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139Y1 - 형광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형광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139Y1
KR200273139Y1 KR2019960054489U KR19960054489U KR200273139Y1 KR 200273139 Y1 KR200273139 Y1 KR 200273139Y1 KR 2019960054489 U KR2019960054489 U KR 2019960054489U KR 19960054489 U KR19960054489 U KR 19960054489U KR 200273139 Y1 KR200273139 Y1 KR 200273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layer
lead pin
fluorescent display
substrat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4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1397U (ko
Inventor
박영국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54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139Y1/ko
Publication of KR199800413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3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139Y1/ko

Links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기판상에 형성된 배선층상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것으로, 소정전위가 인가되는 접속부와, 접속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배선층에 접속되는 돌기부를 구비한 리드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리드핀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기판상에 형성된 배선층과의 접속 불량을 줄여 접속이 원할하게 된다. 또한, 리드핀의 형상이 단순화됨에 따라 금형제작이 용이하게 되어 제작공정이 간편하다.

Description

형광표시장치
본 고안은 형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드핀(lead pin)의 형상을 변경한 형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CRT)의 출현이후 디스플레이(display) 영역의 연구 및 개발은 지속적으로 행해져 왔으며, 그 중의 하나로 형광표시장치를 들 수 있다. 이것은 열전자 방출에 의한 전자들을 적어도 하나의 가속전극으로 가속시켜 최종적으로 형광막에 충돌시킴으로써 형광물질의 발광을 이용하는 기본 원리 측면에서 볼 때 음극선관과 유사한 점이 많은 표시장치이다.
형광표시장치, 혹은 형광표시관의 일반적인 약칭은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이하 VFD라 약칭함)로서, 이것은 적어도 한쪽면이 투명한 진공용기에 필라멘트(filament)라 지칭되는 직선형의 캐소우드(cathode)로부터 방출된 열전자를 직류 또는 펄스(pulse) 전압으로 양 전위의 애노우드측으로 가속시켜 애노우드(anode)상에 도포된 형광체에 충돌발광시킴으로써 소망하는 패턴(pattern)을 표시하는 열전자표시관이다. 이러한 VFD는 통상적으로 전자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그리드를 갖춘 3극 구조의 것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형광표시장치(10)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형광표시장치(10)는 소정의 패턴으로 배선층(11)이 형성된 기판(12)과, 상기 배선층(12)상에 형성된 절연층(13)과, 상기 절연층(13)상에 형성되며 상기 배선층(1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층(14)과, 상기 도전층(14)상에 도포된 형광체(15)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형광체(15)상의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라인 캐소우드(16)와, 상기 도전층(14)과 라인 캐소우드(16) 사이에 상기 라인 캐소우드(16)로부터 방출되는 열전자를 제어하고 가속시키는 그리드(17)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12)은 측면판(18)에 전면판(19)을 봉착하여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기판(12)에 지지되어 상기 배선층(11)에 소정의 전원을 인가하는 리드핀(20)을 구비한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리드핀(20)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판(12)상의 각각의 배선층(11)에 소정의 전원을 인가하는 리드핀(20)은 소정길이 편평하게 형성된 접속부(20a)와, 상기 접속부(20a)로부터 소정 각도의 단차를 형성하여 상기 배선층(11)에 접속하는 절곡부(20b)를 구비한다.
즉, 상기 리드핀(20)은 배선층(11)과 소정간격 이격된 접속부(20a)와, 이 접속부(20a)의 양단으로부터 소정폭으로 좁게 형성된 다음 소정 각도의 단차를 형성한 절곡부(20b)를 구비하여, 상기 절곡부(20b)의 단부가 상기 기판(12)상에 설치된 배선층(11)에 접속하여 소정의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리드핀(20)의 절곡부(20b)의 폭은 0.3mm 정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형광표시장치(10)에 있어서, 작용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소정의 리드핀(20)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필라멘트(16)로부터 열전자가방출되게 된다. 이 방출된 열전자는 전원이 인가된 리드핀(20)과 배선층(11)에 의해 연결된 도전층(14)측으로 가속 공급되게 된다. 이처럼 도전층(14)측으로 향하는 열전자는 상기 도전층(14)의 상부에 도포된 형광체(15)에 충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형광체(15)를 발광시키게 되고, 형광표시장치(10)에 소정의 화상이 형성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리드핀(20)은 절곡부(20b)의 단부가 상기 배선층(11)에 접속하는 방식이므로 다른 공정으로 인한 리드핀(20)의 변형을 초래하여 기판(12)상의 배선층(11)과의 접속 불량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리드핀(20)은 접속부(20a)와 절곡부(20b)의 폭이 상이하고, 상기 절곡부(20)는 소정 각도로 단차를 형성하기 때문에 공정이 비교적 복잡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리드핀의 형상을 변경하여 기판상의 배선층과 접속이 원할한 형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형광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a는 종래의 형광표시장치의 리드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b는 종래의 리드핀의 단부와 기판상의 단자가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형광표시장치의 리드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의 리드핀의 단부와 기판상의 단자가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40. 형광표시장치 11,31. 배선층
12,32. 기판 13. 절연층
14. 도전층 15. 형광체
16. 라인 캐소우드 17. 그리드
18. 측면판 19. 전면판
20,30. 리드핀 20a,30a. 접속부
20b. 절곡부 30b. 돌기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형광표시장치는,
기판상에 형성된 배선층상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것으로, 소정전위가 인가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선층에 접속되는 돌기부를 구비한 리드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 단부에 형성된 돌기부는 원뿔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선층과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형광표시장치(3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광표시관(40)은 다음과 같은 구조이다.
상면에 소정패턴의 배선층(31)이 형성된 기판(32)과, 상기 배선층(31)상에 형성된 절연층(13)과, 상기 절연층(13) 상면에 형성되여 상기 배선층(3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층(14)과, 상기 도전층(14)상에 도포된 형광체(15)와, 상기 기판(32)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라인 캐소우드(16)와, 상기 라인 캐소우드(16)와 형광체층(15) 사이에 설치된 그리드(17)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기판(32)과 측면판(18)에 의해 봉착되어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전면판(19)과, 상기 기판(32)에 지지되어 상기 배선층(31)에 소정의 전위를 인가하는 리드핀(30)을 구비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리드핀(30)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기판(32)상의 각각의 배선층(31)에 소정의 전원을 인가하는 리드핀(30)은 소정길이 편평하게 형성되는 접속부(30a)와, 상기 접속부(30a)의 단부에 형성하여 상기 배선층(31)에 접속하는 돌기부(30b)를 구비한다.
즉, 상기 리드핀(30)은 상기 기판(32)상에 형성된 배선층(31)에 소정간격 이격된 편평한 형태의 접속부(30a)와, 상기 접속부(30a)의 상면에 돌출되어 상기 배선층(31)에 전위를 인가하도록 접속하는 돌기부(30b)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돌기부(30b)는 원뿔형으로 형성하여 그 단부가 상기 배선층(31)의 일점에서 접속하게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형광표시장치(40)에 있어서 작용과정을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형광표시장치(40)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형광표시장치(40)의 리드핀(30)을 통하여 기판(32)상에 형성된 배선층(31)에 소정의 전원을 인가한다. 이와 같이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배선층(31)에 지지된 라인 캐소우드(16)로부터 열전자가 방출되게 되고, 방출된 열전자는 전원이 인가된 리드핀(30)과 배선층(31)에 의해 연결된 도전층(14)측으로 가속 공급되게 된다. 이처럼 도전층(14)측으로 향하는 열전자는 상기 도전층(14)의 상부에 도포된 형광체(15)에 충돌하면서 그 형광체(15)를 발광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형광표시장치(40)에 소정의 화상이 형성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형광표시관(40)의 배선층(31)에 소정의 전원을 인가하는 리드핀(30)은 접속부(30a)의 단부에 소정형상의 돌기부(30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와 배선층(31)의 접속시 접점이 안정화되어 상기 배선층(31)과 리드핀(30)사이의 전기적 접속에 따른 신뢰성이 향상되게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형광표시장치는 리드핀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기판상에 형성된 배선층과의 접속 불량을 줄여 접속이 원할하게 된다. 또한, 리드핀의 형상이 단순화됨에 따라 금형제작이 용이하게 되어 제작공정이 간편하다.
본 고안은 도면에 실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기판상에 형성된 배선층상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의 전원이 인가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선층의 일점에서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도록 상기 접속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부;를 가지는 리드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표시장치.
  2. 상기 돌기부는 원뿔형으로 형성되어서, 그 단부가 상기 배선층과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표시장치.
KR2019960054489U 1996-12-23 1996-12-23 형광표시장치 KR2002731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4489U KR200273139Y1 (ko) 1996-12-23 1996-12-23 형광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4489U KR200273139Y1 (ko) 1996-12-23 1996-12-23 형광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397U KR19980041397U (ko) 1998-09-15
KR200273139Y1 true KR200273139Y1 (ko) 2002-09-13

