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1759B1 - 반사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그것을 이용한 기기 - Google Patents

반사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그것을 이용한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1759B1
KR100431759B1 KR10-2001-0081762A KR20010081762A KR100431759B1 KR 100431759 B1 KR100431759 B1 KR 100431759B1 KR 20010081762 A KR20010081762 A KR 20010081762A KR 100431759 B1 KR100431759 B1 KR 100431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flective display
guide plate
reflective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1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5376A (ko
Inventor
후나모토아키히로
마츠시타모토히코
시노하라마사유키
이케다마사아키
아오야마시게루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55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5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7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6Front illuminat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반사형 표시패널의 전면에 전방 조명장치를 설치한 반사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전방 조명장치 점등시의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그것을 위한 수단으로서 반사면(26)을 갖는 반사형 표시패널(22)의 전면에, 전방 조명장치(23)를 접착층(24)을 개재시켜 접착한다. 반사면(26)은 구면형상을 한 미세한 다수의 제1 패턴(33)과 전면이 경사진 미세한 다수의 제2 패턴(3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입사된 외광은 제1 패턴(33)으로 반사된 후, 표시로서 전방으로 출사된다. 전방조명장치(23)는 쐐기형상을 한 도광판(29)의 측면에 광원(30)을 마련한 것이며, 도광판(29)의 배면으로부터 반사형 표시패널(22)을 향해 비스듬히 광이 출사된다. 전방조명장치(23)로부터 반사형 표시패널(22)을 향해 비스듬히 출사된 광은 제2 패턴(34)에 의해 반사된 후 외광의 반사광과 거의 같은 방향(전방)으로 출사된다.

Description

반사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그것을 이용한 기기{APPARATUS OF REFLECTION TYPE DISPLA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PPLIAN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면(front side)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동시에 그 반사광을 각 화소마다 제어함으로서 문자 등을 표시하는 반사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그것을 이용한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액정표시장치와 같은 표시장치에는 크게 나누어 투과형과 반사형이 있다. 투과형 액정표시장치는 배면의 백라이트에 의해 액정표시패널을 조명하기 때문에 표시화면이 밝지만, 사용시에는 항상 백라이트를 점등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전력소비가 크다. 그 때문에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전화 등의 휴대기기에서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가 바람직하다고 고려되고 있다.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액정층의 배면에 반사면이 마련되어 있으며, 밝은 주위환경하에서는 액정표시장치의 화면에 입사된 외광(직사 일광이나 조명광 등의 주위로부터 오는 광)을 반사면에서 반사시키므로서 화면을 조명하므로 전력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또한, 반투과형과 완전반사형으로 나누어진다.
반투과형의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반사면에 다수의 미소한 창을 개구하는 동시에 반사면의 배후에 백라이트를 배치한 것으로서, 백라이트를 점등하면, 미소한 창(투과구멍)을 투과한 백라이트의 광으로 화면이 조명되므로 어두운 장소에서도 액정표시장치의 표시를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반투과형의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반사면에 다수의 창이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반사면에 있어서의 광반사 효율이 저하하고, 외광에 의해 사용될 때 화면이 어두워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완전반사형의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의 전면에 전방 조명장치를 마련하고 주위가 어두워 화면을 보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전방 조명장치에 의해 전면으로부터 화면을 조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반투과형과 같이 반사면에 다수의 창을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반사면에 있어서의 광반사 효율의 저하가 없고, 외광에 의해 화면을 조명하는 경우에도 밝은 화면을 얻을 수 있으며, 특히 휴대용 기기로 유망시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로부터의 완전반사형 액정표시장치(1)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이 완전반사형 액정표시장치(1)는 반사형 액정표시패널(2)의 전면에 전방 조명장치(3)를 배치한 것이다. 이 액정표시패널(2)은 표면에 반사면(5)이 형성된 기판(4)과 유리기판(6)과의 사이에 액정재료(7)를 넣고 밀봉한 것으로서, 입사광을 반사면에서 반사시켜 전방으로 출사시키거나 입사광을 흡수하여 전방으로 출사되지 않도록 하거나 하기 위한 조립이 각 화소마다 마련되어 있다. 전방 조명장치(3)는 투명한 도광판(8)의 측면에 냉음극관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원부(9)를 마련한 것이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광은 화살표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이하, 동일).
그리고, 이러한 완전반사형 액정표시장치(1)에 의하면 주위가 밝은 경우에는 전방 조명장치(3)를 소등시켜 놓는다. 이 때 전방 조명장치(3)를 투과하여 액정표시패널(2)에 입사한 직사 일광이나 조명광 등의 외광은 반사면(5)에 의해 반사된 후 완전반사형 액정표시장치(1)의 전면으로부터 출사되어 관찰자의 눈에 들어 간다. 한편 주위가 어두운 경우에는 전방 조명장치(3)를 점등시킨다. 이 때 광원부(9)로부터 출사된 광은 도광판(8)의 측면으로부터 도광판(8) 내부로 들어가고, 도광판(8)의 전면 및 배면에서 모든 반사를 반복하면서 도광판(8) 내부를 전파하고, 그 도중에 도광판(8)에 마련된 광학패턴(10)에 의해 광의 진로가 휘어져, 도광판(8)의 모든 반사 임계각보다도 작은 입사각으로 도광판(8)의 배면에 입사된 광이 도광판(8)의 배면으로부터 나와 액정표시패널(2)에 입사하고, 반사면(5)에 의해 반사된 후 완전반사형 액정표시장치(1)의 전면으로부터 출사되어 관찰자의 눈에 들어와 확인할 수 있다.
반사면(5)에는 요철형상의 확산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반사광의 지향각을 넓히고 표시화상의 보이는 범위를 넓히고 있다. 또한, 이러한 완전반사형 액정표시장치(1)의 사용상황을 고려하면, 외광이나 관찰자는 함께 완전반사형 액정표시장치(1)에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반사면의 반사특성은 외광을 정반사에 가까운 방향으로 확산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외광에 의해 화면을 보는 경우와 전방 조명장치(3)를 점등하여 화면을 보는 경우에서는 같은 방향에서 볼 수 있어야 함으로, 외광을 이용하였을 때의 전방 출사광과 전방 조명장치(3)를 이용하였을 때의 전방 출사광은 거의 평행이어야 한다. 게다가 종래의 완전반사형 액정표시장치(1)에서는 외광도 전방 조명장치(3)로부터의 조명광도 공통의 반사특성을 갖는 반사면(동일의 확산 패턴)으로 전방의 관찰자측으로 반사시키고 있기 때문에 전방 조명장치(3)의 조명광도 외광과 같은 방향으로부터 반사면 내지 액정표시패널(2)에 입사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방 조명장치(3)로부터의 광도 완전반사형 액정표시장치(1)의 전면과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되어야 한다. 그 때문에 종래의 전방 조명장치(3)에서는 도광판(8)의 전면에 쐐기모양을 한 미세한 광학패턴(10)을 마련하고 광학패턴(10)으로 모두 반사시킴으로서 도광판(8) 내를 전파하는 광을 반사면(5)에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변환하고, 외광의 입사방향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일치시켜 배면으로부터 액정표시패널(2)에 광을 출사시킨다.
