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0833B1 - 열가소성 물질 용기들의 취입성형에 의한 제작 장치를위한 열조절단 가마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물질 용기들의 취입성형에 의한 제작 장치를위한 열조절단 가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833B1
KR100430833B1 KR10-2001-7013642A KR20017013642A KR100430833B1 KR 100430833 B1 KR100430833 B1 KR 100430833B1 KR 20017013642 A KR20017013642 A KR 20017013642A KR 100430833 B1 KR100430833 B1 KR 100430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kiln
capture
capture devic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3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6774A (ko
Inventor
기팡알라인
뮤쉘레마르크
Original Assignee
시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델 filed Critical 시델
Publication of KR20020016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29C49/68Oven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preforms or pari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05Handling means, e.g. transfer, loading or discharg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15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the preform having one end 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05Handling means, e.g. transfer, loading or discharging means
    • B29C49/42073Grippers
    • B29C49/42085Grippers holding inside the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05Handling means, e.g. transfer, loading or discharging means
    • B29C49/42073Grippers
    • B29C49/42087Grippers holding outside the ne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5/00Plastic article or earthenware shaping or treating: apparatus
    • Y10S425/108Conveyor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물질의 용기를 제조하는 제조장치에서 가마에 관한 것으로, 용기블랭크를 가마로 이송하기 위해 용기블랭크의 네크부분을 축방향에서 포착할 수 있는 포착장치가 구비된 이송체인으로 구성되는 가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포착장치가 포착이 이루어지고 포착장치(30)에 접촉할 수 있게 된 계면요소(40)를 갖는 축방향(An)에 평행한 진로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암(44)이 구비된 기구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계면요소(40)가 포착장치에 슬립없이 접촉할 수 있도록 암(44)에 이동가능하게 착설되는 반면에 포착이 이루어지는 축방향을 따라서 암에 대하여서는 이동되지 않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가소성 물질 용기들의 취입성형에 의한 제작 장치를 위한 열조절단 가마 {THERMAL PROCESSING OVEN IN A BLOW-FORMING FACILITY FOR THERMOPLASTIC RECEPTACLES}
사출성형으로 제작된 프리폼은 일반적으로 원통형 모양으로 축들의 단부들 중 하나에서 폐쇄되고, 그 역시 원통형인 목 부분에 의해 축의 다른 단부에서 연장된다. 목 부분은 일반적으로 프리폼의 동체가 취입성형 작동에 이어 최종용기를 형성하는데 비교적 중요한 변형을 반드시 하게끔 되어 있는데 반해서 목 부분의 최종 형태를 갖기 위하여 사출성형된다.
이 방식들은 특히 테레프타라트 폴리에틸렌(PET) 용기 제조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 속하는 방식의 여러 가지 변형들이 있다. 실행 방식에 따라서, 해당 제조장치는 하나 혹은 여러개의 열조절단 가마를 갖는다.
관련된 방식들에 있어서, 프리폼 동체의 취입성형 작용은 재질의 유리 상태의 전이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올려지게 된다. 그 목적으로, 가마의 내부에서 순환시키기 위해 프리폼의 열조절단을 행한다. 가마에는 가열수단들이 있는데 그것은 예를 들어 적외선 램프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램프들 전방에서 프리폼이 이송장치들에 의해 이동된다. 유리한 방식으로 프리폼이 가마 내에 있을 때에 프리폼이 그 자체 상에서 회전하는 것이 계획되어진다.
프리폼들은 일반적으로 프리폼의 목 부분의 내부에 맞물려있고 목 부분의 내부면에 죔 장치로 프리폼 목 부분을 지탱하는 맨드릴 모양의 포착 장치에 의해 이송 장치들 상에 고정된다. 그렇지만 어떤 경우에는 프리폼을 잡는 것이 목 부분의 외부면에서 이뤄지기도 한다.
이 방식들 중 몇몇에 있어서, PET의 결정비율을 증가시키면서 최종 용기의 동체 온도 자세를 올리려고 한다. 이것은 우선 프리폼을 받아서 얻어지고, 열처리 가마 안에서 가열 단계를 거친 중간 용기를 얻기 위해 제1취입성형단계를 거치고, 이 단계 중에 용기가 줄어든다. 이 줄어든 용기는 용기에 최종용기 형태를 주는 제2취입성형단계를 거친다.
또 다른 방식들에 있어서, 결정을 높이려고 가열하는 것은 최종용기 혹은 중간용기의 프리폼의 목 부분이다. 그래서 장치는 조절된 열처리 가마를 갖고 있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열가소성 물질로 된 용기들의 제조 장치들은 열처리 가마의 여러 유형을 갖을 수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 가마들은 물론 실현될 열처리에 맞춰 조절된 것이다. 그렇지만 이 모든 가마들은 동일한 호송 시스템 유형을 갖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상이한 가마들은 그래서 최종 용기 생산의 다른 면들과 일치하는 물체들을 처리하게끔 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 가마들은 목 부분에 의해 이 물체를 잡도록 되어 있고, 이 목 부분은 설령 몇몇 처리들이 목 부분의 구성물질 구조 변형에 이르게 하더라도 자체 기하의 근본적인 변화는 받아들이지지 않는다. 또한 본문에서는 가마에서 처리될 물체를 지칭하기 위해 블랭크나 병의 차이 없이 프리폼의 어휘를 일률적으로 사용할 것이다.
공지된 기술에 따르면, 이송 시스템은 예를 들어 가마 내부에서 노정을 따라 순환시키기 위해서 용기 블랭크나 프리폼을 실도록 된 이송 고리체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체인은 체인 자체 상에서의 연속된 운동으로 움직여진다.
프리폼을 잡기 위해서 이송고리가 포착장치를 갖고 있다. 이 포착장치는 체인과 비교하여 축을 따라서 이동하며, 장애물이 없는 극단 위치에서 포착 극단 위치로 이끌어질 때, 블랭크의 목 부분 상에서 축을 따라서 착수한다.
포착장치의 풀어진 위치와 포착 위치 사이에서 포착 장치들의 이동을 조종시키는 상이한 방법들이 알려져 있다. 이렇게 포착장치들의 운동이 이송체인 운동과 직각을 이룬다는 것을 이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캠 시스템과 캠의 종절(follower) 시스템을 이용한다. 예전 방식대로 각각의 포착장치는 프리폼의 적재 혹은 하중제거 단들의 수준에 따라서 포착 장치들의 상승 혹은 하강을 유도하기 위한 가마 프레임과 연동된 기울어진 발판과 협력하도록 된 로울러를 갖추고 있다.
