761U (ko
Inventor
영 성 왕
Original Assignee
영 성 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성 왕 filed Critical 영 성 왕
Priority to KR20199900018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527Y1/ko
Publication of KR200000167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7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5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5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 외 장식용 초화 양액재배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가로대와 세로대가 결합되어 소정의 비율로 구획된 계단식의 복수 지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급액관리틀과, 상기 급액관리틀의 지지공간에 배치되며 배지요소를 수용하여 상기 하측부 이하의 수위로 담겨진 양액을 항시 담액상태에서 공급하는 복수의 양액용기와, 상기 양액용기와 인접한 하방에 위치하여 소정양의 양액이 수용되어 있는 양액공급통과, 상기 양액을 상기 양액용기에 공급하기 위하여 일단부가 상기 양액용기에 위치하고 타단부가 상기 양액공급통에 위치하며, 상기 항시 담액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일단부가 상기 양액용기의 소정의 수위에 해당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급액관과, 상기 양액용기 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단부가 일측 양액용기의 수위에 배치되어 과잉분을 타단부에 위치한 타측 양액용기에게 공급하는 복수의 유통관과, 상기 유통관의 말단에 위치한 상기 양액용기로부터 상기 수위의 과잉분만을 상기 양액공급통으로 회수하기 위한 퇴액관과, 상기 급액관에 설치되고 상기 양액용기를 향하여 상기 양액공급통의 양액을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강제 펌핑시키는 순환펌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그동안 관리가 어려웠던 실내, 외 인테리어용 및 조경용 원예작물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되고, 그린인테리어 및 조경용의 대형화, 다단화 및 다양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원예작물에 보다 친숙해지고 실내, 외의 분위기를 원하는 대로 꾸밀 수 있는 기틀을 만듦으로서 그린인테리어 및 조경용으로의 소비시장을 확대해 나갈 수 있으며, 농가의 소득증대를 꾀할 수 있는 실내외 장식용 초화 양액재배관리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실내외 장식용 초화 양액재배관리기{FLOWERING PLANTS HYDRO CULTURE MANAGING APPARATUS TO ORNAMENT IN AND OUT PLACE}
본 고안은 실내, 외 장식용 초화 양액재배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개의 용기를 실내, 외에 설치되는 구조물, 장식물 등의 조형물에 결합하고, 원예작물이 식재된 배지셀을 용기에 담아 양액을 순환시켜 재배하도록 함으로써 실내, 외에서 생육하고 있는 인테리어 및 조경용 원예작물의 급액 및 제초 관리 문제를 해소하고 관리상의 문제로 대형화, 다단화할 수 없었던 그린인테리어 및 조경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실내, 외 장식용 초화 양액재배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인테리어 및 조경용 원예작물은 일반 배합토로 분에 식재하여 주기적인 관수와 시비를 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장기간 관리를 하지 못할 때에 원예작물이 시들거나 고사해버리는 문제점과 적절한 관수 관리를 못할 때에 과습으로 뿌리가 썩거나 건조로 말라 버리는 등, 일반 소비자들이 관리하기에 어려움이 많았다.
