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0182B1 - 리니어모터용 이동코일장치의 코일결선구조 - Google Patents

리니어모터용 이동코일장치의 코일결선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182B1
KR100430182B1 KR10-2001-0046543A KR20010046543A KR100430182B1 KR 100430182 B1 KR100430182 B1 KR 100430182B1 KR 20010046543 A KR20010046543 A KR 20010046543A KR 100430182 B1 KR100430182 B1 KR 100430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nnector
coils
terminal
recep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6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2502A (ko
Inventor
우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져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져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져스텍
Priority to KR10-2001-0046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0182B1/ko
Publication of KR20030012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1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8Layout of windings or of connections between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 H02K41/031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of the permanent magne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near Motors (AREA)

Abstract

리니어모터는 영구자석이 배치된 고정부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리니어모터에서 영구자석이 마련된 고정자와 상호작용하여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코일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코일장치는 다수의 코일을 구비하되, 상기 다수의 코일은 복수개의 상으로 나뉘어지며 각 상마다 코일이 두 개 이상인 코일유니트와, 상기 코일로부터 연장되는 도선의 끝단이 연결되도록 단자가 구비된 커넥터의 리셉터클을 구비한다. 상기 커넥터의 플러그에 연결되는 전원공급도선이 또한 구비된다. 상기 코일유니트는 다수의 코일세트를 구비하되, 각 코일세트는 상마다 하나씩을 코일로 구성되는데, 그 중 두 개의 코일세트에 있는 코일들이 커넥터 부품의 단자와 연결될 때, 하나의 코일세트에 있는 코일들은 각각의 양쪽 끝단 도선들이 각각 별도의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코일세트에 있는 코일들은 각각의 양쪽 끝단 도선들 중 하나의 도선들은 각각 별도의 단자에 연결되는데, 다른 하나의 도선들은 하나의 단자에 연결된다. 상기 전원공급도선이 연결된 커넥터의 다른 부품의 단자 중 일부에는 전원공급도선이 연결되며, 또한 각 단자들은 상기 코일세트 사이의 동일한 상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도록 서로 연결된다.

Description

리니어모터용 이동코일장치의 코일결선구조 {COIL CONNECTION OF MOVING COIL DEVICE FOR USE IN LINEAR MOTOR}
본 발명은 리니어모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리니어모터에 사용되는 코일의 결선구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선형운동장치들은 모터의 회전운동을 기어나 벨트, 혹은 볼 스크루 등 도구를 이용하여 직선운동을 구현하였다. 이 기구를 대체하는 것이 직선 구동식 모터 즉, 리니어모터이다. 선형구동모터(리니어모터)는 위치 및 속도제어기구로써 빠른 속도와 강한 추력을 내며, 정확한 위치제어가 가능하다. 이러한 특징이 요구되는 공장자동화 장치, CD 플레이어, 자기부상열차, 반도체 장비 등의 분야에 이 리니어모터가 널리 적용되고 있다. 리니어모터에 대해서는 구조, 재료, 제어 등의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브러시리스 선형구동모터는 이동코일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이동코일장치는 고리형 코일의 중앙에 위치하는 재료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뉜다. 철심에 코일이 끼워지는 철심형 이동코일장치, 중간에 아무런 자성재료도 끼워지지 않는 공심형의 납작한 이동코일장치, 코일의 중앙에 다른 코일의 구동코일부가 통과하는 코일코어형 이동코일장치를 들 수 있다.
이동코일장치는 위와 같은 코어의 유무와 관계없이 다수의 코일을 구비하며, 이들 코일들은 여러 개의 상(phase)으로 나뉜다. 브러시리스 리니어모터의 코일은 보통 3상으로 이루어진다. 각 상에 두 개씩 코일 6개가 하나의 코일유니트를 이룬다. 하나의 이동코일장치에는 상기 코일 유니트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코일 유니트의 코일들은 동일한 상끼리 병렬로 연결되던가 직렬로 연결된다. 브러시리스 리니어모터의 운전조건은 여러 가지 있을 수 있다. 대표적인 것이, 부하가 크고 속도는 느린 운전 조건이 있을 수 있고, 부하는 작지만 속도는 빠른 운전 조건이 있다.
