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5125B1 - 우표검출장치, 우표검출방법, 서신처리장치 및 서신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우표검출장치, 우표검출방법, 서신처리장치 및 서신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5125B1
KR100435125B1 KR10-2001-0057904A KR20010057904A KR100435125B1 KR 100435125 B1 KR100435125 B1 KR 100435125B1 KR 20010057904 A KR20010057904 A KR 20010057904A KR 100435125 B1 KR100435125 B1 KR 100435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mp
unit
value
letter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7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2599A (ko
Inventor
요코이겐타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20022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2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1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1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etection ofthe destination
    • B07C3/14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etection ofthe destination using light-responsive detect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4Aligning, centring, orienta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image
    • G06V10/242Aligning, centring, orienta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image by image rotation, e.g. by 90 degr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5Determination of region of interest [ROI] or a volume of interest [VO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5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by performing operations within image blocks; by using histograms, e.g. 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s [HoG]; by summing image-intensity values; Projection analysis
    • G06V10/507Summing image-intensity values; Histogram projection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6Trinkets, e.g. shirt buttons or jewellery i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Analysis (AREA)
  • Character Input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표검출장치, 우표검출방법, 서신처리장치 및 서신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화상입력부(101)는 서신(P)의 화상을 입력하고 화상메모리(102)에 저장하며, 우표검출부(103)는 화상메모리(102)에 저장된 서신화상으로부터 휘도 사영값을 구하고, 그 구해진 사영값을 기초로 서신(P)에 부착된 우표의 내부영역이라고 판정되는 영역 중에 일부 우표의 외부영역이라고 판정되는 영역이 있어도 그 영역의 길이가 우표 내부 갭으로 판정하기 위한 우표 내부 갭 허용길이 임계값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우표의 외부영역이라고 판정하지 않고 우표의 내부영역으로 판정하여 우표검출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우표검출장치, 우표검출방법, 서신처리장치 및 서신처리방법{APPARATUS FOR DETECTING A STAMP, METHOD FOR DETECTING A STAMP, APPARATUS FOR PROCESSING A LETTER AND METHOD FOR PROCESSING A LETTER}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우편서신에 점착된 우표를 검출하는 우표검출장치, 우표검출방법, 서신처리장치 및 서신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상기 우표검출장치를 사용하여 우편서신을 구분 처리하는 서신처리장치 및 서신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표검출장치에서 우편서신에 점착된 우표를 농도 사영값에 의해 검출할 때, 검출에 사용하는 여러가지 임계값(예를 들어, 우표영역과 서신의 바탕 영역을 식별하는 임계값)은 미리 설정된 값, 또는 서신화상으로부터 통계계산에 의해 구한 값을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우편서신에 점착된 우표의 종류를 식별할 때 우표의 점착방향에 의존하지 않는 식별을 실시하고 있었다. 또한, 우편서신에 점착된 우표의 종류를 식별할 때 우표의 액면에 관한 지식을 사용하지 않고 식별을 실시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상기한 종래의 방법에서는 우표검출에 사용하는 임계값을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어렵고, 또한 임계값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는 우표검출이 실패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우표의 점착방향에 의존하지 않는 식별은 우표의 점착방향에 의존한 식별 보다도 식별성능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우표의 액면에 관한 지식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식별 오류가 많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우표검출을 위한 임계값 설정이 용이해지고, 항상 안정된 우표검출을 실시할 수 있는 우표검출장치, 우표검출방법, 서신처리장치 및 서신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고정밀도의 우표검출이 가능한 우표검출장치, 우표검출방법, 서신처리장치 및 서신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서신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개략적인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3은 우표검출처리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우표검출처리에서의 임계값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우표검출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6은 우표검출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7은 우표검출처리의 다른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8은 우표식별처리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우표 액면계수용 정보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우표의 종별 및 점착방향을 식별하는 우표식별처리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제 3 실시형태에서의 주목영역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제 3 실시형태에서의 우표의 점착방향에 기초한 우표식별처리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제 3 실시형태에서의 우표 점착방향에 기초한 우표 식별처리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서신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15는 제 4 실시형태에서의 합계 액면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제 4 실시형태에서의 우표의 합계 액면에 기초한 우표식별처리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17은 제 5 실시형태에서의 개략적인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화상입력부 102: 화상메모리
