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2156B1 - 온풍난방장치 - Google Patents

온풍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2156B1
KR100432156B1 KR10-2002-0043162A KR20020043162A KR100432156B1 KR 100432156 B1 KR100432156 B1 KR 100432156B1 KR 20020043162 A KR20020043162 A KR 20020043162A KR 100432156 B1 KR100432156 B1 KR 100432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room
ventilation
room temperature
determination par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7656A (ko
Inventor
야스이긴아키
타카하시레이코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30027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2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21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 F23N5/1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using thermocoup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Abstract

본 발명은 버너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온풍을 실내에 송풍하는 것으로 난방운전을 행하는 온풍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 1 측정수단은 온풍난방운전개시 후, 실온센서에 의해 측정된 실온의 상승도에 입각해서 실내의 넓이를 측정하고, 제 2 측정수단은 버너의 누적연소량를 측정한다. 산출수단은 기억수단에 의해 기억유지되어 있는 실내의 넓이에 대한 버너의 누적연소량의 비를 판정 파라미터로서 산출하고, 알림수단은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판정 파라미터가 소정 역치 이상으로 된 때에 알림램프를 점등시켜서 환기의 필요를 알린다. 따라서,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하면서, 실내의 상황변화를 차례로 파악한 다음, 실내환기의 필요를 알리는 것이 가능한 난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풍난방장치{Hot air room heater}
본 발명은 버너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온풍을 실내에 송풍하는 것으로 난방운전을 행하는 온풍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팬히터등의 온풍난방장치가 사용되는 실내에서는 열원인 버너의연소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2)와 일산화탄소(CO)에 의해서 산소농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환기가 필요하다. 이에, 예를 들어 특개소62-202945호 공보에는 실온의 상승경사의 측정치에 입각하여 방의 크기를 구하고, 방의 크기에 입각해서 타이머시간을 설정하고, 이 타이머시간 동안의 버너 연소가 계속된 경우에는 환기의 필요를 알리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 특개소62-223522호 공보에는 환기회 수, 방의 크기, 버너의 연소량, 버너의 연소개시부터의 경과시간을 측정하고, 이것들의 측정치에 입각해서 CO의 농도를 구하고, 이 CO농도가 소정의 역치를 초과한 경우에 환기의 필요를 알리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설정 타이머시간의 경과를 기다려서 환기의 필요를 알리는 방법에서는, 타이머시간의 경과전에 설정 난방온도의 변경에 수반한 버너의 연소량 증대에 의해 이산화탄소등의 발생량이 크게 되고, 환기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알림은 되지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CO농도와 소정 역치와의 비교에 입각한 환기의 필요를 알리는 방법에서는 CO농도를 정확하게 구하기 위해서 복잡한 연산처리가 필요하게 되고, 관련한 연산처리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온풍난방장치의 제조비용이 상승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하면서 실내의 상황 변화를 차례로파악한 다음, 실내환기의 필요를 알리는 것이 가능한 난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풍난방장치의 구성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풍난방장치의 알림기능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버너 13 ; 열전대
34 ; 실온센서 43 ; 알림램프
51 ; 제 1 측정수단 52 ; 제 2 측정수단
53 ; 제 3 측정수단 54 ; 기억수단
55 ; 산출수단 56 ; 알림수단
551 ; 제 1 보정수단 552 ; 제 2 보정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는 실온을 측정하는 실온센서와, 온풍난방운전개시 후, 상기 실온센서에 의해 측정된 실온의 상승도에 입각해서 실내의 넓이를 측정하는 제 1 측정수단과, 상기 버너의 누적연소량을 측정하는 제 2 측정수단과, 상기 제 1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실내의 넓이를 기억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버너의 누적연소량을 차례로 갱신하면서 기억유지하는 기억수단과, 기억수단에 의해 기억유지되어 있는 실내의 넓이에 대한 버너의 누적연소량의 비를 판정 파라미터로서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판정 파라미터가 소정 역치 이상으로 된 때에 환기의 필요를 알리는 알림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기의 필요를 알리는 판정기준으로 되는 판정 파라미터는 실내의 넓이에 대해서 버너의 누적연소량의 비를 해석한다고 하는 간단한 연산처리에 의해 얻어진다.
