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981Y1 - 자동차 후방 안전표시대 - Google Patents

자동차 후방 안전표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981Y1
KR200177981Y1 KR2019970015599U KR19970015599U KR200177981Y1 KR 200177981 Y1 KR200177981 Y1 KR 200177981Y1 KR 2019970015599 U KR2019970015599 U KR 2019970015599U KR 19970015599 U KR19970015599 U KR 19970015599U KR 200177981 Y1 KR200177981 Y1 KR 2001779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mergency
light
ca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55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2079U (ko
Inventor
심준무
Original Assignee
심준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준무 filed Critical 심준무
Priority to KR20199700155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981Y1/ko
Publication of KR199900020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0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9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9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후방에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보조브레이크등, 비상등 역할을 하다가 차량의 고장 등의 비상시 절첩하여 비상 삼각대 역할을 할수 있게한 자동차 후방 안전표시대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대 중앙에 보조제동등를 돌출 형성하고, 그 양옆으로 비상등이 형성된 절첩대를 고정대에 축착하며, 고정대 중앙 저면에 후사경을 형성하여 양 지지대에 의해 차량의 후방에 장착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후방 안전표시대
본 고안은 자동차 후방에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보조브레이크등, 비상등 역할을 하다가 차량의 고장 등의 비상시 절첩하여 비상 삼각대 역할을 할수 있게한 자동차 후방 안전표시대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차량보급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나, 그에 따른 교통문화는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차량의 고장, 또는 사고시를 대비하여 비상삼각대를 항시 휴대하고 다니다가 차량의 사고나 고장시 차량의 후방에 비상삼각대를 설치하여 뒤에오는 운전들로 하여금 이를 감지하여 안전운전하게 도움을 주어야 하나,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비상삼각대를 휴대하지 않고 다니거나 휴대를 하고 다니더라도 차량의 고장이나 사고시 그 설치작업이 번거러워 설치하지 않고 차량을 그대로 도로변에 방치시켜 놓고 있는 것이다.
특히 고속도로 등의 고속주행 도로에서 위와같이 차량을 그대로 방치시켰을 경우 후속차량이 방치된 차량이 고장차인지 서행하는 차인지 식별하기 어려워 고장 또는 사고난 차를 미쳐 발견하지 못하고 추돌사고를 일으켜 인명피해는 물론 재산피해, 교통체증을 일으키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승합차에는 차량 뒷면 후사경이 있으나 승용차에는 차량뒷면에 후사경이 없어 후진시는 백밀러와 실내 밀러로 후방을 살핀후 운전자가 고개를 뒤로 돌려 감각으로 후진하였으며, 차량 바로 뒤에 있는 장애물을 전혀 볼수 없는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승용차의 경우 승용차 트렁크 윗쪽에 설치하고 승합차등은 차량의 뒷면에 장착되게한 것으로 고정대와, 절첩대로 구성하여 고정대 중앙과 양절첩대에는 보조 등을 구성하고 고정대 저면에 후사경을 구성하여 차량의 후진시 후사경을 통해 차량후방을 관찰할수 있게하고, 차량의 고장이나 사고시 양 절첩대를 절첩시켜 비상 삼각대의 역할을 할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절첩시 설명도.
도3은 본 고안를 승용차에 적용시 설명도.
도4는 본 고안을 승합차 등에 적용시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고정대, 2: 보조제동등, 3,3': 비상등, 4,4': 절첩대, 5: 후사경, 6,6': 지지대
이하, 본 고안의 요지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대(1) 중앙에 보조제동등(2)를 돌출 형성하고, 그 양옆으로 비상등(3')(3')이 형성된 절첩대(4)(4')를 고정대(1)에 축착하며, 고정대(1) 중앙 저면에 후사경(5)을 형성하여 양 지지대(6)(6')에 의해 차량의 후방에 장착되게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을 차량에 장착할 때는 승용차의 경우 도 3 의 도시와 같이 트렁크 뒷부분에 지지대((6)(6')에 의해 장착하고 전기적 결선을 하면 장착이 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승합차등 뒤 트렁크가 없는 차량의 경우는 도 4 의 도시와 같이 차량의 뒷면에 지지대(6)(6')에 의해 장착하고 전기적 결선을 하면 본 고안의 안전표시대의 장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차량에 본 고안의 안전표시대를 장착하고 차량운행을 하다가 브레이크를 밟게 되면 고정대(1) 중앙의 보조제동등(2)이 브레이크등과 같이 결선되어 있어 보조제동등(2)이 점등되는 것으로 후속차량의 운전자에게 브레이크를 밟았음을 알려 주게 되어 후속차 운전자가 방어운전을 하게되는 것이다.
또한 고속도로등 고속주행을 하는 도로에서 고속주행을 하다 차량들이 밀려 서행을 해야 할 경우 비상등 스위치를 켜주게 되면 차량의 비상등과 함께 연결되어 있는 절첩대(4)(4')의 비상등(3)(3')도 함께 점멸되므로 후속차량의 운전자에게 비상 등을 켜씀을 확실하게 알려줄수가 있는 것이다.
여기서 고정대(1)의 보조제동등(2)이나, 절첩대(4)(4')의 비상등(3)(3')은 전구하나로서 구성할수도 있고 여러개의 전구나 발광다이오드등 빛을 발하는 것이면 모두 가능한 것이다.
또한 차량운행중 차량의 고장이나 사고로 인하여 도로가 차량을 정차시킬때에는 도2의 도시와 같이 절첩대(4)(4')를 상부로 회동시키면 고정대(1)의 보조제동동(2) 절첩대(4)(4')의 비상등(3)(3')이 비상 삼각대를 형성하게 되고 이에 비상등 스위치를 켜게 되면 삼각대 형상의 보조제동등(2)(2') 비상등(3)(3')이 점멸하게 되므로, 야간에도 후속차량의 운전자 고장차량이 앞에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가 있어 후속차량의 운행에 안전을 도모할 수가 있으며, 고장차량 등을 미쳐 발견치 못하여 발생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도 3,4의 도시와 같이 고정대(1) 저면에 후사경(5)이 형성되어 있어 차량의 후진시 차량 바로 뒤부분에 있는 장애물을 쉽게 발견할수 있는 것으로, 특히 차량뒤에 어린 아이가 놀고 있을 때 이를 손쉽게 발견할수 있어 후진시의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수 있으며 주차시 뒤차와의 간격을 정확히 판단하여 주차할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평상시에는 브레이크 등의 보조등, 비상등으로 사용되다가 차량의 고장이나 사고시 절첩대를 상부로 절첩하여 비상 삼각대로 사용할수 있어 운전자가 비상 삼각대를 따로 구비하고 다릴 필요가 없으며 비상 삼각대의 설치도 절첩대를 상부로 절첩만 하면 간편하고 용이하게 비상 삼각대가 형성되어 후속차량의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가 있고, 고정대 저면에 후사경이 형성되어 있어 후진시 차량 바로 뒤쪽의 장애물을 손쉽게 확인할수 있는 것으로, 인명피해, 재산피해, 교통체증 등을 예방할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고정대(1) 중앙에 보조제동등(2)를 돌출 형성하고, 그 양옆으로 비상등(3')(3')이 형성된 절첩대(4)(4')를 고정대(1)에 축착하며, 고정대(1) 중앙 저면에 후사경(5)을 형성하여 양 지지대(6)(6')에 의해 차량의 후방에 장착되게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후방 안전표시대
KR2019970015599U 1997-06-18 1997-06-18 자동차 후방 안전표시대 KR2001779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599U KR200177981Y1 (ko) 1997-06-18 1997-06-18 자동차 후방 안전표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599U KR200177981Y1 (ko) 1997-06-18 1997-06-18 자동차 후방 안전표시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079U KR19990002079U (ko) 1999-01-15
KR200177981Y1 true KR200177981Y1 (ko) 2000-05-01