속도가 빠른 경우 자속 사이를 빠르게 코일이 통과하므로 코일에는 역전압(통상 back emf 라고도 함)이 발생한다. 이 역전압은 드라이버에서 공급하는 전압의 일부와 상쇄되어 실제 코일에 걸리는 전압을 낮춘다. 이 때, 같은 상의 여러 개의 코일이 직렬결선이라면, 코일에 걸리는 전압은 더욱 작아진다. 높은 전압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드라이버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병렬결선을 이용한다.
이와는 달리 느린 운동이라면 역전압이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으므로 전압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만, 전류가 커지면 드라이버 용량이 커지므로 전압을 나누어 쓰고 드라이버에서 공급해야하는 전류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는 직렬 결선을 사용한다. 그러면, 같은 드라이버 용량이더라도 큰 전류가 흘러 추력이 커진다. 이렇듯, 운동의 조건에 따라, 코일 사이의 결선 방식을 정해야 하는 것이다.
종래의 브러시리스 리니어모터에 사용하는 이동코일장치는 성형체로 성형하기 전에 병렬 결선과 직렬 결선 중의 하나로 정하여 결선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케이블과 연결한 케이블의 일부까지 성형(몰딩)한다. 한번 에폭시 수지와 같은 재료로 성형하고 나면 결선의 방법을 바꿀 수 없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생산 시 이동코일장치를 적어도 두 종류 이상 생산해야 한다. 이동코일장치는 제조과정 중 중간조립체이므로 중간 조립체의 종류가 많아지는 것은 생산 능률을 떨어뜨릴 수 있다. 그리고, 이미 조립하여 사용 중이던 리니어모터라면, 이동코일장치를 완전히 교체하여야 운전조건이 다른 곳에 사용할 수 있었다. 케이블과 함께 성형이 이루어지므로 케이블의 손상이 일어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각각의 코일 유니트의 동일한 상의 코일들을 직렬로 결선하거나 병렬로 결선하는 것을 성형체로 성형한 이후에도 행할 수 있는 이동코일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코일장치의 각 코일의 끝단에 커넥터를 연결한 이동코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모터의 사시도로서 길이방향의 일부만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에 도시한 리니어모터가 구비하는 철심형 이동코일장치의 사시도로서 코일측 커넥터 리셉터클과 드라이버측 커넥터 플러그를 분리한 상태로 도시한 도면
도3은 도2의 이동코일장치를 성형체를 성형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4는 도2의 이동코일장치에 설치되는 커넥터 홀더의 사시도
도5는 도2의 이동코일장치에 고정된 코일측 커넥터의 결선도
도6은 도2의 코일측 커넥터에 접속되는 직렬 연결형 드라이버측 커넥터의 결선도
도7은 도5 및 도6의 커넥터를 결합하였을 때 이루어지는 코일의 직렬 회로도
도8은 도2의 코일측 커넥터에 접속되는 병렬 연결형 드라이버측 커넥터의 결선도
도9는 도5 및 도8의 커넥터를 결합하였을 때 이루어지는 코일의 직렬 회로도
본 발명에서는 이동코일장치에 설치된 각 코일의 끝단을 커넥터의 결합되는 두 부분 중 하나(즉, 리셉터클과 플러그 중 하나로서 주로 리셉터클)에 연결하고 이들을 성형체로 고정한 이동코일장치를 제공한다. 이 커넥터의 다른 부분(즉, 리셉터클과 플러그 중 하나로서 주로 플러그)은 전원공급장치(드라이버)로부터 오는 선을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리니어모터에서 영구자석이 마련된 고정자와 상호작용하여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코일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코일을 구비하되, 상기 다수의 코일은 복수개의 상으로 나뉘어지며 각 상마다 코일이 두 개 이상인 코일유니트와,
상기 코일로부터 연장되는 도선의 끝단이 연결되도록 단자가 구비된 커넥터의 서로 결합하는 두 부품 중 하나의 커넥터 부품을 포함하는 이동코일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영구자석이 배치된 고정부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리니어모터에서 영구자석이 마련된 고정자와 상호작용하여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코일장치를 포함하는 리니어모터에 있어서,
상기 이동코일장치는
다수의 코일을 구비하되, 상기 다수의 코일은 복수개의 상으로 나뉘어지며 각 상마다 코일이 두 개 이상인 코일유니트와,
상기 코일로부터 연장되는 도선의 끝단이 연결되도록 단자가 구비된 커넥터의 서로 결합하는 두 부품 중 하나의 커넥터 부품을 구비하며,
상기 커넥터의 다른 하나의 부품이 그 말단에 연결되는 전원공급도선을 더 구비하는 리니어모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과 함께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리스 리니어모터(10)는 고정부와 이동부(12)를 구비한다. 이동부(12)에는 후술하는 이동코일장치(14)가 구비된다. 리니어모터(10)는 측면 하우징부재(16) 외측 아래에 부착된 지지판(18)을 구비한다. 지지판(18) 위에는 터미널 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이동코일장치(14)로부터 나오는 전원공급선과 센서신호전달선은 각각 외피를 구비하는 와이어 집합 케이블(22,23)을 이루어 외부로 나온다. 이 케이블(22,23)은와이어 케이스(24)의 한 끝으로 들어가는데, 결국 전원공급와이어와 센서신호전달선은 와이어 케이스(24)를 지나 터미널 장치(20)에 연결된다.
