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5951B1 - 연료캡의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연료캡의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5951B1
KR100435951B1 KR10-2001-0046717A KR20010046717A KR100435951B1 KR 100435951 B1 KR100435951 B1 KR 100435951B1 KR 20010046717 A KR20010046717 A KR 20010046717A KR 100435951 B1 KR100435951 B1 KR 100435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uel cap
cap
filler door
doo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6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2601A (ko
Inventor
배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6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5951B1/ko
Publication of KR20030012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9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6Filler caps for fuel tanks
    • B60K15/0409Provided with a l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6Filler caps for fuel tanks
    • B60K15/0409Provided with a lock
    • B60K2015/0416Provided with a lock electr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주입을 위해서 필러도어를 개방하게 되면 연료캡의 잠금장치가 해제되므로서 손쉽게 연료캡의 개방이 가능하게 되며, 운전석에서 연료캡의 장착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연료캡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원형의 몸체부 외측면에 노브가 돌출형성되고, 몸체부의 내측면에 연료주유구의 입구에 끼우기 위한 원통형의 끼움부가 돌출형성되는 연료캡에 있어서,
상기한 끼움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영구자석과;
상기한 연료캡의 끼움부를 상기 연료주유구에 끼웠을 경우에 상기 영구자석이 위치되는 연료주유구의 양측에 관통공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관통공의 외측으로 상하부로 양분되어 형성되는 수용공간과;
필러도어의 내측면과 사이드 패널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필러도어의 장착여부를 판단하는 필러도어 스위치와;
상기한 수용공간의 상측에 수용되며, 상기한 필러도어 스위치가 온(ON)될 경우에 배터리에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자력이 형성되는 전자석과;
상기한 수용공간의 하측에 수용되어 연료캡의 장착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감지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감지센서는 필러도어 스위치와 연결되고, 필러도어 스위치는 릴레이와 계기판에 연결되어, 연료캡의 장착여부가 계기판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료캡의 개폐구조{Filler cap}
본 발명은 연료캡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주입을 위해서 필러도어를 개방하게 되면 연료캡의 잠금장치가 해제되므로서 손쉽게 연료캡의 개방이 가능하게 되며, 운전석에서 연료캡의 장착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연료캡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일측면에는 연료탱크가 탑재되는데, 상기 연료탱크는 자동차의 차종 및 크기에 따라서 그 용량을 달리하고 있다. 그리고 승용차 및 버스의 경우에는 미관상 연료탱크가 사이드 패널의 내측으로 형성되고, 화물자동차의 경우에는 차체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연료탱크의 크기 및 설치위치는 차종에 따라 여러형태로 형성되지만 그 근본적이 구조는 비슷하게 형성된다.
즉, 연료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공간에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주유구가 형성되고, 상기한 주유구를 막기 위한 연료캡이 형성된다.
또한, 자동차의 측면에는 연료탱크에 연료를 주유할 수 있도록 연료주입구가 구비되어 있다.
도 6은 자동차의 연료탱크에 연료를 충전하기 위한 종래의 연료주유구와 연료캡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과 같이 연료탱크(미도시됨)가 위치한 자동차의 측면의 사이드 패널(10)에는 별도의 공간부(12)가 형성되고, 그 공간부(12)에 연료주유구(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료주유구(11)의 끝단에는 연료캡(13)이 나사체결되어 있으며, 이렇게체결된 연료캡(13)의 외측은 필러도어(14)에 의해 은폐되어진다. 상기 필러도어(14)는 회동가능하도록 사이드 패널(1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연료캡(13)의 외측면에는 노브(15)가 형성되는데, 상기 노브(15)는 주유자가 노브(15)를 손으로 잡고 연료캡(13)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상기 연료캡(13)을 연료주유구(11)에 체결하고, 상기 필러도어(14)를 닫고 있다가 연료를 충전할 때에는 상기 필러도어(14)와 연료캡(13)을 열고 주유건의 선단부를 상기한 연료주유구(11)에 삽입시킨 후 연료를 충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연료캡은 주유구에 나사결합되므로서 연료주입을 위해 연료캡을 개방해야 하거나, 연료주입을 마친 후에 연료캡을 닫아야 하는 경우에 상기한 연료캡의 노브를 잡고 주유자가 몇 바퀴를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주유가 끝난 후에 주유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연료캡을 완전히 닫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을 출발시켜 연료캡이 분실되는 경우가 발생되곤 한다. 특히, 종래의 연료캡에는 완전히 닫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로서 주유자가 연료캡을 완전히 닫을 경우에는 "따라락" 하는 소리가 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운전자가 주의깊게 듣지 않으면 확인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연료주입을 위해서 필러도어를 개방하게 되면 연료캡의 잠금장치가 해제되므로서손쉽게 연료캡의 개방이 가능하게 되며, 운전석에서 연료캡의 장착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연료캡의 개폐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원형의 몸체부 외측면에 노브가 돌출형성되고, 몸체부의 내측면에 연료주유구의 입구에 끼우기 위한 원통형의 끼움부가 돌출형성되는 연료캡에 있어서,
상기한 끼움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영구자석과;
상기한 연료캡의 끼움부를 상기 연료주유구에 끼웠을 경우에 상기 영구자석이 위치되는 연료주유구의 양측에 관통공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관통공의 외측으로 상하부로 양분되어 형성되는 수용공간과;
필러도어의 내측면과 사이드 패널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필러도어의 장착여부를 판단하는 필러도어 스위치와;
상기한 수용공간의 상측에 수용되며, 상기한 필러도어 스위치가 온(ON)될 경우에 배터리에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자력이 형성되는 전자석과;
상기한 수용공간의 하측에 수용되어 연료캡의 장착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감지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감지센서는 필러도어 스위치와 연결되고, 필러도어 스위치는 릴레이와 계기판에 연결되어, 연료캡의 장착여부가 계기판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되는 연료캡과 연료주유구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캡의 개폐장치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필러도어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필러도어 스위치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도.
