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3707B1 - 천정형공기조화기의히터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천정형공기조화기의히터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3707B1
KR100293707B1 KR1019980050866A KR19980050866A KR100293707B1 KR 100293707 B1 KR100293707 B1 KR 100293707B1 KR 1019980050866 A KR1019980050866 A KR 1019980050866A KR 19980050866 A KR19980050866 A KR 19980050866A KR 100293707 B1 KR100293707 B1 KR 100293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heat exchanger
air conditioner
drain pa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3826A (ko
Inventor
정몽남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50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3707B1/ko
Publication of KR20000033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3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37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형 공기조화기에 설치되는 히터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 교환기의 주위에 설치되는 히터가 드레인 팬(drain pan)의 상부에 설치되어 동작시 히터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외부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히터 설치구조(Hester mounting for air conditioner on ceiling)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열 교환기의 하부에 설치되고 열 교환기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하여 설치된 드레인 팬과, 상기 열 교환기의 주위에 설치된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천정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드레인 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의 표면에 맺히는 응축수가 상기 드레인 팬에 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드레인 팬은 상기 히터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동시에 응축수가 배수될 수 있도록 안착배수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히터 설치구조
본 발명은 천정형 공기조화기에 설치되는 히터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 교환기의 주위에 설치되는 히터가 드레인 팬(drain pan)의 상부에 설치되어 동작시 히터의 표면에서발생되는 응축수가 외부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히터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정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매립되도록 설치되고 일방향으로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그 반대방향에는 덕트와 연결된 취출구가 형성된 덕트형과, 천장에 매달리도록 설치되고 하부패널의 중앙부에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그 흡입구의 바깥쪽에는 공기조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취출구가 형성된 천장카페트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덕트형 및 천장카세트형의 공통적인 장점은 일반 공기조화기와 달리 천장에 매달리도록 설치되므로 공간을 최대한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천장카세트형 공기조화기는 일반 공기조화기와 달리 하부패널에 흡입구 및 취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부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는 열 교환기 및 히터의 표면에서 응축되는 응축수의 처리가 중요하다. 즉, 응축수의 처리를 위한 구조를 확실하게 구성하지 않으면 하부패널의 흡입구 및 취출구를 통하여 응축수가 실내로 낙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게 된다.
종래의 천정형 공기조화기는 도 1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개방된 캐비닛(1)과, 상기 캐비닛(1)의 하부에 설치되고 흡입구(2a) 취출구(2b)가 형성된 하부패널(2)과, 상기 하부패널(2)의 상부에 설치되어 흡입구(2a)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취출구(2b)를 통하여 토출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fan)(3)과, 상기 팬(3)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팬(3)에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모터(4)와, 상기 팬(3)의 주위에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되면서 열 교환하는 열 교환기(5)와, 상기 열 교환기(5)의 외곽의 취출구(2b) 상부에 설치된 전기히터(10)와, 상기 열 교환기(5)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열 교환기(5)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모이는 드레인 팬(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기히터(11)는 구조보강을 위하여 브라켓트(12)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트(12)에는 응축수의 작은 량을 흡수할 수 있는 단열재(12a)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히터(11) 및 브라켓트(12)는 연결대(13)에 의해 서로 지지된다.
상기에서, 상기 모터(14)가 동작되어 상기 팬(3)이 회전되면 상기 하부패널(2)의 흡입구(2a)를 통하여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고,흡입된 공기는 상기 팬(3)에 의해 상기 열 교환기(5)쪽으로 이동된 후, 상기 열 교환기(5) 및 전기히터(11)를 통과하여 상기 하부패널(2)의 취출구(2b)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되게 된다.
여기서,상기 흡입구(2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열 교환기(5)를 통과하면서 열 교환이 이루어져 온도가 하강하게 된다. 즉, 여름에는 천정형 공기조화기가 에어컨으로 작동하게 되어,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열 교환을 시킨 후, 차가운 공기로 바꾸어 다시 실내로 차가워진 공기를 토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실내의 더운 공기가 상기 열 교환기(5)를 통과하여 그 온도가 하강되는 때에는 실내의 더운 공기가 차가운 공기로 바뀌면서 더운 공기가 포함하고 있던 수분이 응축되어 상기 열 교환기(5)의 표면에 응축수가 발생되고, 상기 열 교환기(5)의 표면에 발생된 응축수는 상기 열 교환기(5)의 하부에 설치된 드레인 팬(6)에 고이게 된다.
