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560Y1 - 전화기의 콜 웨이팅 회로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콜 웨이팅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560Y1
KR200207560Y1 KR2020000022023U KR20000022023U KR200207560Y1 KR 200207560 Y1 KR200207560 Y1 KR 200207560Y1 KR 2020000022023 U KR2020000022023 U KR 2020000022023U KR 20000022023 U KR20000022023 U KR 20000022023U KR 200207560 Y1 KR200207560 Y1 KR 2002075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lephone
connector
mode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0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일
Original Assignee
명원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원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명원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20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5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5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5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82Line monitoring circuits for call progress or status discri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99Mod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전화회선에 컴퓨터와 전화기를 공통 접속하여 사용하는 조건 하에서, 컴퓨터 통신 중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에도 통신 접속상태가 유지되면서 전화기 사용자가 전화기를 통해 링거신호의 수신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사용자가 전화를 받는 경우에만 통신 접속이 해제되도록 하는 전화기의 콜 웨이팅 회로를 제공한다.
전화기 본체에 전화라인, 모뎀 및 전화기 회로로 연결되는 각각의 컨넥터(CN1,CN2,CN3)를 갖고, 상기 모뎀과 전화기의 사용에 따른 폐회로 상태를 각각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22,24)와, 상기 모뎀의 사용 중에 링거 신호가 전화라인측 컨넥터(CN1)을 통해 입력되더라도 전화라인측 컨넥터(CN1)과 모뎀측 컨넥터(CN3)의 접속상태를 유지하며 전화기의 오프후크시에 전화라인측 컨넥터(CN1)을 전화기 회로측 컨넥터(CN3)로 절환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부(30a)와, 상기 프로세서부(30a)의 제어에 따라 전화라인측 컨넥터(CN1)를 상기 모뎀측 컨넥터(CN2) 또는 전화기 회로측 컨넥터(CN3)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스위칭부(42,44)를 구비한다. 또, 수신된 링거신호를 신호 처리에 적당한 레벨로 변환하는 링거신호 입력부(50)와, 상기 링거신호 입력부(50)의 출력신호 중 소정 주파수대역의 신호만을 패스하여 출력하는 대역필터(60)와, 상기 대역필터(60)의 출력신호를 자체 발진된 기준 주파수 신호(Fref)와 비교하여 동일 주파수인 경우에 논리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70)와, 상기 비교부(70)의 출력신호에 따라 소정시간동안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부(30b)와, 상기 프로세서부(30b)의 제어신호 출력에 따라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발진하여 출력하는 발진부(80)와, 상기 발진부(80)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90)와, 상기 증폭부(90)의 출력신호에 따라 가청음을 발하는 음성출력수단(SP)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화기의 콜 웨이팅 회로{CALL WAITING CIRCUIT FOR COMPUTER COMMUNICATION AND MESSAGING TELEPHONE}
본 고안은 컴퓨터 통신을 위한 전화기의 콜 웨이팅 회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하나의 전화회선에 컴퓨터와 전화기를 공통 접속하여 사용하는 조건 하에서, 컴퓨터 통신 및 전화기 사용에 대한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전화기의 콜 웨이팅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전화기는 장거리 음성통신을 가능케 하는 현대사회에 있어서는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통신수단으로, 유,무선 기능과 아울러 자동응답 기능, 다이얼링을 통한 홈오토메이션 기능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컴퓨터 통신과 전화사용을 겸하는 으며, 최근 들어서는 랜을 통한 통신망이 구축되면서 인터넷 상에서도 전화통화를 가능토록 하는 인터넷폰까지도 등장하고 있다.
최근 들어 랜의 보급률이 급속도로 높아지고 있다고는 하나, 현재까지 랜이 보급되지 않은 곳이 많으며 랜이 보급되어 있다하더라도 비가입 사용자나 랜 접속체계가 구축되지 않아 전화 접속만 가능한 웹사이트로의 방문시에는 전화 접속을 사용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1회선의 전화회선을 사용하는 조건하에서, 전화라인은 컴퓨터의 모뎀에 구비된 라인입력 단자(line 단자)에 접속하고 전화기는 모뎀의 전화출력 단자(phone 단자)로 접속하여 사용하여야 컴퓨터 통신 및 전화기 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전화 신호가 라인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어 컴퓨터의 모뎀을 이루는 회로기판 상에서 라인입력 단자와 병렬 연결된 전화출력 단자로 연결되기 때문에 웹 접속 상태에서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에는 전화벨이 울리지 않아 전화가 걸려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전화회선을 1회선만 갖고 있으며 평소 전화 수신의 빈도가 잦은 사용자에 있어서는 그 불편은 매우 크다.