이 때문에 연산처리기능에 요구되는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 판정 파라미터에는 버너의 연소량의 변동이 반영되고, 판정 파라미터가 소정 역치 이상으로 된 때에 환기의 필요가 알려진다. 이에, 실내상황변화를 차례로 파악한 다음에 실내환기의 필요를 알릴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온센서에 의해 측정된 실온의 하강도 또는 상기 버너의 연소상태를 검지하는 열전대의 출력의 상승도에 입각해서 상기 실내의 환기량을측정하는 제 3 측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산출수단은 제 3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환기량에 응해서 상기 판정 파라미터를 감소보정하는 제 1 보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환기에 의해서 실온이 하강하거나 또는 버너의 연소상태가 호전되어 열전대의 출력이 상승한 것을 받아서 판정 파라미터가 감소보정된다. 따라서, 판정 파라미터가 과대하게 연산되어 환기의 필요성이 낮아짐에도 불구하고, 환기의 필요가 알려지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 상기 산출수단은 상기 버너의 연소정지 후, 상기 판정 파라미터를 서서히 감소보정하는 제 2 보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버너의 연소정지 후, 실내에 CO2등이 많이 남아서 농도가 낮은 상태로 버너가 재연소된 때에 판정 파라미터가 0으로 리셋됐기 때문에 과소하게 연산되고, 환기의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환기의 필요가 알려지지 않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알림수단은 상기 버너의 연소상태를 검지하는 열전대의 출력이 소정 출력치 이하로 된 때에 환기의 필요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판정 파라미터가 소정 역치 이상으로 되더라도 열전대의 출력이 소정 출력치 이하로 되어 버너의 연소불량이 검지된 경우 O2농도가 낮은 것으로서, 환기의 필요를 알릴 수 있다. 이에, 만약에 일판정 파라미터에 입각한 환기의 필요 알림이 순조롭지 못하더라도 열전대의 출력치에 입각해서 환기의 필요를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온풍난방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온풍난방장치의 구성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온풍난방장치의 알림기능 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한 온풍난방장치는 버너(10)와, 연소팬(20)과, 연소팬(20)의 동작에 의해 흡기구(311)로부터 실내공기가 연소용 공기로서 모여지는 제 1 덕트(31)와, 연소팬(20)의 동작에 의해 흡기구(321)로부터 실내공기가 모여지고, 버너(10)의 연소배기가스와 혼합되어 송풍구(322)에서 온풍으로서 외부에 송풍되는 제 2 덕트(32)와, 난방온도등을 설정 가능한 조작패널(40)과, 버너(10)의 연소등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50)를 구비하고 있다.
버너(10)는 제 2 덕트(32) 내부에 배치된 연소동(33) 내부에 설치되고, 그 상류에 있어서 제 1 덕트(31)에 합류하는 가스공급로(11)와, 그 하류(상방)에 있는 점화전극(12)을 구비하고 있다. 또, 버너(10)의 하류에는 열전대(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스공급로(11)에는 가스게이지전자밸브(111)와, 가스전자밸브(112)와, 가스비례밸브(113)가 설치되어 있다.
연소팬(20)은 제 2 덕트(32) 내부에 설치된 회전 블레이드(21)와, 회전 블레이드(21)를 회전시키는 모터(22)를 구비하고, 모터(22)의 회전축에는 홀 IC등에 의해 구성된 회전수센서(23)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 제 2 덕트(31)(32)의 흡기구(311)(321)에는 먼지,쓰레기등이 제 1, 제 2 덕트(31)(32)로의 침입을 방지하는 필터(330)가 설치되어 있다. 제 2덕트(32)의 흡기구(321) 부근에서는 실온센서(34)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덕트(32)의 송풍구(322)에는 기어드 모터(35)에 의해 구동되고, 송풍구(322)의 개도를 조절하는 가동식 루버(louver;36)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패널(40)은 온풍난방운전의 ON/OFF를 전환하는 운전버튼(41)과, 난방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버튼(42)과, 환기의 필요를 알리는 알림램프(일림수단;43)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 유니트(50)는 제 1 측정수단(51)과, 제 2 측정수단(52)과, 제 3 측정수단(53)과, 기억수단(54)과, 산출수단(55)과, 알림수단(56)과, 타이머(57)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측정수단(51)은 실온센서(34)에 의해 측정된 실온Θ의 상승도 ΔΘ/Δt( 〉0)에 입각해서 실내의 넓이(A)를 측정한다. 제 2 측정수단(52)는 가스비례밸브(113)의 개도에 입각해서 버너(10)의 누적연소량(Q)을 측정한다. 제 3 측정수단(53)은 실온센서(34)에 의해 측정되는 실온Θ의 하강도 ΔΘ/Δt(〈 0)에 입각해서 실내의 환기량(V)을 측정한다.