Family

ID=53994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4489U KR200273139Y1 (ko) 1996-12-23 1996-12-23 형광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1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397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3236B1 (ko) 화상형성장치및그제조방법
US6954030B2 (en) Image forming substrate, electron-emitting substrat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273139Y1 (ko) 형광표시장치
US6822387B1 (en) Vacuum fluorescent display
KR100436704B1 (ko) 평판표시소자
KR100338029B1 (ko) 그리드리스형 형광표시관
KR100766893B1 (ko) 형광표시관 모듈
US6204600B1 (en) Field emission device having floating electrode and conductive particle layer
KR100362538B1 (ko) 형광표시관
KR200171924Y1 (ko) 형광표시관의리이드핀연결구조
KR100315236B1 (ko) 와이어 그리드를 갖는 형광 표시관
KR100362537B1 (ko) 형광표시관
KR100330152B1 (ko) 형광 표시관
KR100315233B1 (ko) 직류 구동식 형광 표시관
KR100354230B1 (ko) 형광표시관
KR100263848B1 (ko) 형광표시관
KR100277647B1 (ko) 형광표시관
KR19980084254A (ko) 형광표시관
JP3058110B2 (ja) 配線接続構造及び配線接続方法
KR100544108B1 (ko) 형광표시관
KR100315231B1 (ko) 형광표시관
KR920006871Y1 (ko) 형광 표시관용 그리드
KR100477721B1 (ko) 형광표시관및이형광표시관의서포트와라인캐소오드의결합방법
KR920005883Y1 (ko) 형광표시 장치
KR20000010505U (ko) 형광 표시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