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446B1 -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 - Google Patents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446B1
KR102297446B1 KR1020200111142A KR20200111142A KR102297446B1 KR 102297446 B1 KR102297446 B1 KR 102297446B1 KR 1020200111142 A KR1020200111142 A KR 1020200111142A KR 20200111142 A KR20200111142 A KR 20200111142A KR 102297446 B1 KR102297446 B1 KR 102297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urface
stapling
stapler
corne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석
노승균
Original Assignee
(주)케이알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알디씨 filed Critical (주)케이알디씨
Priority to KR1020200111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446B1/ko
Priority to US17/460,158 priority patent/US1151196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38Devices for collating sheet copy material, e.g. sorters, control, copies in staples form
    • G03G15/6541Binding sets of sheets, e.g. by stapling, glue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38Devices for collating sheet copy material, e.g. sorters, control, copies in staples form
    • G03G15/6541Binding sets of sheets, e.g. by stapling, glueing
    • G03G15/6544Details about the binding means or proced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82Special processing for irreversibly adding or changing the sheet copy material characteristics or its appearance, e.g. stamping, annotation printing, pu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6Securing handled material to another material
    • B65H2301/5161Binding processes
    • B65H2301/51611Binding processes involving at least a binding element traversing the handled material, e.g. stap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1Cam mechanisms
    • B65H2403/513Cam mechanisms involving elongated cam, i.e. parallel to linear transport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10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sheet(s)
    • B65H2408/12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sheet(s) stapler arrangement
    • B65H2408/122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sheet(s) stapler arrangement movable stapler
    • B65H2408/1222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sheet(s) stapler arrangement movable stapler movable transversely to direction of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24Post -processing devices
    • B65H2801/27Devices located downstream of office-type machin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58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 G03G15/6561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for sheet regist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는 용지의 일측변이 삽입될 수 있는 입구를 가지는 스테플러; 상기 스테플러가 안착되는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 및 상기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에 설치되는 이동롤러를 가지는 이동부; 상기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을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 및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며, 상기 용지의 일변측을 따라 연장되는 수평가이드면과, 상기 수평가이드면과 이격된 제1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 상기 수평가이드면과 상기 제1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을 사선으로 연결하는 제1 경사가이드면을 가지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 상기 수평가이드면과 상기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을 사선으로 연결하되 상기 제1 경사가이드면과 반대로 경사진 제2 경사가이드면을 가지는 위치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STAPLING DEVICE OF PAPER FINISHING DEVICE}
본 발명은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테플러의 클린칭(Clinching)을 위한 자세변경을 위한 구조가 단순화된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이에 문자나 그림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일반적으로 프린터, 복사기, 스캐너, 팩스, 및 이들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복합기를 포함한다. 이들 화상형성장치는 다양한 사이즈의 용지(시트)를 자동으로 급지하면서 시트의 일 표면 또는 양면에 문자나 그림을 형성한다. 복사기, 팩스밀리, 스캐너, 프린터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에는 '피니셔'라고 하는 후처리장치가 추가적으로 채용되는 경우가 많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와 후처리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화상형성장치(10)와 후처리 장치(30)의 사이에는 용지 중계 장치(20)가 구비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공급된 용지에 화상(예: 텍스트나 이미지)를 형성한다. 화상이 형성된 용지는 용지 전달 경로를 통해 용지 중계 장치를 통과하고, 후처리 장치(30)로 전달될 수 있다.
후처리 장치는 용지 중계 장치(20)로부터 전달된 용지를 적절하게 배출하고, 배출된 용지를 정렬하거나, 스테플링 하는 등의 제본동작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제본동작은 배출되어 팬스(31)에 정렬된 용지가 특정 매수에 도달하면 수행될 수 있다. 즉, 후처리 장치(30)로부터 계속 용지가 배출되며, 특정 매수의 용지가 용지 배출 모듈의 인근에 위치한 팬스(31)에 정렬되면, 해당 매수의 용지를 스테플링 하는 등의 제본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나 후처리장치에 채용되는 스테플러는 통상 자동으로 스테플링 동작 위치로 이동하여 화상형성장치 또는 후처리장치에서 처리되어 배출되는 용지 다발을 스테플링할 수 있다.
