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6690B1 - 복합패널 - Google Patents
복합패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36690B1 KR100436690B1 KR10-2001-0015983A KR20010015983A KR100436690B1 KR 100436690 B1 KR100436690 B1 KR 100436690B1 KR 20010015983 A KR20010015983 A KR 20010015983A KR 100436690 B1 KR100436690 B1 KR 1004366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rface finish
- inorganic surface
- finish material
- panel
- metal shell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90 mineral wo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40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profiled spacer she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00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 F16B5/0008—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substantially in their own plane, perpendicular to the abutting edge
- F16B5/0012—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substantially in their own plane, perpendicular to the abutting edge a tongue on the edge of one sheet, plate or panel co-operating with a groove in the edge of another sheet, plate or pan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riv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한 쌍의 금속 외피의 사이에 단열재를 개재하여 이루어지는 샌드위치패널과, 그 표면에 기계적으로 고착한 무기질계 표면마감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복합패널을 제공한다. 샌드위치패널은 그 일단에 볼록부를, 그 대향하는 타단에 패널 연결 시에 인접하는 샌드위치패널의 볼록부에 끼워맞출 수 있는 오목부를 갖고, 무기질계 표면마감재는 금속 외피에 복수개소에서 간격을 두어 고착수단의 사용에 의해 기계적으로 고착된다. 이에 따라, 금속 외피와 무기질계 표면마감재와의 열팽창률 차이에 의한 균열 또는 박리를 방지할 수 있고, 장기간 사용해도 무기질계 표면마감재가 탈락하는 위험을 없앨 수 있다. 또, 무기질계 표면마감재의 완성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로 옥내벽, 외벽, 지붕, 바닥 등에 사용되는 건재용 패널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금속 외피 사이에 단열재를 개재하여 이루어지는 샌드위치패널과, 그 표면에 고착된 무기질계 표면마감재를 구비하는 복합패널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옥내벽, 외벽, 지붕, 바닥 등에는, 경량이고 단열성 및 내화성이 우수한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패널이 사용되고 있다. 이 ALC패널의 외관 의장성을 개선하는 경우에는, 통상 그 표면에 타일을 붙이는 경우가 있지만,이렇게 타일을 붙여 마무리하는 것에서는 그 내구성에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충분한 내구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외관 의장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ALC패널(80)의 표면에 판형의 무기질계 표면마감재(6)를 접착제(90)또는 양면테이프 등을 이용한 전체면 접착 방식으로 고착한 복합패널이 제안되어 있다. 또, 최근에는, ALC패널 대신에, 한 쌍의 금속 외피 사이에 단열재를 개재하여 형성되는 샌드위치패널을 상기의 용도에 이용하는 것이 주류가 되고 있다.
그러나, 무기질계 표면마감재와 샌드위치패널을 조합시킨 복합패널에서는, 무기질계 표면마감재를 샌드위치패널의 한 쪽 금속 외피에 접착하는 방법으로서, 종래와 같은 전체면 접착 방식을 채용하면 금속재료와 무기질재료 사이의 열팽창률 차이에 기인하여 응력이 발생하고, 그 응력에 의해 무기질계 표면마감재에 균열 또는 박리가 발생하기 쉽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탄력성을 가지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지만, 이 종류의 접착제에서는 장기간 사용할 시에 접착 강도가 저하되어 무기질계 표면마감재(6)의 박리, 탈락의 우려가 생긴다. 더구나, 전체면 접착 방식에서는 접착제의 건조 시간이 장시간 걸리는 경우가 있어, 건조가 완료될 때까지 공정을 중단하지 않으면 안 되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이하의 장점을 가지는 복합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1) 금속재료와 무기질재료의 열팽창률 차이에 의해서 무기질계 표면마감재에 균열 또는 박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 장기간 사용한 후에도 무기질계 표면마감재의 탈락의 위험을 없앨 수 있다.
(3) 공사기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4) 샌드위치패널에 무기질계 표면마감재의 고착력을 높이는 동시에 무기질계 표면마감재의 방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패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복합패널의 A-A 선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복합패널 간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 및 4(b)는 각각 고착수단의 장착 전후에 있어서의 설명도.
