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2402B1 - 연료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2402B1
KR100432402B1 KR10-2000-0075996A KR20000075996A KR100432402B1 KR 100432402 B1 KR100432402 B1 KR 100432402B1 KR 20000075996 A KR20000075996 A KR 20000075996A KR 100432402 B1 KR100432402 B1 KR 100432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anister
set plate
cas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5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2390A (ko
Inventor
나가이다카시
하루타가즈미
와다사토미
도키도모나리
Original Assignee
아이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62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2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24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F02M37/10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 F02M37/106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the pump being installed in a sub-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7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rigidly mounted in or on tanks or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6Filters with built-in pumps filters provided with a pump mounted in or on the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F02M37/10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 F02M37/103Mounting pumps on 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50Means for dissipating electrostatic char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Abstract

연료 펌프(50)는 세트 플레이트(30)상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캐니스터(80)는 세트 플레이트(30)상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 구멍(12)은 연료 탱크(10)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세트 플레이트(30)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연료 펌프(50) 및 캐니스터(80)는 세트 플레이트(30)를 장착 구멍(12)내에 장착함으로써 연료 탱크(10)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연료 차단 밸브(110)는 세트 플레이트(30)상에 장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 공급 시스템{FUEL SUPPLY SYSTEMS}
본 발명은 연료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자동차의 연료 탱크에 배치되는 연료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료 탱크로부터의 에미션(emissions)을 감소시키기 위한 공지된 기술에 있어서, 캐니스터(canister)는 활성탄(activated carbon)으로 충전되어 있으며, 연료 탱크에 연결된다. 활성탄은 엔진 정지시에 연료 탱크에 배치된 연료로부터의 증발 연료 에미션을 흡착한다. 반면에, 엔진 작동중에는 활성탄에 의해 흡착된 연료가 흡입 부압하에서 흡인되고, 이러한 연료는 자동차 엔진이 작동하는 동안에 연소된다. 따라서, 활성탄내에 배치된 연료는 제거되고, 활성탄은 엔진 정지시에 다시 증발 연료 에미션을 흡착할 수 있다.
공지된 기술에 있어서, 캐니스터는 연료 탱크의 후방에 자동차 본체내에 또는 엔진 격실내에 전형적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캐니스터가 이들 위치에 배치되면, 캐니스터는 충돌시 손상될 수 있다.
더욱이, 연료 탱크는 충돌 동안에 연료 탱크를 보호하기 위해 자동차에 대하여 인가된 외력을 견디는 위치에 보통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캐니스터가 연료 탱크 근처에 배치되면, 충돌의 경우에 캐니스터에 대한 손상은 방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1998-318051 호는 연료 탱크내에 리세스가 형성되며, 캐니스터가 그 리세스내에 배치되는 연료 공급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연료 탱크내에 리세스를 형성시킴으로써, 연료 탱크의 용량은 감소된다.
당연히, 캐니스터가 연료 탱크내에 리세스를 형성하지 않고 연료 탱크의 상부상에 배치되면, 연료 탱크의 용량은 감소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승용차용 연료 탱크는 후방 시트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연료 탱크 위의 공간은제한되어 있으며, 설계자가 연료 탱크에 형성된 리세스내에 캐니스터를 배치하는 것 이상의 다른 선택이 없을 수 있다.
더욱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1997-195861 호는 장착 구멍이 연료 탱크내에 형성되며, 캐니스터가 연료 탱크내에 부분적으로 장착되어 그 장착 구멍을 밀폐하거나 충전하는 연료 공급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연료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연료 탱크의 용량은 리세스가 연료 탱크내에 형성된 상술한 시스템 만큼 감소되지 않는다. 그러나, 연료 탱크와 캐니스터 사이의 틈새를 밀봉 가스켓 및 패킹과 같은 밀봉 장치로 밀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연료 탱크상에 캐니스터를 장착하는 작업은 노동 집약적이다. 더욱이, 연료 에미션은 밀봉 장치를 투과함으로써 연료 탱크로부터 증발하여 누출된다. 밀봉 장치가 보통 고무로 제조되기 때문에, 연료는 고무 밀봉 장치를 투과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자동차의 전체 연료 에미션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개량된 연료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캐니스터는 연료 탱크 근처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연료 공급 시스템을 투과하는 증발 연료 에미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캐니스터는 세트 플레이트(set plate)에 접속될 수 있고, 또한 연료 펌프도 세트 플레이트에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캐니스터를 연료 탱크상에 장착하기 위해, 장착 구멍을 연료 탱크내에 형성할 필요는 없다. 그에 따라, 연료 탱크 와 장착 구멍 사이의 틈새를 밀봉 장치로 밀봉할 필요가 없다. 연료 탱크내의 구멍의 개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연료 탱크로부터의 연료 에미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캐니스터, 연료 차단 밸브 및 연료 펌프는 세트 플레이트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장착 구멍은 연료 차단 밸브를 장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는 연료 공급 시스템으로부터의 증발 연료 에미션을 감소시키고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캐니스터 및 연료 차단 밸브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캐니스터 및/또는 연료 차단 밸브는 세트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구성요소의 개수가 감소되어, 연료 공급 시스템이 보다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비용도 저감될 수 있다.
더욱이, 접속 부재는 캐니스터 및 연료 차단 밸브를 접속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접속 부재는 세트 플레이트상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연료 공급 시스템을 투과할 수 있는 증발 연료 에미션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 및 특허청구범위와 함께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봄으로써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파단 우측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캐니스터의 단면도,
도 6은 캐니스터의 부분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8은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파단 우측면도,
도 10은 도 8의 Ⅹ-Ⅹ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1은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캐니스터의 단면도,
도 12는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캐니스터의 단면도,
도 13은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의 캐니스터의 단면도,
도 14는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의 캐니스터의 단면도,
도 15는 제 6 실시예에 있어서의 캐니스터의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료 탱크 20 : 연료 공급 시스템
30 : 세트 플레이트 40 : 저장 컵
50 : 연료 펌프 52 : 흡입 필터
55 : 장착 스테이 60 : 연료 필터
61 : 필터 케이스 62 : 필터 부재
63 : 필터 커버 66 : 배출 포트
70 : 압력 조절기 80: 캐니스터
81 : 캐니스터 케이스 82 : 칸막이
83a, 83b : 흡착 챔버 84a, 84b : 필터 플레이트
85 : 활성탄 86 : 캐니스터 커버
87 : 퍼지 포트 88 : 공기 포트
102 : 연통 튜브 108 : 접속 호스
110 : 연료 차단 밸브 111 : 밸브 케이스
116 : 평형 스프링 118 : 릴리프 밸브
일반적으로, 연료 공급 시스템은 연료 펌프, 연료 필터 및 캐니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 펌프는 연료 탱크로부터 내연 기관까지 연료를 공급할 수 있으며, 연료 펌프는 세트 플레이트에 접속되거나 그 위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 구멍은 연료 탱크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세트 플레이트는 장착 구멍상에 장착될 수 있다. 연료 펌프는 세트 플레이트를 연료 탱크상에 장착함으로써 연료 탱크내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어서 장착 구멍을 밀폐하거나 밀봉할 수 있다.
