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9817B1 -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보조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보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29817B1 KR100429817B1 KR10-2002-0040671A KR20020040671A KR100429817B1 KR 100429817 B1 KR100429817 B1 KR 100429817B1 KR 20020040671 A KR20020040671 A KR 20020040671A KR 100429817 B1 KR100429817 B1 KR 1004298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scattering
- light source
- transfer
- longitudinal direc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charge patter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토너 화상이 형성된 감광매체 표면에 광을 조사하여 토너 화상의 전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보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보조장치는, 광원과, 일측에 광원이 배치되어 있으며 감광매체의 표면에 광이 균일하게 조사될 수 있도록 광원으로부터 방출되어 내부로 입사된 광을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하면서 길이 방향에 대해 광이 균일화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광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광가이드부재는, 광원으로부터 출사되어 내부로 들어온 광을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와, 입사되는 광을 산란시켜 출력하는 산란부와, 가이드부로부터의 광을 반사시켜 산란부 쪽으로 향하도록 하는 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개시된 전사보조장치를 이용하면, 토너 화상이 형성된 감광매체 표면에 균일한 강도의 전사 보조용 광을 조사할 수 있어, 인쇄 화상 농도가 균일해지도록 하여, 인쇄 품질을 높일 수 있으며, 고해상도 화상형성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너 화상이 형성된 감광매체 상에 고르게 광을 조사하여 감광드럼 표면의 대전전위를 높여줌으로써 토너 화상이 감광매체로부터 용이하게 전사될 수 있도록 하는 전사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전사보조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에는 대전롤러(1)를 포함하는 대전장치, 레이저스캐닝유니트(LSU), 감광매체로서 감광드럼(3), 현상롤러(5)를 포함하는 현상장치, 전사롤러(9)를 포함하는 전사장치 및 토너 화상의 전사 효율이 향상되도록 감광드럼(3) 표면에 광을 조사하여 감광드럼(3)의 표면전위를 높여주는 전사보조장치(1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사보조장치(10)는 전사롤러(9) 대신에 전사벨트를 구비하는 구조일 수도 있다. 도 1에서 참조번호 7은 공급롤러로, 현상제인 토너를 현상롤러(5)쪽으로 공급해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화상형성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이 감광드럼(3)의 표면에 토너 화상이 형성되고, 이 토너 화상이 용지(8)에 전사된다.
대전롤러(1)에 의해 감광드럼(3)의 표면은 일정 전압으로 대전되어 일정한 음의 표면전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감광드럼(3)의 표면의 토너 화상을 형성할 부분에 레이저스캐닝유니트(LSU)에 의해 레이저빔이 조사되면, 레이저빔이 조사된 부분의 감광드럼(3)의 표면전위가 변하여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롤러(5)로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하면, 그 정전잠상 위치에 토너가 부착되어 토너 화상이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감광드럼(3)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전사롤러(9)에 의해 용지(8)로 전사된다.
상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예를 들어, 대전롤러(1)에는 약 -1400V의 DC 전압을 인가하고, 감광드럼(3)에는 약 -200V의 DC 전압을 인가하여 감광드럼(3)의 표면을 대전시켜 표면전위는 약 -800V로 한다. 그리고, 레이저스캐닝유니트(LSU)에 의한 노광 전위(즉, 레이저스캐닝유니트(LSU)에 의해 레이저빔이 조사된 부분의 감광드럼(3)의 표면 전위로, 정전 잠상의 전위에 해당한다)는 -50V로 하고, 현상롤러(5) 표면은 약 -300V로 대전하여, 현상롤러(5)로부터의 토너들이 이 노광 전위를 가지는 정전잠상 위치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사롤러(9)는 +1200V로 대전되어, 감광드럼(3) 표면의 토너 화상을 용지(8)쪽으로 전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사보조장치(10) 일명, PTL(Pre-Transfer Lamp)는 토너가 감광드럼(3)의 표면으로부터 용지(8)로 전사되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현상롤러(5)와 전사롤러(9) 사이에 설치된다. 이 전사보조장치(10)를 특정시간에 on시켜 감광드럼(3) 표면의 대전전위가 1/2로 줄어들도록 예를 들어, 약 -400V로 변하도록 광을 감광드럼(3) 표면에 조사하면, 상기 레이저스캐닝유니트(LSU)로부터 조사된 레이저빔에 의한 노광 전위와 그 주변의 감광드럼(3)의 표면 전위 차가 줄어들기 때문에, 감광드럼(3) 표면의 노광 전위 위치에 부착되어 있는 토너들이 쉽게 전사되게 된다. 여기서, 노광 전위 부분은 토너들이 부착되어 있어 전사보조장치(10)로부터의 광이 조사되지 않으므로 전위가 변하지 않는다.