103: 우표검출부 104: 우표 식별부
105: 우표 액면 계수부 106: 소인 압인부
107: 구분 처리부 108: 제어부
109: 기억부 110: 식별 선택부
본 발명의 우표검출장치는 우표가 점착된 서신의 화상을 입력하는 화상입력부와, 이 화상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화상으로부터 상기 서신에 점착된 우표의 내부영역이라고 판정되는 영역 중에 일부 우표의 외부영역이라고 판정되는 갭(gap) 영역이 있는 경우, 상기 갭 영역의 크기가 소정의 허용범위 내이면, 상기 갭 영역을 우표의 내부영역으로 하여 우표검출을 실시하는 우표검출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서신처리장치는 우표가 점착된 서신의 화상을 입력하는 화상입력부와, 상기 화상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화상으로부터 상기 서신에 점착된 우표의 내부영역으로 판정되는 영역 중에 일부 우표의 외부영역이라고 판정되는 갭 영역이 있는 경우, 상기 갭 영역의 크기가 소정의 허용범위 내이면, 상기 갭 영역을 우표의 내부영역으로 하여 우표검출을 실시하는 우표검출부와, 상기 우표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우표의 종별을 식별하는 우표식별부와, 상기 우표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우표의 종별에 기초하여 상기 서신에 점착된 우표의 합계 액면을 구하는 우표액면 산출부와, 상기 우표액면 산출부에 의해 구해진 우표의 합계 액면에 기초하여 상기 서신을 구분하는 구분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서신처리장치는 서신이 점착된 서신의 화상을 입력하는 화상입력부와, 상기 화상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화상으로부터 구해지는 농도 또는 휘도 사영값(射影値)을 기초로 상기 서신에 점착된 우표를 검출하는 우표검출부와, 상기 우표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우표의 종별을 식별하는 우표 식별부와, 상기 우표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우표의 종별에 기초하여 상기 서신에 점착된 우표의 합계 액면을 구하는 우표 액면 산출부와, 상기 우표 액면 산출부에 의해 구해진 우표의 합계 액면에 기초하여 상기 서신을 구분하는 구분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우표검출방법은 우표가 점착된 서신의 화상을 입력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입력된 화상으로부터 상기 서신에 점착된 우표의 내부영역이라고 판정되는 영역 중에 일부 우표의 외부영역이라고 판정되는 갭 영역이 있는 경우, 상기 갭 영역의 크기가 소정의 허용범위 내이면 상기 갭 영역을 우표의 내부영역으로 하여 우표검출을 실시하는 제 2 단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서신처리방법은 우표가 점착된 서신의 화상을 입력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입력된 화상으로부터 상기 서신에 점착된 우표의 내부영역이라고 판정되는 영역 중에 일부 우표의 외부영역이라고 판정되는 갭 영역이 있는 경우, 상기 갭 영역의 크기가 소정의 허용범위 내이면 상기 갭 영역을 우표의 내부영역으로 하여 우표검출을 실시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검출된 우표의 종별을 식별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식별된 우표의 종별에 기초하여 상기 서신에 점착된 우표의 합계 액면을 구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에서 구해진 우표의 합계 액면에 기초하여 상기 서신을 구분하는 제 5 단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서신처리방법은 우표가 점착된 서신의 화상을 입력하는 제 1 단계, 상기 입력된 화상으로부터 농도 사영값을 구하는 제 2 단계, 상기 구해진 사영값을 기초로 상기 서신에 점착된 우표를 검출하는 제 3 단계, 상기 검출된 우표의종별을 식별하는 제 4 단계, 상기 식별된 우표의 종별에 기초하여 상기 서신에 점착된 우표의 합계 액면을 구하는 제 5 단계 및 이 구해진 우표의 합계 액면에 기초하여 상기 서신을 구분하는 제 6 단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며, 이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명백하게 이해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배우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이점은 특히 이후에 설명되고 있는 기구들과 조합체에 의해 실현되고 얻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체화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현재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위에서 주어진 일반적인 설명과 이하에 주어진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더불어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우표검출장치를 적용한 서신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서신처리장치는 우표가 점착된 우편서신(P)의 화상(이하, 이것을 서신화상이라고 함)을 입력하는 화상입력부(101), 화상입력부(101)에서 입력된 화상을 일시 저장하는 화상메모리(102), 화상메모리(102)에 저장된 서신화상으로부터 우표영역을 검출하는 우표검출부(103), 우표검출부(103)에서 검출된 우표영역의 화상을 기초로 우표의 종별을 식별하는 우표 식별부(104), 우표 식별부(104)에서 식별된 우표의 종별에기초하여 우표의 합계 액면을 구하는 우표액면 계수부(105), 우표검출부(103)에서 검출된 우표영역의 좌표값에 기초하여 서신(P)에 소인을 압인하는 소인 압인부(압인부)(106), 우표 액면 계수부(105)에서 구해진 합계 액면에 기초하여 서신을 구분 처리하는 구분 처리부(구분부)(107), 서신처리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108), 및 여러가지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109)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개략적인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우선, 화상입력부(101)는 서신(P)의 화상을 광학적인 주사에 의해 광전 변환함으로써 입력하고 화상메모리(102)에 저장한다(S1). 우표검출부(103)는 화상메모리(102)에 저장된 서신 화상으로부터 농도 사영값을 구하고(S2), 이 구해진 사영값을 기초로 우표 영역을 검출한다(S3). 여기에서 검출된 우표영역의 좌표값은 소인 압인부(106)에 의한 소인 압인처리(S4)시의 압인위치 결정에 이용된다.
