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8790B1 - 확장된 플레이트 라인을 갖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및 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확장된 플레이트 라인을 갖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및 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8790B1
KR100428790B1 KR10-2002-0006192A KR20020006192A KR100428790B1 KR 100428790 B1 KR100428790 B1 KR 100428790B1 KR 20020006192 A KR20020006192 A KR 20020006192A KR 100428790 B1 KR100428790 B1 KR 100428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interlayer insulating
ferroelectric
insulating film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1217A (ko
Inventor
남상돈
이규만
김현호
정동진
김기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0/136,991 priority Critical patent/US6844583B2/en
Priority to DE10228118A priority patent/DE10228118A1/de
Priority to JP2002186422A priority patent/JP4623919B2/ja
Publication of KR20030001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1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790B1/ko
Priority to US10/948,610 priority patent/US7285810B2/en
Priority to US11/029,232 priority patent/US7208367B2/en
Priority to US11/859,958 priority patent/US7560760B2/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53/00Ferroelectric RAM [FeRAM] devices comprising ferroelectric memory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1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 H01L21/7687Thin films associated with contacts of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55Capacitors with a dielectric comprising a perovskite structur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Abstract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 강유전체 메모리소자는 하나의 확장된 플레이트 라인이 셀 어레이 영역 내에서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강유전체 커패시터들과 직접적으로 접속된다. 이와는 달리, 서로 이웃한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은 하나의 공통 상부전극을 공유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공통 상부전극은 상기 확장된 플레이트 라인과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 라인은 국부 플레이트 라인 및 주 플레이트 라인으로 구성된다. 이와는 달리, 상기 플레이트 라인은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 또는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은 셀 어레이 영역 내에 복수개의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을 형성한 다음, 그 결과물 전면에 하부 플레이트막을 형성하고, 이를 패터닝하여 형성한다.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은 상기 복수개의 강유전체 커패시터들 또는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상부 층간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을 패터닝하여 슬릿형 비아홀을 형성하고, 상기 슬릿형 비아홀을 덮는 상부 플레이트막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막을 패터닝하여 형성한다.

Description

확장된 플레이트 라인을 갖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방법{Ferroelectric memory device having expanded plate line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확장된 플레이트 라인을 갖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소자들 중에 강유전체 메모리소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지라도 전 상태의 데이타(previous data)를 간직하는 비휘발성 특성을 갖는다. 이에 더하여, 강유전체 메모리소자는 디램 및 에스램과 같이 낮은 전원전압에서 동작하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강유전체 메모리소자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등에 널리 사용될 수 있는 유력한 후보로 각광을 받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강유전체 메모리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1)의 소정영역에 소자분리막(13)을 형성하여 활성영역을 한정한다. 상기 활성영역 및 소자분리막(13)을 가로지르는 복수개의 절연된 게이트 전극들(15), 즉 워드라인들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들(15) 사이의 활성영역에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소오스/드레인 영역들(17s, 17d)을 형성한다.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들(17s, 17d)이 형성된 결과물의 전면에 제1 하부 층간절연막(19)을 형성한다. 상기 제1 하부 층간절연막(19)을 패터닝하여 상기 소오스 영역들(17s)을 노출시키는 스토리지 노드 콘택홀들을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 스토리지 노드 콘택홀들 내에 콘택 플러그들(21)을 형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콘택 플러그들(21)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2차원적으로 배열된 강유전체 커패시터들(32)을 형성한다. 상기 각 강유전체 커패시터(32)는 차례로 적층된 하부전극(27), 강유전체막 패턴(29) 및 상부전극(31)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전극들(27)의 각각은 상기 콘택 플러그(21)를 덮는다.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32)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제1 상부 층간절연막(33)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제1 상부 층간절연막(33) 상에 상기 게이트 전극들(15)과 평행한 복수개의 주 워드라인들(main word lines; 35)을 형성한다. 상기 각 주 워드라인(35)은 통상적으로 4개의 워드라인들(15)을 제어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주 워드라인들(35)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제2 상부 층간절연막(37)을 형성한다. 상기 제2 상부 층간절연막(37) 및 제1 상부 층간절연막(33)을 패터닝하여 상기 상부전극들(31)을 노출시키는 비아홀들(39)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각 비아홀(39)의 종횡비(aspect ratio)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습식식각 공정 및 건식식각 공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아홀(39)은 경사진 상부측벽(39a)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습식식각 공정을 과도하게 실시하면, 상기 주 워드라인(35)이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아홀(39)의 종횡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상기 비아홀(39)의 직경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비아홀(39) 및 이와 인접한 상기 주 워드라인(35) 사이의 간격(s)은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집적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점 감소한다. 따라서, 상기 비아홀(39)의 직경을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비아홀(39)을 형성하기 위한 사진공정을 실시하는 동안 정밀한 정렬(precise alignment)이 요구된다.
계속해서, 상기 비아홀들(39)을 덮는 복수개의 플레이트 라인들(41)을 형성한다. 상기 플레이트 라인들(41)은 상기 주 워드라인들(35)과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상기 비아홀들의 종횡비를 감소시키면, 상기 주 워드라인들이 노출될 수 있는 확률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전극 및 상기 플레이트 라인 사이의 콘택 불량(contact failure)과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 라인 및 상기 주 워드라인 사이의 전기적인 단락(electrical short)을 모두 해결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플레이트 라인 및 상부전극 사이의 콘택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플레이트 라인 및 주 워드라인 사이의 절연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플레이트 라인 및 상부전극 사이의 콘택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플레이트 라인 및 주 워드라인 사이의 절연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강유전체 메모리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셀 어레이 영역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4는 도 4의 Ⅰ-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5 내지 도 19는 도 4의 Ⅰ-Ⅰ'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0 내지 도 24는 도 4의 Ⅰ-Ⅰ'에 따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셀 어레이 영역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Ⅱ-Ⅱ'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행들(rows) 상에 배열된 상부전극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확장된(expanded) 플레이트 라인을 갖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를 제공한다. 이 강유전체 메모리소자는 반도체기판 상에 형성된 하부 층간절연막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 상에 복수개의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이 행 방향 및 열 방향을 따라 2차원적으로 배열된다. 상기 복수개의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은 상부 층간절연막에 의해 덮여진다.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은 차례로 적층된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 내에 상기 열 방향과 평행한 복수개의 플레이트 라인들이 배치된다. 상기 플레이트 라인들의 각각은 서로 이웃한 적어도 2개의 행들(rows) 내에 배열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상부면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결과적으로,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은 하나의 플레이트 라인을 공유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들 사이에 복수개의 주 워드라인(main word lines)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 워드라인들은 상기 열 방향과 평행하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 라인은 적어도 2개의 인접한 행들 및 적어도 하나의 열 내에 배열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과 접촉할 수도 있다.
상기 플레이트 라인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에 의해 덮여진 국부 플레이트라인(local plate line)이거나,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을 관통하는 슬릿형 비아홀(slit-type via hole)을 덮는 주 플레이트 라인(main plate line)일 수도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플레이트 라인은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 및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슬릿형 비아홀들의 각각은 상기 주 워드라인들 사이에 위치한다.