캐니스터가 연료 탱크에 연결되면, 연료 시스템으로부터 외부 환경까지 투과하는 연료 탱크로부터의 증발 연료 에미션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캐니스터는 세트 플레이터에 접속될 수 있으며, 캐니스터 장착 구멍을 연료 탱크내에 제공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캐니스터 장착 구멍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연료 탱크와 캐니스터 장착 구멍 사이의 틈새를 밀봉 부재로 밀봉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증발 연료 에미션은 연료 탱크와 캐니스터 사이에 배치된 밀봉 부재를 포함하는 공지된 연료 시스템에 비하여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대표적인 실시예는 연료 탱크에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는 캐니스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캐니스터의 적어도 일부는 세트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구성요소의 개수를 감소시키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대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연료 차단 밸브는 연료 탱크에 접속될 수 있다. 연료 차단 밸브는 자동차가 정상 상태에 따라 작동하는 동안에 증발 연료 에미션을 연료 탱크로부터 캐니스터까지 연통시킬 수 있다. 그러나, 자동차가 기울어지거나 전복시에, 연료 차단 밸브는 연료 탱크내에 배치된 액체 연료가 캐니스터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캐니스터 및 연료 차단 밸브는 세트 플레이트에 접속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연료 차단 밸브 장착 구멍 및 캐니스터 장착 구멍 모두를 연료 탱크내에 제공할 필요성을 제거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러한 특징은 연료 공급 시스템으로부터의 증발 연료 에미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대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접속 통로는 캐니스터를 연료 차단 밸브와 연결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캐니스터 및 연료 차단 밸브가 세트 플레이트에 접속되면, 접속 통로의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당연히, 접속 통로의 길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접속 통로를 투과하는 증발 연료 에미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세트 플레이트와, 이 세트 플레이트상에 장착되는 다른 구성요소는 접속 통로를 규정할 수 있다. 접속 통로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수지 접속 통로는 고무 접속 통로에 비하여 증발 연료 에미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사실상, 접속 통로로부터의 증발 연료 에미션은 실질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또는 하기에 개시된 각각의 부가적인 특징 및 구성은 개선된 연료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다른 특징 및 구성과 분리되거나 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많은 이들 부가적인 특징과 구성을 결합하여 이용하는 본 발명의 상세한 대표적인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실시하기 위해 단지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의도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것은 아니다. 단지 청구범위만이 본 청구된 발명의 범위를 규정한다. 그러므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개시된 특징 및 구성의 조합은 가장 광범위한 개념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요구되는 것이 아니며, 대신에 본 발명의 일부 대표적인 실시예를 단지 특별히 설명하는 것에 그 요지가 있다.
제 1 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예의 연료 공급 시스템(20)의 정면도이며, 도 2는 그것의 평면도이며, 도 3은 그것의 부분 파단 우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연료 공급 시스템(20)에 있어서, 저장 컵(40)(reserve cup), 연료 펌프(50), 연료 필터(60), 압력 조절기(70) 및 캐니스터(80)는 세트 플레이트(30)에 접속되어 있다. 장착 구멍(12)이 연료 탱크(10)에 형성되어 있다. 세트 플레이트(30)는 연료 탱크(10)의 장착 구멍(12)에 끼워맞춤되어 장착 구멍(12)을 밀폐하거나 밀봉한다.
이제, 연료 펌프(50)를 설명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펌프(50)는 대체로 원통형이며, 바닥부에 연료 흡입 포트(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흡입 필터(52)는 연료 흡입 포트에 접속된다. 전기 커넥터(53)(도 1 참조) 및 연료 배출 포트(도시되지 않음)는 연료 펌프(50)의 상단부상에 제공된다. 연료 펌프(50)는 전류가 전기 커넥터(53)를 지나 공급될 때에 활성화된다. 연료 펌프(50)는 연료를 하기에 설명될 저장 컵(40)으로부터 흡입 필터(52)를 통하여 흡입한다. 그 후, 연료 펌프(50)는 연료의 압력을 증가시키고, 연료를 연료 배출 포트를 통하여 배출한다. 흡입 필터를 설계하기 위한 부가적인 기술은 미국 특허 제 5,120,434 호 및 미국 특허 제 5,607,578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특허는 본 명세서에 전체적으로 각각 포함되어 있다.
이제, 연료 필터(60)를 설명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필터(60)는 바닥부를 구비하는 대체로 원통형 형상을 갖는 필터 케이스(61)와, 이 필터 케이스(61)내에 내장되고 대체로 원통형 형상을 갖는 필터 부재(62)와, 필터 케이스(61)의 개방 상부를 폐쇄하는 필터 커버(63)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필터 케이스(61) 및 필터 커버(63)는 수지로 제조된다.
필터 커버(63)는 필터 케이스(61)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필터 부재(62)의 하단부 표면은 필터 케이스(61)의 바닥부 표면과 접촉하며, 밀착 밀봉을 형성한다. 더욱이, 필터 부재(62)의 상단부 표면은 필터 커버(63)의 하부측에 접촉하며, 밀착 밀봉을 형성한다. 따라서, 필터 케이스(61)의 내부는 필터 부재(62)의 내주연부 측면상의 공간 및 필터 부재(62)의 외주연부 측면상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다.
필터 커버(63)는 개방 하단부를 갖는 흡입 포트(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흡입 포트는 필터 부재(62)의 외주연부 측면상의 공간과 연통한다. 더욱이, 필터 커버(63)는 개방 상단부를 갖는 배출 포트(66)를 구비한다. 배출 포트(66)는 필터 케이스(61)내의 필터 부재(62)의 내주연부 측면상의 공간과 연통한다.
압력 조절기 장착부(67)는 필터 커버(63)내에 형성된다. 압력 조절기 장착부(67)는 필터 케이스(61)내의 필터 부재(62)의 내주연부 측면상의 공간과 연통한다.
중공 부분은 필터 케이스(61)의 내주연부 측면내에 형성되며, 연료 펌프(50)는 개방 바닥부를 통하여 중공 부분내로 삽입된다. 장착 스테이(stay)(55)는 필터 케이스(61)의 바닥부에 부착되어, 연료 펌프(50)가 이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지지된다. 쿠션 고무(57)는 필터 케이스(61)와 장착 스테이(55) 사이에 제공되며, 그에 따라 연료 펌프(50)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연료 펌프(50)의 연료 배출 포트는 필터 커버(63)의 흡입 포트에 접속되어, 연료 펌프(50)가 필터 케이스(61)의 중공 부분내로 삽입될 때에 밀착 밀봉을 형성한다. 연료는 연료 펌프(50)의 연료 배출 포트를 통하여 유출되며, 필터 커버(63)의 흡입 포트내로 인도된다. 그 후, 연료는 필터 부재(62)를 통하여 필터링되며, 필터 커버(63)의 배출 포트(66)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제, 압력 조절기(70)를 설명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조절기(70)는 압력 조절기 장착부(67)상에 장착되어 밀착 밀봉을 형성하고 이동을 방지한다. 압력 조절기(70)는 연료 필터(60)로부터 배출되는 연료의 압력, 즉 내연 기관에 공급되는 연료의 압력을 소정의 압력으로 조절한다.