도 2는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보조장치는, 발광다이오드(LED) 어레이(11)와, LED 어레이로부터 출사된 광을 모아주는 렌즈(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LED 어레이(11)는, 감광드럼(3)의 길이 방향 즉, 주주사 방향의 전체면에 고르게 광을 조사하도록, 감광드럼(3)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12~18개 정도의 LED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LED로 사용되는 둥근 형태(Round-type)의 LED는 동일한 사양에서도 광의 밝기 편차가 약 30% 정도로 심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12~18개의 LED를 일렬로 배열한 LED 어레이(11)를 사용할 경우, 특별히 동일 광량을 내는 LED를 선별하여 적용하지 않는 한 LED별로 출사광량 차이가 커서 인쇄 화상 농도가 불균일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출사광량이 너무 작은 LED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부분에서는 전사불량이발생하고, 출사광량이 너무 큰 LED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부분에서는, 미려한 화상에 검은색의 농도차가 발생하게 되어 인쇄품질이 나빠진다. 조사광량이 강할 경우 검은색의 농도차가 발생하는 이유는, 노광 전위와 대전 전위 차가 줄어들어 토너가 노광 전위 부분에 결집되지 못하고, 인쇄되는 도트(Dot) 주변으로 비산되어 도트가 크게 보이게 되므로 그레이(Gray) 화상에서는 진하게 보이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토너 화상이 형성된 감광매체 표면에 균일한 강도의 전사 보조용 광을 조사하여, 인쇄 화상 농도가 균일해지도록 하여, 인쇄 품질을 높일 수 있으며, 고해상도 화상형성장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된 전사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전사보조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보조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전사보조장치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사보조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광원이 설치된 부분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보조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8은 도 5의 광가이드부재의 산란부의 베이스면에 형성된 산란 패턴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전사보조장치 51...LED
53...인쇄회로기판 54...설치홈
55...설치턱 60...광가이드부재
61...가이드부 61a...측면
61b,61c,61d...제1 내지 제3면 71...그루브
80...산란부 81...베이스면
85...렌즈 곡면 89...인입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토너 화상이 형성된 감광매체 표면에 광을 조사하여 토너 화상의 전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보조장치에 있어서, 광원과; 일측에 상기 광원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감광매체의 표면에 광이 균일하게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어 내부로 입사된 광을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하면서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 광이 균일화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광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광가이드부재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어 내부로 들어온 광을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와; 입사되는 광을 산란시켜 출력하는 산란부와; 상기 가이드부로부터의 광을 반사시켜 상기 산란부 쪽으로 향하도록 하는 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루브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입사되는 광을 상기 산란부쪽으로 반사시키는 비율이 증가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상기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깊이가 얕아지도록 형성되어, 광의 균일화를 도울 수 있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란부는 산란된 광을 주변으로 분산시키지 않도록 우물구조이고, 이 우물구조의 베이스면에 광을 산란시키는 산란 패턴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란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란부는 상기 베이스면에 반대되는 쪽에 상기 산란 패턴에서 산란된 광을 모아서 출력시키는 렌즈 곡면;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광원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광원은 단일의 둥근 형태의 발광다이오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가이드부재는, 투명한 광학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는, 일 측면에 상기 광원이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에 상기 그루브가 형성된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대향되는 제2면과, 상기 제1 및 제2면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산란부와 반대쪽에 위치된 제3면을 구비하여, 상기 광원에서 방출되어 입사된 광을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광원에서 먼쪽의 일부분은 그 단면적이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전사보조장치의 바람직한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보조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전사보조장치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사보조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광원이 설치된 부분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에서는 도 1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부재는 