전방 조명장치(3)를 이용한 종래의 액정표시장치(1)에서는 전방 조명장치(3)와 액정표시패널(2)의 사이에 공기층(11)이 존재하고 있으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조명장치(3)의 배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해당 공기층(11)과 전방 조명장치(3)의 계면이나 해당 공기층(11)과 액정표시패널(2)과의 계면에서 반사한다. 이것은 액정표시장치(1)의 표시에 기여하지 않는 광이므로 이하에 있어서는 무효한 광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전방 조명장치(3)의 조명광은 액정표시패널(2)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액정표시패널(2) 내에 입사하기 때문에 공기층(11)과 전방 조명장치(3)의 계면이나 공기층(11)과 액정표시패널(2)의 계면에서 반사한 무효한 광은 반사면(5)에서 반사된 표시용의 광(표시에 유효한 광)과 거의 같은 방향으로 출사된다. 이 때문에 표시용의 광과 함께 무효한 광이 관찰자의 눈에 들어 가게 되어 화면의 콘트라스트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방 조명장치(3)의 전면에는 광학패턴(10)이 마련되어 있으며, 더구나 이 광학패턴(10)은 공기와 접하고 있어 계면의 굴절율 차가 크기 때문에, 반사면(5)에서 반사된 후 다시 전방 조명장치(3)의 내부로 입사하고 전방 조명장치(3)의 전면으로부터 출사하려는 광 중에서, 구배가 급한 영역(12)(광학패턴(10)의 경계의 단차부분)으로 입사된 광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역(12)의 큰 영역에서 모두 반사하거나 크게 굴절하기도 하여 산란하기 쉽고, 전방 조명장치(3)의 투명성이 저하되었다(즉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표면에 확산판을 설치하고 있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사형 표시패널의 전면에 전방 조명장치를 설치한 반사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전방 조명장치 점등시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별도의 목적은 반사형 표시패널의 전면에 전방 조명장치를 설치한 반사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전방 조명장치에 의한 광의 확산을 억제하고, 전방 조명장치의 투명성을 높이는 데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반사형 표시장치는 제 1의 요철패턴 및 제 2의 요철패턴을 갖는 반사면을 구비한 반사형 표시패널과, 해당 반사형 표시패널의 전방에 배치된 전방 조명장치를 구비한 반사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 조명장치로부터 상기 반사형 표시패널로 입사하는 광은, 상기 반사형 표시패널에 입사하는 외광과는 다른 방향으로부터 반사형 표시패널로 입사하고, 상기 제 1의 요철패턴에서 반사된 상기 전방 조명장치로부터의 광과 상기 제 2의 요철패턴에서 반사된 외광이, 거의 동일한 반사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반사형 표시패널로서는 내부에 액정이 밀봉되고 액정의 특성을 이용하여 화상을 생성하는 소위 액정표시패널이 전형적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외광이란 전방 조명장치의 조명광 이외의 직사 일광이나 조명광 등의 주위로부터 오는 광을 말한다. 또한, 통상은 표시화면은 정면에서 보는 것이 상정되어 있기 때문에 외광은 반사형 표시장치의 전면에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입사하고, 반사면에서 반사된 외광도 전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전방 조명장치의 입사광은 반사형 표시패널의 전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입사하게 된다. 그러나 외광의 입사방향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반사형 표시패널의 전면으로부터 비스듬히 입사하여도 지장없다. 또한, 상기 외광을 반사하는 방향은 입사된 외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요철패턴을 비대칭형상으로 함으로서 상기 전방 조명장치로부터의 입사광을 반사하는 방향은 전방 조명장치로부터의 입사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요철패턴의 경사면을 조절함에 의해 각각 반사형 표시패널의 표면에 있어서의 외광의 정반사방향과는 다르게 할 수 있으며, 반사형 표시패널의 표면에서 정반사한 광에 의해 화상이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반사형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반사면에서 반사된 전방 조명장치로부터의 광과 반사면에서 반사된 외광이 거의 동일한 반사방향으로 출사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 조명장치를 이용하여 화면을 조사하고 있을 때와, 전방 조명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외광에 의해 화면을 조사하고 있을 때에 화면을 볼 수 있는 방향이 변화되지 않아, 같은 사용법을 유지할 수 있다. 더구나 이 반사형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전방 조명장치로부터 반사형 표시패널에 입사되는 광은 반사형 표시패널에 입사되는 외광과는 다른 방향으로부터 반사형 표시패널에 입사하기 때문에 전방 조명장치로부터 출사된 광이 전방 조명장치나 반사형 표시패널의 표면이나 내부에서 반사되어 표시에 기여하지 않는 무효한 광으로 되어도, 그 무효한 광은 표시용의 반사광과 같은 방향으로는 반사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사형 표시장치에 의하면 전방 조명장치의 반사광에 의해 화면의 콘트라스트가 저하되는 현상을 회피하고 화면을 보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전방 조명장치로부터의 광은 상기 반사형 표시 패널에 대해 비스듬하게 입사하고, 상기 외광은 상기 반사형 표시패널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입사하기 때문에, 외광과는 다른 방향으로부터 입사한 전방 조명장치의 반사면에 의한 반사광을, 반사면에서 반사한 외광과 거의 동일한 반사방향으로 출사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은 상기 반사형 표시패널의 반사면으로부터 분리하고 광원과 도광판으로 이루어지는 전방 조명장치의 배면에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서 요철패턴을 갖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패턴의 평균 경사면으로 세운 법선이, 반사면으로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상기 전방 조명장치의 광원방향으로 경사져있기 때문에, 광원측으로부터 비스듬히 입사한 전방 조명장치의 입사광을 전방을 향해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은 상기 반사형 표시패널의 반사면으로부터 분리하고, 광원과 도광판으로 이루어지는 전방 조명장치의 배면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기 반사면은 반사형 표시패널의 전면과 평행한 영역을 대부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전방으로부터 입사된 외광이 다시 전방으로 출사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반사면 이외에서의 반사에 의해 표시를 보기 어려운 전방으로의 반사광을 적게 하고, 그 만큼 외광의 반사광을 다른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것으로 화면을 밝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반사면상의 임의의 점에서, 평균 경사면으로 세운 법선이 반사면의 전방의 특정한 영역을 향하도록 형상을 변조시킴으로서 입사된 외광 및 전방 조명장치의 입사광의 반사광 휘도 중심축을 반사형 표시패널 전방의 특정한 위치에 수렴시킬 수 있으며 해당 위치에서 관찰할 수 있는 화상을 밝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기 전방 조명장치는 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입사된 광을 가두어 전파시키기 위한 도광판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광판의 배면에 있어서 모든 반사의 임계각보다도 작은 각도로 입사된 광은 도광판의 배면으로부터 비스듬한 방향으로 출사된다. 따라서 이러한 전방 조명장치를 이용함으로서 외광의 입사방향과 다른 방향으로부터 전방 조명장치의 광을 반사형 표시패널에 입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도광판은 광원으로부터 먼 끝이 광원 부근보다도 두께가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테이퍼를 지닌 도광판에서는 도광판 내에 감금된 광을 출사시키기 위하여 광학적 패턴을 도광판에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도광판에 의해서 출사광이 확산되는 일이 없고 전방 조명장치의 투명성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도광판의 전면 및 배면을 평활하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도광판 내에 감금된 광을 출사시키기 위하여 광학적 패턴을 도광판에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도광판에 의해 출사광이 확산되는 일이 없고 전방 조명장치의 투명성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기 전방 조명장치는 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해당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지향성을 제어하는 지향성 향상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지향성 향상부에 의해 제어함으로서 반사형 표시패널의 전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광을 입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반사형 표시패널의 전면에서 전방 조명장치의 광이 반사되어도 전방으로는 반사되는 일이 없고 반사광에 의한 화면의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도광판의 전면은 평활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는 광원으로부터 먼 측에서 도광판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한 패턴이 반복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광판 내에 감금된 광을 경사한 패턴에 의해 도광판의 배면으로부터 거의 균일하게, 또한, 비스듬한 방향으로 출사시킬 수 있다. 게다가 도광판의 전면은 평활하게 되어 있으며 경사한 패턴은 전면으로부터 보기 어렵기 때문에 전방 조명장치의 투명성이 저하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도광판의 배면은 상기 반사형 표시패널에 광학적으로 접착되어 있으며, 도광판과 반사형 표시패널 사이에는 굴절율이 공기의 굴절율보다도 크고 도광판의 굴절율보다도 작은 저굴절율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와 접하고 있는 도광판의 전면에 있어서의 모든 반사의 임계각보다도 저굴절율층과 접하고 있는 도광판의 배면에 있어서의 모든 반사의 임계각쪽이 커진다. 