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6334B1 -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 및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을 함유한 연료 첨가제 - Google Patents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 및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을 함유한 연료 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6334B1
KR100436334B1 KR10-1998-0700113A KR19980700113A KR100436334B1 KR 100436334 B1 KR100436334 B1 KR 100436334B1 KR 19980700113 A KR19980700113 A KR 19980700113A KR 100436334 B1 KR100436334 B1 KR 100436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alkylene
fuel
poly
carbon atoms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8813A (ko
Inventor
리차드 이. 셰르펙
재크 이. 모리스
마지드 알. 아흐마디
Original Assignee
셰브론케미칼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셰브론케미칼컴파니 filed Critical 셰브론케미칼컴파니
Publication of KR19990028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3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22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0L1/234Macromolecular compounds
    • C10L1/23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L1/2383Polyamines or polyimines, or derivatives thereof (poly)amines and imines; derivatives thereof (substituted by a macromolecular group containing 30C)
    • C10L1/2387Polyoxyalkyleneamines (poly)oxyalkylene amines and derivatives thereof (substituted by a macromolecular group containing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22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7/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7/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7/50Ethers of hydroxy amines of undetermined structure, e.g. obtained by reactions of epoxides with hydroxy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30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143Organic compounds mixtures of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22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0L1/234Macromolecular compounds
    • C10L1/23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0Use of additives to fuels or fires for particular purposes
    • C10L10/04Use of additives to fuels or fires for particular purposes for minimising corrosion or incrus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16Hydrocarbons
    • C10L1/1608Well defined compounds, e.g. hexane, benzen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16Hydrocarbons
    • C10L1/1616Hydrocarbons fractions, e.g. lubricants, solvents, naphta, bitumen, tars, terpentin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16Hydrocarbons
    • C10L1/1625Hydrocarbons macromolecular compounds
    • C10L1/1633Hydrocarbons macromolecular compounds homo- or c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 carbon unsaturated bonds
    • C10L1/1641Hydrocarbons macromolecular compounds homo- or c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 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compounds containing aliphatic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18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0L1/182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hydroxy groups; Salts thereof
    • C10L1/1822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hydroxy groups; Salts thereof hydroxy group directly attached to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10L1/1824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hydroxy groups; Salts thereof hydroxy group directly attached to (cyclo)aliphatic carbon atoms mono-hydrox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18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0L1/185Ethers; Acetals; Ketals; Aldehydes; Ketones
    • C10L1/1852Ethers; Acetals; Ketals; Ortho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18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0L1/19Esters ester radical containing compounds; ester ethers; carbon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18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0L1/192Macromolecular compounds
    • C10L1/19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omo-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 to 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 C10L1/1985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omo-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 to 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polyethers, e.g. di- polygylcols and derivatives; ethers -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22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0L1/234Macromolecular compounds
    • C10L1/23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L1/2383Polyamines or polyimines, or derivatives thereof (poly)amines and imines; derivatives thereof (substituted by a macromolecular group containing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30Organic compounds compounds not mentioned before (complexes)
    • C10L1/305Organic compounds compounds not mentioned before (complexes) organo-metallic compounds (containing a metal to carbon bond)

Abstract

(a) 하기식의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 화합물 또는 이의 연료 가용성 염:
상기식에서, R은 평균 분자량이 약 600 내지 5,000인 폴리알킬 그룹이며; R1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저급 알킬이며; A는 아미노, 알킬그룹내 탄소원자가 1 내지 20개인 N-알킬 아미노, 각 알킬그룹내 탄소 원자가 1 내지 20개인 N,N-디알킬 아미노 또는 아민질소 원자가 약 2 내지 약 12개이고 탄소원자가 약 2 내지 40개인 폴리아민 잔기이며; (b) 가솔린 또는 디젤 연료의 비점범위의 탄화수소에 용해되는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을 생성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염기 질소원자 및 충분한 수의 옥시알킬렌 단위를 갖는 폴리(옥시알킬렌) 아민;
을 포함하는 연료 첨가제.
본 발명의 연료 첨가제는 엔진 침적물을 방지하거나 조절하기 위한 연료 첨가제로서 유용하다.

Description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 및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을 함유한 연료 첨가제
자동차 엔진은 탄화수소 연료의 산화 및 중합화에 의하여, 기화구, 트로틀부, 연료주입기, 흡기다기관 및 흡입밸브와 같은 엔진 성분의 표면에 침적물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들 침적물은 비교적 적은 양이 존재하더라도 가속성의 곤란 및 정지와 같은 상당한 운전력의 문제를 일으킨다. 더구나, 엔진 침적물은 자동차 연료 소비량을 상당히 증가시키고 소비 오염물의 생성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침적물을 방지하거나 조절할 수 있는 효과적인 연료 세정제 또는 "침적물 조절" 첨가제의 개발이 상당히 중요하며 많은 이러한 물질들이 당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들면, 지방족 탄화수소-치환 페놀은 연료조성물에서 사용될 때 엔진 침적물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특허 제 3,849,085호(1974, 11. 19. 등록, 크루쯔 등)는 지방족 탄화수소 라디칼이 약 500 내지 3,500의 평균분자량 범위를 가지는, 고분자량 지방족 탄화수소-치환 페놀의 약 0.01 내지 0.25부피퍼센트를 함유하는 가솔린 비점범위의 탄화수소 혼합물을 함유하는 모우터 연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특허에서는 소량의 지방족 탄화수소-치환 페놀을 함유하는 가솔린 조성물은 가솔린 엔진내 흡입밸브 및 포트 침적물의 형성을 막거나 방해할 뿐만아니라 다중 엔진내 최소의 침적물 형성 및 분해를 갖는 높은 작동온도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된 엔진의 연료조성물의 성능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미국 특허 제 4,259,086호(1981.3.31.등록 마이클더 등)에서는 지방족 탄화수소-치환 페놀, 에피클로로하이드린 및 일차 또는 이차 모노아민 또는 폴리아민의 반응생성물을 함유하는 윤활유 및 연료에 대한 세정제, 첨가제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다. 또한, 미국 특허 제 4,048,081호(1977. 9. 13.등록 마이클더 등)에서는 에피클로로하이드린과 반응시킨 후 에틸렌 디아민 또는 다른 폴리아민으로 아민화 시킨 폴리이소부텐 페놀의 반응생성물인 가솔린에 대한 세정제 첨가제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유사하게, 미국특허 제 4,134,846호(1979.1.16.등록 마이클더 등)에서는 (1) 지방족 탄화수소-치환 페놀, 에피클로로하이드린 및 일차 또는 이차 모노 또는 폴리아민의 반응생성물 및 (2) 폴리알킬렌 페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연료 첨가제 조성물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에서는 이러한 조성물이 훌륭한 기화기, 흡입계통 및 연소실 세정력을 보이며 또한 낮은 농도의 탄화수소 연료에서 사용될 때 효과적인 녹방지를 제공한다.
또한 아미노페놀은 연료조성물에 사용될 때 세정제/분산제, 항산화제 및 부식방지제로서의 기능이 잘 알려져 있다. 알.엠. 랑게의 미국 특허 제 4,320,021호(1982.3.16.등록)에서는 예를들면,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포화된 적어도 30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탄화수소-기제 치환체를 갖는 아미노 페놀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본 특허의 아미노 페놀은 오일-기제 윤활유 및 일반적인 액체 연료에 대한 유용하고 바람직한 성질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폴리부틸아민은 내부 연소엔진의 흡입계통내 침적을 방지하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들면, 쿠머 등의 미국 특허 제 4,832,702호(1989.5. 23.등록)에는 폴리부텐 또는 폴리이소분텐을 수소화하고 수소첨가 조건하에서 다시 결과물 옥소 생성물을 만니히 반응 또는 아민화시켜 제조된 폴리부틸 또는 폴리이소부틸아민 첨가제를 함유하는 연료 및 윤활제 조성물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또한 당분야에 폴리에테르 아민 연료 첨가제가 엔진 침적물의 방지 및 조절제로 공지되어 있다. 이들 폴리에테르 부가제는 분자중의 폴리에테르 부분이 옥시알킬렌 단위가 반복되는 것과 같은 폴리옥시알킬렌 "주쇄"를 갖는다. 예를들면 미국특허 제 4,191,537호(1980.3.4.등록 루이스 등)에서는 가솔린의 비점범위를 갖는 대부분의 탄화수소 및 적어도 하나의 염기성 질소원자를 갖고 분자량이 약 600 내지 10,000을 갖는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의 약 30 내지 2,000ppm를 포함하는 연료조성물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잔기는 각 옥시알킬렌 단위내 2 내지 5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옥시알킬렌 단위로 구성된다. 이들 연료조성물은 연소실 침적물의 원인이 되지 않고 흡입계의 청결성을 유지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폴리(옥시알킬렌)잔기를 포함하는 방향족 화합물은 또한 당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예를들면, 상기 언급된 미국특허 제 4,191,537 호에서는 알킬페닐 폴리(옥시알킬렌)아미노카르바메이트의 제조시 중간체로 유용한 알킬페닐 폴리(옥시알킬렌)중합체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다.
유사하게, 미국 특허 제 4,881,945호(1989.11.21.등록 버클리)에서는 가솔린 또는 디젤의 비점범위를 갖는 탄화수소 및 평균분자량이 약 800 내지 6,000이며 적어도 하나의 염기성 질소를 함유하며 알킬 그룹이 적어도 40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연료 가용성 알킬페닐 폴리옥시알킬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 약 30 내지 약 5,000 ppm을 함유하는 연료조성물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 5,112,364호(1992.5.12.등록 래스 등)는 소량의 폴리에테르아민 및/또는 폴리에테르아민 유도체를 함유하는 가솔린-엔진 연료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폴리에테르아민은 암모니아 또는 일차아민으로 페놀개시 또는 알킬페놀 개시 폴리에테르 알콜을 환원성 아민화시켜 제조된다.
호넨의 미국특허 제4,247,301호(1981.1.27.등록)에서는 하이드로카르빌 치환폴리(옥시알킬렌) 폴리아민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으며 여기서, 하이드로카르빌 그룹은 1 내지 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고 폴리아민 잔기는 2 내지 12개의 아민 질소원자 및 2 내지 40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한다. 이 특허에서는, 첨가제가 적당한 하이드로카르빌-말단 폴리에테르 알콜과 염화수소 또는 염화티오닐과 같은 할로겐화제와 반응시켜 폴리에테르 클로라이드를 형성시킨 후, 폴리에테르 클로라이드와 폴리아민을 반응시켜 바람직한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아민을 형성한다는 것을 알수있다. 또한 이 특허의 실시예 6에서는 폴리에테르 클로라이드가 암모니아 또는 디메틸아민과 반응하여 대응하는 폴리에테르 아민 또는 폴리에테르 디메틸아민을 형성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유럽 특허출원공보 제 310,875호(1989.4.12.공개)에서는 처음에 알칸올 또는 일차 또는 이차 알킬모노아민을 프로폭실레이트 및/또는 부톡실레이트시키고 다시 암모니아 또는 일차 지방족 아민으로 결과물인 폴리에테르를 아민화시켜 제조된 폴리에테르아민을 함유하는 스파크 점화 엔진에 관한 연료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다.
