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0316B1 - 브레이크드럼 - Google Patents

브레이크드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0316B1
KR100440316B1 KR10-2001-0080642A KR20010080642A KR100440316B1 KR 100440316 B1 KR100440316 B1 KR 100440316B1 KR 20010080642 A KR20010080642 A KR 20010080642A KR 100440316 B1 KR100440316 B1 KR 100440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 expansion
lining
contact portion
brake drum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0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0242A (ko
Inventor
이종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0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0316B1/ko
Publication of KR20030050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0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3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10Drums for externally- or internally-engaging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2065/13Parts or details of discs or drums
    • F16D2065/1304Structure
    • F16D2065/1328Structure internal cavities, e.g. cooling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이크드럼에 관한 것으로, 제동력 발생시 라이닝(40)과 면접촉되는 라이닝접촉부(11)의 안쪽면(11a) 및 바깥면(11b)사이의 내부에 형성되어 마찰력에 의한 고온의 열에 의해 안쪽면(11a)의 열팽창율보다 바깥면(11b)의 열팽창율을 크게 하면서 상기 안쪽면(11a)과 바깥면(11b)의 열팽창율의 차이를 최소화시키도록 하는 다수개의 바깥면열팽창증가홈(11d)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져, 제동력 발생시 상기 브레이크드럼(10)이 바이메탈효과에 의해 휘어지는 현상이 최대한 억제되게 되고, 상기 라이닝(40)의 편마모가 예방되면서 라이닝(40)의 수명이 연장되게 되며, 이로 인해 제동소음 및 진동이 최대한 감소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전체적인 제동성능도 향상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브레이크드럼{brake drum}
본 발명은 브레이크드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동력 발생시 라이닝접촉부의 안쪽면 열팽창율과 바깥면 열팽창율의 차이를 최소화시켜 바이메탈효과에 의한 열변형 현상을 최대한 억제시키면서 라이닝과의 균일한 접촉을 유도하여 제동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브레이크드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동장치(Brake System)는 주행할 때 주로 사용하는 주브레이크와 자동차를 주차할 때 사용하는 주차브레이크로 분류되고, 상기 주브레이크는 브레이크페달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유압을 매개로 제동시키도록 된 유압식 브레이크와, 대형자동차등 큰 제동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사용하도록 된 배력식 브레이크 및, 압축공기의 압력을 이용해 제동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공기브레이크로 분류되며, 상기 유압식 브레이크에는 휠과 일체가 되어 회전하는 브레이크드럼에 라이닝을 부착한 브레이크슈를 안쪽으로부터 압착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드럼식 브레이크가 있다.
여기서, 상기 드럼식 브레이크(1)의 일반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허브에 볼트를 매개로 설치되어 바퀴와 함께 회전하도록 된 브레이크드럼(10)과, 차축에 고정되도록 된 백플레이트(20)와, 이 백플레이트(20)에 설치된 주철재질의 브레이크슈(30)와, 이 브레이크슈(30)의 외측표면에 부착되어 상기 브레이크드럼(10)과 직접 접촉되면서 브레이크드럼(10)의 회전을 멈추고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어 주도록 된 마찰재인 라이닝(40) 및, 마스터실린더에서 발생된 유압을 매개로 상기 브레이크슈(30)를 브레이크드럼(10)에 압착시키도록 된 휠실린더(50)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주행중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아주게 