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4517B1 - 고순도 스테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순도 스테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4517B1
KR100434517B1 KR10-2002-0022865A KR20020022865A KR100434517B1 KR 100434517 B1 KR100434517 B1 KR 100434517B1 KR 20020022865 A KR20020022865 A KR 20020022865A KR 100434517 B1 KR100434517 B1 KR 100434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etic acid
glacial acetic
sterol
alcohol
stero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2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9297A (ko
Inventor
성태경
김광수
최성훈
서기대
이경일
노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동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동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동방
Priority to KR10-2002-0022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4517B1/ko
Publication of KR20020039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9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5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7/00Separation of mixtures of fats or fatty oils into their constituents, e.g. saturated oils from unsaturated oils
    • C11B7/0008Separation of mixtures of fats or fatty oils into their constituents, e.g. saturated oils from unsaturated oils by differences of solubilities, e.g. by extraction, by separation from a solution by means of anti-solv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두유 탈취 증류분으로부터 주정과 빙초산을 이용하여 스테롤을 분리함에 있어서, 탈취 증류분 100 중량부에 대해 주정 200∼300 중량부를 가한 다음 35∼45℃로 가온하여 탈취 증류분을 완전히 1차 용해하고, 빙초산 200∼300 중량부를 가하여 2차 용해한 후, 이를 다시 냉각시켜 순도 90% 이상의 고순도 스테롤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고순도 스테롤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eparing high purified sterol}
본 발명은 대두유 탈취 증류분으로부터 주정 및 빙초산과 같은 유기산을 이용하여 고순도 스테롤을 추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두유 탈취 증류분은 스테롤, 토코페롤이 각각 10∼15% 정도로 함유되어 있고, 유리지방산, 스쿠알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탄화수소류와 글리세라이드로 구성되어 있다.
국내에서는 탈취 증류분이 상업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단순원료로 저가에 수출되고 있으나 최근 식물성 스테롤이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억제하고 혈압억제효과가 알려지면서 새로운 소재로 개발이 되고 있다.
최근 스테롤은 동물세포에 있는 콜레스테롤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세포막의 안정화에 기여하며 식물에서 40여종 이상의 스테롤이 확인되었고, 그 중 베타-시토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캠페스테롤이 가장 많이 존재한다. 또한 생체 내에서 높아진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전립선 비대증 개선작용, 항염증작용 등의 생리기능이 유도된다.
이러한 식물성 스테롤을 이용한 식품을 살펴보면 베네콜은 1995년 마가린 제품으로 출시 후 유럽지역에서 요구르트, 스낵바, 치즈, 초콜렛, 주스, 우유 등에 기능성 식품의 첨가제로 사용하였고, 맥닐사(미국)는 1999년 베네콜이란 상표의 마가린을 소개하면서 미국 등 북미시장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포록터 앤드 갬블사는 스테롤 함유된 식용유(Cook Smart)를 판매하고 있다. 한편, 일본에서는 2000년부터 스테롤을 이용한 건강식품이 판매되기 시작했으며 닛신제유사와 가오사에서 식물 스테롤이 포함된 유지제품을 출시하였고, 탈취 증류분에서 분리된 스테롤이 리켄비타민사와 다마생화학사에서 발매되었다.
현재까지 알려진 스테롤 제조방법으로는 미국 특허 제 3,153,055호에 의하면 대두유 정제시 탈취 유출물로부터 지방산과 글리세라이드를 강산 조건 하에서 반응하여 저분자량의 모노하이드릭알코올에스테르로 변환한 후 에스테르화된 생성물을 극성 용매의 비극성 용매가 조합된 용매로 분별 추출하였다.
미국 특허 제 3,335,154호에 의하면 탈취 유출물을 비누화하고 산성화하여 탈취 유출물에 포함된 글리세라이드와 스테롤 에스테르를 지방산, 글리세롤, 스테롤 등의 알코올로 변환하였다. 생성된 지방산을 저분자량의 모노하이드릭알코올과 산 촉매하에서 반응하여 지방산에스테르로 변환하고 스테롤은 재결정하여 분리하였다.
국내특허(공개번호 제1992-4554호)에 의하면 대두유 탈취 증류분에 노말헥산과 50%(v/v) 메탄올의 혼합용매를 가한 다음, -10∼5℃로 냉각시켜 스테롤을 분리하였다.