다음에, 우표식별부(104)는 우표검출부(103)에서 검출된 우표영역의 화상에 기초하여 서신(P)에 점착된 우표의 종별을 식별한다(S5). 다음에, 우표액면 계수부(105)는 우표식별부(104)에서 식별된 우표의 종별에 기초하여 우표의 합계 액면을 계수한다(S6). 여기에서 얻어진 우표의 합계 액면은 구분 처리부(107)에 의한 서신(P)의 종별(보통우편, 속달우편, 기타) 마다의 구분처리(S7)에 이용된다.
우표검출부(103)에서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처리에 의해 우표를 검출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휘도에 기초하여 사영값을 산출하는 경우에 대해서설명하지만, 농도에 기초하여 사영값을 산출하도록 해도 동일한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즉, 휘도와 농도는 서로 반대 관계에 있으므로 예를 들어, 휘도가 높은 경우에는 농도는 낮아지고, 휘도가 낮은 경우에는 농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농도에 의한 사영값을 사용하여 이하의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각 임계값에 대한 판단이 반대가 된다.
우표검출처리의 개요를 도 3에 도시한다(상세한 내용은 후술). 우표검출처리에서는 우선, 우표가 점착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영역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휘도 사영값을 구한다(도 3의 (1)). 서신(P)의 바탕영역은 일반적으로 휘도가 높고 우표영역은 휘도가 낮으므로, 후술하는 임계값 처리에 의해 우표영역의 Y좌표가 Ys부터 Ye까지라고 판단된다. 우표가 횡방향으로 복수장 점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복수쌍의 Ys, Ye가 검출되고, 그 경우에는 이하의 처리를 각각의 Ys, Ye에 적용한다.
다음에, 구해진 Ys, Ye로 제한되는 띠영역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휘도 사영값을 구한다(도 3의 (2)). 여기에서도 횡방향의 경우와 동일한 임계값 처리에 의해 우표영역의 X좌표가 Xs에서 Xe까지라고 판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우표영역이 검출된다. 소인 압인부(106)에서는 얻어진 우표영역의 좌표정보에 기초하여 소인압인을 실시한다.
다음에, 도 3에서의 우표영역의 검출처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처리의 개요를, 도 5 및 도 6에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다. 우선, 우표검출부(103)는 구한 사영값이 우표 내부영역 임계값(A1)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조사하고(S11), 크다면 우표 내부가 아닌 것으로 하고 다음 영역의 사영값으로 이동한다(S12). 단계(S11)에서 사영값이 임계값(A1)보다 작았다면, 우표검출부(103)는 그 영역이 우표 내부영역인 것으로 하고, 우표 내부영역 길이를 「1」로 한다(S13). 그리고, 우표검출부(103)는 다시 다음 영역의 사영값이 우표내부영역 임계값(A1)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조사하고(S14,S15), 사영값이 임계값(A1)보다 작았다면 우표내부인 것으로 해서 우표 내부영역 길이를 1씩 가산해 간다(S16).
단계(S15)에서 사영값이 임계값(A1)보다 작지 않았다면, 우표검출부(103)는 그 영역이 우표 내부영역이 아닌 듯(우표 외부인 듯)하다는 것으로 해서, 우표 내부 갭 길이를 「1」로 하고(S17) 다음 영역의 사영값으로 이동한다(S18). 그리고, 우표검출부(103)는 그 사영값이 우표 내부영역 임계값(A1)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조사하고(S19), 사영값이 임계값(A1)보다 작지 않았다면 우표 외부인 것으로 하여 우표 내부 갭 길이를 1씩 가산해 간다(S20).
다음에, 우표검출부(103)는 우표 내부 갭 길이가 우표 내부 갭 허용길이 임계값(A2)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조사하고(S21), 임계값(A2)보다 작았다면 단계(S18)로 돌아간다. 여기에서 만약, 다음 단계(S19)에서 다음의 사영값이 우표 내부영역 임계값(A1)보다 작으면, 우표검출부(103)는 다시 단계(S16)로 돌아가고 우표 내부영역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즉, 단계(S19, S20)에서 부분적으로 우표 외부라고 판단되어도, 그 길이가 우표 내부 갭 허용길이 임계값(A2) 이하이면, 우표검출부(103)는 우표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우표 외부인 것으로 판단되는 영역이 포함되어 있었을 뿐이라 하여 허용하는 것이다.
한편, 단계(S21)에서 임계값(A2)보다 작지 않으면, 우표검출부(103)는 갭이 충분히 크므로, 그 영역이 우표의 외부영역인 것으로 하여 단계(S22)로 나아간다. 단계(S22)에서는 그때까지 가산해 온 우표 내부영역 길이가 우표 최소 길이 임계값(3)보다 큰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임계값(A3)보다 크지 않았다면 우표검출부(103)는 충분한 크기의 우표 내부영역은 아니었다(우표는 아니었다)는 것으로 해서 단계(S12)로 되돌아간다.
단계(S22)에서 임계값(A3)보다 크면, 우표검출부(103)는 우표인듯한 영역이 발견되었다는 것으로 해서, 우표 내부 갭 길이를 우표 외부영역 길이에 대입한다(S23). 그리고, 다음의 사영값으로 이동하고(S24), 우표검출부(103)는 그 사영값이 우표 외부영역 임계값(A4)보다 큰지의 여부를 조사한다(S25). 임계값(A4)보다도 커졌다면, 우표검출부(103)는 충분한 우표 간격이 없고 우표인 듯하지 않다는 것으로 해서, 단계(S12)로 되돌아가 탐색을 계속한다.