그렇지만 몇몇 경우에 있어서는, 캠 조종수단들이 전적으로 만족스럽진 않다. 이것은 특히 포착장치가 프리폼의 목 부분 내부에서 상당히 조여서 받아들여지게 되어 있는 맨드릴을 갖고 있을 때의 경우이다.
프리폼의 적재 혹은 하중제거는 포착장치 축에 따라서 응용된 비교적 상당한 노력을 필요로 한다. 캠 시스템으로, 이러한 축을 따라 일어나는 노력들이 이송체인 상에 발휘되는 상당히 중요한 노력들에 의해 이 이송체인 운동 방향에서 나타난다. 로울러가 캠과 접촉할 때마다 체인이 급정지를 하게 된다. 급정지는 한편으론 체인과 취입성형장치의 다른 요소들 사이의 등주기성에 해롭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이송시스템의 수명에 해로운 급정지를 당한다. 이 급정지는 포착장치의 빠른 운동을 추구하기 때문에 더욱 더 중요할 것이다. 그것은 심한 경사의 캠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 경우에는 로울러와 캠 사이의 접촉압력이 이 두 요소의 수명을 위협할 정도로 막대하게 된다.
더구나 공지된 실시에 있어서, 로울러는 포착장치 운동 축과 비교하여 장소를 변경한다. 또한 적재 혹은 하중제거 노력이 막대할 때, 로울러는 체인의 해당 고리 상에서 두 번의 막대한 회전을 이끌어낸다. 또한 이것으로 이송시스템의 너무 이른 파손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열가소성 물질로 된 속이 우묵한 동체들의 제조 방법들 영역과 관계 있는 것으로 우선 적어도 하나의 취입성형 단계를 갖는 방식 중에 최종 용기를 얻기 전에 사출성형으로 프리폼을 만들어낸다.
도 1과 도 2는 이송체인의 한 고리의 포착장치 즉, 프리폼 포착의 하부 위치에서와 장애물이 없는 상부 위치에서 제각기 묘사된 장치를 보여주는 축 방향 단면도.
도 3은 포착장치의 이동 조종 메카니즘의 실현 모드를 나타내는 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묘사된 조종수단들의 단면도로, 하부 위치로 상부위치의 포착장치 이동을 조종하기 위한 도구를 메카니즘 상에 묘사해놓았으며 이 도구는 도 5에 투시도로 묘사되어 있다.
도 6은 상부위치로 향한 하부위치의 포착장치를 돌려보내기 위한 조종 메카니즘 상에 적용된 도구를 묘사한 투시도.
도 7a-도 7d는 프리폼의 포착을 허용하는 작용을 묘사하는 축 방향개략단면도.
도 8a-도 8d는 프리폼의 방출을 허용하는 작용을 동일한 방식으로 묘사한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를 묘사하는 도 3과 유사한 도.
본 발명은 그래서 포착장치들의 이동 조종수단들을 또다시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것은 프리폼의 적재 혹은 하중제거 노력이 막대할 때, 이송 자체 체인에 의해서 받아들인 노력들을 제한할 수 있게 한다.
이 목적을 갖고 본 발명은 열가소성 물질 용기들의 취입성형에 의한 제조 장치를 위한 열조절단 가마를 제안한다. 가마에 포함된 이송고리체인은 포착장치들을 갖고 있으며, 이 유형은 각각의 포착장치는 가마 내부에서 노정을 따라 순환시키기위해 용기 블랭크를 실도록 되어 있으며, 이 가마에는 체인이 그 노정을 따라 연속된 운동으로 선동되며, 이 가마 각각의 포착장치는 장애물이 없는 극단 위치에서 포착 극단 위치로 이끌어질 때 블랭크의 목 부분 상에서 축을 따라서 착수하기 위하여 가마를 갖는 고리와 비교하여 축을 따라서 유동하며, 이 유형의 가마에는 장애물이 없는 위치와 포착 위치들 사이의 포착 장치들의 이동조종수단들이 예정되어 있으며, 그 특징으로는 포착장치들의 이동조종수단들이 포착 축 방향으로 상당히 평행을 이룬 궤도를 따라서 유동하며 포착장치와 접촉하게 될 계면요소를 갖는 암을 갖춘 적어도 하나의 메카니즘을 갖추고 있으며, 계면 요소는 포착의 축 방향에 따라서 암과 비교하여 움직이지 못하게 하면서 포착장치와 함께 미끄러지지 않는 접촉을 하게 하도록 암 상에 유동 조립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암은 처음 위치와 최종 위치 사이의 왕복운동에 따라서 궤도 상에서 조종되며, 처음 위치와 최종 위치 사이에 포함된 암의 접촉 위치에 있어서, 계면요소가 극단 위치들 중의 하나에 있는 포착 장치와 접촉을 하고 이 극단 위치들 중의 다른 쪽을 향한 힘이 암의 최종위치에 상응한다.
- 계면요소가 체인 고리들의 운동과 평행인 방향으로 유동하는 방식의 암 상에서 상승된다.
- 계면요소가 암과 비교하여 정지 위치로 유연하게 잡아당겨지며, 계면요소와 접촉하는 암의 도착 순간과 최종위치에서 암의 도착 순간 사이에 연결된 고리 이동으로 인해, 계면요소가 포착위치에 의한 정지 위치에서 멀어진다.
- 암의 접촉위치와 최종위치 사이에서 포착장치는 암과 비교하여 정지위치에서 멀어지기 위하여 계면요소와 밀착하여 협조한다.
- 최종위치를 향한 최종위치의 암의 역 운동 중에, 계면요소는 탄성조정수단들에 의해 정치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 계면요소가 체인의 고리운동 방향을 따라서 암 상에서 미끄럼운동까지 상승된다.
- 계면요소는 포착의 축 방향과 체인 고리들의 운동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축 주위의 암 상에서의 회전까지 상승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울러로 구성되어 있다.
- 포착장치와 접촉하는 계면요소의 도착 순간과 암에서 정지 위치까지의 도착 순간 사이에서, 포착장치는 축 주위에서 회전하는 로울러를 구동하기 위하여 계면요소와 밀착하여 협조한다.
