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210Y1 - 양액재배포트 - Google Patents

양액재배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210Y1
KR200246210Y1 KR2019980019456U KR19980019456U KR200246210Y1 KR 200246210 Y1 KR200246210 Y1 KR 200246210Y1 KR 2019980019456 U KR2019980019456 U KR 2019980019456U KR 19980019456 U KR19980019456 U KR 19980019456U KR 200246210 Y1 KR200246210 Y1 KR 2002462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rient solution
port
solution cultivation
cultivation
cultiva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94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3983U (ko
Inventor
영 성 왕
Original Assignee
영 성 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성 왕 filed Critical 영 성 왕
Priority to KR20199800194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210Y1/ko
Publication of KR199900039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9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2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210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액재배포트에 관한 것으로, 양액재배포트 본체의 주벽 하측부와 저면부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양액재배포트 본체가 자연의 노지에서 분해되는 종이, 분해성 합성수지, 헝겊, 녹말과 같은 분해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양액재배포트 본체의 내부에 양액재배용 배지가 담긴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작물을 양액재배함에 있어 양액재배포트 자체만을 보급하거나, 묘목을 재배하여 성장기간 별로 농가가 원하는 어린 묘목 또는 성묘를 보급하여, 양액재배농가에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양액재배포트 본체가 자연 노지에서 분해되는 재질, 특히 녹말 등을 재료로 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연환경 보존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며, 양액재배시설이나 토양에 묘목을 정식 식재할 경우 포트가 일정기간 지난후 분해 제거됨으로써 포트를 분리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액재배포트(A PORT FOR HYDROPONICS)
본 고안은 양액재배포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액재배농가에서 고품질의 작물을 생산할 수 있고, 배지를 다양하게 취급할 수 있으며, 상품의 출하기간을 단축하고, 자연 노지에서 쉽게 분해되어 자연환경 보존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양액재배포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액재배는 고품질의 작물생산, 토지의 고도 이용, 연중재배 등의 이점이 있어 많이 보급되어 있으며, 최근에 생산과정의 자동화 및 계획 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식물공장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재배방식간의 작물생산과정에서 재배환경에 따르는 적합한 묘목, 배지 및 포트의 선택 및 확보가 어려워 원활한 양액재배에 지장이 초래되고 있다.
양액재배를 함에 있어서 재배환경에 알맞는 시설을 설치하기 위하여 많은 비용이 요구되며, 작물재배시 급액 및 퇴수관리가 용이하지 않아 염류집적 및 생리장애로 지하부의 생육환경이 고르지 못하고 작물의 교체시 배지에 많은 비용이 들며 종묘 입식 부터 상품 출하까지 기간이 오래 걸리고 있는 것이다.
또, 양액재배의 특성상 제한된 시설면적 내에서의 재배만이 가능한 현실이고 재배작물 교체시 기존작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며, 어린 육묘만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수확까지의 기간이 오래 걸리는 실정이다.
또한, 대단위 재배온실의 양액재배 시스템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암면, 퍼라
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종이컵은 종이재에 음료수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비닐막이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자연의 노지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자연환경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함 및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양액재배농가에서 고품질의 작물을 생산할 수 있고, 배지를 다양하게 취급할 수 있으며, 상품의 출하 기간을 단축하고, 자연 노지에서 쉽게 분해되어 자연환경 보존에 기여할 수 있게 되는 양액재배포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양액재배포트는 포트 본체의 주벽 하측부와 저면부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양액재배포트는 예를 들어 포트 본체가 자연의 노지에서 분해되는 분해성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양액재배포트 본체의 내부에는 양액재배용 배지가 담겨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해성 재료에는 종이, 분해성 합성수지, 헝겊, 녹말 등이 이용되고, 상기 양액재배포트 본체의 상단부에 상기 배지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가 부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양액재배용 배지에는 일정한 형태로 고형화되기 어려운 분말형, 입자형의 양액재배용 배지 및 일정한 형태로 고형화되기 쉬운 고형의 양액재배용 배지가 이용되며, 어느 한가지가 담기거나, 두종류 이상이 혼합 또는 적층되어 담기게 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액재배포트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제1도는 양액재배포트의 사시도.