한편,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각각은 차례로 적층된 하부전극(bottom electrode), 강유전체막 패턴(ferroelectric layer pattern) 및 상부전극(top electrode)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에, 상기 플레이트 라인들의 각각은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상기 상부전극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이와는 달리,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행들 내에 배열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상부전극들은 하나의 국부 플레이트 라인 대신에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과 접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의 각각은 적어도 2개의 인접한 행들 및 적어도 하나의 열 내에 배치된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상부전극들과 접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의 각각은 적어도 2개의 인접한 행들 및 적어도 2개의 열들 내에 배치된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상부전극들과 접촉한다. 이 경우에,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들의 각각은 복수개의 비아홀들을 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는 달리,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들의 각각은 상기 슬릿형 비아홀을 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 사이의 갭 영역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에 대하여식각 선택비를 갖는 물질막으로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각각은 차례로 적층된 하부전극, 강유전체막 패턴 및 공통 상부전극(common top electrode)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공통 상부전극은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상기 강유전체막 패턴들을 덮는다. 여기서, 상기 하부전극들 사이의 갭 영역 및 상기 강유전체막 패턴들 사이의 갭 영역은 절연막 패턴으로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은 하나의 공통 상부전극을 공유한다. 상기 공통 상부전극은 상기 플레이트 라인과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또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각각은 차례로 적층된 하부전극, 공통 강유전체막 패턴 및 공통 상부전극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공통 강유전체막 패턴은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상기 하부전극들을 덮는다. 상기 공통 강유전체막 패턴은 상기 공통 상부전극과 중첩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공통 상부전극은 상기 플레이트 라인과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행들(rows) 상에 배열된 상부전극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확장된(expanded) 플레이트 라인을 갖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반도체기판 상에 하부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 상에 행 방향 및 열 방향을 따라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을 형성한다.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상부 층간절연막 및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 내에 배치된 복수개의 플레이트 라인들을 형성한다. 상기 플레이트 라인들은 상기 열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 라인들의 각각은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상부면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또한,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은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을 차례로 적층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을 형성하는 방법은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 상에 하부전극막, 강유전체막 및 상부전극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것과, 상기 상부전극막, 강유전체막 및 하부전극막을 연속적으로 패터닝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각각은 차례로 적층된 하부전극, 강유전체막 패턴 및 상부전극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에, 상기 플레이트 라인들의 각각은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상기 상부전극들과 접촉한다.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 사이의 갭 영역을 채우는 절연막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방법으로(alternatively), 상기 복수개의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을 형성하는 방법은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 상에 하부전극막 및 강유전체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어서, 상기 강유전체막 및 하부전극막을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상기 행 방향 및 열 방향을 따라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하부전극들 및 상기 하부전극들 상에 적층된 복수개의 강유전체막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강유전체막 패턴들 사이의 갭 영역 및 상기 하부전극들 사이의 갭 영역을 채우는 절연막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절연막 패턴 및 상기 강유전체막 패턴들 상에 상부전극막을형성한다. 상기 상부전극막을 패터닝하여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상기 강유전체막 패턴들을 덮는 공통 상부전극을 형성한다. 상기 공통 상부전극은 상기 플레이트 라인과 접촉한다.
상기 복수개의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을 형성하는 또 다른 방법은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 상에 상기 행 방향 및 열 방향을 따라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하부전극들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전극들을 갖는 반도체기판 전면에 강유전체막 및 상부전극막을 차례로 형성한다. 상기 상부전극막 및 강유전체막을 패터닝하여 차례로 적층된 공통 강유전체막 패턴 및 공통 상부전극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공통 강유전체막 패턴은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상기 하부전극들을 덮는다. 따라서, 상기 공통 상부전극은 상기 플레이트 라인 및 상기 강유전체막 패턴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강유전체막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하부전극들 사이의 갭 영역을 채우는 하부 절연막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 및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 라인들을 형성하는 방법은 상기 복수개의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하부 플레이트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막을 패터닝하여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을 덮는 국부 플레이트 라인을 형성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하부 플레이트막을 패터닝하여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행들 및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열들 내에 배열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을 덮는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 대신에 상기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이 형성된다. 이 경우에, 상기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에 기인하는 물리적인 스트레스는 상기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라인들에 기인하는 물리적인 스트레스에 비하여 작다. 특히, 상기 하부 플레이트막을 이리디윰막 및 이리디움 산화막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에 기인하는 물리적인 스트레스는 상기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라인들에 기인하는 물리적인 스트레스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 대신에 상기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을 형성하면, 상기 강유전체막 패턴들의 강유전 특성의 저하를 현저히 억제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상부 층간절연막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은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을 차례로 적층시키어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2 상부 층간절연막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제1 상부 층간절연막 상에 상기 열 방향과 평행한 복수개의 주 워드라인들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 층간절연막 및 제1 상부 층간절연막을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상기 주 워드라인들과 평행한 슬릿형 비아홀을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슬릿형 비아홀은 상기 주 워드라인들 사이의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을 노출시킨다. 상기 슬릿형 비아홀을 덮는 주 플레이트 라인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 대신에 상기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슬릿형 비아홀은 상기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및 이들 사이의 상기 하부 절연막 패턴들을 노출시킨다. 이와는 달리, 상기 슬릿형 비아홀 대신에 상기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을 노출시키는 복수개의 비아홀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 및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 라인들을 형성하는 방법은 상기 복수개의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상부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은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들을 차례로 적층시키어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들 사이에 상기 열 방향과 평행한 주 워드라인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주 워드라인들 사이에 상기 열 방향과 평행한 슬릿형 비아홀을 형성한다. 상기 슬릿형 비아홀은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상부면들을 노출시킨다. 상기 슬릿형 비아홀을 덮는 주 플레이트 라인을 형성한다.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각각이 차례로 적층된 상기 하부전극, 상기 강유전체막 패턴 및 상기 상부전극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슬릿형 비아홀은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상기 상부전극들을 노출시킨다. 이 경우에,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 사이의 갭 영역을 채우는 절연막 패턴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갖는 물질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각각이 상기 공통 상부전극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슬릿형 비아홀은 상기 공통 상부전극을 노출시킨다.
더 나아가서, 상기 하부전극들의 각각은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을 관통하는 스토리지 노드 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반도체기판의 소정영역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스토리지 노드 콘택홀의 상부 직경은 그 것의 하부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어도 상기 강유전체막 패턴의 측벽 또는 상기 공통 강유전체막 패턴의 측벽에 수소차단막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다. 또한,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어지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셀 어레이 영역의 일 부분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들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반도체기판(51)의 소정영역에 소자분리막(53)이 배치된다. 상기 소자분리막(53)은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활성영역들(53a)을 한정한다. 상기 활성영역들(53a) 및 소자분리막(53)를 가로질러 복수개의절연된(insulated) 게이트 전극들(57), 즉 복수개의 워드라인들이 배치된다. 상기 게이트 전극들(57)은 행 방향(y축)과 평행하다. 상기 활성영역들(53a)의 각각은 상기 한 쌍의 게이트 전극들(57)과 교차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각 활성영역(53a)은 3개의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상기 한 쌍의 게이트 전극들(57) 사이의 활성영역(53a)에 공통 드레인 영역(61d)이 형성되고, 상기 공통 드레인 영역(61d)의 양 옆의 활성영역들(53a)에 소오스 영역들(61s)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 전극(57)들 및 상기 활성영역들(53a)이 교차하는 지점들(points)에 셀 트랜지스터들이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셀 트랜지스터들은 열 방향(x축) 및 행 방향(y축)을 따라 2차원적으로 배열된다.
상기 셀 트랜지스터들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은 하부 층간절연막(74)에 의해 덮여진다.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74) 내에 상기 워드라인들(57)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복수개의 비트라인들(71)이 배치된다. 상기 비트라인들(71)의 각각은 비트라인 콘택홀(71a)을 통하여 상기 공통 드레인 영역(61d)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소오스 영역들(61s)은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74)을 관통하는 스토리지 노드 콘택홀들(75a)에 의해 노출된다. 상기 스토리지 노드 콘택홀(75a)의 상부측벽(upper sidewall)은 경사진 프로파일(sloped profile)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리지 노드 콘택홀들(75a)은 각각 콘택 플러그들(75)에 의해 채워진다. 결과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택 플러그(75)의 상부직경은 그것의 하부직경보다 크다.
상기 콘택 플러그들(75)를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상기 열 방향(x축) 및상기 행 방향(y축)을 따라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강유전체 커패시터들(82; 도 4의 CP)이 배치된다.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82)의 각각은 차례로 적층된 하부전극(77), 강유전체막 패턴(79) 및 상부전극(81)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전극들(77)은 각각 상기 콘택 플러그들(75) 상에 위치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하부전극(77)은 상기 콘택 플러그(75)를 통하여 상기 소오스 영역(61s)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82) 사이의 갭 영역은 절연막 패턴(85a)으로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절연막 패턴(85a) 및 적어도 상기 강유전체막 패턴들(79) 사이에 수소차단막 패턴(hydrogen barrier layer pattern; 83a)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소차단막 패턴(83a)은 타이타늄 산화막(TiO2), 알루미늄 산화막(Al2O3), 실리콘 질화막(Si3N4) 또는 이들의 조합막(combination layer)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강유전체막 패턴(79) 내부로 수소원자들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강유전체막 패턴(79) 내에 수소원자들이 주입하면, 강유전체막 패턴(79)의 신뢰성이 저하된다. 예를 들어, PZT(Pb,Zr,TiO3)막과 같은 강유전체막 내에 수소원자들이 주입되면, 상기 PZT막 내의 산소 원자들과 상기 수소 원자들이 반응하여 PZT막 내에 산소 공공(oxygen vacancy)이 생성된다. 이러한 산소 공공은 강유전체의 분극특성(polarization characteristic)을 저하시킨다. 그 결과,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오동작(malfunction)을 유발시킨다.