이와 같이 대두유 탈취유 증류분으로부터 이용되는 스테롤을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탈취 증류분에 헥산(hexane), 아세톤(acetone) 등과 같은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스테롤의 용해도를 저하시킴으로서 스테롤을 결정으로 석출시키는 방법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의 예들과 같이 국내 식품제조방법으로는 사용할 수 없는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상용화되기 어려운 문제와 비누화반응을 거쳐 여러 가지 부재료들이 첨가되어 공정이 단순하지 못하고, 이렇게 제조하였을 때 순도나 회수율은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 등을 해결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두유 탈취 증류분으로부터 스테롤을 분리함에 있어 종래와는 달리 식품첨가물로서 사용이 가능한 주정과 빙초산을 이용하여 고순도로 천연 스테롤을 분리하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대두유 탈취 증류분으로부터 주정과 빙초산을 이용하여 스테롤을 분리함에 있어서, 탈취 증류분 100 중량부에 대해 주정 200∼300 중량부를 가한 다음 35∼45℃로 가온하여 탈취 증류분을 완전히 1차 용해하고, 빙초산 200∼300 중량부를 가하여 2차 용해한 후, 이를 다시 냉각시켜 순도 90% 이상의 고순도 스테롤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주정과 빙초산의 첨가량이 중량비로 45∼55 : 55∼45임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주정의 에탄올 함량은 90∼95%이며, 빙초산의 pH는 1.0∼3.0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대두유 탈취 증류분(스테롤 10%) 100g에 주정(에탄올 95% 함유) 40g을 넣고 40℃에서 30분간 가온 교반하여 탈취 증류분을 완전히 용해시킨 후, 빙초산 360g을 다시 첨가하여 30분간 가온 교반하였다. 다음 단계로 -2∼5℃에서 냉각하여 석출된 스테롤을 여과하여 분리하였다.
(실시예 2∼7)
실시예 1에서 주정 및 빙초산의 양을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스테롤을 여과 분리하였다. 이와 같은 시험을 통해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주정과 빙초산을 50 : 50 혼합한 경우 가장 높은 스테롤의 회수율과 순도를 얻을 수 있었다.
주정과 빙초산 첨가량 변화에 따른 추출된 스테롤 생성물의 순도 및 회수율 비교
실시예 첨가량(g) 스테롤(%) 비고
탈취증류분 주정 빙초산 순도 회수율
실시예 1 100 40 360 39.6 74.8
실시예 2 100 120 280 53.8 74.9
실시예 3 100 160 240 71.2 75.2
실시예 4 100 200 200 96.8 76.7
실시예 5 100 240 160 66.9 69.4
실시예 6 100 320 80 34.4 69.1
실시예 7 100 360 40 34.4 40.5
여과 후 석출된 스테롤의 순도를 확인한 결과 주정과 빙초산을 50 : 50으로 첨가한 경우 스테롤의 순도는 96.8%였고, 회수율은 77%로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8∼15)
혼합용매의 양을 결정하기 위하여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주정과 빙초산을 50 : 50으로 사용시 주정과 빙초산의 첨가량을 표 2와 같이 변경하여 -2∼5℃에서 냉각하여 석출된 스테롤을 여과하여 분리하였다.
주정과 빙초산 첨가량 변화에 따른 추출된 스테롤 생성물의 순도 및 회수율 비교
실시예 첨가량(g) 스테롤(%) 비고
탈취증류분 주정 빙초산 순도 회수율
실시예 8 100 100 100 40.0 76.2
실시예 9 100 150 150 75.5 75.5
실시예 10 100 200 200 93.5 74.5
실시예 11 100 250 250 96.8 76.7
실시예 12 100 300 300 92.5 75.0
실시예 13 100 400 400 87.6 68.5
실시예 14 100 500 500 85.5 69.2
실시예 15 100 600 600 80.4 70.2
여과 후 석출된 스테롤의 순도를 확인한 결과 4∼6배수의 주정과 빙초산을 사용하였을 때 순도가 가장 좋았으나 회수율은 주정과 빙초산의 비율과는 큰 차이는 없었다.
(비교예 1)
기존에 알려진 스테롤 제조방법과 본 발명의 실시예 제조방법을 적용하여 제조된 스테롤의 순도와 회수율을 비교해 보았다.
스테롤의 분리방법별 순도 및 회수율의 비교
구분 분리방법 스테롤(%)
순도 회수율
미국특허3,335,154 비누화 반응, 에스테르화 반응, 아세톤 첨가 후 분리 75 95
국내공개특허1992-12985 노말헥산과 메탄올 혼합용매를 2∼3배 첨가 후 분리 55 95
EP 0 990 662 A1 이소프로판올 70% 용매를 5배 첨가 96 41
EP 0 990 662 A1 메탄올 5배 첨가, 80℃ 가온 후 분리 82 87
EP 0 990 662 A1 메탄올 5배 첨가, 90℃ 가온 후 분리 97 31
실시예의 방법 주정과 빙초산 이용, 50℃ 가온 후 분리 97 77
상기 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탈취 증류분에 주정과 빙초산을 처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미 알려져 있는 방법으로는 메탄올과 헥산을 이용시 회수율 80% 이상, 순도 90% 이상의 스테롤을 제조할 수 있었으나 에탄올을 이용시 순도는 최대 60%, 회수율은 50%로 에탄올 이용시 상대적으로 낮은 회수율과 순도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빙초산이 첨가된 본 실시예에서는 회수율 70% 이상, 순도 90% 이상으로 기존의 에탄올 사용시 보다 매우 향상된 결과를 확보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효과는 대두유 탈취분으로부터 스테롤을 분리함에 있어 종래와는 달리 식품첨가물로서 사용이 가능한 주정과 빙초산을 이용하여 고순도로 천연 스테롤을 분리하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한 것이다.