또한, 종래에는 웹 접속 상태에서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들어올린 경우 모뎀의 전송신호음이 들리게 되는 바, 모뎀의 접속상태를 인위적으로 끊고 전화를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컴퓨터 통신의 접속상태에서 링거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도 컴퓨터 통신이 유지되게 하는 동시에 링거신호의 수신상태를 전화기 사용자가 전화기를 통해 알 수 있도록 한편, 링거신호의 수신에 따라 전화를 받는 경우에는 컴퓨터 통신의 접속이 자동적으로 보류 혹은 해제되도록 하는 전화기의 콜 웨이팅 회로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CN1,CN2,CN3 - 컨넥터 22,24 - 검출부
30 - 프로세서부 42,44 - 스위칭부
50 - 링거신호 입력부 60 - 대역필터
70 - 비교부 80 - 발진부
90 - 증폭부 SP - 음성출력수단
PC1,PC2,PC3,PC4 - 포토커플러
이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전화기 본체에 전화라인, 모뎀 및 전화기 회로로 연결되는 각각의 컨넥터(CN1,CN2,CN3)를 갖고, 상기 모뎀과 전화기의 사용에 따른 폐회로 상태를 각각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22,24)와, 상기 모뎀의 사용 중에 링거 신호가 전화라인측 컨넥터(CN1)을 통해 입력되더라도 전화라인측 컨넥터(CN1)과 모뎀측 컨넥터(CN3)의 접속상태를 유지하며 전화기의 오프후크시에 전화라인측 컨넥터(CN1)을 전화기 회로측 컨넥터(CN3)로 절환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부(30a)와, 상기 프로세서부(30a)의 제어에 따라 전화라인측 컨넥터(CN1)를 상기 모뎀측 컨넥터(CN2) 또는 전화기 회로측 컨넥터(CN3)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스위칭부(42,44)를 구비한다.
또, 본 고안은 상술한 구성과 아울러, 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된 링거신호를 신호 처리에 적당한 레벨로 변환하는 링거신호 입력부(50)와, 상기 링거신호 입력부(50)의 출력신호 중 소정 주파수대역의 신호만을 패스하여 출력하는 대역필터(60)와, 상기 대역필터(60)의 출력신호를 자체 발진된 기준 주파수 신호(Fref)와 비교하여 동일 주파수인 경우에 논리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70)와, 상기 비교부(70)의 출력신호에 따라 소정시간동안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부(30b)와, 상기 프로세서부(30b)의 제어신호 출력에 따라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발진하여 출력하는 발진부(80)와, 상기 발진부(80)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90)와, 상기 증폭부(90)의 출력신호에 따라 가청음을 발하는 음성출력수단(SP)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두 프로세서부(30a,30b)는 별도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나, 최근의 프로세서 칩들의 처리능력을 감안할 때 도면의 도시와 같이 단일 칩의 프로세서(30)에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검출부(22,24)는 상기 모뎀측 컨넥터(CN2)과 상기 전화기 회로측 컨넥터(CN3)에 각각 송신측이 접속되고, 상기 프로세서부(30b)에 상기 송신측의 신호를 수신하는 각각의 수신측이 접속된 포토커플러(PC1,PC2)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칭부(42,44)는 상기 모뎀측 컨넥터(CN2)과 상기 전화기 회로측 컨넥터(CN3)에 각각 수신측이 접속되고, 상기 프로세서부(30a)에 상기 수신측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각각의 송신측이 접속된 포토커플러(PC3,PC4)로 구성된다. 상기 포토커플러(PC1,PC2,PC3,PC4)는 송신측이 포토다이오드이고, 수신측이 포토다이오드이다.
상기 검출부(22,24)를 이루는 포토커플러(PC1,PC2)의 수신측과 상기 스위칭부(42,44)를 이루는 포토커플러(PC3,PC4)의 송신측은 직렬접속되며, 이중 직렬접속된 포토커플러(PC1)의 수신측과 포토커플러(PC3)의 송신측은 전화라인으로 연결하는 콘넥터(CN1)와 모뎀 회로에 연결하는 콘넥터(CN2)의 사이에 접속되고 또한 직렬접속된 다른 포토커플러(PC2)의 수신측과 포토커플러(PC4)의 송신측은 전화라인으로 연결하는 콘넥터(CN1)와 모뎀 회로에 접속하는 콘넥터(CN3)의 사이에 접속된다.
상기 증폭부(90)의 출력단에는 전화가 걸려오는 상태, 즉 링거신호가 입력되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램프(LED)가 접속될 수 있다.