도1에서는 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센서신호전달케이블(23)은 후술하는 이동코일장치에 있는 몰딩된 커넥터로부터 연결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온도센서와 홀센서로부터 나오는 신호를 전달한다. 도시되지 않는 다른 센서신호전달케이블도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이동부(12)와 마련된 엔코더 장치의 신호검출부와, 리미트 스위치의 신호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리니어모터의 제어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와이어 케이스(24)는 작은 두께와 그 두께에 비하여 넓은 폭을 갖은 다수개의 마디를 길게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와이어 케이스(24)의 한쪽 끝은 터미널 장치(20)의 아래쪽 지지판(18) 가까운 곳에 고정된다. 와이어 케이스(24)는 리니어모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다가 둥글게 휘어져 위쪽으로 올라간 뒤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최종적으로는 이동부(12)에서 케이블(22)이 나오는 위치 가까이까지 연장된다. 와이어케이스(24)의 다른 한쪽 끝은 연결부재(25)에 의해 이동부(12)에 고정되며 이동부(24)가 이동하면, 휘는 위치가 변화하면서 케이블이 손상되지 않게 하면서, 계속 이동코일장치(14)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터미널 장치(20)에는 이동부(24)에서 오는 각종 신호전달선, 전원공급선이 연결된다. 이 터미널 장치(20)에는 리셉터클이 마련되어 드라이버(전원공급장치) 및 제어부에서 연장되는 전원 케이블(26)의 커넥터 플러그(28)와 센서신호케이블(30)의 커넥터 플러그(31)가 연결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코일장치(14)는 철심형으로서 철심(32)과, 코일(34), 성형체(38)를 구비한다. 도2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철심형 이동코일장치를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이동코일장치는 공심형 및 코일코어형의 이동코일장치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코어로 이용되는 철심(32)은 전기강판을 타발하여 적층한 것으로서 기저부(40)와 돌출부(42)를 구비한다. 기저부(40)는 대체로 평행사변형을 이루는 것으로서, 서로 마주보는 길다란 빗변(44)은 철심형 이동코일장치(14)의 이동방향과 일치한다. 측변(46)은 이 길이방향과는 경사진 상태로 연장된다. 다수(본 실시예에서는 6개)의 돌출부(42)가 기저부(40)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돌출부(42)에 끼워지는 코일은 각각 다수의 상(본 실시예에서는 3상)으로 나뉘며, 각 상마다 2의 배수 개(본 실시예에서는 2개)가 마련된다. 보통, 이 돌출부(42)의 수는 코일의 수와 일치한다.
돌출부(42)는 한쪽 빗변에서 다른 쪽 빗변까지 죽 연장되어 있다. 돌출부(42)들은 모두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지고 서로 평행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으며, 그들 중의 일부가 간격이 다르거나 평행을 이루지 않는 경우도 있다. 각각의 돌출부(42)마다 후술하는 감은 코일(34)이 바깥에 끼워진다. 돌출부(42)가 마련된 면의 맞은 편에는 역 T자형의 홈(50)이 마련된다. 이 홈은 철심형 이동코일장치(14)를 슬라이드부재에 고정할 때 사용하거나, 제조 또는 수리 과정에서 철심형 이동코일장치(14)를 영구자석과 분리할 때 사용한다.