용지 다발에 대한 스테플링에는 일반적으로 몇 가지 유형이 선호되고 있다. 이를테면, 용지의 상변과 나란하게(D1) 스테플링하는 수평형(수평 스테플링)과 상단 양측 모서리에 각각 용지의 상변과 사선방향으로 스테플링하는 사선형(코너 스테프링)이 있다.
화상형성장치나 후처리장치에 채용되는 스테플러는 미리 설정된 사용자 요구에 따라 스테플링 위치로 스테플러를 이동시켜서 스테플링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는 스테플러가 수평 스테플링을 위한 선형 이동뿐만 아니라, 사선형 스테플링(코너 스테플링)을 위한 회전 이동도 수행하여야 한다.
나아가, 화상형성장치나 후처리장치에서 처리되어 배출되는 용지 다발 외에 사용자가 매뉴얼로 외부에서 삽입하는 용지 다발에 대한 스테플링 동작을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스테플러의 선형이동 및 회전이동을 달성하기 위해, 가이드 슬롯이나 롤러, 범퍼 등을 이용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그 구성이 복잡하고, 제어방법 또한 복잡하여, 고장 위험이나 제조상에 비효율적인 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용지 후처리 장치에서 사용되는 스테플러의 선형이동 및 회전이동 등 자세변경을 달성하기 위한 구조가 단순하여, 제어가 쉽고, 작동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스테플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용지 후처리 장치에서 배출된 용지 다발을 스테플링하도록 설치되는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를 제공한다.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는 용지의 일측변이 삽입될 수 있는 입구를 가지는 스테플러; 상기 스테플러가 안착되는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 및 상기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에 설치되는 이동롤러를 가지는 이동부; 상기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을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 및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며, 상기 용지의 일변측을 따라 연장되는 수평가이드면과, 상기 수평가이드면과 이격된 제1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 상기 수평가이드면과 상기 제1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을 사선으로 연결하는 제1 경사가이드면을 가지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 상기 수평가이드면과 상기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을 사선으로 연결하되 상기 제1 경사가이드면과 반대로 경사진 제2 경사가이드면을 가지는 위치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가이드부는, 상기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을 가지는 위치가이드바; 및 일단이 상기 위치가이드바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수평가이드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경사가이드면이 형성된 가이드게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롤러가 상기 수평가이드면에 위치할 때 수평스테플링 모드가 되고, 상기 이동롤러가 상기 제1 경사가이드면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1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에 위치할 때 상기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이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위치되는 제1 코너 스테플링 모드가 되며, 상기 이동롤러가 상기 제2 경사가이드면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에 위치할 때, 상기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이 시계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위치되는 제2 코너 스테플링 모드가 된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평가이드면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경사가이드면이 반시계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제2 경사가이드면이 시계방향으로 경사지며, 상기 제1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 및 상기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은 상기 수평가이드면과 나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평 스테플링 모드에서, 상기 이동롤러는 상기 수평가이드면 상에 선택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롤러가 상기 수평가이드면상에서 상기 제1 경사가이드면을 향해 이동하며, 상기 가이드게이트를 밀면서 연 상태 또는 열고 지나간 후 상기 수평가이드면에도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게이트는 상기 이동롤러에 의해 열려져 상기 이동롤러가 지나간 후, 복원력 또는 중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게이트를 열고 지나간 후 상기 제1 경사가이드면과 상기 제2 경사가이드면 사이에 위치한 상기 이동롤러가, 상기 제1 코너 스테플링 모드시에는 상기 제1 경사가이드면에 충돌 후 상기 제1 경사가이드면을 따라 롤링되어 상기 제1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2 코너 스테플링 모드시에는 상기 제2 경사가이드면에 충돌후 상기 제2 경사가이드면을 따라 롤링되어 상기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롤러가 상기 제1 