단계(S25)에서 임계값(A4)보다 크면, 우표검출부(103)는 우표 외부영역인 것으로 하여, 우표 외부영역 길이에 1씩 가산해 간다(S26). 그리고, 우표검출부(103)는 그 우표 외부영역 길이가 우표 간격 최소길이 임계값(A5)보다 큰지의 여부를 조사하고(S27), 커졌다면 단계(S24)로 돌아가 충분한 우표 간격이 발견될 때까지 탐색을 계속한다. 단계(S27)에서 임계값(A5)보다 크면, 우표검출부(103)는 충분한 우표 간격이 있었으므로, 진짜 우표인듯한 영역이 발견되었다는 것으로 해서 우표검출 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에서, 도 5 및 도 6의 우표검출처리의 상위처리로서 도 7에 도시한 흐름도와 같은 임계값 설정처리를 부가해도 좋다. 우선, 최초로 제어부(108)가 완만한 임계값 설정을 실시하여 우표검출을 실시한다(S31).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우표 내부영역 임계값(A1)을 큰 쪽으로 설정하고 우표 외부영역 임계값(A4)을 작은 쪽으로 설정하며, 우표 내부 갭 허용 길이 임계값(A2)을 큰 쪽으로 설정하고, 우표 최소길이 임계값(A3)을 작은 쪽으로 설정하며, 우표간격 최소길이 임계값(A5)을 작은 쪽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이 제어부(108)에 의해 설정된 각 조건에 의해 우표검출부(103)가 우표검출처리를 실시한다(S32).
이에 의해, 서신의 더러워짐이나 서신의 인쇄모양에 따라 우표의 경계가 불명료한 경우나, 우표내부의 그림에 흰 부분이 있어, 복수의 우표로서 검출되기 쉬운 경우 등은, 엄밀하지 않은 임계값 설정에 의해 일단 복수의 우표를 포함한 약간 큰 쪽의 영역으로 해서 검출된다.
다음에, 제어부(108)는 검출된 영역의 길이를 체크하고(S33), 적절한 길이이면 그것은 올바르게 1장의 우표영역을 검출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 우표검출부(103)에 의한 검출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33)에서 검출된 영역의 길이가 너무 긴 경우, 제어부(108)는 임계값 설정을 약간 엄밀하게 하고(S34), 영역이 분할되기 쉽도록 함으로써, 영역 내에 대하여 우표검출부(103)에 의한 우표검출을 다시 한다. 단계(S34)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우표 내부영역 임계값(A1)을 작은 쪽으로 설정하고 우표 외부영역 임계값(A4)을 큰 쪽으로 설정하며, 우표 내부 갭 허용길이 임계값(A2)을 작은 쪽으로 설정하고 우표 최소길이 임계값(A3)을 큰 쪽으로 설정하며, 우표 간격 최소 길이 임계값(A5)을 큰 쪽으로 설정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우표가 1매로 결합하여 검출된 경우에는 적절한 임계값이 재설정되어 올바른 영역 검출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최초에 엄밀한 임계값 설정을 하지 않아도 좋으므로 임계값 설정이 용이해진다.
다음에, 우표 식별부(104)에서는 우표검출부(103)에서 검출된 우표영역에 대하여 우표의 종류를 식별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그 식별처리는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종류마다 우표의 표준패턴(Template)을 준비해 두고, 이것과 검출한 우표 영역(입력 패턴)(Detect)의 내적(內積)을 취함으로써 유사도를 계산하고, 이 유사도의 대소로 종류를 판정하면 좋다. 유사도 계산은 하기 수학식 1에서 실시된다.
또한, 이와 같은 단순한 패턴매칭 수법만이 아니라, 주지의 복합유사도법이나, 국소 상관법, 부분 공간법, 주성분 분석법, 정준판별 분석법 등의 여러가지 식별 수법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복합 유사도법을 이용함으로써 농담(濃淡)의 변화나 어긋남 등의 패턴의 변동에 강한 식별을 실시할 수 있다.
다음에, 우표액면 계수부(105)에서는 우표 식별부(104)에서 식별된 우표의 종류 정보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우표의 종류와 액면과의 대응표를 저장한 정보 테이블(109a)에 기초하여 서신(P)에 점착된 우표의 합계 액면을 계수한다.
마지막으로 구분 처리부(107)에서는 우표 액면 계수부(105)에서 계수된 우표의 합계 액면에 기초하여 서신(P)을 보통 우편, 속달 우편 등의 종별마다 구분 처리된다.
다음에,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서신처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은 우표 식별부(104)를 제외하고, 상술한 제 1 실시형태(도 1)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우표식별부(104)에 대해서만 이하에서 설명한다.