프랑스 특허 제 2,105,539호(1972.4.28.공개)에서는 방향족 고리에 5개까지의 1 내지 3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탄화수소 라디칼로 치환될 수 있는 페녹시프로필아민 기화기 세정제 첨가제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다. 또한 이 특허는 페녹시프로필아민과 알킬인산을 반응시켜 얻은 첨가제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다.
발명의 요약
연료조성물에서 연료 첨가제로서 이용될 때, 엔진 침적물, 특히 흡입밸브 침적물을 우수하게 조절하는데 제공되는 특정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과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의 결합에 관하여는 공지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a) 및 (b)를 포함하는 신규한 연료첨가제를 제공한다.
(a) 하기 화학식(I)의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 화합물 또는 이의 연료가용염;
[화학식 I]
상기식에서, R은 약 600 내지 5,000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알킬 그룹이며;
R1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저급알킬이며;
A는 아미노, 알킬그룹내 약 1 내지 20개 탄소원자를 갖는 N-알킬아미노, 각 알킬그룹내 약 1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N,N-디알킬아미노, 또는 약 2 내지 12개의 아민 질소원자 및 약 2 내지 4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폴리아민 잔기이며;
(b) 적어도 하나의 염기성 질소원자 및 충분한 수의 옥시알킬렌 단위를 갖는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은 가솔린 또는 디젤 연료 비점범위의 탄화수소에 용해되는 폴리(옥시알킬렌)아민을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가솔린 또는 디젤 비점범위를 갖는 다량의 탄화수소 및 본 발명 화합물의 효과적인 침적물 조절양을 포함하는 연료조성물을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비점이 약 150 내지 400℉인 비활성 안정 친유성(oleophilic) 유기 용매 및 본 발명 연료 첨가제의 약 10 내지 70중량퍼센트를 함유하는 연료농축물을 제공한다.
기타 요소들중에서 본 발명은 연료조성물에서 첨가제로 사용될 때 엔진 침적물, 특히 흡입 밸브의 침적물을 우수하게 조절하는데 제공되는 특정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과 폴리(옥시알킬렌) 아민과의 독특한 결합의 놀라운 발견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 및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을 포함하는 연료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연료 조성물에서 엔진 침적물을 방지하고 조절하기 위한 이러한 첨가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부가조성물 중의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 성분은 하기 일반식을 갖는다:
[화학식 1]
상기식에서, R, R1, R2및 A는 상기에 정의한 바와 같다.
바람직하게, R은 평균 분자량이 약 600 내지 3,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700 내지 3,000,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900 내지 2,500인 폴리알킬 그룹이다.
바람직하게, R1및 R2중의 하나는 수소 또는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저급알킬이며 나머지는 수소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1및 R2중의 하나는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이고 나머지는 수소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R2는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이고 R1는 수소이다.
일반적으로, A는 아미노, 알킬그룹내 1 내지 약 20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N-알킬 아미노; 각 알킬그룹내 약 1 내지 20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6개의 탄소원자,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N,N-디알킬 아미노; 또는 약 2 내지 약 12개의 아민 질소원자 및 약 2 내지 40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12개의 아민 질소원자 및 약 2 내지 2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폴리아민 잔기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A는 아미노 또는 알킬렌 디아민을 포함하는 폴리알킬렌 폴리아민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아민이다. 가장 바람직하게, A는 아미노 또는 에틸렌 디아민 또는 디에틸렌 트리아민에서 유도된 폴리아민 잔기이다.
R 치환체는 방향족고리에서 메타, 더욱 바람직하게는 파라위치 즉 에테르 그룹의 파라 또는 메타 위치가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정상 엔진 흡입 밸브 작동 온도(약 200 내지 250℃)에서 휘발되지 않기 위하여 충분한 분자량을 가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화합물의 분자량은 약 700 내지 약 3,500, 바람직하게는 약 700 내지 약 2,500이다.
화학식 I 화합물의 연료-가용성 염은 쉽게 아미노 또는 치환된 아미노 그룹을 함유하는 화합물로 제조될 수 있고 이러한 염들은 엔진 침적물을 막거나 조절하기 위하여 유용하다고 예상된다. 적당한 염으로는 아미노 잔기에 예를들면, 알킬 또는 아릴술폰산과 같은 강한 유기산으로 양성자를 첨가하여 수득된 것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염은 톨루엔술폰산 및 메탄술폰산에서 유도된다.
정의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하기 용어는 특별히 반대적인 언급이 없는한 하기의 의미를 갖는다.
"아미노"는 -NH2그룹을 말한다.
"N-알킬아미노"는 Ra가 알킬 그룹인 -NHRa이다. "N,N-디알킬아미노"는 -NRbRc을 말하며 여기서, Rb및 Rc는 알킬 그룹을 의미한다.
"하이드로카르빌"은 아랄킬 또는 알카릴과 같은 지방족, 지방족고리, 방향족 또는 이의 결합인 주로 탄소 및 수소로 이루어진 유기 라디칼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하이드로카르빌 그룹은 올레핀 또는 아세틸렌 불포화와 같은 지방족 불포화성이 없지만 산소 또는 질소와 같은 헤테로원자 또는 염소와 같은 할로겐을 소량 포함할 수 있다.
"알킬"은 직쇄 및 분쇄의 알킬그룹을 의미한다.
"저급알킬"은 약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그룹이며 일차, 이차 및 삼차 알킬그룹을 포함한다. 전형적인 저급알킬은 예를들면,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sec-부틸, t-부틸, n-펜틸, n-헥실 등을 포함한다.
"폴리알킬"은 일반적으로 모노 올레핀, 특히 예를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등과 같은 1-모노 올레핀의 공중합체 또는 중합체인 폴리올레핀에서 유도된다. 바람직하게 사용된 모노올레핀은 약 2 내지 24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12개의 탄소원자를 가질 것이다. 더욱 바람직한 모노-올레핀은 프로필렌, 부틸렌, 특히 이소부틸렌, 1-옥텐, 및 1-데센을 포함한다. 이러한 모노-올레핀에서 제조된 폴리올레핀은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특히 폴리이소부텐 및 1-옥텐 및 1-데센에서 제조된 폴리알파올레핀을 포함한다.
"연료" 또는 "탄화수소 연료"는 일반적으로 가솔린 및 디젤 연료범위의 비점을 갖는 액체 탄화수소이다.
일반 합성법
본 발명의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은 하기 일반적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 또는 바람직한 공정조건(예를들면, 반응온도, 시간, 반응물의 몰 비율, 용매, 압력 등)이 주어지며 기타 다른 공정 조건도 반대 언급이 없는한 사용될 수 있다. 반응의 최적조건은 특히 사용된 용매 또는 반응물에 따라 다양하지만 이러한 조건은 당업자에 의하여 일반적인 최적 반응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하기 합성절차가 진행되는 동안 특정 기능기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보호기는 바람직한 화학 변형을 수행하는데 사용된 시약 또는 기타 다른 기능기와 함께 바람직하지 않은 반응을 차폐하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반응으로부터 기능기를 보호하는데 제공될 것이다. 당업자는 특이한 기능기의 보호기를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유기합성에서의 보호기(T.W. Greene 및 P.G. M. Wuts, 2개정판, Willy, New York, 1991)"에서는 다양한 보호기 및 이의 도입 및 제거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합성
본 발명의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은 하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처음에 하기 화학식(II)의 폴리알킬페놀을 알칼리 금속 하이드라이드 또는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알칼리 금속염의 촉매량으로 하기 화학식 (III)의 알킬렌 카르보네이트로 하이드록시알킬화하여 하기 화학식(IV)의 폴리알킬페녹시알칸올을 제공한다:
[화학식 II]
[화학식 III]
[화학식 IV]
상기식에서, R, R1, R2은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화학식(II)의 폴리알킬페놀은 공지된 물질이며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폴리올레핀 또는 염소화된 폴리올레핀으로 페놀을 알킬화하여 제조한다. 더 자세한 폴리알킬페놀에 관하여는 미국 특허 제 4,744,921호 및 미국특허 제5,300,701호에서 볼 수 있다.
따라서, 화학식(II)의 폴리알킬페놀은 종래의 방법을 이용하여 대응되는 올레핀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화학식(II)의 폴리알킬페놀은 대기압하에서 순수하거나 본질적으로 비활성인 용매에서 약 25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의 온도, 알킬화 촉매의 존재에서 페놀과 적당한 올레핀 또는 올레핀 혼합물을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알킬화촉매는 삼불소화 붕소이다. 반응물은 몰비율로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초과몰의 페놀이 이용될 수 있는데, 이를테면, 비반응 재생 페놀로 각 당량의 올레핀에 대하여 2 내지 3 당량의 페놀을 이용할 수 있다. 후자의 방법에서 모노알킬페놀이 적당하다. 비활성 용매의 예로는 헵탄, 벤젠, 톨루엔, 클로로벤젠 및 방향족, 파라핀 및 나프텐의 혼합물인 250 시너(thinner)가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된 폴리알킬페놀에 대한 폴리알킬 치환체는 일반적으로 모노-올레핀, 특히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등과 같은 1-모노-올레핀의 공중합체 또는 중합체인 폴리올레핀에서 유도된다. 바람직하게, 이용된 모노-올레핀은 약 2 내지 24개의 탄소원자,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12 탄소원자를 함유한다. 더욱 바람직한 모노-올레핀으로는 프로필렌, 부틸렌, 특히 이소부틸렌, 1-옥텐 및 1-데센이 포함된다. 이러한 모노-올레핀에서 제조된 폴리올레핀은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특히 폴리이소부텐 및 1-옥텐 및 1-데센에서 제조된 폴리알파올레핀이다.
현재 이용된 폴리알킬페놀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된 바람직한 폴리이소부텐은 적어도 20%이상,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인 반응성 메틸비닐리덴 이성질체를 포함하는 폴리이소부텐이다. 적당한 폴리이소부텐은 삼불소화붕소(BF3)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을 포함한다. 메틸렌비닐리덴 이성질체가 총 조성의 높은 백분율을 포함하는 이러한 폴리이소부텐의 제조는 미국 특허 제 4,152,499호 및 4,605,808 호에 기재되어 있다. "반응성" 폴리이소부텐으로 잘 알려진 이러한 폴리이소부텐은, 여기에서 하이드록실 그룹이 적어도 탄화수소사슬의 끝에 또는 근처에 있는 고분자량의 알콜을 생성시킨다. 높은 알킬비닐리덴 함량을 지닌 적당한 폴리이소부텐의 예로는 수평균 분자량이 약 1300이고 메틸비닐리덴 함량이 약 74%인 폴리이소부텐인 울트라비스 30 및 수평균분자량이 약 950이고 메틸비닐리덴 함량이 약 76%인 폴리이소부텐인 울트라비스 10이며 이들은 브리티쉬 페트롤륨사(British Petroleum)로부터 이용가능하다.
