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9793B1 -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헤드램프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헤드램프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9793B1
KR100439793B1 KR10-2001-0059147A KR20010059147A KR100439793B1 KR 100439793 B1 KR100439793 B1 KR 100439793B1 KR 20010059147 A KR20010059147 A KR 20010059147A KR 100439793 B1 KR100439793 B1 KR 100439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ing
headlamp
panel
mounting por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5742A (ko
Inventor
양정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9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9793B1/ko
Publication of KR20030025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5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7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91Shock absorb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05Devices preventing the lights from becoming dirty or damaged, e.g. protection grids or cleaning by air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 B60Q1/043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the housing being fastened onto the vehicle body us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3Mount clips, snap-fit, e.g. quick fit with elastic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헤드램프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헤드램프 마운팅부와 차체 패널을 직접 결합하지 않고, 그 사이에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헤드램프를 지지할 수 있는 충격 흡수수단을 견고하게 장착시킴으로써, 보행자가 헤드램프에 부딪힐 경우 충격을 흡수하여 보행자 뿐만 아니라 헤드램프도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헤드램프 지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헤드램프 지지장치{Headlamp-supporter for absorb impact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헤드램프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헤드램프 마운팅시, 차체에 견고하게 장착하므로 보행자와 헤드램프가 충돌시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 흡수수단이 없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헤드램프 마운팅부와 차체 패널을 직접 결합하지 않고, 그 사이에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헤드램프를 지지할 수 있는 충격 흡수수단을 견고하게 장착시킴으로써, 보행자가 헤드램프에 부딪힐 경우 충격을 흡수하여 보행자 뿐만 아니라 헤드램프도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헤드램프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새시에는 시동 장치, 점화 장치, 등화 장치 등과 같은 전장품이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한 등화 장치는 배터리와 알터네이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상기한 등화 장치에는 자동차의 전방을 조명하기 위한 헤드램프와, 상기한 자동차의 진행 방향 등을 알리기 위한 방향 지시등과, 실내 조명용의 룸 램프와, 후진을 알리기 위한 후진등이 있다.
한편, 헤드램프(head lamp)는 전조등이라고도 불리우며, 대향 자동차의 운전자를 현혹되지 않게 빔을 상하로 절환하도록 되어 있다.
안전 기준에는 주행 빔(상향 빔)일 때 전방 100m, 감광 또는 변환 빔(하향 빔)일 때는 40m전방의 장애물을 식별할 수 있는 밝기의 라이트 장비가 필요하며 등화의 색깔은 백색 또는 황색으로 규정되어 있다.
헤드램프의 구성은 헤드램프(100)의 후미부에 장착되어 자동차의 엔진 룸내에서 각종 먼지등이 상기 헤드램프(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더스트캡(110)과, 상기 더스트캡(110)의 전방에 장착되어 빔을 발생시키는 벌브(120)와, 상기 벌브(120)의 빔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reflector)(130)와 상기 헤드램프(100)를 장착하는 헤드램프 마운팅부(140)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헤드램프를 헤드램프 마운팅부(140)와 차체 패널(미도시)에 견고하게 장착함으로써, 보행자가 헤드램프(100)에 충돌할 경우 이러한 충격을 적절하게 흡수할 수 있는 충격 흡수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보행자가 상해를 입거나, 헤드램프(100)가 작은 충격에도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헤드램프 마운팅부와 차체 패널을 직접 결합하지 않고, 그 사이에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헤드램프를 지지할 수 있는 충격 흡수수단을 견고하게 장착시킴으로써, 보행자가 헤드램프에 부딪힐 경우 충격을 흡수하여 보행자 뿐만 아니라 헤드램프도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헤드램프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헤드램프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헤드램프 지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3은 종래의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장착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충격 흡수수단 11 : 헤드램프 마운팅부
