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6600B1 - 스태플러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스태플러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6600B1
KR100426600B1 KR10-2002-0027832A KR20020027832A KR100426600B1 KR 100426600 B1 KR100426600 B1 KR 100426600B1 KR 20020027832 A KR20020027832 A KR 20020027832A KR 100426600 B1 KR100426600 B1 KR 100426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pler
moving
moving plate
pape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9918A (ko
Inventor
노승균
이승권
켄지우메하라
Original Assignee
(주)케이알디씨
그라드코 제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알디씨, 그라드코 제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주)케이알디씨
Priority to KR10-2002-0027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6600B1/ko
Priority to JP2003540734A priority patent/JP4109626B2/ja
Priority to US10/493,957 priority patent/US7063248B2/en
Priority to PCT/KR2002/001478 priority patent/WO2003038530A1/en
Publication of KR20030089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9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6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38Devices for collating sheet copy material, e.g. sorters, control, copies in staples form
    • G03G15/6541Binding sets of sheets, e.g. by stapling, glueing
    • G03G15/6544Details about the binding means or proced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789Adding properties or qualities to the copy medium
    • G03G2215/00822Binder, e.g. glueing device
    • G03G2215/00827Stapl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지반송장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이동하여 용지의 단부에 멀티 스태플링 가능하고, 동시에 측부로 경사이동이 가능한 스태플러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스태플러 구동장치는 중앙부가 용지의 반대방향으로 후퇴하는 후퇴부(133a)와 적어도 일측 단부가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경사부(133b)를 구비하는 스태플러 이동경로(133) 및 용지의 단부 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스태플러의 이동경로 경사부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부(52a)를 갖는 수평이동 가이드부(52)를 포함하는 스태플러 프래임(131)과,
상기 수평이동 가이드부를 따라 왕복이동하는 제1이동판(50)과, 상기 제1이동판 위에서 상기 수평이동 가이드부와 수직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고, 수평방향으로는 상기 제1이동판과 동시에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2이동판(51)과, 상기 제2이동판 상에 고정되는 스테플러(124)를 포함하여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스태플러에 고정되는 아이들롤러(60)가 상기 스태플러 이동경로(133)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아이들롤러가 스태플러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제1이동판 및 상기 제2이동판이 상기 스태플러와 연동하여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스태플러 구동장치{Stapler moving guide device}
본 발명은 프린터, 복사기, 인쇄기 등의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용지를 스태플링하여 후처리하는 스태플러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히는 스태플링 전,후에 스테플러 위치로부터 용지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스태플러 위치에 용지를 이송하기 위해 설치되는 용지반송장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이동하여 용지의 단부에 멀티 스태플링 가능하고, 동시에 측부로 경사이동이 가능한 스태플러 구동장치를 구성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태플러 구동장치의 기술 설명에 앞서 스태플러가 구성되는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복사기(1) 등의 화상형성장치의 구조는 도 1과 같이 화상형성장치의 측부에는 그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배출되어 나오는 용지를 후처리하기 위한 용지 후처리장치(2)를 구비한다.
상기 용지 후처리장치는 다양한 모듈, 예를 들어 복사되어 나온 용지를 상트레이(22)에 적재하는 상트레이 모듈(15), 복사 등의 작업이 완료된 용지를 펀치(25)를 이용하여 펀칭하거나 스태플러(24)를 이용하여 스태플링한 후 스택트레이(27)에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피니셔 모듈(20), 상기 상트레이 모듈과 피니셔 모듈에 용지를 분배하여 주는 용지반송 모듈(40) 등을 구비한다.
상기 모듈은 서로 착탈이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고, 기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을 용지반송 모듈에 추가로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상기 피니셔 모듈(20)에 구성되는 종래의 스태플러(24)의 구동장치는 한 예로 도 2 및 도 3의 구조가 한국 특허공개번호 2000-28390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스태플러 구동장치(30)는 스테플러(24)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용지(3)의 단부와 접하고 있는 대응되는 위치에 스태플러 프레임(31)을 위치시키고, 상기 스태플러 프레임에는 용지(3)의 단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는 슬라이드 홈(33a)과, 상기 슬라이드 홈의 양 단부로부터 용지(3)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1경사 슬라이드 홈(33b), 제2경사 슬라이드 홈(33c)을 갖는 스태플러 이동경로(33)를 일체로 구성한다.