도 5는 도 1의 복합패널의 B-B 선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복합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
즉, 본원 청구항1에 의한 복합패널은 한 쌍의 금속 외피 및 금속 외피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재로 이루어지는 샌드위치패널과, 이 샌드위치패널의 한 쪽 금속 외피에 고착되는 무기질계 표면마감재를 구비하고, 샌드위치패널은 그 일단에 볼록부를, 그 대향하는 타단에 패널 연결 시에 인접하는 샌드위치패널의 볼록부에 끼워맞출 수 있는 오목부를 갖고, 무기질계 표면마감재는 금속 외피에 복수개소에서 간격을 두고 고착수단에 의해 기계적으로 고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에 의한 복합패널은, 청구항1의 구성에 있어서, 고착수단은 헤드와, 무기질계 표면마감재 및 이것에 고착되는 샌드위치패널의 금속 외피를 관통하여 단열재 내에 도달하도록 삽입되는 삽입장착부를 구비하고, 삽입장착부는 삽입장착부의 직경방향으로 확장가능한 클립을 갖고, 삽입장착부의 클립을 단열재 내에 대하여 확장시킴으로써, 헤드와 확장된 클립 사이에 무기질계 표면마감재 및 이것과 인접하는 금속 외피를 끼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3에 의한 복합패널은,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의 구성에 있어서, 무기질계 표면마감재 및 이것에 고착되는 금속 외피 사이에 외부로부터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수단을 이들 접합면의 외주부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4에 의한 복합패널은, 청구항1의 구성에 있어서, 무기질계 표면마감재는 오목형의 경계부를 표면에 갖고, 고착수단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가 경계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5에 의한 복합패널은, 청구항1의 구성에 있어서, 무기질계 표면마감재는, 그 표면에 형성되는 오목형의 경계부와, 이 경계부에 의해서 구획되는 마감 타일부와, 고착수단을 삽입하기 위해서 마감 타일부에 형성되는 개구와, 고착수단의 헤드를 수용하기 위해서 상기 개구의 입구 부근에 형성되는 스폿 페이싱(spot facing)을 갖고, 상기 헤드는 고착수단에 의해 무기질계 표면마감재가 금속 외피에 고착된 후, 스폿 페이싱 내에 공급된 충전재에 의해서 피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6에 의한 복합패널은, 청구항1의 구성에 있어서, 무기질계 표면마감재는 금속 외피에 고착될 때는 도장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패널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복합패널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금속 외피(1, 2) 사이에 단열재(3)가 개재되어 이루어지는 샌드위치패널(7)과, 샌드위치패널(7)의 한쪽 금속 외피(1) 표면에 고착된 도장되지 않은 무기질계표면마감재(6)로 주로 구성된다. 샌드위치패널(7)의 금속 외피(1, 2)로는, 예를 들면, 강판을 사용할 수가 있고, 단열재(3)로는, 발포성 수지나 암면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샌드위치패널(7)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복수개의 복합패널을 연결하여 벽면을 형성할 때에 사용되는 연결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복합패널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샌드위치패널(7)의 일 측단에 제1 돌기(25)와 제2 돌기(22)가 설치되어 있고, 타단에는 한 쌍의 제3 돌기(21a, 21b)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복합패널들을 연결하는 경우는, 복합패널(A')의 제1 돌기(25)가 그것에 인접하는 복합패널(A)의 한 쌍의 제3 돌기(21a, 21b)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오목부(27)에 끼워 맞춰짐과 동시에, 복합패널(A)의 제3 돌기의 한 쪽(21a)이 복합패널 (A')의 제1 돌기(25)와 제2 돌기(22)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오목부(28)에 끼워 맞춰진다.
복합패널(A)의 다른 쪽의 제3 돌기(21b)는, 복합패널(A')의 제2 돌기(22)를 갖는 표면과는 반대측의 표면(도 3에서는 패널 하측의 표면) 보다도 한층 낮게 설치된 제1 단차부(26)에 수용되고, 2개의 복합패널(A, A')의 하측 표면이 동일 평면이 되도록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복합패널(A')의 제2 돌기(22)는, 복합패널(A)의 제3 돌기(21b)를 갖는 표면과는 반대측의 표면(도 3에서는 패널상측의 표면) 보다도 한층 낮게 설치된 제2 단차부(23)에 수용되고, 2개의 복합패널 (A, A')의 상측 표면이 동일평면이 되도록 연결된다. 또한, 도 3에서의 참조부호(24)는, 후술하는 장착나사의 헤드를 수납하기 위해서 제2 단차부(23)에 설치한 홈이며,참조부호(60)는 연결부에서의 방수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제1 돌기(25)와 제1 오목부(27) 사이에 배치되는 패킹이며, 참조부호(70)는 복합패널들을 연결/고정하기 위한 장착나사이다.
