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5665B1 - 부품 적재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품 적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5665B1
KR100435665B1 KR10-2001-0041988A KR20010041988A KR100435665B1 KR 100435665 B1 KR100435665 B1 KR 100435665B1 KR 20010041988 A KR20010041988 A KR 20010041988A KR 100435665 B1 KR100435665 B1 KR 100435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e
component
component loading
robot
c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1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6280A (ko
Inventor
정종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1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5665B1/ko
Publication of KR20030006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6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60Y2304/074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by improved accessi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위치의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고, 작업자가 부품을 가이드봉 사이에 직접 적재할 필요가 없는 부품 적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일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대차공급대; 상부 바닥에 부품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방으로 돌출 설치되는 가이드봉과, 로봇이 잡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지그로 이루어져 대차공급대에 슬라이딩되는 부품적재대차; 대차공급대의 하부에 대차공급대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대차취출대; 부품적재대차를 대차공급대로부터 대차취출대로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로봇을 포함하는 부품 적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부품 적재 시스템{LOADING SYSTEM OF ACCESSORY}
본 발명은 자동차 생산설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품을 적재하는 부품 적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수 만개의 부재와 부품이 조립되는 조립체로서, 용접과 볼팅 등의 방법에 의해서 조립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부품을 조립해야 하므로 자동차 조립시 인력을 줄이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로봇을 이용하여 자동차를 조립하는 생산라인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부재를 차체에 용접하기 위하여 용접로봇이 설치되며
이러한 부품 적재 시스템은 180˚회전장치가 하부에 설치된 프레임 위에 다양한 부품을 고정 적재할 수 있는 가이드봉이 다수개 설치되고 이 가이드봉 사이에 부품이 적재되어 필요에 따라 로봇이 부품을 취출해 간다.
그러나 위와 같은 부품 적재 시스템은 부품이 흩어져 적재되어 있으므로 위치의 정확도가 확보되지 못해 로봇의 부품 취출시 부품이 떨어지는 등의 에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로봇을 이용하여 취출된 부품을 로딩할 때 부품이 지그에 정상적으로 안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작업자가 부품을 로봇이 작동되는 가이드봉 사이에 직접 적재해야 하므로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목적은 위치의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부품 적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부품을 가이드봉 사이에 직접 적재할 필요가 없는 부품 적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적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적재 시스템의 부품적재 대차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적재 시스템의 클램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대차공급대 12 : 부품적재대차
14 : 대차취출대 16 : 로봇
18 : 가이드 20 : 가이드봉
22 : 지그 24 : 바퀴
26 : 대차충격흡수용 스톱파 29 : 위치제어 스톱파
30 : 홈 32 : 대차확인센서
34 : 부품감지센서 36 : 제어판넬
38 : 클램프 40 : 구동실린더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대차공급대; 상부 바닥에 부품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방으로 돌출 설치되는 가이드봉과, 로봇이 잡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지그로 이루어져 대차공급대에 슬라이딩되는 부품적재대차; 대차공급대의 하부에 대차공급대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대차취출대; 부품적재대차를 대차공급대로부터 대차취출대로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로봇을 포함하는 부품 적재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부품적재대차의 진입을 감지하기 위해 대차공급대의 일측에 대차확인센서가 설치되고, 부품의 적재유무를 감지하도록 부품적재대차에 부품감지센서가 설치되며, 대차확인센서와 부품감지센서로부터 받은 신호를 연산하여 로봇을 제어하는 제어판넬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품적재대차의 후면을 체결하도록 대차공급대에 클램프가 설치되고 부품적재대차의 전면에 형성된 홈에 대응하도록 대차공급대에 위치제어 스톱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적재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적재 시스템의 부품적재 대차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부품 적재시스템은 일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대차공급대(10)와, 대차공급대(10)에 슬라이딩되는 부품적재대차(12)와, 대차공급대 (10)의 하부에 대차공급대(10)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대차취출대(14)와, 부품적재대차(12)를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로봇(16)으로 이루어진다.
대차공급대(10)는 일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양측에 가이드(18)가 설치되어 부품적재대차(12)가 이탈되지 않고 대차공급대(10)의 위에서 슬라이딩하게 된다.
부품적재대차(12)는 부품(A)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방으로 돌출 설치되는 가이드봉(20)과, 로봇(16)이 잡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지그(22)로 이루어진다.