상기 스태플러 이동경로(33)에는 스태플러(24)가 슬라이드 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스태플러(24)의 하부에 돌설된 제1지지축(34a), 제2지지축(34b)을 끼우고, 스태플러 프레임(31)의 하부에는 상기 제1,제2지지축과 결합되는 안내판(35)을 설치한다.
상기 제1,제2지지축(34a,34b)과 결합되는 안내판(35)은 스태플러 프레임(31)의 하면에 슬라이드 홈(33a)과 평행하게 고정되어 설치되는 안내판 이동축(36)에 끼워지고, 그 안내판은 이동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안내판 이동축(36)의 양 단부 쪽에 벨트 고정휠(39a, 39b)을 고정하고, 그 벨트 고정휠(39a,39b)에 끼워지는 구동벨트(37)가 안내판 이동축과 평행하게 구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구동벨트(37)는 스테플러 프레임에 설치되는 모터(38)에 의하여 구동되고, 그 구동벨트(37)의 외면은 안내판의 벨트 고정부(41)에 고정된다.
따라서, 모터(38)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벨트(37)가 회전하면 그 구동벨트와 연결된 안내판(35)이 이동축(36)을 따라 이동하고, 그 안내판에 제1,제2지지축(34a,34b)이 결합된 스태플러(24)는 슬라이드 이동경로(33)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스태플러의 제1,제2지지축(34a,34b)이 끼워져 결합되는 부분에는 제1지지축(34a)이 이동할 수 있도록 제1캠 홀(42a)이, 제2지지축(34b)이 이동할 수 있도록 제2캠 홀(42b)이 대칭되는 원호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캠 홀(42a)과 제2캠홀(42b)을 구성하는 이유는 스태플러(24)가 제1경사 슬라이드 홈(33b) 또는 제2경사 슬라이드 홈(33c)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스태플러(24)가 그 경사 슬라이드 홈을 따라 자연스럽게 일정 각도 회동하도록 하기 위해서 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스태플러 구동장치(30)는 용지(3)의 중앙 부에서는 스태플러(24)가 수평으로 위치하고, 용지의 양 모서리 쪽에서는 스태플러(24)가 경사지게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용지의 모서리 부에 경사진 스태플링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스태플러 구동장치는 스태플링하기 위하여 용지(3)를 이동시키는 용지배송장치(도 2, 도 3에는 미도시)를 스태플러(24)가 위치하는 스태플러 프래임(31) 영역까지 이동시킬 수 없는 제한이 따르게 된다.
즉, 스태플링된 용지(3)를 스택트레이(27)에 적재할 수 있도록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스태플링된 용지(3)의 중앙 단부를 밀어 스택트레이에 이동시킬 수 있는 용지배송장치가 필요한데 스태플러가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용지배송장치가 스태플러에 걸리기 때문에 용지의 단부 쪽으로 이동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종래의 스태플러 구동장치에서는 스태플링 작업이 완료된 후 스태플러를 중앙에서 사이드로 이동시키 후 용지배송장치가 이동되어야 한다.