이제, 저장 컵(40)을 설명할 것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컵(40)은 대체로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다수의 돌출부(41)는 저장 컵(40)의 바닥부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 컵(40)은 수지로 제조된다.
저장 컵(40)은 필터 케이스(61)와, 그 필터 케이스(61)내에 장착된 연료 필터(60)에 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흡입 필터(52)의 하부 표면은 저장 컵(40)의 바닥부 표면에 실질적으로 접촉한다. 2개의 원통형 안내부(42)는 저장 컵(40)의 외측 표면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저장 컵(40)은 연료 탱크(10)의 바닥부 표면(도시되지 않음)에 접촉하는 돌출부(41)를 구비한 연료 탱크(10)내에 배치된다. 제트 펌프(도시되지 않음)는 저장 컵(40)내에 배치된다. 제트 펌프는 압력 조절기(70)로부터 분출되는 복귀 연료의 압력을 이용하는 펌핑 작용에 의해 연료 탱크(10)로부터 저장 컵(40)내로 연료를 공급한다.
이제, 세트 플레이트(30)를 설명할 것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트 플레이트(30)는 대체로 디스크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그 세트 플레이트(30)의 하부측으로부터 환형의 안내 끼워맞춤부(31)가 연장된다. 더욱이, 세트 플레이트(30)는 이 세트 플레이트(30)를 통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튜브 접속부(도시되지 않음)와, 세트 플레이트(30)를 통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단말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33)를 구비한다. 안내 끼워맞춤부(31)는 연료 탱크(10)의 장착 구멍(12)내로 끼워맞춤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세트 플레이트(30)는 수지로 제조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안내 기둥(34)이 세트 플레이트(30)의 안내 끼워맞춤부(31)로부터 연장된다. 안내 기둥(34)은 저장 컵(40)의 원통형 안내부(42)내로 삽입되어 원통형 안내부(42)를 안내 기둥(34)에 대하여 미끄럼 운동하도록 한다. 코일 스프링(100)은 각 안내 기둥(34) 주위로 끼워맞춤된다. 이 코일 스프링(100)은 안내 끼워맞춤부(31)와 원통형 안내부(42) 사이에 배치되며, 저장 컵(40)을 세트 플레이트(30)에 대하여 하향으로 가압하도록 작용한다.
연료 펌프(50)의 전기 커넥터(53)(도 1 참조)는 세트 플레이트(30)의 하부측상의 세트 플레이트(30)의 전기 커넥터(3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더욱이, 전원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는 세트 플레이트(30)의 상부 측면상의 세트 플레이트(30)의 전기 커넥터(3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 튜브(102)의 상단부는 세트 플레이트(30)의 하부측상의 세트 플레이트(30)의 튜브 접속부(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다. 연통 튜브(102)의 하단부는 연료 필터(60)의 배출 포트(66)에 접속된다. 더욱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튜브(103)의 일단부는 세트 플레이트(30)의 튜브 접속부에 접속된다. 주 튜브(103)의 타단부는 가압 연료를 내연 기관으로 이송하는 이송 파이프(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다.
이제, 캐니스터(80)를 설명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니스터(80)는 세트 플레이트(30)에 부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니스터(80)는 대체로 원통형 케이스(캐니스터 케이스)(81)내에 배치되며, 이 캐니스터 케이스(81)는 세트 플레이트(30)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연료 펌프(50) 및 캐니스터(80)는 세트 플레이트(30)상에 장착되며, 이 세트 플레이트(30)는 연료 탱크(10)에 내장된다.
캐니스터 케이스(81)의 내부 공간은 상이한 용량을 갖는 2개의 흡착챔버(83a, 83b)로 칸막이(82)에 의해 분할된다. 보다 큰 용량을 갖는 흡착 챔버(83a) 및 보다 작은 용량을 갖는 흡착 챔버(83b)를 본 명세서의 하기에서는 제 1 흡착 챔버(83a) 및 제 2 흡착 챔버(83b)로 각각 칭한다.
대체로 디스크와 유사한 형상의 안착부(82a)는 칸막이(82)의 하단부의 대체로 중앙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된다. 안착부(82a)는 캐니스터 케이스(81)(도 6 참조)의 바닥판(81a)에 형성된 위치설정 구멍(81b)내로 끼워맞춤되며, 그 바닥판(81a)에 용접된다[도 5에서 용접부(Y1)]. 연통 통로(82b)는 안착부(82a)내에 형성되며, 제 1 흡착 챔버(83a)를 제 2 흡착 챔버(83b)와 연통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과성 필터 플레이트(84a, 84b)는 제 1 및 제 2 흡착 챔버(83a, 83b)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흡착 챔버(83a, 83b)는 흡착 재료로 충전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활성탄(85)은 흡착 재료로서 사용된다. 캐니스터 케이스(81)의 개방 상부는 캐니스터 커버(86)를 캐니스터 케이스(81)에 용접함[도 5에서 용접부(Y2)]으로써 밀폐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캐니스터 커버(86)는 수지로 제조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지 포트(87)(purge port)는 캐니스터 커버(86)내에 형성되며, 필터 플레이트(84a)를 지나 제 1 흡착 챔버(83a)와 연통한다. 퍼지 포트(87)는 내연 기관에 연결된 흡입 파이프(도시되지 않음)와 연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포트(88)는 캐니스터 커버(86)내에 형성되며, 필터 플레이트(84a)를 지나 제 2 흡착 챔버(83b)와 연통한다. 공기 포트(88)는 자동차 본체내에 배치된 래버린스(labyrinth) 구조체(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함으로써 외부 환경에 개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 챔버(86a)는 캐니스터 커버(86)내에 형성되며, 제 1 흡착 챔버(83a)상에 위치된다. 커버재(86A)는 연통 챔버(86a)의 상부를 덮으며, 캐니스터 커버(86)에 용접된다[도 5에서 용접부(Y3)]. 더욱이, 캐니스터 커버(86)는 연통 챔버(86a)와 연통하는 증발 포트(89)와, 제 1 흡착 챔버(83a)를 연통 챔버(86a)와 연통하게 하는 정압 포트(90)와, 제 1 흡착 챔버(83a)를 필터 플레이트(84a)를 지나 연통 챔버(86a)와 연통하게 하는 부압 포트(93)를 구비한다. 