화학식(III)의 알킬렌 카르보네이트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고 쉽게 종래의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 공지된 화합물이다. 적당한 알킬렌 카르보네이트로는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1,2-부틸렌 카르보네이트, 2,3-부틸렌 카르보네이트 등이 있다. 바람직한 알킬렌 카르보네이트는 에틸렌 카르보네이트이다.
폴리알킬페놀 및 알킬렌 카르보네이트의 반응에서 이용된 촉매는 하이드록시알킬화 촉매에서 잘 알려진 촉매 어느것도 이용가능하다. 일반적인 하이드록시알킬화 촉매는 수소화리튬, 수소화나트륨 및 수소화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 수소화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및 알칼리 금속 염, 예를들면, 염화 나트륨 및 염화칼륨과 같은 알칼리금속 할라이드 및 탄산나트륨 및 탄산칼륨과 같은 알칼리 금속 탄산염을 포함한다. 이용된 촉매의 양은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1.0 당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3당량이 이용될 것이다.
폴리알킬페놀 및 알킬렌 카르보네이트는 일반적으로 약 100 내지 약 210℃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170℃의 범위, 하이드록시알킬화 촉매의 존재하에서 본래 동량으로 반응한다. 반응은 비활성 용매가 있거나 없는 상태에서 일어날 수 있다.
반응시간은 특이한 알킬페놀 및 알킬렌 카르보네이트 반응물, 사용된 촉매, 및 반응온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응시간은 약 2시간 내지 약 5시간이 걸릴 것이다. 반응의 진행은 일반적으로 이산화탄소의 발생에 의하여 관측된다. 반응이 완결된 경우 폴리알킬페녹시알칸올 생성물은 종래의 기술을 이용하여 분리된다.
알킬렌 카르보네이트와 페놀의 하이드록시알킬화반응은 선행기술에 널리 알려져 있으며 미국특허 제 2,987,555호, 제2,967,892호, 제3,283,030호 및 제 4,341,905호에 기재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화학식(IV)의 폴리알킬페녹시알칸올 생성물은 하기식의 알킬렌옥사이드와 화학식(II)의 폴리알킬페놀을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V]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하이드록시알킬화 촉매의 존재에서 상기식의 R1, 및R2는 이미 기재된 바와 같다.
화학식(V)의 적당한 알킬렌 옥사이드로는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1,2-부틸렌 옥사이드, 2,3-부틸렌 옥사이드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알킬렌옥사이드는 에틸렌 옥사이드이다.
알킬렌 카르보네이트와 유사한 반응조건에서, 폴리알킬페놀 및 알킬렌옥사이드는 수소화나트륨 또는 수소화칼륨과 같은 수소화알킬화 촉매 0.01 내지 1.0 당량의 존재에서 필수적으로 동량 또는 동등한 몰량으로 약 30 내지 150 ℃에서 약 2 내지 약 24시간 반응시킨다. 이 반응은 실질적으로 무수의 비활성 용매의 존재 또는 비존재 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적당한 용매로는 톨루엔, 크실렌 등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반응은 반응물 및 어떠한 존재하는 용매를 포함하기에 충분한 압력, 일반적으로 대기압 또는 그 이상의 압력에서 수행된다. 반응이 완결되었을때, 폴리알킬페녹시알칸올은 통상의 절차에 의하여 분리된다.
따라서, 화학식(IV)의 폴리알킬페녹시알칸올은 직접적으로 또는 중간체를 통하여 적당한 아민과 반응하여 바람직한 화학식(I)의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올 생성시킨다. 본 발명의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의 아민성분, 즉 치환체 A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된 적당한 아민 반응물을 하기에 더 자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중의 아민성분
일반적으로 본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의 아민 성분은 평균적으로 적어도 분자당 하나의 염기성 질소를 함유할 것이다. "염기성 질소원자"는 강산에 의하여적정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들면, 1차, 2차 또는 3차 아민 질소이다; 이와 구별되는 것으로서, 예를들면, 카르바밀 질소(예,-OC(O)NH-)는 강산에 의하여 적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아민 성분의 적어도 하나의 염기성 질소는 1차 또는 2차 아민 질소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가 1차 아민 질소일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의 아민 성분은 암모니아, 일차알킬 또는 이차 디알킬 모노아민 또는 말단에 아미노 질소원자를 갖는 폴리아민으로부터 유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할 때 유용한 일차 알킬 모노아민은 1개의 질소원자 및 약 1 내지 20개의 탄소원자,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것이다. 적당한 모노아민의 예로는 N-메틸아민, N-에틸아민, N-n-프로필아민, N-이소프로필아민, N-n-부틸아민, N-이소부틸아민, N-sec-부틸아민, N-tert-부틸아민, N-n-펜틸아민,N-사이클로펜틸아민, N-n-헥실아민, N-사이클로헥실아민, N-옥틸아민, N-데실아민, N-도데실아민, N-옥타데실아민, N-벤질아민, N-(2-펜틸에틸)아민, 2-아미노에탄올, 3-아미노-1-프로판올, 2-(2-아미노에톡시)에탄올, N-(2-메톡시에틸)아민, N-(2-에톡시에틸)아민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차 아민은 N-메틸아민, N-에틸아민 및 N-n-프로필아민이 있다.
또한 본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의 아민 성분은 이차 디알킬 모노아민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이차아민의 알킬 그룹은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각각 약 1 내지 20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할 것이다. 또한 알킬그룹중의 하나 또는 둘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산소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차아민의 알킬그룹은 독립적으로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2-하이드록시에틸 및 2-메틸옥시에틸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킬그룹은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이차 아민은 N,N-디메틸아민, N,N-디에틸아민, N,N-디-n-프로필아민, N,N-디이소프로필아민, N,N-디-n-부틸아민, N,N-디-sec-부틸아민, N,N-디-n-펜틸아민, N,N-디-n-헥실아민, N,N-디사이클로헥실아민, N,N-디옥틸아민, N-에틸-N-메틸아민, N-메틸-N-n-프로필아민, N-n-부틸-N-메틸아민, N-메틸-N-옥틸아민, N-에틸-N-이소프로필아민, N-에틸-N-옥틸아민, N,N-디(2-하이드록시에틸)아민, N,N-디(3-하이드록시프로필)아민, N,N-디(메톡시에틸)아민, N,N-디(프로폭시에틸)아민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이차아민은 N,N-디메틸아민, N,N-디에틸아민 및 N,N-디-n-프로필아민이다.
또한, 사이클릭 이차아민은 본 발명의 첨가제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사이클릭 화합물에 있어서, 알킬 그룹을 같이 사용할 때 약 20개까지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5-원 또는 6-원 고리를 형성한다. 아민 질소원자가 포함된 고리는 일반적으로 포화되었지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 고리도 용융될 수 있다. 고리는 1 내지 약 10개의 탄소원자의 하이드로카르보닐그룹과 치환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산소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적당한 사이클릭 이차아민은 피페리딘, 4-메틸피페리딘, 피롤리딘, 몰포린, 2,6-디메틸몰포린 등을 포함한다.
적당한 폴리아민은 직쇄 또는 분쇄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환 또는 비환 또는 이의 결합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폴리아민중의 아민 질소원자는 적어도 두 탄소원자에 의하여 각각 떨어져 있을 것이다. 즉, 아미날(aminal) 구조를 갖는 폴리아민은 적당하지 않다. 또한 폴리아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산소원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에테르 또는 수산화기로서 존재한다. 특히 바람직한 폴리아민은 특히 탄소 대 질소비가 약 1:1 내지 약 10:1 이다.
기하학적으로 동일하지 않은 다양한 질소원자를 가진 폴리아민을 이용한 본 발명의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 화합물의 제조에서는 몇 가지 대체적인 이성질체가 가능하고 이들 가능한 이성질체들은 본원 발명내에 있다.
본 발명의 용도로서 특히 바람직한 폴리아민 그룹은 알킬렌 디아민을 포함하는 폴리알킬렌 폴리아민이다. 이러한 폴리알킬렌 폴리아민은 일반적으로 약 2 내지 12개의 질소원자 및 약 2 내지 40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24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폴리알킬렌 폴리아민의 알킬렌 그룹은 약 2 내지 약 6개의 탄소원자,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할 것이다.
적당한 폴리알킬렌 폴리아민의 예로는 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이소프로필렌디아민, 부틸렌디아민, 펜틸렌디아민, 헥실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디프로필렌트리아민,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 디이소프로필렌트리아민, 디부틸렌트리아민, 디-sec-부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트리프로필렌테트라아민, 트리이소부틸렌테트라아민, 테트라에틸렌펜타아민, 펜타에틸렌헥사아민,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폴리아민을 하기 일반식을 갖는다:
상기식에서, R3는 2 내지 6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개의 탄소원자, 가장 바람직하게는 2개의 탄소원자, 즉 (-CH2CH2-)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분쇄 알킬렌 그룹이며 z는 약 1 내지 약 4, 바람직하게는 약 1 또는 약 2인 정수이다.
특히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폴리아민은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및 테트라에틸렌펜타아민이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에틸렌디아민 및 디에틸렌트리아민, 특히 에틸렌디아민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용도로 고려되는 것은 하나 또는 그이상의 5-원 또는 6-원 고리를 갖는 사이클릭 폴리아민이다. 이러한 고리 폴리아민 화합물은 피페라진, 2-메틸피페라진, N-(2-아미노에틸)피페라진, N-(2-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진, 1,2-비스-(N-피페라지닐)에탄, 3-아미노피롤리딘, N-(2-아미노에틸)피롤리딘 등을 포함한다. 이들 사이클릭 폴리아민들 중에서 피페라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용도로 적당한 많은 폴리아민들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며 나머지는 당분야에서 잘 알려진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들면, 아민의 제조방법 및 이들 반응은 시게윅의 "질소에 관한 유기 화학(Clarendon Press, Oxford, 1966)"; 놀러의 "유기화합물의 화학(Saunders, Philadelphia, 2nd Ed., 1957)"; 및 커크-오쓰머의 "화학기술 백과사전(2nd Ed., Volume 2, pp. 99-116)"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다.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의 제조방법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은 편리하게 화학식(IV)의 폴리알킬페녹시알칸올과 직접적으로 또는 중간체를 거쳐 본원에 기재한 바와 같이 암모니아, 일차 또는 이차 알킬 모노아민 또는 폴리아민과 같은 질소함유 화합물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화학식(IV)의 폴리알킬페녹시알칸올은 당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공지 기술에 의하여 바람직한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으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들면 폴리알킬페녹시알칸올의 말단 수산화기는 처음에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와 같은 적당한 시약과 반응시켜 메실레이트, 염소 또는 브롬 등과 같은 적당한 이탈기로 전환될 수 있다. 다음에 결과물 폴리알킬페녹시알킬 메실레이트 또는 동등한 중간체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와 같은 적당한 용매존재하에서 프탈이미드 칼륨과 반응시켜 프탈이미드 유도체로 전환시킬 수 있다. 계속하여 폴리알킬페녹시알킬 프탈이미드 유도체는 하이드라진과 같은 적당한 아민과 반응하여 바람직한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으로 전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탈기는 턴불 슈리븐의 "화학논평(Chemical Reviews)(Vol. 88, Pages 297-368, 198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아지드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아지드를 탄소상의 팔라듐이나 린들라 촉매와 같은 촉매 및 수소로 환원시켜 바람직한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화학식(IV)의 폴리알킬페녹시알칸올은 또한 HCl, 티오닐 클로라이드 또는 에피클로로히드린과 같은 적당한 할로겐화제로 반응시켜 대응하는 폴리알킬페녹시알킬 클로라이드로 전환시킨 후,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는 미국 특허 제4,247,301호(Honnen)에 기재된 것과 같은 암모니아, 일차 또는 이차 알킬 모노아민 또는 폴리아민과 같은 적당한 아민으로 염소를 치환시킨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는 Rath 등의 미국특허 제5,112,364호 및 Herbstman 등의 미국특허제4,332,59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환원성 아민화로 일컬어지는 방법에 의하여 대응하는 폴리알킬페녹시알칸올을 제조할 수 있다.