- 포착장치에는 롯드가 있으며, 그 중앙섹션이 해당 고리 내에서 축방향으로 유도되며, 그 정반대의 두 단부가 블랭크와 메카니즘과 상당히 협동하며, 이 메카니즘이 롯드 상에서 밀어내기를 하고, 계면요소는 축 방향으로 직각을 이루고 상당히 평평한 롯드 표면을 눌러서 협동한다.
- 포착장치에는 롯드가 있으며, 그 중앙섹션이 해당 고리 내에서 축방향으로 유도되며, 그 정반대의 두 단부가 블랭크와 메카니즘과 상당히 협동하며, 이 메카니즘이 롯드 상에서 밀어내기를 하고, 계면요소는 두 개의 평행 분기(branch)를 나타내는 U 자 모양의 금속 막대 형태를 나타내며, 그 두 평행 분기의 단부들은 롯드 통과를 허용하는 크랙의 범위를 정하기 위해 내부를 향해 끌어내려진다. 포착장치들의 롯드는 일정한 모양으로 늘인 금속 막대의 두 분기 사이에서 순환하도록 되어 있고, 크랙의 폭보다 상위의 넓은 폭을 보이는 조종 머리를 갖고 있다. 그래서 계면요소가 암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때에 금속 막대의 접힌 단부들은 포착장치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 조종을 위해 머리와 협동한다.
- 포착장치는 중앙섹션이 해당 고리에서 축 방향으로 유도되며, 상반된 두 단부들이 블랭크와 메카니즘과 함께 상당히 협동하는 롯드를 갖고 있으며 메카니즘은 롯드 상에서 끌어당기기 노력을 시행한다. 즉 암은 두 개의 평행 분기를 나타내는 U 자 모양의 금속 막대 형태를 나타내며, 그 두 평행 분기의 단부들은 롯드 통과를 허용하는 크랙의 범위를 정하기 위해 내부를 향해 끌어내려진다. 각각의 접힌 두 단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로울러를 갖고 있다. 포착장치들의 롯드는 일정한 모양으로 늘인 금속 막대의 두 분기 사이에서 순환하도록 되어 있고, 크랙의 폭보다 상위의 넓은 폭을 보이는 조종 머리를 갖고 있다. 그래서 암이 축 방향으로 이동될 때에 금속 막대의 접힌 단부들의 로울러들은 포착장치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 조종을 위해 머리와 협동한다.
- 암의 왕복운동은 크랭크암과 크랭크 시스템으로 조종된다.
- 포착수단들의 이동 조종수단들은 두 메카니즘을 갖고 있다. 그 하나는 포착의 극단 위치를 향해 장애물이 없는 극단 위치의 포착장치들의 이동을 조종하고, 다른 하나는 반대의 이동을 조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과 잇점들이 첨부도면과 비교하여 다음에 계속되는 상세한 설명들로 드러날 것이다.
본 발명은 이제부터 예를 들어 PET 같은 열가소성 물질로 된 프리폼(10)의 열처리 가마의 독특한 경우를 묘사할 것이다. 프리폼(10)은 사출성형에 의한 주조로 만들어지고, 최종 형태에서 바로 형성된 목 부분(12)을 묘사하고, 이 목 부분은 특히 외부의 방사형 플랜치(14)를 갖고 있다. 더욱 명확히 서술하기 위해, 본문을 통해 죽 도 1과 도 2에 예로 도시된 바처럼, 프리폼(10)이 상부로 목 부분이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다는 것을 주시할 것이다. 본 발명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된 기하학상의 용어는 이러한 묵계에서 나온 것이며, 본 발명의 효력에 대한 제한으로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
도 1과 도 2 상에, 그 주된 동체(18)가 매우 부분적인 방식으로만 묘사된 이송고리의 포착장치(16)를 부분적이고 개략적인 방식으로 묘사했다. 주된 동체(18)는 가마 내에서 프리폼들의 이송체인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수직 축 주위로 연결되어 다른 두 개의 고리들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 예증에 있어서, 체인은 수평면에서 요컨대 이동을 한다. 그렇지만 이송고리들과 그 연결모드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은 다른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송고리들은 두 개의 고리가 서로 같은 간격으로 떨어져 있고 적어도 프리폼의 포착 영역 수준으로 떨어진 동시화된 구동 수단들을 배열한다는 조건으로 서로서로 독립적이다.
포착장치(16)는 축(An)에 따라 주된 동체(18) 내에서 미끄럼 운동까지 상승되는 슬리브(22) 내에서 축 주위로 회전까지 상승된 수직축(An)의 원통형 롯드를 갖고 있다. 롯드(20)와 슬리브(22)는 서로 축방향으로 연동되어 있어서 포착장치(16)는 즉, 제1도에 묘사된 장애물이 제거된 상부 위치와 제2도에 묘사된 포착의 하부위치인 두 극단 위치들 사이에서 미끄러질 수 있다.
슬리브(22)는 일반적인 형태가 원통형으로 포착장치의 이동거리의 길이 상으로 축방향으로 그리고 정반대로 펼쳐지는 두 개의 측면의 편평한 각재(角材)를 갖고 있다. 고리는 슬리브(22)의 축방향의 위치를 제동장치로 유지하기 위해 편평한 각재(24)에 대해 용수철(28)로 방사선 모양으로 압박하여 작용되는 받침판(26)들을갖고 있다.
그 상부 단부에서, 롯드(20)는 형태가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조종머리를 갖는다. 그 저변에서 머리(30)는 직경이 슬리브(22)보다 상위인 톱니바퀴(32)를 보여준다. 그것은 이송고리가 가마 내에서 이동할 때에 축(An) 주위의 롯드(20) 회전을 유발하기 위해 가마의 고정 갈고리(도시되지 않았음)와 협동할 수 있기 위해서이다.
그 하부 단부에는 롯드(20)가 프리폼(10)의 목 부분(12)에 적용된 형태를 나타내는 포착 맨드릴(34)을 갖고 있다. 여기에 소개된 맨드릴(34)은 상당히 원통형인 형태를 보이지만 시행에 있어서는 그 형태가 더욱 복잡해질 수 있다. 물론, 목 부분의 외부로 프리폼을 잡으려는 경우에, 맨드릴(34)이 예를 들어 포착 뚜껑으로 대체될 것이다.
