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5729B1 - 에어콘의 실내기구조 - Google Patents

에어콘의 실내기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729B1
KR0125729B1 KR1019920008539A KR920008539A KR0125729B1 KR 0125729 B1 KR0125729 B1 KR 0125729B1 KR 1019920008539 A KR1019920008539 A KR 1019920008539A KR 920008539 A KR920008539 A KR 920008539A KR 0125729 B1 KR0125729 B1 KR 0125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
indoor unit
discharged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8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3654A (ko
Inventor
류창식
Original Assignee
강진구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구,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진구
Priority to KR1019920008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5729B1/ko
Publication of KR930023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3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7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5Cross-flow or tangent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에어콘의 실내기구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실내기(20)의 전면패널(2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흡입구(24)(25)와, 상기 제1 및 제2흡입구(24)(25)를 통해 흡입된 실내의 공기를 냉풍 또는 온풍으로 열교환시키도록 응축수받이(32)(33)의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된 제1 및 제2열교환기(30)(31)와 상기 제1 및 제2열교환기(30)(31)에서 열교환된 냉풍 또는 온풍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전면패널(21)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흡입구(24)(25)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토출구(27)(29)와, 상기 제1 및 제2흡입구(24)(25)를 통해 흡입되어 열교환된 실내의 공기가 상기 제1 및 제2토출구(27)(29)를 통해 토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열교환기(30)(31)의 후측에 각각 회전가능케 설치된 제1 및 제2크로스팬(34)(35)과, 상기 제1토출구(27)에 상하작동가능케 설치되어서 상기 제1열교환기(30)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제1토출구(27)를 통해 토출되게 유도하며, 또한 제1열교환기(30)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제2열교환기(31)로 유도하며 제2토출구(29)를 통해 토출되게 하는 풍향조절장치(2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므로, 냉방시에는 더 낮은 온도의 냉풍을 유도하고, 난방시에는 더 높은 온풍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어콘의 실내기구조
제1도는 종래에 의한 에어콘의 실내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콘의 실내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콘의 실내기에 있어서, 운전선택에 따른 실내기내부의 공기흐름을 도시한 실시예.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콘의 실내기에 있어서, 운전선택에 따른 실내기내부의 공기흐름을 도시한 또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실내기21 : 전면패널
24,25 : 제1 및 제2흡입구26 : 풍향조절장치
27,29 : 제1 및 제2토출구30,31 : 제1 및 제2열교환기
32,33 : 제1 및 제2응축수받이34,35 : 제1 및 제2크로스팬
본 발명은 에어콘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기내에 구획된 공간에 각각 열교환기 및 크로스팬을 구비하면서 이에 부합되는 흡입구와 토출구를 설치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냉난방을 유도하도록 한 에어콘의 실내기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의한 에어콘의 실내기구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실내기(1)의 전면에는 전면패널(2)이 설치되어서 그 전면패널(2)의 상부에는 실내의 공기에 부유하는 먼지 등을 깨끗하게 필터링하여 실내기(1)내에 공급하도록 하는 에어필터(3)가 그릴 안쪽에 설치된 흡입구(4)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실내기(1)내에서 열교환된 냉난방공기가 실내로 토출되게 하면서 그 토출되는 냉난방공기가 상하방향으로 