환원성 아민화반응에 있어서, 폴리알킬페녹시알칸올은 수소 및 수소화-탈수소화촉매의 존재하에서 암모니아 또는 일차 알킬 모노아민과 같은 적당한 아민으로 아민화된다. 아민화반응은 일반적으로 약 160 내지 250℃의 온도, 및 약 1,000 내지 약 5,000 psig의 압력, 바람직하게는 약 1,500 내지 약 3,000 psig의 압력하에서 수행된다. 적당한 수소화-탈수소화 촉매는 백금, 팔라듐, 코발트, 니켈, 동 또는 크롬,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과량의 암모니아 또는 아민 반응물이 사용되는데 예를들면, 암모니아 또는 아민의 약 5배 내지 약 60배 몰 초 과량, 및 바람직하게는 약 10배 내지 약 40배 몰 초과량을 사용한다.
환원성 아민화가 폴리아민 반응물과 함께 이루어질 때, 바람직하게는 아민화는 본원에 참조로 인용하고 있는 "에틸렌 디아민과 폴리옥시부틸렌 알콜로부터 연료첨가제를 제조하는 환원성 아민화 방법"은 1995년 12월 19일 출원하여 계류중인 미국 특허출원 제 08/574,48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두단계 절차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본 절차에 따라, 적당한 알콜이 적어도 230℃에서 수소화-탈수소화 촉매와 접촉하여 카르보닐 함유 중간체가 형성되며, 계속하여 수소 및 수소화촉매의 존재 하에서 약 190℃이하의 온도에서 폴리아민과 반응하여 바람직한 폴리아민 첨가생성물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을 제조하기 위한 선택적인 방법에 있어서, 화학식(II)의 폴리알킬페놀을 하기 화학식(VI)의 아지리딘과 반응시킬 수 있다:
[화학식 VI]
상기식에서 R1및 R2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R4는 수소 또는 1 내지 20개의 탄소원자의 알킬이다. 바람직한 아지리딘은 R1은 수소, R2는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이며 R4는 수소인 것이다.
알콜과 아지리딘이 반응하여 베타 아미노 에테르를 형성한다는 것은 당 분야에 공지된 것으로서 예를들면 Ham 및 Dermer의 "에틸렌이민 및 기타 아지리딘(Academic Press, New York, 1969, pages 224-227 및 256-257)"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다.
폴리(옥시알킬렌)아민
본 연료 첨가 조성물의 폴리(옥시알킬렌)아민 성분은 가솔린 또는 디젤 비점 범위의 탄화수소에 용해하는 폴리(옥시알킬렌)아민을 제공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염기성 질소 원자 및 충분한 수의 옥시알킬렌 단위를 갖는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이다.
바람직하게는, 또한 이러한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은 일반적으로 약 200 내지 250℃범위의 일반 엔진 흡입밸브의 작동온도에서 비휘발성이 되기 위하여 충분한 분자량을 가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용도로 적당한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은 적어도 약 5개의 옥시알킬렌 단위,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00,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100개의 옥시알킬렌 단위를 포함할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은 약 10 내지 약 25개의 옥시알킬렌 단위를 포함할 것이다.
현재 사용된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의 분자량은 일반적으로 약 500 내지 약 10,000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500 내지 약 5,000이다.
본 발명 용도의 적당한 폴리(옥시알킬렌) 아민 화합물은 호넨의 미국특허 제 4,247,301호(1981.1.27.)에 기재된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아민을포함하며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다. 이들 화합물은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아민이며 여기서, 폴리(옥시알킬렌) 잔기는 2 내지 5개의 탄소원자 옥시알킬렌 단위의 적어도 하나의 하이드로카르빌-말단 폴리(옥시알킬렌)사슬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폴리(옥시알킬렌)사슬은 탄소 대 질소의 비가 약 1:1 과 10:1사이인 약 2 내지 12개의 아민질소원자 및 약 2 내지 약 40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폴리아민 중의 말단 탄소부터 질소원자까지 결합된다.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폴리아민상의 하이드로 카르빌 그룹은 약 1 내지 약 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들 화합물의 분자량은 약 500 내지 10,000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500 내지 5,0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00 내지 5,000이다.
상기 기재한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폴리아민은 선행기술, 예를들면 미국특허 제4,247,301호에 기재된 통상의 절차에 따라 제조된다.
본 발명의 용도에 적당한 다른 폴리(옥시알킬렌)아민은 폴리(옥시알킬렌)폴리아민이며, 여기서 폴리(옥시알킬렌)잔기는 에퍼클로로히드린 또는 에피브로모히드린과 같은 에피할로히드린으로부터 유도된 옥시알킬렌 하이드록시 형태의 결합을 통하여 폴리아민 잔기에 결합된 것이다. 에피할로히드린 유도 결합을 갖는 폴리(옥시알킬렌)아민의 형태는 예를들면 랑돈의 미국특허 제4,261,704호(1981.4.14.)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는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다.
에피할로히드린 유도 폴리(옥시알킬렌)폴리아민을 제조하는데 유용한 폴리아민은 예를들면 알킬렌 폴리아민, 폴리알킬렌 폴리아민, 피페라진과 같은 고리성 아민 및 아미노-치환 아민을 포함한다. 폴리(옥시알킬렌) 및 폴리아민잔기사이의 에피할로히드린-유도 결합을 갖는 폴리(옥시알킬렌)폴리아민은 미국특허 제4,261,704호에 교시된 절차에 따라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또 다른 형태의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은 슐로비츠 등의 미국특허 제5,094,667호(1992.3.10.)에 기재된 것과 같은 매우 분쇄된 알킬 폴리(옥시알킬렌)모노아민이며,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다. 이들 매우 분쇄된 알킬 폴리(옥시알킬렌)모노아민은 하기 일반식을 가진다:
[화학식 VII]
여기서, R4은 약 12 내지 4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매우 분쇄된 알킬 그룹이며, 바람직하게는 구에르베트(Guerbet) 축합반응에서 유도된 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그룹이며, p는 약 30까지의 수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8이다. 20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구에르베트 알콜로 부터 유도된 바람직한 알킬 그룹은 하기 화학식을 갖는다:
[화학식 VIII]
상기식에서 R5은 하이드로카르빌 사슬이다.
상기 매우 분쇄된 알킬 폴리(옥시알킬렌) 모노아민은 미국특허 제5,094,667호에 기재된 공지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연료첨가 조성물의 용도로 바람직한 형태의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은 래쓰 등의 미국특허 제5,112,364호(1992.5.12.)에 기재된 것과 같은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모노아민으로서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다. 미국특허 제 5,112,364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폴리(옥시알킬렌) 모노아민은 암모니아 또는 일차 아민과 함에 페놀-개시 또는 알킬페놀-개시 폴리(옥시알킬렌)알콜을 환원성 아민화시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넨의 미국 특허 제 4,247,301호에서는 본 연료 첨가제의 용도로 적당한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모노아민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다. 특히, 본원의 실시예 6에서는 암모니아 및 디메틸아민으로부터 제조된 알킬페닐 폴리(옥시알킬렌) 모노아민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다.
특히 바람직한 형태의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모노아민은 알킬페닐 폴리(옥시알킬렌) 모노아민이며, 여기서, 폴리(옥시알킬렌) 잔기는 옥시프로필렌 단위 또는 옥시부틸렌 단위 또는 옥시프로필렌 및 옥시부틸렌 단위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하게는, 알킬페닐 잔기상의 알킬 그룹은 직쇄 또는 분쇄의 1 내지 2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이다. 특히 바람직한 알킬페닐 잔기는 테트라프로페닐페닐이며 여기서, 알킬 그룹은 프로필렌 사량체에서 유도된 12개의 탄소원자의 분쇄 알킬이다.
본 연료 부가조성물중의 폴리(옥시알킬렌)아민 성분상의 탄화수소-치환 폴리(옥시알킬렌)잔기에 관한 논의는 하기에 기재될 것이다.
본 발명의 연료첨가제 용도의 또 다른 바람직한 형태의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은 하이드로카르빌-치환 폴리(옥시알킬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이며 예를들면 미국특허 제4,288,612호; 4,236,020호; 4,160,648호; 4,191,537호; 4,270,930호; 4,233,168호; 4,197,409호; 4,243,798호; 및 4,881,945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다.
이들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염기성 질소원자를 포함하고, 평균분자량이 약 500 내지 10,000, 바람직하게는 약 500 내지 5,0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0 내지 3,000이다. 하기에 더욱 상세하게 기재되었듯이, 이들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는 (a) 폴리(옥시알킬렌) 잔기, (b) 아민 잔기 및 (c) 카르바메이트 연결 그룹을 포함한다.
A. 폴리(옥시알킬렌) 잔기
본 발명에 이용된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하이드로카르빌-말단 폴리(옥시알킬렌) 중합체는 모노하이드록시 화합물로서 예를들면, 알콜, 종종 모노하이드록시 폴리에테르라고 명명되거나 폴리알킬렌 글리콜 모노카르빌 에테르 또는 "캡(capped)"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이며 이들은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디올), 또는 하이드로카르빌-말단이 없는(예를들면 캡이 없는) 폴리올과 구별된다. 이들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알콜은 중합화 조건하에서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틸렌 옥사이드 등과 같은 저급알킬렌 옥사이드를 첨가함으로써 하이드록시 화합물, R9OH를 제조하게 되며, 여기서 R9은 폴리(옥시알킬렌) 사슬이 씌워진(caps) 하이드로카르빌 그룹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된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에서 하이드로카르빌 그룹 R9은 일반적으로 1 내지 30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며 알킬이 약 1 내지 2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쇄의 알킬 또는 알킬페닐과 같은 지방족 또는 방향족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R9은 알킬페닐이며 여기서 알킬그룹은 일반적으로 테트라프로페닐이라고 하는 프로필렌 사량체에서 유도된 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분쇄의 알킬이다.