무기질계 표면마감재(6)로는, 예를 들면, 섬유가 충전된 시멘트재와 같은 시멘트복합재를 사용할 수가 있다. 무기질계 표면마감재(6)의 표면에는 복수의 직사각형 타일부(14)와 인접하는 직사각형 타일부(14) 사이를 구분하는 경계부(30)가 오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직사각형 타일부(14)는, 타일 분위기, 돌무늬 분위기, 사암(砂岩) 분위기, 또는 벽돌 분위기 등으로 하여 패널의 외관 의장성을 개선할 수가 있다. 무기질계 표면마감재(6)의 표면은, 샌드위치패널(7)에 고착되는 단계에서는 도장되지 않은 상태이며, 샌드위치패널과의 고착 후에 무기질계 표면마감재의 표면에 도장을 실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요망에 따른 임의의 색과 모양으로 할 수 있다. 또, 무기질계 표면마감재(6)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1변의 크기를 예를 들면 300mm∼900mm정도, 경계부(30)의 두께를 예를 들면 5mm 이상, 직사각형 타일부(14)의 두께를 예를 들면 20mm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환경보호의 관점에서, 무기질계 표면마감재(6)의 원료로서 오니 등의 폐기물(무기질 시멘트계)을 사용하고, 이것을 건조, 초벌구이(素燒) 하여 얻어지는 것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무기질계 표면마감재(6)는, 고착수단(13)에 의해 샌드위치패널(7)에 고착된다. 무기질계 표면마감재(6)의 복수개소에는 스폿 페이싱(35)이 형성되고, 스폿 페이싱(35) 내에는 무기질계 표면마감재에 인접하는 금속 외피(1)를 관통하여 단열재(3) 내부까지 도달하는 헐거운 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고착수단(13)은, 스폿 페이싱(35)을 통하여 이 헐거운 구멍(36)내에 삽입된다. 또한, 스폿 페이싱(35)은, 직사각형 타일부(14), 및 경계부(30)의 어디에 설치되어도 좋고,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계부(30)와 직사각형 타일부(14)의 양쪽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착수단(13)으로서 밸브타이트라 불리는 고착구가 사용된다. 고착수단(13)은 나사부(16)와, 나사부(16)가 관통하는 개구를 갖는 대략 원반형상의 헤드(15)와, 헤드(15) 하부로부터 연장되는 슬리브(18)로 구성된다. 고착수단(13)의 삽입장착부, 즉 슬리브(18)가 무기질계 표면마감재(6)의 스폿 페이싱(35)을 통하여 샌드위치패널(7)의 헐거운 구멍(36) 내에 삽입된다. 슬리브(18)는 수축변형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그 외측 표면에는 후술하는 고착작업 시의 슬리브(18)의 변형에 따라 헐거운 구멍의 직경방향으로 확장가능한 클립(12)이 설치되어 있다. 나사부(16)는 헤드(15)를 관통하여 슬리브(18) 내에 삽입되는 동시에, 나사부(16)의 선단(16a)이 슬리브(18)의 선단부분(11)에 고착되어 있다. 도 4(a)에서, 참조부호 19는 와셔이다.