또한, 상기 수소원자들이 강유전체막 패턴 및 상/하부 전극들(top/bottomelectrodes) 사이의 계면에 포획되면, 이들 사이의 에너지 장벽(energy barrier)이 낮아진다. 따라서, 강유전체 커패시터의 누설전류 특성이 저하된다. 결론적으로, 상기 수소차단막 패턴(83a)은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82)의 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82) 및 상기 절연막 패턴(85a) 상에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라인들(local plate lines; 87, 도 4의 PL)이 배치된다.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들(87)은 금속막, 도전성 금속산화막(conductive metal oxide layer), 도전성 금속질화막(conductive metal nitride layer) 또는 이들의 복합막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들(87)은 타이타늄 알루미늄 질화막(TiAlN), 타이타늄막(Ti), 타이타늄 질화막(TiN), 이리디움막(Ir), 이리디움 산화막(IrO2), 백금막(Pt), 루테니움막(Ru), 루테니움 산화막(RuO2), 알루미늄막(Al) 또는 이들의 복합막일 수 있다.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들(87)은 상기 행 방향(y축)과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들(87)의 각각은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82)을 덮는다. 결과적으로,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87)은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상기 상부전극들(81)과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들(87)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은 상부 층간절연막에 의해 덮여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은 차례로 적층된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들(89, 9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들(89, 93) 사이에 복수개의주 워드라인들(main word lines; 91)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주 워드라인들(91)은 상기 행 방향(y축)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들(87)과 평행하다. 상기 주 워드라인(91)들의 각각은 일반적으로 디코더(decoder)를 통하여 4개의 워드라인들(57)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주 워드라인들(91) 사이의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 내에 주 플레이트 라인(97)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97)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을 관통하는 슬릿형 비아홀(95)을 통하여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87)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슬릿형 비아홀(95)은 상기 행 방향(y축)과 평행하고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87)을 노출시킨다. 도 5에 보여진 바와 같이, 상기 슬릿형 비아홀(95)의 폭은 종래기술에서의 비아홀(도 3의 39)의 직경보다 크다. 또한,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87)은 상기 상부전극들(81)의 상부면들과 직접 접촉한다.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87) 및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97)은 플레이트 라인을 구성한다. 상기 플레이트 라인은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87) 또는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97)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플레이트 라인이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97)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97)은 상기 슬릿형 비아홀(95)을 통하여 적어도 2개의 인접한 행들 내에 배치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상부전극들(81)과 직접 접촉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라인이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97)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상기 절연막 패턴(85a)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갖는 물질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이 실리콘 산화막인 경우에, 상기 절연막 패턴(85a)은 실리콘 질화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셀 트랜지스터들, 하부 층간절연막 및 콘택 플러그들은 도 5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그것들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74) 상에 상기 콘택 플러그들(75)을 덮는 복수개의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은 상기 행 방향 및 열 방향을 따라 2차원적으로 배열된다.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각각은 차례로 적층된 하부전극(101), 강유전체막 패턴(103) 및 공통 상부전극(109)으로 구성된다. 상기 공통 상부전극(109)은 적어도 2개의 인접한 행들 및 적어도 하나의 열 내에 배열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강유전체막 패턴들(103)과 접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통 상부전극(109)은 연장되어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강유전체막 패턴들(103)을 덮는다. 따라서, 상기 공통 상부전극(109)은 도 4의 국부 플레이트 라인(PL)과 같이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강유전체막 패턴들(103) 사이의 갭 영역 및 상기 하부전극들(101) 사이의 갭 영역은 하부 절연막 패턴(107a)으로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실시예와 같이, 상기 하부 절연막 패턴(107a) 및 적어도 상기 강유전체막 패턴(103) 사이에 수소차단막 패턴(105a)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통 상부전극(109)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은 상부 절연막(111)에 의해 덮여진다. 상기 상부 절연막(111)은 상기 공통 상부전극(109)을 노출시키는슬릿형 콘택홀을 갖는다. 상기 슬릿형 콘택홀은 상기 행 방향(y축)과 평행하고 국부 플레이트 라인(113; 도 4의 PL)에 의해 덮여진다. 결과적으로,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113)은 상기 슬릿형 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공통 상부전극(109)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113) 대신에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의 각각은 적어도 2개의 인접한 행들 및 적어도 하나의 열 내에 배열된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공통 상부전극(109)과 접촉한다.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1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국부 플레이트 라인(87)과 동일한 물질막이다.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113)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은 상부 층간절연막에 의해 덮여진다.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은 차례로 적층된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들(115, 119)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서, 상기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들(115, 119) 사이에 복수개의 주 워드라인들(117)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주 워드라인들(117)은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주 워드라인들(117) 사이의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 내에 주 플레이트 라인(123)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123)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을 관통하는 슬릿형 비아홀(121)을 통하여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11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슬릿형 비아홀(121)은 상기 행 방향(y축)과 평행하다. 이와는 달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113)은 상기 슬릿형 비아홀(121) 대신에 복수개의 비아홀들에 의해 노출될 수도 있다.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113) 및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123)은 플레이트 라인을 구성한다. 상기 플레이트 라인은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113) 또는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123)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플레이트 라인이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123)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123)은 상기 슬릿형 비아홀(121)을 통하여 적어도 2개의 인접한 행들 내에 배치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공통 상부전극(109)과 직접 접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셀 트랜지스터들, 하부 층간절연막 및 콘택 플러그들은 도 5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그것들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74) 상에 상기 콘택 플러그들(75)을 덮는 복수개의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은 상기 행 방향 및 열 방향을 따라 2차원적으로 배열된다.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각각은 차례로 적층된 하부전극(151), 공통 강유전체막 패턴(155) 및 공통 상부전극(157)으로 구성된다. 상기 공통 강유전체막 패턴(155)은 적어도 2개의 인접한 행들 및 적어도 하나의 열 내에 배치된 상기 하부전극들(151)과 직접 접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통 강유전체막 패턴(155)은 연장되어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상기 하부전극들(151)을 덮는다. 또한, 상기 공통 상부전극(157)은 상기 공통 강유전체막 패턴(155) 상에 적층된다. 따라서, 상기 공통 강유전체막 패턴(155) 및 상기 공통 상부전극(157)은 도 4의 국부 플레이트 라인(PL)과 같이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하부전극들(151) 사이의 갭 영역은 하부 절연막 패턴(153a)으로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통 강유전체막 패턴들(155) 사이의 갭 영역 및 상기 공통 상부전극들(157) 사이의 갭 영역은 상부 절연막 패턴(161)으로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상부 절연막 패턴(161) 및 적어도 상기 공통 강유전체막 패턴(155) 사이에 수소차단막 패턴(159)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통 상부전극(157) 상에 국부 플레이트 라인(163; 도 4의 PL)이 배치된다.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163)은 적어도 2개의 행들 및 적어도 하나의 열 내에 배치된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공통 상부전극(157)과 접촉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163)은 상기 행 방향(y축)과 평행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16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국부 플레이트 라인(87)과 동일한 물질막이다.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163)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은 상부 층간절연막에 의해 덮여진다.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은 차례로 적층된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들(165, 169)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서, 상기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들(165, 169) 사이에 복수개의 주 워드라인들(167)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주 워드라인들(167)은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주 워드라인들(167) 사이의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 내에 주 플레이트 라인(173)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173)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을 관통하는 슬릿형 비아홀(171)을 통하여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16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슬릿형 비아홀(171)은 상기 행 방향(y축)과 평행하다.