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557Y1 - 파손 방지 조명램프 구조 - Google Patents

파손 방지 조명램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557Y1
KR0140557Y1 KR2019960011926U KR19960011926U KR0140557Y1 KR 0140557 Y1 KR0140557 Y1 KR 0140557Y1 KR 2019960011926 U KR2019960011926 U KR 2019960011926U KR 19960011926 U KR19960011926 U KR 19960011926U KR 0140557 Y1 KR0140557 Y1 KR 01405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amp
pivot member
lamp hous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19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1565U (ko
Inventor
심종근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119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557Y1/ko
Publication of KR9700615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5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5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5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 B60Q1/04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the housing being swivel mounted on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05Devices preventing the lights from becoming dirty or damaged, e.g. protection grids or cleaning by air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10Protection of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자동차 조명램프 구조
2.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충격받은 조명램프의 파손을 방지하고자 함.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범퍼부재와, 렌즈커버수단과, 발광수단이 설치된 램프 하우징과, 상기 램프 하우징이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는 피봇부재와, 상기 램프 하우징이 정지상태로 유지되기 위한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손 방지 조명램프구조.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자동차의 조명램프 수명을 보장함.

Description

파손 방지 조명램프 구조
본 고안은 파손 방지 조명램프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접촉사고나 후방 충격시에 조명등 렌즈커버가 파손되지 않고 분리되게하여 접촉사고후 곧바로 조명램프를 다시 조립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파손 방지 조명램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간거리가 좁은 사태에서 급정거가 되어 앞차와의 가벼운 충돌이 발생한 경우 자동차의 앞쏠림 현상으로 인해 앞차의 범퍼에 전방 조명등 렌즈커버가 접촉되어 조명램프의 렌즈커버가 쉽게 파손되는 일이 많다.
또한, 좁은 골목이나 경사진 장소에서 차량을 주차시키기 위하여 차량을 반복적으로 전진, 후진시킬 경우 운전자의 시야를 후방에 둔 상황에서 빈번하게 튀어나온 담벼락 등에 전방의 사이드 램프 렌즈 커버만 접촉되어 파손되는 일이 흔하게 발생되고, 후진시에도 실수로 담벼락, 철책 등이 특이하게 튀어나온 것에 접촉되는 경우 후방 조명 등 렌즈커버가 접촉되어 파손되는 일이 있었다.
제1도는 종래에 따른 조명램프 구조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램프 하우징(100)이 범퍼 혹은 차체의 브라켓(200) 등에 볼트등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볼팅되지 않는 구조라 하더라도 강한 탄성부재로서 탄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연속되는 차량의 갑작스런 급제동시 찻간의 추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급제동을 하는 순간 범퍼부분이 낮아지면서 전조등의 렌즈커버와 램프 하우징등이 파손되는 일이 일어날 수밖에 없었으며, 또한, 비좁은 골목에서 차량을 빼내거나 주차시키다가 돌출 벽면이나 철책 등에 앞, 뒤 측면 램프부분이 약간의 접촉상태에서도 파손되는 일이 빈번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앞, 뒤 조명램프의 램프 하우징 구조를 충격 순간 분리되는 구조로 실시하고자 하는 데에 있으며 구체적으로 차량의 추돌, 접촉사고나 주차중의 가벼운 램프 접촉시 앞, 뒤의 램프구조가 파손되지 않고 후방으로 회동되게하여 램프구조가 거의 원상대로 재사용 가능한 구조로 하는 데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명등이 설치된 램프 하우징과, 상기 램프 하우징이 축지되는 피봇부재와, 상기 램프 하우징이 정상상태로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피봇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회전 가능한 램프 하우징이 복수로 되고 그 일단부 끼리는 서로 맞닿는 면을 이루게하여 충격 순간 램프하우징이 각각 피봇부재를 중심으로 회전되게 하는 충격순간 분리되는 조명램프 구조로서 달성된다.
제1도는 일반적인 램프구조가 실시된 자동차의 예시도.
제2도는 종래 램프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램프가 충격받는 순간의 작용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하우징 2 : 제2하우징
3 : 제1잠금수단 4 : 제2잠금수단
5 : 제1피봇부재 6 : 제2피봇부재
7 : 발광수단 8 : 범퍼
9,10 : 렌즈커버부재 11 : 걸림공
12 : 돌기 21 : 걸림공
81 : 돌기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중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 단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하나의 면에서 서로 맞닿는 제1하우징(1)과 제2하우징(2)으로 되고, 제1하우징(1)은 제1잠금수단(3) 및 제2잠금수단(4)에 의하여 정지상태가 유지됨과 동시에 제2하우징(2)은 제2잠금수단(4)에 의해서만 정지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제1하우징(1)은 제1피봇부재(5)에 의하여, 제2하우징(2)은 제2피봇부재(6)에 의하여 각각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1하우징(1)에는 발광수단(7)이 설치되며, 상기 제1, 제2하우징(1)(2)들은 범퍼(8)상에 설치되며, 렘즈커버부재(9)(10)로서 전면이 투명상태로 커버링된다.
즉 상기 제1하우징(1)은 발광수단(7)을 갖추되 제1피봇부재(5)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하고, 회동상태는 범퍼(8)상에 형성된 돌기(81)에 의하여 하우징(1)에 형성된 걸림공(11)에 의하여 정지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제2하우징(1)(2)의 경계부분에 형성된 돌기(12)와 걸림공(21)에 의해서도 정지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상기 제2하우징(2)은 상기 제1하우징(1)에 대응하여 한면이 서로 맞닿게 형성되고 상기 제2피봇부재(6)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회전 가능한 램프 하우징(1)(2)은 복수로 되고 그 일단부는 서로 맞닿는 면을 이루며 충격 순간 램프 하우징(1)(2)이 각각 피봇부재(5)(6)를 중심으로 회전되게 하여서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복수의 램프 하우징이 아닌 단독의 램프 하우징으로도 실시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하나의 램프 하우징에 하나의 피봇부재를 일측에 형성하며 하나의 잠금수단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4도는 본 고안 램프가 충격받는 순간의 작용도로서 이에 따르면, 화살표 방향에서 접촉순간의 힘이 가해지면 제2잠금수단(4)의 돌기에서 걸림공이 해제되고 동시에 제1잠금수단(3)의 걸림공에서 돌기가 해제되면서 동시에 각 하우징(1)(2)은 각각의 피봇부재(5)(6)를 축으로 회동되면서 충격 순간의 충격력을 흡수하면서 램프 하우징(1)(2)은 물론 하우징(10(2) 저면을 커버하는 렌즈커버(9)(10) 및 발광수단(7)이 손상됨을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여러 가지 접촉 순간의 상황으로 인해 조명램프 구조가 파손될 수밖에 없었던 종래 하우징의 고정구조에 비하여 본 고안은 일정한 접촉력이 작용하는 순간 램프 하우징이 회동되면서 접어지므로 렌즈 커버의 파손 순간 내측 램프 하우징은 물론 전구의 파손이 방지되어 렌즈커버의 교체로서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자동차의 조명램프구조에 있어서, 발광수단(7)을 갖춘 제1하우징(1)과; 상기 제1하우징(1)에 대응하여 한면이 서로 맞닿게 형성된 제2하우징(2); 상기 제1하우징(1)에 형성된 걸림공(11)에 범퍼(8)에서 돌출된 돌기(81)가 끼워져 이루어지는 제1잠금수단(3); 상기 제1하우징(1)에 돌기(12)를 형성하고 제2하우징(2)에 걸림공(21)을 형성한 제2잠금수단(4); 상기 제1하우징(1)이 회동가능하게 축지한 제1피봇부재(5) 및; 상기 제2하우징(2)이 회동가능하게 축지한 제2피봇부재(6):를 포함하여 충격순간 상기 제1,2하우징(1)(2)이 각각 상기 제1,2 피봇부재(4)(5)에서 회동되어 접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방지조명램프구조.
KR2019960011926U 1996-05-15 1996-05-15 파손 방지 조명램프 구조 KR01405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1926U KR0140557Y1 (ko) 1996-05-15 1996-05-15 파손 방지 조명램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1926U KR0140557Y1 (ko) 1996-05-15 1996-05-15 파손 방지 조명램프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565U KR970061565U (ko) 1997-12-10
KR0140557Y1 true KR0140557Y1 (ko) 1999-04-01