우표 식별부(104)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0도 회전, 90도 회전, 180도 회전, 270도 회전(또한 그것들의 중간 회전각을 포함해도 좋다)등과 같이, 여러가지 점착방향(회전방향)에 대응한 표준 패턴(템플레이트)을 미리 기억부(109)에 기억하고 있고, 그것들의 표준 패턴 각각에 대해서 입력 패턴(검출된 우표의 패턴)과의 매칭을 취한다. 이 매칭에 의해 얻어진 유사도를 기초로 최대의 유사도 또는 임계값 이상의 유사도를 취하는 표준 패턴을 선택함으로써 우표의 종류와 점착방향을 식별하는 것이다.
또한, 서신 전체의 방향은 검출된 우표의 점착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서 판정할 수 있다. 복수의 우표가 검출된 경우에는 그 점착방향의 다수결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검출된 서신의 방향정보는 서신의 수신인명 주소의 인식처리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서신처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은 우표식별부(104)를 제외하고, 상술한 제 1 실시형태(도 1)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우표식별부(104)에 대해서만 이하에서 설명한다.
통상, 우표에는 다른 액면이어도 그림이 유사하여 그것들의 식별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것을 상세하게 식별하기 위해 주목해야 할 부분 영역을 지정하는 정보를 기억한 주목영역 테이블(109b)을 기억부(109)에 설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세하게 식별을 실시하는 경우에 주목해야 할 부분 영역을 지정하는 정보를 미리 저장한 주목영역 테이블(109b)로서 보존해 두고, 이 정보에서 지정되는 영역을 기초로 상세한 식별처리를 실시한다.
처리의 개요를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다. 여기에서는 우표의 점착방향을 식별하는 상술한 제 2 실시형태와, 우표의 부분영역에 기초하여 고정밀한 식별을 실시하는 본 실시형태를 조합한 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1의 주목영역 테이블(109b)과, 식별된 우표의 점착방향의 정보를 기초로 식별후보마다 주목영역의 부분패턴을 잘라낸다(S51). 이 경우, 주목영역 테이블(109b)에는 0도 회전의 경우에서의 좌표영역을 기억해 두고, 검출된 우표의 점착방향에 기초하여 테이블의 주목영역좌표를 변환하여 잘라내기를 실시하면 좋다.
동일하게, 입력패턴으로부터도 대응하는 부분 패턴을 잘라낸다(S52). 이들의 부분 패턴을 기초로 매칭 등의 식별처리를 실시함으로써(S53) 유사도가 얻어진다(S54). 이들의 유사도를 비교함으로써 복수 후보로부터 보다 정확한 식별결과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들 주목영역으로서 예를 들어 우표의 요금숫자부분을 사용하면, 다른 액면의 우표에서 그림이 유사한 것끼리도 요금숫자 부분에만 주목하여 유사도를 조사할 수 있으므로, 그 차이를 기초로 보다 정확한 식별을 실시할 수 있다.
다음에, 제 4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서신처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14에 도시한다. 제 4 실시형태의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식별 선택부(110)가 추가되어 있는 점에 있고, 그 외에는 상술한 제 1 실시형태(도 1)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고 추가된 식별 선택부(110)에 대해서만 이하에서 설명한다.
우편요금은 보통우편이나 속달우편 등의 종별, 서신의 중량 등에 의해 취득하는 요금의 패턴은 몇 개로 좁혀진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취득하는 합계 액면의 종류를 기억한 합계 액면 테이블(109c)을 기억부(109)에 설치함으로써 합계 액면에 모순이 없는 식별결과를 선택한다.
처리의 개요를 도 16에 도시한다. 우표검출부(103)에서 검출된 우표영역에 대하여 우표식별부(104)가 식별을 실시한다(S61). 이에 의해 각 우표영역에 대하여 식별결과의 후보가 얻어진다(S62). 그리고, 이들의 복수의 식별후보의 조합에 대하여 합계금액을 계산한다(S63). 그리고, 이 계산한 합계금액과, 도 15의 합계 액면 테이블(109c) 내의 합계 액면의 패턴과 대조함으로써 모순이 없는 식별결과를 선택한다(S64). 이에 의해, 보다 정확한 식별결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제 5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서신처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 1 실시형태(도 1)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고, 제 1 실시형태와 일부 다른 처리에 대해서만 이하에서 설명한다.
처리의 흐름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또한, 도 2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즉, 화상입력, 우표검출, 우표식별, 우표액면계수의 각 처리는 제 1 실시형태(도 2의 단계(S1,S2,S4,S5,S6)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한다.