도 4는 도 2의 Ⅳ-Ⅳ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지 밸브(non-return valve)를 포함하는 정압 밸브(91)가 정압 포트(90)내에 배치된다. 정압 밸브(91)는 보통 폐쇄되어 있으며, 연통 챔버(86a)내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에 개방된다. 더욱이, 역지 밸브를 포함하는 부압 밸브(94)가 부압 포트(93)내에 배치된다. 부압 밸브(94)는 보통 폐쇄되어 있으며, 연통 챔버(86a)내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 미만인 경우에 개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게이지(106)는 연료 필터(60)의 필터 커버(63)의 상부상에 배치된다. 연료 게이지(106)는 센서를 사용하여 플로트(float)(도시되지 않음)의 수직 운동을 감지하며, 그에 따라 연료 탱크(10)내의 연료의 양을 감지한다. 객실내에 제공된 연료 표시기(도시되지 않음)는 연료 게이지(106)의 출력에 기초하여 연료의 양을 표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된 연료 공급 시스템(20)은 연료 탱크(10)상에 세트 플레이트(30)를 장착함으로써 연료 탱크(10)내에 배치되어 연료 탱크(10)의 장착 구멍(12)을 밀폐하거나 밀봉한다. 이때에, 세트 플레이트(30)의 안내 끼워맞춤부(31)는 연료 탱크(10)의 장착 구멍(12)내로 끼워맞춤된다. 더욱이, 세트 플레이트(30)의 외주연부는 밀봉 가스켓(16)을 지나 연료 탱크(10)의 장착 구멍(12)의 개구 에지부내에 장착되며, 볼트(17)로 고정된다. 따라서, 세트 플레이트(30)는 연료 탱크(10)에 고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7)를 수용하기 위한 볼트 삽입 구멍(30a)은 세트 플레이트(30)의 외주연부에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차단 밸브(110)는 연료 탱크(10)내에 형성된 연료 차단 밸브 장착 구멍(14)내에 장착된다. 연료 차단 밸브(110)의 장착부(111a)는 밀봉 가스켓(18)을 지나 연료 탱크(10)의 장착 구멍(14)의 개구 에지부내에 장착되어 장착 구멍(14)을 밀봉하며, 볼트(도시되지 않음)로 고정된다. 따라서, 연료 차단 밸브(110)는 연료 탱크(10)에 고정된다.
이제, 연료 차단 밸브(110)를 설명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차단 밸브(110)는 케이스(밸브 케이스)(111) 및 커버 플레이트(117)를 구비한다. 밸브 케이스(111)는 바닥부에서 개방된 대체로 원통형 형상이며, 장착부(111a)를 포함한다. 접속 포트(112)는 밸브 케이스(111)와 일체로 형성되며, 밸브 케이스(111)의 상단부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접속 호스(108)의 일단부는 접속 포트(112)에 접속된다. 접속 호스(108)의 타단부는 캐니스터(80)의 증발 포트(89)에 접속된다. 접속 포트(112), 접속 호스(108) 및 캐니스터(80)의 증발 포트(89)는 연료 차단 밸브(110) 및 캐니스터(80)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통로(증발 라인)를 형성한다.
밸브 케이스(111)의 내부 공간은 밸브 입구(113) 및 연통 포트(114)를 통해서 접속 포트(112)와 연통한다. 밸브 케이스(111)내에는 밸브 입구(113)를 개폐하는 밸브(115)와, 이 밸브(115)를 가압하는 평형 스프링(116)이 배치된다. 밸브(115) 및 평형 스프링(116)은 밸브 케이스(111)에 부착된 커버 플레이트(117)에 의해 이동을 방지한다.
밸브(115)는 밸브 입구(113)를 보통 개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료 탱크(10)내의 증발 연료 에미션은 밸브 입구(113), 접속 포트(112), 접속 호스(108) 및 증발 포트(89)를 통하여 캐니스터(80)의 연통 챔버(86a)내로 배출된다. 반면에, 자동차가 기울어지거나 전복시에 그리고 연료 탱크(10)내의 액체 연료의 레벨이 소정 레벨에 도달하는 경우에, 밸브(115)는 상향으로 움직이고 밸브 입구(113)를 폐쇄하여, 연료 탱크(10)내의 액체 연료가 밸브 입구(113), 접속 포트(112), 접속 호스(108) 및 증발 포트(89)를 통하여 캐니스터(80)의 연통 챔버(86a)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역지 밸브를 포함하는 릴리프 밸브(118)가 연통 포트(114)내에 배치된다. 릴리프 밸브(118)는 보통 연통 포트(114)를 밀폐시킨다. 반면에, 연료 탱크(10)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에 도달하는 경우에, 릴리프 밸브(118)는 연통 포트(114)를 개방하여, 연료 탱크(10)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을 초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제, 상술된 연료 공급 시스템(20)의 작동을 설명할 것이다.
연료 펌프(50)가 내연 기관에 의해 작동되는 경우에, 연료 펌프(50)는 흡입 필터(52)를 통하여 저장 컵(40)내에 연료를 흡인시켜, 연료의 압력을 상승시킨다. 연료 펌프(50)의 연료 배출 포트(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배출된 연료는 연료 필터(60)의 흡입 포트, 필터 부재(62), 배출 포트(66) 및 연통 튜브(102)를 지나서 주 튜브(103)내로 공급된다. 연료 압력은 압력 조절기(70)에 의해 소정의 압력으로 조절된다.
자동차가 정상 상태에 따라 작동하고 있는 경우에, 밸브(115)는 밸브 입구(113)를 개방하여, 연료 차단 밸브(110)가 연료 탱크(10)내의 증발 연료 에미션을 캐니스터(80)의 연통 챔버(86a)내로 배출하도록 한다. 반면에, 자동차가 기울어지거나 전복시에, 밸브(115)는 밸브 입구(113)를 폐쇄하여, 연료 탱크(10)내의 액체 연료가 캐니스터(80)의 연통 챔버(86a)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연료 탱크(10)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에 도달하는 경우에, 릴리프 밸브(118)는 연통 포트(114)를 개방하여, 연료 탱크(10)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을 초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연료 차단 밸브(110)의 밸브(115)가 엔진이 작동하지 않는 동안에 밸브 입구(113)를 개방하는 경우에, 연료 탱크(10)내의 증발 연료 에미션은 연료 차단 밸브(110)로부터 접속 호스(108)를 통하여 캐니스터(80)의 연통 챔버(86a)내로 향하게 된다(도 5에서 점선 화살표 참조). 그 후, 정압 밸브(91)가 증발 연료 에미션의 압력으로 인해 개방되는 경우에, 증발 연료 에미션은 정압 포트(90)를 통하여 제 1 흡착 챔버(83a)내로 향하게 된다. 그 후에, 연료 에미션은 활성탄(85)에 의해 제 1 흡착 챔버(83a)내에 흡착된다. 더욱이, 증발 연료 에미션은 제 1 흡착 챔버(83a)의 하부 필터 플레이트(84b), 안착부(82a)의 연통 구멍(82b) 및 제 2 흡착 챔버(83b)의 하부 필터 플레이트(84b)를 통하여 제 2 흡착 챔버(83b)내로 향하게 된다. 그 후, 증발 연료 에미션은 제 2 흡착 챔버(83b)내의 활성탄(85)에 의해 흡착된다.
