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5082B1 - 전화 수신신호의 자동 판별방법 - Google Patents

전화 수신신호의 자동 판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5082B1
KR100425082B1 KR1019960079301A KR19960079301A KR100425082B1 KR 100425082 B1 KR100425082 B1 KR 100425082B1 KR 1019960079301 A KR1019960079301 A KR 1019960079301A KR 19960079301 A KR19960079301 A KR 19960079301A KR 100425082 B1 KR100425082 B1 KR 100425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m
telephone
signal
relay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9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9954A (ko
Inventor
이성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79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5082B1/ko
Publication of KR19980059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5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50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Abstract

모뎀이나 팩스등을 일반 전화망(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에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신 신호음이 검출되면 일단 전화기를 오프시키는 단계와, 검출된 수신 신호음으로 송신측이 모뎀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결과 송신측이 모뎀이면 수신측 모뎀과 접속하여 통신을 하고, 송신측이 모뎀이 아니면 수신측 모뎀을 오프한 후 전화기를 온 시키는 단계와, 수신측 전화기는 링신호를 발생하여 통화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전화 하린을 분기하여 전화와 같이 사용하는 모뎀과 팩스 사용시 송신측이 모뎀일 때는 모뎀에 연결되고, 송신측이 전화기 일때는 전화기에 자동 연결되어 편리하다.