가마 입구에서 프리폼(10)의 포착을 실행하기 위해, 맨드릴(34)이 프리폼(10)의 목 부분(12) 내부에서 하부로 축방향으로 진입되어서 상부위치에서 하부위치로 포착장치(16)의 총체를 이동시켜서 실행된다.
맨드릴은 목 부분 내에 조여서 받아들여지고 이것은 진입이 축(An)의 방향에 따라서 어떤 힘을 필연적으로 유발한다는 것을 함축한다. 이 힘은 특히 조이는 정도에 좌우되며 예들 들어 몇몇 실시에 있어서 약 150 정도에 이를 수 있을 것이다. 프리폼에 의한 포착의 축을 따라 일어나는 노력의 반복은 예를 들어 이송고리에 속한 받침대(34) 표면 상에서 플랜치(14)를 압박하여 이뤄진다.
목 부분(12) 내에 일단 진입하면, 맨드릴(34)이 프리폼(10)을 전달할 수 있고 그 축(An) 주위로의 회전을 구동할 수도 있다.
가마 출구에는, 그와 정반대로 프리폼(10)을 방출하기 위해 상부로 축방향으로 맨드릴(34)을 끌어내야 한다. 맨드릴이 상부로 맨드릴과 함께 프리폼(10)을 데리고 가는 경향이 있으므로, 상부 쪽을 봉쇄하는 사출 수단들을 예상해야만 한다. 그 목적으로 이송고리는 고리의 주된 동체(18)와 연동된 축(An)의 통 모양의 인젝터를 갖고 있다. 그 고리의 내부 직경은 프리폼(10) 목 부분(12)의 내부 직경과 거의 동일하다.
하부위치에서 맨드릴(34)이 인젝터(36) 하부 단부 아래로 통과하는 반면에 장애물이 제거된 위치에서는 맨드릴(34)이 인젝터(36) 내부에 받아들여진다. 이 인젝터는 이런 방식으로 배열되어서, 그 하부 가장자리가 프리폼(10)의 목 부분의 상부 가장자리 바로 위에 위치한다.
또한, 프리폼(10)이 맨드릴(34)에 의해 상부로 끌어당겨질 때, 프리폼은 인젝터(36)에 기대어 정지한다. 그래서 계속 올라가는 맨드릴(34)은 프리폼의 목 부분(12)에서 완전히 빠져나와서 이 프리폼이 이렇게 방출된다. 물론, 인젝터는 또한 플랜치(14)에 기댄다.
본 발명은 특히 상부위치와 하부위치 사이의 포착장치(16)를 조종할 수 있게 하는 수단들에 관한 것이다.
더 정확히, 본 발명에 따른 가마는 가마 입구에는 프리폼 포착을 조종하기 위해 하부 위치를 향해 상부위치의 포착장치(16)를 조종할 수 있게 하는 수단들을 갖고 있고, 그 가마 출구에는 하부위치에서 상부위치로 끌어당겨지도록 하는 수단들을 갖고 있다. 이 두 수단들은 매우 유사하며 게다가 동일한 두 메카니즘을 갖고 있으며, 그 메카니즘들에 상승조종과 하강조종 용 특수 도구를 적응시킨다.
메카니즘(38)은 가마 틀 상에 고정되도록 된 프레임(42)을 갖고 있다. 이 프레임(42) 상에는 직각자(44) 모양의 암이 포착 방향에 따라, 다시 말해서 수직 방향에 따른 경우에 미끄러질 수 있도록 상승된다. 그러기 위해서, 한편으론 직각자(44)의 수직 기둥(50)과 연동된 수직 레일이나 다른 한편으론 프레임(42)과 연동된 고정 이동대(48)로 형성된 슬라이드레일 링크를 사용한다.
메카니즘은 포착의 축방향을 따라서 직각자(44)의 왕복운동을 유발하는 수단들을 갖고 있다. 제시된 예에 있어서, 수평축의 회전전기모터(88)로 구동되는 크랭크암(84)과 크랭크(86) 시스템을 이용한다. 물론 직각자(44)로 된 축을 따른 왕복운동을 받아들이기 위한 공지된 모든 다른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이렇게 직각자 운동들이 잭으로 조종될 수 있다.
수직 기둥(50)의 내부 단부에서, 직각자(44)로 형성된 암은 제2슬라이드레일의 일부를 이루는 수평레일(54)이 고정된 하부면 상에서 수평하부관(52)을 갖고 있다. 구동형 이동대(56)가 프리폼 포착의 수직방향과 직각을 이루고 프리폼 이송 체인 이동 방향과 상응하는 수평 방향에 따른 직각자(44)와 비교하여 미끄러지도록 하는 수평 레일(54) 상에 상승된다.
구동형 이동대(56)는 제5도와 제6도에 각기 상세히 묘사된 두 개의 특수 도구(40)(60)들 중 하나를 실도록 되어 있다.
두 도구(40)(60)들은 각각 상측 받침대(62)를 갖고 있으며, 그것은 구동형이동대(56)에서부터 하부로 축 방향으로 펼쳐져 있는 인덱스 핀(58)을 받아들이도록 된 인덱스 구멍(64)들을 갖추고 잇는 상측 받침대(62)를 갖고 있다. 받침대(62)는 예를 들어 두 개의 나사(도시되지 않았음)에 의해 이동대(56) 상에 고정된다.
두 개의 도구(40)(60)들 각각은 또한 받침 프레이트(66)를 갖고 있는데 그것은 구동형 이동대(56)의 미끄럼운동 방향과는 직각을 이루는 수직평면 내에 펼쳐지고 직각자(44)의 하부 플레이트(52) 상에 바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각각의 도구의 받침 플레이트(66)는 두 개의 평행 유도장치를 갖고 있으며, 그 유도장치는 구동형 이동대(56)의 미끄럼운동 방향에 따라 펼쳐져 있고, 받침대(62) 안으로 관통된 유도장치 구멍을 가로질러서 각각 미끄럼운동을 받아들이는 두 개의 평행 유도장치(68)를 갖고 있다. 유도장치(68)들은 받침대(62)와 받침 플레이트(66) 사이에 서로 떼어놓기 위해 삽입되어 있는 압축 나선형 용수철(70)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유도장치(68)의 자유 단부는 돌출부를 갖는데, 그것에 대해 받침대(62)가 용수철(70)들 작용 하에 제동장치가 된다.