내연 기관이 작동하는 동안에, 내연 기관의 흡입 부압은 퍼지 포트(87) 및 제 1 흡착 챔버(83a)의 상부 필터 플레이트(84a)를 지나 제 1 흡착 챔버(83a)의 내측상에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제 1 흡착 챔버(83a)내의 활성탄(85)에 의해 흡착된 증발 연료는 활성탄(85)으로부터 흡인되며, 퍼지 포트(87)를 지나 내연 기관에 공급된다. 더욱이, 제 1 흡착 챔버(83a)의 내측상에 작용하는 흡입 부압은 제 1 흡착 챔버(83a)의 하부 필터 플레이트(84b), 안착부(82a)의 연통 구멍(82b) 및 제 2 흡착 챔버(83b)의 하부 필터 플레이트(84b)를 지나 제 2 흡착 챔버(83b)의 내측상에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제 2 흡착 챔버(83b)내의 활성탄(85)에 의해 흡착된 증발 연료는 활성탄(85)으로부터 흡인되며, 내연 기관에 공급된다. 증발 연료가 제 1 및 제 2 흡착 챔버(83a, 83b)내의 활성탄(85)으로부터 흡인되는 경우에, 활성탄(85)은 증발 연료 에미션을 다시 흡착할 수 있다.
연료 탱크(10)내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 이하로 감압되면, 부압은 연료 차단 밸브(110)의 접속 포트(112), 접속 호스(108) 및 증발 포트(89)를 지나 연통 챔버(86a)상에 작용한다. 부압 밸브(94)가 부압에 의해 개방되면, 공기는 공기 포트(88), 제 2 흡착 챔버(83b)의 상부 필터 플레이트(84a), 제 2 흡착 챔버(83b), 하부 필터 플레이트(84b), 안착부(82a)의 연통 구멍(82b), 제 1 흡착 챔버(83a)의 하부 필터 플레이트(84b), 제 1 흡착 챔버(83a), 상부 필터 플레이트(84a) 및 부압 포트(93)를 차례로 통과하여 연통 챔버(86a)내로 향하게 된다(도 5에서 실선 화살표 참조). 더욱이, 연통 챔버(86a)내로 향하게 되는 공기는 증발 포트(89), 접속 호스(108), 연료 차단 밸브(110)의 접속 포트(112) 및 밸브 입구(113)를 지나 연료 탱크(10)내로 유입된다. 결과적으로, 연료 탱크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 이하로 감소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세트 플레이트(30)는 연료 탱크(10)의 장착 구멍(12)내에 장착되어 장착 구멍(12)을 밀봉한다. 결과적으로, 연료 펌프(50) 및 캐니스터(80)는 연료 탱크(10)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연료 탱크(10)내에 캐니스터(80)를 위한 별도의 장착 구멍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그에 따라 연료 탱크(10)와 캐니스터(80) 사이의 틈새를 밀봉 가스켓 또는 패킹과 같은 밀봉 장치로 밀봉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캐니스터 장착 구멍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캐니스터 장착 구멍용 밀봉 장치를 투과하는 증발 연료 에미션은 제거될 수 있다. 더욱이, 캐니스터(80)는 연료 탱크(10)내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더욱이,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캐니스터 케이스(81)는 세트 플레이트(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제조가 용이하고 그에 따라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자동차가 기울어지거나 전복되는 경우에, 연료 탱크내의 액상의 연료는 캐니스터(80)내로 역류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접속 호스(108) 및 증발 포트(89)내에 존재하는 기체상 연료가 냉각되는 경우에, 기체상 연료는 액화될 수 있어, 액화된 연료가 캐니스터(80)내로 역류하는 경향이 있다. 이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액체 연료내의 접착제 함유물은 정압 밸브(91) 및/또는 부압 밸브(94)에 부착할 수 있어, 캐니스터(80)가 적절히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액체 연료는 정압 밸브(91) 및/또는 부압 밸브(94)를 통하여 제 1 흡착 챔버(83a)에 유입될 수 있다. 이것은 제 1 흡착 챔버(83a)내의 활성탄의 품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캐니스터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연통 챔버(86a)는 역류 액체 연료를 저장할 수 있는 연료 저장실을 구비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이제, 제 2 실시예를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7은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9는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파단 우측면도이다. 제 2 실시예는 연료 차단 밸브도 또한 세트 플레이트상에 장착된다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와 상이하다. 그러므로, 다른 구성요소가 제 1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단지 세트 플레이트상에 장착된 연료 차단 밸브의 구조만을 상세히 설명할 필요가 있다.
도 8의 Ⅹ-Ⅹ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차단 밸브(210)의 케이스(밸브 케이스)(211)는 세트 플레이트(30)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세트 플레이트(30)는 도 1에 도시된 연료 차단 밸브(110)의 장착부(111a)로서 기능한다.
캐니스터(80)의 연통 챔버(86a)의 상부를 덮기 위한 커버재(86A)는 연통 챔버(86a)의 상부 및 측면을 덮도록 설계된다. 더욱이, 케이스 커버(220)는 커버재(86A)와 일체로 형성된다. 케이스 커버(220)는 밸브 케이스(211)[세트 플레이트(30)]에 용접되며[도 10에서 용접부(Y4)], 커버재(86A)는 캐니스터 커버(86)에 용접된다[도 10에서 용접부(Y3)].
충전 부재(212)는 밸브 케이스(211)[세트 플레이트(30)]의 상부 표면과 케이스 커버(220)의 대향 표면 사이에 배치되어 밀착 밀봉을 형성함으로써, 연료 차단 밸브(110)와 캐니스터(80)를 접속하는 접속 통로(221)를 규정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통로(221)는 접속 챔버(222) 및 연통 챔버(223)를 구비한다. 접속 챔버(222)는 밸브 입구(213) 및 연통 포트(214)를 지나 밸브 케이스(211)의 내부 공간과 연통한다. 연통 챔버(223)(이하 "제 2 연통 챔버"로 칭함)는 칸막이(220a)에 의해 캐니스터(80)의 연통 챔버(86a)(이하 "제 1 연통 챔버"로 칭함)로부터 분할되며, 제 2 연통 챔버(223)는 칸막이(220a)내에 형성된 입구(220b)를 지나 제 1 연통 챔버(86a)와 연통한다.
더욱이, 제 2 연통 챔버(223)는 정압 포트(290) 및 부압 포트(293)를 지나 접속 챔버(222)와 연통한다.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역지 밸브를 포함하는 정압 밸브(291)가 정압 포트(290)내에 배치된다. 정압 밸브(291)는 보통 폐쇄되어 있으며, 접속 챔버(222)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개방된다.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역지 밸브를 포함하는 부압 밸브(294)가 부압 포트(293)내에 배치된다. 부압 밸브(294)는 보통 폐쇄되어 있으며, 제 1 흡착 챔버(83a), 제 1 연통 챔버(86a) 및 제 2 연통 챔버(223)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 미만인 경우에 개방된다.