Description

전화 수신신호의 자동 판별방법
본 발명은 모뎀이나 팩스등을 일반 전화망(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에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뎀이나 팩스는 규격에서 정한 보오 레이트(Baud Rate)의 캐리어(Carrier)에 변조된 신호를 실어 송, 수신 한다.
이런 여러 가지 목적으로 사용되는 모뎀이나 팩스는 옥내의 전화라인을 분기하여 전화기와 같이 사용하므로 모뎀이나 팩스 수신시 전화의 벨이 먼저 울리므로 사용자가 수화기를 들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모뎀/전화와 일반 전화망을 연결하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일반 전화망 잭(11)과, 릴레이(12)와, 포토 커플러(13)와, 전화기 잭(14)과, 마이콤(15) 및 모뎀(16)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일반적임 모뎀/전화와 일반 전화망을 연결하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화기나 모뎀(16)중 어느 하나도 사용중이 아닐때 일반적으로 릴레이(12)는 전화기와 폐루트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일반 전화망 잭(11)을 통해 수신신호가 릴레이(12)에 입력되면 포트 커플러(13)로 출력된다.
그러면 포토 커플러(13)는 온 되어 마이콤(15)으로 외부에서 모뎀/전화기에 오는 "따르릉"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마이콤(15)은 AT(Attention) 명령들로 모뎀(16)을 제어하는데 이때 AT(Attention) 명령 중 ATS 0 = N인 명령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N번 수신하면 전화기에 연결되어 있는 릴레이(12)를 끊고, 모뎀(16)을 온라인 시키는 신호를 릴레이(12)로 출력한다.
그러면 릴레이(12)는 연결되어 있던 전화기와 오픈되고, 모뎀(16)으로 폐루프 되어 일반 전화망의 출력이 모뎀(16)과 연결된다.
즉, 송신측이 모뎀일 때 릴레이(12)가 전화기에 연결되므로 사용자가 먼저 전화기를 들게 되면, 전화기를 들면 송신측에서 보내온 콜링 톤과 함께 캐리어 사인파를 듣게 된다.
그리고 송신측이 모뎀일 때 마이콤(15)이 전화기의 일정횟수(N) 만큼의 링 신호()기다린 후 모뎀을 온라인 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므로 일정시간을 기다려야 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모뎀/전화와 일반 전화망을 연결하는 장치는 모뎀이나 팩스를 오프후크(Off Hook)해야할 때 전화의 수화기를 잘못 들면 "삑"하는 캐리어를 듣게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모뎀이나 팩스를 오프 후크 해야할 때 먼저, 전화기의 벨이 일정횟수 울린 후 모뎀이나 팩스에 연결되므로 전화기의 수신이 이루어진 시간 만큼 기다려 오프 후크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송신측이 모뎀일때는 모뎀이 연결되고, 송신측이 전화기일때는 전화기에 연결되는 전화 수신신호의 자동 판별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모뎀/전화와 일반 전화망을 연결하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링 신호 발생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 수신신호의 자동 판별방법에 대한 플로우챠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측 전화기의 링 신호에 대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일반 전화망 잭 12:릴레이
13:포토 커플러 14:전화기잭
15:마이콤 16:모뎀
17:링 신호 발생부
본 발명에 따른 전화 수신신호의 자동 판별방법의 특징은 마이콤 AT0=0으로 셋팅 후 콜링 톤 검출로 송신측이 모뎀인가를 판단하여 송신측이 모뎀이면 접속하여 통신하고, 송신측이 전화일 경우 모뎀은 전화 온라인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송신측이 전화일 경우 수신측 전화기는 링 신호 발생부를 통해 사용자가 오프 후크할때까지 링 신호를 출력하는 데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화 수신신호의 자동 판별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링 신호 발생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전화 수신신호의 자동 판별장치는 도 1의 구성도와 동일하고, 송신측이 모뎀이 아닐 경우 수신측의 전화기의 호출음을 발생하는 링 신호 발생부(17)를 추가 한다.
링 신호 발생부(17)는 도 2와 같이 마이콤(15)의 제어에 의해 구동클럭을 분기하여 카운트하는 카운터부(171)와, 카운터부(171)에서 입력된 클럭을 사인(SINE)파로 출력하는 사인파 발생부(172)와, 사인파 발생부(172)에서 출력된 사인파를 증폭하여 링 신호를 출력하는 증폭부(173)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화 수신신호의 자동 판별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 수신신호의 자동 판별방법에 대한 플로우챠트로써 먼저, 송신측에서 호출을 하면 일반 전화망 잭(11)을 통해 릴레이(12)에 입력되고, 포토커플로(13)가 온되어 링 신호()가 마이콤(15)에 입력된다(S32)
이때, 링 신호()로 수신측 전화기가 따르릉 울려 사람이 전화기의 수화기를 들면 송신측이 모뎀이나 팩스임을 알리는 콜링 톤(calling tone)이 들린다, 그러므로 마이콤(15)의 AT(Attention) 명령 중 ATS 0을 0으로 셋팅하여 수신측의 전화기가 울리지 않도록 한다(S31).
마이콤(15)은 ATS 0=0 명령에 의해 모뎀(16)을 제어하여 모뎀(16)을 온라인 시키는 신호로우를 릴레이(12)에 출력한다(S33).
를 입력받은 릴레이(12)는 전화기와 온되어 있다가 모뎀(16)이 오프 후크됨으로써 페루프를 형성하고 동시에 전화기와는 오픈 루프를 형성한다(S34).
즉, 수신측은 송신측이 모뎀이나 팩스 또는 전화이거나 상관없이 모뎀(16)이 먼저 오프 후크하며, 전화기의 벨소리는 울리지 않는다.
이때, 마이콤 (15)은 송신측이 모뎀인지를 판단한다(S35).
송신측 모뎀과 수신측 모뎀(16)이 상호간 접속되어 온라인이 구축되면 우선 송신측은 수신측에 송신측이 전화가 아니고 모뎀이나 팩스임을 알리는 신호인 콜링 톤을 전송한다. 따라서, 송신측이 모뎀인가는 콜링 톤의 유무에 의해 결정한다.
판단결과 콜링 톤이 있어 송신측이 전화가 아닌 모뎀임이 확인되면 모뎀이 접속되어 통신이 완료될때가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S36)(S37).
한편, 판단결과 콜링 톤이 없어 송신측이 모뎀이 아닌 전화로 확인되면 마이콤(15)은 AT(Attention) 명령을 이용하여 모뎀(16)가신호가 하이로 릴레이(12)에 출력하도록 한다(S38).
신호가 하이로 릴레이(12)에 입력되면 릴레이(12)는 전화기와 일반 전화망 사이에 페루프를 형성시키고, 모뎀(16)과 일반 전화망 사이에 오픈 루프를 형성시켜(S39) 전화기가 온된다.
여기서, 송신측이 전화일 때 수신측은 전화기에 "따르릉"하는 링 신호를 울려 수화기를 들어 오프 후크 시켜야 한다(S40).
원래는 이러한 링 신호는 수신측과 송신측간 중계소(교환국)에서 발생시켜 주지만 여기서는 수신측의 모뎀(16)이 먼저 오프 후크하므로 전화가 걸려왔을 때 수신측 단말기에서 링 신호를 재발생하여야 한다.
이 링 신호는 도 2와 같이 구성된 링 신호 발생부(17)에서 발생되는데 교환국에서 발생되는 링 신호와 같이 발생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마이콤(15)이 구동 클럭(CLK)으로 사용하는 클럭을 분기하여 카운터부(17)에 입력하고, 카운터부(171)는 도 4와 같은 교환국에서 발생되는 링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인에이블(enable) 신호를 1초, 디저블(disable) 신호를 1.5초씩 사인파 발생부(172)에 출력한다.
만약, 마이콤(15) 구동클럭이 1.08MHz라면 카운터부(171)는 사인파 발생부(172)에 1.08×106번만큼 인에블 시키고, 1.62×106만큼 디저블 시켜 사인파를 발생시킨다.
이렇게 링 신호 발생부(17)에서 발생된 링 신호는 수신측의 사용자가 전화기를 들어 오프 후크 될 때까지 주기적으로 출력된다(S41).
즉, "따르릉"하는 링 신호로 수신측 사용자가 수화기를 들지 않으면 송신측 전화 사용자가 수화기를 내려놓을 것이고, 수신측 사용자가 수화기를 들면 송신측과 온라인 상태가 되어 통화가 이루어진다(S42).
본 발명에 따른 전화 수신신호의 자동 판별방법은 전화 라인을 분기하여 전화와 같이 사용하는 모뎀과 팩스 사용시 일일이 사용자가 모드를 변환하지 않아도 송신측이 모뎀일때는 모뎀에 연결되고, 송신측이 전화기 일때는 전화기에 자동 연결되어 편리하다.