동일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사보조장치(50)가 감광매체로 감광드럼(3)을 채용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를 예시로서, 다른 종류의 감광매체 예컨대, 감광벨트를 채용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사보조장치(50)를 화상형성장치는 도 1 및 도 3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상형성장치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보조장치(50)는, 감광드럼(3) 표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전사되기 전 단계에서, 토너 화상이 형성된 감광드럼(3) 표면에 광을 조사하여 전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현상장치의 현상롤러(5)와 전사장치의 전사롤러(9) 사이에서 감광드럼(3) 표면에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사보조장치(50)가 용지(8)를 통과하여 감광드럼(3) 표면에 광을 조사하도록 배치되는 예를 보여주는데, 본 발명에 따른 전사보조장치(5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사보조장치(50)를 용지(8)를 통과하지 않고 감광드럼(3) 표면에 광을 조사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보조장치(50)는, 가능한 작은 인쇄회로기판(53)에 광원으로 발광다이오드(LED:51) 1개만을 설치한 측면 발광체를 사용하는 구조로서, 한 개의 LED(51)에서 발광하는 광을 감광매체 예컨대, 감광드럼(3) 전체면에 일정한 각도와 광의 세기로 전달하여주는 투명한 광가이드부재(60)를 구비한다. 광가이드부재(60)에는 발광체인 LED(51)를 측면에서 위치 고정할 수 있는 설치홈(54) 및 설치턱(5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LED(51)는 둥근 형태의 LED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LED(51)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사보조장치(50)로부터 종래의 LED 어레이를 이용할 때의 광 강도에 상응하는 강도의 광이 출력되도록 고출력 LED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가이드부재(60)는 길이방향을 따른 일측면(61a)에 배치된 LED(51)로부터 방출되어 내부로 입사된 광을 상기 감광드럼(3)의 표면에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도록 그 내부로 입사된 광을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하면서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 광이 균일화되어 출력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광가이드부재(60)는 상기 LED(51)으로부터 출사되고 그 일측면(61a)을 통하여 내부로 들어온 광을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하면서 길이 방향 즉, 감광드럼(3)의 주주사 방향에 대하여 광을 균일화하여 출력시킬 수 있도록, 내부로 입사된 광을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61)와, 입사된 광을 산란/반사시켜 출력시키는 산란부(80)와, 상기 가이드부(61)로부터의 광을 반사시켜 상기 산란부(80)쪽으로 향하도록 하는 그루브(71)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부(61)는, 일측에 상기 그루브(71)가 형성된 제1면(61b)과, 상기 제1면(61b)에 대향되는 제2면(61c)과, 상기 제1 및 제2면(61b)(61c)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산란부(80)와 반대쪽에 위치된 제3면(61d)을 구비하여, LED(51)에서 방출되어 내부로 입사된 광을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한다.
상기 가이드부(61)의 길이 방향으로의 일측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LED(51)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홈(54)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ED(51)으로 둥근 형태의 LED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설치홈(54)은 LED(51)의 둥근 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가이드부(61) 내부로 입사되는 광량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설치홈(54)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단면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가능한 한 LED(51)의 둥근 부분과 설치홈(54)의 수직면이 접하도록 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설치홈(54)을 LED(51)의 둥근 부분에 대응되게 둥근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61)에는 상기 LED(51)와 광가이드부재(60) 사이의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한 바와 같이 LED(51)가 결합된 인쇄회로기판(53)이 끼워지는 설치턱(55)을 더 구비하여, LED(51)와 광가이드부재(60) 사이의 거리가 변하여 발생하는 광량 오차를 최대한 줄이는 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61)는 상기 LED(51)으로부터 먼쪽의 일부분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적이 LED(5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하여, 상기그루브(71)에 의해 산란부(80)로 보내는 광량 조절을 도울 수 있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3면(61d)의 일부분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LED(5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광이 그루브(71)쪽으로 진행하는 율을 높여주면, 광의 강도가 센 LED(51)에서 가까운 부분과, 광의 강도가 약한 LED(51)에서 먼 부분에서 그루브(71)쪽으로 진행하는 광량 차이를 줄여줄 수 있기 때문에, 광을 균일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LED(51)에서 방출되어 가이드부(61) 내부로 입사된 광은 상기 제1, 제2 및/또는 제3면(61b)(61c)(61d)에서 반사되면서 길이 방향으로 진행하는데, 이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상기 그루브(71)쪽으로 향하는 광은 상기 그루브(71)에서 반사되어 산란부(80)로 들어간다.