되면 마스터실린더에서 발생된 유압이 휠실린더(50)로 전달되고, 이 휠실린더(50)의 피스톤운동에 의해 브레이크슈(30)가 바퀴와 더불어 회전되는 브레이크드럼(10)으로 순간적으로 이동되는 바, 이때 상기 브레이크슈(30)의 외측면에 부착된 라이닝(4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레이크드럼(10)에 압착되어 마찰력을 이용해 상기 브레이크드럼(10)의 회전을 멈추게 함으로써 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라이닝(40)은 브레이크의 작동시 회전되는 브레이크드럼(10)에 직접적으로 압착되어 강한 마찰력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브레이크드럼(10)의 온도는 대략 200 ~ 300℃ 정도로 상승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동시 상기 라이닝(40)과 접촉되는 브레이크드럼(10)의 라이닝접촉부(11)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닝(40)이 접촉하지 않는 라이닝비접촉부(12)보다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게 되고, 특히 상기 라이닝접촉부(11)에서도 라이닝(40)이 직접 접촉하는 안쪽면(11a)의 온도가 바깥면(11b)의 온도보다 월등하게 상승되므로, 상기 브레이크드럼(10)은 바이메탈효과(bimetal effect)에 의해 온도가 낮은 바깥면(11b)쪽으로 열변형에 의해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제동력 발생시 라이닝(40)이 라이닝접촉부(11)의 안쪽면(11a)과 면접촉되면서 마찰력을 발생시키게 되면, 상기 안쪽면(11)에 발생된 고온의 열은 도 4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라이닝접촉부(11)의 바깥면(11b)과 측면(11c)쪽으로 전달되는데, 이때 라이닝접촉부(11)의 측면(11c)쪽으로 전달되는 열의 대부분이 브레이크드럼(10)의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고 브레이크드럼(10)내에 응집되게 됨으로써, 상기 안쪽면(11a)의 온도가 바깥면(11b)의 온도보다 월등하게 상승되게 되며, 이로인해 상기 브레이크드럼(10)은 바이메탈효과(bimetal effect)에 의해 온도가 낮은 바깥면(11b)쪽으로 열변형에 의해 휘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드럼(10)이 열변형에 의해 온도가 낮은 바깥면(11b)쪽으로 휘어지게 되면, 제동력 발생시 상기 라이닝(40)과 열변형된 브레이크드럼(10)의 안쪽면(11a)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비정상적으로 선접촉되면서 제동력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상기 라이닝(40)의 편마모가 심하게 발생되어 라이닝(40)의 수명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편진동이 유발되어 제동장치 전체에 걸쳐 심한 진동과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드럼(10)이 열변형되어 바깥면(11b)쪽으로 휘어지고 난 후 재차 제동을 가하게 되면, 상기 라이닝(40)이 브레이크드럼(10)의 안쪽면(11a)과 면접촉을 이루면서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M과 같이 좌우방향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제동효과가 감소되면서 안전사고를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라이닝접촉부의 내부에 다수개의 바깥면열팽창증가홈을 형성시켜 제동력 발생시 라이닝접촉부의 바깥면 열팽창율이 안쪽면의 열팽창율보다 크게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안쪽면과 바깥면의 열팽창율의 차이를 최소화시킴은 물론, 이로 인해 바이메탈효과에 의한 열변형 현상을 최대한 억제시켜 라이닝의 편마모를 방지하면서 라이닝의 수명이 연장시킴과 더불어, 제동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키면서 전체적인 차량의 제동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브레이크드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브레이크드럼은, 제동력 발생시 라이닝과 면접촉되는 라이닝접촉부의 안쪽면 및 바깥면사이의 내부에 형성되어 마찰력에 의한 고온의 열에 의해 안쪽면의 열팽창율보다 바깥면의 열팽창율을 크게 하면서 상기 안쪽면과 바깥면의 열팽창율의 차이를 최소화시키도록 하는 다수개의 바깥면열팽창증가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드럼식 브레이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드럼식 브레이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브레이크드럼의 열변형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드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드럼의 열팽창율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그래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브레이크드럼 11 - 라이닝접촉부
