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6704B1 - 평판표시소자 - Google Patents

평판표시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6704B1
KR100436704B1 KR1019970004749A KR19970004749A KR100436704B1 KR 100436704 B1 KR100436704 B1 KR 100436704B1 KR 1019970004749 A KR1019970004749 A KR 1019970004749A KR 19970004749 A KR19970004749 A KR 19970004749A KR 100436704 B1 KR100436704 B1 KR 100436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display
flat panel
display device
lead pin
wir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4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8238A (ko
Inventor
박장수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04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6704B1/ko
Priority to JP1545798A priority patent/JP3188865B2/ja
Priority to CN 98105301 priority patent/CN1120527C/zh
Publication of KR19980068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1Surface mounted components
    • H05K3/3421Leaded components
    • H05K3/3426Leaded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lead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평판표시소자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배선층이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배선층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절곡부와, 외부기기의 단자와 연결되는 접속부를 갖는 리드핀을 포함하여 된 평판표시소자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절곡부가 편평하게 연장되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길이방향을 중심축으로 소정길이 휘말아서 만들어진 접속단자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채용함으로써, 작업공수가 줄어들고 제조시간이 종래에 비해 단축되고 자동화공정으로 대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평판표시소자{VFD}
본 발명은 평판표시소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원이 인가되는 접속부의 구조가 개선된 평판표시소자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의 출현 이후, 디스플레이 영역의 연구 및 개발은 지속적으로 행해져 왔으며, 그 중의 하나로 평판표시소자를 들 수 있다. 이것은 열전자 방출에 의한 전자들을 적어도 하나의 가속전극으로 가속시켜 최종적으로 형광막에 충돌시킴으로써 형광물질의 발광을 이용하는 기본 원리 측면에서 볼 때 음극선관과 유사한 점이 많은 표시장치이다.
평판표시장치, 혹은 평판표시소자의 일반적인 약칭은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로서, 이것은 적어도 한쪽면이 투명한 진공용기에 필라멘트(filament)라 지칭되는 직선형의 캐소우드(cathode)로부터 방출된 열전자를 직류 또는 펄스(pulse)전압으로 양전위의 애노우드측으로 가속시켜 애노우드(anode)상에 도포된 형광체에 충돌발광시킴으로써 소망하는 패턴을 표시하는 열전자표시소자이다. 이러한 평판표시소자는 통상적으로 전자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그리드를 갖춘 3극 구조의 것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평판표시소자(10)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평판표시소자(10)는 소정의 패턴으로 배선층(11)이 형성된 기판(12)과 상기 배선층(12)상에 형성된 절연층(13)과 상기 절연층(13)상에 형성되며 상기 배선층과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층(14)과, 상기 도전층(14)상에 도포된 형광체(15)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형광체(15)상의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캐소우드(16)와, 상기 도전층(14)과 라인 캐소우드(16) 사이에 상기 라인 캐소우드(16)로부터 방출되는 열전자를 제어하고 가속시키는 그리드(17)가 지지대(5)의 상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12)은 측면판(18)에 전면판(19)을 봉착하여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기판(12)에 지지되어 상기 배선층(11)에 소정의 전원을 인가하는 리드핀(20)을 구비한다. 상기 리드핀(20)은 배선층(11)과 결합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연장선으로 외부전원이 인가되는 접속부로 구분된다. 상기 절곡부는 배선층(11)과 결합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소정각도의 단차를 형성하여 배선층(11)에 접속한다. 즉, 접속부의 일측단으로부터 소정폭 예컨데, ??.3㎜정도로 배선층측으로 절곡된다.