그 후, 올바르게 우표액면계수가 생겼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S71), 올바르게 우표액면계수가 생긴 경우에만, 소인압인처리(S72)와 구분처리(S73)를 실시한다. 올바르게 우표액면계수가 생기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실패로서 따로 구분하는 등 하여 리젝트 처리(S74)를 실시한다.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들은 본 발명의 부가적인 이점과 변형에 대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보다 넓은 관점에서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되고 도시된 구체적인 설명과 대표적인 실시예로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이에 따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에 의해 한정된 포괄적인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각종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우표검출을 위한 임계값 설정이 용이해지고 항상 안정된 우표검출을 실시할 수 있는 우표검출장치, 우표검출방법, 서신처리장치 및 서신처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고정밀도의 우표검출이 가능해지는 우표검출장치, 우표검출방법, 서신처리장치 및 서신처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우표가 점착된 서신의 화상을 입력하는 화상입력부와,
    상기 화상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화상으로부터 상기 서신에 점착된 우표의 내부영역이라고 판정되는 영역 중에 일부 우표의 외부영역이라고 판정되는 갭 영역이 있는 경우, 상기 갭 영역의 크기가 소정의 허용범위 내이면 상기 갭 영역을 우표의 내부영역으로 하여 우표검출을 실시하는 우표검출부를 갖고,
    상기 우표검출부는 상기 화상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화상으로부터 사영값을 구하고, 상기 사영값에 대한 우표 내부영역 임계값에 의해 우표의 내부영역을 판정하고, 상기 사영값에 대한 우표 외부영역 임계값에 의해 우표의 외부영역을 판정하며, 상기 갭 영역의 크기에 대한 캡 허용값에 의해 갭 영역이 소정의 허용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표검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표검출부는 상기 화상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화상으로부터 농도 또는 휘도의 사영값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표검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표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우표 사이즈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우표 내부영역 임계값, 우표 외부영역 임계값 및 갭 허용값의 각 조건을 변화시켜, 다시 상기 우표검출부에 의한 우표검출처리를 실시하게 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표검출장치.
  4. 우표가 점착된 서신의 화상을 입력하는 화상입력부,
    상기 화상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화상으로부터 상기 서신에 점착된 우표의 내부영역으로 하여 판정되는 영역 중에 일부 우표의 외부영역이라고 판정되는 갭 영역이 있는 경우, 상기 갭 영역의 크기가 소정의 허용범위 내이면 상기 갭 영역을 우표의 내부영역으로 하여 우표검출을 실시하는 우표검출부,
    상기 우표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우표의 종별을 식별하는 우표 식별부,
    상기 우표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우표의 종별에 기초하여 상기 서신에 점착된 우표의 합계 액면을 구하는 우표액면 산출부 및
    상기 우표액면 산출부에 의해 구해진 우표의 합계 액면에 기초하여 상기 서신을 구분하는 구분부를 갖고,
    상기 우표검출부는 상기 화상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화상으로부터 사영값을 구하고, 상기 사영값에 대한 우표 내부영역 임계값에 의해 우표의 내부영역을 판정하고, 상기 사영값에 대한 우표 외부영역 임계값에 의해 우표의 외부영역을 판정하고, 상기 갭 영역의 크기에 대한 갭 허용값에 의해 갭 영역이 소정의 허용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신처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우표검출부는 상기 화상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화상으로부터 농도 또는 휘도의 사영값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신처리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우표검출부에 의해 검출한 우표 사이즈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우표 내부영역 임계값, 우표 외부영역 임계값 및 갭 허용값의 각 조건을 변화시켜, 다시 상기 우표검출부에 의한 우표검출처리를 실시하게 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을 하는 서신처리장치.
  7. 우표가 점착된 서신의 화상을 입력하는 화상입력부,
    상기 화상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화상으로부터 구해지는 농도 또는 휘도 사영값을 기초로 상기 서신에 점착된 우표를 검출하는 우표검출부,
    상기 우표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우표의 종별을 식별하는 우표 식별부,
    상기 우표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우표의 종별에 기초하여 상기 서신에 점착된 우표의 합계 액면을 구하는 우표액면 산출부 및
    상기 우표 액면 산출부에 의해 구해진 우표의 합계 액면에 기초하여 상기 서신을 구분하는 구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신처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우표 식별부는 상기 우표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우표의 패턴을 미리 우표의 회전방향마다 준비된 복수의 표준 패턴과 대조함으로써 우표의 종별과 점착방향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신처리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우표 식별부에 의한 우표의 식별시에 주목해야 할 부분영역을 지정하는 주목영역 지정정보를 미리 기억하고 있는 기억부를 갖고,
    상기 우표 식별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주목영역 지정정보로 지정되는 부분영역에서만, 상기 우표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우표의 패턴을 미리 준비된 복수의 표준 패턴과 대조함으로써 우표의 종별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신처리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우표 식별부는 상기 우표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우표의 점착방향을 식별하고, 이 식별한 점착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주목해야 할 부분영역의 방향을 변화시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신처리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허용되는 우표의 액면 합계액의 종류를 미리 기억하고 있는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액면 합계액과 상기 우표액면 산출부에 의해 구해진 합계 액면을 대조함으로써 우표의 합계 액면을 결정하는 합계 액면 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분부는 상기 합계 액면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합계 액면에 기초하여 상기 서신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신처리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우표액면 산출부에 의해 구해진 우표의 합계 액면이 적절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우표 액면 산출부에 의해 구해진 우표의 합계 액면이 적절하다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우표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우표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신에 소인을 압인하는 압인부를 갖고,
    상기 구분부는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우표 액면 산출부에 의해 구해진 우표의 합계 액면이 적절하다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우표액면 산출부에 의해 구해진 우표의 합계 액면에 기초하여 상기 서신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신처리장치.