경사가이드면에 충돌 후 상기 제1 경사가이드면을 따라 롤링됨으로써, 상기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이동롤러가 상기 제2 경사가이드면에 충돌 후 상기 제2 경사가이드면을 따라 롤링됨으로써, 상기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롤러가 상기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수평가이드면으로 떨어져서 다시 수평 스테플링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상기 수평가이드면과 나란하게 설치된 가이드봉; 및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이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에 설치된 스테플러 이동 부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테플러 이동 부쉬에 대한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의 회동축과 상기 이동롤러 사이 거리는 상기 제1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 및 상기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봉까지 각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용지 후처리 장치에서 사용되는 스테플러의 자세변경을 달성하기 위해, 복잡한 구성 대신, 수평 및 경사 가이드면과 이를 따라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을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선형이동 및 회전이동 등이 가능하므로, 구조가 단순하여, 제어가 쉽고, 작동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와 후처리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수평 스테플링 모드에서 이동롤러가 수평가이드면과 위치가이드부의 측면 사이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이동롤러가 수평가이드면에서 이동되며 가이드게이트를 열고 지나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이동롤러가 제1 경사가이드면과 제2 경사가이드면의 사이의 수평가이드면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이동롤러가 제2 경사가이드면에 충돌된 후 제2 경사가이드면을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이동롤러가 제2 경사가이드면으로부터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이동롤러가 제1 경사가이드면에 충돌된 후 제1 경사가이드면을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이동롤러가 제1 경사가이드면으로부터 제1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가 채용되는 후처리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매뉴얼 스테플링 동작을 보여준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50)는 용지 후처리장치(30)(소위 '피니셔')에 설치되어, 처리되어 배출되는 용지 다발을 철하는 장치로 채택될 수 있다.
여기서의 처리는 용지 후처리장치(30)에서 그러한 용지들을 정렬 또는 접기를 한 후 배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는 상술한 처리 후 배출되는 용지의 배출방향과 교차하는 방향(D1)으로 스테플러(100)를 이동시키면서 정해진 위치에서 자동으로 용지 다발을 스테플링할 수 있다. 또한,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50)의 스테플러(100)가 일단부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외부에서 수동으로 삽입되는 용지 다발을 스테플링할 수도 있다.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50)는 스테플러(100), 이동부(200), 베이스 프레임(300), 구동부(400) 및 위치가이드부(500)를 포함한다.
스테플러(100)는 용지 후처리장치(30)에서 처리되어 배출된 용지 다발을 스테플링할 수 있다(도 1 참조). 스테플러(100)는 설정값에 따라 자동으로 용지 다발에 대한 철(stapling) 동작을 수행하거나 매뉴얼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스테플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스테플러(100)는 정렬된 용지 다발의 일측변이 삽입될 수 있는 입구(110)를 가질 수 있다.
이동부(200)에는 스테플러(100)가 장착되며, 이동부(200)는 베이스 프레임(300) 상에서 구동부(40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동부(200)에 대해서는 더 후술된다.
베이스 프레임(300)은 스테플러(10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스테플러(100)의 선형이동 및 회전이동을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베이스 프레임(300)은 스테플러(100)의 입구(110)로 삽입될 용지의 일변측을 따라 연장되는 수평가이드면(312)과, 수평가이드면(312)과 이격된 제1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316), 수평가이드면(312)과 제1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316)을 사선으로 연결하는 제1 경사가이드면(314)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300)은 전술된 전술된 수평가이드면(312), 제1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316) 및 제1 경사가이드면(314)이 형성된 프레임 또는 지지체일 수 있다.
이동부(200)는 제1 경사가이드면(314) 및 제1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316)에 의해 제1 코너 스테플링 모드로 회전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더 후술된다.