또, 스태플러의 위치에 따라 용지배송장치의 이동을 결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이동 지연에 따른 장치의 구동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태플러의 위치에 관계없이 자유로이 용지배송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스태플러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태플러 구동장치의 측부 위치에서는 스태플러가 경사지도록 구성하여 용지의 단부에 경사진 스태플링 가능하도록 하는 스태플러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지배송장치와 스태플러의 위치에 관계없이 서로 동시에 작동이 가능하도록 스태플러 구동장치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용지 후처리 작업 능률을 개선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스태플러 구동장치는 용지의 단부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이동하는 스태플러를 용지의 중앙부에서 용지 반대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후퇴하여 이동 할 수 있도록 구동장치를 구성함과 동시에 스태플러 구동장치의 일측 단부 쪽에 스태플러가 이동하여 위치하였을 때는 용지의 단부에 대하여 스태플러가 경사진 상태로 위치하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후처리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스태플러 구동장치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입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스태플러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스태플러 구동장치의 입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스태플러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스태플러 프레임부를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스태플러 구동장치의 구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복사기 2 - 용지 후처리장치
3 - 용지 15 - 상트레이 모듈
20 - 피니셔 모듈 22 - 상트레이
24, 124 - 스태플러 25 - 펀치
27 - 스택트레이 30, 130 - 스태플러 구동장치
31, 131 - 스태플러 프레임 33a - 슬라이드 홈
33b - 제1경사 슬라이드 홈 33c - 제2경사 슬라이드 홈
33,133 - 스테플러 이동경로 34a - 제1지지축
34b - 제2지지축 35 - 안내판
36 - 이동축 37 - 구동벨트
38 - 모터 39a, 39b - 벨트 고정휠
40 - 용지반송 모듈 41 - 벨트 고정부
42a - 제1캠 홀, 42b - 제2캠 홀
43 - 용지반송장치 50 - 제1이동판
51 - 제2이동판 52 - 수평이동 가이드부
53 - 피니언기어 54 - 랙기어
55a,55b - 수직이동 가이드부 60 - 아이들롤러
61a,61b - 제2이동판의 수직 방향 이동용 가이드
62 - 가이드롤러
63 - 슬릿 홈
본 발명의 스태플러 구동장치는 중앙부가 용지의 반대방향으로 후퇴하는 후퇴부와 적어도 일측 단부가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스태플러 이동경로 및 용지의 단부 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스태플러의 이동경로 경사부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를 갖는 수평이동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스태플러 프레임과,
상기 수평이동 가이드부를 따라 왕복이동하는 제1이동판과,
상기 제1이동판 위에서 상기 수평이동 가이드부와 수직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고, 수평방향으로는 상기 제1이동판과 동시에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2이동판과,
상기 제2이동판 위에 고정되는 스태플러를 포함하여 구비하되, 상기 스태플러에 고정되는 아이들롤러가 상기 스태플러 이동경로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아이들롤러가 스태플러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제1이동판 및 상기 제2이동판이 상기 스태플러와 연동하여 함께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이들롤러에는 피니언기어가 고정되고 상기 스태플러 이동경로에는 상기 피니언기어가 치합되는 랙기어로 구성된다.
상기 아이들롤러에 고정되는 피니언기어는 모터 등의 회전수단에 의하여 구동된다.
한편, 상기 스태플러 프레임에 구성되는 스태플러 이동경로의 경사부와 수평이동 가이드부의 경사부는 평행하게 구성된다.
제1이동판에는 수평이동 가이드부에 끼워지는 가이드롤러가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롤러가 상기 수평이동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이동판에는 상기 제2이동판이 습동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수직이동 가이드부가 구성된다.
이하 도 4내지 도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스태플러 구동장치의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태플러 구동장치는 스태플러(124), 제1이동판(50), 제2이동판(51), 스테플러 프레임(131)을 포함하여 구비한다.
상기 스테플러(124)는 복사기로부터 이송되어온 용지를 철심으로 묶는 장치로서 하부에 아이들롤러(60)를 구비하고, 그 아이들롤러에는 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피니언기어(53)가 결합된다.
상기 제1이동판(50)에는 제2이동판(51)의 하부에 구성되는 가이드(61a,61b)가 용지방향 즉, 수직방향으로 습동할수 있도록 수직이동 가이드부(55a,55b)가 설치되고, 제1이동판의 중앙부에는 이이들롤러(60)가 끼워져 제2이동판이 수직이동 가이드부를 따라 습동할 때 동시에 유동할 수 있도록 슬릿 홈(63)이 설치된다. 그리고, 제1이동판의 하부에는 스태플러 프레임(131)에 구성되는 수평이동 가이드부(52)에 끼워져 결합되는 가이드롤러(62)가 설치된다.
한편, 제2이동판(51)에는 제1이동판(50)에 설치되는 수직이동 가이드부(55a,55b)에 결합되어 그 수직이동 가이드부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습동 이동 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가이드(61a,61b)가 구성되고, 그 가이드부 쪽으로 아이들롤러(60)가 돌설되도록 스태플러(124)가 고정 설치된다.
또, 스태플러 프레임(131)에는 중앙부가 용지의 반대 방향으로 후퇴하는 후퇴부(133a)와 일단부가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경사부(133b)를 구비하는 스태플러 이동경로(133)를 구성하고, 용지의 단부 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한 단부가 상기 스태플러의 이동경로 경사부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부(52a)를 갖는 수평이동 가이드부(52)를 구성한다.