  13. 우표가 점착된 서신의 화상을 입력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입력된 화상으로부터 상기 서신에 점착된 우표의 내부영역이라고 판정되는 영역 중에 일부 우표의 외부영역이라고 판정되는 갭 영역이 있는 경우, 상기 갭 영역의 크기가 소정의 허용범위 내이면 상기 갭 영역을 우표의 내부영역으로 하여 우표검출을 실시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신검출방법.
  14. 우표가 점착된 서신의 화상을 입력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입력된 화상으로부터 상기 서신에 점착된 우표의 내부영역이라고 판정되는 영역 중에 일부 우표의 외부영역이라고 판정되는 갭 영역이 있는 경우, 상기 갭 영역의 크기가 소정의 허용범위 내이면 상기 갭 영역을 우표의 내부영역으로 하여 우표검출을 실시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검출된 우표의 종별을 식별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식별된 우표의 종별에 기초하여 상기 서신에 점착된 우표의 합계 액면을 구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에서 구해진 우표의 합계 액면에 기초하여 상기 서신을 구분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신검출방법.
  15. 우표가 점착된 서신의 화상을 입력하는 제 1 단계,
    상기 입력된 화상으로부터 농도 사영값을 구하는 제 2 단계,
    상기 구해진 사영값을 기초로 상기 서신에 점착된 우표를 검출하는 제 3 단계,
    상기 검출된 우표의 종별을 식별하는 제 4 단계,
    상기 식별된 우표의 종별에 기초하여 상기 서신에 점착된 우표의 합계 액면을 구하는 제 5 단계 및
    이 구해진 우표의 합계 액면에 기초하여 상기 서신을 구분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신처리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제 3 단계에서 검출된 우표의 패턴을, 미리 우표의 회전방향마다 준비된 복수의 표준 패턴과 대조함으로써 우표의 종별과 점착방향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신처리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미리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시에 주목해야 할 부분영역을 지정하는 주목영역 지정정보로 지정되는 부분영역에서만, 상기 제 3 단계에서 검출된 우표의 패턴을 미리 준비된 복수의 준비 패턴과 대조함으로써 우표의 종별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신처리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제 3 단계에서 검출된 우표의 점착방향을 식별하고 이 식별한 점착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주목해야 부분영역의 방향을 변화시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신처리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미리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허용되는 우표의 액면 합계액의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액면 합계액과 상기 제 5 단계에서 구해진 합계 액면을 대조함으로써 최종적인 우표의 합계 액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단계에 의해 결정된 합계 액면에 기초하여 상기 서신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신처리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제 5 단계에서 구해진 우표의 합계 액면이 적절한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에 의해 상기 제 5 단계에서 구해진 우표의 합계 액면이 적절하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제 3 단계에서 검출된 우표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신에 소인을 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판정에 의해 상기 제 5 단계에서 구해진 우표의 합계 액면이 적절하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제 5 단계에서 구해진 우표의 합계액면에 기초하여 상기 서신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신처리방법.
KR10-2001-0057904A 2000-09-20 2001-09-19 우표검출장치, 우표검출방법, 서신처리장치 및 서신처리방법 KR1004351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86026A JP2002092674A (ja) 2000-09-20 2000-09-20 切手検出装置、切手検出方法、書状処理装置および書状処理方法
JPJP-P-2000-00286026 2000-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2599A KR20020022599A (ko) 2002-03-27
KR100435125B1 true KR100435125B1 (ko) 2004-06-09

Family

ID=18770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7904A KR100435125B1 (ko) 2000-09-20 2001-09-19 우표검출장치, 우표검출방법, 서신처리장치 및 서신처리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34404B2 (ko)
EP (1) EP1190779A3 (ko)
JP (1) JP2002092674A (ko)
KR (1) KR100435125B1 (ko)
AU (1) AU768373B2 (ko)
CA (1) CA235725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50457A1 (de) * 2001-10-16 2003-04-30 Deutsche Post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arbeitung von auf Oberflächen von Postsendungen befindlichen graphischen Informationen
FR2841673B1 (fr) * 2002-06-26 2004-12-03 Solystic Chronomarquage d'objets postaux par signature d'image et machine de tri associee
JP4281321B2 (ja) * 2002-10-15 2009-06-17 日本電気株式会社 定形外郵便物の選別・取揃え・押印処理装置
JP2006113820A (ja) * 2004-10-14 2006-04-27 Sharp Corp 携帯端末を利用した個人認証システム
US20080008377A1 (en) * 2006-07-07 2008-01-10 Lockheed Martin Corporation Postal indicia categorization system
US20080008376A1 (en) * 2006-07-07 2008-01-10 Lockheed Martin Corporation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postal indicia
CN102456745B (zh) * 2010-10-22 2013-09-04 北京大学 一种快闪存储器及其制备方法和操作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0878A (ja) * 1982-02-17 1983-08-20 Toshiba Corp 切手検出装置
JPS59164183A (ja) * 1983-03-09 1984-09-17 Nec Corp 郵便物等の自動取りそろえ押印装置