그 때문에 도광판의 내부를 전파하는 광은 도광판의 전면으로부터 출사되지 않고, 도광판의 배면으로부터 반사형 표시패널을 향하여 출사되도록 되어 광의 이용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도광판의 배면에 저굴절율층을 마련한 경우에는 광원에 가까운데서 전방 조명장치의 광이 누설되어 손실 되거나, 국부적으로 밝게 빛나는 경우가 있으나, 그와 같은 경우에는 광원에 가까운 영역에서는 광원에 가까와짐에 따라 도광판의 두께가 얇아지게 하면, 광원의 부근에 있어서의 광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반사형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기판상에 공급된 수지를, 미경화 또는 연화시킨 상태로, 반사면의 반전패턴을 갖는 스탬퍼와 기판 사이에 끼워 밀어누르고 상기 스탬퍼의 반전패턴을 해당 수지에 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서는 미경화의 수지를 기판상에 도포하여 스탬퍼와 기판 사이에 끼우는 방법과, 스핀코트에 의해 수지를 기판상에 도포한 후 일단 이것을 경화시켜 놓고 재가열에 의해 수지를 부드럽게 하여 스탬퍼와 기판 사이에 끼우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스탬퍼를 이용한 형 눌름에 의해 소정의 반사면을 효율적으로 양산할 수 있다. 특히 후자의 방법에서는 전사시간을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도 양산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별도의 반사형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기판상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공급하고, 반사면의 반전패턴을 갖는 스탬퍼와 기판 사이에 해당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끼운 상태로 해당 자외선 경화 수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상기 스탬퍼의 반전패턴을 해당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전사시키고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스탬퍼를 이용한 형 눌름에 의해 소정의 반사면을 효율적으로 양산할 수 있다. 더구나 자외선 경화 수지를 사용함으로서 성형후의 양생 시간이 필요 없어지므로 보다도 효율있는 반사면을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사형 표시장치는 휴대용의 기기, 예를 들면 휴대전화, 휴대용 정보단말, 휴대용 컴퓨터(노트북 퍼스널컴퓨터 등), 텔레비전 등에 사용하면, 전력 소비가 적고 화면의 콘트라스트의 높은 표시부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사형 표시장치를 이용한 표시부와, 해당 표시부에 접속된 전자회로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구성으로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반사방법은, 제 1의 요철패턴 및 제 2의 요철패턴을 갖는 반사면을 구비한 반사형 표시패널과, 해당 반사형 표시패널의 전방에 배치된 전방 조명장치를 구비한 반사형 표시장치의 광 반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방 조명장치로부터 상기 반사형 표시패널로 입사하는 광을, 상기 반사형 표시패널에 입사하는 외광과는 다른 방향으로부터 반사형 표시패널로 입사시키는 단계와,
제 1의 요철패턴에 입사하는 상기 전방 조명장치로부터의 광과, 제 2의 요철패턴에 입사하는 외광을, 거의 동일한 반사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상 설명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한 조합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완전반사형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완전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화면의 콘트라스트가 저하되는 이유를 설명하는 도.
도 3은 종래의 완전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투명성이 저하되는 이유를 설명하는 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반사형 표시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기략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반사형 표시장치에 이용되고 있는 전방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방 조명장치의 도광판 내를 전파하는 광의 거동을 도시한 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방 조명장치의 도광판 내를 전파하는 광이 별도의 거동을 도시한 도.
도 8은 반사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반사면을 구성하는 제1 패턴의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반사면을 구성하는 제2 패턴의 사시도.
도 11은 도 4의 반사형 표시장치에 입사된 외광의 거동을 도시한 도.
도 12는 도 4의 반사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광원부로부터 출사된 광의 거동을 도시한 도.
도 13의 (a), (b)는 도광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출사각과 퍼짐각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제1 패턴과 제2 패턴의 비율을 설명하는 도.
도 15는 정점 및 오목부가 무딘 제2 패턴을 도시한 개략도.
도 16의 (a) 내지 (d)는 반사면을 복제하기 위한 스탬퍼를 제작하는 공정을 도시한 도.
도 17(a) 내지 (d)는 상기 스탬퍼를 이용하여 2P법에 의해 반사면을 복제하는 공정을 도시한 도.
도 18의 (a) 내지 (d)는 도 16의 스탬퍼를 이용하여 엠보스(emboss)법에 의해 반사면을 복제하는 공정을 도시한 도.
도 19의 (a), (b)는 제1 패턴과 제2 패턴의 별도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0은 반사광 휘도 중심축을 특정 영역에 집중시키기 위한 반사면의 평균 경사각의 설계방법을 설명하는 도.
도 21은 반사광 휘도 중심축을 특정 영역에 집중시키기 위한 반사면의 평균경사각의 설계방법을 설명하는 도.
도 22는 반사면의 다른 요철패턴을 설명하는 도.
도 23은 반사면의 또 다른 요철패턴을 설명하는 도.
도 24는 반사면의 또 다른 요철패턴을 설명하는 도.
도 25는 패턴 변조한 요철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반사형 표시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26은 전방 조명장치의 별도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7은 전방 조명장치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8은 전방 조명장치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9은 전방 조명장치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0은 도29의 전방 조명장치의 작용설명도.
도 31의 (a), (b)는 전방 조명장치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
도 32의 (a)는 광원부의 부근에 있어서의 광의 누설을 설명하는 도. 도 32의 (b)는 점 P1에서의 도광각도 분포를 도시한 도.
도 33의 (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반사형 표시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33의 (b), (c)는 점 P2 및 P3에 있어서의 도광각도 분포를 도시한 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한 반사형 표시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의한 반사형 표시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반사형 표시장치를 이용한 휴대전화를 도시한 사시도.
도 37은 본 발명의 반사형 표시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정보단말을 도시한 사시도.
도 38은 본 발명의 반사형 표시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컴퓨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9는 본 발명의 반사형 표시장치를 이용한 텔레비전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반사형 표시장치 22 : 반사형 표시패널
23 : 전방 조명장치 24 : 접착층
26 : 반사면 29 : 도광판
30 : 광원부 33 : 제1 패턴
34 : 제2 패턴 35 : 경사면
51 : 도광방향 변환패턴 82 : 프리즘 시트
91 : 휴대전화 95 : 휴대용 정보단말
99 : 휴대용 컴퓨터 103 : 텔레비전
(제1 실시형태)
도 4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의한 반사형 표시장치(21)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반사형 표시장치(21)는 반사형 표시패널(22)의 전면에 광학용 투명수지로 이루어지는 접착층(24)을 개재시켜 전방 조명장치(23)를 접착한 것이다. 반사형 표시패널(22)은 전면에 반사면(26)이 형성된 기판(25)과 유리기판과 같은 투명기판(27)을 대향시키고 양 기판(25, 27) 사이에 액정재료와 같은 기능재료(28)를 밀봉한 것이다. 반사형 표시패널(22)은, 예를 들면 종래 예에서 설명한 액정표시패널이지만 액정표시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방 조명장치(23)는 도광판(29)과 광원부(30)로 이루어진다. 도광판(29)은 메타크릴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투명하고 굴절율이 높은 재료에 의해 성형되어 있으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변에서 두께가 얇고 다른쪽 변에서 두께가 두꺼운 쐐기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29)의 전면 및 배면은 모두 패턴이 없는 평활한 면으로 되어 있다. 광원부(30)는 도광판(29)의 두께가 두꺼운 측면을 따라 해당 측면과 대향하도록 배설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냉음극관과 같은 긴 치수를 갖는 광원(선형상 광원)(31)과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세드(32)로 이루어져 있다.
전방 조명장치(23)는 배면이 반사형 표시패널(22)과 평행하게 되도록 하고 도광판(29)보다도 굴절율이 작고 또한, 공기보다도 굴절율이 큰 접착층(24)에 의해 반사형 표시패널(22)의 전면에 광학적으로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방 조명장치(23)에 있어서는 광원부(30)로부터 출사된 광은 도광판(29)의 단면으로부터 도광판(29) 내로 들어가, 도광판(29)의 전면 및 배면에서 모든 반사를 반복하면서 두께가 두꺼운 측으로부터 두께가 얇은 측을 향하여 전파한다. 도광판(29)은 광원부(30)가 마련되어 있는 측에서 두께가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도광판(29)의 전면 및 배면에서 모두 반사할 때마다 그 전면 및 배면에 대한 입사각은 작아진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판(29)의 선단의 각도를 φ로 하면 도광판(29)의 배면에서 모두 반사하여 재차 도광판(29)의 배면에 입사할 때마다 광의 입사각은 2φ씩 작아진다. 그리고 모두 반사하여 재차 도광판(29)의 배면에 입사하는 광의 입사각이 도광판(29)의 배면에 있어서의 모든 반사의 임계각보다도 작아지면, 광은 도광판(29)의 배면으로부터 비스듬한 방향(예를 들면, 45° 이상의 출사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출사된다.