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163)은 상기 슬릿형 비아홀(171) 대신에 복수개의 비아홀들에 의해 노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비아홀들의 각각은 적어도 2개의 행들 및 적어도 하나의 열 내에 배치된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공통 상부전극을 노출시킨다.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163) 및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173)은 플레이트 라인을 구성한다. 상기 플레이트 라인은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163) 또는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173)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플레이트 라인이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173)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173)은 상기 슬릿형 비아홀(171)을 통하여 적어도 2개의 인접한 행들 내에 배치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공통 상부전극(157)과 직접 접촉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4는 도 4의 Ⅰ-Ⅰ'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반도체기판(51)의 소정영역에 소자분리막(53)을 형성하여 복수개의 활성영역들(53a)을 한정한다. 상기 활성영역들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게이트 절연막, 게이트 도전막 및 캐핑절연막을 차례로 형성한다. 상기 캐핑절연막, 게이트 도전막 및 게이트 절연막을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상기 활성영역들(53a) 및 소자분리막(53)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복수개의 평행한 게이트 패턴들(60)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패턴들(60)의 각각은 차례로 적층된 게이트절연막 패턴(55), 게이트 전극(57) 및 캐핑절연막 패턴(59)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활성영역들의 각각은 상기 한 쌍의 게이트 전극들(57)과 교차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57)은 워드라인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게이트 패턴들(60)은 상기 행 방향(도 4의 y축)과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패턴들(60) 및 상기 소자분리막(53)을 이온주입 마스크들로 사용하여 상기 활성영역들에 불순물 이온들을 주입한다. 그 결과, 상기 각 활성영역에 3개의 불순물 영역들이 형성된다. 이들 3개의 불순물 영역들중 가운데의 불순물 영역은 공통 드레인 영역(61d)에 해당하고, 나머지 불순물 영역들은 소오스 영역들(61s)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각 활성영역에 한 쌍의 셀 트랜지스터들이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셀 트랜지스터들은 상기 반도체기판(51)에 행 방향 및 열 방향을 따라 2차원적으로 배열된다. 이어서, 상기 게이트 패턴(60)의 측벽에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스페이서(63)를 형성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스페이서(63)를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제1 하부 층간절연막(65)을 형성한다. 상기 제1 하부 층간절연막(65)을 패터닝하여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들(61s, 61d)을 노출시키는 패드 콘택홀을 형성한다. 상기 패드 콘택홀 내에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스토리지 노드 패드들(67s) 및 비트라인 패드들(67d)을 형성한다. 상기 스토리지 노드 패드들(67s)은 상기 소오스 영역들(61s)과 접속되고, 상기 비트라인 패드들(67d)은 상기 공통 드레인 영역(61d)과 접속된다. 상기 패드들(67s, 67d)을 갖는 반도체기판 전면에 제2 하부 층간절연막(69)을 형성한다. 상기 제2 하부 층간절연막(69)을 패터닝하여 상기 비트라인 패드들(67d)을 노출시키는 비트라인 콘택홀들(도 4의 71a)을 형성한다. 상기 비트라인 콘택홀들을 덮는 복수개의 평행한 비트라인들(71)을 형성한다. 상기 비트라인들(71)은 상기 워드라인들(57)의 상부를 가로지른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비트라인들(71)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제3 하부 층간절연막(73)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하부 층간절연막들(65, 69, 73)은 하부 층간절연막(74)을 구성한다. 이어서, 상기 제2 및 제3 하부 층간절연막들(69, 73)을 패터닝하여 상기 스토리지 노드 패드들(67s)을 노출시키는 스토리지 노드 콘택홀들(도 4의 75a)을 형성한다. 상기 스토리지 노드 콘택홀은 그 것의 상부 직경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습식 식각공정 및 건식 식각공정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토리지 노드 콘택홀의 상부 측벽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이는 후속공정에서 형성되는 하부전극과상기 소오스 영역(61s) 사이의 전기적인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스토리지 노드 콘택홀들 내에 콘택 플러그들(75)을 형성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콘택 플러그들(75) 및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74) 상에 하부전극막, 강유전체막 및 상부전극막을 차례로 형성한다. 상기 상부전극막, 강유전체막 및 하부전극막을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행 방향 및 열 방향을 따라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강유전체 커패시터들(82; 도 4의 CP)을 형성한다.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82)의 각각은 차례로 적층된 하부전극(77), 강유전체막 패턴(79) 및 상부전극(81)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전극들(77)은 각각 상기 콘택 플러그들(75)과 접촉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82)은 각각 상기 소오스 영역들(61s)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어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82)이 형성된 결과물의 전면에 절연막(85)을 차례로 형성한다. 상기 절연막(85)을 형성하기 전에 수소차단막(hydrogen barrier layer; 83)을 콘포말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수소차단막(83)은 타이타늄 산화막(TiO2), 알루미늄 산화막(Al2O3), 실리콘 질화막(Si3N4) 또는 이들의 조합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절연막(85) 및 상기 수소차단막(83)을 평탄화시키어 상기 상부전극들(81)을 노출시킨다. 상기 평탄화 공정은 화학기계적 연마 기술 또는 에치백 기술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82) 사이에 수소차단막 패턴(83a) 및 절연막 패턴(85a)이 형성된다. 상기 수소차단막 패턴(83a)은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82)의 측벽, 즉 상기 강유전체막 패턴들(79)의 측벽을 덮는다. 따라서, 상기 강유전체막 패턴들(79) 내부로 수소원자들이 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강유전체막 패턴들(79) 내에 수소원자들이 주입되면, 분극특성 및 누설전류 특성과 같은 강유전체 커패시터들(82)의 특성이 저하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수소차단막 패턴(83a)은 강유전체 커패시터(82)의 특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절연막 패턴(85a)을 포함하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하부 플레이트막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막은 금속막, 도전성 금속산화막, 도전성 금속질화막 또는 이들의 복합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하부 플레이트막은 타이타늄 알루미늄 질화막(TiAlN), 타이타늄막(Ti), 타이타늄 질화막(TiN),이리디움막(Ir), 이리디움 산화막(IrO2), 백금막(Pt), 루테니움막(Ru), 루테니움 산화막(RuO2), 알루미늄막(Al) 또는 이들의 복합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워드라인들(57)과 평행한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라인들(local plate lines; 87, 도 4의 PL)을 형성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라인들(87)은 행 방향(도 4의 y축)과 평행하다.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들(87)의 각각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행들을 따라 배열된 복수개의 상부전극들(81)과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들(87)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상부 층간절연막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은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들(89, 93)을 차례로 적층시키어 형성한다. 상기 제2 상부 층간절연막(93)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제1 상부 층간절연막(89) 상에 복수개의 평행한 주 워드라인들(91)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주 워드라인들(91)은 상기 행 방향(도 4의 y축)과 평행하다. 통상적으로, 하나의 주 워드라인(91)은 디코더를 통하여 4개의 워드라인들(57)을 제어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87)을 노출시키는 슬릿형 비아홀(95)을 형성한다. 상기 슬릿형 비아홀(95)은 상기 주 워드라인들(91)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주 워드라인들(91)과 평행하다. 상기 슬릿형 비아홀(95) 대신에 복수개의 비아홀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비아홀들의 각각은 적어도 2개의 인접한 행들 및 적어도 하나의 열 내에 배치된 강유전체 커패시터들 상에 위치한 국부 플레이트 라인(87)을 노출시킨다. 상기 슬릿형 비아홀(9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비하여 넓은 폭을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슬릿형 비아홀(95) 및 이와 인접한 상기 주 워드라인들(91) 사이의 간격(A)을 종래기술에 비하여 크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릿형 비아홀(95)의 종횡비를 더욱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슬릿형 비아홀(95)을 습식 식각공정 및 건식 식각공정을 사용하여 형성할지라도, 상기 주 워드라인들(91)이 노출될 확률은 종래기술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주 워드라인들(91)의 노출 없이, 상기 슬릿형 비아홀(95)의 종횡비를 종래기술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87)의 노출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슬릿형 비아홀(95)이 형성된 결과물의 전면에 금속막과 같은 상부 플레이트막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상부 플레이트막은 알루미늄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릿형 비아홀(95)의 종횡비가 현저히 낮으므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막은 우수한 단차도포성(step coverage)을 보인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슬릿형 비아홀(95)을 덮는 주 플레이트 라인(main plate line; 97)을 형성한다.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97)은 상기 행 방향(y축)과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97)은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87)을 통하여 적어도 2개의 인접한 행들 내에 배치된 강유전체 커패시터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4는 도 8 내지 도 13에서 설명된 제1 실시예의 변형예(modified embodiment)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상기 변형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87)을 형성하는 공정을 생략한 경우에 해당한다. 이경우에, 상기 슬릿형 비아홀(95)을 형성하는 동안 상기 상부전극들(81) 뿐만 아니라 이들 사이의 절연막 패턴(85a) 역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절연막 패턴(85a)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갖는 물질막, 예컨대 실리콘 질화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97)은 적어도 2개의 인접한 행들 내에 배열된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상부전극들(81)과 직접 접촉한다.