이렇게, 두 도구들(40)(60) 중 하나가 구동형 이동대(56) 상으로 올라갈 때, 받침대(62)는 직각자(44)와 비교하여 수평 방향에 따라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다. 그렇지만 용수철(70) 작용 하에 정지위치 방향으로 잡아당겨지고 정지 위치에서 유도장치(68)의 벌지들(72)에 대하여 제동장치를 갖는다.
도 4와 도 5 상에, 하부를 향한 포착장치(16)의 이동을 조종하게 되어 있는 압력조종장치 도구(40)를 도시하였는데, 그것은 포착장치의 조종 머리(30)를 상측부에서 단지 압박을 하여서 실행한다. 압력조종장치 도구(40)는 통 모양의샤프트(74)를 제시한다. 그 샤프트는 받침대(62)에서부터 하부를 향해 축 방향으로 펼쳐져 있고, 원통형 접촉자(76)의 고정과 축 방향으로 정확히 정위치에 놓기 위한 가늘지 않은 나사못 마루의 내부면 상에 갖춰져 있으며, 그 원통형 접촉자의 하부면은 하강을 유도하기 위해 조종 머리(30)에 대해 누르도록 되어 있다. 암나사(78)는 축 방향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샤프트(74) 상에서 접촉자(76)를 차단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포크 도구(60)는 받침대(62)에서부터 하부를 향해 수직으로 펼쳐진 평행 플레이트 모양의 두 개의 지주(80)를 나타낸다. 각 지주(80)는 그 하부 단부에 다른 지주의 방향에 따라 펼쳐진 내부 횡단가장자리(82)를 갖고 있다. 지주(80)의 높이와 횡단 간격들은 조종머리가 두 개의 지주들 사이에서 순환할 수 있도록 조종 머리(30)의 해당 면적보다 상위이다. 그와 반대로, 두 가장자리의 횡단 간격이 슬리브(22)의 직경보다 상위이지만 톱니바퀴(32)의 슬리브 보다는 하위이다. 그래서 머리(30)가 두 지주(80)들 사이에 받아들여질 때, 포크 도구(60)가 상부로 이동되고, 가장자리(82)들이 머리를 상부로 가지고 가기 위하여 머리(30)의 하부면(33)에 협조를 한다.
도 7a-도 7d의 도면들은 프리폼의 포착의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조종 수단들의 운행을 도시해주는 것이다. 이러한 도식들 상에서, 이송체인의 두 연속 고리들의 조종 머리(30)를 표현하였다. 이 두 고리의 포착장치들은 축으로서 An과 An+1축을 제각기 갖고 있다.
도 7a에 도시된 단계에서, 직각자(44)는 상부최초위치 내에 있고, 고리중의하나가 이송체인 운동에 따라서 가까워진다. 압력전달장치 도구(40)의 접촉자(76) 하부면은 그래서 조종머리(30)보다 상부에 위치한다.
이 순간부터 크랭크암과 크랭크 시스템은 직각자(44) 모양의 암의 하강 시작을 유발한다. 압력전달장치 도구(40)는 그래서 직각자와 비교하여 정치 위치에 있다. 다시 말해서 용수철(70)에 의해 왼쪽으로 기대어 밀어내어진다.
도 7b 단계에서는, 이송체인 고리가 압력전달장치 도구(40)와 수직으로 부분을 이룰 때까지 이동한다. 이 순간은 압력전달장치의 하부면이 조종머리(30)와 접촉하는 순간과 상당히 관련이 있다. 사실, 압력전달장치(40)와 조종머리(30)가 상당히 동일한 직경일지라도, 그들의 축들(An)(X-X)이 꼭 들어맞기 전에 접촉이 이뤄지기 때문에 그들 각 표면의 절반에 의해서만 협동한다. 압력전달장치(40)가 여전히 직각자(44)와 비교하여 정지상태에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순간부터 계속되는 직각자(44)의 하강운동인 압력전달장치가 조종머리 상에서 하부를 향해 밀어내기를 해서 포착 맨드릴(34)이 프리폼의 목 부분(12) 내부로 들어가게끔 한다. 그렇지만 압력전달장치(40)와 조종머리(30)의 하강 운동동안 내내, 직각자(44)는 이 수평 방향에 따라서는 움직일 수 없는데, 조종머리는 수평 방향에 따라서 이송체인 고리와 함께 계속 이동한다. 또한 제7C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압력전달장치(40)는 용수철(70)을 압축해서 직각자(44)와 비교하여 구동형 이동대(56)의 미끄럼운동에 의해 머리(30)에 의한 정지 위치에서 수평으로 벌어진다.
제시된 예문에서, 압력전달장치(40)의 구동은 머리(30) 상에서압력전달장치(40)의 하부면의 단순한 점착만으로 이뤄진다. 이러한 점착은 프리폼의 목 부분 내에 맨드릴(34)이 진입할 수 있게 하는데 필요한 포착 축의 노력의 결과인 것이다.
직각자(44)가 하부최종위치에 도달했을 때, 크랭크암과 크랭크 시스템은 그때 상승운동을 시작한다. 그때부터 압력전달장치(40)와 조종머리(30) 사이의 접촉이 끊어져서, 이 조종머리가 받침판(26)으로 억제되어 프리폼 포착의 하부 단부위치에 이른다. 그래서 포착장치(16)의 하부 단부위치가 압력전달장치(40)의 하부 최종위치에 의해 명확히 된다. 두 부분에 압력전달장치를 갖고 있다는 것은 받침대(62)와 비교하여 원통형 접촉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서 포착장치(16)의 하부 단부 위치를 정확히 명시할 수 있으며, 그래서 포착장치 상에서 맨드릴(34)이 프리폼의 목 부분에 삽입되는 간격을 정확히 규정할 수 있다.
게다가, 도 7d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종머리와의 접촉이 끊어지자 마자, 용수철(70)이 직각자(44)와 비교하여 정지 위치를 향해 압력전달장치(40) 도구를 밀어낸다. 그래서 메카니즘이 본래의 외형 내에 존재한다. 게다가 다음에 오는 고리의 조종머리(30)가 압력전달장치(40)에 의해 암을 향해 이동되기 위한 위치가 된다.
도 8a-도 8d는 프리폼 방출 시에 조종수단들의 작동을 유사한 방식으로 묘사한 것이다.