또한, 접착층(24)의 굴절율은 도광판(29)의 굴절율보다도 작고 공기의 굴절율보다도 크기 때문에 도광판(29)의 배면에 있어서의 모든 반사의 임계각은 도광판(29)의 전면에 있어서의 모든 반사의 임계각보다도 크고, 도광판(29) 내를 전파하는 광은 도광판(29)의 전면보다도 먼저 배면에서 입사각이 모든 반사의 임계각 이하가 된다. 그 때문에 도광판(29) 내를 전파하는 광의 대부분은 도광판(29)의 배면에서 출사된다. 또한, 도광판(29)과 접착층(24)의 계면이나 반사형 표시패널(22)과 접착층(24)의 계면에서 반사된 광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판(29)의 전면에서 모두 반사된 후, 도광판(29)의 배면으로부터 출사된다. 따라서, 이러한 전방 조명장치(23)에 의하면 전방 조명장치(23)의 광의 거의 전부가 반사형 표시패널(22)로 출사되어 종래와 같이 반사형 표시패널(22)에 입사하기 전에 전방으로 반사되어 무효한 광으로 되기 어렵고, 반사형 표시장치(21)의 화면 콘트라스트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전방 조명장치(23)의 광의 손실이 적어진다. 또한, 도광판(29)의 전면으로부터 누설되는 광(무효한 광)이 있다고 해도 아주 근소한데다가 표시용의 광과는 다른 방향으로 출사되므로 화면 콘트라스트를 저하시키지 않는다.
도 8은 반사형 표시패널(22)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반사면(26)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반사면(26)은 알루미늄이나 은 등의 반사율이 높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외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미소한 다수의 제1 패턴(33)과 전방 조명장치(23)의 조명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미소한 다수의 제2 패턴(34)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제1 패턴(33)과 제2 패턴(34)을 드문드문하게 도시하고있지만, 실제로는 광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 패턴(33)과 제2 패턴(34)은 빈틈 없이 배치되어 있다.
제1 패턴(33)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략 구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반사면(26)에 수직으로 입사된 광을 퍼짐을 갖게 하여 반사면(26)에 수직인 원래의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패턴(34)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이 경사면(35)으로 된 포스트형상을 하고 있으며, 경사면(35)은 거의 광원부(30)의 방향을 향해 경사되어 있다. 상세하게 기술하면, 전방 조명장치(23)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도광판(29)의 배면에 대하여 비스듬한 방향으로 출사되는데, 이 전방 조명장치(23)로부터 비스듬한 방향으로 출사된 광이 경사면(35)에서 반사되었을 때, 반사광이 반사형 표시장치(21)의 거의 수직전방으로 출사되도록 경사면(35)의 각도를 결정하고 있다. 또한, 제2 패턴(34)의 경사면 아래의 부분은 원주상(圓柱狀), 원추대상(圓錐台狀), 각주상(角柱狀) 등 임의의 형상이 허용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의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외광이 입사하면, 제1 패턴(33)에 입사된 광은 거의 수직으로 반사되는 동시에 ±α(±30° 이내)의 퍼짐을 가지고 전방으로 출사된다. 한편 제2 패턴(34)에서 반사된 외광은 경사 방향으로 반사되어 전방으로 출사되지 않기 때문에 이에 의해 반사형 표시장치(21)의 화면 콘트라스트를 저하시키는 일은 없다. 관찰자는 반사형 표시장치(21)를 비스듬히 보면 보기 어렵기 때문에 광을 ±30° 이내로 출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제1 패턴(33)에서 반사된 광에 퍼짐을 갖게 하여 반사형 표시장치(21)로부터의 출사광에 ±α의 퍼짐을 갖게 한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조명장치(23)의 배면으로부터 비스듬한 방향으로 출사된 광이 반사형 표시패널(22) 내에 입사하면 그 광중 제2 패턴(34)의 경사면(35)에서 정반사된 광은 반사형 표시장치(21)의 전방으로 거의 수직으로 출사된다. 이 때 전방으로 출사되는 광도 ±α 정도의 퍼짐을 갖게 된다. 이 퍼짐은 제2 패턴(34)에 의한 것이 아니고, 반사형 표시패널(22)의 배면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퍼짐에 의한 것이다. 즉, 출사광의 퍼짐을 ±30° 이내로 하기 위해서는 도광판(29)으로부터 비스듬한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의 퍼짐도 ±30° 이내로 하여 둘 필요가 있다. 반사형 표시패널(22)의 배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방향 및 퍼짐은 도광판(29)의 선단의 각도 φ와 도광판(29) 및 접착층(24)의 굴절율에 의해 결정된다.
도 13의 (a), (b)는 도광판(29)의 배면에 입사되는 광의 거동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3의 (a)는 도광판(29)과 접착층(24)의 굴절율의 차 △n이 비교적 작은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3(b)는 도광판(29)과 접착층(24)의 굴절율의 차 △n이 비교적 큰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29)의 배면에서의 모든 반사의 임계각을 θ2로 할 때 도광판(29)의 배면에는 입사각이 θ2-2φ보다도 큰 광이 입사한다. 이것은 도광판(29)의 배면에서 전회에 모두 반사한 광은 출사각이 θ2 이상의 광이며, 이 광이 도광판(29)의 전면에서 모두 반사함으로서 입사각이 2φ만큼 작게 되기 때문에 도광판(29)의 배면에는 θ2-2φ보다도 큰 입사각의 광이 입사된다. 그 광중 모든 반사의 임계각 θ2보다도 입사각이 작은 광만이 배면에서 출사되기 때문에 도광판(29)의 배면에서 출사되는 광은 입사각이θ2-2φ 이상 θ2 이하의 광이다. 이 중 모든 반사의 임계각 θ2으로 입사된 광은 도광판(29)의 배면과 거의 평행하게 출사된다. 또한, θ2-2φ의 입사각의 광이 도광판(29)의 저면에 대하여 2ν의 방향으로 출사된다고 하면, 도광판(29)의 저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퍼짐 각은 거의 ±ν로 된다. 모든 반사의 임계각 θ2는 도광판(29)과 접착층(24)의 굴절율의 차△n이 클수록 작아지기 때문에 도 13의 (a)과 같이 굴절율의 차 △n이 작은 경우에는 출사하는 광의 퍼짐각 ±ν은 좁아지고, 도 13(b)과 같이 굴절율 n이 큰 경우에는 출사하는 광의 퍼짐각 ±ν은 넓어진다. 도광판(29)의 저면으로부터 나가는 광의 출사각 β은 β-2γ로 표시되기 때문에, 출사각 β가 커질수록 광의 퍼짐각 ±γ은 작아지고, 일반적으로 출사광의 퍼짐각을 ±30° 이내로 해 놓기 위해서는 출사각 β은 4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사형 표시패널(22)의 배면으로부터 비스듬히 출사된 광의 일부는 제1 패턴(33)에서 반사되고 그 중의 일부는 전방으로 출사되지만, 그 비율은 근소하므로 콘트라스트를 저하시킬 우려는 없다. 또한, 도광판(29)의 배면으로부터 비스듬히 출사되는 광의 지향성이 높은 경우에는 제2 패턴(34)의 경사면(35)을 곡면으로 하여 출사광의 퍼짐을 크게 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외광에 의한 경우도 전방 조명장치(23)를 이용한 경우도, 표시용의 광은 같은 방향(거의 전방으로)으로 출사되고, 또한, 같은 정도의 퍼짐 (±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외광에 의한 경우도 전방 조명장치(23)를 쓰는 경우도 동등한 시인성을 얻을 수 있고 위화감이 없다. 더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무효한 광에 의해 콘트라스트를 저하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양호한 시인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반사형 표시장치(21)에서는 도광판(29)의 전면에도 배면에도 패턴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 예와 같이 출사광이 전방 조명장치(23)에서 확산하여 전방 조명장치(23)의 투명성이 나빠지는 경우도 없다.