도 15 내지 도 19는 도 4의 Ⅰ-Ⅰ'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셀 트랜지스터들, 하부 층간절연막 및 콘택 플러그들은 도 8 내지 도 10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74) 및 상기 콘택 플러그들(75) 상에 하부전극막 및 강유전체막을 차례로 형성한다. 상기 강유전체막 및 하부전극막을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상기 콘택 플러그들(75)을 덮는 복수개의 하부전극들(101) 및 상기 하부전극들(101) 상에 적층된 복수개의 강유전체막 패턴들(103)을 형성한다. 상기 강유전체막 패턴들(103)을 갖는 반도체기판 전면에 도 11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수소차단막(105) 및 하부 절연막(107)을 차례로 형성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절연막(107) 및 수소차단막(105)을 평탄화시키어 상기 강유전체막 패턴들(103)을 노출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강유전체막 패턴들(103) 사이의 갭 영역 및 상기 하부전극들(101) 사이의 갭 영역 내에 하부절연막 패턴(107a) 및 수소차단막 패턴(105a)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절연막 패턴(107a) 및 수소차단막 패턴(105a)이 형성된 결과물의 전면에 상부전극막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전극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워드라인들(57)과 평행한 복수개의 공통 상부전극들(109)을 형성한다. 상기 공통 상부전극들(109)의 각각은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상기 강유전체막 패턴들(103)을 덮는다. 다시 말해서, 상기 공통 상부전극(109)은 적어도 2개의 행들 및 적어도 하나의 열 내에 배열된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강유전체막 패턴들(103)과 접촉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공통 상부전극들(109)을 포함하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상부 절연막(111)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 절연막(111)을 패터닝하여 상기 공통 상부전극(109)을 노출시키는 슬릿형 콘택홀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 절연막(111) 및 상기 슬릿형 콘택홀을 형성하는 공정은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슬릿형 콘택홀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하부 플레이트막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막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하부 플레이트막과 동일한 물질막으로 형성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슬릿형 콘택홀을 덮는 국부 플레이트 라인(113; 도 4의 PL)을 형성한다.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113)을 포함하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115, 119)들을 차례로 형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115, 119)들은 상부 층간절연막을 구성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들(115, 119) 사이에 복수개의 평행한 주 워드라인들(117)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주 워드라인들(117)은 도12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을 관통하는 슬릿형 비아홀(121)을 형성하고, 상기 슬릿형 비아홀(121)을 덮는 주 플레이트 라인(123)을 형성한다. 상기 슬릿형 비아홀(121) 및 주 플레이트 라인(12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도 19는 도 15 내지 도 18에서 설명된 제2 실시예의 변형예(modified embodiment)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상기 변형예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113)을 형성하는 공정을 생략한 경우에 해당한다. 이 경우에, 상기 슬릿형 비아홀(121)은 상기 공통 상부전극(109)을 노출시킨다.
도 20 내지 도 24는 도 4의 Ⅰ-Ⅰ'에 따라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셀 트랜지스터들, 하부 층간절연막 및 콘택 플러그들은 도 8 내지 도 10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74) 및 콘택 플러그들(75) 상에 하부전극막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전극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콘택 플러그들(75)을 덮는 복수개의 하부전극들(151)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전극들(151)을 포함하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하부 절연막(153)을 형성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절연막(153)을 평탄화시키어 상기 하부전극들(151)의 상부면들을 노출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전극들(151) 사이의 갭 영역에 하부절연막 패턴(153a)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절연막 패턴(153a)이 형성된 결과물의 전면에 강유전체막 및 상부전극막을 차례로 형성한다. 상기 상부전극막 및 강유전체막을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상기 워드라인들(57)과 평행한 복수개의 공통 강유전체막 패턴들(common ferroelectric layer patterns; 155) 및 상기 공통 강유전체막 패턴들(155) 상에 적층된 복수개의 공통 상부전극들(157)을 형성한다. 상기 공통 강유전체막 패턴들(155)의 각각은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행들 및 적어도 하나의 열 내에 배열된 상기 하부전극들(151)을 덮는다. 이에 더하여, 상기 공통 강유전체막 패턴들(155)의 각각은 연장되어 상기 행 방향(y축)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공통 강유전체막 패턴들(155) 사이의 갭 영역 및 상기 공통 상부전극들(157) 사이의 갭 영역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수소차단막 패턴(159) 및 상부 절연막 패턴(161)을 형성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절연막 패턴(161)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하부 플레이트막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막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하부 플레이트막과 동일한 물질막으로 형성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공통 상부전극(157)을 덮는 국부 플레이트 라인(163; 도 4의 PL)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163)은 적어도 2개의 인접한 행들 내에 배열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공통 상부전극(157)과 접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163)은 적어도 2개의 인접한 행들 및 적어도 하나의 열 내에 배열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공통 상부전극(157)과 접촉한다.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163)이 형성된 결과물의 전면에 상부 층간절연막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은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들(165, 169)을 차례로 적층시키어 형성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들(165, 169) 사이에 복수개의 평행한 주 워드라인들(167)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주 워드라인들(167)은 도 12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을 관통하는 슬릿형 비아홀(171)을 형성하고, 상기 슬릿형 비아홀(171)을 덮는 주 플레이트 라인(173)을 형성한다. 상기 슬릿형 비아홀(171) 및 주 플레이트 라인(17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도 24는 도 20 내지 도 23에서 설명된 제3 실시예의 변형예(modified embodiment)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상기 변형예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163)을 형성하는 공정을 생략한 경우에 해당한다. 이 경우에, 상기 슬릿형 비아홀(171)은 상기 공통 상부전극(157)을 노출시킨다.