도 8a에서, 메카니즘이 하부 최초의 위치에서 묘사된 것으로 고려된 두 고리들 중 첫 번째의 조종머리(30)가 포크 도구(60) 정도에 도달하기 전인 것이다. 우린 지주들의 가장자리(82)들이 하부단부위치 내에 있는 머리(30)의 하부면(33) 아래에 위치해 있다는 걸 볼 수 있다. 그와 같이, 머리(30)는 이송체인 동작의 결과로 지주(80)들 사이로 진입한다.
도 8b에서는, 직각자(44)의 접촉 위치를 묘사했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가장자리(82)가 상승 운동 중에 머리(30)와 접촉을 한다. 그래서 머리(30)가 포크 도구(60)와 정확히 수직을 이루기 전에 접촉이 발생된다.
도 8c에서, 직각자(44)는 상부 단부 위치까지 머리(30)를 상부로 구동하면서 상부 최종 위치에 다다랐다. 동일한 시간에, 맨드릴(34) 추출에 필요한 노력으로 인하여, 머리(30)가 용수철(70)을 압축해서 직각자(44)와 비교하여 수평 방향에 따라 포크 도구(60)를 구동한다.
이 순간부터, 크랭크암과 크랭크 시스템은 직각자(44)의 하강을 새로이 유발하고, 그래서 가장자리(82)와 머리(30) 사이의 접촉이 끊어지고, 머리가 받침판(26)들 덕분에 상부 위치 내에 남는다. 그와 반대로, 용수철(70)은 정지 위치로 포크 도구(60)를 데리고 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크 도구는 축(An)의 다음에 오는 조종 머리가 접촉 위치에 나타나기 전까지 하부 시초 위치를 다시 찾을 수 있다.
제시된 예문에서, 전기 모터(88)가 변함 없는 속도로 회전하여, 도구(40)의 상승과 하강 시간이 동일하다. 그렇지만, 모터가 상승이나 하강 작용 중에서 한 작용이 다른 작용보다 좀더 빨리 일어나도록 조종되었다. 그것은 예를 들어 역운동 시에 다음에 오는 머리와 도구가 충돌하는 위험을 피하기 위해서 이다. 이러한 능력은 포착장치 이동의 미리 결정된 속도를 얻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것은 이송 체인의 이동 속도와는 관계없는 것으로, 이것은 예를 들어 가마와 결합된 취입성형 기계의 장단과 연관되어 있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가르침에 맞는 두 메카니즘을 도시하지만 그 메카니즘이 롯드(20)의 머리(30) 상에서 작용하게 하는 계면요소들이 암(44) 상에서 미끄럼운동으로 상승되지 않지만 롯드(20)의 머리(30) 상에서 굴릴 수 있도록 수평 축 주위로 암(44)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회전조립 로울러로 구성된다.
도 9에서, 암(44)의 하부 플레이트(52) 아래에 상부 위치에서 하부 위치로 포착장치(16)를 조종하기 위해 도구를 조립해놓은 것을 볼 수 있다. 이 도구는 이송체인 운동의 방향과 포착의 축으로의 방향과 동시에 직각을 이루는 수평축(Y-Y) 주위의 요크(96) 상에 회전 조립 로울러(98)로 구성되어 있다.
그와 같이, 암(44)이 상부 위치에서 하부 위치로 조종될 때에, 로울러(98)가 조종머리(30) 쪽으로 와서 기댄다. 일단 접촉하면, 로울러(98)가 하부로 롯드(20)를 밀어낼 수 있다. 그와 동시에, 고리(18)가 이동되어 로울러(98)가 고리 상에 어떤 힘도 끌어들이지 않고 머리(30) 상에서 구른다.
도 10에서는 상부위치로 포착장치의 상승을 보장하기 위해 암(44)의 하부 플레이트(52) 아래에 바로 고정되도록 설계된 도구(89)를 제시하였다. 이 도구(89)는 앞에서 설명했던 포크 도구(60)와 비슷한 형태를 보인다. 그래서 그것은 두 개의 평행 지주(90)를 갖고 있고, 그 지주들 각각에는 그 하부 단부에 내부횡단가장자리(92)가 갖춰져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실시 모드에 있어서, 도구(89)는 암(44)과 비교하여 고정되지만 지주(90)들의 가장자리(92)들은 그 축 주위로 조립된 두 개의 로울러 각각을 갖추고 있다. 이 로울러(94)들은 가장자리(92)의 하부면(33) 위와 수평이 되게 하는 것으로 머리(30)의 하부면(33)과 접촉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암(44)이 포착장치의 상승을 유발할 때, 로울러(94)는 머리(30)가 이송체인 운동 방향에 따라 암(44)과 비교하여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 상대적 이동이 로울러(94)들과 머리(30) 사이의 접촉이 회전으로 이뤄지지, 활주로 이뤄지지 않는 다는 사실 덕분에 체인 운동과 대립되는 어떤 노력도 끌어들이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메카니즘은 이송 체인 상에 필요없는 노력을 끌어들이지 않고 상당한 노력으로 빠른 방식으로 각 메카니즘의 포착장치를 조종할 수 있게 한다.

Claims (14)

  1. 포착장치들의 이동조종수단들이 포착 축(An) 방향으로 상당히 평행을 이룬 궤도를 따라서 유동하며 포착장치와 접촉하게 될 계면요소(40)(60)를 갖는 암(44)을 갖춘 적어도 하나의 메카니즘을 갖추고 있으며, 계면 요소(40)(60)(94)(98)가 포착의 축 방향에 따라서 암과 비교하여 움직이지 못하게 하면서 포착장치와 함께 미끄러지지 않는 접촉을 하게 하도록 암(44) 상에 유동 조립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마에 포함된 이송고리체인이 포착장치(16)들을 갖고 있으며, 그 각각의 포착장치는 가마 내부에서 노정을 따라 순환시키기 위해 용기 블랭크(10)를 실도록 되어 있으며, 이 가마에는 체인이 그 노정을 따라 연속된 운동으로 선동되며, 이 가마 각각의 포착장치(16)는 장애물이 없는 극단 위치에서 포착 극단 위치로 이끌어질 때 블랭크(10)의 목 부분(12) 상에서 축을 따라서 착수하기 위하여 가마를 갖는 고리(18)와 비교하여 축을 따라서 유동하며, 이 유형의 가마에는 장애물이 없는 위치와 포착 위치들 사이의 포착 장치들의 이동조종수단들이 예정되어 있는 열가소성 물질 용기들의 취입성형에 의한 제조 장치를 위한 열조절단 가마.