12 : 충격 흡수 패널 12a : 너트공
13 : 장착부 13a : 걸림턱부
13b : 홀 14 : 차체 패널
14a : 홀 15 : 지지바
16 : 마운팅 클립 16a : 개구부
16b : 걸림단 17 : 스프링
18 : 고무 패드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헤드램프 마운팅부(11)와 차체 패널(14) 사이에 형성되어 보행자와 자동차의 헤드램프간의 충돌시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헤드램프를 지지할 수 있는 충격 흡수수단(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충격 흡수수단(10)은 헤드램프 마운팅부(11)의 후방에 볼트 고정되는 충격 흡수 패널(12)이 형성되고, 상기 충격 흡수 패널(12)과 차체 패널(14)사이에 상기 충격 흡수 패널(12)이 장착되는 장착부(13)가 설치되며, 그 장착부(13)의 후부에는 충격 흡수 패널(12), 장착부(13), 차체 패널(14)을 각각 연계되도록 지지바(15)에 의해 축연결하는 마운팅 클립(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기 충격 흡수 패널(12)과 장착부(13) 사이에는 충격을 흡수한 후,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충격 흡수 패널(12)이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스프링(17)이 탄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부(13)와 차체 패널(14) 사이에 그 장착부(13)와 차체 패널(14)의 밀착성 및 충격 흡수 효과를 한층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고무 패드(18)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 흡수 패널(12)은 선단부가 너트공(12a)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단부는 돔형상의 가요성을 가지며 후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장착부(13)는 전방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의 중간부에 상기 충격 흡수 패널(12)의 후단부가 장착될 수 있도록 걸림턱부(1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부에 지지바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홀(13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운팅 클립(16)은 일측이 개구되고, 타측이 폐쇄된 형상으로 상기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16a)의 외측으로 걸림단(16b)이 형성되어 상기 차체 패널(14)의 홀(14a)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헤드램프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헤드램프 지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0은 충격 흡수수단을 나타낸다.
상기 충격 흡수수단(10)은 헤드램프 마운팅부(11)의 후방에 볼트 고정되는 충격 흡수 패널(12)이 형성되고, 상기 충격 흡수 패널(12)과 차체 패널(14)사이에 상기 충격 흡수 패널(12)이 장착되는 장착부(13)가 설치되며, 그 장착부(13)의 후부에는 충격 흡수 패널(12), 장착부(13), 차체 패널(14)을 각각 연계되어 지지바(15)에 의해 축연결하는 마운팅 클립(16)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충격 흡수 패널(12)과 장착부(13) 사이에는 충격을 흡수한 후,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충격 흡수 패널(12)이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스프링(17)이 탄설되어 있고, 상기 장착부(13)와 차체 패널(14) 사이에 그 장착부(13)와 차체 패널(14)의 밀착성 및 충격 흡수 효과를 한층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고무 패드(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충격 흡수 패널(12)은 선단부가 너트공(12a)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단부는 돔형상의 가요성을 가지며 후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충격이 가해질시에 상기 후단부가 후방으로 뒤집어지게 되어 있다.
상기 장착부(13)는 전방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의 중간부에 상기 충격 흡수 패널(12)의 후단부가 장착될 수 있도록 걸림턱부(1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부에 지지바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홀(13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 클립(16)은 일측이 개구되고, 타측이 폐쇄된 형상으로 상기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16a)의 외측으로 걸림단(16b)이 형성되어 상기 차체 패널(14)의 홀(14a)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게 된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보행자와 자동차의 헤드램프의 충돌 사고시에 헤드램프의 후부에 충격 흡수수단(10)이 형성되어 충격을 흡수하는바, 먼저 헤드램프에 충격이 가해지면 1차로 충격 흡수 패널(12)의 후단부가 장착부(13)의 걸림턱부(13a)을 가압하게 되어 뒤집어지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다시 2차로 스프링(17)을 압축하게 되어 충격을 흡수한다.
이때, 상기 장착부(13)의 후부에 설치된 고무 패드(18)에 의해 3차로 충격이 흡수되면 가해지는 충격이 제거되고 그에 따라서, 상기 스프링(17)의 복원력으로 다시 충격 흡수 패널(12)은 원상태로 뒤집어지게 되어 충격 흡수수단(10)은 원상복귀하게 된다.