기억수단(54)은 RAM,ROM 등에 의해 구성되고, 제 1 측정수단(51)에 의해 측정된 실내의 넓이(A)와 후술하는 소정의 역치(C)를 기억유지함과 동시에 제 2 측정수단(52)에 의해 측정된 버너(10)의 누적연소량(Q)을 차례로 갱신하면서 기억유지한다.
산출수단(55)은 기억수단(54)에 의해 기억유지되어 있는 실내의 넓이(A)에 대한 버너(10)의 누적연소량(Q)의 비 Q/A를 판정 파라미터(K)로서 산출한다. 또,산출수단(55)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3 측정수단(53)에 의해 측정되는 환기량(V)에 응해서 판정 파라미터(K)를 감소보정하는 제 1 보정수단(551)과, 동일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버너(10)의 연소정지후, 타이머(57)의 계측시간에 입각해서 판정 파라미터(K)를 감소보정하는 제 2 보정수단(552)를 구비하고 있다.
알림수단(56)은 알림램프(43)를 구성요소로서 포함하고, 산출수단(55)에 의해 산출된 판정 파라미터(K)가 기억수단(54)에 의해 기억유지되어 있는 소정 역치 (C) 이상으로 된 때에 알림램프(43)를 점등해서 환기의 필요를 알린다.
계속해서, 온풍난방장치의 기능에 대해서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조작패널(40)의 운전버튼(41)이 OFF에서 ON으로 된 때에 제어유니트 (50)에 의해 연소팬(20)이 작동을 개시하고, 점등전극(12)이 점화를 행하고, 가스전자밸브(112)를 열고, 가스조절밸브(113)의 개도를 조절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덕트(31)에 있어서 가스공급로(11)에서 공급된 가스와, 흡기구(311)로부터 모여진 실내공기가 혼합해서 버너(10)에 공급되고, 버너(10)가 연소를 개시한다(S1). 또, 제 2 덕트(32)에 있어서, 흡기구(321)로부터 모여진 실내공기가 버너(10)의 연소배기가스와 혼합하고, 온풍으로되어 송풍구(322)로 실내에서 송풍된다. 그리고, 실온(Θ)이 서서히 상승해 가고, 제어유니트(50)는 실온센서(34)에 의해 측정된 실온(Θ)이 조작패널(40)의 설정버튼(42)에 의해 설정된 난방온도에 일치하도록 가스비례밸브(113)의 개도와 연소팬(20)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버너(10)의 연소개시에서 1분 경과후, 거기서부터 3분간에 걸쳐서 실온센서(34)에 의해 측정된 실온(Θ)의 상승도 ΔΘ/Δt에 입각하고, 제 1 측정수단(51)에 의해 온풍난방기가 놓여져있는 실내의 넓이(A)를 기억수단(54)에 기억유지되어 있는 소정의 연산 알고리즘과 상승도 ΔΘ/Δt와 실내의 넓이(A)와의 대응관계 데이터 테이블등에 입각해서 측정한다(S2). 예를 들면 온풍난방운전개시전의 실온(Θ)이 5℃, 설정 난방온도가 22℃일 때에 3분간에 걸친 상승도 ΔΘ/Δt가 4.0℃,5.1℃,6.3℃라면 각각의 실내의 넓이(A)는 12첩(약6평), 8첩(약4평), 6첩(약3평)으로 측정된다. 이와 같이 실내의 넓이(A)는 상승도ΔΘ/Δt가 작은 만큼 크게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이 때, 기억수단(54)은 측정된 실내의 넓이(A)를 기억유지한다.