풀향조절되도록 하는 상하풍향조절 블레이드(5)가 설치된 토출구(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실내기(1)의 내부에 대해 상기 흡입구(4)의 후측에는 상기 흡입구(4)를 통해 흡입된 실내의 공기를 냉풍 및 온풍으로 열교환시켜 주도록 배수관(도시안됨)과 접속된 응축수받이(7)의 상부에 경사지게 열교환기(8)가 재치되어 있고, 이 열교환기(8)의 후측에 대해 하부측에는 흡입구(4)를 통해 실내기(1)내에 흡입되는 냉난방으로 열교환된 공기가 표시된 공기흐름경로(점선방향)를 따라 토출구(6)를 통해 토출되도록 하는 크로스팬(9)이 회전가능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실내기(1)내에는 상기 크로스팬(9)의 회전력에 의해 흡입구(4)를 통해 흡입된 실내의 공기가 열교환기(8)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후 토출구(6)를 통해 토출되도록 냉풍 및 온풍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덕트(10)가 설치되어 있고, 또 토출구(6)에 대해 상기 덕트(10)의 하부측에는 열교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좌우방향으로 조절해주도록 하는 좌우풍향조절 블레이드(11)가 작동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에 의한 에어콘의 실내기구조는, 실내기(1)내에 1개의 열교환기(8)와 크로스팬(9)을 구비하면서 흡입구(4)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의 공기가 표시된 점선화살표의 에어흐름경로를 따라 토출구(6)를 통해 토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열교환기(8)의 측면에서 볼때 크로스팬(9)의 회전에 의한 풍량은 크로스팬(9)의 주위에 많이 발생되고, 열교환기(8)의 상부에는 상대적으로 공기의 유입량 및 속도가 저하되어 열교환효과가 떨어져 열교환기(8)의 크기에 비해 냉난방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근자에는 쾌적한 실내의 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에어콘의 작동과 동시에 냉풍 또는 온풍이 즉각적으로 토출되기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위한 수단으로 별도의 축열기를 사용하거나, 또는 정지시에도 열교환기를 일정온도 이상으로 유지시켜(별도의 전원사용) 에어콘의 작동과 동시에 순간온풍 및 냉풍을 토출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소비전력의 증대 및 별도의 축열구조를 사용하기 때문에 비경제적이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기내에 다단열교환기와 크로스팬을 각각 설치하여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실내의 공기가 1차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후 곧바로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게 하던가 또는 1차열교환된 공기가 또다시 2차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후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도록 하므로써 냉방시에는 더 낮은 온도의 냉풍을 유도하고, 난방시에는 더 높은 온도의 온풍을 유도하도록 에어콘의 실내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에어콘의 실내기구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실내기의 전면패널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흡입구와, 상기 제1 및 제2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실내의 공기를 냉풍 또는 온풍으로 열효관시키도록 응축수받이의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된 제1 및 제2열교환기와, 상기 제1 및 제2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풍 또는 온풍기의 공기를 토출하도록 전면패널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흡입구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토출구와, 상기 제1 및 제2흡입구를 통해 흡입되어 열교환된 실내의 공기를 상기 제1 및 제2토출구를 통해 토출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열교환기의 후측에 각각 회전가능케 설치된 제1 및 제2크로스팬과, 상기 제1토출구에 상하작동 가능케 설치되어서 상기 제1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제1토출구를 통헤 토출되게 유도하며, 또한 제1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제2열교환기로 유도하여 제2토출구를 통해 토출되게 하는 풍향조절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콘의 실내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제3도 본 발명에 의한 에어콘의 실내기에 있어서, 운전선택에 따른 실내기내부의 공기흐름을 도시한 실시예이며, 제4도 본 발명에 의한 에어콘의 실내기에 있어서, 운전선택에 따른 실내기내부의 공기흐름을 도시한 실시예이며, 제4도 본 발명에 의한 에어콘의 실내기에 있어서 운전선택에 따른 실내기내부의 공기흐름을 도시한 또다른 실시예이다.