제2도는 양액재배포트에 작물이 식재된 형태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양액재배포트에 작물이 식재된 형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양액재배포트 본체 11 : 통공
20 : 배지 30 : 커버
50 : 합성수지 포트
이하,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액재배포트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는 양액재배포트에 작물이 식재된 형태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양액재배포트는 양액재배포트 본체(10)의 주벽 하측부와 저면에 다수개의 통공(11)을 형성하여, 통기성, 배수성 및 물리성을 높혔고, 작물의 생육에 따른 지하부의 발달에도 유리하도록 하였으며, 작물 지하부의 생육, 발달, 소멸과정에서 생성되는 유기물의 용출이 용이하도록 하였고, 다양한 양액재배방식에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양액재배포트 본체(10)의 형상은 도면에 원통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양액재배포트 다수개를 보관할 때에 겹쳐서 쉽게 보관할 수 있도록 종이컵과 같이 하측으로 가면서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할 수 있고, 그외 사각통형 및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양액재배포트 본체(10)에는 양액재배를 할 수 있도록 배지(20)를 담아 펄라이트, 코코피트 등의 일정한 형태로 고형화할 수 없는 배지(20)도 쉽게 유형화할 수 있도록 하여 배지(20) 선택의 폭을 넓혔으며, 작물의 재배에 맞는 다양한 배지(20)의 혼용이 가능해졌고 크기도 재배조건에 알맞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배지(20)의 불필요한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배지(20)는 한가지만을 담거나, 두가지 이상을 혼합 또는 적층하는 형태로 담을 수 있다.
양액재배포트 본체(10)의 재질은 부직포로 형성되고, 이외에 종이, 합성수지, 헝겊 및 녹말 등으로 형성되며, 자연의 노지에서 예를들어 1개월 내지 12개월 동안에 쉽게 분해되는 재질로 형성하여, 양액재배포트에 묘목(P)이 심겨진 형태로 재배지에 심은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양액재배포트가 자연적으로 분해되도록 하는 것이 자연보존을 위하여 매우 필요하다. 양액재배포트 본체(10)를 녹말로 성형하는 경우에는 분해도 빠르고 친자연환경재료로서 매우 유용하다.
그리고, 양액재배포트 본체(10)의 주벽과 저면부에 형성된 통공(11)은 비료염의 축적, 유기물의 부식을 방지하여 배지(20)의 오염을 최소화함으로써 뿌리의 발달에도 도움이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양액재배포트에 작물이 식재된 형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액재배포트 본체(10)의 내측 상단부에는 커버(30)가 접착되어 내부에 담긴 배지(20)가 유실됨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커버(30)는 묘목(P)의 종자를 파종하거나, 묘목(P)을 삽목하는 경우 구멍(31)을 뚫게 되고, 이전에는 전면적으로 막혀있게 된다.
커버(30)의 재질에도 종이, 합성수지, 헝겊 및 녹말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부직포를 이용하게 되면 관수방법에 상관 없이 모세관 현상으로 작물의 지하부에 고른 관수를 유도할 수 있고, 급액량의 많고 적음에도 완충능력이 큼으로 안정적인 퇴수관리를 이룰 수 있도록 되게 된다.
양액재배포트 본체(10)의 내측부에는 필요에 따라 망사와 같은 통기성부재(40)가 결합할 수 있으며, 양액재배포트 본체(10)의 주벽과 저면에 형성된 통공(11)의 크기가 적합하지 않은 경우 이 통기성부재(40)를 넣음으로써 통기 및 퇴수 등을 맞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액재배포트는 양액재배포트 본체(10)를 합성수지 포트(50)에 삽입한 형태로 구성되고, 합성수지 포트(50)에는 예를 들어, 외면이 백색이고 내면이 흑색인 복층으로 형성된 멀칭비닐 포트가 이용되며, 합성수지 포트(40)의 하측부에는 통기 및 양액공급이 가능하고 뿌리가 뻗어 나올 수 있도록 복수개의 통공(51)이 형성된다.