도 6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연료캡 21 : 몸체부
22 : 노브 24 : 끼움부
25 : 영구자석 30 : 연료주입구
32 : 관통공 34 : 수용공간
36 : 전자석 38 : 감지센서
40 : 필러도어 41 : 푸셔
50 : 필러도어 스위치 54 : 배터리
56 : 릴레이 58 : 계기판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면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되는 연료캡과 연료주유구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캡의 개폐장치의 회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필러도어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필러도어 스위치의 상세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도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20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되는 연료캡을 지시하는 것이고, 도면부호 30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되는 연료주유구이고, 도면부호 40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되는 필러도어를 지시하는 것이다.
상기한 연료캡(20)은 원형의 몸체부(2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21)의 외측면에는 노브(22)가 돌출형성되며, 몸체부의 내측면에는 연료주유구(30)의 입구에 끼우기 위한 원통형의 끼움부(24)가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24)의 끝단에는 환형의 영구자석(25)이 부착된다.
상기한 연료주유구(30)에 연료캡(20)의 끼움부(24)를 삽입하였을 경우에 상기한 영구자석(25)이 위치되는 연료주유구(30)의 양측에는 관통공(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32)의 외측으로는 상하부로 격벽에 의해 양분되는 수용공간(34)이 형성된다.
상기한 수용공간(34)의 상측에는 배터리(54)와 연결되는 코일이 감기는 전자석(36)이 수용되는데, 이 전자석(36)은 상기 배터리(54)에서 전류가 인가되면 자성을 띠게 되어 상기 영구자석(25)을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한 수용공간(34)의 하측에는 연료캡(20)의 장착여부를 판단하기위한 감지센서(38)가 수용되는데, 상기 감지센서(38)는 스프링(38a)으로 탄력지지되는 피스톤(38b)의 일측에 볼(38c)이 연결된다. 상기 볼(38c)은 수용공간(34)에서 약간 돌출되어 연료캡(20)이 끼워질 때 끼움부(24)의 끝단에 밀려 피스톤(38b)을 이동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38b)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38d)의 양측에는 단자(39)가 형성되므로서, 연료캡(20)이 장착되었을 경우에는 피스톤(38c)과 상기 단자(39)가 접점되어 전류가 통전되고, 연료캡(20)이 미장착되었을 경우에는 스프링(38a)의 탄력에 의해 피스톤(38b)이 전진되므로서 상기 피스톤(38b)과 단자(39)는 접점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연료캡(20) 및 연료주유구(30)를 은폐하기 위한 필러도어(40)의 내측면과 상기 연료주유구(30)가 위치되는 사이드 패널(P)의 일측면 사이에는 필러도어 스위치(50)가 형성된다. 즉, 상기 필러도어(40)의 내측에는 푸셔(41)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푸셔(41)와 대향되는 사이드 패널(P)의 일측면에는 스프링(50a)의 의해 탄력지지되는 피스톤(50b)이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50b)이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50c)의 양측에는 단자(52)가 형성된다. 상기 단자(52)의 일측은 배터리(54)와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상기한 감지센서(38)의 단자(39)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한 감지센서(38)의 다른 일측의 단자(39)는 상기한 전자석(36)에 권선되는 코일에 연결되며, 상기 코일의 다른 일측은 후설할 릴레이(56)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릴레이(56)에는 감지센서(38)에서 신호가 유입될 경우 배터리(54)의 전류가 인가되어 계기판(58)에 연료캡(20)의 장착여부가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필러도어(40)의 내측면에는 필러도어(40)를 닫았을 경우에연료캡(20)의 상부면을 적당한 힘으로 가압하기 위한 판스프링(42)이 부착되고, 주유를 위해 개방된 연료캡(20)을 임시 거치하기 위한 자석(43)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연료캡(20)의 장착되는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나 주유자는 연료캡(20)의 끼움부(24)를 연료주유구(30)의 입구에 끼운 다음 필러도어(40)를 닫게 된다. 그러면 필러도어(40)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푸셔(41)가 필러도어 스위치(50)의 피스톤(50b)을 밀게 되고, 밀린 피스톤(50b)이 양측의 단자(52)를 연결하게 되므로서 배터리(54)의 전류가 통전된다. 필러도어 스위치(50)를 통과한 전류는 전자석(36)으로 인가된다. 특히, 감지센서(38)의 볼(38c)이 끼움부(24)의 하단에 밀리어 감지센서(38)의 단자(39)들이 연결되기 때문에 전자석(36)으로 전류가 인가된다.