다음에, 제1 패턴(33)과 제2 패턴(34)과의 관계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패턴(34)은 외광에 있어서는 무효한 광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외광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2 패턴(34)은 될 수 있는 한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제2 패턴(34)의 개수(밀도)는 제1 패턴(33)의 개수(밀도)보다도 적게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4에서는 제1 패턴(33)을 90%, 제2 패턴(34)을 10%의 비율로 마련되어 있다.
도 14와 같이 제2 패턴(34)의 비율이 10%인 경우를 고려하면 제2 패턴(34)에서 반사됨으로서 손실이 되는 외광은 약 10%이고, 반사형 표시장치(21)의 화면은 완전반사형 액정표시장치와 비교하여도 약간 어둡게 되는 것에 불과하다. 또한, 전방 조명장치(23)의 광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제2 패턴(34)이 10% 밖에 없어도 전방 조명장치(23)의 광은 비스듬히 출사되고 있기 때문에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제로는 전방 조명장치(23)의 광의 20 내지 30%(전방 조명장치(23)의 광의 각도와 제2 패턴(34)의 밀도에 따라서는 100%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를 전방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외광과 전방 조명장치(23)의 밝기와 지향성(퍼짐)을 고려하면 전방 조명장치(23)의 광의 20 내지 30%의 광이 전방으로 반사되면 실용적으로는 충분하다.
또한, 제1 패턴(33)과 제2 패턴(34)의 비율은 상기와 같은 9:1이라는 비율에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전방 조명장치(23)의 밝기나 사용 환경 등에 의해 적절히 변경되는 것이다. 또한, 도 15에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삼각파형상 등을 한 요철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그 형성법에 따라서는 정점이나 오목부의 각도를 반드시 예각으로 할 수 없어, 도 15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의 개소가 완만한 면으로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이용하여 경사면을 제2 패턴(34)으로서 이용하여 완만하게 된 정점 및 오목부를 제1 패턴(33)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요철패턴으로서, 표면이 경사면으로 된 제2 패턴(34)만을 마련하여도 실제로는 제1 패턴(33)과 제2 패턴(34)의 동작을 시킬 수 있고, 제2 패턴만의 구성으로도 실용적으로는 충분하다.
또한, 제1 패턴(33)과 제2 패턴(34)은 광의 간섭에 의한 채색을 막기 위해 랜덤하게 배치되어 있다.
(반사면의 제작방법)
다음에, 소위 2P(Photo-Polymerization)법에 의해 기판(25)의 표면에 반사면(26)을 제작하는 방법을 도 16 및 도 17에 의해 간결하게 설명한다. 이 방법에서는 스탬퍼라고 불리는 반사면(26)의 금형을 제작하고 이 스탬퍼로 반사면을 대량으로 복제한다.
우선 스탬퍼의 제작방법부터 설명한다. 기판(36)을 준비하고 그 위에 전자빔 레지스트(37)를 도포한다[도 16의 (a)]. 계속해서 전자빔 노광에 의해 패턴화된 전자빔 레지스트(37)를 연화시켜 소정의 반사면 형상으로 하고, 원반(原盤)(38)을 제작한다[도 16의 (b)]. 다음에, 전주법(電鑄法)에 의해 니켈 등의 스탬퍼 재료를 원반(38) 위에 퇴적시키고, 니켈 스탬퍼(39)를 제작한다[도 16의 (c)]. 이 후 스탬퍼(39)와 원반(38)을 분리하여 스탬퍼(39)를 얻는다 [도 16의 (d)]. 이 스탬퍼(39)는 반사면의 패턴이 반전된 형상의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반사면(26)을 복제하기 위한 금형이 된다.
다음에 스탬퍼(39)를 이용하여 2P법에 의해 반사면을 복제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투명한 기판(25)을 준비하고 기판(25) 위에 자외선 감광성 수지(소위, UV경화수지)(40)를 적하하고 위에서 스탬퍼(39)를 경화시킨다[도 17의 (a)]. 다음에, 기판(25) 위의 자외선 감광성 수지(40)를 스탬퍼(39)와 기판(25) 사이에 끼워 밀어누르고 자외선 감광성 수지(40)를 기판(25)과 스탬퍼(39) 사이로 넓히고 기판(25)의 아래쪽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한다[도 17의 (b)]. 이 때 기판(25)을 투과한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감광성 수지(40)가 경화한다. 경화 후 자외선 감광성 수지(40)과 함께 기판(25)을 스탬퍼(39)로부터 박리한다[도 17의 (c)]. 이 박리한 자외선 감광성 수지(40)에는 반사면(26)의 패턴이 전사되어 있다. 계속해서 스퍼터링법 등을 이용하여 자외선 감광성 수지(40)의 표면을 알루미늄이나 은 등의 피막(41)으로 덮어 반사면(26)을 형성한다[도 17의 (d)]. 이 방법에 의하면 반사면(26)을 양산할 수 있다.
도 18은 반사면(26)의 별도인 제작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이것은 엠보스법으로 반사면(26)을 제작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고 있다. 이 방법에서는 기판(25)(투명하지 않아도 좋다) 위에 수지(예를 들면, 아크릴수지)(42)를 스핀코트로 거의 균일하게 도포한다[도 18의 (a)]. 계속해서 수지(42)를 일단 경화시킨 후 재가열에의해 수지를 유연하게 한 후 위에서 스탬퍼(39)로 수지(42)를 밀어누르고, 기판(25)과 스탬퍼(39)의 사이에 수지(42)를 끼워 수지(42)에 스탬퍼(39)의 패턴을 전사시킨다[도 18의 (b)]. 가열 또는 방치에 의해 수지(42)가 경화하면 수지(42)로부터 스탬퍼(39)를 벗기면 경화한 수지(42)의 표면에는 스탬퍼(39)에 의해 반사면(26)의 패턴이 전사되어 있다[도 18의 (c)]. 계속해서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수지(42)의 표면을 알루미늄 또는 은의 피막(43)으로 덮어 반사면(26)을 형성한다[도 18의 (d)]. 이 방법에 의해서도 반사면(26)을 양산할 수 있다.
(반사면의 변형예)
다음에,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해 기술한다. 도 19는 반사면(26)의 패턴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1 패턴(33) 및 제2 패턴(34)이 모두 반사형 표시패널(22)의 전면과 평행한 평면(이하, 평행평면이라고 부른다)을 갖지 않도록 한 것이다. 즉, 도 9에 도시한 제1 패턴(33)에서는 반사형 표시패널(22)의 전면과 평행한 접평면을 갖는다. 이에 대하여 도 19의 (a)에 도시한 제1 패턴(33)에서는 전체로서는 거의 구면형상을 하고 있으나, 선단이 뾰족하기 때문에 반사형 표시패널(22)의 전면과 평행한 접평면(평행평면)을 갖지 않는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제2 패턴(34)에서도, 원래 반사형 표시패널(22)의 전면과 평행한 평면을 갖지 않기 때문에 도 19의 (b)에 도시한 제2 패턴(34)은 도 10에 도시한 제2 패턴(34)과 같은 것이다.
전방 조명장치(23)의 전면은 경사져 있지만 그 경사는 작게 설정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반사형 표시장치(21)의 전면을 보호하기 위해 전방 조명장치(23)의 전방에 유리나 플라스틱 등의 투명판을 두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전방으로부터 수직으로 입사된 외광이 전방 조명장치(23)의 전면이나 투명판에서 반사하면 수직 전방을 향해 반사된다. 한편 제1 패턴(33)이 평행평면을 가지고 있으면 전방으로부터 수직으로 입사된 외광이 제1 패턴(33)의 평행평면에서 반사하고 그 외광은 전방을 향해 반사된다. 이 결과, 제1 패턴(33)의 평행평면에서 반사한 외광과 투명판에서 반사한 외광은 반사방향이 일치하고, 화면의 콘트라스트를 저하시키기 때문에 바로 정면에서는 시인성이 저하한다. 또한, 정반사방향에서 반사형 표시장치(21)를 보면 눈이 부셔서 불쾌하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제2 패턴(34)에서 반사면(경사면(35)) 이외를 구성하는 면은 반드시 상기 반사형 표시장치 표면에 대하여 수직일 필요는 없다.