폴리(옥시알킬렌) 잔기중의 옥시알킬렌 단위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지만 더 많은 탄소수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위가 또한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 폴리(옥시알킬렌) 중합체는 적어도 약 5개의 옥시알킬렌 단위를,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00개의 옥시알킬렌 단위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 내지 약 100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10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25개의 옥시알킬렌 단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중의 폴리(옥시알킬렌) 잔기는 루이스의 미국특허 제 4,191,537호(1980.3.4.)에 더욱 상세하게 기재 및 예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다.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잔기상의 하이드로카르빌 그룹은 약 1 내지 약 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긴 하이드로카르빌 그룹,특히 장쇄의 알킬페닐 그룹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버클리의 미국특허 제4,881,945호(1989.11.21.등록)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알킬그룹이 적어도 4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페닐 폴리(옥시알킬렌)아미노카르바메이트 또한 본 발명의 용도로 고려될 수 있다. 미국특허 제4,881,945호의 아미노카르바메이트상의 알킬페닐 그룹은 바람직하게는 알킬그룹이 50 내지 200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장쇄의 알킬그룹은 폴리부텐과 같은 올레핀 중합체로부터 유도된다. 미국특허 제4,881,945호는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다.
또한 PCT 국제 출원공보 WO 90/07564호(1990.7.12.공개)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도로 고려되는 것으로는 알킬그룹이 실질적으로 직쇄알킬그룹으로서 C8내지 C20의 알파올레핀의 알파 올레핀 올리고머로부터 유도된 약 25 내지 5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페닐 폴리(옥시프로필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이며 상기 문헌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다.
B. 아민 잔기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중의 아민 잔기는 바람직하게 약 2 내지 약 12개의 아민 질소원자 및 2 내지 약 4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폴리아민으로부터 유도된다.
폴리아민은 바람직하게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클로로포르메이트와 반응하여 본 발명의 영역내 용도의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아미노카르바메이트 연료첨가제를 제공한다. 클로로포르메이트 자체는 포스겐과의 반응에 의해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알콜에서 유도된다.
폴리아민은 카르바메이트 분자당 강산에 의하여 적정가능한 질소원자와 같은 적어도 약 하나의 염기성 질소원자를 평균적으로 지닌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폴리아민은 탄소 대 질소비가 약 1:1 내지 약 10:1을 갖는다. 폴리아민은 수소, 약 1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하이드로카르빌 그룹, 약 2 내지 약 1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아실그룹 및 1 내지 10개의 탄소원자의 하이드로카르빌 그룹 중의 모노케톤, 모노하이드록시, 모노니트로, 모노시아노, 알킬 및 알콕시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치환체와 치환된다. 폴리아민 중의 적어도 하나의 염기성 질소원자는 일차 또는 이차 아미노 질소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된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렐) 아미노 카르바메이트 중의 아민 잔기는 미국 특허 제 4,191,537호에 더 자세하게 기재 및 예시되었다.
본 발명의 영역내 용도로서 발견되는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더 바람직한 폴리아민은 알킬렌디아민을 포함하는 폴리알킬렌 폴리아민 및 알킬 및 하이드록시알킬 치환 폴리알킬렌 폴리아민과 같은 치환 폴리아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알킬렌 그룹은 2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며 질소원자사이에 2 내지 3개의 탄소원자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폴리아민의 예로는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디(트리메틸렌)트리아민, 디프로필렌트리아민, 테트라에틸렌펜타아민 등을포함한다.
폴리알킬렌 폴리아민 중에서, 2 내지 약 12개의 아민 질소원자 및 2 내지 약 24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폴리아민, 및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민이 바람직하며 특히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프로필렌디아민, 디프로필렌트리아민 등과 같은 저급알킬렌 폴리아민이 가장 바람직하다.
C. 아미노카르바메이트 결합 그룹
본 발명의 연료 첨가제 중의 폴리(옥시알킬렌) 아민 성분으로 사용된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는 카르바메이트 결합, 즉
을 통하여 폴리아민 및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알콜을 결합시켜 얻어진다. 여기서, 산소는 폴리(옥시알킬렌) 알콜중의 말단 하이드록시 산소로 여겨지며, 질소는 폴리아민으로부터 유도되며 카르보닐 그룹, -C(O)-,는 포스겐과 같은 커플링제에 의하여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제조방법에 있어서,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알콜은 포스겐과 반응하여 클로로포르메이트를 생성하고 클로로포르메이트는 폴리아민과 반응한다. 클로로포르메이트와 반응할 수 있는 폴리아민 중에는 하나 이상의 질소원자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카르바메이트 생성물은 하나 이상의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반응경로는 몇가지 반응성 질소원자를포함하는 폴리아민 상의 2(di-) 또는 그 이상의 폴리(옥시알킬렌) 사슬 치환의 상당량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도할 수 있지만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 생성물은 평균적으로 분자당 약 하나의 폴리(옥시알킬렌) 잔기(즉 모노카르바메이트이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아미노카르바메이트는 알킬페닐 폴리(옥시부틸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이며, 여기서, 아민 잔기는 에틸렌 디아민 또는 디에틸렌 트리아민에서 유도된다. 많은 치환을 피하기 위한 합성방법, 제조방법 및 본 발명에서 사용된 아미노카르바메이트의 다른 특성은 미국특허 제4,191,537호에 더욱 상세하게 기재 및 예시되었다.
연료조성물
본 발명의 연료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엔진 침적물, 특히 흡입 밸브 침적물을 조절하고 방지하기 위한 탄화수소 연료에서 첨가제로서 유용하다. 바람직한 침적물 조절을 이루기 위하여 필요한 첨가제의 적당한 농도는 사용된 연료의 형태, 엔진 형태 및 기타 다른 연료 첨가제의 존재에 의하여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탄화수소 연료에서 본 발명의 연료 첨가제의 농도는 약 50 내지 5,000 중량ppm,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2,500 중량ppm 범위이다.
개별성분의 경우, 본 발명의 연료첨가제를 포함하는 탄화수소 연료는 일반적으로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 성분 약 25 내지 2,000ppm 및 폴리(옥시알킬렌) 아민 성분 약 25 내지 2,000ppm을 함유할 것이다.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 대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의 비율은 일반적으로 0.05:1 내지 약 5:1이며, 바람직하게는 2:1 또는 그 이하이다.
본 발명의 연료첨가제는 약 150℉ 내지 400℉(약 65 내지 205℃) 비점범위의 비활성 안정 친유성(즉, 가솔린에 용해하는)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농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 예를들면, 벤젠, 톨루엔, 크실렌 또는 고비점 방향족물 또는 방향족 시너(thinner)가 사용된다. 탄화수소 용매와 결합하는 이소부판올, 이소부틸카르비놀, n-부탄올 등과 같은 약 3 내지 8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지방족 알콜이 본 첨가제와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농축물에 있어서, 첨가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약 10 내지 약 70중량 퍼센트,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중량 퍼센트,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40중량 퍼센트일 것이다.
가솔린 연료에 있어서, t-부틸 메틸 에테르와 같은 산소화물, 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 망간 트리카르보닐과 같은 안티노크제 및 하이드로카르빌 아민 또는 숙신이미드와 같은 기타 분산제/세정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첨가제와 함께 기타 다른 연료첨가제가 이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항산화제, 금속 불활성제, 해유화제 및 카뷰레이터 또는 연료 분사기 세정제가 존재할 수 있다.
디젤 연료에 있어서, 예를들면, 유동점 저하제, 유동 개선제, 세탄 개선제 등과 같은 공지의 첨가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연료가용성, 비휘발성 운반 유체 또는 오일이 본 발명의 연료 첨가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운반 유체는 화학적으로 비활성 탄화수소-가용 액체 비히클이며, 이들은 연료 첨가제의 용매가 없는 액체 분획 또는 비휘발 잔류물(NVR)을 증가시키지만, 절대적으로 옥탄 요구량을 증가시키지는 않는다. 운반 유체는 광물유, 정제 석유 오일, 수소화 및 비수소화된 폴리알파올레핀을 포함하는 합성 폴리알칸 및 알켄과 같은 천연 또는 합성 오일, 및 루이스의 미국특허 제4,191,537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폴리옥시알킬렌 유도 오일, 로빈슨의 미국특허 제3,756,793호 및 보겔 등의 미국특허 제5,004,478호 및 유럽특허출원 제 356,726호(1990.3.7.공개) 및 제382,159호(1990.8.16.공개)에 기재된 것과 같은 폴리에스테르일 수 있다.
이들 운반 유체는 본 발명의 연료첨가제에 대한 운반체로서 작용하고 침전물을 억제시키거나 제거할 때 도움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운반 유체는 본 발명의 연료 부가조성물과 결합하여 사용될 때 침적물 조절성질에 상승적 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운반 유체는 일반적으로 탄화수소 연료의 약 25 내지 5000 중량ppm,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0 중량ppm 범위의 양이 이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운반 유체와 침적물 조절 첨가제의 비율은 약 0.2:1 내지 약 10: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1 내지 약 3:1이다.
연료농축물에서 사용될 때, 운반 유체는 일반적으로 약 20 내지 약 60중량 퍼센트,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50 중량 퍼센트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것이다.
하기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이해를 도울 것이다. 특별히 반대의 언급이 없는한, 모든 온도 및 온도 범위는 섭씨온도를 적용하며 "주위온도" 및 "실온"은 약 20 내지 25℃를 나타낸다. "퍼센트" 또는 "%"는 중량퍼센트를 말하며 "몰"은 그램 몰을 의미한다. "당량"은 인용된 실시예에서 유한 몰 또는 유한 무게 또는 유한 부피의 진행 반응물의 몰수인 시약의 몰양을 말한다. 주어진 경우, 양성자-자기공명 스펙트럼(p.m.r. 또는 n.m.r.)은 300 mHz에서 결정되고, 시그날은 단일선(s), 넓은 단일선(bs), 이중선(d), 더블 이중선(dd), 삼중선(t), 더블 삼중선(dt), 사중선(q) 및 다중선(m)으로 표시되고, cps는 초당 회전수를 말한다.
실시예 1
폴리이소부틸 페놀의 제조
페놀 203.2g을 자기교반기, 환류 콘덴서, 온도계, 부가깔대기 및 질소 유입구가 장착된 플라스크에 첨가시켰다. 페놀을 40℃까지 가열시키고 열공급원을 제거시켰다. 그리고 73.5ml의 삼불소화붕소 에테레이트를 적가하였다. 울트라비스 10 폴리이소부텐 1040g(분자량 950, 76% 메틸비닐리덴, British Petroleum사에서 구입가능)을 1,863ml 헥산에 용해시켰다. 22 내지 27℃사이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반응에 폴리이소부텐을 첨가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동안 교반시켰다. 그리고 진한 수산화 암모늄 400ml를 첨가시킨 후, 헥산 2,000ml를 첨가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세척(3×2,000ml)하고,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시켜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시켜 조(crude)반응생성물 1,056.5g을 제조하였다. 조반응생성물이 헥산에 이어 헥산:에틸아세테이트:에탄올(93:5:2)로 용출시킨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및 양성자 NMR에 의하여 바람직한 생성물 80%를 함유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하기 화합물 제조
수소화칼륨(광물유내 35중량% 분산액 1.1g) 및 4-폴리이소부틸 페놀(실시예 1에서 제조, 99.7g)을 자기교반기, 환류콘덴서, 질소유입구 및 온도계가 장착된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시간동안 130℃로 가열하고 다시 100℃로 냉각하였다. 에틸렌 카르보네이트(8.6g)을 첨가시키고 혼합물을 16시간동안 160℃에서 가열하였다. 반응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이소프로판올 1ml를 부가하였다. 반응물을 헥산 1ℓ로 희석시키고 물로 3회, 소금물로 1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시켜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황색오일의 바람직한 생성물 98.0g을 얻었다.