상기 스태플러 이동경로(133)에는 스태플러의 피니언기어(53)와 치합되는 랙기어(54)가 구성된다.
상기 수평이동 가이드부(52)의 홈에는 제1이동판(50)의 가이드롤러(62)가 끼워져 결합되고, 제1이동판은 그 수평이동 가이드부(52)의 홈을 따라 습동이동 한다.
상기 스태플러 이동경로(133)에는 스태플러의 아이들롤러(60)가 끼워지고, 아이들롤러에 결합된 피니언기어(53)가 스태플러 이동경로(133)에 구성된 랙기어(54)에 치합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랙기어(54)와 피니언기(53)의 치합이 이동과정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아이들롤러(60)의 직경이 스태플러 이동경로(133)의 폭에 근접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스태플러(124), 제1이동판(50), 제2이동판(51) 스태플러 프레임(131)이 구성되면 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의하여 피니언기어(53)가 회전하였을 때 상기 피니언기어는 랙기어(54)가 설치된 스태플러 이동경로(133)를 따라 스태플러가 고정된 제2이동기판(51)과 함께 이동하고, 제1이동판(50)은 수평이동 가이드부(52)를 따라 이동한다.
상기 스태플러 이동경로(133)의 후퇴부(133a) 부분에서는 제1이동판의 이동은 그대로 수평방향을 유지하면서 이동하고, 제2이동판의 이동은 제1이동판에 대하여 수직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 및 수평 이동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즉, 중앙부분에서 스태플러를 고정하고 있는 제2이동판이 용지의 반대 방향으로 후퇴함으로써 용지배송장치(43)가 스태플러(124) 쪽으로 이동하더라도 스태플러의 좌우 이동은 멈추지 않고 계속 이어질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스태플러 이동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스태플러(124)가 A쪽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스태플러 이동경로의 경사부(133b)와 수평이동 가이드부(52a)의 작용에 의하여 스태플러(124)가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스태플러가 스태플러 프래임(131)의 단부 쪽에서 경사지도록 배치됨으로써 장치 내에서 용지에 경사지도록 스태플링하거나, 용지를 외부로부터 손쉽게 투입하여 수동으로 스태플링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피니언기어(53)가 회전하면 상기 A의 위치로부터 B 위치로 이동이 시작되고, 상기 B 위치에서는 제1이동판(50)과 제2이동판(51)이 중첩되는 상태로 수평이동 가이드부(52)와 평행을 이루므로 스태플러(124)는 용지와 평행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용지배송장치(43)가 위치하는 중앙부, 즉 C 위치에서는 스태플러(124)가 용지배송장치에 걸리지 않도록 제2이동판(51)과 함께 후퇴하고, D의 위치로 이동하면 B와 같은 형태로 스태플러가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스태플러 프레임(131)에 수평이동 가이드부(52)와 스태플러 이동경로(133)를 분리하여 별도 부재로 구성하였으나 스태플러 프레임에 수평이동 가이드부(52)와 스태플러 이동경로(133)를 일체로 사출하여 구성하여도 된다.
아울러, 상기 용지배송장치(43)를 스태플러(124)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서 이동하도록 하거나 스태플러 구동장치 영역으로 넘어오지 않도록 구성하면 본 발명에서와 같이 스태플러를 우회시켜 이동시키는 구조를 적용할 필요가 없으나 장치의 부피가 커지고, 용지배출장치의 이동시간이 길어지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피할 수 없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논외의 문제임을 밝혀 둔다.