도 25는 도 4에 보여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modified embodiment)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26은 도 25의 Ⅱ-Ⅱ'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이 변형예에서, 셀 트랜지스터들, 하부 층간절연막, 콘택 플러그들, 강유전체 커패시터들 및 절연막 패턴들은 도 8 내지 도 11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소자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82) 및 상기 절연막 패턴(85a) 상에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local plate patterns; PP)이 배치된다. 상기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PP)은 금속막, 도전성 금속산화막, 도전성 금속질화막 또는 이들의 복합막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PP)은 타이타늄 알루미늄 질화막(TiAlN), 타이타늄막(Ti), 타이타늄 질화막(TiN), 이리디움막(Ir), 이리디움 산화막(IrO2), 백금막(Pt), 루테니움막(Ru), 루테니움 산화막(RuO2), 알루미늄막(Al) 또는 이들의 복합막일 수 있다. 상기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PP)은 상기 행 방향(y축) 및 상기 열 방향(x축)을 따라 2차원적으로 배치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PP)의 각각은 적어도 2개의 인접하는 행들 및 적어도 하나의 열 내에 배치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82)을 덮는다. 예를 들면, 상기 각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PP)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인접한 행들 및 2개의 인접한 열들 내에 배치된 4개의 커패시터들(82)을 덮는다. 결과적으로, 상기 각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PP)은 적어도 2개의 인접하는 행들 및 적어도 하나의 열 내에 배치된 상기 상부전극들(81)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상기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PP)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은 상부 층간절연막에 의해 덮여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은 차례로 적층된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들(89, 9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들(89, 93) 사이에 복수개의 주 워드라인들(main word lines; 91)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주 워드라인들(91)의 각각은 일반적으로 디코더(decoder)를 통하여 4개의 워드라인들(57)을 제어한다. 상기 주 워드라인들(91) 사이의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 내에 주 플레이트 라인(97)이 배치된다.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97)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비아홀들(95c)을 통하여 상기 y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PP)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는 달리,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97)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을 관통하는 슬릿형 비아홀(도 4의 95)을 통하여 상기 y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PP)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5 및 도 26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82) 및 절연막 패턴들(85a)이 형성된 반도체기판의 전면 상에 하부 플레이트막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막은 금속막, 도전성 금속산화막, 도전성 금속질화막 또는 이들의 복합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플레이트막은 타이타늄 알루미늄 질화막(TiAlN), 타이타늄막(Ti), 타이타늄 질화막(TiN), 이리디움막(Ir), 이리디움 산화막(IrO2), 백금막(Pt), 루테니움막(Ru), 루테니움 산화막(RuO2), 알루미늄막(Al) 또는 이들의 복합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막을패터닝하여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PP)을 형성한다. 상기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PP)의 각각은 적어도 2개의 인접한 행들 및 적어도 하나의 열 내에 배열된 강유전체 커패시터들(82)을 덮는다. 예를 들면, 상기 각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PP)은 2개의 인접한 행들 및 2개의 인접한 열들 내에 배치된 4개의 상부전극들(81)과 직접 접촉한다. 이에 따라, 국부 플레이트 라인을 채택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비하여 상기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PP)에 기인하는 물리적인 스트레스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하부 플레이트막을 이리디움막 및/또는 이리디움 산화막과 같이 높은 스트레스를 갖는 물질막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PP)에 기인하는 스트레스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국부 플레이트 라인들(87)에 기인하는 스트레스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된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와 같이 국부 플레이트 라인(87) 대신에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PP)을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82)에 인가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82)의 강유전 특성의 열화를 억제시킬 수 있다.
상기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PP)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 상에 상부 층간절연막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은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들(89, 93)을 차례로 적층시키어 형성한다. 상기 제2 상부 층간절연막(93)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제1 상부 층간절연막(89) 상에 상기 y방향과 평행한 복수개의 주 워드라인들(91)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 워드라인들(91)의 각각은 일반적으로 디코우더(decoder)를 통하여 4개의 워드라인들(57)을 제어한다.
계속해서,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PP)을 노출시키는 복수개의 비아홀들(95c)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비아홀들(95c)은 상기 x축 및 y축을 따라 2차원적으로 배열된다. 이와는 달리, 상기 비아홀들(95c) 대신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슬릿형 비아홀(도 5 및 도 13의 95)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복수개의 비아홀들(95c)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 상에 금속막과 같은 상부 플레이트막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복수개의 비아홀들(95c)을 덮는 주 플레이트 라인(97)을 형성한다.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97)은 상기 y축과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의 수준에서 변형 및 개량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플레이트 라인들의 각각은 서로 이웃하는 3개 이상의 행들 상에 배열된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을 덮을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플레이트 라인이 셀 어레이 영역 내에 서로 이웃한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상부전극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이와는 달리, 서로 이웃한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은 하나의 공통 상부전극을 공유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공통 상부전극은 하나의 플레이트 라인과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 라인 및 상부전극 사이에 신뢰성 있는 콘택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셀 어레이 영역 내에 주 워드라인들이 배치되고 상기 주워드라인들 사이에 슬릿형 비아홀이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슬릿형 비아홀과 상기 주 워드라인 사이의 거리를 종래기술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 대신에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을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에 인가되는 물리적인 스트레스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강유전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집적도를 증가시키는 것과 아울러 그것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81)

  1. 반도체기판 상에 형성된 하부 층간절연막;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 상에 행 방향 및 열 방향을 따라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강유전체 커패시터들;
    상기 복수개의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적층된 상부 층간절연막; 및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 내에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플레이트 라인들을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 라인들의 각각은 서로 이웃한 적어도 2개의 행들(two rows) 상에 배열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상부면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라인은 서로 이웃한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상부면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국부 플레이트 라인(local plate line)이고,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에 의해 덮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은 타이타늄 알루미늄 질화막, 타이타늄막, 타이타늄 질화막, 이리디움막, 이리디움 산화막, 백금막, 루테니움막, 루테니움 산화막, 알루미늄막 또는 이들의 조합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라인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을 관통하는 슬릿형 비아홀(slit-type via hole)을 통하여 서로 이웃한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상부면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주 플레이트 라인(main plate li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은 차례로 적층된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형 비아홀의 양 옆에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들 사이에 개재된 주 워드라인들(main word lines)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라인은
    서로 이웃한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상부면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되,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에 의해 덮여진 국부 플레이트 라인(local plate line); 및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을 관통하는 슬릿형 비아홀(slit-type via hole)을 통하여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의 상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주 플레이트 라인(main plate li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은 타이타늄 알루미늄 질화막, 타이타늄막, 타이타늄 질화막, 이리디움막, 이리디움 산화막, 백금막, 루테니움막, 루테니움 산화막, 알루미늄막 또는 이들의 조합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은 차례로 적층된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형 비아홀의 양 옆에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들 사이에 개재된 주 워드라인들(main word lines)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각각은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을 관통하는 스토리지 노드 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반도체기판의 소정영역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되, 상기 스토리지 노드 콘택홀의 상부직경은 그것의 하부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각각은 차례로 적층된 하부전극, 강유전체막 패턴 및 상부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 라인은 서로 이웃한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상기 상부전극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 사이의 갭 영역을 채우는 절연막 패턴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절연막 패턴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 및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 패턴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15. 제 13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강유전체막 패턴들 및 상기 절연막 패턴 사이에 개재된 수소차단막 패턴(hydrogen barrier layer pattern)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는 차례로 적층된 하부전극, 강유전체막 패턴 및 공통 상부전극(common top electrode)을 포함하되, 상기 공통 상부전극은 연장되어 상기 플레이트 라인의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강유전체막 패턴들을 덮고, 상기 공통 상부전극의 상부면은 상기 플레이트 라인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전극들 사이의 갭 영역 및 상기 강유전체막 패턴들 사이의 갭 영역을 채우는 절연막 패턴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절연막 패턴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 및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18. 제 17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강유전체막 패턴들의 측벽들 및 상기 절연막 패턴 사이에 개재된 수소차단막 패턴(hydrogen barrier layer pattern)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는 차례로 적층된 하부전극, 공통 강유전체막 패턴(common ferroelectric layer pattern) 및 공통 상부전극(common top electrode)을 포함하되, 상기 공통 강유전체막 패턴은 연장되어 상기 플레이트 라인의 하부의 상기 하부전극들을 덮고, 상기 공통 상부전극은 상기 공통 강유전체막 패턴 및 상기 플레이트 라인 사이에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강유전체막 패턴들 사이의 갭 영역 및 상기 공통 상부전극들 사이의 갭 영역을 채우는 절연막 패턴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절연막 패턴은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 및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 사이에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21. 제 20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공통 강유전체막 패턴들의 측벽들 및 상기 절연막 패턴 사이에개재된 수소차단막 패턴(hydrogen barrier layer pattern)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22. 반도체기판 상에 행 방향 및 열 방향을 따라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셀 트랜지스터들;
    상기 셀 트랜지스터들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을 덮는 하부 층간절연막;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 상에 상기 행 방향 및 상기 열 방향을 따라 2차원적으로 배열되고, 그 각각은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을 관통하는 스토리지 노드 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각 셀 트랜지스터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강유전체 커패시터들;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을 갖는 반도체기판 상에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되고, 그 각각은 서로 이웃한 적어도 2개의 행들(two rows) 상에 배열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상부면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라인들(local plate lines); 및
    상기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라인들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차례로 적층된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들을 포함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들은 타이타늄 알루미늄 질화막, 타이타늄막, 타이타늄 질화막, 이리디움막, 이리디움 산화막, 백금막, 루테니움막, 루테니움 산화막, 알루미늄막 또는 이들의 조합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들을 관통하되,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을 노출시키는 슬릿형 비아홀(slit-type via hole); 및