수평가이드면(312)과 제1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316)은 서로 나란할 수 있다. 수평가이드면(312)과 제1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316)이 속하는 면 상에서, 수평가이드면(312)과 수직한 방향을 수직방향(D2)으로 정의한다. 제1 경사가이드면(314)은 수평가이드면(312)과 제1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316)에 사선방향으로, 즉 경사각을 가지도록 연결될 수 있다.
위치가이드부(500)는 베이스 프레임(300)에 설치되어 이동부(200)를 제2 코너 스테플링 모드로 회전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더 후술된다.
구동부(400)는 베이스 프레임(300)에 설치되어 이동부(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400)는, 일 예로, 모터(410), 밸트(420), 스테플러 이동 부쉬(430), 및 가이드봉(450)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구동부는 이외에도 다양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가이드봉(450)은 베이스 프레임(300)에 설치되며, 수평가이드면(312)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봉 또는 레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테플러 이동 부쉬(430)는 가이드봉(450)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다. 스테플러 이동 부쉬(430)에는 밸트(420)가 연결될 수 있다. 밸트(420)는 모터(410)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스테플러 이동 부쉬(430)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도 2 참조).
이동부(200)는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210)과, 이동롤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210)에는 스테플러(100)가 안착된다.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210)은 구동부(400)에 의해 이동되도록 스테플러(100)와 베이스 프레임(3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210)은 스테플러 이동 부쉬(43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210)은 회동축(220)에 의해 스테플러 이동 부쉬(4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롤러(230)는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210)에, 예를 들어,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동롤러(230)가 수평가이드면(312)에 위치할 때 수평 스테플링 모드가 된다.
이동롤러(230)가 제1 경사가이드면(314)에 충돌 후 제1 경사가이드면(314)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21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도 11 참조). 이후, 이동롤러(230)가 제1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316)에 위치할 때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210)이 설정된 각도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제1 코너 스테플링 모드)가 된다.
위치가이드부(500)는 베이스 프레임(300)에 설치되어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210)이 제2 코너 스테플링 모드로 회전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위치가이드부(500)는, 측면(512),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511) 및 제2 경사가이드면(531)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512)은 가이드봉(450)과 수평가이드면(312)의 사이에서 수평가이드면(312)과 마주보도록 위치한다. 수평가이드면(312)과 측면(512) 사이에 이동롤러(230)가 개재되어 롤링될 수 있다.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511)은 측면(512)과 대향하며, 제2 코너 스테플링 모드시에 이동롤러(230)가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511)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경사가이드면(531)은 수평가이드면(312)과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511)을 사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롤러(230)가 제2 경사가이드면(531)에 충돌된 후 롤링됨으로써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21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도 9 참조). 이후, 이동롤러(230)가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511)으로 진입하게 되면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210)이 설정된 각도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제2 코너 스테플링 모드)가 된다.
위치가이드부(500)는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511), 제2 경사가이드면(531)을 구비하도록 다양한 구조가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위치가이드부(500)는 위치가이드바(510) 및 가이드게이트(530)를 포함한다.
위치가이드바(510)는 수평가이드면(31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베이스 프레임(300)에 설치될 수 있다. 위치가이드바(510)는 수평가이드면(312)과 마주보는 전술한 측면(512)을 가질 수 있다.
위치가이드바(510)의 측면(512)과 대향하는 타측면, 즉 가이드봉(450)과 마주보는 위치가이드바(510)의 면은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511)이 된다.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511)은 제1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316)과 동일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제1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316) 및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511)의 수평가이드면(312)으로부터의 각 수직거리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가이드게이트(530)는 일단이 위치가이드바(510)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수평가이드면(312)에 접촉될 수 있다. 가이드게이트(530)의 상면이 전술된 제2 경사가이드면(531)이 된다. 따라서 제2 경사가이드면(531)은 수평가이드면(312)과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511)을 사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1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316) 및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511)으로부터 가이드봉(450)까지 각 거리는 수평가이드면(312)으로부터 가이드봉(450)까지 거리보다 작다. 또한, 스테플러 이동 부쉬(430)에 대한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210)의 회동축(220)과 이동롤러(230) 사이 거리는 제1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316) 및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511)으로부터 가이드봉(450)까지 각 거리보다 크다. 전술된 수직방향(D2)에 대해 제1 경사가이드면(314)은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지고, 제2 경사가이드면(531)은 시계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거리관계와, 회동축(220), 이동롤러(230), 가이드면들 간의 관계에 의해,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210)이 회전이동 및 선형이동이 가능하다.