이 멀칭비닐로 된 합성수지 포트(50)은 백색의 외면이 태양광을 반사하고, 흑색의 내면이 열을 차단하기 때문에 배지의 습도 유지 및 지하부의 온도 유지에 도움이 되고, 잡초와 이끼를 차단함과 동시에 작물의 근권부의 생육에 알맞는 환경조건을 맞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묘목이 원예농가에 보급된 후, 장기적으로 재배되는 경우에 적합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양액재배포트는 양액재배포트 본체(10) 만을 농가에 보급하거나, 양액재배포트 본체(10)에 배지(20)를 담아 보급하거나, 양액재배포트 본체(10)에 배지(20)를 담고 파종하여 발아된 묘목(P) 및 삽목용 묘목(P) 등을 적당한 크기로 육성시켜 보급하여, 원예농가에서 입식(초기심기), 개식(바꿔심기) 등을 행하여 재배하게 된다.
양액재배포트에 어린묘목(P)을 육성시키는 경우에는 트레이 포트 등을 이용하여 파종하고, 발아된 어린묘목(P)을 2개월 내지 3개월 육성시킨 후, 양액재배포트 본체(10) 내측의 배지(20)에 심어 소정기간 동안 저면관수 등을 행하여 육성시켜 원예농가에 공급한다.
육묘시 양액재배포트는 포트 본체(10)의 주벽 하측부와 저면에 다수개의 통공(11)가 형성되어 통기성, 배수성 및 물리성이 보장되고, 생육, 발달, 소멸과정에서 생선되는 유기물의 용출이 용이할 뿐아니라, 유기물의 부식을 방지하여 배지(20)의 오염을 최소화하므로 작물이 활발하게 생육되고, 작물의 지하부가 건강하게 발달하며, 다양한 양액재배방식에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또, 양액재배포트 본체(10)에 피트모스와 같이 고형화할 수 없는 배지(20)도 담아 유형화하고, 이외에 다양한 배지(20)를 담아 유형화한 것이므로 다양한 양액재배를 할 수 있으며, 양액재배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을 뿐아니라, 작물의 재배에 맞는 다양한 배지(20)의 혼용이 가능하고, 크기도 재배조건에 알맞게 조절할수 있으므로 배지(20)의 불필요한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양액재배포트 본체(10)의 재질을 자연의 노지에서 분해되는 재질로 형성하여, 양액재배포트에 묘목(P)이 심겨진 형태로 재배지에 심은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양액재배포트가 자연적으로 분해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환경보존에 기여하게 된다.
그리고, 커버(30)에 부직포를 이용한 경우에는 관수방법에 상관 없이 모세관 현상으로 작물의 지하부에 고른 관수를 유도할 수 있고, 급액량의 많고 적음에도 완충능력이 큼으로 안정적인 퇴수관리를 이룰 수 있도록 되게 되어 건강한 묘목(P)을 육성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양액재배포트에 묘목(P)을 재배하여 성묘가 된 때에 보급하게 되면, 농가의 상품 출하기일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양액재배포트는 작물을 양액재배함에 있어 양액재배포트 자체만을 보급하거나, 묘목을 재배하여 성장기간 별로 농가가 원하는 어린 묘목 또는 성묘를 보급하여, 양액재배농가에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할수 있는 이점이 있고, 양액재배포트 본체가 자연 노지에서 분해되는 재질, 특히 녹말 등을 재료로 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연환경 보존에 크게 기여하는 이점이 있으며, 양액재배시설이나 토양에 묘목을 정식 식재할 경우 포트가 일정기간 지난후 분해 제거되도록 하면 포트를 분리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배지를 이용하여 고형화된 독립개체로 보급할 수 있으므로 작물의 생육에 알맞는 배지의 제조가 가능함과 아울러 다변화 할 수 있고, 여러 방식의 양액 급여 형태에도 적용성이 높아 시설비가 획기적으로 절감되며 재배가 용이하고 시기와 상관 없이 적은 노동력으로 작물을 개식할 수 있으며, 단기육묘생산뿐아니라 장기육모에도 유리한 이점이 있다.