또, 그린인테리어 및 조경용에서 대형화를 시도할 경우 이동과 설치작업이 어렵고 설치 후 일반적인 급액관리가 용이하지 않아 설치 초기의 모습이 쉽게 망가져 버리고 다단화를 시도할 경우 높이 있는 식물의 급액 및 제초 관리의 문제로 쉽게 설치하지 못하는 등 매우 불리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급수 관리 뿐 아니라 제초 관리 및 작물의 교체 작업도 어렵고,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어 관리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유백색 PE필름을 이용한 자루재배가 실험되어 졌으나 배지의 오염과 장기간 재배시 공극율의 저하로 생육에 막대한 지장을 주는 등 재배상의 문제로 실용화되지는 못했고, 스치로폴용기 재배로 대체되어 일반 농가에서 재배되어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함 및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원예작물로 실내, 외를 장식하는 그린인테리어 및 조경의 효과를 증대시키면서, 급액 및 제초관리를 쉽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급액 및 제초 관리상의 문제로 실현되지 못하였던 그린인테리어 및 조경의 대형화, 다단화 및 다양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되는 실내, 외 장식용 초화 양액재배관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급액관리를 쉽게 함은 물론 그린인테리어 및 조경을 실내, 외 분위기 및 계절에 따라 쉽게 다양화시킬 수 있게 되는 실내, 외 장식용 초화 양액재배관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복수개의 가로대와 세로대가 결합되어 소정의 비율로 구획된 계단식의 복수 지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급액관리틀과, 상기 급액관리틀의 지지공간에 배치되며 배지요소를 수용하여 상기 하측부 이하의 수위로 담겨진 양액을 항시 담액상태에서 공급하는 복수의 양액용기와, 상기 양액용기와 인접한 하방에 위치하여 소정양의 양액이 수용되어 있는 양액공급통과, 상기 양액을 상기 양액용기에 공급하기 위하여 일단부가 상기 양액용기에 위치하고 타단부가 상기 양액공급통에 위치하며, 상기 항시 담액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일단부가 상기 양액용기의 소정의 수위에 해당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급액관과, 상기 양액용기 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단부가 일측 양액용기의 수위에 배치되어 과잉분을 타단부에 위치한 타측 양액용기에게 공급하는 복수의 유통관과, 상기 유통관의 말단에 위치한 상기 양액용기로부터 상기 수위의 과잉분만을 상기 양액공급통으로 회수하기 위한 퇴액관과, 상기 급액관에 설치되고 상기 양액용기를 향하여 상기 양액공급통의 양액을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강제 펌핑시키는 순환펌프를 포함하는 실내외 장식용 초화 양액재배관리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와 같은 배지셀과 셀 성목을 그린인테리어 및 조경용으로 적용함으로써 그린인테리어 및 조경용의 원예작물을 보다 쉽게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 본 고안의 중요한 과제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벽면형 재배관리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계단형 재배관리기의 종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배지셀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부분절결 사시도, 정면도 및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배지셀의 다른 실시예를 셀 성목이 식재된 상태에서 보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장식용 급액관리틀 20 : 양액용기
30 : 배지셀 50 : 양액 공급통
60 : 양액 순환수단 61 : 급액관
62 : 퇴액관 63 : 급액구
64 : 퇴액구 65 : 펌프
N : 양액 P : 작물
이하,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벽면형 재배관리기의 정면도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액(N)이 담기는 양액용기(20)가 장식용 급액관리틀(10)에 결합되고, 양액용기(20)의 내측에는 관엽식물과 같은 배지재배용 작물(P)의 식재를 위한 배지요소가 담겨 구성된 것이다.
상기 배지요소에는 작물(P)이 식재된 배지셀(30)이 이용되며, 이외에도 통상의 여러 가지 배지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의 원예작물 재배관리기는 작물(P)이 식재되어 성장된 배지셀(30)을 양액용기(20) 내측에 결합하고, 양액용기(20)에 양액(N)을 담아 두면, 양액(N)이 원예작물에 계속적으로 수분과 양분을 공급함으로써 용이하고 지속적인 원예작물 관리가 될 수 있다.
상기 장식용 급액관리틀(10)은 복수개의 가로대와 세로대가 결합되어 있으며, 소정의 비율로 구획된 계단식의 복수의 지지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공간에는 상기 배지가 담기는 양액용기(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양액용기(20)에는 양액(N)을 공급 및 배출시키기 위한 급액관(61)과 퇴액관(62)이 설치되어 있다. 양액(N)을 순환시키기 위한 양액 순환수단(60)은 양액(N)이 담긴 양액 공급통(50)과, 양액(N)을 공급 및 배출시키기 위한 급액관(61) 및 퇴액관(62)과, 그리고 급액관(61)에 결합되는 펌프(65)로 이루어져 있다. 양액 순환수단(60)은 필요에 따라 자동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양액용기(20)는 상기 배지셀(30)을 수용하고 있으며, 상기 배지셀(30)에 식재된 원예작물에게 양액을 공급하기 위하여 양액을 항시 담액상태로 유지한다.
장식용 급액관리틀(10)과 양액 순환수단(60)은 주위 분위기와 어울리는 형상을 갖게 된다.