위와 같이 전자석(36)으로 전류가 인가되므로서 전자석(36)은 자력을 띠게 되고, 끼움부(24)의 하단에 형성된 영구자석(25)과 작용되어 상기 연료캡(20)를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연료의 주입을 위해 연료캡(20)을 개방할 때는 우선 운전자는 차실내에 위치되어 있는 필러도어 개방 레버를 당긴다. 이에 의해 필러도어(40)가 개방되어지고, 필러도어 스위치(50)는 필러도어(40)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푸셔(41)가 해제됨에 의해 피스톤(50b)이 전진되어 단자(52)에서 분리되어진다.
따라서 필러도어 스위치(50)는 오프(OFF)되고, 감지센서(38)로의 배터리(54)전원이 차단된다. 또한 연료캡(20)을 구속하던 전자석(36)이 자성을 잃게 된다.
이 때 주유자는 노브(22)를 잡고 연료캡(20)을 연료주유구(30)에서 인출한 후, 연료캡(20)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필러도어(40)의 내측면에 형성된 자석(43)에 붙여둔다. 그런 다음 연료주유구(30)에 주유건을 끼운 다음 연료를 주유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연료캡(20)을 개방할 때에 종래처럼 연료캡을 회전시키지 않고, 보다 쉽게 연료캡(20)을 개방할 수 있게 되므로서 주유자의 편의성이 증진된다. 또한, 연료 주유를 위해 개방된 연료캡(20)을 필러도어(40)의 내측에 자석으로 부착하므로서 연료캡(2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주유시 보다 손쉽게 연료캡을 개방하거나 닫을 수 있게 되므로서 주유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며, 차실내에서 연료캡의 장착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주유를 위해 개방된 연료캡은 필러도어의 내측면에 보관할 수 있게 되므로서 연료캡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원형의 몸체부 외측면에 노브가 돌출형성되고, 몸체부의 내측면에 연료주유구의 입구에 끼우기 위한 원통형의 끼움부가 돌출형성되는 연료캡에 있어서,
    상기한 끼움부(24)의 끝단에 형성되는 영구자석(25)과;
    상기한 연료캡(20)의 끼움부(24)를 상기 연료주유구(30)에 끼웠을 경우에 상기 영구자석(25)이 위치되는 연료주유구(30)의 양측에 관통공(32)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관통공(32)의 외측으로 상하부로 양분되어 형성되는 수용공간(34)과;
    필러도어(40)의 내측면과 사이드 패널(P)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필러도어(40)의 장착여부를 판단하는 필러도어 스위치(50)와;
    상기한 수용공간(34)의 상측에 수용되며, 상기한 필러도어 스위치(50)가 온(ON)될 경우에 배터리(54)에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자력이 형성되는 전자석(36)과;
    상기한 수용공간(34)의 하측에 수용되어 연료캡(20)의 장착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감지센서(38)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캡의 개폐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필러도어 스위치(50)는 필러도어(40)의 내측면에 푸셔(41)가 형성되고, 상기 푸셔(41)와 대향되는 사이드 패널(P)의 일측면에 스프링(50a)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피스톤(50b)이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50b)의 양측에 단자(5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캡의 개폐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감지센서(38)는 스프링(38a)으로 탄력지지되는 피스톤(38b)의 일측에 볼(38c)이 형성되고, 상기 볼(38c)은 연료캡(20)의 끼움부(24) 끝단에 위해 밀려 위치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캡의 개폐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감지센서(38)는 필러도어 스위치(50)와 연결되고, 필러도어 스위치(50)는 릴레이(56)와 계기판(58)에 연결되어, 연료캡(20)의 장착여부가 상기 계기판(58)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캡의 개폐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필러도어(40)의 내측면에는 주유를 위해 개방된 연료캡(20)을 임시 거치하기 위한 자석(4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캡의 개폐구조.
