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5719B1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5719B1
KR100425719B1 KR1019970008305A KR19970008305A KR100425719B1 KR 100425719 B1 KR100425719 B1 KR 100425719B1 KR 1019970008305 A KR1019970008305 A KR 1019970008305A KR 19970008305 A KR19970008305 A KR 19970008305A KR 100425719 B1 KR100425719 B1 KR 100425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air conditioner
room
discharge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8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3160A (ko
Inventor
허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08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5719B1/ko
Publication of KR19980073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3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5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5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흡입그릴(1a)과 토출구(1b)가 형성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2)와 동압을 발생시키는 크로스플로팬(3)과 유입된 기류를 안정시키는 리어가이드(4) 및 스태빌라이져(5)를 포함하여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상기 열교환기(2)의 상,하단부에 응축수를 받을 수 있는 상,하부 물받이(6,6')가 형성되도록 구비하여, 실내기의 설치를 실내의 상,하부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설치가 자유롭게 되고, 또한 하부 설치시 난방이 이루어질 경우 온기류가 하부에서 상부로 흐르게 되어 난방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기를 실내의 상,하부에 설치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 실내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의 전면 상부에 흡입그릴(1a)이 형성되고 하부에 토출구(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 내부의 흡입그릴(1a)측에 냉각 또는 가열된 기류를 형성하는 열교환기(2)가 설치되며, 상기 열교환기(2)의 측부에 볼텍스(Voltex)유동을 형성시켜 동압을 발생시키는 크로스플로팬(3;Cross Flow Fan)이 설치되고, 상기 크로스플로팬(3)의 측부에 크로스플로팬(3)에 의해 형성된 동압을 일정 정압으로 회복시키는 리어가이드(4;Rear Guide)가 설치되며, 상기 리어가이드(4)의 단부에 흡입영역과 토출영역을 구분시키는 스태빌라이저(5;Stabilizer)가 설치되고, 상기 리어가이드(4)와 스태빌라이저(5)에 의해 토출유로(F)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유로(F)는 토출구(1b)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2)하부에 응축수를 받을 수 있는 물받이(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는 크로스플로팬(3)의 회전에 의해 흡입그릴(1a)로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기(2)에서 열교환되어 리어가이드(4)와 스태빌라이저(5)에 의해형성된 토출유로(F)를 통해 기류가 안정되면서 토출구(1b)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내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의 상부에 설치되어 냉/온기류를 실내에 토출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실내기(P)는 일정 높이 이상에 설치되어야 실내에 쾌적한 기류를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설치가 불가능하다. 또한 실내의 상부에 실내기(P)가 설치된 상태에서 난방을 할 경우 온기류가 위에서 직접 쏟아지게 되어 재실자에서 불쾌감을 주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기를 실내의 상,하부에 설치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실내의 상부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실내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실내기를 실내의 하부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실내기 및 실내기 결합시 사용되는 걸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실내기를 실내의 바닥만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실내기 및 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a ; 흡입그릴
1b ; 토출구 2 ; 열교환기
3 ; 크로스플로팬 4 ; 리어가이드
5 ; 스태빌라이져 6 ; 하부물받이
6' ; 상부물받이 7 ; 조절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흡입그릴과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와 동압을 발생시키는 크로스플로팬과 유입된 기류를 안정시키는 리어가이드 및 스태빌라이져를 포함하여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상,하단부에 응축수를 받을 수 있는 상,하부 물받이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토출구에는 토출기류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조절판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실내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실내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그릴과 토출구(1b)가 형성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2)와 동압을 발생시키는 크로스플로팬(3)과 유입된 기류를 안정시키는 리어가이드(4) 및 스태빌라이져(5)를 포함하여 구성된 종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상기 열교환기(2)의 상,하단부에 응축수를 받을 수 있는 상,하부 물받이(6,6')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또한 상기 토출구(1b)에는 토출기류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조절판(7)이 설치된다.이하,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작동은 종래와 같이 이루어져 실내를 냉/난방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내를 실내에 설치시 실내의 상부에 설치할 경우 종래와 같이 토출구(1b)가 하부로 위치하게 실내에 설치하게 되며, 실내의 하부에 설치할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설치한 상태의 반대로 토출구(1b)가 상부로 위치하게 실내기(P)를 돌려 설치하게 되며, 이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부(8a)가 형성된 걸개(8)에 실내기(P)를 걸어 설치하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변에 설치할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구(1b)가 상부로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이때 받침대(9)를 본체(1)의 하부에 설치한 후에 실내기(P)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내기(P)를 실내의 하부에 설치할 경우 열교환기(2)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는 하부에 설치된 물받이(6')에 고이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기(P)의 설치를 실내의 상,하부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설치가 자유롭게 되고, 또한 하부 설치시 난방이 이루어질 경우 온기류가 하부에서 상부로 흐르게 되어 난방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흡입그릴과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와 동압을 발생시키는 크로스플로팬과 유입된 기류를 안정시키는 리어가이드 및 스태빌라이져를 포함하여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상,하단부에 응축수를 받을 수 있는 상,하부 물받이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에는 토출기류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조절판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9970008305A 1997-03-12 1997-03-12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425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8305A KR100425719B1 (ko) 1997-03-12 1997-03-12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8305A KR100425719B1 (ko) 1997-03-12 1997-03-12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3160A KR19980073160A (ko) 1998-11-05
KR100425719B1 true KR100425719B1 (ko) 2004-07-27

Family

ID=37329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8305A KR100425719B1 (ko) 1997-03-12 1997-03-12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571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3160A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26054B1 (en) Decorative panel for air conditioning system, air outlet unit,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6141983A (en) Air conditioner
EP1310743B1 (en) Decorative panel and diffuse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JP4017483B2 (ja) 空気調和機
KR100437033B1 (ko)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장치
KR100214639B1 (ko) 공기조화기의 상방흡입 횡류형 실내기
CN211177152U (zh) 窗式空调器
EP1316760B1 (en) Decorative panel for air conditioning system, air outlet blow-off unit, and air conditioning system
CN1703329B (zh) 车辆用空调装置
KR10042571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5476419A (en) Thermally actuated heating/cooling air changeover deflector structure for a ceiling diffuser
JP2511985B2 (ja) 空気調和機
JPH04254121A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CN216244607U (zh) 一种换热器装置
JP2706383B2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CN219103175U (zh) 空调器
KR100293707B1 (ko) 천정형공기조화기의히터설치구조
JP4683447B2 (ja) 天井カセット形空気調和装置
KR0133016Y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S629466Y2 (ko)
JPH0247376Y2 (ko)
KR20010001969U (ko) 천정형 에어컨의 공기유출 조정장치
JPH0434328Y2 (ko)
KR0125729B1 (ko) 에어콘의 실내기구조
JP2682239B2 (ja) 空調機能を具えた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