또, 버너(10)의 연소개시 후, 제 2 측정수단(52)이 가스비례밸브(113)의 개도에 입각해서 누적연소량(Q)의 측정을 개시한다(S3). 이 때, 기억수단(54)은 제 2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누적연소량(Q)을 차례로 갱신하면서 기억유지한다.
다음으로 산출수단(55)이 기억수단(54)에 의해 기억유지되어 있는 누적연소량(Q)을 실내의 넓이(A)로 나누는 것으로 판정 파라미터(k=Q/A)를 산출한다(S4).
계속해서, 제 3 측정수단(53)이 실온(Θ)의 변화도 ΔΘ/Δt가 마이너스로 되었는가 아닌가에 입각해서 실내환기의 유무를 판정한다(S5). 실내가 환기되었다고 판정된 때에(S5에서 예), 제 1 보정수단(551)이 실온(Θ)의 하강도ΔΘ/Δt (< 0 )에 입각해서 판정 파라미터 k의 제 1의 감소보정을 행한다(S6). 예를 들면, 하강도ΔΘ/Δt가 -3.0[℃/min] 미만의 경우는 실내가 크게 환기되어 이것 이상의 환기의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k를 0으로 감소보정한다. 또, 하강도 ΔΘ/Δt가-3.0[℃/min] 이상 -2.0[℃/min]미만의 경우는 실내가 환기되어 환기의 필요가 줄어듦으로써 k를 0.5배로 감소보정한다. 또, 하강도 ΔΘ/Δt가 -2.0[℃/min]이상0[℃/min] 미만의 경우는 실내환기가 불충분해서 아직도 환기의 필요가 있다고 해서 감소보정을 하지 않는다. 이처럼 제 1의 감소보정은 판정 파라미터(k)가 실온(Θ)의 저하가 큰만큼 크게 감소보정된다.
다음으로, 제 1 측정수단(51)이 열전대(13)의 출력에 입각해서 버너(10)의 연소가 정지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S7). 버너(10)의 연소가 정지된 때에 (S7에서 예), 타이머(57)가 시간계측을 개시한다. 그리고, 제 2 보정수단(552)가 타이머(57)의 계측시간에 입각해서 판정 파라미터 k의 제 2의 감소보정을 행한다(S8). 제 2의 감소보정은 버너(10)의 연소정지 후, 곧 바로는 환기의 필요성은 저감하지 않지만, 그 후 시간이 경과됨과 동시에 서서히 실내의 CO2등의 농도가 저감해서 환기의 필요성이 낮아져 간다고 하는 정성적 고찰에 입각해서 행해진다. 즉, 판정 파라미터(k)가 버너(10)의 연소정지 후, 일정 시간까지 그대로 유지되고, 일정시간 경과 후, 서서히 감소보정된다. 그리고 알림수단(56)이 산출수단(55)에 의해 산출되고(S4), 제 1, 제 2 보정수단(551)(552)에 의해 감소보정된(S6,S8) 판정 파라미터(k)가 기억수단(54)에 의해 기억유지되어 있는 소정 역치(C)이상으로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S9). 판정 파라미터(k)가 소정 역치(C)이상으로 있다고 판단된 때에 (S9에서 예), 알림수단(56)은 알림램프(43)를 점등시켜서 실내환기의 필요를 알린다(S10a). 한편, 판정 파라미터(k)가 소정 역치(C) 미만으로 있다고 판정된 때에(S9에서 아니오), 알림수단(56)은 알림램프(43)를 소등한 상태로 유지하지만, 점등하고 있는 경우는 소등한다(S10b).
그 후, 전원플러그(도시생략)가 콘센트에서 빠지고, 온풍난방장치의 통전상태가 해제되지 않는 한(S11에서 아니오), 상술의 S3 ~ S10의 처리가 실행되어 계속한다.