실시예 3
하기 화합물 제조
실시예 2의 알콜(20.0 g), 트리에틸아민(2.9 ml) 및 무수 디클로로메탄(200 ml)를 혼합시켰다. 용액을 0℃까지 냉각시키고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1.5ml)을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16시간동안 질소하의 실온에서 교반시켰다. 용액을 디클로메탄(600 ml)로 희석하고 포화 무수 중탄산 나트륨으로 2회 소금물로 1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시켜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여 황색 오일 20.4 g을 얻었다.
실시예 4
하기 화합물 제조
에틸렌디아민(12.3 ml) 및 무수 톨루엔(100 ml)를 질소하에서 혼합시켰다. 실시예 3의 생성물(20.4 g, 무수 톨루엔 100 ml중에 용해)을 적가하였다. 결과물 용액을 16시간동안 환류시켰다. 용액을 헥산(600 ml)으로 희석시키고 포화 무수 중탄산나트륨으로 1회, 물로 3회, 소금물로 1회 세척시켰다. 유기층을 수성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여 황색 오일 15.1g을 제조하였다. 이 오일을 헥산/디에틸 에테르(50:50)으로 용출시키고 헥산/디에틸 에테르/메탄올/이소프로필아민(40:40:15:5)로 용출하여 실리카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 분석하여 황색 오일의 바람직한 생성물 10.3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하기 화합물 제조
실시예 3에서 기재된 메실레이트(406.5 g), 아지화나트륨(198.2g), 애쉬랜드케미컬사의 메틸트리알킬(C8-C10) 암모늄 클로라이드, 아도겐 464(8.0 ml), N,N-디메티포름아마이드(800 ml) 및 톨루엔(1.2 ml)을 혼합시켰다. 반응물을 16시간동안 환류시키고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헥산(3.0 리터)로 희석시키고 물로 3회 및 소금물로 1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시켜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황색 오일의 바람직한 아지드 334.3 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하기 화합물 제조
목탄상의 10% 팔라듐(7.0 g)을 포함하는 에틸 아세테이트(750 ml) 및 톨루엔(750 ml)내 실시예 5의 생성물 용액(334.3 g)을 파르 저 압력 발생기에서 16시간동안 35 내지 40 psi에서 가수소분해하였다. 촉매 여과 및 진공상의 용매의 제거로 황색 오일의 바람직한 생성물 322.3g을 제조하였다.1H NMR (CDCl3) d 7.25 (d,
실시예 7
하기 화합물 제조
수소화 칼륨(광물유내 35중량% 분산액 15.1g) 및 4-폴리이소부틸 페놀(1378.5 g, 실시에 1에서 제조)을 기계교반기, 환류 콘덴서, 질소 유입구 및 온도계가 장착된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시간동안 130℃에서 가열하고 다시 100℃까지 냉각하였다. 탄산 프로필렌(115.7 ml)은 첨가시키고 혼합물을 16시간동안 160℃에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이소프로판올 10 m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헥산 10ℓ로 희석시키고 물로 3회 및 소금물로 1회 세척시켰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시켜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여 황색 오일의 바람직한 생성물 1301.7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하기 화합물 제조
실시예 7의 알콜(50.0 g), 트리에틸아민(7.0 ml) 및 무수 디클로로메탄(500 ml)을 혼합시켰다. 용액을 0℃까지 냉각시키고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3.7 ml)을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질소하의 실온에서 16시간동안 교반시켰다. 용액을 디클로로메탄(1.5 ℓ)로 희석시키고 포화 수성 중탄산나트륨 용액으로 3회 그리고 소금물로 1회 세척시켰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여 황색오일 57.7 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하기 화합물 제조
실시예 8의 메실레이트(57.7 g), 아지화 나트륨(27.1 g), 아도겐 464(1.0 ml), N,N-디메티포름아미드(400 ml) 및 톨루엔(600 ml)을 혼합시켰다. 반응물을 16시간동안 환류시키고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헥산(1.5ℓ)로 희석시키고 물로 3회 및 소금물로 1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시켜 용매를 진공 하에서 제거하여 황색오일의 바람직한 아지드 43.1 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하기 화합물 제조
목탄상의 10% 팔라듐(2.0 g)을 함유하는 에틸 아세테이트(100 ml) 및 톨루엔(100 ml)내 실시예 9의 생성물 용액(43.1 g)을 파르 저압력 수소발생기에서 16시간동안 35 내지 40 psi에서 가수소분해시켰다. 촉매 여과 및 진공내 용매를 제거하여 황색 오일의 바람직한 생성물 41.5g를 제조하였다.1H NMR (CDCl3) d 7.25
실시예 11
도데실페녹시 폴리(옥시부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아민의 제법
도데실페녹시폴리(옥시부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아민은 알콜의 평균분자량이 약 1598인 랜덤 공중합체 폴리(옥시알킬렌) 알콜, 도데실페녹시 폴리(옥시부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알콜의 암모니아와 환원성 아민화에 의하여 제조된다. 커크-오쓰머의 "화학기술 백과사전(4th edition, Vol. 19, 1996, page 722)" 및 미국 특허 제 4,191,537호; 제2,782,240호 및 제2,841,479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폴리(옥시알킬렌) 알콜은 산화 부틸렌 및 산화 프로필렌과의 중량 대 중량비가 75/25를 사용한 도데실페놀로부터 제조된다. 폴리(옥시알킬렌) 알콜의 환원성 아민화는 미국특허 제5,112,363호; 4,609,377호 및 3,440,029호에 기재된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 12
단일-실린더 엔진 시험
시험 화합물을 가솔린에서 혼합시키고 이들의 침적물 감소 용량을 ASTM/CFR 단일-실린더 엔진 시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우케샤 CFR 단일-실린더 엔진이 사용되었다. 각 작동은 15시간동안 수행되었고, 이 시간의 끝에 흡수밸브를 제거하고 헥산으로 세척하여 중량을 측정하였다. 이미 측정한 깨끗한 밸브의 중량을 작동시간의 끝에 측정한 밸브의 중량을 삭감하였다. 이 두 중량차가 침적물의 중량이다. 침적의 양이 적을수록 우세한 첨가제를 나타내는 것이다. 시험의 작동조건은 다음과 같다. 물자켓 온도 200℉; 흡입관 진공 12 인치 수은, 공기-연료비 12, 점화 시기 400 BTC; 엔진 속도 1800 rpm; 크랭크 케이스 오일은 상업적인 30W 오일이다.
흡입 밸브에 대한 밀리그램 단위의 탄화수소성 침적물의 양은 하기 표 1 및 표 2에 시험 화합물 각각에 관하여 보고되고 있다.
[표 1]
흡입밸브 침적물양(밀리그램)
[표 2]
흡입밸브 침적물양(밀리그램)
상기 단일-실린더 엔진의 시험에 사용된 기제 연료는 연료 세정제를 포함하지 않은 일반 옥탄 탈납 가솔린이다. 시험 화합물은 기제 연료와 혼합되어 표에 나타낸 것과 같은 농도를 나타낸다.
표 1 및 표 2의 자료는 기제 화합물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실시예 4 및 6)에 의하여 제공되는 흡입 밸브의 침적물을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있음을 보여준다.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 및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의 결합은 또한 단일 실린더 엔진으로 시험하였고 흡입밸브에 대한 탄화수소성 침적물의 양(mg)은 표III에 표시하였다.
[표 3]
표 III의 자료에서는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 및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의 결합이 유리한 효과를 가지며 운반유체가 있는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 성분 보다 현저하게 나은 흡입밸브 침적량 조절을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Claims (78)

  1. (a) 하기식의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 화합물 또는 이의 연료 가용성 염:
    상기식에서, R은 평균 분자량이 약 600 내지 5,000인 폴리알킬 그룹이며; R1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저급 알킬이며; A는 아미노, 알킬그룹내 탄소원자가 1 내지 20개인 N-알킬 아미노, 각 알킬그룹내 탄소 원자가 1 내지 20개인 N,N-디알킬 아미노 또는 아민질소 원자가 약 2 내지 약 12개이고 탄소원자가 약 2 내지 40개인 폴리아민 잔기이며; (b) 가솔린 또는 디젤 연료의 비점범위의 탄화수소에 용해되는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을 생성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염기 질소원자 및 충분한 수의 옥시알킬렌 단위를 갖는 폴리(옥시알킬렌) 아민;
    을 포함하는 연료 첨가제.
  2. 제 1항에 있어서, R1및 R2중의 하나가 수소 또는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저급알킬이며 나머지는 수소인 연료 첨가제.
  3. 제 2항에 있어서, R1및 R2중의 하나가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이고 나머지는 수소인 연료 첨가제.
  4. 제 3항에 있어서, R2가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이고 R1이 수소인 연료 첨가제.
  5. 제 1항에 있어서, R은 평균 분자량이 약 600 내지 3,000인 폴리알킬 그룹인 연료 첨가제.
  6. 제 5항에 있어서, R은 평균 분자량이 약 700 내지 3,000인 폴리알킬 그룹인 연료 첨가제.
  7. 제 6항에 있어서, R은 평균 분자량이 약 900 내지 2,500인 폴리알킬 그룹인 연료 첨가제.
  8. 제 1항에 있어서, R은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또는 1-옥텐 또는 1-데센의 폴리알파올레핀 올리고머로부터 유도된 폴리알킬 그룹인 연료 첨가제.
  9. 제 8항에 있어서, R은 폴리이소부텐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알킬 그룹인 연료 첨가제.
  10. 제 9항에 있어서, 폴리이소부텐이 적어도 메틸비닐리덴 이성질체의 약 20%를 함유하는 연료 첨가제.
  11. 제 1항에 있어서, A가 아미노, N-알킬 아미노 또는 폴리아민 잔기인 연료 첨가제.
  12. 제 11항에 있어서, A는 아미노 또는 알킬 그룹내 탄소원자가 약 1 내지 4개인 N-알킬 아미노인 연료 첨가제.
  13. 제 12항에 있어서, A는 아미노인 연료 첨가제.
  14. 제 11항에 있어서, A는 약 2 내지 약 12개의 아민 질소 원자를 갖고 약 2 내지 4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폴리아민 잔기인 연료 첨가제.