11a - 안쪽면 11b - 바깥면
11c - 측면 11d - 바깥면열팽창증가홈
12 - 라이닝비접촉부 40 - 라이닝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드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종단면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드럼(10)은 드럼식 브레이크(1)의 구성요소인 바, 상기 드럼식 브레이크(1)의 일반적인 구성은 도 1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휠허브에 볼트를 매개로 설치되어 바퀴와 함께 회전하도록 된 브레이크드럼(10)과, 차축에 고정되도록 된 백플레이트(20)와, 이 백플레이트(20)에 설치된 주철재질의 브레이크슈(30)와, 이 브레이크슈(30)의 외측표면에 부착되어 상기 브레이크드럼(10)과 직접 접촉되면서 브레이크드럼(10)의 회전을 멈추고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어 주도록 된 마찰재인 라이닝(40) 및, 마스터실린더에서 발생된 유압을 매개로 상기 브레이크슈(30)를 브레이크드럼(10)에 압착시키도록 된 휠실린더(50)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드럼(10)은 제동력 발생시 상기 라이닝(40)과 접촉되는 라이닝접촉부(11)와 상기 라이닝(40)이 접촉하지 않는 라이닝비접촉부(12)로 이루어지고, 특히 일정 두께로 이루어지는 상기 라이닝접촉부(11)는 라이닝(40)이 직접적으로 압착되면서 면접촉되는 안쪽면(11a)과 이 안쪽면(11a)과 일체로 연결되는 바깥면(11b) 및 측면(11c)에 의해 외관이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브레이크드럼(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력 발생시 라이닝(40)과 면접촉되는 라이닝접촉부(11)의 안쪽면(11a) 및 바깥면(11b)사이의 내부에 형성되어 마찰력에 의한 고온의 열에 의해 안쪽면(11a)의 열팽창율보다 바깥면(11b)의 열팽창율을 크게 하면서 상기 안쪽면(11a)과 바깥면(11b)의 열팽창율의 차이를 최소화시키도록 하는 다수개의 바깥면열팽창증가홈(11d)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바깥면열팽창증가홈(11d)은 라이닝접촉부(11)의 측면(11c)쪽으로 나열되면서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깥면열팽창증가홈(11d)의 전체폭(D1)이 라이닝(40)의 폭(D2)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깥면열팽창증가홈(11d)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닝접촉부(11)의 안쪽면(11a)에서 바깥면열팽창증가홈(11d)까지 도달되는 최단거리(L1)가 라이닝접촉부(11)의 바깥면(11b)에서 바깥면열팽창증가홈(11d)까지 도달되는 최단거리(L2)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상기 안쪽면(11a)과 바깥면(11b)사이의 횡방향 중심선(C)을 기준으로 상기 바깥면(11b)쪽으로 치우쳐서 형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 바깥면열팽창증가홈(11d)은 상기 라이닝접촉부(11)의 안쪽면(11a)의 열팽창율보다 라이닝접촉부(11)의 바깥면(11b)의 열팽창율을 크게 하기 위해 상기 바깥면(11b)에서 안쪽면(11a)으로 갈수록 체적이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역삼각형모양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주행중인 차량에 제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아주게 되면 마스터실린더에서 발생된 유압이 휠실린더(50)로 전달되고, 이 휠실린더(50)의 피스톤운동에 의해 브레이크슈(30)가 바퀴와 더불어 회전되는 브레이크드럼(10)으로 순간적으로 이동되는 바, 이때 상기 브레이크슈(30)의 외측면에 부착된 라이닝(40)이 라이닝접촉부(11)의 안쪽면(11a)과 면접촉으로 압착되면서 마찰력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 마찰력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드럼(10)의 회전이 점차적으로 멈춰지면서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라이닝(40)이 라이닝접촉부(11)의 안쪽면(11a)과 면접촉되면서 마찰력에 의한 제동력을 발생시킬 때 상기 라이닝접촉부(11)의 안쪽면(11a)에는 대략 대략 200 ~ 300℃ 정도의 고온의 열이 발생되는데, 이 고온의 열은 열전달경로를 따라 상기 라이닝접촉부(11)의 안쪽면(11a)에서 라이닝접촉부(11)의 바깥면(11b)쪽으로 전달되게 된다.