본 온풍난방장치에 의하면 환기의 필요를 알리는 판정기준으로 되는 판정 파라미터(k)는 실내의 넓이(A)에 대해서 버너(10)의 누적연소량(Q)의 비를 구한다고 하는 간단한 연산처리에 의해 얻어진다(도2의 S4). 이 에, 연산처리기능에 요구되는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 판정 파라미터(k)에서는 버너(10)의 연소량의 변동이 반영되고, 판정 파라미터(k)가 소정 역치(C) 이상으로 된 때에 환기의 필요가 알려진다(도2의 S10a). 이에 실내의 상황변화를 처례로 파악한 다음, 실내환기의 필요를 알릴 수 있다.
또, 실내환기에 의해서 실온센서(34)에 의해 측정된 실온(℃)이 하강한 것을 받아들여서 판정 파라미터(k)에 제 1의 감소보정이 실시된다(도2의 S6). 따라서, 판정 파라미터(k)가 과대하게 연산되어 환기의 필요성이 저하함에도 불구하고 환기의 필요가 알려지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게다가, 버너(10)의 연소정지 후부터의 경과시간에 응하여 판정 파라미터(k)에 제 2의 감소보정이 실시된다(도2의 S8). 따라서, 버너(10)의 연소정지 후, 실내에 CO2등이 많이 남아서 O2농도가 낮아진 상태로 버너(10)가 재연소 된 때에 판정 파라미터(k)가 과소하게 연산되고, 환기의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환기의 필요가 알려지지 않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알림램프(43)의 점등에 의해 환기의 필요가 시각적으로알려지지만, 다른 실시형태로서 알림부저등에 의해 환기의 필요가 청각적으로 알려져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판정 파라미터(k)만으로 입각해서 환기의 필요가 알려졌지만, 다른 실시형태로서 알림수단(56)이 판정 파라미터(k)가 소정 역치(C) 이상으로 된 때에 뿐만 아니라 버너(10)의 연소상태를 검지하는 열전대(13)의 출력이 소정 출력치 이하로 된 때에 환기의 필요를 알려도 좋다.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판정 파라미터(k)가 소정 역치(C) 이상으로 않되더라도 열전대(13)의 출력이 소정 출력치 이하로 되어 버너(10)의 연소불량이 검지된 경우 O2농도가 낮아져서 환기의 필요를 알릴 수 있다. 이에, 만일에 일판정 파라미터(k)에 입각하여 환기의 필요알림이 순조롭지 않아도 열전대(13)의 출력치에 입각해서 환기의 필요를 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온풍난방장치에 의하면, 환기의 필요를 알리는 판정기준으로 되는 판정 파라미터는 실내의 넓이에 대해서 버너의 누적연소량의 비를 해석한다고 하는 간단한 연산처리에 의해 얻어진다. 이 때문에 연산처리기능에 요구되는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 판정 파라미터에서는 버너의 연소량의 변동이 반영되고, 판정 파라미터가 소정 역치 이상으로 된 때에 환기의 필요가 알려진다. 이에, 실내상황변화를 차례로 파악한 다음에 실내환기의 필요를 알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환기에 의해서 실온이 하강하거나 또는 버너의 연소상태가 호전되어 열전대의 출력이 상승한 것을 받아서 판정 파라미터가 감소보정된다. 따라서, 판정 파라미터가 과대하게 연산되어 환기의 필요성이 낮아짐에도 불구하고, 환기의 필요가 알려지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버너의 연소정지 후, 실내에 CO2등이 많이 남아서 농도가 낮은 상태로 버너가 재연소된 때에 판정 파라미터가 0으로 리셋됐기 때문에 과소하게 연산되고, 환기의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환기의 필요가 알려지지 않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여기서, 판정 파라미터가 소정 역치 이상으로 되더라도 열전대의 출력이 소정 출력치 이하로 되어 버너의 연소불량이 검지된 경우 O2농도가 낮은 것으로서, 환기의 필요를 알릴 수 있다. 이에, 만약에 일판정 파라미터에 입각한 환기의 필요 알림이 순조롭지 못하더라도 열전대의 출력치에 입각해서 환기의 필요를 알릴 수 있다.