Family

ID=19456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1926U KR0140557Y1 (ko) 1996-05-15 1996-05-15 파손 방지 조명램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55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840B1 (ko) * 2010-09-17 2016-07-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헤드램프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565U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36714B2 (en) High signal lights for automotive vehicles
KR0140557Y1 (ko) 파손 방지 조명램프 구조
JP3058389B2 (ja) トラックへのハイマウントストップランプの取付構造
KR100439793B1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헤드램프 지지장치
JP2000129621A (ja) 転圧車両
KR200153317Y1 (ko) 자동차용 포지션 램프의 전구소켓
KR0154670B1 (ko) 자동차의 비상등
KR950001829Y1 (ko) 경운기용 후방표시등 절첩장치
KR0149628B1 (ko) 자동차의 범퍼 장착형 램프
KR100280681B1 (ko) 자동차용 비상등 자동 점등 장치
KR0123034Y1 (ko) 자동차의 차폭등
KR200206284Y1 (ko) 램프 장치가 부설된 자동차의 도어 손잡이
KR200197209Y1 (ko) 차량의 비상등 점멸장치
KR200177981Y1 (ko) 자동차 후방 안전표시대
KR200262474Y1 (ko) 램프가 부설된 후사경
KR200158032Y1 (ko) 자동차의 회전식 램프
KR200249373Y1 (ko) 라이트가 구비된 후방미러조립체
KR100269962B1 (ko) 자동점등되는 절전형 비상등
JP2518736Y2 (ja) キャブオーバ方式またはセミキャブオーバ方式大型自動車の後部オーバーハングによる接触防止灯
KR0112382Y1 (ko) 자동차용 밧테리 방전 예방장치
KR19980027233U (ko) 자동차의 차폭표시기 구동장치
KR19990024972U (ko) 대형 차량의 전방 코너 지면 확인용 램프
KR19990031959U (ko) 트렁크 리드에 구비된 다용도 방향지시램프
KR19990058778A (ko) 스페어타이어 이탈경고장치
KR19990010462U (ko)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