이때, 상기 라이닝접촉부(11)의 안쪽면(11a)과 바깥면(11b)은 제동시 발생되는 고온의 제동열에 의해 상기 라이닝접촉부(11)의 측면(11c)쪽으로 소정길이만큼 전체길이가 늘어나는 열팽창이 발생되게 되는데, 상기 바깥면(11b)의 열팽창율이 본 발명에 따른 바깥면열팽창증가홈(11d)에 의해 안쪽면(11a)의 열팽창율보다 크게발생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안쪽면(11a)과 바깥면(11b)의 열팽창율의 차이가 최소화되면서 상기 브레이크드럼(10)이 바깥면(11b)쪽으로 휘어지게 하는 바이메탈효과(bimetal effect)를 최대한 억제시킬 수가 있게 된다.
즉, 상기 안쪽면(11a)의 열용량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면(11a)에서 바깥면열팽창증가홈(11d)까지의 체적(E)과 비례하고, 상기 바깥면(11b)의 열용량은 바깥면(11b)에서 바깥면열팽창증가홈(11d)까지의 체적(G)과 비례하는데, 상기 안쪽면(11a)의 체적(E)과 상기 바깥면(11b)의 체적(G)과의 관계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안쪽면(11a)의 체적(E)이 상기 바깥면(11b)의 체적(G)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바깥면(11b)의 열용량이 안쪽면(11a)의 열용보다 작다는 의미는 같은 열량에도 상기 바깥면(11b)의 온도가 안쪽면(11a)의 온도보다 쉽게 상승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바깥면(11b)의 온도가 안쪽면(11a)의 온도보다 쉽게 상승된다는 의미는 상기 바깥면(11b)이 안쪽면(11a)보다 열에 의한 변형도 많이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깥면열팽창증가홈(11d)에 의해 바깥면(11b)의 열변형이 안쪽면(11a)의 열변형보다 많이 일어난다는 의미는 제동시 발생되는 고온의 제동열에 의해 상기 안쪽면(11a)의 열팽창율보다 상기 바깥면(11b)의 열팽창율이 크게 발생된다는 것을 의미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안쪽면(11a)과 바깥면(11b)의 열팽창율의 차이가 최소화되면서 상기 브레이크드럼(10)이 바깥면(11b)쪽으로 휘어지게 하는 바이메탈효과(bimetal effect)를 최대한 억제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깥면열팽창증가홈(11d)이 라이닝접촉부(11)내에 형성되었을 때 제동력 발생시 상기 라이닝접촉부(11)의 안쪽면(11a)에서부터 바깥면(11b)으로 전달되는 마찰열의 열전도효과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바깥면열팽창증가홈(11d)이 형성되지 않은 종래의 라이닝접촉부(11)와 비교하여 도시하였다.
즉, 푸리에(Fourier)법칙을 이용한 1차원 열전도(heat conduction)식은
q/A(x) = -k(dT/dx) (식.1)
여기서, A는 길이변화에 따른 라이닝접촉부(11)의 단면적이고, q는 열유속이며, k는 열전도율이며, (dT/dx)는 길이에 따른 라이닝접촉부(11)의 온도변화량(ㅿT)을 나타낸다.
종래 구조에 따른 라이닝접촉부(11)인 도 8a를 상기 (식.1)에 적용하게 되면, 단면적 A는 일정(constant)하고 상기 라이닝접촉부(11)의 재질이 한가지로 일정하므로 열전도율 k도 일정하며 열유속 q도 일정하므로, 온도변화량 ㅿT는 -x값을 가지게 된다.
상기 온도변화량 ㅿT가 -x값을 가지게 되면 길이변화에 따른 온도그래프는 (-)기울기를 갖는 1차함수로 표시되는데, 상기 온도그래프가 (-)기울기를 갖는 1차함수로 표시된다는 의미는 상기 라이닝접촉부(11)의 안쪽면(11a)에서 바깥면(11b)쪽으로 갈수록 마찰열의 열전도율이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그리고, 바깥면열팽창증가홈(11d)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라이닝접촉부(11)인 도 8b를 상기 (식.1)에 적용하게 되면, 단면적 A는 (-x)값을 가지고 상기 라이닝접촉부(11)의 재질이 한가지로 일정하므로 열전도율 k도 일정하며 열유속 q도 일정하므로, ㅿT/ㅿx = 1/xㅿT = (1/x)ㅿx 란 수식으로 풀이되며 이 수식의 양변을 적분하여 주게 되면 온도 T(x)=logx 값을 가지게 된다.