한편, 마운팅 클립(16)을 적용함으로써, 차체 패널(14)에 장착이 용이하게 되어 탈부착이 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헤드램프 지지장치는 헤드램프 마운팅부와 차체 패널을 직접 결합하지 않고, 그 사이에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헤드램프를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을 추가함으로써, 상기 헤드램프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삭제
  2. 헤드램프 마운팅부(11)와 차체 패널(14) 사이에 형성되어 보행자와 자동차의 헤드램프 간의 충돌시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헤드램프를 지지할 수 있는 충격 흡수수단(10)이 형성된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헤드램프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수단(10)은 헤드램프 마운팅부(11)의 후방에 볼트 고정되는 충격 흡수 패널(12)이 형성되고, 상기 충격 흡수 패널(12)과 차체 패널(14)사이에 상기 충격 흡수 패널(12)이 장착되는 장착부(13)가 설치되며, 그 장착부(13)의 후부에는 충격 흡수 패널(12), 장착부(13), 차체 패널(14)을 각각 연계되도록 지지바(15)에 의해 축연결하는 마운팅 클립(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헤드램프 지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충격 흡수 패널(12)과 장착부(13) 사이에는 충격을 흡수한 후,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충격 흡수 패널(12)이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스프링(17)이 탄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헤드램프 지지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13)와 차체 패널(14) 사이에 그 장착부(13)와 차체 패널(14)의 밀착성 및 충격 흡수 효과를 한층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고무 패드(18)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헤드램프 지지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 패널(12)은 선단부가 너트공(12a)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단부는 돔형상의 가요성을 가지며 후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헤드램프 지지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13)는 전방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의 중간부에 상기 충격 흡수 패널(12)의 후단부가 장착될 수 있도록 걸림턱부(1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부에 지지바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홀(13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헤드램프 지지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클립(16)은 일측이 개구되고, 타측이 폐쇄된 형상으로 상기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16a)의 외측으로 걸림단(16b)이 형성되어 상기 차체 패널(14)의 홀(14a)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헤드램프 지지장치.
KR10-2001-0059147A 2001-09-24 2001-09-24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헤드램프 지지장치 KR100439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147A KR100439793B1 (ko) 2001-09-24 2001-09-24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헤드램프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147A KR100439793B1 (ko) 2001-09-24 2001-09-24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헤드램프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742A KR20030025742A (ko) 2003-03-29
KR100439793B1 true KR100439793B1 (ko) 2004-07-12

Family

ID=27725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147A KR100439793B1 (ko) 2001-09-24 2001-09-24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헤드램프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97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728B1 (ko) * 2005-12-13 2007-06-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헤드램프의 장착 장치
KR101638840B1 (ko) * 2010-09-17 2016-07-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헤드램프 고정장치
KR101631807B1 (ko) * 2015-07-08 2016-06-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닥 거푸집의 상대 높이 계측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닥 거푸집의 상대 높이 계측방법
CN111391748A (zh) * 2020-04-29 2020-07-10 郭吕涛 一种用于汽车倒车的车灯防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742A (ko) 200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1793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장착 구조
FR2844757B1 (fr)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des moyens perfectionnes de liaison au chassis du vehicule
KR100439793B1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헤드램프 지지장치
KR100411143B1 (ko) 차량의 헤드램프 완충구조
CN101469820A (zh) 行人保护用头灯
KR100412433B1 (ko) 보행자 보호용 헤드램프의 충격흡수 구조
KR101033328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어셈블리
KR100410875B1 (ko) 보행자 보호용 헤드램프 구조
KR101063223B1 (ko) 보행자 보호용 헤드램프 구조
KR200153317Y1 (ko) 자동차용 포지션 램프의 전구소켓
KR100559676B1 (ko) 보행자 보호용 헤드램프의 충격흡수구조
KR20080047762A (ko) 보행자 보호용 헤드램프의 마운팅 구조
KR100534862B1 (ko) 헤드램프 체결구조
KR930004003Y1 (ko) 자동차용 비상 램프
KR100410884B1 (ko) 자동차용 실드 및 베젤 일체형 헤드램프 구조
KR100716776B1 (ko) 차량용 보행자 보호 헤드램프
KR0140557Y1 (ko) 파손 방지 조명램프 구조
KR0140279Y1 (ko) 자동차 후방의 라이선스 플레이트 램프 고정구조
KR20040045540A (ko) 전조등 충격흡수구조장치
KR200174305Y1 (ko) 급 제동시 범퍼 높이보정 시스템
KR200273373Y1 (ko) 자동차용 전조등의 자동소등장치
KR200167534Y1 (ko) 자동차 백 도어 보조제동등
KR0135166Y1 (ko) 전조등이 설치된 자동차용 범퍼
KR0149628B1 (ko) 자동차의 범퍼 장착형 램프
KR20080045950A (ko) 보행자 보호용 헤드램프의 마운팅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