도면의 미설명부호 R1 내지 R7는 저항이고, C1 및 C2 는 캐패시터이며, X1은 수정진동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컴퓨터 통신 접속 중에 전화가 걸려오는 전화기의 온후크 상태와, 사용자가 전화를 받는 전화기의 오프후크 상태, 즉 송수화기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본 고안의 콜 웨이팅 회로가 작동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컴퓨터 통신 중에 모뎀은 전화라인과 폐회로를 이룬다. 이때에, 전화라인측 컨넥터(CN1)과 모뎀측 컨넥터(CN2)의 사이에 접속된 스위칭부(22)의 포토커플러(PC1)의 수신측은 프로세서부(30a)의 제어에 따라 통전된 송신측의 신호를 받아 온(on)된 상태이며, 상기 모뎀이 전화라인과 폐회로를 이룸에 따라 검출부(42)의 포토커플러(PC3)는 송신측이 통전되어 프로세서부(30a)에 모뎀의 사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프로세서부(30a)는 이러한 접속 상태를 전화라인측 컨넥터(CN1)을 통해 링거신호가 입력되어도 계속 유지하도록 제어하게 됨으로써, 컴퓨터 통신의 접속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링거신호 입력 상태에서, 사용자가 송수화기를 들어올려 전화기가 오프후크 상태로 되는 경우에 전화기 회로는 전화라인과 폐회로를 이루게 된다. 이때에 전화라인측 컨넥터(CN1)과 전화라인측 컨넥터(CN3)의 사이에 접속된 스위칭부(24)의 포토커플러(PC2)의 수신측은 프로세서부((30a)의 제어에 따라 통전된 송신측의 신호를 받아 온(on)된 상태이며, 상기 전화기 회로가 전화라인과 폐회로를 이룸에 따라 검출부(44)의 포토커플러(PC4)는 송신측이 통전되어 프로세서부(30a)에 전화기의 사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신호를 인가하게 되며, 프로세서부(30a)는 전화기 회로를 전화라인과 단속하는 포토커플러(PC2)의 수신측을 온상태로 유지시키는 동시에 모뎀을 전화라인과 단속하는 포토커플러(PC1)의 수신측을 오프상태로 절환하게 된다. 따라서, 모뎀의 신호음이 단절된 깨끗한 전화 통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 링거신호가 입력될 때 이를 사용자가 전화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전화라인은 평소 45V 정도의 직류 전류가 흐르는 상태이나 전화가 걸려 올때에는 대략 100V 에 가까운 교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100V 에 가까운 링거신호는 가청주파수 대역이어서 벨을 직접 울리게 하거나 디넥터에서 검출되어 원하는 가청음을 출력토록 한다. 링거신호의 주파수는 국내에서 사용되는 425HZ로 예로 든다.
이러한 링거신호는 링거신호 입력부(50)에서 적당한 레벨로 감압된 후 대역필터(60)로 입력되어 425HZ 신호만 패스되어 출력된다. 대역필터(60)의 출력신호는 비교부(70)에서 기준주파수 신호인 425HZ의 신호와 비교되며 이들 두 신호가 동일 주파수임에 따라 비교부(70)는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여 프로세서부(30b)로 인가하게 되고, 프로세서부(30b)는 발진부(80)를 트리거링하여 발진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며, 발진부(80)의 발진신호는 증폭부(90)에서 증폭되고 음성출력수단(SP)으로 사용된 스피커를 통해 전화가 걸려오는 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가청음으로 출력되는 것이다. 상기 발진부는 음성메모리로 대체하여 스피커를 통해 녹음된 음성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전화회선에 컴퓨터와 전화기를 공통 접속하여 사용하는 조건 하에서, 컴퓨터 통신 중에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에도 컴퓨터 통신의 접속이 끊어지지 않고 접속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전화기 사용자가 전화기를 통해 링거신호의 수신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컴퓨터 통신 중에도 걸려오는 전화를 놓치지 않고 받을 수 있게 되고, 또한 전화를 받는 경우에 모뎀의 접속상태가 자동 차단되어 모뎀의 전송 신호음을 수화하지 않게 되므로 명료한 통화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7)

  1. 전화기 본체에 전화라인, 모뎀 및 전화기 회로로 연결되는 각각의 컨넥터(CN1,CN2,CN3)를 갖고, 상기 모뎀과 전화기의 사용에 따른 폐회로 상태를 각각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22,24)와, 상기 모뎀의 사용 중에 링거 신호가 전화라인측 컨넥터(CN1)을 통해 입력되더라도 전화라인측 컨넥터(CN1)과 모뎀측 컨넥터(CN3)의 접속상태를 유지하며 전화기의 오프후크시에 전화라인측 컨넥터(CN1)을 전화기 회로측 컨넥터(CN3)로 절환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부(30a)와, 상기 프로세서부(30a)의 제어에 따라 전화라인측 컨넥터(CN1)를 상기 모뎀측 컨넥터(CN2) 또는 전화기 회로측 컨넥터(CN3)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스위칭부(42,4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콜웨이팅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22,24)는
    상기 모뎀측 컨넥터(CN2)과 상기 전화기 회로측 컨넥터(CN3)에 각각 송신측이 접속되고, 상기 프로세서부(30b)에 상기 송신측의 신호를 수신하는 각각의 수신측이 접속된 포토커플러(PC1,PC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콜 웨이팅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42,44)는