상기 온도 T(x)가 logx값을 가지게 되면 길이변화에 따른 온도그래프는 (-)기울기를 갖는 1차함수 및 단면적 A가 선형적으로 감소될 때 상승적으로 변화되는 로그함수의 복합그래프로 표시되는데, 상기 온도그래프가 바깥면열팽창증가홈(11d)에서 단면적 A가 선형적으로 감소될 때 로그함수에 의해 상승적으로 변화된다는 의미는 상기 라이닝접촉부(11)의 안쪽면(11a)에서 바깥면(11b)쪽으로 갈수록 마찰열의 열전도율이 상승되는 그래프의 곡선만큼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깥면열팽창증가홈(11d)이 라이닝접촉부(11)내에 형성되게 되면, 제동시 라이닝접촉부(11)의 안쪽면(11a)에서 발생된 고온의 마찰열이 라이닝접촉부(11)의 바깥면(11b)쪽으로 갈수록 연전도율이 상승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안쪽면(11a)의 열팽창율보다 상기 바깥면(11b)의 열팽창율이 크게 발생되면서 상기 안쪽면(11a)과 바깥면(11b)의 열팽창율의 차이가 최소화되게 된다.
그리고, 제동력 발생시 상기 안쪽면(11a)과 바깥면(11b)의 열팽창율의 차이가 본 발명에 따른 바깥면열팽창증가홈(11d)에 의해 최소화되게 되면, 상기 라이닝접촉부(11)를 바깥면(11b)쪽으로 휘어지게 하는 바이메탈효과(bimetal effect)를 최대한 억제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깥면열팽창증가홈(11d)에 의해 브레이크드럼(10)의 휘어짐량이 최대한 억제되게 되면, 제동력 발생시 상기 라이닝(40)과 브레이크드럼(10)의 안쪽면(11a)이 서로 비정상적으로 선접촉되는 것도 최대한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라이닝(40)의 편마모 현상도 예방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상기 라이닝(40)의 수명도 그만큼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동력 발생시 상기 라이닝(40)의 편마모가 발생되지 않게 되면, 제동소음 및 진동의 크기도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가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차량의 NVH성능도 향상되면서 전체적인 차량의 고급화 이미지에도 기여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동력 발생시 상기 브레이크드럼(10)의 열변형이 최대한 억제되면서 라이닝(40)의 편마모가 발생되지 않게 되면 라이닝(40)이 라이닝접촉부(11)의 안쪽면(11a)에서 좌우측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현상도 예방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차량의 전체적인 제동성능도 그만큼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되어 주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라이닝접촉부의 내부에 다수개의 바깥면열팽창증가홈이 형성되어져, 제동력 발생시 브레이크드럼이 바이메탈효과에 의해 휘어지는 현상이 최대한 억제되게 되고, 상기 라이닝의 편마모가 예방되면서 라이닝의 수명이 연장되게 되며, 이로 인해 제동소음 및 진동이 최대한 감소될 뿐만 아니라 상기 라이닝의 미끌림 현상도 예방되어 제동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5)

  1. 제동력 발생시 라이닝(40)과 면접촉되는 라이닝접촉부(11)의 안쪽면(11a) 및 바깥면(11b)사이의 내부에 형성되어 마찰력에 의한 고온의 열에 의해 안쪽면(11a)의 열팽창율보다 바깥면(11b)의 열팽창율을 크게 하면서 상기 안쪽면(11a)과 바깥면(11b)의 열팽창율의 차이를 최소화시키도록 하는 다수개의 바깥면열팽창증가홈(11d)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브레이크드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면열팽창증가홈(11d)이 라이닝접촉부(11)의 측면(11c)쪽으로 나열되면서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드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면열팽창증가홈(11d)의 전체폭(D1)이 라이닝(40)의 폭(D2)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드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면열팽창증가홈(11d)이 라이닝접촉부(11)의 안쪽면(11a)에서 바깥면열팽창증가홈(11d)까지 도달되는 최단거리(L1)가 라이닝접촉부(11)의 바깥면(11b)에서 바깥면열팽창증가홈(11d)까지 도달되는 최단거리(L2)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상기 안쪽면(11a)과 바깥면(11b)사이의 횡방향 중심선(C)을 기준으로 상기 바깥면(11b)쪽으로 치우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드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면열팽창증가홈(11d)이 라이닝접촉부(11)의 안쪽면(11a)의 열팽창율보다 라이닝접촉부(11)의 바깥면(11b)의 열팽창율을 크게 하기 위해 상기 바깥면(11b)에서 안쪽면(11a)으로 갈수록 체적이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역삼각형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드럼.