JPS62138983A (ja) * 1985-12-12 1987-06-22 Toshiba Corp 切手検出装置
JPH026885A (ja) * 1988-06-27 1990-01-11 Toshiba Corp 郵便物の判定装置
JPH0848066A (ja) * 1994-08-04 1996-02-20 Nec Corp 紙葉類押印装置
US6035291A (en) * 1996-05-02 2000-03-07 Francotyp Postalia Gmbh Method and arrangement for data processing in a shipping system with a postage meter machine, including automatic selection of the most beneficial carri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6051A (ja) * 1982-08-23 1984-02-28 Toshiba Corp 紙葉類の穴検知装置
JP3038344B2 (ja) * 1987-02-24 2000-05-08 株式会社東芝 郵便物読取処理装置
JP2713911B2 (ja) * 1987-07-08 1998-02-16 株式会社東芝 郵便物処理装置
JPH03220679A (ja) * 1990-01-26 1991-09-27 Toshiba Corp 切手検出装置
JP3394795B2 (ja) * 1993-07-16 2003-04-07 株式会社東芝 対象物の処理装置及び対象物の処理方法
US5943432A (en) * 1993-11-17 1999-08-24 Gilmore; Jack R. Postage due detection system
US5537491A (en) * 1993-11-24 1996-07-16 Xerox Corporation Analyzing an image or other data to obtain a stable number of groups
US5917925A (en) * 1994-04-14 1999-06-29 Moore; Lewis J. System for dispensing, verifying and tracking postage and other information on mailpieces
DE69428293T2 (de) * 1994-07-21 2002-06-27 Toshiba Kawasaki Kk Gerät zur bildidentifizierung
JP2730665B2 (ja) * 1994-12-15 1998-03-25 北陸先端科学技術大学院大学長 文字認識装置および方法
US5974230A (en) * 1997-08-12 1999-10-26 Jenkins; Peter G. Label generating techniques and apparatus
US6151423A (en) * 1998-03-04 2000-11-21 Canon Kabushiki Kaisha Character recognition with document orientation determination
JP2000115522A (ja) * 1998-10-08 2000-04-21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
US6222940B1 (en) * 1999-01-06 2001-04-24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Pattern matching system and method which detects rotated and scaled template imag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0878A (ja) * 1982-02-17 1983-08-20 Toshiba Corp 切手検出装置
JPS59164183A (ja) * 1983-03-09 1984-09-17 Nec Corp 郵便物等の自動取りそろえ押印装置
JPS62138983A (ja) * 1985-12-12 1987-06-22 Toshiba Corp 切手検出装置
JPH026885A (ja) * 1988-06-27 1990-01-11 Toshiba Corp 郵便物の判定装置
JPH0848066A (ja) * 1994-08-04 1996-02-20 Nec Corp 紙葉類押印装置
US6035291A (en) * 1996-05-02 2000-03-07 Francotyp Postalia Gmbh Method and arrangement for data processing in a shipping system with a postage meter machine, including automatic selection of the most beneficial c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032501A (en) 2002-03-21
EP1190779A2 (en) 2002-03-27
US20020046663A1 (en) 2002-04-25
CA2357250C (en) 2004-11-02
CA2357250A1 (en) 2002-03-20
JP2002092674A (ja) 2002-03-29
KR20020022599A (ko) 2002-03-27
US6934404B2 (en) 2005-08-23
AU768373B2 (en) 2003-12-11
EP1190779A3 (en) 2004-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4799A (en) OCR method and apparatus using image equivalents
CA2218793C (en) Multi-modal system for locating objects in images
JP6889279B2 (ja) デジタル画像内の物体を検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物体検出を再スコアリング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811744B2 (en) Method for determining frontal face pose
US8325998B2 (en) Multidirectional face detection method
EP0054439A2 (en) Character segmentation method
US20070058856A1 (en) Character recoginition in video data
JPH09282517A (ja) 紙葉類の識別方法
EP0472313A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19990006591A (ko) 화상 검출방법, 화상 검출장치, 화상 처리방법, 화상 처리장치 및 매체
KR100435125B1 (ko) 우표검출장치, 우표검출방법, 서신처리장치 및 서신처리방법
US6862370B2 (en) Image detecting method, image detecting system,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image detection
JP3092576B2 (ja) 文字認識装置
US6845914B2 (en)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transitions between contrasting elements
US6556701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dotted line, and storage medium thereof
US5555318A (en) Thresholding method for segmenting gray scale image, method for determining background concentration distribution, and image displacement detection method
EP1505454A1 (en) Determination of a transfer medium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CN108492446B (zh) 一种纸币边缘查找方法以及系统
JP3689485B2 (ja) 帳票認識方法
EP4318304A1 (en) Information reading device
JPH09179982A (ja) 特定パターン検出方法
JPH08305794A (ja) 宛名行抽出装置
KR101957269B1 (ko) 지폐 일련번호 감지장치 및 방법
JPH06139338A (ja) 指紋紋様分類装置
JPH1011541A (ja) 文字認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