Claims (3)

  1. 수신 신호음이 검출되면 일단 전화기를 오프시키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수신 신호음으로 송신측이 모뎀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송신측이 모뎀이면 수신측 모뎀과 접속하여 통신을 하고, 송신측이 모뎀이 아니면 수신측 모뎀을 오프한 후 전화기를 온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신측 전화기의 링신호를 발생하여 통화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수신신호의 자동 판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이 모뎀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송신측이 모뎀이나 팩스임을 알리는 코링 톤의 유무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수신신호의 자동 판별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하는 단계의 링 신호는 교환국에서 발생하는 링 신호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수신신호의 자동 판별방법.
KR1019960079301A 1996-12-31 1996-12-31 전화 수신신호의 자동 판별방법 KR100425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9301A KR100425082B1 (ko) 1996-12-31 1996-12-31 전화 수신신호의 자동 판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9301A KR100425082B1 (ko) 1996-12-31 1996-12-31 전화 수신신호의 자동 판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954A KR19980059954A (ko) 1998-10-07
KR100425082B1 true KR100425082B1 (ko) 2004-05-17

Family

ID=37329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9301A KR100425082B1 (ko) 1996-12-31 1996-12-31 전화 수신신호의 자동 판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50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361B1 (ko) * 1999-12-27 2004-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구내교환 시스템의 아날로그 모뎀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954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59579B2 (ja) インタフェース装置
US4910764A (en) Facsimile and voice communications interface device
JPH0738744B2 (ja) 無線電話装置
KR19990029062A (ko) 후크 디지털 보이스밴드 메시징을 가진 전력 라인 전화통신 시스템
CA2032163C (en) Cellular telephone with standard telephone set
KR920009334B1 (ko) 무선전화장치
US5267302A (en) Facsimile system
KR100425082B1 (ko) 전화 수신신호의 자동 판별방법
US4421951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signaling the transmission mode of a communication system
EP0448312B1 (en) Shared facsimile-telephone communication device
KR100313855B1 (ko) 음성통화도중의1:1데이터통신접속장치및방법
JP3669041B2 (ja) 通信端末装置
KR0170082B1 (ko) 이중화 데이타 자동 송수신 장치
JP3052568B2 (ja) 無線電話装置
KR0122538B1 (ko) 팩시밀리의 라인 접속 장치 및 방법
KR930000697B1 (ko) 팩시밀리의 자동 절체회로 및 그 제어방법
JP3156371B2 (ja) 無線電話装置
KR900002535Y1 (ko) 화중신호를 이용한 모뎀 온라인 자동차단회로
GB2300993A (en) Telephone modem
JP3630809B2 (ja) 電話端末用受信回路
JPS62274860A (ja) デ−タ/音声通信方式
KR100396601B1 (ko) 다이얼 모뎀 인터페이스 장치
JPH05122381A (ja) 加入者端末制御方式
KR890003763B1 (ko) 모뎀에 있어서 자동응답/자동 다이얼방법 및 회로
JP3379681B2 (ja) 通信端末切り換え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