  15. 제 14항에 있어서, A는 약 2 내지 약 12개의 아민 질소 폴리아민 및 약 2 내지 2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폴리알킬렌 폴리아민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아민 잔기인 연료 첨가제.
  16. 제 15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폴리아민이 하기식을 갖는 연료 첨가제:
    상기식에서, R3는 약 2 내지 약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렌 그룹이고 Z는 약 1 내지 4의 정수이다.
  17. 제 16항에 있어서, R3는 약 2 내지 약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렌 그룹인 연료 첨가제.
  18. 제 17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폴리아민은 에틸렌 디아민 또는 디에틸렌 트리아민인 연료 첨가제.
  19. 제 18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폴리아민이 에틸렌 디아민인 연료 첨가제.
  20. 제 1항에 있어서, R은 폴리이소부텐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알킬그룹이며, R1및 R2는 수소이고 A는 아미노 또는 에틸렌 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아민 잔기인 연료 첨가제.
  21.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이 분자량 약 500 내지 약 10,000의범위인 연료 첨가제.
  22.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이 적어도 5개의 옥시알킬렌 단위를 포함하는 연료 첨가제.
  23.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이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아민인 연료 첨가제.
  24.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이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인 연료 첨가제.
  25. 제 24항에 있어서,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중의 하이드로카르빌 그룹이 1 내지 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연료 첨가제.
  26. 제 25항에 있어서,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중의 하이드로카르빌 그룹이 알킬페닐 그룹인 연료 첨가제.
  27. 제 26항에 있어서, 알킬페닐 그룹중의 알킬 잔기가 테트라프로펜일인 연료 첨가제.
  28. 제 24항에 있어서,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의 아민 잔기가 2 내지 12개의 아민질소 원자 및 약 2 내지 4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폴리아민으로부터 유도된 연료 첨가제.
  29. 제 28항에 있어서, 폴리아민이 2 내지 12개의 아민 질소원자 및 2 내지 2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폴리알킬렌 폴리아민인 연료 첨가제.
  30. 제 29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폴리아민이 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및 디프로필렌트리아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연료 첨가제.
  31. 제 24항에 있어서,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의 폴리(옥시알킬렌) 잔기가 C2내지 C5옥시알킬렌 단위로부터 유도된 연료 첨가제.
  32. 제 24항에 있어서,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는 아민 잔기가 에틸렌디아민 또는 디에틸렌트리아민으로부터 유도된 알킬페닐 폴리(옥시부틸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인 연료 첨가제.
  33.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이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모노아민인 연료 첨가제.
  34. 제 33항에 있어서,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모노아민은 폴리(옥시알킬렌) 잔기가 옥시프로필렌 단위 또는 옥시부틸렌 단위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알킬페닐 폴리(옥시알킬렌) 모노아민인 연료 첨가제.
  35. 제 34항에 있어서, 알킬페닐 그룹이 테트라프로펜일페닐인 연료 첨가제.
  36. (a) 하기식의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 화합물 또는 이의 연료 가용성 염:
    상기식에서, R은 평균 분자량이 약 600 내지 5,000인 폴리알킬 그룹이며; R1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저급 알킬이며; A는 아미노, 알킬그룹내 탄소원자가 1 내지 20개인 N-알킬 아미노, 각 알킬그룹내 탄소원자가 1 내지 20개인 N,N-디알킬 아미노 또는 아민질소 원자가 약 2 내지 약 12개이고 탄소원자가 약 2 내지 40개인 폴리아민 잔기이며; (b) 가솔린 또는 디젤 연료의 비점범위의 탄화수소에 용해되는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을 생성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염기 질소원자 및 충분한 수의 옥시알킬렌 단위를 갖는 폴리(옥시알킬렌) 아민;
    을 포함하는 침적물 조절에 효과적인 양의 연료 첨가제 및 가솔린 또는 디젤 범위의 비점을 갖는 다량의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연료 조성물.
  37. 제 36항에 있어서, R1및 R2중의 하나가 수소 또는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저급알킬이며 나머지는 수소인 연료조성물.
  38. 제 37항에 있어서, R2가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이고 R1이 수소인 연료조성물.
  39. 제 36항에 있어서, R은 평균 분자량이 약 700 내지 3,000인 폴리알킬 그룹인 연료조성물.
  40. 제 36항에 있어서, R은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또는 1-옥텐 또는 1-데센의 폴리알파올레핀 올리고머로부터 유도된 폴리알킬 그룹인 연료조성물.
  41. 제 40항에 있어서, R은 폴리이소부텐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알킬 그룹인 연료 조성물.
  42. 제 36항에 있어서, A가 아미노, N-알킬 아미노 또는 폴리아민 잔기인 연료조성물.
  43. 제 42항에 있어서, A는 아미노인 연료조성물.
  44. 제 42항에 있어서, A는 약 2 내지 약 12개의 아민 질소 폴리아민 원자 및 약 2 내지 24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폴리알킬렌 폴리아민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아민 잔기인 연료조성물.
  45. 제 44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폴리아민이 하기식을 갖는 연료조성물:
    상기식에서, R3는 약 2 내지 약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렌 그룹이고 Z는 약 1 내지 4의 정수이다.
  46. 제 45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폴리아민은 에틸렌 디아민 또는 디에틸렌 트리아민인 연료조성물.
  47. 제 36항에 있어서, R은 폴리이소부텐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알킬그룹이며, R1 및 R2는 수소이고 A는 아미노 또는 에틸렌 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아민 잔기인 연료조성물.
  48. 제 36항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이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인 연료 조성물.
  49. 제 48항에 있어서,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중의 하이드로카르빌 그룹이 1 내지 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고;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 중의 아민 잔기는 2 내지 12개의 아민 질소원자 및 2 내지 4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폴리아민으로부터 유도된 연료 조성물.
  50. 제 49항에 있어서,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중의 하이드로카르빌 그룹이 알킬페닐 그룹이고; 폴리알킬렌 폴리아민이 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및 디프로필렌트리아민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연료 조성물.
  51. 제 50항에 있어서, 알킬페닐 그룹중의 알킬 잔기가 테트라프로펜일인 연료 조성물.
  52. 제 48항에 있어서,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는 알킬페닐 폴리(옥시부틸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이며, 여기서 아민 잔기는 에틸렌디아민 또는 디에틸렌트리아민으로부터 유도된 연료조성물.
  53. 제 36항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이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모노아민인 연료 조성물.
  54. 제 53항에 있어서,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모노아민은 폴리(옥시알킬렌) 잔기가 옥시프로필렌 단위 또는 옥시부틸렌 단위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알킬페닐 폴리(옥시알킬렌) 모노아민인 연료 조성물.
  55. 제 54항에 있어서, 알킬페닐 그룹이 테트라프로펜일페닐인 연료 조성물.
  56. 제 36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약 25 내지 약 2,000 중량ppm의 폴리알킬페녹시 아미노알칸 화합물 및 약 25 내지 2,000 중량ppm의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을 함유하는 연료조성물.
  57. 제 36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약 25 내지 약 5,000 중량 ppm의 연료 가용성, 비휘발 운반유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연료조성물.
  58. (a) 하기식의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 화합물 또는 이의 연료 가용성염:
    상기식에서, R은 평균 분자량이 약 600 내지 5,000인 폴리알킬 그룹이며; R1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저급 알킬이며; A는 아미노, 알킬그룹내 탄소원자가 1 내지 20개인 N-알킬 아미노, 각 알킬그룹내 탄소 원자가 1 내지 20개인 N,N-디알킬 아미노 또는 아민질소 원자가 약 2 내지 약 12개이고 탄소원자가 약 2 내지 40개인 폴리아민 잔기이며; (b) 가솔린 또는 디젤 연료의 비점범위의 탄화수소에 용해되는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을 생성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염기 질소원자 및 충분한 수의 옥시알킬렌 단위를 갖는 폴리(옥시알킬렌) 아민;
    을 포함하는 약 10 내지 약 70 중량 퍼센트의 연료 첨가제 및 약 150 내지 400℉의 비점범위인 비활성 안정 친오일성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연료 농축물.
  59. 제 58항에 있어서, R1및 R2중의 하나가 수소 또는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저급알킬이며 나머지는 수소인 연료 농축물.
  60. 제 59항에 있어서, R2가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이고 R1이 수소인 연료 농축물.
  61. 제 58항에 있어서, R은 평균 분자량이 약 700 내지 3,000인 폴리알킬 그룹인 연료 농축물.
  62. 제 58항에 있어서, R은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또는 1-옥텐 또는 1-데센의 폴리알파올레핀 올리고머로부터 유도된 폴리알킬 그룹인 연료 농축물.
  63. 제 62항에 있어서, R은 폴리이소부텐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알킬 그룹인 연료 농축물.
  64. 제 58항에 있어서, A가 아미노, N-알킬 아미노 또는 폴리아민 잔기인 연료 농축물.
  65. 제 64항에 있어서, A는 아미노인 연료 농축물.
  66. 제 64항에 있어서, A는 약 2 내지 약 12개의 아민 질소 폴리아민 원자 및 약 2 내지 2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폴리알킬렌 폴리아민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아민 잔기인 연료 농축물.
  67. 제 66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폴리아민이 하기식을 갖는 연료 농축물:
    상기식에서, R3는 약 2 내지 약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렌 그룹이고 Z는 약 1 내지 4의 정수이다.
  68. 제 67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폴리아민은 에틸렌 디아민 또는 디에틸렌 트리아민인 연료 농축물.
  69. 제 58항에 있어서, R은 폴리이소부텐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알킬그룹이며, R1및 R2는 수소이고 A는 아미노 또는 에틸렌 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아민 잔기인 연료 농축물.
  70. 제 58항에 있어서, 연료농축물이 약 20 내지 약 60 중량 퍼센트의 연료가용성, 비휘발성 운반 유체를 추가로 함유하는 연료 농축물.
  71. 제 58항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이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인 연료 농축물.
  72. 제 71항에 있어서,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중의 하이드로카르빌 그룹이 1 내지 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고;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 중의 아민 잔기는 2 내지 12개의 아민 질소원자 및 2 내지 4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폴리아민으로부터 유도된 연료 농축물.
  73. 제 72항에 있어서,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중의 하이드로카르빌 그룹이 알킬페닐 그룹이고; 폴리알킬렌 폴리아민이 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및 디프로필렌트리아민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연료 농축물.
  74. 제 73항에 있어서, 알킬페닐 그룹중의 알킬 잔기가 테트라프로펜일인 연료 농축물.
  75. 제 71항에 있어서,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는 알킬페닐 폴리(옥시부틸렌) 아미노카르바메이트이며, 여기서 아민 잔기는 에틸렌디아민 또는 디에틸렌트리아민으로부터 유도된 연료 농축물.
  76. 제 58항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이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모노아민인 연료 농축물.
  77. 제 76항에 있어서,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옥시알킬렌) 모노아민은 폴리(옥시알킬렌) 잔기가 옥시프로필렌 단위 또는 옥시부틸렌 단위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알킬페닐 폴리(옥시알킬렌) 모노아민인 연료 농축물.