제 1 실시예의 정압 밸브(91), 부압 포트(93) 및 부압 밸브(94)는 제 2 실시예에 제공되지 않는다.
도 10에 있어서, 밸브 입구(213)를 개폐하는 밸브(215) 및 이 밸브(215)를 바이어스시키는 평형 스프링(216)이 밸브 케이스(211)내에 배치된다. 밸브(215) 및 평형 스프링(216)은 밸브 케이스(211)에 부착된 커버 플레이트(217)에 의해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밸브(215)는 밸브 입구(213)를 보통 개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료 탱크(10)내의 증발 연료 에미션은 밸브 입구(213), 접속 챔버(222), 정압 포트(290) 및 제 2 연통 챔버(223)를 통하여 캐니스터(80)의 제 1 연통 챔버(86a)내로 배출된다. 반면에, 자동차가 기울어지거나 전복된 경우 및 연료 탱크(10)내의 액체 연료의 레벨이 소정 레벨에 도달하는 경우에, 밸브(215)는 상향으로 움직여 밸브 입구(213)를 폐쇄하여, 연료 탱크(10)내의 액체 연료가 밸브 입구(213), 접속 챔버(222), 정압 포트(290) 및 제 2 연통 챔버(223)를 통하여 캐니스터(80)의 제 1 연통 챔버(86a)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역지 밸브를 포함하는 릴리프 밸브(218)가 연통 포트(214)내에 배치되고, 보통 연통 포트(214)를 폐쇄하고 있다. 반면에, 연료 탱크(10)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에 도달하는 경우에, 릴리프 밸브(218)는 연통 포트(214)를 개방하여, 연료 탱크(10)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을 초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 2 실시예의 작동은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특히, 자동차가 정상 상태로 작동하는 동안에, 연료 차단 밸브(210)의 밸브(215)는 밸브 입구(213)를 개방한다. 따라서, 내연 기관이 작동하지 않는 동안에 연료 탱크(10)내에 발생된 증발 연료 에미션이 연료 차단 밸브(210)의 밸브 입구(213), 접속 챔버(222) 및 정압 포트(290)내로 향하게 된다. 그 후, 정압 밸브(291)가 증발 연료 압력에 의해 개방되면, 증발 연료 에미션은 정압 포트(290)로부터 제 2 연통 챔버(223), 제 1 연통 챔버(86a) 및 정압 포트(290)를 통하여 캐니스터 케이스(81)내의 제 1 및 제 2 흡착 챔버(83a, 83b)내로 향하게 된다(도 11에서 점선 화살표 참조). 그 후, 증발 연료 에미션은 제 1 및 제 2 흡착 챔버(83a, 83b)내의 활성탄(85)에 의해 흡착된다. 반면에, 내연 기관이 작동하는 경우에, 내연 기관의 흡입 부압은 퍼지 포트(87)를 지나 캐니스터 케이스(81)내의 제 1 및 제 2 흡착 챔버(83a, 83b)상에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제 1 및 제 2 흡착 챔버(83a, 83b)내의 활성탄(85)에 의해 흡착된 증발 연료는 퍼지 포트(87)를 지나 내연 기관에 의해 활성탄(85)으로부터 흡인된다(도 11에서 일점쇄선 화살표 참조).
더욱이, 연료 탱크(10)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에, 부압은 밸브 입구(213) 및 접속 챔버(222)를 지나 부압 포트(293)상에 작용한다. 부압 밸브(294)가 부압으로 인해 개방되는 경우에, 공기는 공기 포트(88), 캐니스터 케이스(81)내의 제 2 흡착 챔버(83b) 및 제 1 흡착 챔버(83a), 정압 포트(290), 제 1 연통 챔버(86a), 제 2 연통 챔버(223), 부압 포트(293), 접속 챔버(222) 및 밸브 입구(213)를 차례로 통과하여 연료 탱크(10)내로 연통된다. 결과적으로, 연료 탱크(10)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 이하로 감소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세트 플레이트(30)는 연료 탱크(10)의 장착 구멍(12)에 장착되어 장착 구멍(12)을 밀폐하거나 밀봉한다. 그러므로, 연료 펌프(50), 캐니스터(80) 및 연료 차단 밸브(210)는 연료 탱크(10)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연료 탱크(10)내의 연료 차단 밸브(210)를 위한 장착 구멍을 제공하는 것이 불필요하다. 더욱이, 연료 차단 밸브 장착 구멍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연료 탱크(10)와 연료 차단 밸브(210) 사이의 틈새를 밀봉 가스켓 또는 패킹과 같은 밀봉 장치로 밀봉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증발 연료 에미션은 더욱 더 감소될 수 있으며, 연료 차단 밸브(210)는 연료 탱크(10)내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더욱이, 캐니스터 케이스(81) 및 밸브 케이스(211)는 세트 플레이트(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제조가 용이하고 그에 따라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게다가, 세트 플레이트(30) 및, 이 세트 플레이트(30)에 장착되는 커버재(86A)와 충전 부재(212)는 접속 통로(221)를 규정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접속 통로를 통하여 투과할 수 있는 증발 연료 에미션은 예를 들면, 접속 통로가 고무 호스인 경우와 비교해서 크게 감소될 수 있으며, 증발 연료 에미션은 실질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캐니스터(80) 및 연료 차단 밸브(210)를 접속시키는 접속 통로(221)는 접속 통로(221)를 세트 플레이트(30)상에 형성함으로써 보다 짧게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짧은 접속 통로(221)를 제조함으로써, 접속 통로를 투과하는 증발 연료 에미션은 또한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캐니스터(80)의 캐니스터 커버(86)는 연료 차단 밸브(210)의 케이스 커버(220)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캐니스터 커버(86)와 케이스 커버(220)를 분리하여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조가 용이하고, 구성요소의 개수 및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
이제, 제 3 실시예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제 3 실시예는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이다. 따라서, 변형된 부분만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제 2 실시예와 중첩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니스터(80)의 케이스(캐니스터 케이스)(81)는 세트 플레이트(30)와 분리되어 형성된다. 케이스 커버(220)를 구비한 커버재(86A)를 제외한 캐니스터 커버(86)는 세트 플레이트(3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필터 플레이트(84a, 84b) 및 활성탄(85)이 캐니스터 케이스(81)내로 삽입된 후에, 캐니스터 케이스(81)는 세트 플레이트(30)에 용접된다[도 12에서 용접부(Y5)]. 더욱이, 케이스 커버(220)를 구비하는 커버재(86A)는 캐니스터 커버(82)에 용접된다[도 12에서 용접부(Y3)].