배지에는 작물(P)이 식재된 배지셀(30)을 이용하고, 이 배지셀(30)은 작물(P)이 초기묘목에서 상품화할 수 있는 성목의 크기로 재배될 정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지셀(30)은 하나의 양액용기(20)에 하나 또는 복수개를 담을 수 있으며, 배지셀(30)은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식용 급액관리틀(10)이 복수개의 가로대(13)와 세로대(14)를 종횡으로 용접하여 아파트의 창문틀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고, 세로대(14)에 양액용기(2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양액 순환수단(60)은 장식용 급액관리틀(10)의 하단부에 양액공급통(50)을 설치하고, 이 양액 공급통(50)에 하단부가 삽입되는 급액관(61)의 상단부를 상측 양액용기(20)의 일단부에 연결하며, 상단 양액용기(20)와 중간 양액용기(20)의 타단부 사이, 그리고 중간 양액용기(20)와 하단 양액용기(20)의 일단부의 사이에는 선행하는 양액용기(20)의 과잉분을 후행하는 양액용기(20)에게 공급하는 복수의 유통관(62a,62b)이 연결되며, 하단 양액용기(20)의 타단부에 퇴액관(62,62c)의 상단부를 연결하고 이 퇴액관(62;62c)을 장식용 급액관리틀(10)의 하측부를 따라 길게 연장하여 퇴액관(62;62c)의 하단부를 양액 공급통(50)에 삽입하는 한편, 급액관(61)의 하단부에 펌프(65)를 결합하여 구성된다.여기서, 상기 급액관(61)은 상기 양액용기(20)에 양액이 항시 담액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일단부가 양액용기(20)의 소정 수위에 해당하도록 배치되어있으며, 타단부가 상기 양액공급통(50)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유통관(62a,62b)은 상기 양액용기(2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수위에 해당하는 일정 높이만큼 융기되어 그 과잉분만을 타단부에 위치한 양액용기(20)에게 공급하고, 상기 퇴액관(62;62c)은 최하위 유통관(62a,62b)의 말단에 위치한 양액용기(20)로부터 그 수위의 과잉분만을 상기 양액공급통(50)으로 회수한다. 상기 펌프(65)는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다수회 펌핑하는 기능을 가지며, 예를 들어 상기 양액용기(20)에 양액이 담액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하게 펌핑하여 공급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장식용 급액관리틀(10)은 가로대(13)와 세로대(14)를 이용하여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상, 중, 하단의 양액용기(20)와 급액관(61)과 유통관(62a,62b) 및 퇴액관(62;62c) 자체를 창문틀 형태로 배열 조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계단형 재배관리기의 종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이 도2의 실시예에서 장식용 급액관리틀(10)은 계단(S)의 일측부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난간기둥(15) 사이에 양액용기(20)를 각각 단차지게 결합하고, 하측 난간기둥(15)의 하부에 설치되는 양액 공급통(50)에 급액관(61)의 하단부를 삽입시키고, 이 급액관(61)을 길게 연장시켜 급액관(61)의 상단부를 최상단의 양액용기(20)의 후단부 내측으로 연결하며, 각 양액용기(20)의 인접단부 사이에 유통관(62d)을 연결함과 아울러, 최하측 양액용기(20)의 선단부에 상단부가 연결되는 퇴액관(62e)의 하단부를 양액 공급통(50)에 삽입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배지셀(30)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부분절결사시도 및 정면도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부에 무수한 통공(101)이 형성된 배지수용부재(100)와, 상기 배지수용부재(100)의 내부에 담겨 포장되는 배지(200)와, 상기 배지수용부재(100)를 포장하기 위한 외피부재(300)로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원예용 배지셀(30)은 예를 들어, 쌈지형, 용기형, 통형으로 형성되는 배지수용부재(100)의 상,하측 피복부재(110),(120)의 양측연부의 이음부(102)를 재봉 또는 고주파 열용착 등으로 접합하여 튜브형으로 형성한 후, 그 내부에 배지(200)를 담고, 배지수용부재(100)와 외피부재(300)의 양단부를 재봉 또는 고주파 열용착 등으로 봉합함으로써 펄라이트, 코코피트와 같이 고형화할 수 없는 배지(200)도 쉽게 유형화할 수 있도록 하여 배지(200) 선택의 폭을 넓혔으며, 작물의 재배에 맞는 다양한 배지(200)의 혼용이 가능해졌고 배지수용부재(100)의 크기도 재배조건에 알맞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배지(200)의 불필요한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외피부재(300)는 필요에 따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배지수용부재(100)는 예를 들어 상측 피복부재(110)와 하측 피복부재(120)로 형성된다. 