Claims (4)

  1. 버너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온풍을 실내에 송풍하는 것으로 온풍난방운전을 행하는 온풍난방장치에 있어서,
    실온을 측정하는 실온센서와,
    온풍난방운전 개시 후, 실온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실온의 상승도에 입각해서 실내의 넓이를 측정하는 제 1 측정수단과,
    상기 버너의 누적연소량을 측정하는 제 2 측정수단과,
    제 1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실내의 넓이를 기억 유지함과 동시에 제 2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버너의 누적연소량을 차례로 갱신하면서 기억유지하는 기억수단과,
    기억수단에 의해 기억유지되어 있는 실내의 넓이에 대한 버너의 누적연소량의 비를 판정 파라미터로서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판정 파라미터가 소정의 역치 이상으로 된 때에 환기의 필요를 알리는 알림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난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온센서에 의해 측정된 실온의 하강도, 또는 상기 버너의 연소상태를 검지하는 열전대의 출력상승도에 입각해서 상기 실내의 환기량을 측정하는 제 3 측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산출수단은 제 3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되는 환기량에 응해서 상기 판정 파라미터를 감소보정하는 제 1 보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난방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수단은 상기 버너의 연소정지 후, 상기 판정 파라미터를 서서히 감소보정하는 제 2 보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난방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수단은 상기 버너의 연소상태를 검지하는 열전대의 출력이 소정 출력치 이하로 된 때에 환기의 필요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난방장치.
KR10-2002-0043162A 2001-09-27 2002-07-23 온풍난방장치 KR1004321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98420A JP4219102B2 (ja) 2001-09-27 2001-09-27 温風暖房装置
JPJP-P-2001-00298420 2001-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656A KR20030027656A (ko) 2003-04-07
KR100432156B1 true KR100432156B1 (ko) 2004-05-17

Family

ID=19119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162A KR100432156B1 (ko) 2001-09-27 2002-07-23 온풍난방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219102B2 (ko)
KR (1) KR100432156B1 (ko)
CN (1) CN127808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8917B2 (ja) * 2007-09-27 2012-01-18 リンナイ株式会社 温風暖房機
JP2010236702A (ja) * 2009-03-30 2010-10-21 Yamatake Corp 換気制御装置および換気制御方法
CN105465411A (zh) * 2016-01-19 2016-04-06 佛山吉宝信息科技有限公司 半导体温差发电式采暖电动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09052A (zh) 2003-04-09
JP4219102B2 (ja) 2009-02-04
CN1278087C (zh) 2006-10-04
KR20030027656A (ko) 2003-04-07
JP2003106678A (ja) 2003-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1460B1 (ko) 복사 버너에 공급되는 연소성 가스내의 연료대 공기의 비율을 최적 상태로 해주는 방법 및 그 장치
JP2010002064A (ja) 温風暖房機
US20110290228A1 (en) Warm air furnace
JP3474977B2 (ja) 送風装置
KR100432156B1 (ko) 온풍난방장치
JP2511219B2 (ja) 空気調和装置用フィルタ目詰まり検知装置
JPH08224425A (ja) フィルタ目詰まり検知方法
JP2887305B2 (ja) 燃焼装置
JP3582628B2 (ja) 温風暖房機
JP3530553B2 (ja) 給湯装置
JP3574350B2 (ja) 燃焼装置
JPH11264614A (ja) 燃焼式温風暖房機
JP4581005B2 (ja) 温風暖房機
JP2809568B2 (ja) 温風暖房機
JP3394699B2 (ja) 空気清浄器付温風暖房装置
JPH08110044A (ja) 燃焼装置の未燃成分濃度検出装置
JP2650655B2 (ja) 温風暖房機
JP3513213B2 (ja) 燃焼用ファン制御装置
JP2566046B2 (ja) 温風暖房機
JPH04217717A (ja) 暖房機
JPH06281258A (ja) Ff式ガス温風暖房機
US20020179722A1 (en) Method of and a device for heating a house and the like
JP3331140B2 (ja) 燃焼装置
JP2000213738A (ja) 燃焼装置
JPH08128981A (ja) 燃焼装置の未燃成分濃度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