위에서 설명한 코어는 전기강판을 블랭킹 가공하여 적층하여 이루어진 철심 코어이다. 그러나, 코어의 재료는 전기강판에 제한되지 않으며, 강자성체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각각의 돌출부(42)에는 코일(34)이 끼워져 있다. 코일(34)은 구동코일부(52)와 연결코일부(54)를 구비한다. 구동코일부(52)는 돌출부(42)를 따라 한쪽 길다란 빗변(44)에서 다른 쪽 길다란 빗변으로 연장된다. 구동코일부(52) 사이를 연결코일부(54)가 이어주는데, 연결코일부(54)는 돌출부(42)의 길다란 빗변(44)쪽 끝에서 둥글게 대체로 반원형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형상의 코일(34)은 대체로 고리형상으로서 각각의 돌출부(42)에 끼워진다. 코일(34)은 미리 고리형상으로 선을 감아서 돌출부에 끼울 수도 있고, 보빈에 감아서 돌출부에 끼울 수도 있으며, 돌출부에 선을 직접 감아서 형성할 수도 있다.
코일(34)은 한쪽에서부터 3개의 상(u, v, w, u', v', w')으로 이루어진다. 각 코일(34)에서 나오는 두 개의 선이 코일측 커넥터 리셉터클(58)에 연결된다. 도2 또는도3에서는 이 연장선에 대해서는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된다.
계속해서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이동코일장치(14)는 커넥터 홀더(56)를 구비한다. 커넥터 홀더(56)에는 전원용 커넥터 리셉터클(58)과 신호전달용 커넥터 리셉터클(59)이 설치된다. 전원용 리셉터클(58)에는 전원용 케이블(22)의 끝에 달려 있는 전원용 커넥터 플러그(60,61)가 끼워진다(도2 참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신호전달용 커넥터 플러그도 리셉터클(59)에 끼워진다. 이들 전원용케이블(22)과 신호전달용케이블(23)은 상기 리셉터클에 연결된 후 클립과 같은 결합용 부재에 의해 이동부(24)를 구성하는 몸체(이는 도2에 도시한 이동코일장치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임)에 고정된다. 이는 이들 케이블이 이동코일장치의 이동 중에 불필요한 외력을 받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전원용 커넥터 부품(58,60,61)과 신호전달용 커넥터 부품(59)은 통상의 커넥터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원용 커넥터는 10핀, 신호전달용 커넥터는 6핀 짜리를 사용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커넥터 홀더(56)는 측면으로 개방된 두 개의 삽입홈(62,64)을 구비한다. 삽입홈(62)에는 전원용 커넥터 리셉터클(58)이 끼워진다. 삽입홈(64)에는 신호전달용 커넥터 리셉터클(59)이 끼워진다. 삽입홈(62,64)은 상부(66)는 커넥터의 리셉터클 본체가 얹어질 수 있게 리셉터클의 폭보다 약간 넓게 형성되어 있다. 아래로 내려가면서 턱(68)이 마련되는데, 리셉터클 몸체가 턱(68)에 얹어진다. 커넥터 리셉터클(58)의 아래쪽 다리 단자(70)는 하부(72)의 폭이 좁은 부분으로 삽입된다. 삽입홈(62,64)은 옆쪽이 터져 있으므로, 다리 단자(70)에 와이어가 연결된 상태에서 커넥터 리셉터클(58,59)을 삽입홈(62,64)에 끼울 수 있다. 삽입홈(62,64)은 측면으로 개방되어 있어 연결도선이 단자에 납땜 등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도 끼워 넣을 수 있다.
다시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철심(32)의 돌출부(42), 코일(34), 커넥터 홀더(56) 및 커넥터 리셉터클(58,59)의 와이어 연결 다리 단자 등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에폭시 수지와 같은 성형용 플라스틱 수지로 성형(몰딩)하여성형체(38)를 형성한다. 성형체(38)의 길다란 빗변(68)은 철심형 이동코일장치(14)의 이동방향과 평행으로 연장된다. 성형체(38)의 측변(70)은 길다란 빗변(68)과는 대체로 직각이다. 성형체(18)의 저면은 대체로 편평하게 하는 것이 좋다.
