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3894B1 -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캐리지 벨트 장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캐리지 벨트 장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894B1
KR100433894B1 KR10-2002-0054880A KR20020054880A KR100433894B1 KR 100433894 B1 KR100433894 B1 KR 100433894B1 KR 20020054880 A KR20020054880 A KR 20020054880A KR 100433894 B1 KR100433894 B1 KR 100433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rriage belt
spring
carriage
print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4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3204A (ko
Inventor
최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아이
Priority to KR10-2002-0054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894B1/ko
Publication of KR20040023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8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001Mechanisms for bodily moving print heads or carriages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8Conveyor belts or like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4Bodily-changeable print heads or carriages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캐리지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안내롤러(40)에 끼워져 좌우 이동하면서 카트리지(9)를 이송시키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캐리지 벨트(2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반복적인 작업에 의해 캐리지 벨트(20)가 느슨해지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하여 인쇄 작업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캐리지 벨트 장력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캐리지 벨트 장력 조절장치{tension adjustment apparatus for carriage belt of digital printing machine}
본 발명은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캐리지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내롤러에 끼워져 좌우 이동하면서 카트리지를 이송시키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캐리지 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반복적인 작업에 의해 캐리지 벨트가 느슨해지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하여 인쇄 작업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캐리지 벨트 장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프린팅 머신(Digital Printing Machine)은 디지털 제어부에서 원하는 출력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잉크를 분사하는 헤드(Head)에 자주(마젠타,M), 노랑(엘로우,Y), 청록(시안,C)이라는 삼원색을 공급하여 색을 프린팅용지(메시아)에 덧칠하여 여러 가지 색상을 창출하는 감산혼합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도안을 그려내도록 하는 최신의 프린팅장치이다.
상기한 감산혼합기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색상을 갖는 잉크가 개별적으로 수용되어 각각의 색상을 주사하는 헤드로 공급되어 각각의 헤드에서 주사되는 색상의 잉크가 덧칠해짐으로써 새로운 색이 시현된다.
도 1은 종래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요부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종래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일반적인 구조를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종래 디지털 프린팅 머신은 바닥면에 접촉된 양측 레그(1)에 의하여 지지되는 베이스(3) 상부에 레일형상의 이송대(5)를 설치하고, 상기 이송대(5)에는 헤드부(7)를 일측에 고정시킨 카트리지(9)가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카트리지(9)는 이송대(5)의 좌우 양끝단부에 구비된 안내롤러(10a,10b)에 끼워져 모터(11)의 구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캐리지 벨트(20)에 결합되어 좌우로 이송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3)의 상면으로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배면에 설치된 급지롤러(미도시)로부터 프린팅용지인 메디아(Media)가 공급되는 바, 상기 메디아의 상면에서 캐리지 벨트(20)의 이동에 의해 카트리지(9)가 좌우왕복 이송하게 되면, 이와 연동하여 헤드부(7)에서 소정 색상의 잉크가 주사되어 인쇄작업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급지롤러의 반대측에 감이롤러(12)에 인쇄된 메디아가 감겨지게 된다.
상기 메디아는 당업계에서 공지된 용어로서, 종이나 천 등에 상기 헤드부(7)에 의해 분사되는 잉크가 출력되기 위한 대상물을 가리킨다.