    상기 슬릿형 비아홀을 덮는 주 플레이트 라인(main plate line)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들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주 워드라인들(main word lines)을 더 포함하되, 상기 주 워드라인들은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슬릿형 비아홀의 양 옆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는 차례로 적층된 하부전극, 강유전체막 패턴 및 상부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은 서로 이웃한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상기 상부전극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는 차례로 적층된 하부전극, 강유전체막 패턴 및 공통 상부전극(common top electrode)을 포함하되, 상기 공통 상부전극은 연장되어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의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강유전체막 패턴들을 덮고, 상기 공통 상부전극의 상부면은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28.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는 차례로 적층된 하부전극, 공통 강유전체막 패턴(common ferroelectric layer pattern) 및 공통 상부전극(common top electrode)을 포함하되, 상기 공통 강유전체막 패턴은 연장되어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의 하부의 상기 하부전극들을 덮고, 상기 공통 상부전극은 상기 공통 강유전체막 패턴 및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 사이에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29. 반도체기판 상에 행 방향 및 열 방향을 따라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셀 트랜지스터들;
    상기 셀 트랜지스터들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을 덮는 하부 층간절연막;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 상에 상기 행 방향 및 상기 열 방향을 따라 2차원적으로 배열되고, 그 각각은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을 관통하는 스토리지 노드 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각 셀 트랜지스터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강유전체 커패시터들;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차례로 적층된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들;
    상기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들을 관통하되, 서로 이웃한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상부면들을 노출시키고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한 슬릿형 비아홀; 및
    상기 슬릿형 비아홀을 덮는 주 플레이트 라인(main plate line)을 포함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형 비아홀의 양 옆에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들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주 워드라인들(main word lines)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는 차례로 적층된 하부전극, 강유전체막 패턴 및 상부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은 서로 이웃한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상기 상부전극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는 차례로 적층된 하부전극, 강유전체막 패턴 및 공통 상부전극(common top electrode)을 포함하되, 상기 공통 상부전극은 연장되어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의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강유전체막 패턴들을 덮고, 상기 공통 상부전극의 상부면은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는 차례로 적층된 하부전극, 공통 강유전체막 패턴(common ferroelectric layer pattern) 및 공통 상부전극(common top electrode)을 포함하되, 상기 공통 강유전체막 패턴은 연장되어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의 하부의 상기 하부전극들을 덮고, 상기 공통 상부전극은 상기 공통 강유전체막 패턴 및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 사이에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34. 반도체기판 상에 하부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 상에 행 방향 및 열 방향을 따라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적층된 상부 층간절연막 및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 내에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플레이트 라인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 라인들의 각각은 서로 이웃한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상부면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 상에 하부전극막, 강유전체막 및 상부전극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전극막, 상기 강유전체막 및 상기 하부전극막을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상기 행 방향 및 상기 열 방향을 따라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하부전극들, 상기 하부전극들 상에 적층된 복수개의 강유전체막 패턴들 및 상기 강유전체막 패턴들 상에 적층된 복수개의 상부전극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 및 상기 플레이트 라인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이 형성된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전극들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절연막을 평탄화시키어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 사이의 갭 영역을 채우는 절연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막 패턴을 갖는 반도체기판 전면에 하부 플레이트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 플레이트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한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라인을 형성하되, 상기 각 국부 플레이트 라인은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상기 상부전극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단계; 및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들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 상에 제1 상부 층간절연막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막은 타이타늄 알루미늄 질화막, 타이타늄막, 타이타늄 질화막, 이리디움막, 이리디움 산화막, 백금막, 루테니움막, 루테니움 산화막, 알루미늄막 또는 이들의 조합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38.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을 갖는 반도체기판 전면에 수소차단막을 콘포말하게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부전극들 상의 상기 수소차단막은 상기 절연막을 평탄화시키는 동안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39.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 층간절연막 및 상기 제1 상부 층간절연막을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을 노출시키고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한 슬릿형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슬릿형 비아홀을 덮는 주 플레이트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 층간절연막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제1 상부 층간절연막 상에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한 복수개의 주 워드라인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주 워드라인들은 상기 슬릿형 비아홀의 양 옆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41.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 및 상기 플레이트 라인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이 형성된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전극들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절연막을 평탄화시키어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 사이의 갭 영역을 채우는 절연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막 패턴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상부 층간절연막 및 상기 제1 상부 층간절연막을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서로 이웃한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상기 상부전극들을 노출시키고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한 슬릿형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슬릿형 비아홀을 덮는 주 플레이트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상기 제1 상부 층간절연막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갖는 물질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43.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을 갖는 반도체기판 전면에 수소차단막을 콘포말하게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부전극들 상의 상기 수소차단막은 상기 절연막을 평탄화시키는 동안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44.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 층간절연막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제1 상부 층간절연막 상에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한 복수개의 주 워드라인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주 워드라인들은 상기 슬릿형 비아홀의 양 옆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4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 상에 하부전극막 및 강유전체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강유전체막 및 상기 하부전극막을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상기 행 방향 및 상기 열 방향을 따라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하부전극들 및 상기 하부전극들 상에 적층된 복수개의 강유전체막 패턴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전극들 사이의 갭 영역 및 상기 강유전체막 패턴들 사이의 갭 영역을 채우는 하부 절연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 절연막 패턴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상부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전극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한 복수개의 공통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각 공통 상부전극은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상기 강유전체막 패턴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체막 패턴의 측벽 및 상기 하부 절연막 패턴 사이에 개재된 수소차단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47.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 및 상기 플레이트 라인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이 형성된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상부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 절연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공통 상부전극을 노출시키고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한 슬릿형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슬릿형 콘택홀을 덮는 국부 플레이트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 상에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은 타이타늄 알루미늄 질화막, 타이타늄막, 타이타늄 질화막, 이리디움막, 이리디움 산화막, 백금막, 루테니움막, 루테니움 산화막, 알루미늄막 또는 이들의 조합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49.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 층간절연막 및 상기 제1 상부 층간절연막을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을 노출시키고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한 슬릿형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슬릿형 비아홀을 덮는 주 플레이트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 층간절연막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제1 상부 층간절연막 상에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한 복수개의 주 워드라인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주 워드라인들은 상기 슬릿형 비아홀의 양 옆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51.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 및 상기 플레이트 라인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이 형성된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상부 층간절연막 및 상기 제1 상부 층간절연막을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상기 공통 상부전극을 노출시키면서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한 슬릿형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슬릿형 비아홀을 덮는 주 플레이트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 층간절연막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제1 상부 층간절연막 상에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한 복수개의 주 워드라인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주 워드라인들은 상기 슬릿형 비아홀의 양 옆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53.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 상에 상기 행 방향 및 상기 열 방향을 따라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하부전극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전극을 갖는 반도체기판 전면에 강유전체막 및 상부전극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전극막 및 상기 강유전체막을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한 복수개의 공통 강유전체막 패턴들 및 상기 복수개의 강유전체막 패턴들 상에 적층된 복수개의 공통 상부전극들을 형성하되, 상기 각 공통 강유전체막 패턴은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상기 하부전극들의 상부면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 및 상기 플레이트 라인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 사이의 갭 영역을 채우는 절연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막 패턴을 갖는 반도체기판 전면에 하부 플레이트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 플레이트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공통 상부전극들을 덮는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라인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제1 상부 층간절연막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막은 타이타늄 알루미늄 질화막, 타이타늄막, 타이타늄 질화막, 이리디움막, 이리디움 산화막, 백금막, 루테니움막, 루테니움 산화막, 알루미늄막 또는 이들의 조합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56. 제 54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공통 강유전체막 패턴 및 상기 절연막 패턴 사이에 개재된 수소차단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57.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 층간절연막 및 상기 제1 상부 층간절연막을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을 노출시키면서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한 슬릿형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슬릿형 비아홀을 덮는 주 플레이트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58.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 층간절연막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제1 상부 층간절연막 상에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한 복수개의 주 워드라인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주 워드라인들은 상기 슬릿형 비아홀의 양 옆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59.