제2도 내지 제4도에 있어서, 참조부호(20)은 에어콘의 가동을 온시켰을 경우 별도의 축열 및 예열이 필요없이 즉각적으로 순간 냉온풍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실내기로서, 이 실내기(20)의 전면에는 전면패널(21)이 설치되어서 그 전면패널(21)의 상부에 대해 대체로 모서리와, 상기 전면패널(21)의 중앙에 대해 상부에는 실내의 공기에 부유하는 먼지 등을 깨끗하게 필터링하여 상기 실내기(20)내에 공급하도록 제1 및 제2 에어필터(22)(23)가 그릴안쪽에 설치된 제1 및 제2흡입구(24)(25)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제1흡입구(24)와 제2흡입구(25)와의 중간정도에는 제1토출구(2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1토출구(26)에는 상기 제1흡입구(24)에서 흡입된 실내의 공기가 제1토출구(26)와 후술하는 제2토출구를 통해 선택적으로 토출되게 공기흐름의 방향을 유도하는 풍향조절장치(26)가 회동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흡입구(25)의 하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흡입구(24)(25)에서 흡입된 실내의 공기가 후술하는 제1 및 제2열교환기를 통해 열교환되어 실내로 토출되는 냉난방공기가 상하방향으로 풍향조절되도록 하는 상하풍향조절 블레이드(28)가 설치된 제2토출구(29)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실내기(20)의 내부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흡입구(24)(25)의 후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흡입구(24)(25)를 통해 흡입된 실내의 공기를 냉풍 또는 온풍으로 열교환시켜주도록 배수관(도시안됨)과 접속된 응축수받이(32)(33)의 상부에 경사지게 제1 및 제2열교환기(30)(31)가 재치되어 있고, 이 제1 및 제2교환기(30)(31)의 후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흡입구(24)(25)를 통해 실내기(20)내에 흡입되어 냉난방으로 열교환된 공기가 제1 및 제2토출구(27)(29)를 통해 토출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크로스팬(34)(35)이 회전가능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실내기(20)내에는 상기 제1 및 제2크로스팬(34)(35)의 회전력에 의해 제1 및 제2흡입구(24)(25)를 통해 흡입된 실내의 공기가 제1 및 제2열교환기(30)(31)를 통과하여 열교환된 후 제1 및 제2토출구(27)(29)를 통해 토출되도록 냉풍 및 온풍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제1 및 제2덕트(36)(37)가 설치되어 있고, 또 제1 및 제2토출구(27)(29)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덕트(36)(37)의 하부측에는 열교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좌우방향으로 조절해주도록 하는 제1 및 제2좌우방향조절 블레이드(38)(39)가 작동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제1덕트(36)와 제2덕트(37)와의 사이는 제1흡입구(24)에서 흡입되어 제1열교환기(30)에서 열교환된 냉난방공기가 제1토출구(27)를 통해 토출되던가, 또는 제2열교환기(31)쪽으로 유입되어 열교환된 후 제2토출구(29)를 통해 토출되어 냉난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전면패널(21)의 이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고, 이와같이 전면패널(21)과 이들덕트(36)(37)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그 공간에는 상술한 풍향조절장치(26)가 설치되어서 도시하지않은 루버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조절되도록 하여, 제1흡입구(24)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의 공기가 제1열교환기(3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후 제1토출구(27)를 통해 토출되게 유도하던가, 또는 상기 제2열교환기(31)쪽으로 유입되어 열교환된 후 제2토출구(29)를 통해 토출되게 유도한다.
다음에는,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에어콘 유니트에 전원이 인가되어 실내기(20) 및 도시하지 않은 실외기가 가동되면, 도시하지 않은 실외기의 압축작용에 의해 싸이클내부의 냉매가 순환하게 되어 냉방 및 난방작용이 시작된다. 그리고 이 냉매는 제1 및 제2열교환기(30)(31)의 상부로 각각 유입되어 제1 및 제2열교환기(30)(31)의 하부로 토출되면서 상기 실외기로 다시 이동된다. 이때 제1 및 제2크로스팬(34)(35)의 회전에 의해 제1 및 제2흡입구(24)(25)를 통해 흡입된 실내의 공기는 각각 제1 및 제2열교환기(30)(31)를 통과하면서 냉방 또는 난방으로 열교환된 공기로 변환되어 다시 제1 및 제2토출구(27)(29)를 통해 토출되어 실내의 공기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게 된다.
즉, 통상냉방 또는 난방운전선택시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기(20)내에 설치된 풍향조절장치(26)는 제1열교환기(30)에서 열교환된 냉풍 또는 온풍의 공기가 제2열교환기(3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켜 주도록 도시하지 않은 루버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어서 수평방향으로 위치되기 때문에 각각 제1 및 제2흡입구(24)(25)를 통해 흡입된 실내의 공기는 제1 및 제2열교환기(30)(31)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후 점선화살표로 표시한 공기흐름방향(S)(S')과 같이 제1 및 제2토출구(27)(29)를 통해 각각 토출되게 된다.