상기 베이스(3)의 일측 상부에는 커버(15)에 의하여 덮여지는 작동패널(16)이 형성되어져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신호를 입력하여 메디아를 원하는 상태로 프린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레그(1)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메인잉크통(18)이 잉크케이스(14)에 보관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카트리지(9)의 헤드부(7) 반대측에는 보조잉크통(17)이 설치되어져서 상기 메인잉크통(18)으로부터 잉크를 공급받아 헤드부(7)에 잉크를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카트리지(9)가 좌우왕복 이송하면서 헤드부(7)에서 소정 색상의 잉크가 주사되는 인쇄작업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상기 카트리지(9)를 이송시키는 캐리지 벨트(20)가 늘어나서 느슨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캐리지 벨트(20)가 느슨해질 경우 카트리지(9)의 정확한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인쇄작업의 질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내롤러에 끼워져 좌우 이동하면서 카트리지를 이송시키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캐리지 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반복적인 작업에 의해 캐리지 벨트가 느슨해지더라도 작업자가 이를 보정하여 캐리지 벨트의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인쇄 작업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캐리지 벨트 장력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요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캐리지 벨트 장력 조절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캐리지 벨트 장력 조절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지 벨트 장력 조절장치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이송대 20 : 캐리지 벨트
40 : 안내롤러 42 : 회전축
50 : 지지플레이트 52 : 관통홈
60 : 하우징 66 : 가이드홈
70 : 결합면 80 : 압입편
84 : 가이드면부 90 : 받침편
92 : 스프링지지면 102 : 조절나사
108 : 스프링끼움부재 110 : 스프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송대의 좌우 양측에 구비된안내롤러에 끼워져 모터의 구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캐리지 벨트와, 상기 캐리지 벨트에 결합되어 이송대를 따라 베이스 상에서 수평으로 이동하는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의 일측에 설치되어 급지롤러에서 공급되는 메디아에 잉크를 분사하는 헤드부로 구성된 디지털 프린팅 머신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벨트가 관통되는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대의 일측 끝단부에 고정 부착되는 판상의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관통홈이 형성된 부위에 고정 결합되고 지지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전면부에 대해 양측면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양측면부에는 안내롤러의 회전축이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지지플레이트 사이의 공간부내에서 끼워지고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홈에 끼워진 안내롤러의 회전축에 접촉되어 안내롤러를 지지하도록 일정 경사를 가지는 가이드면부가 저면부에 대해 양측으로 절곡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압입편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와 하우징의 하부측 지지플레이트 상에 일정 조절 간극을 가지고 결합될 수 있도록 제 1조절홈과 제 2조절홈이 각각 형성된 제 1조절면과 제 2조절면이 상기 하우징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스프링지지면에 대해 상부와 하부로 각각 대응되게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진 받침편과, 상기 받침편의 스프링지지면과 하우징의 내측에 끼워진 압입편의 저면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압입편에 탄성지지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캐리지 벨트 장력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종래의 기술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명칭을 부여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캐리지 벨트 장력 조절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캐리지 벨트 장력 조절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지 벨트 장력 조절장치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캐리지 벨트 장력 조절장치는 이송대(5)의 일측 끝단부에 고정 부착되는 지지플레이트(5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50)에 고정되고 안내롤러(40)의 회전축(42)이 끼워지는 가이드홈(66)이 형성되는 하우징(60)과, 상기 하우징(60)의 내측에 끼워져 상기 가이드홈(66)을 따라 안내롤러(40)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압입편(80)과, 상기 하우징(60)과 지지플레이트(50) 일측에 각각 고정되는 받침편(90)과, 상기 받침편(90)과 하우징(60) 내측의 압입편(80)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1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지지플레이트(50)는 하우징(60), 받침편(90) 등이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면이 이송대(5)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을 