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 및 상기 플레이트 라인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이 형성된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상부 층간절연막 및 상기 제1 상부 층간절연막을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상기 공통 상부전극을 노출시키면서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한 슬릿형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슬릿형 비아홀을 덮는 주 플레이트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60.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층간절연막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 사이의 갭 영역을 채우는 절연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61. 제 60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공통 강유전체막 패턴 및 상기 절연막 패턴 사이에 개재된 수소차단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62.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 층간절연막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제1 상부 층간절연막 상에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한 복수개의 주 워드라인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주 워드라인들은 상기 슬릿형 비아홀의 양 옆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63. 반도체기판 상에 행 방향 및 열 방향을 따라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셀 트랜지스터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셀 트랜지스터들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하부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 상에 상기 행 방향 및 상기 열 방향을 따라 2차원적으러 배열된 복수개의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을 형성하되, 상기 각 강유전체 커패시터는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을 관통하는 스토리지 노드 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각 셀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을 갖는 반도체기판 상에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라인들을 형성하되, 상기 각 국부 플레이트 라인은 서로 이웃한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상부면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라인들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제1 및 제2 상부 층간절연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64.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들은 타이타늄 알루미늄 질화막, 타이타늄막, 타이타늄 질화막, 이리디움막, 이리디움 산화막, 백금막, 루테니움막, 루테니움 산화막, 알루미늄막 또는 이들의 조합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65.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라인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강유전체 커패시터들 사이의 갭 영역을 채우는 절연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막 패턴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하부 플레이트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한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라인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각 국부 플레이트 라인은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상부면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66.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 층간절연막 및 상기 제1 상부 층간절연막을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을 노출시키면서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한 슬릿형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슬릿형 비아홀을 덮는 주 플레이트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67.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 층간절연막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제1 상부 층간절연막 상에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한 복수개의 주 워드라인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주 워드라인들은 상기 슬릿형 비아홀의 양 옆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68. 반도체기판 상에 행 방향 및 열 방향을 따라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셀 트랜지스터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셀 트랜지스터들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하부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 상에 상기 행 방향 및 상기 열 방향을 따라 2차원적으러 배열된 복수개의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을 형성하되, 상기 각 강유전체 커패시터는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을 관통하는 스토리지 노드 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각 셀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제1 및 제2상부 층간절연막들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상부 층간절연막 및 상기 제1 상부 층간절연막을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서로 이웃한 적어도 2개의 행들 상에 배열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상부면들을 노출시키고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한 슬릿형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슬릿형 비아홀을 덮는 주 플레이트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69. 제 6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 층간절연막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제1 상부 층간절연막 상에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한 복수개의 주 워드라인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주 워드라인들은 상기 슬릿형 비아홀의 양 옆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70. 반도체기판;
    상기 반도체기판 상에 행 방향 및 열 방향을 따라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강유전체 커패시터들; 및
    상기 복수개의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을 덮고 상기 행 방향 및 상기 열 방향을 따라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을 포함하되, 상기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의 각각은 적어도 2개의 인접한 행들 및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열들 내에 배열된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상부면들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강유전체 메모리소자.
  71.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은 타이타늄 알루미늄 질화막, 타이타늄막, 타이타늄 질화막, 이리디움막, 이리디움 산화막, 백금막, 루테니움막, 루테니움 산화막, 알루미늄막 또는 이들의 조합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72.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각각은 차례로 적층된 하부전극, 강유전체막 패턴 및 상부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의 각각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인접한 행들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열들 내에 배열된 상부전극들의 상부면들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73. 제 72 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의 각각은 서로 인접한 2개의 행들 및 서로 인접한 2개의 열들 내에 배열된 4개의 상부전극들의 상부면들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74.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을 갖는 반도체기판 상에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주 플레이트 라인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들의 각각은 상기 행 방향을 따라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75. 제 74 항에 있어서.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들의 각각은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개의 비아홀들 또는 하나의 슬릿형 비아홀을 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76. 제 7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형 비아홀 또는 상기 복수개의 비아홀들의 양 옆에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주 워드라인들(main word lines)을 더 포함하되, 상기 주 워드라인들은 상기 국부 플레이트 패턴들보다 높고 상기 주 플레이트 라인들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7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라인은 적어도 2개의 인접한 행들 및 적어도 하나의 열 내에 배열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7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형 비아홀은 적어도 2개의 인접한 행들 및 적어도 하나의 열 내에 배열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7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형 비아홀은 적어도 2개의 인접한 행들 및 적어도 하나의 열 내에 배열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 상의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80.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라인은 적어도 2개의 행들 및 적어도 하나의 열 내에 배열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의 상부면들과 접촉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8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형 비아홀은 적어도 2개의 인접한 행들 및 적어도 하나의 열 내에 배열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 상의 상기 국부 플레이트 라인을 노출시키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2-0006192A 2001-06-26 2002-02-04 확장된 플레이트 라인을 갖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및 그제조방법 KR100428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136,991 US6844583B2 (en) 2001-06-26 2002-05-02 Ferroelectric memory devices having expanded plate lines
DE10228118A DE10228118A1 (de) 2001-06-26 2002-06-24 Ferroelektrische Speichervorrichtungen mit erweiterten Plattenleitungen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JP2002186422A JP4623919B2 (ja) 2001-06-26 2002-06-26 拡張されたプレートラインを有する強誘電体メモリ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10/948,610 US7285810B2 (en) 2001-06-26 2004-09-23 Ferroelectric memory devices having expanded plate lines
US11/029,232 US7208367B2 (en) 2001-06-26 2005-01-04 Methods of fabricating ferroelectric memory devices having expanded plate lines
US11/859,958 US7560760B2 (en) 2001-06-26 2007-09-24 Ferroelectric memory devices having expanded plate lin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36624 2001-06-26
KR1020010036624 2001-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217A KR20030001217A (ko) 2003-01-06
KR100428790B1 true KR100428790B1 (ko) 2004-04-28

Family

ID=27711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192A KR100428790B1 (ko) 2001-06-26 2002-02-04 확장된 플레이트 라인을 갖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및 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87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853B1 (ko) 2002-07-26 2005-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장된 플레이트 라인을 갖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및 그제조방법
KR100562499B1 (ko) 2003-02-21 2006-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강유전체 기억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496886B1 (ko) 2003-02-28 2005-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장된 플레이트 전극을 갖는 강유전체 기억소자 및 그제조방법
KR100532427B1 (ko) 2003-03-27 2005-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4183A (ko) * 1995-12-26 1997-07-31 김광호 에프 램(fram) 셀의 제조방법
JPH10189906A (ja) * 1996-11-05 1998-07-21 Sony Corp 半導体メモリセルのキャパシタ構造及びその作製方法
JP2000091509A (ja) * 1998-09-10 2000-03-31 Hitachi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11157A (ko) * 1999-07-26 2001-02-15 윤종용 삼중 금속 배선 일 트랜지스터/일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4183A (ko) * 1995-12-26 1997-07-31 김광호 에프 램(fram) 셀의 제조방법
JPH10189906A (ja) * 1996-11-05 1998-07-21 Sony Corp 半導体メモリセルのキャパシタ構造及びその作製方法
JP2000091509A (ja) * 1998-09-10 2000-03-31 Hitachi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11157A (ko) * 1999-07-26 2001-02-15 윤종용 삼중 금속 배선 일 트랜지스터/일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217A (ko) 200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3919B2 (ja) 拡張されたプレートラインを有する強誘電体メモリ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50669B1 (ko) 산소 침투 경로 및 캡슐화 장벽막을 구비하는 강유전체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5644151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6359295B2 (en) Ferroelectric memory devices including patterned conductive layers
JP2002208679A (ja) 強誘電体メモリ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773929B2 (en) Ferroelectric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439129B2 (en) Methods for fabricating ferroelectric memory devices
KR100432881B1 (ko) 강유전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64577A (ko) 강유전체 기억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KR100456698B1 (ko)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481853B1 (ko) 확장된 플레이트 라인을 갖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및 그제조방법
KR100496886B1 (ko) 확장된 플레이트 전극을 갖는 강유전체 기억소자 및 그제조방법
US7052951B2 (en) Ferroelectric memory devices with enhanced ferroelectric propertie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such memory devices
KR100428790B1 (ko) 확장된 플레이트 라인을 갖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 및 그제조방법
US20070023813A1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upper electr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574534B1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6358817B1 (en) Semiconductor storage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6253194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02209A (ko) 강유전체 메모리 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