제 3 실시예는 제 2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4 실시예
이제, 제 4 실시예를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제 4 실시예는 제 3 실시예의 변형예이다. 따라서, 변형된 부분만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제 3 실시예와 중첩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제 3 실시예와 유사하게, 캐니스터 케이스(81)는 세트 플레이트(30)와 분리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캐니스터 케이스(81)는 스냅-끼워맞춤에 의해 세트 플레이트(30)에부착된다.
캐니스터 케이스(81)는 개방 바닥부를 구비하며, 상부 플레이트(81c)는 캐니스터 케이스(81)의 상부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칸막이(82) 및 정압 포트(90)의 하측 반부(half portion)(90b)는 상부 플레이트(81c)와 일체로 형성된다. 정압 포트(90)의 상측 반부(90a)는 캐니스터 커버(86)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부 플레이트(81c)에는 제 1 흡착 챔버(83a)를 퍼지 포트(87)와 연통하도록 하는 연통 구멍(81d)과, 제 2 흡착 챔버(83b)를 공기 포트(88)와 연통하도록 하는 연통 구멍(81e)이 형성된다. 더욱이, 밀봉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홈(도시되지 않음)이 상부 플레이트(81c)의 상부 표면에 형성된다.
연결편(connection piece)(86B)이 캐니스터 커버(86)상에 형성되며, 결합 구멍(86b)이 주연부 방향을 따라 연결편(86B)에 형성된다. 대체로 뾰족한 결합 돌출부(81g)가 캐니스터 케이스(81)의 외벽면상에 형성되며, 연결편(86B)의 결합 구멍(86b)에 결합된다. 결합 구멍(86b) 및 결합 돌출부(81g)는 캐니스터 케이스(81)를 세트 플레이트(30)[캐니스터 커버(86)]와 접속시키는 스냅 끼워맞춤 장치(S)를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결합 구멍(86b)은 캐니스터 케이스(81)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 돌출부(81g)는 연결편(86B)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필터 플레이트(84a, 84b) 및 활성탄(85)이 캐니스터 케이스(81)내로 삽입된 후에, 바닥판(81a)이 캐니스터 케이스(81)에 용접된다[도 13에서 용접부(Y6)]. 더욱이, 밀봉 부재(예를 들면, 밀봉 고무)(95)는 상부 플레이트(81c)의 상부 표면내에 형성된 홈(참조 부호 없음)내로 끼워맞춤되며, 상부 플레이트(81c)와 캐니스터 커버(86) 사이의 틈새를 밀봉한다. 캐니스터 케이스(81)가 캐니스터 커버(86)에 대하여 가압되는 경우에, 캐니스터 케이스(81)의 외벽 및/또는 캐니스터 커버(86)의 연결편(86B)이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결합 돌출부(81g)가 결합 구멍(86b)과 결합하도록 한다. 따라서, 캐니스터 케이스(81)는 캐니스터 커버(86)에 접속된다.
제 4 실시예는 제 3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5 실시예
이제, 제 5 실시예를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제 5 실시예는 제 4 실시예의 변형예이다. 따라서, 단지 변형된 부분만을 상세히 설명할 것이며, 제 4 실시예와 중첩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캐니스터 케이스(81)의 상부 플레이트(81c)는 세트 플레이트(30)[캐니스터 커버(86)]에 용접된다[도 14에서 용접부(Y7)].
제 5 실시예는 제 4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제 4 실시예의 밀봉 고무(95) 및 스냅 끼워맞춤 장치(S)는 생략될 수 있다.
제 6 실시예
이제, 제 6 실시예를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제 6 실시예는 제 5 실시예의 변형예이다. 따라서, 단지 변형된 부분만을 상세히 설명할 것이며, 제 5 실시예와 중첩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세트 플레이트(30)를 연료 탱크(10)상에 장착하기 위해 상이한 장착 구조체가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원통형 장착부(10a)는 장착 구멍(12) 주위의 연료 탱크(10)상에 형성되고, 상방으로 연장된다. 나사식 조임 로크 링(19)이 원통형 장착부(10a)의 외주연 주위에 제공된다. 플랜지부(19a)는 이 로크 링(19)의 상단부상 및 그것을 따라 형성되고, 내측으로 연장된다.
세트 플레이트(30)를 연료 탱크(10)상에 장착하기 위해서, 우선 세트 플레이트(30)는 밀봉 가스켓(16)을 지나 장착 구멍(12)의 개구 에지부상에 위치되며, 원통형 장착부(10a)내로 끼워맞춤된다. 그 후, 로크 링(19)은 원통형 장착부(10a)에 단단히 조여져서, 로크 링(19)의 플랜지부(19a)가 장착 구멍(12)의 개구 에지부에 대하여 세트 플레이트(30)의 외주연부를 가압하도록 한다. 따라서, 세트 플레이트(30)는 연료 탱크(10)에 고정된다.
본 발명은 대표적인 실시예로서 설명된 구성에 제한되지 않으며, 오히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것을 추가하거나, 다른 것으로 변경 및 대체하거나, 다른 변형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료 공급 시스템은 적어도 연료 펌프 및 캐니스터가 세트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임의의 형태로 될 수도 있다. 더욱이, 캐니스터 또는 연료 차단 밸브를 세트 플레이트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조체는 대표적인 실시예의 장착 구조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 캐니스터 또는 연료 차단 밸브를 형성하는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세트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부재의 다른 부분은 세트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더라도, 전체 구성요소가 세트 플레이트에 장착될 수도 있다.
더욱이, 연료 공급 시스템에서 정전기 증가를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은 우에다(Ueda) 등의 SAE 기술 논문 시리즈(1999년 3월자), "자동차용 연료 시스템의 정전기학"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문헌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되고 있다. 게다가, 공동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 09/011,756 호, 제 09/380,590 호, 제 09/576,343 호 및 제 09/558,850 호는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연료 공급 장치에 따르면, 연료 탱크와 캐니스터 사이를 밀봉 가스켓 또는 패킹 등의 밀봉 장치에 의해서 밀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증발 연료 에미션의 투과를 저감시키는 동시에, 연료 탱크에 대한 캐니스터의 장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2)

  1. 연료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연료 탱크의 장착 구멍에 장착되는 세트 플레이트와,
    상기 세트 플레이트에 연결된 캐니스터와,
    상기 세트 플레이트에 연결된 연료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캐니스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되어 케이스내를 거의 폐쇄하는 캐니스터 커버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와 캐니스터 커버중 적어도 한쪽은 세트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연료 공급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의 케이스 및 캐니스터 커버는 상기 세트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연료 공급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 플레이트에 연결된 연료 차단 밸브를 더 포함하는
    연료 공급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차단 밸브가 상기 세트 플레이트와 일체인 케이스내에 배치되는
    연료 공급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차단 밸브와 상기 캐이스터를 접속하는 접속 통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속 통로는 상기 세트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연료 공급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통로는 상기 세트 플레이트와, 상기 세트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다른 통로에 의해 형성되는
    연료 공급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 플레이트, 상기 캐니스터의 케이스, 및 상기 연료 차단 밸브의 케이스가 수지로 일체 형성되는
    연료 공급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의 케이스는 세트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캐니스터 커버는 세트 플레이트와 별도로 형성되어 케이스에 접합되는
    연료 공급 시스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 커버는 세트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캐니스터의 케이스는 세트 플레이트와 별도로 형성되어 캐니스터 커버에 접합되는
    연료 공급 시스템.