도5에는 코일이 6개이고 각 상마다 2개의 코일이 있는 코일유니트에서 코일과 코일측 전원 커넥터 리셉터클(58)을 결선하는 방법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코일 u, v, w는 각각의 양 끝단이 커넥터의 6개의 단자에 각각 연결된다. 코일 u', v', w'의 한 쪽 끝단은 모두 묶여서 커넥터의 하나의 단자로 연결된다. 코일 u', v', w'의 다른 쪽 끝은 커넥터의 3개의 단자에 각각 연결된다. 도5에서는 코일 u는 1번, 4번 단자에 연결되고, 코일 v는 2번, 5번 단자에 연결되고, 코일 w는 3번, 6번 단자에 연결된다. 코일 u'는 7번, 10번 단자에 연결되고, 코일 u'는 8번, 10번 단자에 연결되고, 코일 u'는 9번, 10번 단자에 연결된다.
도6은 직렬연결용 드라이버측 전원 커넥터 플러그(60)로서 코일들을 직렬 연결하는 커넥터의 결선도를 도시한다. 커넥터 플러그(60)의 1 내지 10번 단자는 도5에 도시한 커넥터 리셉터클의 단자 핀 번호의 역순의 단자번호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다. 즉, 커넥터 플러그(60)의 1번은 커넥터 리셉터클(58)의 10번 단자, 커넥터 플러그(60)의 2번은 커넥터 리셉터클(58)의 9번 단자와 같은 차례로 접속될 수 있다. 커넥터 플러그(60)는 1번 단자는 단선되어 있다. 드라이버측 커넥터 플러그(60)의 2번 단자는 5번 단자와 연결하므로 커넥터(58,60)를 접속하였을 때, 코일측 커넥터 리셉터클(58)의 9번 단자와 6번 단자를 연결해 주어 코일 w, w'가 직렬연결을 형성하게 한다. 드라이버측 커넥터 플러그(60)의 3번 단자는 6번 단자와 연결하므로 커넥터(58,60)를 접속하였을 때, 코일측 커넥터 리셉터클(58)의 8번 단자와 5번 단자를 연결해 주어 코일 v, v'가 직렬연결을 형성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드라이버측 커넥터 플러그(60)의 4번 단자는 7번 단자와 연결하므로 커넥터(58,60)를 접속하였을 때, 코일측 커넥터 리셉터클(58)의 7번 단자와 4번 단자를 연결해 주어 코일 u, u'가 직렬연결을 형성하게 한다. 코일 u, v, w 는 각각 커넥터 플러그(60)의 10번, 9번, 8번 단자에 연결되어 케이블(22)을 통하여 드라이버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결국, 직렬 연결용 커넥터 플러그(60)에 의해서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연결이 이루어진다.
도8은 병렬연결용 드라이버측 전원 커넥터 플러그(61)로서 코일들을 병렬 연결하는 커넥터의 결선도를 도시한다. 커넥터 플러그(61)의 1 내지 10번 단자는 도5에 도시한 커넥터의 단자 핀 번호의 역순의 단자번호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다. 즉, 커넥터 플러그(61)의 1번은 커넥터 리셉터클(58)의 10번 단자, 커넥터 플러그(61)의 2번은 커넥터 리셉터클(58)의 9번 단자와 같은 차례로 접속될 수 있다. 커넥터 플러그(61)는 1번 단자는 5번, 6번, 7번 단자에 연결되어, 커넥터(58,60)끼리 접속되었을 때, 커넥터 리셉터클(58)의 6번, 5번, 4번 단자(즉, 코일 u, v, w의 한쪽 끝단들)를 하나로 묶어준다. 드라이버측 커넥터 플러그(61)의 2번 단자는 드라이버와 연결되는 8번 단자와 이어지고, 커넥터(58,61)를 접속하였을 때, 코일측 커넥터 리셉터클(58)의 3번 단자와 연결되어 코일 w, w'가 병렬연결을 형성하게 한다. 이와 유사하게 드라이버측 커넥터 플러그(61)의 3번 단자는 드라이버와 연결되는 9번 단자와 연결하므로 커넥터(58,61)를 접속하였을 때, 코일측 커넥터 리셉터클(58)의2번 단자와 연결되어 코일 v, v'가 병렬연결을 형성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드라이버측 커넥터 플러그(61)의 4번 단자는 드라이버에 연결된 10번 단자와 연결하므로 커넥터(58,61)를 접속하였을 때, 코일측 커넥터 리셉터클(58)의 1번 단자와 연결되어 코일 u, u'가 병렬연결을 형성하게 한다. 코일 u, u'쌍 v, v'쌍, w, w'쌍은 각각 커넥터 플러그(61)의 10번, 9번, 8번 단자에 연결되어 드라이버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결국, 병렬 연결용 커넥터 플러그(61)에 의해서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병렬연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5, 도6, 도8에 도시한 커넥터(58,60,61)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코일과 커넥터의 단자들 사이의 결선은 이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이동코일장치의 각 상에 해당하는 다수의 코일을 병렬 또는 직렬로 선택적으로 결선할 수 있다. 