본 발명의 스태플러 구동장치는 용지의 단부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이동하는 스태플러를 용지의 중앙부에서 용지 반대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후퇴할 수 있도록구성하고 일측 단부 쪽에 스태플러가 이동하여 위치하였을 때는 용지의 단부에 대하여 스태플러가 경사진 상태로 위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스태플러의 위치에 관계없이 자유로이 용지배송장치를 이동시키거나, 용지배송장치의 위치에 관계없이 스태플러를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스태플러 구동장치의 측부 위치에 스태플러가 경사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용지의 단부에 경사진 스태플링 가능하도록 하거나 장치의 외부로부터 용지를 쉽게 투입하여 스태플링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중앙부가 용지의 반대방향으로 후퇴하는 후퇴부(133a)와 적어도 일측 단부가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경사부(133b)를 구비하는 스태플러 이동경로(133) 및 용지의 단부 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스태플러의 이동경로 경사부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부(52a)를 갖는 수평이동 가이드부(52)를 포함하는 스태플러 프레임(131)과,
    상기 수평이동 가이드부를 따라 왕복이동하는 제1이동판(50)과,
    상기 제1이동판 위에서 상기 수평이동 가이드부와 수직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고, 수평방향으로는 상기 제1이동판과 동시에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2이동판(51)과,
    상기 제2이동판 위에 고정되는 스태플러(124)를 포함하여 구비하되, 상기 스태플러에 고정되는 아이들롤러(60)가 상기 스태플러 이동경로(133)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아이들롤러가 스태플러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제1이동판 및 상기 제2이동판이 상기 스태플러와 연동하여 함께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플러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롤러에는 피니언기어(53)가 고정되고 상기 스태플러 이동경로(133)에는 상기 피니언기어가 치합되는 랙기어(54)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플러 구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롤러에 고정되는 피니언기어는 회전수단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플러 구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플러 프레임에 구성되는 스태플러 이동경로의 경사부(133a)와 수평이동 가이드부의 경사부(52a)는 평행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플러 구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판에는 수평이동 가이드부(52)에 끼워지는 가이드롤러(62)가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롤러가 상기 수평이동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플러 구동장치.
  6. 상기 제1이동판(50)에는 상기 제2이동판(62)이 습동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수직이동 가이드부(55a,55b)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플러 구동장치.
KR10-2002-0027832A 2001-10-31 2002-05-20 스태플러 구동장치 KR100426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832A KR100426600B1 (ko) 2002-05-20 2002-05-20 스태플러 구동장치
JP2003540734A JP4109626B2 (ja) 2001-10-31 2002-08-05 ステープラー駆動装置
US10/493,957 US7063248B2 (en) 2001-10-31 2002-08-05 Stapler moving guide device
PCT/KR2002/001478 WO2003038530A1 (en) 2001-10-31 2002-08-05 Stapler moving guid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832A KR100426600B1 (ko) 2002-05-20 2002-05-20 스태플러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918A KR20030089918A (ko) 2003-11-28
KR100426600B1 true KR100426600B1 (ko) 2004-04-14

Family

ID=32383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832A KR100426600B1 (ko) 2001-10-31 2002-05-20 스태플러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66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281Y1 (ko) * 2011-04-11 2013-02-08 이병육 패널용 심재의 조립장치
KR102297446B1 (ko) * 2020-09-01 2021-09-02 (주)케이알디씨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281Y1 (ko) * 2011-04-11 2013-02-08 이병육 패널용 심재의 조립장치
KR102297446B1 (ko) * 2020-09-01 2021-09-02 (주)케이알디씨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
US11511960B2 (en) 2020-09-01 2022-11-29 Krdc Ltd. Stapling device of paper finish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918A (ko) 200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3646B2 (ja) 用紙後処理装置
KR100499900B1 (ko) 피니셔의 스태플러 구동장치
KR101268552B1 (ko) 용지배출장치
US7690636B2 (en) Finishing apparatus in copying machine
JP4109626B2 (ja) ステープラー駆動装置
KR100426600B1 (ko) 스태플러 구동장치
JP2007168966A (ja) 用紙後処理装置
US7699310B2 (en)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provided therewith
US20060255524A1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381578B1 (ko) 잉크젯 프린터의 용지 배출장치
US20200377326A1 (en) Medium aligning device, medium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system
JP2003192210A (ja) シート後処理装置
JP2020132357A (ja) 画像形成装置
JP2017178488A (ja) ねじ自動供給装置
KR100502822B1 (ko) 용지 배출과 오프셋팅을 동시에 수행하는 용지 받침대를구비하는 피니셔
JPH06278913A (ja) ジョガー付きの針止ソーター
KR100794787B1 (ko) 멀티스테플링 기능을 갖는 복사지 정렬장치
JP2022097930A (ja) 後処理装置
KR100547711B1 (ko) 인쇄기기의 고속 용지 배출장치
JP3636943B2 (ja) 丁合装置
JPH09235070A (ja) 用紙後処理装置
JPH0348106B2 (ko)
JPH03267263A (ja) 排紙収納装置
JPH04310798A (ja) ステイプラ装置を備えたソータ
JP2003073013A (ja) 紙揃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