KR10-2001-0046717A 2001-08-02 2001-08-02 연료캡의 개폐구조 KR100435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717A KR100435951B1 (ko) 2001-08-02 2001-08-02 연료캡의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717A KR100435951B1 (ko) 2001-08-02 2001-08-02 연료캡의 개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601A KR20030012601A (ko) 2003-02-12
KR100435951B1 true KR100435951B1 (ko) 2004-06-12

Family

ID=27717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717A KR100435951B1 (ko) 2001-08-02 2001-08-02 연료캡의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59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61731B2 (en) 2019-04-29 2021-11-02 Hyundai Motor Company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urea inlet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67489B2 (en) 2007-10-09 2015-06-3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of preventing inadvertent check engine telltale
KR102249770B1 (ko) * 2017-05-18 2021-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연료캡 개폐 구조
CN110039991B (zh) * 2019-03-19 2022-03-08 阜南县亨春汽车服务有限公司 一种全自动卡车油箱盖及控制电路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4128U (ko) * 1979-04-04 1980-10-16
JPS58152624A (ja) * 1982-03-05 1983-09-10 Nissan Motor Co Ltd フイラ−キヤツプの装着確認装置
KR970000959U (ko) * 1995-06-30 1997-01-21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연료 캡 개폐장치
KR970035719A (ko) * 1995-12-29 1997-07-22 김태구 차량의 연료탱크 뚜껑 개폐장치
KR19980030597U (ko) * 1996-11-29 1998-08-17 양재신 자동차의 분실방지 연료캡
KR19990034919A (ko) * 1997-10-30 1999-05-15 양재신 차량의 연료 캡 열림 경고 장치
KR19990016424U (ko) * 1997-10-28 1999-05-25 현성옥 차량의 시동 온.오프에 따른 주유구 캡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4128U (ko) * 1979-04-04 1980-10-16
JPS58152624A (ja) * 1982-03-05 1983-09-10 Nissan Motor Co Ltd フイラ−キヤツプの装着確認装置
KR970000959U (ko) * 1995-06-30 1997-01-21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연료 캡 개폐장치
KR970035719A (ko) * 1995-12-29 1997-07-22 김태구 차량의 연료탱크 뚜껑 개폐장치
KR19980030597U (ko) * 1996-11-29 1998-08-17 양재신 자동차의 분실방지 연료캡
KR19990016424U (ko) * 1997-10-28 1999-05-25 현성옥 차량의 시동 온.오프에 따른 주유구 캡 개폐장치
KR19990034919A (ko) * 1997-10-30 1999-05-15 양재신 차량의 연료 캡 열림 경고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61731B2 (en) 2019-04-29 2021-11-02 Hyundai Motor Company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urea inlet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601A (ko) 200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0968B2 (en) Charge port door with electromagnetic latching assembly
US20150048644A1 (en) Access system for vehicle energy storage device with magnetic sensor to detect access door position
JPH0654064B2 (ja) 閉鎖くさびと止め金を有する自動車ドア錠
US20040094230A1 (en) Fuel gas filling system
US3759075A (en) Protecting device for an access orifice to a tank
JP4991318B2 (ja) 給油口の開閉装置
US20160297485A1 (en) Structure of tail gate guide bumper using magnetic force
KR100435951B1 (ko) 연료캡의 개폐구조
JP4276421B2 (ja) スロット機構
KR870006297A (ko) 자동차 문의 자물쇠를 잠그고 여는 방법 및 그 장치
US20130067970A1 (en) Steering lock device
KR100427941B1 (ko) 연료캡의 개폐구조
US20050146156A1 (en) Device for locking and/or unlocking a tank flap
KR100307135B1 (ko) 트렁크키홀커버의자동복귀장치
JP3826717B2 (ja) 燃料電池車両の燃料充填構造
JPH0986195A (ja) 気体燃料車両のフューエルリッド装置
JP3905685B2 (ja) 車両用エンジン始動装置
KR0128355Y1 (ko) 자동차의 트렁크 개폐문
KR100219090B1 (ko) 자동차의 연료 주입관 개폐기구
JP4180884B2 (ja) ロック装置及びスロット機構
CN115703348A (zh) 用于车辆的无门式油箱盖系统及控制其的方法
KR100392012B1 (ko) 자동차용 주유구 도어의 잠금장치
JPH0575368U (ja) フューエルリッドオープナー用ソレノイド
JP2021015756A (ja) ロック装置
KR900009340Y1 (ko) 자동차의 트렁크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