한편, 상기 라인 캐소우드(16)는 프레임상에 지지되어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만들어지며,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리드핀(20)들도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와같이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리드핀(20)과 라인 캐소우드(16)는 이 상태로 평판표시소자의 조립공정에 이용되며, 조립완료 후에 절단선(C1)을 따라 상기 리드핀(20)들을 절연시킨다. 또한, 라인 캐소우드(16)도 프레임 상면의 절단선(C2)을 따라 자르게 된다. 이때, 단부방향으로 소정길이 잘라진 리드핀(20)의 접속부는 완전한 역할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잘라지고남겨진 리드핀(20) 접속부의 몸체(21) 상면에 소정길이 소정두께를 가진 접속단자(22)를 용접결합시켜 사용하게 된다. 상기 접속단자(22)는 리드핀의 재질보다 강도가 향상된 재질의 금속으로서, 외부기기 예컨데, 인쇄회로기판의 단자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아 평판표시소자를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평판표시소자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소정의 리드핀(20)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라인 캐소우드(16)로부터 열전자가 방출되게 된다. 이 방출된 열전자는 전원이 인가된 리드핀(20)과 배선층(11)에 의해 연결된 도전층(14)측으로 가속 공급되게 된다. 이처럼 도전층(14)측으로 향하는 열전자는 상기 도전층(14)의 상부에 도포된 형광체(15)에 충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형광체(15)를 발광시키게 되고, 평판표시소자에 소정의 화상이 형성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평판표시소자의 리드핀(20)의 접속부는 소정길이 그 단부가 잘라진 리드핀의 몸체(21) 상면에 접속단자(22)를 하나씩 용접결합하여야 하므로 작업공수도 많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도 많이 드는 단점이 있으며, 면과 면만의 결합이므로 결합강도도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외부기판과 연결되는 리드핀의 접속부 구조를 개선하여 종래에 비해 작업공수와 작업시간이 줄어드는 평판표시소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평판표시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리드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접속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소자에 채용된 접속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에 채용된 접속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평판표시소자 11...배선층
12...기판 13...절연층
14...도전층 15...형광층
16...라인캐소우드 17...그리드
18...측면판 19...전면판
5...지지대 20...리드핀
21, 31, 41...몸체 22, 32, 42...접속단자
23, 33, 43...절곡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선층이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배선층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절곡부와, 외부기기의 단자와 연결되는 접속부를 갖는 리드핀을 포함하여 된 평판표시소자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절곡부가 편평하게 연장되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길이방향을 중심축으로 소정길이 휘말아서 만들어진 접속단자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단면은 지름이 0.5㎜인 소정 길이의 원호 또는 한변의 소정길이가 없는 직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소자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소자에 채용된 접속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소자의 구조와 작동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하고, 특징적인 구성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드핀(30)은 기판상에 형성된 배선층상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전원을 인가하고, 소정전위가 인가되는 접속부를 구비하며, 이 접속부의 단부에 절곡부(33)가 형성되어 그 단부가 상기 배선층에 접속된다. 이때, 상기 접속부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33)의 편평한 연장선으로 플레이트형의 몸체(31)와, 그 단부에 소정길이 휘말려진 접속단자(32)를 구비하여 된다. 이 접속단자(32)는 외부기기 즉, 인쇄회로기판의 단자와 결합되는 결합단자이고 인쇄회로기판의 결합홈에 알맞게 소정반지름의 원호를 가지며 이 원호의 지름은 0.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원호의 모양으로 휘말려진 접속단자(32)는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에 비하여 강도가 향상된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드핀(40)를 나타낸다.
이 리드핀(40)도 도 4에 도시된 리드핀(30)과 같이, 접속부와 절곡부(42)가 일체형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절곡부(42)의 연장선으로 편평하게 플레이트 형상으로 만들어진 접속부의 몸체(41)와, 몸체가 연장되어 소정길이 휘말려서 만들어진 접속단자(42)를 구비한다. 이 접속단자(42)는 몸체(41)의 길이방향을 중심축으로하여 휘말려지며 그 단면은 한변의 소정길이가 형성되지 않은 직사각형이다. 이 리드핀(40)은 주로, 진동이 많은 자동차 등의 인쇄회로기판에 상기 접속단자(42)가 결합되어 사용된다.
상기한 실시예들에 따른 리드핀들을 채용한 평판표시소자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평판표시소자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평판표시소자의 리드핀 접속부을 통하여 외부기판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접속부의 연장선인 절곡부가 기판상에 형성된 배선층에 소정의 전원을 인가한다. 이와같이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배선층에 지지된 라인 캐소우드로부터 열전자가 방출되고, 방출된 열전자는 전원이 인가된 리드핀과 배선층에 의해 연결된 도전층측으로 가속 공급되게 된다. 이처럼 도전층으로 향하는 열전자는 상기 도전층의 상부에 도포된 형광체에 충돌하면서 그 형광체를 발광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평판표시소자에 소정의 화상이 형성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리드핀의 접속부는 상기 절곡부와 일체형으로 연장된 플레이트형의 몸체와, 이 몸체의 길이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그 단부가 휘말려서 형성된 접속단자를 구비하여 되기 때문에 강도가 일체형이 아닌 종래의 것에 비해 향상되고 제조가 종래에 배해 수월해진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접속부를 채용한 평판표시소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작업공수가 줄어든다.
본 발명에서는 리드핀의 접속부를 상기 절곡부와 일체형으로 된 몸체와, 이 몸체의 소정길이를 휘말아서 만든 접속단자로 만들기 때문에 용접공정이 없어져 하나하나씩 계속해서 연이어 고정상태를 유지하며 용접결합하는 종래 방식에 비해 작업이 수월하기 때문에 작업공수가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둘째, 작업시간이 줄어든다.