  18. 제 1 항에 있어서,
    캐니스터 커버는 세트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캐니스터 커버에는 캐니스터 케이스의 내부와, 캐니스터에 관련된 다른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관이 일체로 형성되는
    연료 공급 시스템.
  1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차단 밸브는 연료 탱크내와 상기 접속 통로의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사이를 연통 차단하기 위한 제 1 밸브와, 연료 탱크내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을 초과하면 개방되어 압력을 떨어뜨리는 제 2 밸브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 1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 입구와 상기 제 2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연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연료 공급 시스템.
  20. 제 3 항에 있어서,
    연료 차단 밸브와 캐니스터를 접속시키는 접속 통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접속 통로는 캐니스터의 캐니스터 커버와, 상기 캐니스터 커버에 접합되는 다른 커버재에 의해 형성되는
    연료 공급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 커버는 세트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료 공급 시스템.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 커버와 다른 커버재는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연료 공급 시스템.
KR10-2000-0075996A 1999-12-15 2000-12-13 연료 공급 시스템 KR100432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653499A JP3638842B2 (ja) 1999-12-15 1999-12-15 燃料供給装置
JP99-356534 1999-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390A KR20010062390A (ko) 2001-07-07
KR100432402B1 true KR100432402B1 (ko) 2004-05-22

Family

ID=18449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5996A KR100432402B1 (ko) 1999-12-15 2000-12-13 연료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108883B1 (ko)
JP (1) JP3638842B2 (ko)
KR (1) KR100432402B1 (ko)
DE (1) DE6001988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9809B2 (ja) * 2002-04-03 2007-06-13 愛三工業株式会社 リザーブ容器ユニット
JP2005207317A (ja) * 2004-01-22 2005-08-04 Denso Corp 燃料供給装置
US7201155B2 (en) * 2005-03-15 2007-04-10 Eaton Corporation Integral vapor storage and vent valve assembly for use with a small engine fuel tank and vapor emission system employing same
US7249595B2 (en) * 2005-03-16 2007-07-31 Eaton Corporation Vapor vent valve with pressure relief function integrated to carbon canister
FR2886349B1 (fr) * 2005-04-27 2011-09-23 Ti Automotive Fuel Systems Sas Ensemble comprenant un module de puisage et filtre pour reservoir de carburant de vehicule automobile
JP4800271B2 (ja) * 2007-07-27 2011-10-26 愛三工業株式会社 蒸発燃料排出抑制装置
JP2009209914A (ja) * 2008-02-06 2009-09-17 Aisan Ind Co Ltd キャニスタ
DE102009009805A1 (de) 2009-02-20 2010-08-26 Mahle International Gmbh Filtereinrichtung zur Kohlenwasserstoffadsorption
DE102015016633B4 (de) 2014-12-25 2021-02-11 Aisan Kogyo Kabushiki Kaisha Kraftstoffdampfverarbeitungsvorricht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0616U (ko) * 1985-01-18 1986-07-30
JPS62167728U (ko) * 1986-04-15 1987-10-24
JPH09195861A (ja) * 1996-01-22 1997-07-29 Mitsubishi Motors Corp 燃料タンク装置
JPH1182209A (ja) * 1997-08-29 1999-03-26 Unisia Jecs Corp 燃料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15973B1 (fr) * 1994-02-08 1996-04-26 Marwal Systems Régulateur de pression interne à l'embase d'un ensemble de puisage.
JP3482770B2 (ja) * 1996-05-29 2004-01-06 Nok株式会社 液体遮断弁装置
JP3389010B2 (ja) * 1996-07-02 2003-03-24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フィルタ
JP3438575B2 (ja) * 1997-04-30 2003-08-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貯留装置
JP3887876B2 (ja) 1997-05-16 2007-02-28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タンク内圧制御システム
JPH10318064A (ja) * 1997-05-19 1998-12-02 Nifco Inc カットオフバルブおよび燃料タンク装置
US5951050A (en) * 1997-09-18 1999-09-14 Siekmann; Jim Integral reservoir for tank
JP3919331B2 (ja) * 1998-05-18 2007-05-23 株式会社ミクニ 燃料遮断弁の取付け構造
US6431147B1 (en) * 1999-05-26 2002-08-1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Fuel feed device and fuel pressure regul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0616U (ko) * 1985-01-18 1986-07-30
JPS62167728U (ko) * 1986-04-15 1987-10-24
JPH09195861A (ja) * 1996-01-22 1997-07-29 Mitsubishi Motors Corp 燃料タンク装置
JPH1182209A (ja) * 1997-08-29 1999-03-26 Unisia Jecs Corp 燃料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390A (ko) 2001-07-07
EP1108883B1 (en) 2005-05-04
DE60019882T2 (de) 2006-02-16
EP1108883A3 (en) 2002-02-13
JP2001173522A (ja) 2001-06-26
DE60019882D1 (de) 2005-06-09
JP3638842B2 (ja) 2005-04-13
EP1108883A2 (en) 2001-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2693B1 (en) Vapor canister and fuel tank assembly
JP3931291B2 (ja) 燃料タンクの燃料流出規制装置
US8888901B2 (en) Fuel vapor treating apparatus
US8944101B2 (en) Valve assembly for high-pressure fluid reservoir
US7493894B2 (en) Tank assembly and components
US6302144B1 (en) Vehicle fuel system
US6390073B1 (en) Evaporative emission storage canister with integral filter and vent solenoid
US7665447B2 (en) Fuel vapor control devices
US6158975A (en) Fuel pump module
US6343590B1 (en) Canister module
US6155238A (en) Fuel pressure regulator and fuel filter module
US6895943B1 (en) Fuel vent assembly with floatless rollover protection
JP5920324B2 (ja) 燃料貯留装置
JP2016121791A (ja) 流量制御弁及び蒸発燃料処理装置
KR100432402B1 (ko) 연료 공급 시스템
JP4097559B2 (ja) 燃料タンクの燃料流出規制装置
JP2003293875A (ja) リザーブ容器ユニット
US10851747B2 (en) Mounting structure of fuel device
US10598138B2 (en) Hermetically sealed tank system
US9592729B2 (en) Fuel tank
US20060260696A1 (en) Fuel delivery and vapor control system
CN112240256A (zh) 吸附罐
JP7083734B2 (ja) 燃料供給装置
JP4136213B2 (ja) 燃料タンクモジュール
JPH10184476A (ja) 車両用燃料タ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