상기한 고착수단(13)을 이용하여 무기질계 표면마감재(6)를 샌드위치패널(7)에 고착하는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고착수단(13)의 슬리브(18)가 무기질계 표면마감재(6)인 스폿 페이싱(35)을 통하여 샌드위치패널(7)의 헐거운 구멍(36) 내에 삽입된다. 이어서, 헤드(15)를 전용 고정용 지그(도시하지 않음)로써 위에서 단단히 누르면서, 나사부(16)를 상방(도 4(a)의 화살표 P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이렇게 함으로써, 슬리브 선단에 고착된 나사부(16)의 선단(16a)이 헤드(15) 쪽으로 가까이 당겨짐과 동시에, 슬리브(18)가 수축변형 한다. 이 슬리브의 수축변형에 따라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 표면의 클립(12)이 금속 외피(1)와 단열재(3)의 경계부 부근에서 슬리브의 직경방향으로 넓어진 나비형상으로 변형된다. 이 나비모양으로 변형된 클립(12)과 스폿 페이싱(35)에 접촉하는 헤드(15) 사이에 무기질계 표면마감재(6)와 금속 외피(1)가 끼워진다. 이 작업에 의해, 헤드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나사부(16)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되기 때문에, 무기질계 표면마감재(6)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이것에 의해 외부로부터 나사부(16)를 풀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고착수단(13)에 의한 고착작업을 무기질계 표면마감재(6)의 복수개소에 간격을 두어 설치한 스폿 페이싱(35)의 각각에서 행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무기질계 표면마감재와 샌드위치패널 사이에 견고한 접합상태를 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은 고착수단(13)을 사용하는 것의 장점은, 샌드위치패널(7) 내의 단열재(3)가 상기한 바와 같이, 섬유가 분산된 시멘트재와 같은 비교적 부드러운 재료로 되는 단열재인 경우에, 무기질계 표면마감재(6)와 샌드위치패널(7) 사이의 견고한 접합상태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즉, 이러한 단열재(3)에 직접 나사 홈을 설치하여 외부에 의해 무기질계 표면마감재(6)를 고정용 나사로 고정하는 경우는, 단열재와 고정나사 사이에 안정된 나사결합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무기질계 표면마감재와 샌드위치패널 사이의 접합강도가 충분하지 않고, 장기간 사용하면 고정용 나사의 풀어짐 등에 의하여 무기질계 표면마감재의 박리, 탈락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고착수단(13)에 의하면, 샌드위치패널(7)의 단열재(3) 내부에서 슬리브(18)의 클립(12)이 나비모양에 변형되고, 변형된 클립(12)과 헤드(15) 사이에 무기질계 표면마감재(6)와 금속 외피(1)가 끼워져서, 이들 사이에 견고한 기계적 접합을 제공할 수가 있다. 또, 샌드위치패널을 관통하도록 헐거운 구멍을 형성하여, 샌드위치패널의 양쪽에서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경우에 비해서도, 헐거운 구멍의 깊이가 얕게 끝나기 때문에 고착작업에 드는 작업을 경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효율을 개선할 수가 있다.
또, 무기질계 표면마감재(6)의 스폿 페이싱(35)은 고착작업 후에 충전재 등 에 의하여 피복되기 때문에, 스폿 페이싱(35) 내에 수용된 헤드(15)는 이 충전재로 덮여서 숨겨진다. 따라서, 고착수단의 노출에 의한 완성된 복합패널의 외관 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 타일부(14)에 형성된 스폿 페이싱(35)에 대해서는, 헤드(15)를 충전재(50)로 피복하여 덮어서 숨기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경계부(30)에 설치한 스폿 페이싱(35)에 대해서는, 헤드(15)를 경계부(30)와 동일한 계통의 색(예를 들면 흑색)으로 도장함으로써, 외부로부터 헤드부(15)가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무기질계 표면마감재(6)의 표면부분을 최종적으로 도장함으로써, 종래의 타일을 붙인 것과 외관이 변하지 않는 것으로 된다.
고착수단(13)에 의해 무기질계 표면마감재(6)를 금속 외피(1)에 고착하는 것은 무기질계 표면마감재(6)의 복수개소에 간격을 두어 형성한 스폿 페이싱(25)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무기질계 표면마감재와 금속 외피의 사이를전체면 접착의 방식에 의해 행할 경우에 이들의 사이의 열팽창률 차이에 의해서 생기는 응력의 문제를 피할 수 있으며, 접착제가 건조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고, 완성 시간의 단축(공사기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고착수단(13)에 의한 접합부 이외의 금속 외피(1)와 무기질계 표면마감재(6) 사이의 영역(9)에 의해서 열팽창률 차이에 의한 응력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착수단(13)에 의한 고착작업에 의해서 형성된 복합패널은 사용 시에 무기질계 표면마감재(6)에 균열이나 박리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무기질계 표면마감재(6)의 외관을 장기간 걸쳐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무기질계 표면마감재가 탈락할 위험을 없앨 수 있어, 시공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복합패널을 내외벽, 지붕, 바닥 등에 사용함으로써, 경량이고 뛰어난 단열성 및 내화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공사기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고착수단(13)에 의한 고착을 행하는 것에 앞서, 방수접착수단(17)으로서 방수성을 갖는 양면 