또한 부품적재대차(12)의 하부에는 바퀴(24)가 설치되어 부품적재대차(12)가 대차공급대(10)의 상부를 원활히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부품적재대차(12)의 이동방향의 후단에는 대차충격흡수용 스톱파(26)가 설치되어 뒤따라오는 부품적재대차(12)와 충돌할 때 이로 인한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또한 부품적재대차(12)의 이동방향의 전단에는 위치제어 스톱파(29)와 대응하는 홈(30)이 형성되어 있다.
대차취출대(14)는 대차공급대의 하부에 대차공급대(10)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여기서 대차취출대(14)의 상단은 대차공급대(10)의 하단보다 돌출 설치되어 로봇(16)이 부품적재대차(12)를 이동시킬 때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봇(16)은 부품적재대차(12)를 대차공급대(10)로부터 대차취출대(14)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로봇(16)은 부품적재대차(12)에 설치된 지그(22)를 잡고 부품적재대차(12)를 이동시키게된다. 또한 로봇(16)은 부품(A)을 이송시키는 로봇(16)을 범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적재 시스템에는 제어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제어부는 부품적재대차(12)의 진입을 감지하기 위해 대차공급대(10)의 일측에 설치된 대차확인센서(32)와, 부품(A)의 적재유무를 감지하도록 부품적재대차 (12)에 설치된 부품감지센서(34)와, 대차확인센서(32)와 부품감지센서(34)로부터 받은 신호를 연산하여 로봇(16)을 제어하는 제어판넬(36)로 이루어진다.
대차확인센서(32)는 부품적재대차(12)에 설치된 지그(22)를 감지하여 부품적재대차(12)의 진입을 감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품감지센서(34)는 부품적재대차(12)에 설치되어 부품(A)이 남아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게된다.
제어판넬(36)은 대차확인센서(32)와 부품감지센서(34)에서 감지된 신호를 연산하여 로봇(16)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즉 부품감지센서(34)로부터 부품(A)이 없는 것으로 감지되면 로봇(16)을 작동시켜 부품적재대차(12)를 대차공급대(10)로부터 대차취출대(14)로 이송시킨다. 따라서 대기하고 있던 부품적재대차(12)가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고정되므로 부품(A)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위치제어수단은 부품적재대차(12)의 후면을 체결하도록 대차공급대(10)에 설치되는 클램프(38)와, 부품적재대차(12)의 전면에 형성된 홈(30)에 대응하도록 대차공급대(10)의 하측 선단에 설치되는 위치제어 스톱파(29)로 이루어진다.
클램프(3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공급대(10)에 힌지결합 되고, 클램프(38)에 구동실린더(40)가 연결 설치되어 구동실린더(40)의 작동에 의해 클램프(38)가 회전하여 부품적재대차(12)의 후면을 체결하게 된다.
위치제어 스톱파(29)는 부품적재대차(12)의 전면에 형성된 홈(30)에 대응하도록 대차공급대(10)의 하측선단에 설치된다. 이러한 위치제어 스톱파(29)는 부품적재대차(12)의 이동방향뿐만 아니라 그 수직방향으로도 부품적재대차(12)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적재 시스템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부품적재대차(12)에 적재되어 있는 부품(A)은 로봇(16)의 작동에 의해 필요한 곳으로 취출된다.
부품(A)을 취출하는 중 부품감지센서(34)로부터 부품(A)이 없는 신호가 감지되면 구동실린더(40)를 해제시켜 부품적재대차(12)의 후면에 체결되어 있는 클램프(38)를 푼 후, 로봇(16)을 작동시켜 부품적재대차(12)를 대차공급대(10)로부터 대차취출대(14)로 이동시킨다. 즉 로봇(16)이 부품적재대차(12)에 설치된 지그(22)를 잡고 부품적재대차(12)를 옮기게 된다.
부품적재대차(12)가 옮겨지면 대기하고 있던 부품적재대차(12)가 자중에 의해 부품공급대(10)의 위를 슬라이딩하여 부품공급대(10)의 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부품적재대차(12)의 선단에 형성된 홈(30)과 부품공급대(10)의 하단에 설치된 위치제어 스톱파(29)의 요철이 대응하여 부품적재대차(12)의 이동방향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으로도 이동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부품적재대차(12)가 고정되면 구동실린더(40)를 복귀시켜 부품적재대차(12)의 후면을 클램프(38)로 고정시킨다.
따라서 다시 로봇(16)을 작동시켜 부품(A)을 필요한 곳으로 취출시킨다.