한편, 순간냉방 또는 난방운전선택시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냉매의 흐름이 상기 통상냉방 또는 난방운전선택시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고, 실내기(20)내에 설치된 풍향조절장치(26)는 도시하지 않은 루버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위치조절되기 때문에 각각 제1 및 제2흡입구(24)(25)를 통해 흡입된 실내의 공기는 제1 및 제2열교환기(30)(31)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후 점선화살표로 표시한 공기흐름방향(R)과 같이 제2토출구(29)를 통해 토출되게 된다. 이때 제1흡입구(24)를 통해 흡입된 실내의 공기는 제1열교환기(30)를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열교환된후, 상기 풍향조절장치(26)의 안내를 받아 제2열교환기(31)로 유입됨과 동시에 제2열교환기(31)를 통과하면서 2차적으로 열교환되어 제2토출구(29)쪽으로 토출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낮은 온도를 갖는 냉방의 공기와, 또는 더욱 높은 온도를 갖는 난방의 공기를 실내에 토출시켜 줄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에어콘의 실내기구조는, 실내기내에 다단열교환기 및 크로스팬을 각각 설치하여서 그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실내의 공기가 1차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후 곧바로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게 하던가, 또는 1차열교환된 공기가 또다시 2차열교환기를 거쳐 열교환된후 또다른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도록 통상 또는 순간운전선택기능을 갖도록 하므로써 냉방시에는 더낮은 온도의 냉풍을 유도하고, 난방시에는 더 높은 온도의 온풍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실내기의 흡입구를 통해 실내의 공기가 크로스팬의 가동에 흡입됨과 동시에 냉매가 순환되는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냉풍 또는 온풍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도록 이루어진 에어콘의 실내기구조에 있어서, 실내의 구조를 흡입하도록 실내기(20)의 전면패널(2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흡입구(24)(25)와; 상기 제1 및 제2흡입구(24)(25)를 통해 흡입된 실내의 공기를 냉풍 또는 온풍으로 열교환시키도록 응축수받이(32)(33)의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된 제1 및 제2열교환기(30(31)와; 상기 제1 및 제2열교환기(30)(31)에서 열교환된 냉풍 또는 온풍의 공기를 토출하도록 전면패널(21)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흡입구(24)(25)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토출구(27)(28)와; 상기 제1 및 제2흡입구(24)(25)를 통해 흡입되어 열교환된 실내의 공기가 상기 제1 및 제2토출구(27)(29)를 통해 토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열교환기(30)(31)의 후측에 각각 회전가능케 설치된 제1 및 제2크로스팬(34)(35)과; 상기 제1토출구(27)에 상하작동가능케 설치되어서 상기 제1열교환기(30)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제1토출구(27)를 통해 토출되게 유도하며, 또한 제1열교환기(30)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제2열교환기(31)로 유도하여 제2토출구(29)를 통해 토출되게 하는 풍향조절장치(2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의 실내기구조.
KR1019920008539A 1992-05-20 1992-05-20 에어콘의 실내기구조 KR0125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8539A KR0125729B1 (ko) 1992-05-20 1992-05-20 에어콘의 실내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8539A KR0125729B1 (ko) 1992-05-20 1992-05-20 에어콘의 실내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654A KR930023654A (ko) 1993-12-21
KR0125729B1 true KR0125729B1 (ko) 1998-04-01

Family

ID=19333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8539A KR0125729B1 (ko) 1992-05-20 1992-05-20 에어콘의 실내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572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654A (ko) 199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69797B (zh) 一种落地式空调室内机及其控制方法
JP2004012060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機
CN206073280U (zh) 一种落地式空调室内机
CN106152464A (zh) 一种落地式空调室内机及其控制方法
JP4169517B2 (ja) 空気調和機
JP2004116859A (ja) 空気調和機
CN106152465A (zh) 一种落地式空调室内机及其控制方法
KR20000055145A (ko) 공기조화기의 기류제어장치 및 방법
KR101105765B1 (ko) 공기조화기
CN210141633U (zh) 一种空调室内机及空调器
JP2004308930A (ja) 空気調和機
KR100714591B1 (ko) 액자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JP2003106555A (ja) 空気調和機
KR0125729B1 (ko) 에어콘의 실내기구조
JP2706383B2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KR100215053B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송풍장치
CN212566010U (zh) 一种可调节出风的空调室内机及空调系统
KR100274988B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CN212362229U (zh) 一种室内机及包括其的空调器
CN214370641U (zh) 一种厨房气流组织系统
CN113959009B (zh) 壁挂式空调室内机和空调器
JP3081471B2 (ja) 空気調和機
JP2003074902A (ja) 空調機器
KR102362389B1 (ko) 공기조화기
KR19990009786A (ko)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