테이프(도 2의 파선부)를 무기질계 표면마감재(6)의 이면의 외주부를 따라 붙여, 이것을 샌드위치패널(7)의 금속 외피(1)의 표면에 접착함으로써 샌드위치패널과 무기질계 표면마감재 사이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착수단(13)과 무기질계 표면마감재(6)의 주위를 방수하기 위한 방수접착수단(17)을 병용함으로써, 복합패널의 방수성을 향상할 수가 있는 동시에, 샌드위치패널(7)에 대한 무기질계 표면마감재(6)의 고착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무기질계 표면마감재(6)의 외주부에 배치되는 방수수단(17)으로는 양면테이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방수성을 갖는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고정작업의 종료 시에 나사부(16)의 파단이 쉽도록, 나사부(16)의 일부에 절단 홈(도시하지 않음)을 미리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2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분의 나사부가 패널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직사각형 타일부(14)의 스폿 페이싱(35) 내에 배치되는 헤드(15)가 둥근머리형으로 도시되고, 도 5에서는 경계부(30) 내에 배치되는 헤드(15)가 접시머리형으로 도시되고 있지만, 헤드(15)의 형상은 적당히 설계변경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패널에 의하면, 무기질계 표면마감재와 샌드위치패널 사이에는, 고착수단에 의해서 고착되지 않는 비고착부가 존재하게 되고, 금속 외피와 무기질계 표면마감재 사이의 열팽창률 차이에 의해 응력이 생기더라도, 그 응력은 비고착부에서 흡수/완화된다. 따라서, 무기질계 표면마감재에 균열 또는 박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무기질계 표면마감재의 외관을 장기간에 걸쳐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기계적(물리적)으로 고착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복합패널을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무기질계 표면마감재가 탈락할 위험을 없앨 수 있어, 시공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그 외에, 종래와 같은 전체면 접착 방식에 비해, 접착제가 건조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고, 완성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헤드와 확장된 클립 사이에 무기질계 표면마감재 및 이것에 인접하는 금속 외피를 끼우는 고착수단을 사용하는 경우는, 고착수단을 샌드위치패널의 다른 쪽 금속 외피까지 관통시킬 필요가 없고, 더구나 고착수단의 삽입깊이를 얕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고착작업이 용이하여 진다. 또, 단열재내부에서 클립을 확장시키기 때문에, 샌드위치패널에 설치하는 삽입공의 외경치수는 작게 되어, 복합패널의 외관에 주는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방수수단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는, 샌드위치패널에 대한 무기질계 표면마감재의 고착력을 높이면서, 무기질계 표면마감재의 이면으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하여 방수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6)
- 한 쌍의 금속 외피 및 상기 금속 외피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재로 이루어지는 샌드위치패널과, 이 샌드위치패널의 한 쪽 금속 외피에 고착되는 무기질계 표면마감재를 구비하고, 상기 샌드위치패널은 그 일단에 볼록부를, 그 대향하는 타단에는 패널 연결 시에 인접하는 샌드위치패널의 볼록부에 끼워맞출 수 있는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무기질계 표면마감재는 상기 금속 외피에 복수개소에서 간격을 두어 고착수단에 의해 기계적으로 고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패널.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고착수단은 헤드, 무기질계 표면마감재, 및 이것에 고착되는 샌드위치패널의 금속 외피를 관통하여 단열재 내에 도달하도록 삽입되는 삽입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장착부는 삽입장착부의 직경방향으로 확장가능한 클립을 갖고, 상기 삽입장착부의 클립을 단열재 내서 확장시킴으로써, 상기 헤드와 확장된 클립 사이에 상기 무기질계 표면마감재 및 이것에 인접하는 금속 외피를 끼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패널.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무기질계 표면마감재 및 이것에 고착되는 금속 외피 사이에 외부로부터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수단을 이들 접합면의 외주부에 갖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복합패널.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무기질계 표면마감재는 오목형의 경계부를 표면에 갖고, 상기 고착수단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가 상기 경계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패널.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무기질계 표면마감재, 그 표면에 형성되는 요형의 경계부와, 상기 경계부에 의해서 구획되는 마감 타일부와, 고착수단을 삽입하기 위해 상기 마감 타일부에 형성되는 개구와, 상기 고착수단의 헤드를 수용하기 위해서 상기 개구의 입구부근에 형성되는 스폿 페이싱을 갖고, 상기 헤드는 고착수단에 의해서 무기질계 표면마감재가 금속 외피에 고착된 후, 스폿 페이싱 내에 공급된 충전재에 의해서 피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패널.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무기질계 표면마감재는 금속 외피에 고착될 때는 도장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0-214607 | 2000-07-14 | ||