이루도록 볼트(58) 등에 의해 이송대(5)의 일측 끝단부에 고정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50)의 일측에는 이송대(5)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캐리지 벨트(20)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홈(52)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50)의 관통홈(52)이 형성된 부위에는 하우징(60)이 고정결합되는데, 상기 하우징(60)은 전면부(62)에 대해 양측면부(64)가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측면부(64)의 끝단은 다시 외측으로 절곡되어 고정브라켓트(68)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60)의 양측면부(64)에는 면 일부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수평하게 절개된 가이드홈(66)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고정브라켓트(68)에는 제 2고정공(69)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관통홈(52) 부근에는 복수개의 제 1고정공(54)이 형성되어 볼트 등의 고정부재(75)를 통해 하우징(60)이 지지플레이트(50) 상에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60)의 전면부에는 후에 설명할 받침편(9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공(63)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하우징(60)의 전면부(62)와 지지플레이트(50) 사이에는 일정 간극이 유지되며, 양측면부(64)에 의해 그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하우징(60)의 공간부 내측으로는 압입편(80)이 끼움 삽입되는데, 상기 압입편(80)은 저면부(82)에 대해 일정 경사를 가지는 한쌍의 가이드면부(84)가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압입편(80)은 하우징(60)의 내측 공간부에서 자유로운 상하 이동이 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가이드면부(84)의 경사진 부분이 상기 하우징(60)의 가이드홈(66) 측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상기 하우징(60)의 내측 공간부에 압입편(80)이 끼워진 상태에서,하우징(60)의 양측면부(64)에 형성된 가이드홈(66)에는 안내롤러(40)의 회전축(42)이 끼워지게 되는데, 상기 안내롤러(40)의 둘레를 따라서는 지지플레이트(50)의 관통홈(52)을 통과한 캐리지 벨트(20)가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롤러(40)의 회전축(42)은 그 단부의 외경이 줄어들면서 끼움부(44)가 형성되고 이 끼움부(44)가 상기 하우징(60)의 가이드홈(66)에 끼워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캐리지 벨트(20)의 타측 단부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안내롤러에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60)의 전면부(62)와 하우징(60)의 하부측 지지플레이트 (50)상에 동시에 결합되는 받침편(90)이 구비되는데, 상기 받침편(90)은 하우징(60)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스프링지지면(92)에 대해 제 1조절면(94)과 제 2조절면(97)이 서로 대응되게 상부와 하부로 각각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조절면(94)은 하우징(60)의 전면부(62) 상에 접촉되어 결합되는데, 하우징(60)의 전면부(62)에 형성된 체결공(63)과 상하 일정 조절 간극을 가지며 체결부재(12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 일정 길이를 갖는 제 1조절홈(96)이 상기 제 1조절면(94)상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조절면(97)은 지지플레이트(50) 상에 접촉되어 결합되는데, 마찬가지로 지지플레이트(50)에 형성된 고정공(56)과 상하 일정 조절 간극을 가지면서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 일정 길이를 갖는 제 2조절홈(99)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받침편(90)의 스프링지지면(92)은 하우징(60)의 하부측에위치하게 되며, 상기 스프링지지면(92)과 하우징(60) 내부에 구비된 압입편(80)의 저면부(82) 사이에는 스프링(110)이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110)은 압입편(80)에 탄성지지력을 제공하여 압입편(80)의 가이드면부(84)가 하우징(60)의 가이드홈(66)에 끼워진 안내롤러(40)의 회전축(42)에 접촉되어 상부로 힘을 가하면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압입편(80)의 저면부(82) 하부에는 스프링(110)이 안착되는 안착홈(86)이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프링(110)의 위치를 잡아주어 스프링(110)이 이탈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지지면(92)을 관통하여 스프링끼움부재(108)가 상부로 수직되게 결합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프링끼움부재(108)가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지지면(92)에는 끼움공(9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60)의 전면부(62) 하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결합면(7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면(70)과 상기 받침편(90)의 스프링지지면(92)을 관통하여 조절나사(102)가 끼움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상기 조절나사(102)가 끼워지는 제 1결합공(100) 및 제 2결합공(72)이 스프링지지면(92)과 결합면(70)의 일측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캐리지 벨트(20)가 끼워지는 일측 안내롤러(40)가 지지플레이트(50)에 고정된 하우징(60)의 가이드홈(66)에 끼워진 상태로 안착되고, 상기 안내롤러(40)의 회전축(42)은 스프링(110)의 탄성지지력을받는 압입편(80)에 접촉되어 상부로 힘을 받으며 