이 때문에 보통 관찰자는 정반사방향에서는 반사형 표시장치(21)를 보지 않기 때문에 정반사방향으로 출사하는 광은 낭비로 되어 있다. 그래서 이 변형예의 것과 같이 평행평면을 없애고 바로 정면으로 광을 출사시키지 않도록 하면, 그만큼 시인하는 각도로 출사되는 광의 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화면을 보다 밝게 할 수 있다.
또한, 요철패턴의 평균 경사면(제1 패턴(33) 및 제2 패턴(34)의 토털 평균 경사면)에 세운 법선을 반사면(26)의 전방의 특정한 영역을 향해 두면, 입사 후에 반사면(26)에서 반사된 외광 및 전방 조명장치(23)로부터 입사하여 반사면(26)에서 반사된 광의 각 반사광 휘도 중심축을 반사형 표시패널(22) 전방의 특정 위치에 수렴시켜, 해당 특정 위치에서 관찰되는 화상을 밝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면(26)상의 임의의 점 P를 특정 위치로 하고, 점 P를 지나는 반사면(26)의 법선(58)상에서, 반사면(26)으로부터 거리 L만큼 떨어진 점을 관찰자시점 O으로 하고, 반사면(26)상에서 점 P에서 거리 d만큼 떨어진 점을 Pa로 한다. 여기서 임의의 점 Pa에서 평균 경사면(56)에 세운 법선(57)의 경사가 반사면(26)에 세운 법선(58)으로부터 점 P(또는 관찰자 시점 O)측으로,
θ= (1/2)arctan(d/L) …(2)
만큼 경사되도록 각 점 Pa에서의 평균 경사면을 설계해 두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에서 입사하여 반사면(26)에 의해 반사된 광의 휘도 중심축을 관찰자 시점 O에 수렴시킬 수 있으며, 관찰자 시점 O에서 밝은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찰자의 시점 O이 반사면(26)상의 점 P를 지나는 법선(58)상에 없는 경우, 평균 경사면(56)의 경사각도 θ는 관찰자 시점 O에서 반사면(26)에 내리게 한 수선(59)과 반사면(26)과의 교점을 Pb로 하고, 반사면(26)상의 임의의 점 Pa와의 거리를 g라고 하면, 점 Pa에서 평균 경사면(56)에 세운 법선(57)의 경사 θ가,
θ= (1/2)arctan(g/L) …(3)
이 되도록 함으로서 시점 O으로 수렴할 수 있는 평균 경사면(56)의 법선(57)의 경사 각도 θ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특정위치 P는 1점에 한하지는 않고 복수의 점이라도 관계없다.
또한, 제1 패턴(33)과 제2 패턴(34)의 형상에 서로 다른 변조를 시행하여 반사면(26)상의 동일점에서 제1 패턴(33)의 평균 경사면으로 세운 법선의 각도와 제2패턴(34)의 평균 경사면으로 세운 법선의 각도를 다르게 하여 서로 다른 방향에서 입사되는 외광과 전방 조명장치(23)로부터의 광을 동일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동시에 외광과 전방 조명장치(23)로부터의 광에 관해 각각 반사광의 휘도 중심축이 특정 위치에 집광하도록 하여 양쪽의 반사광의 휘도 중심축이 특정 위치에 집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반사면(26)의 평균 경사면은 똑같은 면에 의한 것이라고 한정되지 않고,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같은 높이로 피치가 다른 변조패턴으로서도 좋고,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같은 피치로 높이가 다른 변조패턴으로서도 좋으며, 또한, 도 22, 도 23에 도시한 변조패턴을 조합하여 도 24에 도시한 반사면(26)과 같이 요철패턴의 경사각도를 변조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반사면의 요철패턴은 반사면상에 랜덤하게 배치하여도 좋고, 그에 따라서 반사형 표시패널의 화소 패턴에 의한 무아레(moire) 줄무늬 등의 화상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단지 각 요철패턴의 평균 경사면의 법선의 경사각도 θ는 요철패턴의 위치에 따라 상기 (2)식 등에 의해 결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평균 경사면을 기울임으로서 생기는 도 22 내지 24중 연직인 면은 반드시 연직이 아니라도 좋다.
또한,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패턴(33)을 비대칭형상으로 함에 따라 비스듬히 입사되는 외광의 반사방향을 조정하고, 또한, 제2 패턴(34)의 경사면의 각도를 최적화 함으로서 전방 조명장치(23)로부터의 입사광을 반사하는 방향을 조정하면, 임의의 방향으로부터 입사되는 외광과 전방 조명장치(23)로부터의 입사광을 반사형 표시패널 표면에 있어서의 외광의 정반사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정돈하여 반사킬 수 있으며, 정반사광에 의해 화상이 보이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방 조명장치의 변형예)
도 26은 전방 조명장치(23)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의 전방 조명장치(23)에서는 광원부(30)로서 선상광원을 도광판(29)의 1변에 대향시켜 배치했지만, 이 전방 조명장치(23)에서는 LED 등의 발광소자(44)를 이용한 광원부(30)(소위 점광원)를 도광판(29)의 모서리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광원부(30)를 도광판(29)의 모서리에 배치함으로서 도광판(29)은 광원부(30)와 대응하는 모서리에서 두께가 가장 두텁고 광원부(30)의 배치된 모서리에 대하여 대각 방향으로 위치하는 모서리에서 두께가 가장 얇아지도록 쐐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점광원상의 광원부(30)를 도광판(29)의 1변의 중앙부에 배치하여도 지장이 없다.
또한, 전방 조명장치(23)의 도광판(29)은 광원부(30)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얇아지도록 테이퍼가 부여되어 있으면, 상기한 바와 같이 배면측에서의 출사광을 비스듬하게 하여 화면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쐐기형상을 한 도광판(29)의 두께가 얇은 측의 단부가 두께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형상으로 하면 도광판(29)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광의 손실이 발생하지만 선단부의 강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판(29)의 표면을 곡면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도광판(29)의 표면을 적당한 곡면으로 함으로서 면 내의 휘도 얼룩을 없앨수 있다. 도 28에서는 도광판(29)의 표면을 오목면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볼록면으로 되어 있어도 좋고, 오목면 및 볼록면을 조합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곡면은 구면 타원면 원추면 또는 2차함수나 대수함수의 곡선을 회전함으로서 얻어지는 면 또는 그 일부라도 좋다.
또한,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판(29)의 배면에 톱니형상의 패턴(45)을 마련한 것이라도 좋다. 이와 같은 도광판(29)이라도 배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출사방향을 비스듬하게 하여 화면의 콘트라스트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광판(29)의 배면에 패턴(45)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반사면(26)에서 반사한 광은 구배가 급한 영역(46)으로 확산되지만,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판(29)의 배면은 접착층(24)에 접하고 있기 때문에 공기층과 접하고 있는 경우보다도 배면에 있어서의 굴절율 차가 작고, 구배가 급한 영역(46)에서도 광은 크게 구부러지지지 않고, 그 확산성은 대폭 저하한다. 따라서 도광판(29)과 접착층(24)의 굴절율 차를 작게 설정하면 패턴을 도광판(29)의 전면에 마련한 경우와 비교하여 반사형 표시장치(21)의 투명성은 거의 저하하지 않는다.