도 6은 수평 스테플링 모드에서 이동롤러(230)가 수평가이드면(312)과 위치가이드바(510)의 측면(512)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이동롤러(230)가 수평가이드면(312)에서 이동되며 가이드게이트(530)를 열고 지나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이동롤러(230)가 제1 경사가이드면(314)과 제2 경사가이드면(531)의 사이의 수평가이드면(312)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수평 스테플링 모드에서는 구동부(400)에 의해 이동롤러(230)는 수평가이드면(312)을 따라 움직이며, 이에 따라, 스테플러(100)는 필요한 위치, 또는 설정된 위치로 이동되어 수평형 스테플링을 할 수 있다.
수평 스테플링 모드에서, 이동롤러(230)는 수평가이드면(312)과 측면(512)의 사이에 위치하거나, 이동롤러(230)가 제1 경사가이드면(314)을 향해 이동하며, 가이드게이트(530)를 밀면서 연 상태 또는 열고 지나간 후 수평가이드면(312)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게이트(530)는 이동롤러(230)에 의해 열려져 이동롤러가 지나간 후, 복원력 또는 중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롤러(230)가 수평가이드면(312)과 측면(512)의 사이에서 좌우로 이동되면서 설정된 위치 또는 필요한 위치에서 수평형 스테플링을 할 수 있다. 또는 필요한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롤러(230)가 좌측으로 더 이동되어 가이드게이트(530)에 충돌되며, 이로 인해 가이드게이트(530)는 회동되면서 열리고, 이동롤러(230)가 지나갈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게이트(530)가 열린 위치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사가이드면(314)과 제2 경사가이드면(531)의 사이의 수평가이드면(312)에서 수평형 스테플링을 할 수도 있다.
도 9는 이동롤러(230)가 수평가이드면(312)을 따라 이동하여 제2 경사가이드면(531)에 충돌된 후 제2 경사가이드면(531)을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이동롤러(230)가 제2 경사가이드면(531)으로부터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511)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롤러(230)가 가이드게이트(530)를 열고 지나간 후 제1 경사가이드면(314)과 제2 경사가이드면(531) 사이의 수평가이드면(312)에 위치한 이동롤러(230)가, 제2 코너 스테플링 모드시에는 제2 경사가이드면(531)에 충돌후 제2 경사가이드면(531)을 따라 롤링되어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51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400)에 의해 스테플러 이동 부쉬(43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되며,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210)을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도 9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롤러(230)가 이동되는 경우 이동롤러(230)는 제2 경사가이드면(531)에 충돌되므로 가이드게이트(530)는 열리지 않고, 가이드게이트(530)의 타단이 수평가이드면(312)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이동롤러(230)는 제2 경사가이드면(531)을 따라 롤링될 수 있다.
이동롤러(230)는 제2 경사가이드면(531)을 따라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511)으로 이동되며, 이로 인해,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21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210)에 장착된 스테플러(10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사선형 스테플링, 또는 경사형 스테플링 또는 제2 코너 스테플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이동롤러(230)가 수평가이드면(312)을 따라 이동하여 제1 경사가이드면(314)을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이동롤러(230)가 제1 경사가이드면(314)으로부터 제1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316)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코너 스테플링 모드시에는 이동롤러(230)가 제1 경사가이드면(314)을 따라 롤링되어 제1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316)으로 이동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롤러(230)가 좌측으로 이동된다. 즉, 스테플러 이동 부쉬(430)가 가이드봉(450)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210)이 좌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이동롤러(230)가 제1 경사가이드면(314)에 충돌 후 제1 경사가이드면(314)을 따라 롤링됨으로써,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21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후, 이동롤러(230)가 제1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316)에 위치되면, 스테플러(100)가 정해진 각도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 코너 스테플링을 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10를 참조하면,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511)에 위치한 이동롤러(230)가 더 우측으로 이동되면, 이동롤러는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511)의 말단으로부터 수평가이드면(312)으로 떨어지게 된다. 즉, 제2 코너 스테플링 모드에서 다시 수평 스테플링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복잡한 구성과 제어없이, 단순히, 가이드면을 따른 이동만으로 스테플러(100)의 회전이동과 선형이동이 달성된다. 즉, 이러한 이동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이 매우 간결하고 단순하여 동작의 신뢰성, 신속정확성이 향상되고, 제어가 편리하고, 제조에 있어서도 유리한 점이 많다.