JP2000214607A JP4585092B2 (ja) | 2000-07-14 | 2000-07-14 | 複合パネル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07136A KR20020007136A (ko) | 2002-01-26 |
KR100436690B1 true KR100436690B1 (ko) | 2004-06-18 |
Family
ID=18710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15983A KR100436690B1 (ko) | 2000-07-14 | 2001-03-27 | 복합패널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4585092B2 (ko) |
KR (1) | KR100436690B1 (ko) |
TW (1) | TW464719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295410C (zh) * | 2004-09-01 | 2007-01-17 | 上海湿克威建筑材料有限公司 | 保温装饰板及其生产和安装方法 |
CN107344558A (zh) * | 2017-08-24 | 2017-11-14 | 徐卫国 | 一种复合型材、复合板及复合板的制造方法 |
CN108425473B (zh) * | 2018-04-24 | 2023-08-08 |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 后装装饰板的预制混凝土墙板及其制作方法 |
CN113833198B (zh) * | 2021-09-26 | 2023-07-07 | 华翱洁净科技(湖北)有限公司 | 一种夹芯板组件 |
CN113977712A (zh) * | 2021-11-16 | 2022-01-28 | 李想 | 一种具备防火功能的胶合板 |
US11846113B1 (en) * | 2023-04-20 | 2023-12-19 | Jean Marco Palmegiani | Tongue and groove panel connecting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137912U (ko) * | 1975-04-30 | 1976-11-08 | ||
JPH033622U (ko) * | 1989-05-31 | 1991-01-16 | ||
JPH03119251A (ja) * | 1989-09-30 | 1991-05-21 | Takashi Akimoto | 外装パネルの製造方法 |
JPH0422224U (ko) * | 1990-06-18 | 1992-02-25 | ||
JPH1113723A (ja) * | 1997-06-20 | 1999-01-22 | Ricoh Co Ltd | リベット締結用構造体 |
JPH1113252A (ja) * | 1997-06-23 | 1999-01-19 | Ig Tech Res Inc | 複合パネル |
-
2000
- 2000-07-14 JP JP2000214607A patent/JP4585092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
- 2001-03-06 TW TW090105105A patent/TW464719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03-27 KR KR10-2001-0015983A patent/KR10043669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4585092B2 (ja) | 2010-11-24 |
JP2002030759A (ja) | 2002-01-31 |
KR20020007136A (ko) | 2002-01-26 |
TW464719B (en) | 2001-1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516578B1 (en) | Thin brick panel system | |
US7121051B2 (en) | Panel for thin brick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of use | |
KR101501810B1 (ko) | 화스너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방법 | |
RU2348773C2 (ru) | Способ закрепления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х панелей и дюбель для этого | |
KR100436690B1 (ko) | 복합패널 | |
KR101962314B1 (ko) | 단열재용 체결구 | |
JP2759187B2 (ja) | シートパネルの取り付け方法および取り付け構造 | |
RU2162502C1 (ru) | Облицовка стен зданий | |
JPH0821061A (ja) | 建築用外壁材の目地構造 | |
CN219773236U (zh) | 一种插入式外墙保温一体板 | |
JPH094077A (ja) | 外壁材の目地処理方法 | |
KR200227262Y1 (ko) | 건축용 샌드위치 판넬 | |
JPH0327145Y2 (ko) | ||
KR102017088B1 (ko) | 초단열 시공방법 및 그 단열구조 | |
KR20210094342A (ko) | 화스너 조립부품체 및 이를 이용한 단열 공법 | |
JPH05280113A (ja) | 断熱パネルおよびその断熱パネルを用いたパネル工法 | |
JPH1018546A (ja) | 外壁構造 | |
JPH0526168Y2 (ko) | ||
JP2721372B2 (ja) | 建築用パネル | |
JPH07127222A (ja) | 建築物の外壁の目地施工方法及び目地用成形シール材 | |
JP4790431B2 (ja) | 化粧壁材の取付構造 | |
JPH079111B2 (ja) | 構築物の外断熱壁の施工方法 | |
JPH11247309A (ja) | 外壁材の目地構造 | |
JPH038972A (ja) | 壁の目地構造 | |
JPH0312906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607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