이는 미리 준비한 커넥터를 이용하므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코일장치에는 커넥터의 리셉터클에 코일 선을 결선하면 되므로 이동코일장치에 마련된 코일의 결선 구조에 관계없이 이동코일장치를 생산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재고 부담이 줄어든다. 생산된 이동코일장치를 다룰 때에도 길게 연장되는 케이블이 없어 작업이 편리하다. 한편, 커넥터의 고정을 위해 커넥터 홀더를 이용하므로, 몰딩 중에 커넥터가 정위치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케이블에 단선 등의 불량이 발생하였을 때, 케이블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손실이 적다. 종래와 같은 이동코일장치는 이동코일장치 전체를교체하여야 한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리니어모터에서 영구자석이 마련된 고정자와 상호작용하여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코일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코일을 구비하되, 상기 다수의 코일은 복수개의 상으로 나뉘어지며 각 상마다 코일이 두 개 이상인 코일유니트와,
    상기 코일로부터 연장되는 도선의 끝단이 연결되도록 단자가 구비된 커넥터의 서로 결합하는 두 부품 중 하나의 커넥터 부품을 포함하는 이동코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두 부품은 커넥터의 리셉터클과 플러그이며 상기 하나의 커넥터 부품은 리셉터클인 이동코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을 고정하기 위한 커넥터 홀더가 구비된 이동코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홀더는 일측으로 개방되어 있어, 개방된 일측으로부터 리셉터클이 삽입되는 길다란 삽입홈을 구비하는 이동코일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과 상기 코어가 플라스틱 수지로 몰딩되어 고정되는 이동코일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유니트는 다수의 코일세트를 구비하되, 각 코일세트는 상마다 하나씩을 코일로 구성되는데, 그 중 두 개의 코일세트에 있는 코일들이 커넥터 부품의 단자와 연결될 때,
    하나의 코일세트에 있는 코일들은 각각의 양쪽 끝단 도선들이 각각 별도의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코일세트에 있는 코일들은 각각의 양쪽 끝단 도선들 중 하나의 도선들은 각각 별도의 단자에 연결되는데, 다른 하나의 도선들은 하나의 단자에 연결되는 이동코일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센서장치와,
    상기 센서장치로부터 연장되는 도선에 접속되도록 단자가 구비된 커넥터의 서로 결합하는 두 부품 중 하나의 커넥터 부품을 더 포함하는 이동코일장치.
  8. 영구자석이 배치된 고정부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리니어모터에서 영구자석이 마련된 고정자와 상호작용하여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코일장치를 포함하는 리니어모터에 있어서,
    상기 이동코일장치는
    다수의 코일을 구비하되, 상기 다수의 코일은 복수개의 상으로 나뉘어지며각 상마다 코일이 두 개 이상인 코일유니트와,
    상기 코일로부터 연장되는 도선의 끝단이 연결되도록 단자가 구비된 커넥터의 서로 결합하는 두 부품 중 하나의 커넥터 부품을 구비하며,
    상기 커넥터의 다른 하나의 부품이 그 말단에 연결되는 전원공급도선을 더 구비하는 리니어모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유니트는 다수의 코일세트를 구비하되, 각 코일세트는 상마다 하나씩을 코일로 구성되는데, 그 중 두 개의 코일세트에 있는 코일들이 커넥터 부품의 단자와 연결될 때,
    하나의 코일세트에 있는 코일들은 각각의 양쪽 끝단 도선들이 각각 별도의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코일세트에 있는 코일들은 각각의 양쪽 끝단 도선들 중 하나의 도선들은 각각 별도의 단자에 연결되는데, 다른 하나의 도선들은 하나의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전원공급도선이 연결된 커넥터의 다른 부품의 단자 중 일부에는 전원공급도선이 연결되며, 또한 각 단자들은 상기 코일세트 사이의 동일한 상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도록 서로 연결된 리니어모터.