한편 로봇(16)에 의해 대차취출대(14)로 옮겨진 부품적재대차(12)는 자중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대차취출대(14)의 하단에서 멈추게 된다. 이 대차취출대(14)의 하단에 멈춰진 부품적재대차(14)를 작업자가 취출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적재 시스템은 부품이 일정한 위치에 적재되어 이송될 때 에러가 방지되므로 라인가동률 향상으로 인해 생산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부품이 로봇으로부터 정확한 위치에서 취출되므로 지그의 일정한 위치에 안착된다. 따라서 불량적재로 인한 처리시간이 절약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부품이 떨어졌을 때 작업자가 로봇이 작동되는 가이드봉에 직접 부품을공급하지 않아도 되므로 이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Claims (3)

  1. 일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대차공급대;
    상부 바닥에 부품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방으로 돌출 설치되는 가이드봉과, 로봇이 잡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지그로 이루어져 상기 대차공급대에 슬라이딩되는 부품적재대차;
    상기 대차공급대의 하부에 상기 대차공급대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대차취출대;
    상기 부품적재대차를 대차공급대로부터 대차취출대로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로봇을 포함하는 부품 적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적재대차의 진입을 감지하기 위해 대차공급대의 일측에 설치된 대차확인센서, 부품의 적재유무를 감지하도록 상기 부품적재대차에 설치된 부품감지센서, 상기 대차확인센서와 상기 부품감지센서로부터 받은 신호를 연산하여 상기 로봇을 제어하는 제어판넬로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부품 적재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적재대차의 후면을 체결하도록 상기 대차공급대에 설치되는 클램프와 상기 부품적재대차의 전면에 형성된 홈에 대응하도록 대차공급대의 하측선단에설치된 위치제어 스톱파로 이루어지는 위치제어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부품 적재 시스템.
KR10-2001-0041988A 2001-07-12 2001-07-12 부품 적재 시스템 KR100435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988A KR100435665B1 (ko) 2001-07-12 2001-07-12 부품 적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988A KR100435665B1 (ko) 2001-07-12 2001-07-12 부품 적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280A KR20030006280A (ko) 2003-01-23
KR100435665B1 true KR100435665B1 (ko) 2004-06-12

Family

ID=27714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1988A KR100435665B1 (ko) 2001-07-12 2001-07-12 부품 적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56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495B1 (ko) * 2006-03-07 2008-01-02 와이즈와이어즈(주)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를 위한인증 방법, 시스템, 서버 및 기록매체
KR100790496B1 (ko) * 2006-03-07 2008-01-02 와이즈와이어즈(주) 인증키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를 위한 인증 방법,시스템 및 기록매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4220A (ja) * 1982-12-17 1984-07-02 Murata Mach Ltd 組立てロボツトにおける部品供給方法
JPS62121126A (ja) * 1985-11-20 1987-06-02 Sanyo Electric Co Ltd 部品供給装置
KR930012533A (ko) * 1991-12-26 1993-07-20 정용문 자동화 기기의 부품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4220A (ja) * 1982-12-17 1984-07-02 Murata Mach Ltd 組立てロボツトにおける部品供給方法
JPS62121126A (ja) * 1985-11-20 1987-06-02 Sanyo Electric Co Ltd 部品供給装置
KR930012533A (ko) * 1991-12-26 1993-07-20 정용문 자동화 기기의 부품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280A (ko) 200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53875C (en) Automated floor assembly machine
CN107486825B (zh) 料架、上料装置和自动化取放工件的系统
US201800159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front end module
US20090158579A1 (en) Automatic screwing device for the chassis of a motor vehicle
CN113784901B (zh) 运送装置
EP2285529B1 (en) Pallet loader and manipulator
US4949833A (en) Apparatus for successive supply of parts
KR100435665B1 (ko) 부품 적재 시스템
CN113788091A (zh) 柔性化汽车装配系统
JP2745841B2 (ja) 車体搬送装置
JPH05170303A (ja) 棚荷役装置
US20060051190A1 (en) Article storage system
JPH0218184A (ja) 自動車車体への部品の自動組付システム
KR102297520B1 (ko) 전기 및 내연기관 자동차용 금속가공품의 이종 너트 용접 자동화 시스템
CN218907457U (zh) 汽车顶盖上料库
JP3268071B2 (ja) パレット搬送台車
CN214641157U (zh) 皮卡货厢焊接运输线
CN214623418U (zh) 一种agv小车
KR950007549B1 (ko) 무인반송대차
CN219488684U (zh) 一种车门下线接驳运送装置
JP3496823B2 (ja) トラックへの荷積みシステム
JP3562439B2 (ja) 荷積みシステム
KR100287681B1 (ko) 크래쉬 패드의 자동 투입 시스템
JPH09235005A (ja) 移動棚設備
JP2001213597A (ja) 搬送物搬送方法および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