도 13은 본 발명의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50)가 채용되는 용지 후처리장치(30)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매뉴얼 스테플링 동작을 보여준다.
위에서 설명된 수평 스테플링, 제1 코너 스테플링 및 제2 코너 스테플링은 자동으로 설정된 위치에서 스테플링을 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코너 스테플링 중 어느 하나를 수동 스테플링에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50)의 일측 코너에 수동용 슬롯을 형성하고, 외부에서 사용자가 직접 용지다발을 삽입하고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50)를 작동시키면, 스테플러(100)가 제1 코너 스테플링 위치로 이동한 후 스테플링을 하도록 작동시킬 수도 있다.
10 : 화상형성장치
30 : 용지 후처리장치
31 : 팬스
50 :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
100 : 스테플러
110 : 입구
200 : 이동부
210 :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
220 : 회동축
230 : 이동롤러
300 : 베이스 프레임
312 : 수평가이드면
314 : 제1 경사가이드면
316 : 제1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
400 : 구동부
410 : 모터
420 : 밸트
430 : 스테플러 이동 부쉬
450 : 가이드봉
500 : 위치가이드부
510 : 위치가이드바
511 :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
530 : 가이드게이트
531 : 제2 경사가이드면

Claims (10)

  1. 화상형성장치에서 배출된 용지 다발을 스테플링하도록 설치되는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로서,
    용지의 일측변이 삽입될 수 있는 입구를 가지는 스테플러;
    상기 스테플러가 안착되는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 및 상기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에 설치되는 이동롤러를 가지는 이동부;
    상기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을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 및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며, 상기 용지의 일변측을 따라 연장되는 수평가이드면과, 상기 수평가이드면과 이격된 제1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 상기 수평가이드면과 상기 제1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을 사선으로 연결하는 제1 경사가이드면을 가지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 및 제2 경사가이드면을 가지며, 상기 제2 경사가이드면은 상기 수평가이드면과 상기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을 사선으로 연결하되 상기 제1 경사가이드면과 반대로 경사진, 위치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가이드부는,
    상기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을 가지는 위치가이드바; 및
    일단이 상기 위치가이드바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수평가이드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경사가이드면이 형성된 가이드게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롤러가 상기 수평가이드면에 위치할 때 수평스테플링 모드가 되고, 상기 이동롤러가 상기 제1 경사가이드면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1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에 위치할 때 상기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이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위치되는 제1 코너 스테플링 모드가 되며, 상기 이동롤러가 상기 제2 경사가이드면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에 위치할 때, 상기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이 시계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위치되는 제2 코너 스테플링 모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가이드면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경사가이드면이 반시계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제2 경사가이드면이 시계방향으로 경사지며,
    상기 제1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 및 상기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은 상기 수평가이드면과 나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 스테플링 모드에서, 상기 이동롤러는 상기 수평가이드면 상에 선택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롤러가 상기 수평가이드면상에서 상기 제1 경사가이드면을 향해 이동하며, 상기 가이드게이트를 밀면서 연 상태 또는 열고 지나간 후 상기 수평가이드면에도 위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게이트는 상기 이동롤러에 의해 열려져 상기 이동롤러가 지나간 후, 복원력 또는 중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게이트를 열고 지나간 후 상기 제1 경사가이드면과 상기 제2 경사가이드면 사이에 위치한 상기 이동롤러가,
    상기 제1 코너 스테플링 모드시에는 상기 제1 경사가이드면에 충돌후 상기 제1 경사가이드면을 따라 롤링되어 상기 제1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2 코너 스테플링 모드시에는 상기 제2 경사가이드면에 충돌후 상기 제2 경사가이드면을 따라 롤링되어 상기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동롤러가 상기 제1 경사가이드면에 충돌 후 상기 제1 경사가이드면을 따라 롤링됨으로써, 상기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이동롤러가 상기 제2 경사가이드면에 충돌 후 상기 제2 경사가이드면을 따라 롤링됨으로써, 상기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동롤러가 상기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수평가이드면으로 떨어져서 다시 수평 스테플링 모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