KR10-2001-0046543A 2001-08-01 2001-08-01 리니어모터용 이동코일장치의 코일결선구조 KR100430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543A KR100430182B1 (ko) 2001-08-01 2001-08-01 리니어모터용 이동코일장치의 코일결선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543A KR100430182B1 (ko) 2001-08-01 2001-08-01 리니어모터용 이동코일장치의 코일결선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502A KR20030012502A (ko) 2003-02-12
KR100430182B1 true KR100430182B1 (ko) 2004-05-04

Family

ID=27717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543A KR100430182B1 (ko) 2001-08-01 2001-08-01 리니어모터용 이동코일장치의 코일결선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01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205B1 (ko) 2014-03-26 2014-09-22 주식회사 케이메카트로닉스 샤프트형 리니어 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62320A (zh) * 2018-11-02 2019-03-12 安徽大学 双层反向倾斜绕组无铁芯永磁同步直线电机
KR102416447B1 (ko) * 2020-08-07 2022-07-05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이송 대차용 코어리스 리니어 모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5473A (ja) * 1992-11-17 1994-06-10 Seikosha Co Ltd リニア直流モータ
JPH10174410A (ja) * 1996-12-05 1998-06-26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リニアモータ
KR20000020681U (ko) * 1999-05-12 2000-12-05 정훈택 리니어 모터용 가동자의 와이어 연결 구조
JP2001145325A (ja) * 1999-11-18 2001-05-25 Japan Servo Co Ltd 多励磁巻線型小型モータ及びモータ用多極コネクタ
JP2002171741A (ja) * 2000-11-30 2002-06-14 Shicoh Eng Co Ltd リニアモー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5473A (ja) * 1992-11-17 1994-06-10 Seikosha Co Ltd リニア直流モータ
JPH10174410A (ja) * 1996-12-05 1998-06-26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リニアモータ
KR20000020681U (ko) * 1999-05-12 2000-12-05 정훈택 리니어 모터용 가동자의 와이어 연결 구조
JP2001145325A (ja) * 1999-11-18 2001-05-25 Japan Servo Co Ltd 多励磁巻線型小型モータ及びモータ用多極コネクタ
JP2002171741A (ja) * 2000-11-30 2002-06-14 Shicoh Eng Co Ltd リニアモー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205B1 (ko) 2014-03-26 2014-09-22 주식회사 케이메카트로닉스 샤프트형 리니어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502A (ko) 200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151C (zh) 电动机终端板
US5684344A (en) Drive unit
US6600244B2 (en) Electric motor
EP0213863A2 (en) Programmable electrical connector
EP1050948A3 (de) Stator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ators
JP2011504085A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KR100988251B1 (ko) 분할 고정자 전기기계에 있어서의 개선된 연결방법
JPH04137457U (ja) 回転電機の給電構造
US5644176A (en) Linear direct current motor
US20050046289A1 (en) Terminal arrangement of motor and capacitor motor
KR20010095333A (ko) 자동 장착용 코일
US687907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lectric motor voltage change
CN100413188C (zh) 直线电动机的电枢和直线电动机
KR100430182B1 (ko) 리니어모터용 이동코일장치의 코일결선구조
US20040263001A1 (en) Coil wiring member for movable magnet type linear motor
US6880165B2 (en) Objective lens driving unit with connecting members displaced in extending direction of suspension wires
JP2007006637A (ja) リニアモータ
US5648691A (en) Linear direct current motor
JPH05236692A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固定子巻線接続構造
US5696411A (en) Linear direct current motor
KR20000027450A (ko) 모터의 인쇄회로기판 고정구조
JP2002171741A (ja) リニアモータ
JP2002034229A (ja) コアレスリニアモータ
CN110896682A (zh) 电机的转子结构及电机
JPH0717266Y2 (ja) モ−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