Claims (3)

  1. 대두유 탈취 증류분으로부터 주정과 빙초산을 이용하여 스테롤을 분리함에 있어서, 탈취 증류분 100 중량부에 대해 주정 200∼300 중량부를 가한 다음 35∼45℃로 가온하여 탈취 증류분을 완전히 1차 용해하고, 빙초산 200∼300 중량부를 가하여 2차 용해한 후, 이를 다시 냉각시켜 순도 90% 이상의 고순도 스테롤을 제조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주정과 빙초산의 첨가량이 중량비로 45∼55 : 55∼45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스테롤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정의 에탄올 함량은 90∼95%이며, 빙초산의 pH는 1.0∼3.0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스테롤의 제조방법
KR10-2002-0022865A 2002-04-26 2002-04-26 고순도 스테롤의 제조방법 KR100434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2865A KR100434517B1 (ko) 2002-04-26 2002-04-26 고순도 스테롤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2865A KR100434517B1 (ko) 2002-04-26 2002-04-26 고순도 스테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9297A KR20020039297A (ko) 2002-05-25
KR100434517B1 true KR100434517B1 (ko) 2004-06-05

Family

ID=19720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2865A KR100434517B1 (ko) 2002-04-26 2002-04-26 고순도 스테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45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115B1 (ko) * 2004-04-19 2006-08-31 (주)타렉스 대두유 탈취 증류분으로부터 대두취가 없는 스테롤을분리하는 방법
KR101007274B1 (ko) * 2008-07-18 2011-01-13 백춘기 호차 및 이를 구비한 접이식 도어 구조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4031A (en) * 1976-07-02 1977-08-23 Ake Allan Johansson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sterols
KR830003905A (ko) * 1980-12-09 1983-06-30 모리시타 히로시 식물유 찌꺼기에서 스테롤 배당체를 제조하는 방법
US4664807A (en) * 1980-12-02 1987-05-12 Duphar International Research B.V. Method of isolating sterols in commercial quantities from sterol-containing material
US5078920A (en) * 1990-04-27 1992-01-07 Cpc International Inc. Process for separating mixed fatty acids from deodorizer distillate using urea
US5424457A (en) * 1994-05-27 1995-06-13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terol and tocopherol concentrates
KR20010101669A (ko) * 1999-01-26 2001-11-14 추후제출 토코페롤 함유 혼합물로부터 토코페롤을 분리하는 방법 및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4031A (en) * 1976-07-02 1977-08-23 Ake Allan Johansson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sterols
US4664807A (en) * 1980-12-02 1987-05-12 Duphar International Research B.V. Method of isolating sterols in commercial quantities from sterol-containing material
KR830003905A (ko) * 1980-12-09 1983-06-30 모리시타 히로시 식물유 찌꺼기에서 스테롤 배당체를 제조하는 방법
US5078920A (en) * 1990-04-27 1992-01-07 Cpc International Inc. Process for separating mixed fatty acids from deodorizer distillate using urea
US5424457A (en) * 1994-05-27 1995-06-13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terol and tocopherol concentrates
KR20010101669A (ko) * 1999-01-26 2001-11-14 추후제출 토코페롤 함유 혼합물로부터 토코페롤을 분리하는 방법 및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9297A (ko) 200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2341B2 (ja) 特殊なパーム油製品およびその他の特殊な植物油製品
EP2594625B1 (en) Method of controlling level of 3-chloro-1,2-propanediol or esters thereof in oils and fats
JP2648450B2 (ja) トコフエロール類およびステロール類の回収方法
JP4907816B2 (ja) 食用脂配合物
JP6134399B2 (ja) γ−オリザノール含有油脂の製造方法
RU2242505C2 (ru)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свободных жирных кислот из жиров и масел биологического происхождения или их паровых дистиллятов (варианты)
KR100741406B1 (ko) 포화지방산을 제거한 식용유 및 그 제조방법
US20080015367A1 (en) Process for isolating phytosterols and tocopherols from deodorizer distillate
JP4796695B2 (ja) 植物ステロールを回収する方法
US20060166951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terol isolation and purification
CN100374534C (zh) 从植物油精制的副产物回收植物甾醇的方法
CN101774997B (zh) 全连续提取天然维生素e和植物甾醇的方法
KR100434517B1 (ko) 고순도 스테롤의 제조방법
US6762312B1 (en) Process for purification of phytosterol from fatty acids and their esters
AU739166B2 (en) Process for obtaining oryzanol
Torres et al. Extraction and enzymatic modification of functional lipids from soybean oil deodorizer distillate
RU2617603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рафинированного ароматного подсолнечного масла
EP1610628B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sterol-rich composition
KR100680513B1 (ko) 식용 지방 혼합물
KR20020019507A (ko) 공역 리놀레인산 유도체 및 그의 합성방법
JP2005185111A (ja) 植物ステロール含有水中油型乳化物
KR100732387B1 (ko) 대두유 탈취 증류분으로부터 토코페롤을 분리하기 위한전처리 방법
JP2001131199A (ja) 植物ステロール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