종래에는 리드핀의 제조공정에서 접속부의 제1부재와 제2부재의 결합을 하나하나씩 고정상태를 수동으로 유지하며 용접결합을 해야했다. 더우기, 그 단면이 사각형이므로 맞추기도 어려울 뿐만아니라 용접시에도 많은 수작업이 필요했으나, 본 발명에서는 리드핀의 접속부를 상기 절곡부와 일체형으로 된 몸체와, 이 몸체의 소정길이를 휘말아서 만든 접속단자로 만들기 때문에 공정이 전체적으로 종래에 비해 단순해지므로 작업시간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셋째, 결합강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소자의 리드핀은 외부기기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접속부와, 이 접속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배선층에 접속되는 절곡부를 일체형으로 만들고, 특히, 절곡부가 편평하게 연장되어 만들어진 접속부의 몸체와 이 몸체의 연장선으로 소정길이 휘말려서 만즐어진 접속단자가 일체형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두 부재 즉, 접속부의 몸체와 접속단자를 용접결합하여 만들어지는 종래의 리드핀에 비해 결합강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들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배선층이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배선층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절곡부와, 외부기기의 단자와 연결되는 접속부를 갖는 리드핀을 포함하여 된 평판표시소자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절곡부가 편평하게 연장되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길이방향을 중심축으로 휘말아서 만들어진 접속단자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의 단면은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 단면은 그 지름이 0.5㎜인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의 단면은 일 측이 개방된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
KR1019970004749A 1997-02-17 1997-02-17 평판표시소자 KR100436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4749A KR100436704B1 (ko) 1997-02-17 1997-02-17 평판표시소자
JP1545798A JP3188865B2 (ja) 1997-02-17 1998-01-28 フラット表示素子
CN 98105301 CN1120527C (zh) 1997-02-17 1998-02-17 平面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4749A KR100436704B1 (ko) 1997-02-17 1997-02-17 평판표시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238A KR19980068238A (ko) 1998-10-15
KR100436704B1 true KR100436704B1 (ko) 2004-07-16

Family

ID=19497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4749A KR100436704B1 (ko) 1997-02-17 1997-02-17 평판표시소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188865B2 (ko)
KR (1) KR100436704B1 (ko)
CN (1) CN112052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147B1 (ko) * 2016-03-10 2018-05-09 인디스에어(주) 설치 모양을 임의대로 변경할 수 있는 스크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9438A (ja) * 1989-08-31 1991-04-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平板型表示装置用真空容器
JPH06295689A (ja) * 1993-01-18 1994-10-21 Futaba Corp 蛍光表示装置及び蛍光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H08106867A (ja) * 1994-10-04 1996-04-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平板型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17585A (ko) * 1996-08-31 1998-06-05 엄길용 평판표시소자의 접속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9438A (ja) * 1989-08-31 1991-04-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平板型表示装置用真空容器
JPH06295689A (ja) * 1993-01-18 1994-10-21 Futaba Corp 蛍光表示装置及び蛍光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H08106867A (ja) * 1994-10-04 1996-04-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平板型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17585A (ko) * 1996-08-31 1998-06-05 엄길용 평판표시소자의 접속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88865B2 (ja) 2001-07-16
JPH10301502A (ja) 1998-11-13
KR19980068238A (ko) 1998-10-15
CN1120527C (zh) 2003-09-03
CN1195106A (zh)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3556B2 (en) Flat-type fluorescent lamp for illumination unit and liquid crystal device
US6954030B2 (en) Image forming substrate, electron-emitting substrat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436704B1 (ko) 평판표시소자
KR100463190B1 (ko) 금속 메쉬 일체형 스페이서 구조체 및 이 구조체를 갖는평판 표시 소자
KR100696413B1 (ko) 형광표시판
KR100256106B1 (ko) 형광표시관
KR20030079270A (ko) 전계 방출 표시소자와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0273139Y1 (ko) 형광표시장치
US5604397A (en) Improved terminal lead structure for a flourescent display device
KR100477721B1 (ko) 형광표시관및이형광표시관의서포트와라인캐소오드의결합방법
KR100766893B1 (ko) 형광표시관 모듈
JP3058824B2 (ja) 蛍光表示管のアンカ
JPH0845450A (ja) 蛍光表示管
JP2830768B2 (ja) 蛍光表示管用陰極支持板
KR200171924Y1 (ko) 형광표시관의리이드핀연결구조
KR100300337B1 (ko) 형광 표시관
JP3586074B2 (ja) 蛍光表示管の製造方法
KR200196305Y1 (ko) Neg 게터체를 갖는 fed소자
JP3261637B2 (ja) 光源用表示管
KR200171929Y1 (ko) 음극선관용전자총
KR100266107B1 (ko) Neg 게터체 및 이를 이용한 fed 소자
KR100502903B1 (ko) 형광표시관
KR100362538B1 (ko) 형광표시관
KR20030027615A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40025092A (ko) 형광표시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