또, 상측 피복부재(110)에는 부직포를 사용하여 관수방법에 상관없이 모세관 현상으로 작물의 지하부에 고른 관수를 유도할 수 있고, 급액량의 많고 적음에도 완충능력이 큼으로 안정적인 퇴수관리를 이룰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측 피복부재(120)는 모기장과 같은 신축성이 있는 미세한 망사로 형성하여 통기성, 배수성 및 물리성을 높였고, 작물의 생육에 따른 지하부의 발달에도 유동적으로 대처하게 하였으며, 작물 지하부의 생육, 발달, 소멸과정에서 생성되는 유기물의 용출이 용이하도록 하여 유기물의 부식으로 인한 배지(200)의 오염과 오랜 사용시 공극율의 저하로 지하부 생육에 막대한 지장이 초래되는 문제점을 최소화하도록 하였고, 뿌리의 발달에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다양한 양액재배방식에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배지수용부재(100)의 상, 하측 피복부재(110),(120)는 필요에 따라 같은 재질로 형성하거나,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외피부재(300)에는 상측부에 삽입공을 절개하여 형성하기 위한 절개안내부(301)가 형성되어 절개안내부(301)를 따내고 묘목의 종자를 파종하거나, 삽목하도록 되어있으며, 외피부재(300)의 주벽 하측부와 저면에 복수개의 통공(302)이 형성되어있다. 이 외피부재(300)의 통공(302)은 양액의 공급, 통기성 및 관수방법에 따라 작물의 생리에 알맞은 형태 및 크기로 형성되며, 외피부재(300)의 저면에 형성된 통공(302)은 저면관수용으로 이용되고, 주벽에 형성된 통공(302)은 통기용으로 형성된다.
이 외피부재(300)의 통공(302)은 저면관수를 하는 경우와 같이 필요한 경우 선택적으로 형성하고, 경우에 따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내, 외피부재(100),(300)는 이외에 비닐, 종이, 부직포, 헝겊, 또는 합성수지 등을 원료로 하여 성형될 수 있다.
외피부재(300)는 예를 들어, 외면이 백색이고 내면이 흑색인 복층으로 형성된 통상의 멀칭비닐이 전체적으로 이용한다. 이 멀칭비닐은 백색의 외면이 태양광을 반사하고, 흑색의 내면이 열을 차단하기 때문에 배지의 습도 유지 및 지하부의 온도유지에 도움이 되고, 잡초와 이끼를 차단함과 동시에 작물의 지하부, 즉 작물의 근권부의 생육에 알맞는 환경조건을 맞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묘목이 원예농가에 보급된 후, 장기적으로 재배되는 경우에 적합하다. 도면에서 부호 310은 양단의 봉합부를 보인 것이다.
육묘장에서 원예용 배지셀(30)에 묘목을 육성시키는 경우에는 외피부재(300)의 상측부에 형성된 적당한 위치의 절개안내부(301)를 S자형으로 절개하고, 이에 형성되는 구멍으로 예를 들어 접목된 장미의 어린 접목묘를 심으면 절개부안내부(301)의 양쪽 절개된 날개부가 자체 탄성에 의해 오므라지면서 구멍을 덮게되므로 습기의 증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배지셀(30)의 다른 실시예를 셀 성목이 식재된 상태에서 보인 종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지수용부재(100)를 통형으로 형성하고, 주벽 하측부와 저면에 다수개의 통공(101)을 형성하여, 통기성, 배수성 및 물리성을 높인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배지수용부재(100)의 내부에 배지(200)가 한가지만 담기거나, 두가지이상 혼합 또는 적층되는 형태로 담긴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배지수용부재(100)의 형상은 원통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예용 배지셀(30) 다수 개를 보관할 때에 겹쳐서 쉽게 보관할 수 있도록 종이컵과 같이 하측으로 가면서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할 수 있고, 그 외 사각통형 및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배지수용부재(100)의 재질은 부직포로 형성되고, 이외에 종이, 합성수지, 헝겊 등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지수용부재(100)의 주벽과 저면부에 형성된 통공(101)은 비료염의 축적, 유기물의 부식을 방지하여 배지(200)의 오염을 최소화함으로써 뿌리의 발달에도 도움이 된다.
상기 배지수용부재(100)의 내측 상단부에는 내부에 담긴 배지(200)가 유실됨을 방지하도록 커버(130)가 접착될 수 있으며, 이 커버(130)는 작물(P)의 종자를 파종하거나, 작물(P)을 삽목하는 경우 구멍(131)을 뚫게 되고, 이전에는 전면적으로 막혀 있게 된다. 이 커버(130)에는 중간부에 상기 도 10의 절개안내부(301)가 형성될 수 있다.