반대로, 겨울에는 상기 열 교환기(5)가 응축기로서 동작되고 동시에 상시 전기히터(11)가 동작되며, 그에 따라 상기 흡입구(2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열 교환기(5) 및 상기 전기히터(11)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상승되어 더운 공기로 바뀌게 된 후, 상기 취출구(2b)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천정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더운 공기가 상기 열 교환기(5)를 통과할 때 뿐만 아니라 상기 전기히터(11)를 통과하는 경우에도 상기 전기히터(11)의 표면에 응축수가 발생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기히터(11)의 표면에 맺힌 응축수가 상기 브라켓트(12)의 단열재(12a)에 약간 흡수되지만 결국에는 상기 전기히터(11)의 하부에 형성된 취출구(2b)를 통하여 하부로 낙하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발생시키게 하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천정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전기히터(11)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트(12)를 사용하므로 부품수가 많아 작업상 효율이 저하되고 상기 팬(3)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로에 상기 브라켓트(1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공기의 유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브라켓트(12)에 토출되는 공기가 부딪쳐 소음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취출구의 상부에 브라켓트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 전기히터를 응축수 물받이인 드레인 팬의 상부에 브라켓트를 제거한 상태에서 설치하여 응축수가 실내로 낙하되지 않고 소음이 감소되는 동시에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증대되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히터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의 일부구성요소인 전기히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1 : 캐비닛 52 : 하부패널 52a : 흡입구 52b : 취출구
53 : 팬 54 : 모터 55 : 열교환기 56 : 드레인 팬
61 : 전기히터 62 : 연결대
본 발명은 열 교환기의 하부에 설치되고 열 교환기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하여 설치된 드레인 팬과, 상기 열 교환기의 주위에 설치된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천정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열교환기를 통하는 공기의 증발에 의해 상기 히터 표면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상기 드레인 팬에 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드레인 팬의 상부에 연결대에 의해 지지되면서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 팬에는 상기 연결대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동시에 상기 히터에서 떨어지는 응축수가 안내될 수 있도록 안착배수로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참조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천정형 공기조화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개방된 캐비닛(51)과, 상기 캐비닛(51)의 하부에 설치되고 중앙부위에는 흡입구(52a)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52a)의 외곽 변두리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취출구(52b)가 형성된 하부패널(52)과, 실내의 공기가 상기 하부패널(52)의 흡입구(52a)를 통하여 흡입되고 상기 캐비닛(51)의 내부를 통과한 후 상기 취출구(52b)로 토출되도록 상기 흡입구(52a)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팬(fan)(53)과, 상기 팬(53)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팬(53)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모터(54)와, 상기 팬(53)의 주위에 설치되어 흡입된 실내의 공기가 통과되면서 열 교환되는 열 교환기(55)와, 상기 열 교환기(55)의주위에 설치되어 살기 열 교환기(55)를 통과한 공기에 열을 공급하도록 연결대(62)로 연결된 전기히터(61)와, 상기 열 교환기(55) 및 전기히터(6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열 교환기(55) 및 전기히터(61)의 표면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고이는 드레인 팬(drain pan)(56)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드레인 팬(56)은 종래 기술과 달리 상기 열 교환기(55)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대(62)의 하단부가 안착되고 그 표면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고일 수 있도록 안착배수로(56a)가 형성된 구조이고,상기 전기히터(61)는 브라켓트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안착배수로(56a)의 상부에 상기 연결대(62)에 의해 놓여져 있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여름철 냉방운전의 경우에는, 상기 모터(54)의 동작에 의해 상기 팬(53)이 회전되어 실내의 공기가 상기 흡입구(52a)를 통하여 상기 캐비닛(51)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팬(53)에 의해 중앙으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캐비닛(51)의 외곽으로 방향이 바뀐 후 증발기로서 동작하는 상기 열 교환기(55)를 통과하게 되면서 차가운 공기로 바뀌게 되며, 상기 열 교환기(55)를 통과하여 차가워진 공기는 상기 전기히터(61)를 거쳐 상기 취출구(52b)로 토출되게 된다. 이때,상기 전기히터(61)는 냉방운전이므로 동작되지 않는 상태이다.