    상기 모뎀측 컨넥터(CN2)과 상기 전화기 회로측 컨넥터(CN3)에 각각 수신측이 접속되고, 상기 프로세서부(30a)에 상기 수신측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각각의 송신측이 접속된 포토커플러(PC3,PC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콜웨이팅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된 링거신호를 신호 처리에 적당한 레벨로 변환하는 링거신호 입력부(50)와, 상기 링거신호 입력부(50)의 출력신호 중 소정 주파수대역의 신호만을 패스하여 출력하는 대역필터(60)와, 상기 대역필터(60)의 출력신호를 자체 발진된 기준 주파수 신호(Fref)와 비교하여 동일 주파수인 경우에 논리신호를 출력하여 이 논리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70)와, 상기 비교부(70)의 출력신호에 따라 소정시간동안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부(30b)와, 상기 프로세서부(30b)의 제어신호 출력에 따라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발진하여 출력하는 발진부(80)와, 상기 발진부(80)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90)와, 상기 증폭부(90)의 출력신호에 따라 가청음을 발하는 음성출력수단(SP)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콜 웨이팅 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부(80) 대신에 상기 프로세서부(30b)의 제어에 따라 미리 저장된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메모리를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콜 웨이팅 회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두 프로세서부(30a,30b)는 단일 칩 상에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콜 웨이팅 회로.
  7. 제 1 항에 있어서,
    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된 링거신호를 신호 처리에 적당한 레벨로 변환하는 링거신호 입력부(50)와, 상기 링거신호 입력부(50)의 출력신호 중 소정 주파수대역의 신호만을 패스하여 출력하는 대역필터(60)와, 상기 대역필터(60)의 출력신호를 자체 발진된 기준 주파수 신호(Fref)와 비교하여 동일 주파수인 경우에 논리신호를 출력하여 이 논리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70)와, 상기 비교부(70)의 출력신호에 따라 소정시간동안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부(30b)와, 상기 프로세서부(30b)의 제어에 따라 점등되는 램프(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콜 웨이팅 회로.
KR2020000022023U 2000-08-02 2000-08-02 전화기의 콜 웨이팅 회로 KR2002075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023U KR200207560Y1 (ko) 2000-08-02 2000-08-02 전화기의 콜 웨이팅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023U KR200207560Y1 (ko) 2000-08-02 2000-08-02 전화기의 콜 웨이팅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560Y1 true KR200207560Y1 (ko) 2000-12-15

Family

ID=19666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023U KR200207560Y1 (ko) 2000-08-02 2000-08-02 전화기의 콜 웨이팅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5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252329A (ja) 無線電話装置
JP2894881B2 (ja) 無線拡声電話装置
KR200207560Y1 (ko) 전화기의 콜 웨이팅 회로
US6895260B2 (en) Hands-free handset for a cordless telephone
KR930001826B1 (ko) 병렬 전화기의 비화기능 구현방법
KR0181077B1 (ko) 전화기의 신호 절환 장치
KR950010480B1 (ko) 키폰 시스팀과 전화기와의 접속 장치 및 방법
KR0122538B1 (ko) 팩시밀리의 라인 접속 장치 및 방법
JP3630809B2 (ja) 電話端末用受信回路
EP0340231A1 (en) Communications systems
KR920005048Y1 (ko) 온 후크 자동 다이얼링 장치
KR200259992Y1 (ko) 이동전화와 송수화기의 연결어댑터를 구비한 전화기
JP3379681B2 (ja) 通信端末切り換え制御装置
KR200301283Y1 (ko) 루프 검출 기능을 이용한 링/다운 유니트
KR100666944B1 (ko) 각종 디지털 가입자 회선 시스템에서 착신시 발생되는고주파 신호 제거 장치
KR19980057914U (ko) 인터넷 통화기능 전화기
KR970006780B1 (ko) 무선전화기 핸디의 발신음 포착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960003027B1 (ko) 데이타 모뎀의 부가서비스 지원 회로
KR100197058B1 (ko) 전화기의 통화로 자동전환장치
KR950007979B1 (ko) 전화기의 장거리전화 제어 시스템
JPH04362838A (ja) 無線伝送装置
JPH02124674A (ja) 通信装置
JPS63185257A (ja) 有線端末接続装置
JPS6184949A (ja) 呼出し方法
JPH11313131A (ja) 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