배지수용부재(100)의 내측부에는 필요에 따라 망사와 같은 통기성부재(140)가 결합될 수 있으며, 배지수용부재(100)의 주벽과 저면에 형성된 통공(101)의 크기가 적합하지 않은 경우 이 통기성부재(140)를 넣음으로써 통기 및 퇴수 정도를 작물에 따라 보다 적합하게 맞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예용 배지셀(30)은 배지수용부재(100)를 외피부재(300)에 삽입한 형태로 구성되고, 외피부재(300)는 예를 들어, 외면이 백색이고 내면이 흑색인 복층으로 형성된 멀칭비닐로 포트형으로 형성되며, 외피부재(300)의 하측부에는 통기 및 양액공급이 가능하고 뿌리가 뻗어나올 수 있도록 복수개의 통공(302)이 형성된다.
이 멀칭비닐로 된 외피부재(300)은 백색의 외면이 태양광을 반사하고, 흑색의 내면이 열을 차단하기 때문에 배지의 습도유지 및 지하부의 온도 유지에 도움이 되고 잡초와 이끼를 차단함과 동시에 작물의 근권부의 생육에 알맞은 환경조건을 맞출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원예용 배지셀(30)은 배지수용부재(100) 만을 농가에 보급하거나, 배지수용부재(100)에 배지(200)를 담아 보급하거나, 배지수용부재(100)에 배지(200)를 담고 파종하여 발아된 작물(P) 및 삽목용 작물(P) 등을 적당한 크기로 육성시켜 보급하여, 원예농가에서 입식(초기심기), 개식(바꿔심기) 등을 행하여 재배하게 된다.
원예용 배지셀(30)에 어린작물(P)을 육성시키는 경우에는 트레이 포트 등을 이용하여 파종하고, 발아된 묘목 또는 접삽된 접삽묘 등의 어린작물(P)을 1개월 내지 3개월 육성시킨 후, 배지수용부재(100) 내측의 배지(200)에 심어 소정기간 동안 저면관수 등을 행하여 육성시켜 원예농가에 공급하고, 또한 조경 및 인테리어 및 조경용 재배관리기에 사용된다.
그리고, 어린 육묘외에도 성묘까지의 이용이 가능하여 원예농가의 상품화 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컵 모양의 원예용 배지셀(30)를 육묘 포트로 이용하면 묘 정식을 할 때 유발되었던 작업상의 번거로운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조경 및 인테리어 및 조경용 재배관리기에 바로 이용할 수 있다.
본 고안 재배관리기의 양액용기(20)와 장식용 급액관리틀(10)은 주위 분위기와 어울리도록 실내, 외 장식물 등의 조형물의일부 또는 전체를 이룰 수 있으며, 배지셀(30)의 모양이 가변적이므로 양액용기(20)의 모양도 여러 가지 형태로 만들어지고, 양액용기(20)와 장식용 급액관리틀(10)은 실내, 외와 조화되는 재질과 모양으로 만들어지며, 양액용기(20)의 설치 형태 및 높이에 따라 대형화, 다단화 및 다양화할 수 있다.