또한, 도 31의 (a), (b)는 또 다른 구조의 전방 조명장치(23)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이 전방 조명장치(23)는 점모양의 광원을 선모양 광원으로 변환한 광원부(30)를 이용하고 있다. 즉 쐐기형상을 한 투명한 도광체(47)의 단면에 LED 등의 발광소자(48)(점광원)를 대향시키고, 발광소자(48)의 주위를 세드(49)로 덮는 동시에 도광체(47)의 배면에 반사시트(5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광원부(30)와 대향하는 도광판(29)의 변에는 프리즘형상을 한 도광방향변환패턴(51)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전방 조명장치(23)에 있어서는 도 3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소자(48)로부터 출사된 광은 도광체(47)의 단면에서 도광체(47) 내에 도입되고, 도광체(47)의 표면과 이면 사이에서 모두 반사하면서 도광체(47) 내를 전파한다. 도광체(47) 내를 전파하는 광중 도광체(47)의 표면에 모든 반사의 임계각보다도 작은 각도로 입사된 광은 도광체(47)의 표면으로부터 비스듬히 출사된다. 또한, 도광체(47)의 이면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반사시트(50)에서 반사되어 다시 도광체(47)의 내부로 되돌아간다. 이렇게 해서, 발광소자(48)로부터 출사된 광은 도광체(47)의 표면으로부터 모든 길이에 걸쳐 비스듬히 출사된다. 광원부(30)로부터 비스듬히 출사된 광은 도광방향 변환패턴(51)으로부터 도광판(29)의 내부로 입사하고, 그 때 도광방향 변환패턴(51)에서 광의 진행방향이 굴절되어, 도광판(29)의 내부에서는 광은 도광판(29)의 변과 평행하게 도광된다,
(제2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와 같이 도광판(29)의 배면 전체를 접착층(24)에 의해 반사형 표시패널(22)에 접착하는 경우에는 접착층(24)의 굴절율이 공기의 굴절율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도광판(29)의 배면에서의 모든 반사의 임계각이 커지고, 광원부(30) 부근에서 광이 필요 이상으로 출사할 우려가 있다. 즉, 도광판(29)과 공기의 계면에 잇어서의 모든 반사의 임계각을 θ1, 도광판(29)과 접착층(24)의 계면에 있어서의 모든 반사의 임계각을 θ2(> θ1)이라고 할 때 도 3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판(29)의 측면으로부터 도광판(29) 내로 입사된 광의 퍼짐은 ±θ1이 된다. 그리고 도광판(29)에 입사된 광은 90°- θ1보다도 큰 입사각으로 도광판(29)의 배면에 입사한다. 따라서 다음 (1)식을 충족시킬 때에 광의 누설이 생긴다.
θ2 > 90°-θ1
즉, θ1 + θ2 > 90° …(1)
따라서 (1)식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는 광원부(30) 부근에서 광의 누설이 생긴다. 즉, 도 32의 (b)의 빗금을 친 영역의 광이 누설되어 손실로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광원부(30)의 광의 손실이 커지는 동시에 광원부(30) 부근에서 도광판(29)이 밝게 빛난다.
도 33의 (a)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의한 반사형 표시장치(61)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로서, 광원부(30)의 부근에 있어서의 광의 누설을 작게 하고 있다. 이 반사형 표시장치(61)에서는 도광판(29)의 광원부(30)에 인접하는 영역(62)을 접착층(24)보다도 외측으로 배치하여 공기층과 접하도록 하고, 모든 반사의 임계각 θ2을 크게하고, 광의 누설을 작게 하고 있다. 또한, 광원부(30)에 인접하는 영역(62)에 있어서는 광원부(30)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도광판(29)의 두께가 점차로 두텁게 되도록 테이퍼를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도 33의 (b)와 같이 점 P2에서는 접착층(24)과의 계면에 있어서의 모든 반사의 임계각보다도 밖으로 퍼져 있던 광의 분포가, 영역(62)으로 도광한 후는 도 33의 (c)와 같이 점 P3에서는 접착층(24)과의 계면에 있어서의 모든 반사의 임계각보다도 좁은 범위로 모인다. 따라서 이 광이 접착층(24)과의 계면에 도달하여도 접착층(24)과의 계면으로부터 누설하지 않고, 그 후 앞에서 쐐기형상으로 얇아진 영역에서 모든 반사를 반복함에 따라 조금씩 접착층(24)과의 계면으로부터 출사된다.
(제3 실시형태)
도 3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반사형 표시장치(71)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이 반사형 표시장치(71)에서는 전방 조명장치(23)의 배면을 반사형 표시패널(22)에 접착하지 않고, 전방 조명장치(23)의 배면과 반사형 표시패널(22) 사이에는 공기층(72)이 개재하고 있다. 이러한 반사형 표시장치(71)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비교하여 광의 이용 효율이 내려갈 우려가 있지만, 전방 조명장치(23)의 배면으로부터 비스듬히 광을 출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는 수 있고, 화면 콘트라스트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패턴이 없는 도광판(29)을 이용하면, 광의 확산도 없기 때문에 전방 조명장치(23)의 투명성도 양호하게 된다. 또한, 접착층이 필요없기 때문에 비용을 내릴 수 있고 또한, 열에 의한 접착제의 변질이나 박리 등의 문제도 없어지므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29와 같은 이면에 패턴을 갖는 도광판(29)을 이용한 경우, 접착층이 없기 때문에 제1 실시형태에서 도 29와 같은 도광판(29)을 이용한 경우와 비교하면, 확산이 커져 투명성이 저하한다. 그러나 접착층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도, 패턴이 이면측에 있기 때문에 전면에 패턴이 형성된 도광판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패턴을 보기 어렵고, 투명성은 개선된다,
(제4 실시형태)
도 3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반사형 표시장치(81)를 도시한개략 단면도이다. 이 반사형 표시장치(81)에서는 도광판을 이용하지 않고 광원부(30)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광원(선장광원)(31)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형 표시패널(22)의 전면을 향해 비스듬히 출사하고 있다. 이 때 광원부(30)로부터의 광을 반사형 표시패널(22)에 균일하게 조사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광원(31)의 전면에 프리즘시트(82)를 설치해 두고, 광원(31)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프리즘시트(82)로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굴절시켜 반사형 표시패널(22)의 전면을 향하여 비스듬히 출사시키는 동시에 프리즘시트(82)에 의해 광원(31)으로부터의 광의 지향성을 올려, 균일하게 조사시키고 있다. 광원(31)(전방 조명장치(23))으로부터 비스듬히 출사된 광은 반사형 표시패널(22)에 입사할 때 굴곡하여 비스듬하게 진입하고, 제2 패턴(34)에서 반사되어 전방으로 출사된다. 또한, 전방으로부터 입사된 외광은 제1 패턴(33)에서 반사되어 다시 전방으로 출사된다.
이러한 반사형 표시장치(81)에서도, 반사형 표시패널(22)로 비스듬히 광을 입사시키기 때문에 반사형 표시패널(22)의 표면에서 반사된 광(무효한 광)은 역시 비스듬히 반사되어 전방으로는 출사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의 반사형 표시장치(81)에서도 반사광에 의해 화면의 콘트라스트가 저하되는 것이 없어진다. 또한, 반사형 표시패널(22)의 전방에 광학적인 패턴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화면의 투명성이 저하되는 일도 없다.
(반사형 표시장치를 이용한 기기)
도 36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의한 휴대전화(91)로서 표시부(92), 다이얼(93), 안테나(94)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 표시부(92)로서 본 발명의 반사형표시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에 의해 콘트라스트가 높고, 투명감이 높은 표시부를 얻을 수 있다.
도 37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의한 휴대용 정보단말(95)로서 표시부(96), 입력부(97), 커버(98)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 표시부(96)로서 본 발명의 반사형 표시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에 의해 콘트라스트가 높고 투명감이 높은 표시부를 얻을 수 있다.
도 38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의한 노트북 퍼스널컴퓨터 등의 휴대용 컴퓨터(99)로서 표시부(100), 키보드(101),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102)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 표시부(100)로서 본 발명의 반사형 표시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에 의해 콘트라스트가 높고 투명감이 높은 표시부를 얻을 수 있다.