Family

ID=19503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5599U KR200177981Y1 (ko) 1997-06-18 1997-06-18 자동차 후방 안전표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98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079U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36714B2 (en) High signal lights for automotive vehicles
JP2008534375A (ja) 車両ハザードウォーニングランプ
US6709141B1 (en) Automotive warning light
US20020130773A1 (en) Method and apparatus used for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a front windshield mounted vehicle brake light
US3810092A (en) Warning and distress signal device for a disabled vehicle
KR200177981Y1 (ko) 자동차 후방 안전표시대
US10378720B2 (en) Safety lighting system
CN110040065B (zh) 车辆的安全灯光系统
JP3100387U (ja) シグナル装置
JPH1059077A (ja) 車両のサイドミラー装置
US9266464B1 (en) Vehicle passenger side safety lamp systems
CN213705301U (zh) 一种贯穿尾部的led高位刹车灯
KR20200085666A (ko) 교통 신호봉 겸용 차량용 알림 장치 수납케이스
KR200305407Y1 (ko) 자동차의 유턴표시장치
KR20230112875A (ko) 원터치 차량용 안전 삼각대
KR200266202Y1 (ko) 차폭등이 장착된 차량의 백밀러
KR0143664B1 (ko) 자동차의 차고등이 부착된 룸미러 장치
KR200192806Y1 (ko) 자동차의 차선변경 양보신호장치
JP3023824U (ja) 車幅指示及び停車時側照装置
KR200300402Y1 (ko) 자동차용 보조 조명장치
JPH11217039A (ja) 自動車のブレーキランプ
JPS5828923Y2 (ja) 車輛用安全バツクミラ−
JP2521886Y2 (ja) 事故防止用補助停止ライト
KR200314321Y1 (ko) 브레이크등 점등회로
KR0114247Y1 (ko) 자동차용 보조제동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