그리고, 난방운전의 경우에는, 상기 팬(53)에 의해 냉매가 응축되면서 흡입된 공기에 열이 공급되도록 응축기로 동작되는 상기 열 교환기(55)까지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전기히터(61)를 통과하면서 따뜻한 공기로 바뀌면서 상기 취출구(52b)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되게 된다.
특히, 냉방운전의 경우에는 흡입된 공기가 상기 열 교환기(55)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하강하게 되므로 응축수가 상기 열 교환기(55) 및 전기히터(61)의 표면에서 발생되는데, 상기 열 교환기(55) 및 전기히터(61)의 하부에는 상기 드레인 팬(56)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열 교환기(55) 및 전기히터(61)의 표면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자중에 의해 드레인 팬(56)으로 떨어지게 되어 응축수가 실내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히터 설치구조는 상기 전기히터(61)가 상기 드레인 팬(56)에 놓여져 있으므로 상기 취출구(52b)를 통하여 응축수가실내로 낙하될 염려가 없고 상기 전기히터(61)의 구조보강을 위한 브라켓트(12)가 제거되므로 부품수가 감소되는 동시에 브라켓트(12)에 의한 공기의 유동교란이 없어져 소음이 감소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열교환기의 하부에 설치되고 열 교환기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하여 설치된 드레인 팬과, 상기 열 교환기의 주위에 설치된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천정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열교환기를 통하는 공기의 증발에 의해 상기 히터 표면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상기 드레인 팬에 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드레인 팬의 상부에 연결대에 의해 지지되면서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 팬에는 상기 연결대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동시에 상기 히터에서 떨어지는 응축수가 안내될 수 있도록 안착배수록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히터 설치구조.
KR1019980050866A 1998-11-26 1998-11-26 천정형공기조화기의히터설치구조 KR100293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866A KR100293707B1 (ko) 1998-11-26 1998-11-26 천정형공기조화기의히터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866A KR100293707B1 (ko) 1998-11-26 1998-11-26 천정형공기조화기의히터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826A KR20000033826A (ko) 2000-06-15
KR100293707B1 true KR100293707B1 (ko) 2001-11-26

Family

ID=19559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866A KR100293707B1 (ko) 1998-11-26 1998-11-26 천정형공기조화기의히터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37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740B1 (ko) * 2008-02-05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826A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8205B1 (ko) 환기겸용 공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7367201B1 (en) Air conditioning fan
JPH03233234A (ja) 空気調和機
KR100293707B1 (ko) 천정형공기조화기의히터설치구조
US6931868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CN217715154U (zh) 一种用于空调室内机的加湿装置及具有其的空调
KR100384702B1 (ko) 고층건물의 공조시스템
CN113251658B (zh) 利用热泵热水器除湿的控制方法
KR20070030070A (ko) 공기조화기
KR100529914B1 (ko)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20648466U (zh) 具有独立冷风风道与热风风道的除湿机
CN113251697B (zh) 吊挂式热泵机组及热泵热水器
JP2549457B2 (ja) 簡易一体型空気調和機
CN113251696B (zh) 热泵机组、热泵热水器及其控制方法
CN113251660B (zh) 热泵热水器及其控制方法
CN217503813U (zh) 一种浴用壁挂空调
CN219020664U (zh) 空调床
KR102246320B1 (ko) 공기 조화 시스템
CN218295878U (zh) 一种布液装置及应用有该布液装置的空调式吸油烟机
CN113251659B (zh) 利用热泵热水器辅助调控温室内温湿度的控制方法
KR100871116B1 (ko) 히트 펌프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냉난방기
JP3744843B2 (ja) 空気調和装置
JPH03230032A (ja) 除湿機
JPH1085499A (ja) 浴室内乾燥を兼ねた洗面脱衣室の空調換気方式
KR200238212Y1 (ko) 고층건물의 공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