  78. 제 77항에 있어서, 알킬페닐 그룹이 테트라프로펜일페닐인 연료 농축물.
KR10-1998-0700113A 1996-05-14 1997-05-12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 및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을 함유한 연료 첨가제 KR1004363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645992 1996-05-14
US8/645992 1996-05-14
US08/645,992 US5669939A (en) 1996-05-14 1996-05-14 Polyalkylphenoxyaminoalkanes and fue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US08/846,717 1997-04-30
US08/846,717 US5851242A (en) 1996-05-14 1997-04-30 Fuel additive compositions containing polyalkylphenoxy-aminoalkanes and poly (oxyalkylene) amines
US8/846,717 1997-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813A KR19990028813A (ko) 1999-04-15
KR100436334B1 true KR100436334B1 (ko) 2004-08-25

Family

ID=245912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113A KR100436334B1 (ko) 1996-05-14 1997-05-12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 및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을 함유한 연료 첨가제
KR10-1998-0700116A KR100436337B1 (ko) 1996-05-14 1997-05-12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및이를함유한연료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116A KR100436337B1 (ko) 1996-05-14 1997-05-12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및이를함유한연료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5669939A (ko)
EP (1) EP0845023B1 (ko)
JP (1) JP3804986B2 (ko)
KR (2) KR100436334B1 (ko)
CN (1) CN1092705C (ko)
AU (1) AU715037B2 (ko)
BR (1) BR9702218A (ko)
DE (1) DE69723398T2 (ko)
NZ (1) NZ329355A (ko)
WO (1) WO19970433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9939A (en) * 1996-05-14 1997-09-23 Chevron Chemical Company Polyalkylphenoxyaminoalkanes and fue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DE19948114A1 (de) 1999-10-06 2001-04-12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Polyisobutenphenol-haltiger Mannichaddukte
DE19948111A1 (de) 1999-10-06 2001-04-12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Polyisobutenphenol-haltiger Mannichaddukte
US6384280B1 (en) 2001-10-12 2002-05-07 Chevron Oronite Company Llc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alkylphenoxyaminoalkanes
US6776897B2 (en) 2001-10-19 2004-08-17 Chevron U.S.A. Thermally stable blends of highly paraffinic distillate fuel component and conventional distillate fuel component
US6846402B2 (en) * 2001-10-19 2005-01-25 Chevron U.S.A. Inc. Thermally stable jet prepared from highly paraffinic distillate fuel component and conventional distillate fuel component
US20030150154A1 (en) * 2001-12-21 2003-08-14 Cherpeck Richard E. Polyalkylphenoxyaminoalkanes and fue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US6652667B2 (en) 2002-01-23 2003-11-25 Chevron Oronite Company Llc Method for removing engine deposits in a gasoline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616776B1 (en) 2002-11-06 2003-09-09 Chevron Oronite Company Llc Method for removing engine deposits in a recipro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331376B1 (en) 2002-01-23 2006-09-27 Chevron Oronite Company LLC Method for removing engine deposits in a recipro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660050B1 (en) 2002-05-23 2003-12-09 Chevron U.S.A. Inc. Method for controlling deposits in the fuel reformer of a fuel cell system
US6486352B1 (en) 2002-06-28 2002-11-26 Chevron Oronite Company Llc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alkylphenoxyaminoalkanes
US6649800B1 (en) 2002-10-31 2003-11-18 Chevron Oronite Company Llc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alkylphenoxyaminoalkanes
US7824454B2 (en) 2004-08-17 2010-11-02 Chevron Oronite Company Llc Fuel composition for rectifying fuel gauge sending unit problems
US20060059771A1 (en) * 2004-09-17 2006-03-23 Malfer Dennis J Preparation of amine derivates from nitriles and phenols
JP2008286103A (ja) * 2007-05-17 2008-11-27 Chevron Japan Ltd ガソリンエンジンの内面部品の洗浄方法
JP4881222B2 (ja) * 2007-05-17 2012-02-22 シェブロンジャパン株式会社 ガソリンエンジンの内面部品の洗浄方法
US8465560B1 (en) 2009-02-05 2013-06-18 Butamax Advanced Biofuels Llc Gasoline deposit control additive composition
JP6126008B2 (ja) 2010-11-19 2017-05-10 シェブロン・オロナイト・カンパニー・エルエルシー エンジン燃料送達システムから堆積物を洗浄する方法
US9115237B2 (en) 2012-07-18 2015-08-25 Chevron Oronite Company Llc Viscosity improver grafted with unsaturated acylating agent and an aryloxyalylkene monoamine
US9035097B2 (en) * 2012-09-12 2015-05-19 Chevron Oronite Company Llc Aminoethylation process having improved yield of aryloxyalkylene amine compounds and reduced urea by-products
RU2731560C2 (ru) 2015-12-03 2020-09-04 Чайна Петролеум Энд Кемикал Корпорейшн Аминополимер,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аминополимера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JP6865754B2 (ja) 2016-01-22 2021-04-28 シェブロン・オロナイト・カンパニー・エルエルシー オレフィンコポリマー分散剤型粘度向上剤とアミン化合物との混合物を含有する相乗的潤滑油組成物
AU2021304467A1 (en) 2020-07-07 2023-02-23 Chevron Oronite Company Llc Fuel additives for mitigating injector nozzle fouling and reducing particulate emissions
CA3195345A1 (en) 2020-09-17 2022-03-24 Chevron Oronite Company Llc Aryloxy alkylamines as fuel additives for reducing injector fouling in direct injection spark ignition gasoline engines
AU2022360878A1 (en) 2021-10-06 2024-03-21 Chevron Japan Ltd. Fuel additives for lowering deposit and particulate emission
WO2023219975A1 (en) 2022-05-09 2023-11-16 Chevron Oronite Company Llc Lubricant additives
WO2023219973A1 (en) 2022-05-09 2023-11-16 Chevron Oronite Company Llc Low molecular weight dispersant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05539A5 (en) * 1970-09-10 1972-04-28 Inst Francais Du Petrole Alkyl phenol aminopropyl ethers - pref with alkylphosphoric acids as multifunctional gasoline additives
US3849083A (en) * 1972-04-14 1974-11-19 Ethyl Corp Gasoline additive
US3849085A (en) * 1972-05-08 1974-11-19 Texaco Inc Motor fuel composition
US4147641A (en) * 1976-03-29 1979-04-03 Rohm And Haas Company Multipurpose hydrocarbon fuel and lubricating oil additive mixture
US4259086A (en) * 1974-12-24 1981-03-31 Rohm And Haas Company Multipurpose hydrocarbon fuel and lubricating oil additive
DE2555920C2 (de) * 1974-12-24 1983-12-15 Rohm and Haas Co., 19105 Philadelphia, Pa. Mehrzweckzusatz für Benzin und eine ihn enthaltende Kraftstoffmischung
US4320021A (en) * 1975-10-14 1982-03-16 The Lubrizol Corporation Amino phenols useful as additives for fuels and lubricants
JPS5712053Y2 (ko) * 1976-03-29 1982-03-10
US4191537A (en) * 1976-06-21 1980-03-04 Chevron Research Company Fuel compositions of poly(oxyalkylene) aminocarbamate
US4247301A (en) * 1978-06-19 1981-01-27 Chevron Research Company Deposit control and dispersant additives
US4392866A (en) * 1981-11-05 1983-07-12 Texaco Inc. Etheramine corrosion inhibitor for alcohols
US4778481A (en) * 1983-08-08 1988-10-18 Chevron Research Company Diesel fuel and method for deposit control in compression ignition engines
US4568354A (en) * 1985-06-03 1986-02-04 Texaco Inc. Conversion of hazy gasoline to clear stable gasoline
DE3611230A1 (de) * 1986-04-04 1987-10-08 Basf Ag Polybutyl- und polyisobutylamin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iese enthaltende kraft- und schmierstoffzusammensetzungen
DE3732908A1 (de) * 1987-09-30 1989-04-13 Basf Ag Polyetheramine enthaltende kraftstoffe fuer ottomotoren
US4881945A (en) * 1987-10-23 1989-11-21 Chevron Research Company Fuel compositions containing very long chain alkylphenyl poly(oxyalkylene) aminocarbonates
DE3826608A1 (de) * 1988-08-05 1990-02-08 Basf Ag Polyetheramine oder polyetheraminderivate enthaltende kraftstoffe fuer ottomotoren
EP0360394A3 (en) * 1988-09-21 1992-03-18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Water-in-oil emulsion explosive
US5669939A (en) * 1996-05-14 1997-09-23 Chevron Chemical Company Polyalkylphenoxyaminoalkanes and fue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Z329355A (en) 1999-10-28
CN1092705C (zh) 2002-10-16
MX9800304A (es) 1998-09-30
WO1997043360A1 (en) 1997-11-20
EP0845023A1 (en) 1998-06-03
DE69723398T2 (de) 2004-01-29
US5851242A (en) 1998-12-22
KR19990028816A (ko) 1999-04-15
BR9702218A (pt) 1999-12-28
KR100436337B1 (ko) 2004-09-10
EP0845023A4 (en) 2000-02-02
CN1193339A (zh) 1998-09-16
US5669939A (en) 1997-09-23
AU3063597A (en) 1997-12-05
DE69723398D1 (de) 2003-08-14
AU715037B2 (en) 2000-01-13
EP0845023B1 (en) 2003-07-09
KR19990028813A (ko) 1999-04-15
JP3804986B2 (ja) 2006-08-02
JPH11509559A (ja) 1999-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6334B1 (ko) 폴리알킬페녹시아미노알칸 및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을 함유한 연료 첨가제
JP3530530B2 (ja) ポリ(オキシアルキレン)アミン及びポリアルキルヒドロキシ芳香族を含有する燃料添加剤組成物
US5752991A (en) Very long chain alkylphenyl polyoxyalkylene amines and fue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KR100436335B1 (ko) 폴리알킬페녹시알칸올의 방향족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을 함유한 연료첨가제
JP2002537439A (ja) ヒドロカルビル置換ポリオキシアルキレンアミンを含有する燃料組成物
EP1602706A1 (en) Fuel additive composition suitable for control and removal of tenacious engine deposits
JPH08245536A (ja) 芳香族アミド
EP0840774B1 (en) Fuel additive compositions containing polyalkyphenoxyaminoalkanes and poly(oxyalkylene) amines
EP0832960B1 (en) Aminocarbamates of polyalkylphenoxyalkanols and fue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US20030150154A1 (en) Polyalkylphenoxyaminoalkanes and fue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US647525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engine deposits in a direct injection spark ignition gasoline engine
EP0781794B1 (en) Very long chain alkylphenyl polyoxyalkylene amines and fue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CA2226982C (en) Polyalkylphenoxyaminoalkanes and fue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MXPA98000316A (en) Compositions of fuel additives containing polyalkylphenoxyaminoalcanes and poly (oxialquilen) ami
MXPA98000304A (en) The polyalykylphenoxyaminoalcanos and compositions for fuel containing the m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