  9.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상기 수평가이드면과 나란하게 설치된 가이드봉; 및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이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에 설치된 스테플러 이동 부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테플러 이동 부쉬에 대한 스테플러 이동 브라켓의 회동축과 상기 이동롤러 사이 거리는 상기 제1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 및 상기 제2 코너 스테플링 가이드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봉까지 각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
KR1020200111142A 2020-09-01 2020-09-01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 KR102297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142A KR102297446B1 (ko) 2020-09-01 2020-09-01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
US17/460,158 US11511960B2 (en) 2020-09-01 2021-08-27 Stapling device of paper finish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142A KR102297446B1 (ko) 2020-09-01 2020-09-01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7446B1 true KR102297446B1 (ko) 2021-09-02

Family

ID=77794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142A KR102297446B1 (ko) 2020-09-01 2020-09-01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511960B2 (ko)
KR (1) KR1022974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64831A (ja) * 2021-10-27 2023-05-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綴じ装置、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600B1 (ko) * 2002-05-20 2004-04-14 (주)케이알디씨 스태플러 구동장치
KR20120015626A (ko) * 2010-08-12 2012-02-22 주식회사 비즈테크원 스태플러 장치
JP2016199397A (ja) * 2015-04-14 2016-12-01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8530A1 (en) * 2001-10-31 2003-05-08 Krdc Co., Ltd. Stapler moving guide device
JP6215184B2 (ja) * 2013-12-27 2017-10-18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ニスカ株式会社 綴じ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1828810B1 (ko) * 2016-02-11 2018-02-13 주식회사 비즈테크원 스태플러 장치
KR20180043481A (ko) * 2016-10-20 2018-04-30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스테이플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873153B1 (ko) * 2017-03-30 2018-07-02 (주)케이알디씨 스태플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600B1 (ko) * 2002-05-20 2004-04-14 (주)케이알디씨 스태플러 구동장치
KR20120015626A (ko) * 2010-08-12 2012-02-22 주식회사 비즈테크원 스태플러 장치
JP2016199397A (ja) * 2015-04-14 2016-12-01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11960B2 (en) 2022-11-29
US20220063952A1 (en)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35900B2 (ja) シート綴じ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システム
JP6360284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JP6360285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JP6130751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US7815179B2 (en) Sheet finis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7883081B2 (en) Sheet finis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EP1336508A2 (en) Sheet trea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334860B2 (ja) シート束綴じ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5016973A5 (ko)
JP2015016974A5 (ko)
JP2015030592A5 (ko)
JP2015016974A (ja) シート束綴じ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5016971A5 (ko)
JP4174292B2 (ja)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2297446B1 (ko) 용지 후처리 장치의 스테플링 장치
US7631866B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sheet aligner, and sheet aligning method
JP6623276B2 (ja) シート束綴じ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JP6412628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システム
JP6335355B2 (ja) シート綴じ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システム
JP4759185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9001661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8140881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JP7131091B2 (ja) シート後処理装置
JP7356469B2 (ja) シート束綴じ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JP6545858B2 (ja) シート綴じ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