상기 그루브(71)는, 상기 LED(51)을 중심으로 하는 가이드부(61)의 축 상에서 벗어난 상기 제1면(61b)의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LED(51)를 가이드부(61)의 일측면(61a)에 설치하는 경우, 광원에서 가까운 쪽은 광 파워가 높고 광원에서 먼쪽은 광 파워가 낮아진다. 따라서, 상기 그루브(71)는, 길이 방향에 대하여 산란부(80)쪽으로 들어가는 광이 보다 균일해지게 광량을 조절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상기 LED(5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깊이가 얕아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그루브(71)를 길이 방향으로 LED(5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깊이가 얕아지도록 형성하면, LED(51)에서 가까운 쪽에서는 입사된 광을 내부 반사시켜 상기 산란부(80)쪽으로 진행시키는 율이 낮고, LED(51)에서 멀어질수록 입사된 광을 내부 반사시켜 상기 산란부(80)쪽으로 진행시키는 율이 높아져, 길이 방향에 대하여 광을 일차적으로 균일화할 수 있으므로, 광의 균일화에 크게 도움이 된다.
또한, 상기 그루브(71)는 가이드부(61)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켜 산란부(80)쪽으로 향하도록 하는 면이 경사면을 이루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그루브(71)의 반사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산란부(80)를 가이드부(61)에 대하여 기울어지고 우물구조로 형성하면, 산란부(80)에서 산란된 광이 가이드부(61)쪽으로 재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산란부(80)는, 우물구조로 형성되고, 이 우물구조의 베이스면(81)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란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산란부(80)는 그루브(71)에 의해 반사되어 입사되는 광을 베이스면(81)에 형성된 산란 패턴에 의해 산란시키고 반사시켜 베이스면(81)과 반대쪽으로 출력시킨다. 이때, 상기 베이스면(81)은 광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반사 코팅될 수도 있다.
상기 산란부(80)와 가이드부(61) 사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산란부(80)의 베이스면(81)과 상기 가이드부(61)의 제2면(61c) 사이에는 인입홈(89)이 형성되어, 상기 산란부(80)가 우물구조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산란부(80)는 전체적으로 가이드부(61)에 대해 기울어진 구조이고, 베이스면(81)이 상기 제2면(61c)에 대해 바깥쪽으로 기울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산란부(80)를 우물구조로 형성하고, 산란부(80)를 가이드부(61)에 대해 기울어진 구조로 형성하면, 산란부(80)의 산란 패턴에 의해 산란된 광이 주변으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산란된 광이 가이드부(61)쪽으로 재입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산란부(80)에 의해, 상기 그루브(71)에서 반사되어 입사된 광은 상기 산란 패턴에 의해 산란되면서 2차적으로 균일화되므로, 길이 방향에 있어서, 균일화된 광이 산란부(80)로부터 출력되게 된다.
한편, 상기 산란부(80)의 출력측 즉, 상기 베이스면(81)에 반대되는 쪽에는 산란 패턴에 의해 산란된 광을 모아서 출력시키는 렌즈 곡면(85)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렌즈 곡면(85)은 볼록렌즈형상으로 형성되어, 산란 패턴에 의해 산란되어 발산되는 광을 집속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부(61), 그루브(71) 및 산란부(80)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광가이드부재(60)는, 투명한 광학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일체 구조의 광가이드부재(60)를 한번의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광가이드부재(60)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사보조장치는 전체 구조가 간단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보조장치(50)는, 하나의 LED(51)를 측면 발광체로 사용하고, 광가이드부재(60)에 의해 길이 방향에 대해 광을 균일화할 수 있어, 감광매체 표면에 주주사 방향으로 균일한 강도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보조장치(50)를 화상형성장치에 적용한 경우, 화상형성장치의 워밍업 동작 및 용지(8) 없이 클리닝 동작을 실행하는 동안에는 전사보조장치(50)를 켜지 않고, 정상적인 인쇄동작에서는 연속적으로 전사보조장치(50)를 온시켜 감광매체의 대전전위를 약 1/2로 줄여 전사를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보조장치(50)를 화상형성장치에 적용했을 때, 토너 화상의 전사가 쉬워지는 동작 원리 및 본 발명에 따른 전사보조장치(50)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용지(8)에 화상을 인쇄하는 과정 등은 도 1을 참조로 앞서 설명한 바로부터 충분히 유추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전사보조장치(50)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상세한 동작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보조장치를 이용하면, 토너 화상이 형성된 감광매체 표면에 균일한 강도의 전사 보조용 광을 조사할 수 있어, 인쇄 화상 농도가 균일해지도록 하여, 인쇄 품질을 높일 수 있으며, 고해상도 화상형성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2)
- 토너 화상이 형성된 감광매체 표면에 광을 조사하여 토너 화상의 전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보조장치에 있어서,광원과; 일측에 상기 광원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감광매체의 표면에 광이 균일하게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어 내부로 입사된 광을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하면서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 광이 균일화되어 출력되도록 하는광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상기 광가이드부재는,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어 내부로 들어온 광을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와;입사되는 광을 산란시켜 출력하는 산란부와;상기 가이드부로부터의 광을 반사시켜 상기 산란부 쪽으로 향하도록 하는 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보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입사되는 광을 상기 산란부쪽으로 반사시키는 비율이 증가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상기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깊이가 얕아지도록 형성되어, 광의 균일화를 도울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보조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부는 