  2. 제1항에 있어서, 암(44)이 처음 위치와 최종 위치 사이의 왕복운동에 따라서 궤도 상에서 조종되며, 처음 위치와 최종 위치 사이에 포함된 암의 접촉 위치에 있어서, 계면요소(40)(60)(94)(98)가 극단 위치들 중의 하나에 있는 포착 장치(30)(16)와 접촉을 하고 이 극단 위치들 중의 다른 쪽을 향한 힘이 암(44)의최종위치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계면요소(40)(60)가 체인 고리들의 운동과 평행인 방향으로 유동하는 방식의 암(44) 상에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마.
  4. 제3항에 있어서, 계면요소(40)(60)가 암(44)과 비교하여 정지 위치로 유연하게 잡아당겨지며, 계면요소와 접촉하는 암의 도착 순간과 최종위치에서 암의 도착 순간 사이에 연결된 고리(18) 이동으로 인해, 계면요소(40)(60)가 포착위치(30)(16)에 의한 정지 위치에서 멀어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마.
  5. 제4항에 있어서, 암(44)의 접촉위치와 최종위치 사이에서 포착장치(30)(16)가 암(44)과 비교하여 정지위치에서 멀어지기 위하여 계면요소(40)(60)와 밀착하여 협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마.
  6. 제4항-제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종위치를 향한 최종위치의 암(44)의 역 운동 중에, 계면요소(40)(60)가 탄성조정수단(70)들에 의해 정치위치로 돌아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마.
  7. 제3항-제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계면요소(40)(60)가 체인의 고리운동 방향을 따라서 암 상에서 미끄럼운동까지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마.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계면요소가 포착의 축 방향과 체인 고리(18)들의 운동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축(Y-Y) 주위의 암 상에서의 회전까지 상승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울러(94)(9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마.
  9. 제8항에 있어서, 포착장치와 접촉하는 계면요소(94)(98)의 도착 순간과 암(44)에서 정지 위치까지의 도착 순간 사이에서, 포착장치(30)(16)가 축 주위에서 회전하는 로울러를 구동하기 위하여 계면요소(40)(60)와 밀착하여 협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마.
  10. 제1항-제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착장치(16)에 롯드(20)가 있어서 그 중앙섹션이 해당 고리(18) 내에서 축방향으로 유도되며, 그 정반대의 두 단부(34)(30)가 블랭크(10)와 메카니즘과 상당히 협동하며, 이 메카니즘이 롯드(20) 상에서 밀어내기를 하고, 계면요소(40)(8)가 축 방향으로 직각을 이루고 상당히 평평한 롯드(20) 표면(30)을 눌러서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마.
  11. 제3항-제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착장치에 롯드(20)가 있으며, 그 중앙섹션이 해당 고리(18) 내에서 축방향으로 유도되며, 그 정반대의 두 단부(34)(30)가 블랭크(10)와 메카니즘과 상당히 협동하며, 이 메카니즘이 롯드(20) 상에서 밀어내기를 하고, 계면요소(60)가 두 개의 평행 분기(80)를 나타내는 U 자 모양의 금속 막대 형태를 나타내며, 그 두 평행 분기의 단부(82)들이 롯드(20) 통과를 허용하는 크랙의 범위를 정하기 위해 내부를 향해 끌어내려지며, 포착장치들의 롯드(20)가 일정한 모양으로 늘인 금속 막대의 두 분기(80) 사이에서 순환하도록 되어 있고, 크랙의 폭보다 상위의 넓은 폭을 보이는 조종 머리(30)를 갖고 있어서 계면요소(60)가 암(44)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때에 금속 막대의 접힌 단부들(82)은 포착장치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 조종을 위해 머리(30)와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마.
  12. 제8항-제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착장치가 중앙섹션이 해당 고리(18)에서 축 방향으로 유도되며, 상반된 두 단부들(34)(30)이 블랭크(10)와 메카니즘과 함께 상당히 협동하는 롯드(20)를 갖고 있으며, 메카니즘은 롯드(20) 상에서 끌어당기기 노력을 시행하며, 암(44)이 두 개의 평행 분기(90)를 나타내는 U 자 모양의 금속 막대 형태를 나타내며, 그 두 평행 분기의 단부들(92)은 롯드(20) 통과를 허용하는 크랙의 범위를 정하기 위해 내부를 향해 끌어내려지며, 각각의 접힌 두 단부들(92)은 적어도 하나의 로울러(94)를 갖고 있으며, 포착장치들의 롯드(20)가 일정한 모양으로 늘인 금속 막대의 두 분기(90) 사이에서 순환하도록 되어 있는, 크랙의 폭보다 상위의 넓은 폭을 보이는 조종 머리(30)를 갖고 있어서 암(44)이 축 방향으로 이동될 때에 금속 막대의 접힌 단부들(92)의 로울러들(94)은 포착장치(16)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 조종을 위해 머리(30)와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마.
  13. 제1항-제1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44)의 왕복운동이 크랭크암(84)과 크랭크(86) 시스템으로 조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마.
  14. 제1항-제1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착수단들의 이동 조종수단들에 있는 두 메카니즘 중에서 그 하나는 포착의 극단 위치를 향해 장애물이 없는 극단 위치의 포착장치들(16)의 이동을 조종하고, 다른 하나는 반대의 이동을 조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마.