KR10-2001-0080642A 2001-12-18 2001-12-18 브레이크드럼 KR100440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0642A KR100440316B1 (ko) 2001-12-18 2001-12-18 브레이크드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0642A KR100440316B1 (ko) 2001-12-18 2001-12-18 브레이크드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0242A KR20030050242A (ko) 2003-06-25
KR100440316B1 true KR100440316B1 (ko) 2004-07-15

Family

ID=29575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0642A KR100440316B1 (ko) 2001-12-18 2001-12-18 브레이크드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03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1534A (en) * 1979-08-18 1981-03-30 Uedasa Chuzosho:Kk Compound brake shoe with adhesion increasing material for railway vehicle
JPS5994627U (ja) * 1982-12-15 1984-06-27 日立建機株式会社 ブレ−キ装置
JPS6050986U (ja) * 1983-09-16 1985-04-10 三洋電機株式会社 ブレ−キ装置
JPS62119537U (ko) * 1986-01-23 1987-07-29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1534A (en) * 1979-08-18 1981-03-30 Uedasa Chuzosho:Kk Compound brake shoe with adhesion increasing material for railway vehicle
JPS5994627U (ja) * 1982-12-15 1984-06-27 日立建機株式会社 ブレ−キ装置
JPS6050986U (ja) * 1983-09-16 1985-04-10 三洋電機株式会社 ブレ−キ装置
JPS62119537U (ko) * 1986-01-23 1987-07-2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0242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06098A (en) Antinoise disk brake
KR100440316B1 (ko) 브레이크드럼
KR100440317B1 (ko) 브레이크드럼
KR100527695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드럼
KR100349542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0326380B1 (ko)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의 가이드 핀 연결장치
KR200357066Y1 (ko)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의 냉각구조
KR200276252Y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0159994Y1 (ko) 자동차의 진동흡수식 드럼 브레이크
JP3094928B2 (ja) 鉄道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の摩擦パッド
KR200330483Y1 (ko) 자동차용 디스크식 브레이크 장치의 다피스톤 타입 유압실린더 장치
KR100771041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9990008664A (ko) 방열홈을 갖는 브레이크 패드
KR20230174711A (ko)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의 브레이크 패드 및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KR100581797B1 (ko)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
KR19990027540A (ko) 브레이크 드럼의 마모 방지장치
KR100428138B1 (ko) 자동차의 디스크브레이크 제동력 증가구조
KR19980029393U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드럼
KR100349539B1 (ko) 디스크 브레이크
GB2308626A (en) A drum brake for an automotive vehicle
JP2590230Y2 (ja) 反力式ディスクブレーキ
JPS6154971B2 (ko)
KR19980074843A (ko) 주차 브레이크 내장형 디스크 브레이크의 유압 피스톤 구조
KR0137765Y1 (ko)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장치
KR20020010984A (ko) 자동차용 드럼브레이크의 브레이크드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