지지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롤러(40)는 캐리지 벨트(20)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그 회전축(42)은 하우징(60)의 가이드홈(66) 내측으로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압입편(80)은 스프링(110)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상부로 힘을 받아 가이드면부(84)의 경사진 부분이 상기 안내롤러(40)의 회전축(42)에 접촉되어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캐리지 벨트(20)가 반복적인 작업에 의해 느슨해지게 되면 작업자는 받침편(90)의 제 1조절면(94)과 제 2조절면(97)을 각각 관통하여 고정된 체결부재(120)를 풀어준 다음 받침편(90)의 스프링지지면(92)과 하우징(60)의 결합면(70) 사이를 관통하여 체결되어 있는 조절나사(102)를 조여줌으로써 캐지리 벨트(20)가 외측으로 당겨져 다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조절나사(102)를 조여주게 되면 받침편(90)의 스프링지지면(92)과 하우징(60)의 결합면(7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스프링(110)이 압입편(80)에 가하는 탄성지지력이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압입편(80)은 상부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압입편(80)이 하우징(60)의 내측 공간부에서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가이드면부(84)의 경사진 부분에 의해 하우징(60)의 회전축(42)이 가이드홈(66)의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안내롤러(40)는 캐리지 벨트(20)를 잡아 당겨 팽팽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캐리지 벨트(20)의 장력을 조절한 다음, 받침편(90)의 제 1조절면(94)과 제 2조절면(97)을 체결부재(120)를 통해 하우징(60)의 전면부(62)와 지지플레이트(50) 상에 각각 고정하면 되는데, 상기 제 1조절면(94)과 제 2조절면(97)에는 상하로 일정길이를 갖는 제 1조절홈(96) 및 제 2조절홈(99)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조절나사(102)를 조여주거나 풀어줌에 따라 상기 받침편(90)의 위치가 상하로 일정 간극 변하더라도 하우징(60)과 지지플레이트(50)의 일정 위치에 원활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상기 조절나사(102)를 조여주게 되면 압입편(80)은 상부로 이동하면서 안내롤러(40)를 하우징(60)의 외측으로 이동시켜 캐리지 벨트(20)를 잡아당기게 되고, 반대로 조절나사(102)를 풀어주게 되면 압입편(80)이 하부로 이동하면서 안내롤러(40)는 하우징(60)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캐리지 벨트(20)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트리지를 이송시키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캐리지 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반복적인 작업에 의해 캐리지 벨트가 느슨해지더라도 작업자가 이를 보정하여 캐리지 벨트의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인쇄 작업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이송대의 좌우 양측에 구비된 안내롤러에 끼워져 모터의 구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캐리지 벨트와, 상기 캐리지 벨트에 결합되어 이송대를 따라 베이스 상에서 수평으로 이동하는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의 일측에 설치되어 급지롤러에서 공급되는 메디아에 잉크를 분사하는 헤드부로 구성된 디지털 프린팅 머신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벨트가 관통되는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대의 일측 끝단부에 고정 부착되는 판상의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관통홈이 형성된 부위에 고정 결합되고, 지지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전면부에 대해 양측면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양측면부에는 안내롤러의 회전축이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지지플레이트 사이의 공간부내에서 끼워지고, 하우징의 가이드홈에 끼워진 안내롤러의 회전축에 접촉되어 안내롤러를 지지하도록 일정 경사를 가지는 가이드면부가 저면부에 대해 양측으로 절곡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압입편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와 하우징의 하부측 지지플레이트 상에 일정 조절 간극을 가지고 결합될 수 있도록 제 1조절홈과 제 2조절홈이 각각 형성된 제 1조절면과 제 2조절면이 상기 하우징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스프링지지면에 대해 상부와 하부로 각각 대응되게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진 받침편과;
    상기 받침편의 스프링지지면과 하우징의 내측에 끼워진 압입편의 저면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압입편에 탄성지지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캐리지 벨트 장력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 하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결합면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면과 상기 받침편의 스프링지지면을 관통하여 조절나사가 끼움 구비되어, 상기 조절나사를 풀어주거나 조여줌에 따라 상기 결합면과 스프링지지면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캐리지 벨트 장력 조절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편의 스프링지지면 일측을 관통하여 상부로 수직되게 스프링끼움부재가 결합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이 끼워질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캐리지 벨트 장력 조절장치.