산란된 광을 주변으로 분산시키지 않도록 우물구조이고, 이 우물구조의 베이스면에 광을 산란시키는 산란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보조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보조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부는 상기 베이스면에 반대되는 쪽에 상기 산란 패턴에서 산란된 광을 모아서 출력시키는 렌즈 곡면;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보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부는 그 출력측에 산란된 광을 모아서 출력시키는 렌즈 곡면;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보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광원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광원은 단일의 둥근 형태의 발광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보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부재는, 투명한 광학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보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부재는, 투명한 광학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보조장치.
- 제1항, 제2항,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일 측면에 상기 광원이 배치되어 있으며,일측에 상기 그루브가 형성된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대향되는 제2면과, 상기 제1 및 제2면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산란부와 반대쪽에 위치된 제3면을 구비하여, 상기 광원에서 방출되어 입사된 광을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보조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대해 기울어져 있으며, 우물구조를 이루고, 이 우물구조의 베이스면에 광을 산란시키는 산란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보조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광원에서 먼쪽의 일부분은 그 단면적이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보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40671A KR100429817B1 (ko) | 2002-07-12 | 2002-07-12 |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보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40671A KR100429817B1 (ko) | 2002-07-12 | 2002-07-12 |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보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06397A KR20040006397A (ko) | 2004-01-24 |
KR100429817B1 true KR100429817B1 (ko) | 2004-05-03 |
Family
ID=37316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40671A KR100429817B1 (ko) | 2002-07-12 | 2002-07-12 |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보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2981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7179B1 (ko) * | 2006-12-28 | 2013-08-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9982B1 (ko) * | 2005-06-01 | 2007-01-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 |
-
2002
- 2002-07-12 KR KR10-2002-0040671A patent/KR10042981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7179B1 (ko) * | 2006-12-28 | 2013-08-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06397A (ko) | 2004-0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47611B2 (en) | Optical guid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
US4248517A (en) | Illuminating device for use in a copying apparatus, a facsimile apparatus, and the like | |
US20150277360A1 (en) | Photosensitive cartridge having light guide | |
JP2011043784A (ja) | 画像形成装置 | |
KR100429817B1 (ko) |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보조장치 | |
JP2006113216A (ja) | 光除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
KR100428628B1 (ko) | 화상형성장치 | |
JP2014235881A (ja) | 導光体及び照明装置 | |
US7027757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subsidiary transfer part having a fiber optic guide | |
JP5099844B2 (ja) | 除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KR101362371B1 (ko) | 화상형성장치와 그 제전장치 | |
KR100299974B1 (ko) |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시스템 | |
JP2015141376A (ja) | 光除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
US8791973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5855048B2 (ja) | 導光体及び照明装置 | |
JP6119142B2 (ja) | 照明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 |
JP7571408B2 (ja) | 導光装置、ドラムユニット、導光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 |
JP4825032B2 (ja) | 電子写真記録装置 | |
JP3099380B2 (ja) |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パターン露光装置 | |
JP3862972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6060580B2 (ja) | 照明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KR100280180B1 (ko) | 화상형성장치의 제전장치 | |
JP2024054972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11139203A (ja) |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22023520A (ja) | 導光装置、ドラムユニット、導光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