상기 양액용기(20)는 도자기, 토분, 비닐 등의 플라스틱분, 금속 포트 등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식용 급액관리틀(10)은 플라스틱, 도자기 등으로 형성되며, 이외에 어떤 소재라도 관계없이 응용할 수 있고, 형태의 다변화로 그린인테리어 및 조경용으로 쉽게 접목할 수 있다. 그리고, 양액용기(20)와 장식용 급액관리틀(10)은 산화에 의한 부식, 햇빛에 의한 부식, 비료에 의한 부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방식 처리를 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지셀(30)은 배지수용부재(100)의 하측 피복부재(120)가 마치 소쿠리와 같이 다수개의 통공을 가지는 반구체로 형성할 수 있고, 다수개의 통공을 가지는 반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길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그리고, 상측 피복부재(110)필요에 따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셀성목 급액관리틀(10)의 양액용기(20)에는 장방형, 정방형, 반구형이외에 디아블로형(장구형) 등 여러 가지 형태 및 플라스틱재, 나무 이외에 여러 가지 다른 재질로 된 초화박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장식용 급액관리틀(10)은 표면을 나무 껍질과 같은 모양을 갖도록 형성하여 외관이 나무처럼 보이도록 형성할 수 있고, 이외에 실내, 외 분위기와 어울리는 다른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각 실시예에서 양액 순환수단(60)의 퇴액관(62)은 각 양액용기(20)에 결합할 때에 유지하고자 하는 수면의 높이에 유입구멍이 위치하도록 결합되며, 이에 따라 각 양액용기(20)에 공급되는 양액(N)은 항상 일정한 수면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양액 순환수단(60)은 펌프(65)를 통상의 콘트롤부에 의해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작동되며, 통상의 전원스위치에 의해 작동을 온, 오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콘트롤부는 혹한기에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고, 이 온도센서가 감지한 신호에 따라 양액(N)이 얼 정도의 온도가 되면 펌프(65)의 가동을 중지시키는 회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양액순환라인에 양액(N)이 부족한 경우에 이를 감지하기 위한 유량센서를 구비하고, 이 유량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펌프(65)의 가동을 중지시키는 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 본 고안의 배지셀(30)을 이용한 셀성목 재배관리기는 양액용기(20) 내부의 양액(N)이 작물(P)에 계속적으로 수분과 양분을 공급함으로써 용이하고 지속적인 작물(P) 관리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양액용기(20)의 내부에는 양액(N)이 20% 내지 30% 높이로 담액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하로 담기게 되면 양분과 수분의 급액이 부족하게 되고, 그 이상으로 담기게 되면 과하게 되는 것이나, 이 양액(N)의 높이는 작물(P)의 종류 및 재배 형태에 따라 적합하게 변경하여 적용하게 된다.
각 양액용기(20)에 담긴 배지에는 서로 같은 작물(P)이 식재되거나, 각각 다른 작물(P)이 식재될 수 있으며, 계절에 따라 어울리는 작물(P)이 식재된 배지셀(30)을 교체하면 계절의 분위기에 맞는 그린인테리어 및 조경물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 작물(P)에는 여러 가지 형태의 작물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작물(P)이 식재된 배지가 양액용기(20)에 결합되어 양액 순환수단(60)에 의해 급액과 배액이 동시에 실현되므로 용이한 급액관리가 될 수 있고, 배지셀(30)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담액으로 인한 지하부의 통기성 불량으로 인한 산소부족 문제가 자연이 해결되며, 대다수의 작물(P)이 실내, 외 환경의 악조건에서 관리되고 있으므로 인하여 단기간내에 작물(P)이 쉽게 망가지거나 고사하여 작물(P)에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 소비자들은 작물(P)의 관리가 어렵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본 고안을 실내,외 원예에 도입할 경우 급수 관리 뿐 아니라 제초 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배지셀(30)을 이용한 그린인테리어 및 조경물은 배지가 충전된 배지셀(30)에 작물(P)을 식재하고 상품화까지 재배하여 각종 건물, 도로, 공원, 운동장, 베란다, 전시장, 골프장 및 놀이시설 등의 실내, 실외에 환경과 어울리는 원예작물의 장식물을 손쉽게 설치하여 그린인테리어 및 조경의 대형화, 다양화 및 다단화를 꾀하여도 관리가 용이하며, 작물(P)의 상품성이 오래도록 지속되고, 작물(P)의 교체시에도 배지셀(30)에 식재된 작물(P)만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양액용기에 원예작물이 식재된 배지셀을 양액용기에 결합하고, 양액 순환수단에 의해 급액과 배액을 동시에 실시하므로, 급액관리 및 제초 관리가 용이하며, 배지셀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담액으로 인한 지하부의 통기성 불량으로 인한 지하부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동시에 담액으로 작물의 수분 및 양분을 공급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고 지속적인 작물관리가 가능하게되었다.
또, 배지셀을 이용한 그린인테리어 및 조경용은 대형화를 시도할 경우 막대한 비용부담에 비해 관리상의 문제로 인테리어 및 조경물의 지속성이 길지 못했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보다 대형화되고 아름다운 그린인테리어 및 조경용을 가능케 하였으며, 투자비용에 대한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하였고, 자동 양액 순환식의 경우에는 설치 높이와 상관없이 원예작물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으므로 그린인테리어 및 조경의 다단화를 원하는 높이와 형태로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어떠한 실내, 외에서도 어울리는 그린인테리어 및 조경물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배지셀은 모양 자체가 가변적이고 유동적이기 때문에 운반 및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어떠한 모양이든 설치가 가능하므로 보다 다양한 형태의 그린인테리어 및 조경물을 제작 및 감상할 수 있다.