또, 원예농가에서 독립적으로 고형화된 배지에 성묘 상태의 묘를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농가의 입장에서는 육묘관리에 얽매이지 않고 상품관리에 만 지속적으로 전념할 수 있으며, 종묘 입식부터 상품 출하까지의 재배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 할 수 있으므로 빠른 상품 회전을 보여 농가의 자금회전 및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어린 육묘 외에도 성묘까지의 이용이 가능하여 재배농가의 상품화 기간 단축, 재배의 다변화와 인력 절감 및 작물의 생리장애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모든 양액재배농가에 저렴한 비용으로 매우 유리하게 보급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되고 청구된 원리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 안에서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는 여러가지 실시형태는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다수개의 통공이 주벽에 형성된 식물재배용 포트에 있어서, 양액 공급 및 통기를 위하여 주벽의 하측부와 저면에 다수개의 통공(11)이 형성된 양액재배포트 본체(10)의 내부에 양액재배를 위한 양액재배용 배지(20)가 담기고, 상기 양액재배포트 본체(10)의 상단부에는 상기 양액재배용 배지(20)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30)가 부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재배포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액재배포트 본체(10)가 자연의 노지에서 분해되는 분해성 재료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재배포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성 재료가 부지포, 종이, 분해성 합성수지, 헝겊, 녹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재배포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액재배포트 본체(10)의 내부에 통기성부재(40)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재배포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액재배포트 본체(10)가 다수개의 통공(51)이 형성된 합성수지 포트(50)의 내부에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재배포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포트(50)가 멀칭비닐재 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재배포트.
KR2019980019456U 1998-10-12 1998-10-12 양액재배포트 KR2002462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456U KR200246210Y1 (ko) 1998-10-12 1998-10-12 양액재배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456U KR200246210Y1 (ko) 1998-10-12 1998-10-12 양액재배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983U KR19990003983U (ko) 1999-01-25
KR200246210Y1 true KR200246210Y1 (ko) 2001-12-01

Family

ID=69710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9456U KR200246210Y1 (ko) 1998-10-12 1998-10-12 양액재배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2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681A (ko) * 2002-01-11 2003-07-16 최장옥 부직포 포트를 이용한 묘목 재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13737A1 (en) * 2020-03-31 2023-04-13 Lg Electronics Inc. Plant cultivatio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681A (ko) * 2002-01-11 2003-07-16 최장옥 부직포 포트를 이용한 묘목 재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983U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206429A (ja) 植生用堆肥ブロックおよび堆肥ブロックを用いた栽培方法
CN107258448A (zh) 一种枣树的高产种植方法
KR200246210Y1 (ko) 양액재배포트
JP2949477B2 (ja) 育苗方法
CN100553442C (zh) 一种植物水肥包
JPS5894322A (ja) イチゴの育苗法
KR100292360B1 (ko) 원예용 배지셀
JP2001275502A (ja) 水面浮き床式農法
KR100801228B1 (ko) 거름 수용용기와 배양토 수용포대를 이용한 농작물 재배방법
JPH06327357A (ja) 育苗装置
JPH07312986A (ja) 植物育成床およびそれを用いて植物を育成する方法
KR200273611Y1 (ko) 배지셀을 이용한 셀성목 재배관리기
KR102045705B1 (ko) 생육활성화가 가능한 이식용 식물재배관리기
JP3781275B2 (ja) 連結プラグを用いる葉菜類の軽石栽培方法
KR960016544B1 (ko) 종자가 부착된 파종용기
KR20020023081A (ko) 인삼 재배 방법
KR200290526Y1 (ko) 팬스형 장식용 초화 양액재배 관리기
KR100281610B1 (ko) 식물육성묘판 및 이를 사용하여 식물을 육성하는 방법
JPH0673418B2 (ja) 養液栽培方法
KR970000564Y1 (ko) 수경재배 및 양액재배용 베드
JP2005160390A (ja) 野菜等の草本類の盆栽化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盆栽化方法
JP2000236744A (ja) 植物栽培装置
TWM646247U (zh) 有機種植海綿
JPH0560250U (ja) 植木鉢用苗床
JP3043872U (ja) 植物栽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