KR10-2002-0054880A 2002-09-11 2002-09-11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캐리지 벨트 장력 조절장치 KR100433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880A KR100433894B1 (ko) 2002-09-11 2002-09-11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캐리지 벨트 장력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880A KR100433894B1 (ko) 2002-09-11 2002-09-11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캐리지 벨트 장력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204A KR20040023204A (ko) 2004-03-18
KR100433894B1 true KR100433894B1 (ko) 2004-06-04

Family

ID=37326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4880A KR100433894B1 (ko) 2002-09-11 2002-09-11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캐리지 벨트 장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38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598A (ko) * 2014-07-28 2016-02-05 주식회사바텍 치과용 영상 진단장비의 선회암 회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9268A (ja) * 1984-05-14 1985-1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印字装置
JPS61255882A (ja) * 1985-05-09 1986-11-13 Tokyo Electric Co Ltd シリアルプリンタのキヤリア駆動装置
JPH0286483A (ja) * 1988-09-22 1990-03-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印字装置
JPH071786A (ja) * 1993-06-18 1995-01-06 Tec Corp プリン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9268A (ja) * 1984-05-14 1985-1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印字装置
JPS61255882A (ja) * 1985-05-09 1986-11-13 Tokyo Electric Co Ltd シリアルプリンタのキヤリア駆動装置
JPH0286483A (ja) * 1988-09-22 1990-03-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印字装置
JPH071786A (ja) * 1993-06-18 1995-01-06 Tec Corp プリン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598A (ko) * 2014-07-28 2016-02-05 주식회사바텍 치과용 영상 진단장비의 선회암 회전장치
KR101631667B1 (ko) * 2014-07-28 2016-06-17 주식회사바텍 치과용 영상 진단장비의 선회암 회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204A (ko) 200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9714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carriage with adjustable recording head supporting points
US8752835B2 (en) Pillow block for feed roller, and feed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pillow block
KR20040026093A (ko) 잉크젯 프린터의 프린트 헤드 위치조절 장치
JP2007276288A (ja) ヘッド取付位置調整機構及び液体噴射装置と記録装置
US20030038420A1 (en) Printing system with vacuum table
KR100433894B1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캐리지 벨트 장력 조절장치
KR100395539B1 (ko)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 위치조절 장치
JP2007276289A (ja) キャリッジ取付位置調整機構及び液体噴射装置と記録装置
US20020159815A1 (en) Printing system for accommodating various substrate thicknesses
JP2005349776A (ja) 記録装置
US6588954B2 (en) Ink jet printer equipped for avoiding undesired belt movement
KR102035808B1 (ko) 롤 및 평판 겸용 하이브리드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
JP2005349779A (ja) 記録装置
KR20050049917A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메디아 수평유지장치
JP2002205439A (ja) キャリッジ及びそれを備えた記録装置
KR200162393Y1 (ko) 프린터의 페이퍼컬(paper-curl)방지를 위한 페이퍼가이드장치
JP2000211115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KR100395526B1 (ko) 잉크젯 프린터의 캐리지 얼라인먼트 조정장치
JP7382224B2 (ja) 液体噴射ヘッドおよび、液体噴射記録装置
JP2001334652A (ja) キャリッジにおける記録ヘッド取り付け装置
EP1164027A2 (en) Ink jet printer with device for avoiding undesirable belt movement
JP3069488U (ja) プリンタ
JPH09220841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システム
KR100421996B1 (ko) 잉크젯 프린터
KR200162392Y1 (ko) 지분방지용 디플렉터가이드를 가진 잉크젯프린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