더욱이, 휴가 및 출장과 같은 장기간의 부재나, 전문지식이 부족한 소비자의 원예작물 관리에 대한 부담감이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에 원예작물에 보다 친숙해지고 실내, 외에 조화된 실내, 외 원예를 개성에 맞게 꾸밀 수 있으므로 삶의 질적 향상과 올바른 원예작물의 소비문화를 정착시킴으로써 원예작물 생산농가의 소득향상을 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되고 청구된 원리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 안에서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실시형태는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복수개의 가로대와 세로대가 결합되어 소정의 비율로 구획된 계단식의 복수 지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급액관리틀과;
    상기 급액관리틀의 지지공간에 배치되며 배지요소를 수용하여 상기 하측부 이하의 수위로 담겨진 양액을 항시 담액상태에서 공급하는 복수의 양액용기와;
    상기 양액용기와 인접한 하방에 위치하여 소정양의 양액이 수용되어 있는 양액공급통과;
    상기 양액을 상기 양액용기에 공급하기 위하여 일단부가 상기 양액용기에 위치하고 타단부가 상기 양액공급통에 위치하며, 상기 항시 담액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일단부가 상기 양액용기의 소정의 수위에 해당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급액관과;
    상기 양액용기 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단부가 일측 양액용기의 수위에 배치되어 과잉분을 타단부에 위치한 타측 양액용기에게 공급하는 복수의 유통관과;
    상기 유통관의 말단에 위치한 상기 양액용기로부터 상기 수위의 과잉분만을 상기 양액공급통으로 회수하기 위한 퇴액관과;
    상기 급액관에 설치되고 상기 양액용기를 향하여 상기 양액공급통의 양액을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강제 펌핑시키는 순환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장식용 초화 양액재배관리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19990001837U 1999-02-06 1999-02-06 실내외 장식용 초화 양액재배관리기 KR2002905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837U KR200290527Y1 (ko) 1999-02-06 1999-02-06 실내외 장식용 초화 양액재배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837U KR200290527Y1 (ko) 1999-02-06 1999-02-06 실내외 장식용 초화 양액재배관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761U KR20000016761U (ko) 2000-09-25
KR200290527Y1 true KR200290527Y1 (ko) 2002-10-04

Family

ID=54759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1837U KR200290527Y1 (ko) 1999-02-06 1999-02-06 실내외 장식용 초화 양액재배관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52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761U (ko) 2000-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32255A1 (en) Eco-friendly vertical plante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JP3559896B2 (ja) 底面灌水法を用いた植物栽培装置
Baras DIY hydroponic gardens: How to design and build an inexpensive system for growing plants in water
JP2019050733A (ja) 灌漑装置
KR100419903B1 (ko)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화분
JP2002125495A (ja) 溶液栽培装置
US8112936B1 (en) Container-based plant husbandry apparatus and controlled horticultural environment for using same
JP2007151528A (ja) つる植物栽培用用土容器及び育成仕立て運搬用資材
KR20200030220A (ko) 뿌리식물 수경재배용 시트
KR102421213B1 (ko) 물보관형 석분재
KR200271930Y1 (ko) 배지셀을 이용한 셀성목 재배관리기
KR200290527Y1 (ko) 실내외 장식용 초화 양액재배관리기
US6701666B1 (en) System for domestic cultivation of exotic plants including in-ground irrigation and aeration system
JP2006174829A (ja) 簡易式養液栽培容器
KR100332418B1 (ko) 양액재배에서 근권부 냉각 및 가열에 의한 생육조절방법 및 장치
JP2001346459A (ja) 植物栽培方法と、植物栽培装置
JP3262724B2 (ja) 栽培装置
KR200290526Y1 (ko) 팬스형 장식용 초화 양액재배 관리기
JP2002253054A (ja) 植物栽培用装置及びこの装置を使用した植物栽培方法
KR200273611Y1 (ko) 배지셀을 이용한 셀성목 재배관리기
JP6535663B2 (ja) 植物栽培装置および植物栽培方法
CN218897831U (zh) 一种便携种植袋
KR100343003B1 (ko) 가정용 양액재배장치
KR19990001509A (ko) 식물의 재배장치
JPH06178625A (ja) 陸生植物の水上園芸施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