도 39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의한 텔레비전(수상기)(103)으로서 표시부(104), 안테나(105), 선국부(106)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 표시부(104)로서 본 발명의 반사형 표시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에 의해 콘트라스트가 높고 투명감이 높은 표시부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사형 표시장치에 의하면 반사면에서 반사된 전방 조명장치로부터의 광과 반사면에서 반사된 외광이 거의 동일한 반사방향으로 출사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전방 조명장치를 이용하여 화면을 조사하고 있을 때와, 전방 조명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외광에 의해 화면을 조사하고 있을 때에 화면을 볼 수 있는 방향이변화되지 않고, 같은 사용법을 유지할 수 있다. 더구나 이 반사형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전방 조명장치로부터 반사형 표시패널에 입사되는 광은 반사형 표시패널에 입사되는 외광과는 다른 방향으로부터 반사형 표시패널에 입사하고 있기 때문에 전방 조명장치로부터 출사된 광이 전방 조명장치나 반사형 표시패널의 표면이나 내부에서 반사되어 표시에 기여하지 않는 무효한 광으로 되어도 그 무효한 광은 표시용의 반사광과 같은 방향으로는 반사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사형 표시장치에 의하면 전방 조명장치의 반사광에 의해 화면의 콘트라스트가 저하되는 현상을 회피하고 화면을 보기 쉽게 할 수 있다.

Claims (22)

  1. 제 1의 요철패턴 및 제 2의 요철패턴을 갖는 반사면을 구비한 반사형 표시패널과, 해당 반사형 표시패널의 전방에 배치된 전방 조명장치를 구비한 반사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 조명장치로부터 상기 반사형 표시패널로 입사하는 광은, 상기 반사형 표시패널에 입사하는 외광과는 다른 방향으로부터 반사형 표시패널로 입사하고, 상기 제 1의 요철패턴에서 반사된 상기 전방 조명장치로부터의 광과 상기 제 2의 요철패턴에서 반사된 외광이, 거의 동일한 반사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조명장치로부터의 광은 상기 반사형 표시 패널에 대해 비스듬하게 입사하고, 상기 외광은 상기 반사형 표시패널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입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표시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반사형 표시패널의 전면과 평행한 영역을 대부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표시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패턴의 평균 경사면으로 세운 법선은 반사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상기 전방 조명장치의 광원방향으로 경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표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에서 반사된 상기 전방 조명장치로부터의 광의 휘도 중심과 상기 반사면에서 반사된 외광의 휘도 중심이 상기 반사형 표시패널 전방의 소정 위치에 집광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표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조명장치는 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입사된 광을 가두어 전파시키기 위한 도광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표시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조명장치는 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해당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지향성을 제어하는 지향성 향상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표시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광원으로부터 먼 끝이 광원 부근보다도 두께가 얇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표시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전면 및 배면이 평활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표시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전면은 평활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는 광원으로부터 먼 측에서 도광판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한 패턴이 반복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표시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배면은 상기 반사형 표시패널에 광학적으로 접착되어 있으며,도광판과 반사형 표시패널과의 사이에는 굴절율이 공기의 굴절율보다도 크고 도광판의 굴절율보다도 작은 저굴절율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표시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광원에 가까운 영역에서는 광원에 가까와짐에 따라 도광판의 두께가 얇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표시장치.
  14. 제 1항에 기재된 반사형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판상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공급하는 단계와,
    반사면의 반전패턴을 갖는 스탬퍼와 기판과의 사이에 해당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끼운 상태로 해당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탬퍼의 반전패턴을 해당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전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5. 제 1항에 기재된 반사형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판상에 공급된 수지를 미경화 또는 연화시킨 상태로 반사면의 반전패턴을 갖는 스탬퍼와 기판과의 사이에 끼워 밀어누르는(押壓)단계와,
    상기 스탬퍼의 반전패턴을 해당 수지에 전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형 표시패널은 내부에 액정이 밀봉되고 액정의 특성을 이용하여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표시장치.
  17. 송신처를 설정하기 위한 다이얼부와, 제 1항에 기재된 반사형 표시장치를 이용한 표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18. 데이터 내지 지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제 1항에 기재된 반사형 표시장치를 이용한 표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
  19. 입출력수단과, 제 1항에 기재된 반사형 표시장치를 이용한 표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20. 선국수단과, 제 1항에 기재된 반사형 표시장치를 이용한 표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21. 제 1항에 기재된 반사형 표시장치를 이용한 표시부와, 해당 표시부에 접속된 전자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2. 제 1의 요철패턴 및 제 2의 요철패턴을 갖는 반사면을 구비한 반사형 표시패널과, 해당 반사형 표시패널의 전방에 배치된 전방 조명장치를 구비한 반사형 표시장치의 광 반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방 조명장치로부터 상기 반사형 표시패널로 입사하는 광을, 상기 반사형 표시패널에 입사하는 외광과는 다른 방향으로부터 반사형 표시패널로 입사시키는 단계와,
    제 1의 요철패턴에 입사하는 상기 전방 조명장치로부터의 광과, 제 2의 요철패턴에 입사하는 외광을, 거의 동일한 반사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표시장치의 광 반사방법.
KR10-2001-0081762A 2000-12-28 2001-12-20 반사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그것을 이용한 기기 KR1004317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402942 2000-12-28
JPJP-P-2000-00402942 2000-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376A KR20020055376A (ko) 2002-07-08
KR100431759B1 true KR100431759B1 (ko) 2004-05-17

Family

ID=18867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1762A KR100431759B1 (ko) 2000-12-28 2001-12-20 반사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그것을 이용한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1220015A3 (ko)
KR (1) KR1004317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6076A (ko) * 2003-05-02 2006-01-18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확산 반사 디스플레이를 위한 프론트 광
KR100697181B1 (ko) * 2006-01-18 2007-03-22 주식회사 칸라이팅 난반사면에 의한 후광 기능을 갖는 천정용 조명등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8787A (en) * 1990-12-07 1992-07-07 At&T Bell Laboratories Lcd display with multifaceted back reflector
JP3381133B2 (ja) * 1996-11-21 2003-02-24 オムロ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3694138B2 (ja) * 1997-02-20 2005-09-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反射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反射体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JP3518237B2 (ja) * 1997-03-28 2004-04-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H11242105A (ja) * 1998-02-24 1999-09-07 Alps Electric Co Ltd 反射体形成用母型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反射体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反射型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376A (ko) 2002-07-08
EP1220015A2 (en) 2002-07-03
EP1220015A3 (en) 2004-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49145B2 (ja) 反射型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機器
KR100787355B1 (ko) 양면 표시 장치 및 면광원 장치
KR100262798B1 (ko) 액정표시장치및배면조명부용도광판의제조방법
JP4019886B2 (ja) 光学フィルム、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5883684A (en) Diffusively reflecting shield optically, coupled to backlit lightguide, containing LED's completely surrounded by the shield
JP3257457B2 (ja) 液晶表示装置
US6659615B2 (en) Light pip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6671013B1 (en) Optical waveguide sheet having projections with two reflection faces and a ridge, surface illuminant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20060002675A1 (en) Light guide plate for surface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3043265A (ja) 導光板、これ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利用した液晶表示装置
JP2004533006A (ja) フロントライト型タッチパネル
KR20030019092A (ko) 화상 표시장치 및 프론트 라이트
JPH09269489A (ja) 液晶表示装置及び背面照明部用導光板の製造方法
JP2004349182A (ja) フロントライト及び反射型表示装置
CN107526217A (zh) 侧入式背光模组和显示装置
WO2018126835A1 (zh) 导光板及其制作方法和背光模组、显示装置
JP2002174732A (ja) 導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ならびに電子装置、導光板の製造方法
JP3744422B2 (ja) 反射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31759B1 (ko) 반사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그것을 이용한 기기
JPH10339815A (ja) 導光板、導光板の製造方法及びその導光板を用いた面光源
JP4427718B2 (ja) ライトガイド製造方法
JP4045721B2 (ja) サイドライト面光源装置
KR20030094527A (ko) 도광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채용하는 면광원장치
JP2000098371A (ja) 反射型画像表示素子及び表示素子用基板
JP2002216522A (ja) 光反射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と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