KR10-2001-7013642A 1999-04-26 2000-04-04 열가소성 물질 용기들의 취입성형에 의한 제작 장치를위한 열조절단 가마 KR100430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9/05336 1999-04-26
FR9905336A FR2792569B1 (fr) 1999-04-26 1999-04-26 Four de conditionnement thermique pour une installation de fabrication par soufflage de recipients en materiau thermoplastique
PCT/FR2000/000836 WO2000064658A1 (fr) 1999-04-26 2000-04-04 Four de conditionnement thermique pour une installation de fabrication par soufflage de recipients en materiau thermoplas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774A KR20020016774A (ko) 2002-03-06
KR100430833B1 true KR100430833B1 (ko) 2004-05-10

Family

ID=9544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3642A KR100430833B1 (ko) 1999-04-26 2000-04-04 열가소성 물질 용기들의 취입성형에 의한 제작 장치를위한 열조절단 가마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811389B1 (ko)
EP (1) EP1180069B1 (ko)
JP (1) JP3737032B2 (ko)
KR (1) KR100430833B1 (ko)
CN (1) CN1121311C (ko)
AT (1) ATE244631T1 (ko)
AU (1) AU772777B2 (ko)
BR (1) BR0010023B1 (ko)
CA (1) CA2371256C (ko)
DE (1) DE60003813T2 (ko)
ES (1) ES2203440T3 (ko)
FR (1) FR2792569B1 (ko)
MX (1) MXPA01010741A (ko)
PT (1) PT1180069E (ko)
WO (1) WO20000646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4464B2 (en) * 2003-06-09 2007-09-04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Cooling tube with a low friction coating
CN100363170C (zh) * 2004-06-09 2008-01-23 蔡佳祎 全自动塑料瓶管加热器
EP1985286A1 (en) * 2007-04-24 2008-10-29 Biocompatibles UK Limited Microspheres for treatment of brain tumours
IT1395015B1 (it) * 2009-06-30 2012-09-05 Sacmi Apparato di riscaldamento di preforme in materiale termoplastico.
IT1398130B1 (it) * 2009-06-30 2013-02-14 Sacmi Apparato di riscaldamento di preforme in materiale termoplastico
US8287270B2 (en) * 2009-09-30 2012-10-16 Printpack Illinoi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thermoforming with billets
FR2957904B1 (fr) * 2010-03-29 2012-04-20 Sidel Participations Dispositif de prehension pour preforme de soufflage de recipient
FR2986453B1 (fr) * 2012-02-08 2014-03-21 Sidel Participations Organe de prehension de recipients comportant un nez demontable equipe d'un mandrin et d'un plateau d'ejection
BR112016027826B1 (pt) * 2014-05-28 2021-08-03 S.I.P.A. Societa' Industrializzazione Progettazione E Automazione S.P.A. Dispositivo para transportar um recipiente de material plástico, corrente de transporte de ditos recipientes, método de operação de dito dispositivo de transport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6999A (en) * 1976-03-18 1978-05-02 Cincinnati Milacron Inc. Conveyor combined with coupling for handling workpiece
DE2706567C2 (de) * 1976-03-18 1985-11-14 Cincinnati Milacron Inc. (eine Ges. n.d. Gesetzen d. Staates Delaware), Cincinnati, Ohio Greifvorrichtung für hohle Werkstücke
DE3110883C2 (de) * 1981-03-20 1983-12-22 Conto control Braschos KG, 5900 Siegen Vorrichtung zum Aussortieren von fehlerhaften Verpackungseinheiten
US4572355A (en) * 1984-10-03 1986-02-25 Sewell Plastics, Inc. Coupling assembly
US4763778A (en) * 1986-06-23 1988-08-16 Fedders Machine And Tool Co., Inc. Easily changeable gripping head for blow-molding pallet assembly
DE3916423C1 (en) * 1989-05-19 1990-11-29 Centro Kontrollsysteme Gmbh, 5900 Siegen, De Automatic bottle sorting installation - incorporates lateral pusher transferring individual bottles onto second conveyor track
FR2691401B1 (fr) * 1992-05-20 1994-08-05 Sidel Sa Unite pour le traitement thermique de recipients en pet lors de la fabrication de ceux-c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1010741A (es) 2002-06-04
ATE244631T1 (de) 2003-07-15
JP3737032B2 (ja) 2006-01-18
DE60003813D1 (de) 2003-08-14
US6811389B1 (en) 2004-11-02
FR2792569B1 (fr) 2001-08-03
BR0010023A (pt) 2002-01-15
JP2002542083A (ja) 2002-12-10
ES2203440T3 (es) 2004-04-16
WO2000064658A1 (fr) 2000-11-02
AU3665000A (en) 2000-11-10
EP1180069B1 (fr) 2003-07-09
KR20020016774A (ko) 2002-03-06
CN1121311C (zh) 2003-09-17
EP1180069A1 (fr) 2002-02-20
FR2792569A1 (fr) 2000-10-27
CA2371256C (fr) 2007-06-19
CA2371256A1 (fr) 2000-11-02
PT1180069E (pt) 2003-11-28
CN1349455A (zh) 2002-05-15
BR0010023B1 (pt) 2009-08-11
AU772777B2 (en) 2004-05-06
DE60003813T2 (de) 2004-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9753B1 (ko) 플라스틱 프리폼의 취입성형에 의한 용기제조장치
KR100430833B1 (ko) 열가소성 물질 용기들의 취입성형에 의한 제작 장치를위한 열조절단 가마
KR100890683B1 (ko) 입이 큰 용기의 2축 스트레치 블로우 성형방법 및 장치
JP2812805B2 (ja) プラスチック材料製プレフォームのブロー成形による容器の製造プラント
EP2428347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ovaler Kunststoffbehältnisse
CN106175033B (zh) 一种全自动口红填充机
JP2008529920A (ja) 容器を移送するための回転装置
US4735761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shaped body of plastics material
JPS6145524B2 (ko)
US8016583B2 (en) Apparatuses and method
JP2020535047A5 (ko)
DE60013457T2 (de) Transportvorrichtung für vorformlinge in ein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behältern durch blasformen
EP3074202A2 (en) Rotary compression moulding apparatus and machine
US6602065B1 (en) Apparatus for compression molding plastic closures
DE1817707A1 (de) Vorrichtung zum Herstellen und Foerdern von Abschnitten eines festen Materials
DE2545132A1 (de) Vorrichtung zum blasformen von behaeltern, insbesondere flaschen aus vorformlingen
US20180311882A1 (en) Blow molding apparatus
CN110590137A (zh) 一种西林瓶制瓶机伺服控制成型台
US3951636A (en) Molding apparatus
US4744937A (en) Method for producing containers from extruded and blow-molded plastic material
CN210885791U (zh) 一种西林瓶制瓶机伺服控制成型台
CN113165220B (zh) 压缩成型设备
US3947181A (en) Tool assembly
CN113260496B (zh) 用于炉的预成型件输送设备和这种设备的控制方法
US20170225905A1 (en) Molded article suppl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